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저임금제도에 관한 헌법 및 노동법적 관견

        정안태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저임금제도에 관한 헌법 및 노동법적 관견 최저임금제도는 임금수준 결정에 있어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최저 하한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임금수준을 지급하도록 강제하는 제도이다. 임금은 근로자의 생활안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자아실현을 달성하는 수단이므로, 최저임금제도를 실시하여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헌법에서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 정치·사회·경제·문화 거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펼쳐지면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에 반해 최저임금은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제를 수정하거나 다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저임금제 수정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해외에서 시행하고 있는 최저임금 차등제를 적용하자는 의견이 다수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단일 최저임금액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해외의 업종별·산업별·지역별·연령별 최저임금 차등화를 적극 참고하여,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한 최저임금제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최저임금 차등제 시행이 어렵다면, 주휴제도를 수정할 필요성도 있다. 최저임금 급상승에 따라 주휴수당도 동시에 부각되고 있다.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주휴제도가 없거나, 폐지한 곳이 대부분이므로, 이 또한 참고하여 우리나라 현상황에 맞게 제도가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최저임금제도의 헌법과 노동법적 쟁점들에 대해 그 배경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해외 제도를 소개하여 우리나라에 알맞은 형태의 최저임금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형성과 변화 : 역사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연구

        박라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paper explain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historical change of Minimum Wage system in Korea from 1986 to 2019,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 key variable that caused historical change of the minimum wage system is minimum wage politics which is conditioned by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minimum wage system. The center of this politics is the power relationship and strategic practice of actors surrounding the minimum wage system. Actors' interpreta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minimum wage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of system change is determined by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actors who conflict and struggle with each other. However, the power relationship t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multidimensional. This paper’s attention is paid to the power relationship that operates in the stage of agenda selection before the dispute occurs, along with the power relationship that operates in the field where explicit disputes take place between actors. The minimum wage system has not always received social attention. the degree of social interest about the minimum wage system varied depending on the time and the battlefield. Therefore, how much the minimum wage agenda attracts social attention is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explain the change in the minimum wage system.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bility and power among actors to highlight the agenda they want. Those who have the power to control the agenda have the ability to select the agenda and highlight it socially, but actors who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agenda have difficulty choosing the agenda. This does not mean that those who are at a disadvantage are only dragged passively. The strategy of active ac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genda control power. Actors with agenda control can lock up agendas in a quiet decision-making process so that agendas that are unfavorable to them are not socialized, which can be called a strategy of ‘quiet politic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quiet politics’ depends on a narrow coalition of actors centered on key decision-makers, interpretation of the system that reduces stakeholders, and the ability to achieve a monopoly on knowledge related to the system. On the other hand, actors who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agenda can use the socialization of conflict/noisy politics strategy that attracts more social actors and stakeholders in the battlefield. The formation of a broad coalition of actors, interpretation of institutions that can embrace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and popularization of knowledge related to institutions are key factors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is strategy.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Korea's minimum wage politics, the distribution of agenda control power between the government, labor, and business circles, which are key actors, is extremely uneven. So the labor community, an actor who had little control over the agenda, had to use a strategy to socialize their agenda, a strategy to attract more social actors and form solidarity to increase visibility and expand power resources. On the other hand, actors who had control of the agenda (mainly the government, and the business community that could often form a coalition with them) tried to carry out their intentions using a ‘quiet politics’ strategy that made the minimum wage agenda as quiet as possible. In Korea's minimum wage politics, the success or failure of each actor depended on the choice of an appropriate strategy and whether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strategy could be well construct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Korean minimum wage system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framework. First, Chapter 3 analyz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minimum wage system in Korea and the period from the implementation to the period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Korea's minimum wage system faced an opportunity to be implemented o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created by th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democratic union movement. Although it was a choice based on political crisis and social pressure, the government declared the implementa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leading the process of preparing a minimum wage implementation plan and creating a minimum wage law that is the foundation of the current minimum wag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Federation of Korea Trade Unions, which has consistently demanded the implementa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was in fact only a government-patronized union, so it hardly reflected its needs (the minimum wage system as an autonomous bargaining system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 introduc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was passive process by authoritarian regimes and was only a means of overcoming the political crisis faced by Chun’s government.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as implemented to the minimum with numerous deferred provisions, and the purpose of the system and the proposed function were never more than the protection of low-wage workers. This situation also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The minimum wage system is virtually neglecte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the government and the business community, which tried to block the "politics of wage hikes" that began after the 1987 great labor struggle and implement wage increase control policies. The labor community, which wanted the minimum wage system, failed to pay attention to the minimum wage system,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which participated in the minimum wage committee on behalf of the labor community, failed to counter the government's indifference and deliberate neglect strategies. The minimum wage system eventually drifts into a meaningless system because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did not have the will or ability to implement a strategy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capacity (a strategy that socially highlights the minimum wage agenda beyond the minimum wage committee). During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governments, there is a reversal in minimum wage politics. A new actor,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emerged and brought up new strategy and interpretations of the institution, completely changing the structure of minimum wage politics. In respons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seeks the minimum wage as a solidarity wage to overcome polarization and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power of labor unions and labor classes.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formed a broad coalition of actors who have same i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choose ‘socialization of conflict/noisy politics’ strategy to socialize the minimum wage agenda. The minimum wage agenda, which was expanded to civil society and the National Assembly, was developed into a politics of minimum wage expansion led by the coalition of the minimum wage expasion. the appearance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is a decisive opportunity to reform the minimum wage system. In result, the minimum wage politics dramatically reduced the blind spot of the minimum wage system, strengthened punishment for violations of the minimum wage, and added income distribution index as the minimum wage decision criteria. The minimum wage institution became institutional means to overcome polarization in the labor market. On the other hand, actors who wanted to reduce the minimum wage were unable to respond to the coalition of minimum wage expansion and had to watch the victory of the coalition of minimum wage expansion by maintaining indifference and no strategy. Lee Myung Bak government period begins with actors aiming to reduce the minimum wage, who have been hit first by the minimum wage expansion politics, seeking to counterattack. Businesses that have brought the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into the coalition define the minimum wage system as a labor market regulation and attempt to reform the minimum wage system in the name of deregulation. This coalition, which wanted to reduce the minimum wage, attempted to reform the minimum wage with a strategy of ‘quiet politics’ centered on solidarity with policymakers, and seemed to produce successful results by overwhelming the coalition of the minimum wage expansion, which was in a defensive position. However, the situation is reversed as the welfare agenda's impact on the election was confirmed in a series of elections. As the opposition Democratic Party pays attention to the political potential of the minimum wage agenda and joins the coalition of minimum wage expansion, the minimum wage agenda rapidly emerges as a social and political issue again, and ‘Quiet politics’ strategy of the coalition of minimum wage reduction completely fails. Even within the ruling party, Another faction which confronted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became mainstream. And this reversed the politics of minimum wage reduction to the politics of minimum wage expansion, resulting in a brief stagnation of the institution. After Lee Myung Bak government, the minimum wage agenda is no longer suitable for ‘quiet politics’. Despite Park Geun Hye government's hostile stance on the minimum wage, the minimum wage agenda enters a new phase by accepting various actors, including young people and peripheral workers. As the minimum wage of 10,000 won proposed by young and peripheral workers was accepted by the mainstream labor community, the minimum wage of 10,000 won coalition was created, and social interest in the minimum wage system increases due to their activities. As President Park Geun Hye's impeachment continues,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minimum wage politics is rapidly changing. After the impeachment, the progressive agenda occupied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minimum wage of 10,000 won reached a social consensus. The Moon Jae In government, which took power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combined the income-led growth agenda with the minimum wage of 10,000 won. Paradoxically, the minimum wage reduction coalition creates a coalition tha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actors, including the media, academia, and small business owners, due to the ripple effect created by the highest-ever minimum wage hike. This minimum wage reduction coalition choose the strategy that socially highlights their minimum wage reduction agenda and fight with the minimum wage expansion coalition. The results of the struggle between the two sides using the same strategy were conciluded by differences in competencies of two sides. Because of traitors, The coalition of minimum wage expasion suffered from cracked the Union's mobilization capacity. The coalition of the minimum wage reduction was able to outdo the rival in mobilization and discourse capabilities. In the end, the Moon Jae In government's minimum wage hike retreat in two years, and the minimum wage institution was reduced. The following were the things that could be found through study. First, by analyz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and path of change of the Korean minimum wage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minimum wage system has changed to various type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its function was limited to protecting low-wage workers, but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it was converted to a institution to overcome polarization in the labor market, redistribute income, and protect non-regular workers and peripheral workers. Korea's minimum wage system has been transformed for various purposes and has undergone qualitative chan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scribed this historical process in depth and explained causal relationships. The final variables that drove the change in the Korean minimum wage system with complex historical trajectories were the strategic approaches and practices of actors who wanted to change the system, and these strategic approaches and practices were characterized by changes in power relations between actors. And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minimum wage system was political visibility and social attention to the minimum wage system. There has always been an interest in how the minimum wage system should change, but this alone could not make a difference. When various actors began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s of the minimum wage and became an agenda that attracted social attention, an opportunity for change could be created. Therefore, the difference in agenda control power that exists between the actors and the strategic practice of using or overcoming it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This study was able to produce more explanatory analysis results by construct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model that reflects the differences in strategies and success factors of actors, not a single dimension.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nd has an in-depth description and analysis, bu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rive or theorize political causal relationships through context comparison and variable control with other cases. 본 논문은 최저임금제도의 형성기인 1986년부터 문재인 정부 중반기인 2019년까지 이어진 최저임금제도의 형성과 역사적 변동의 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이론적 분석틀에 기초해 설명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에 따르면 제도적 환경과 제약 조건에 따라 행위자들과 정치적 쟁투의 장이 조건지어지고 행위자들의 권력관계와 전략적 행위들을 통해서 제도의 유지나 변화가 결정된다. 최저임금제도의 역사적 궤적을 설명하는 본 연구에서도 최저임금제도의 역사적 변동을 초래한 핵심 변수는 제도적 환경 속에서 형성되고 행위하는 행위자들의 권력관계와 전략적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최저임금정치이다. 최저임금에 대한 행위자들의 해석과 대안은 서로 대립하고 있으며 제도 변화의 방향은 서로 대립하고 쟁투를 벌이는 행위자들 사이의 권력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권력관계는 다차원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권력관계, 즉 행위자들 간의 명시적인 쟁투가 벌어지는 장에서 작동하는 권력관계와 함께 쟁투가 발생하기 이전 의제 선택의 단계에서 작동하는 권력관계에도 주목한다. 최저임금제도는 항상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것이 아니었으며 시기에 따라서, 쟁투의 장에 따라서 핵심적인 정치적 쟁투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했다. 따라서 최저임금 의제가 사회적으로 얼마나 주목받는가는 최저임금제도의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 중 하나이다. 문제는 행위자들 사이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의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능력과 권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의제를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진 이들은 의제를 선택하여 사회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의제통제권력이 없는 행위자들은 자신들이 의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렇다고 해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이들이 수동적으로 끌려다니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의제통제권력의 유무에 따라 능동적인 행위자들의 전략은 달라질 수 있다 의제통제권력을 갖춘 행위자들은 자신들에게 불리한 의제가 사회화되지 않도록 조용한 의사결정 과정에 의제들을 가둘 수 있으며 이는 조용한 정치의 전략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조용한 정치 전략의 성패는 핵심 의사결정권자 중심의 협소한 행위자 연합, 이해관계자를 축소시키는 제도 해석, 제도와 관련된 지식 독점을 이룰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반면 의제통제권력을 갖추지 못한 행위자들은 더 많은 사회적 행위자들을 쟁투의 장에 이해관계자로 끌어들이는 갈등의 사회화/떠들썩한 정치의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광범위한 행위자 연합의 구성,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제도 해석, 제도와 관련된 지식의 대중화 등이 이 전략의 성패에 핵심요인이 된다. 한국 최저임금정치의 제도적 환경에서 핵심행위자들인 정부, 노동계, 재계 사이의 의제통제권력 배분은 극히 불균등하다. 그래서 의제통제권력을 거의 가지고 있지 못했던 행위자인 노동계는 자신들의 의제를 사회화하는 전략, 즉 더 많은 사회적 행위자들을 끌어들이고 연대를 형성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권력자원을 확장하는 전략을 사용해야만 했다. 반면에 의제통제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행위자들(주로 정부, 그리고 이들과 종종 연합을 형성할 수 있었던 재계)은 최저임금의제를 최대한 조용하게 만드는, ‘조용한 정치’의 전략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의도를 관철하려 했다. 한국의 최저임금정치에서 각 행위자들의 성패는 적절한 전략의 선택 여부와 전략에 필요한 요인들을 잘 구성할 수 있었는지 여부에 달려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론적 틀에 따라서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역사적 변동과정을 설명하려한다. 먼저, 3장에서는 한국의 최저임금제도 형성 과정과 시행 이후 김영삼 정부 시기까지의 시기를 분석한다. 한국의 최저임금제도는 민주화 운동과 민주노조운동이 활성화되면서 만들어진 정치적 기회구조에 편승하여 시행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 정치적 위기와 사회적 압력에 따른 선택이었지만 정부는 선제적으로 최저임금제도의 시행을 선언함으로써 최저임금시행 계획 마련 과정을 주도하고 현재 최저임금제도의 토대가 되는 최저임금법을 만들었다. 반면, 최저임금제도의 시행을 일관되게 요구해 온 한국노총은 사실상 정권의 통치 도구에 불과하였으므로 자신들의 요구(노사간의 자율적인 교섭제도로서 최저임금제도)를 거의 반영하지 못했다. 최저임금제도의 도입은 권위주의 정권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 따라서 제도의 시행은 수많은 유보조항을 가지고 최소한도로 시행되었으며, 제도의 목적과 상정된 기능도 저임금노동자의 보호 그 이상은 절대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은 이후 최저임금제도의 시행 이후 최저임금제도의 운영에도 영향을 미친다.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시작된 ‘임금인상의 정치’를 저지하고 임금인상통제정책을 펼치려던 정부와 재계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최저임금제도는 사실상 방치된다. 최저임금제도를 원했던 노동계는 노동시민권 획득을 위한 투쟁에 주력하느라 최저임금제도에 신경을 쓰지 못했고 노동계를 대표해 최저임금위원회에 참여하던 한국노총은 고립된 채로 정부와 재계의 무관심 및 고의적인 방치 전략에 대해서 대항하지 못했다. 한국노총은 역량 부족을 보완할 전략(최저임금위원회를 벗어나 최저임금의 의제를 사회적으로 부각시키는 전략)을 시행할 의지도 능력도 가지고 있지 못했기 때문에 최저임금제도는 결국 무의미한 제도로 표류한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기간 동안 최저임금정치에는 반전이 일어난다. 민주노총이라는 새로운 행위자가 등장해 새로운 전략과 제도 해석을 들고나와 최저임금정치의 구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것이다. 민주노총은 유연화와 양극화로 대표되는 노동시장의 구조변동에 대응해 최저임금제도가 가지는 잠재력을 간파하고 양극화 극복, 노동조합과 노동계급의 조직력 강화를 꾀하는 연대임금으로서 최저임금을 추구한다. 민주노총은 동일한 제도해석을 추구하는 행위자들과의 광범위한 연합을 구성하여 최저임금 의제를 사회화하는 갈등의 사회화/떠들석한 정치의 전략을 선택하고 최저임금연대라는 이름의 최저임금 확대 연합을 구성하여 최저임금제도의 개편과 최저임금의 인상을 추진한다. 시민사회 공론장과 국회로 확대된 최저임금 의제는 최저임금 확대 연합이 주도하는 최저임금 확대의 정치로 전개되었고 민주노동당이라는 원내 진보정당의 등장은 최저임금제도 개편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 시기 최저임금정치로 인해 최저임금의 사각지대가 극적으로 줄어들고 최저임금 위반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었으며, 최저임금결정을 위한 기준에 소득분배율이 추가되는 등 완벽하지는 않지만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으로 전환되는 기반이 만들어진다. 한편, 최저임금의 축소를 원하는 행위자들은 최저임금 확대 연합의 변화된 전략에 대응하지 못하고 무관심, 무전략으로 일관함으로써 최저임금 확대 연합의 승리를 지켜보고만 있어야 했다. 이명박 정부 시기는 최저임금확대 정치에 선제타격을 맞은 최저임금축소 지향의 행위자들이 반격을 꾀하면서 시작된다. 핵심정책결정권자인 대통령, 국무총리를 연합으로 끌어들인 재계 및 경제단체들은 최저임금제도를 노동시장 규제 정책으로 규정하고 탈규제의 명분으로 최저임금제도의 개편을 시도한다. 최저임금을 축소하려는 이들 연합은 정책결정권자와의 연대를 중심으로 ‘조용한 정치’의 전략으로 최저임금 개편을 시도하였고, 정부의 ‘노동개혁 이슈’에 대해 수세적 위치에 있었던 최저임금 확대 연합을 압도하면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무상급식 이슈가 제기된 2009년 경기도 교육감 선거를 시작으로 연이은 선거에서 복지의제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면서 상황은 반전된다. 거대야당인 민주당이 최저임금제도의 정치적 잠재력에 주목하고 최저임금 확대 연합에 합류하면서 최저임금제도가 다시 사회적·정치적 의제로 급부상하고 최저임금 축소 연합의 ‘조용한 정치’ 전략은 완전히 실패한다. 심지어 위기감을 느낀 여당 내부에서도 최저임금제도의 확대를 주장하는 세력이 주류가 되면서 최저임금축소의 정치는 순식간에 최저임금확대의 정치로 반전되고 최저임금확대에 반대하는 이명박 정부와 대립하면서 최저임금제도는 잠시 정체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명박 정부 이후 최저임금의 의제는 더 이상 조용한 정치에는 적합하지 않은 의제가 된다. 대선 후보시절 최저임금확대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이후 대선에서 약속했던 최저임금제도 개편을 모두 내팽겨쳐 버렸음에도 불구하고 최저임금 확대 연합은 청년, 주변부 노동자들의 조직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행위자들을 받아들여 연합전선을 더욱 확대함으로써 최저임금의 의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청년, 주변부 노동자 조직에서 제시한 최저임금 1만원 의제가 기존 노동계에 의해 받아들여지면서 최저임금 1만원 연합이 탄생하였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최저임금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게 된다.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이 이어지면서 최저임금정치을 둘러싼 국면은 급속도로 변화를 맞이한다. 탄핵 이후 대선은 진보 의제들이 대선을 점령하였고 최저임금 1만원 의제는 여야 모두가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사회적 합의에 도달한다. 대선 후 집권한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성장 의제와 최저임금 1만원 의제를 결합시켜 국정과제로 최저임금 1만원을 추진하였고 최저임금 의제를 핵심 사회 의제로 부상시켰다. 사상 최고 수준의 최저임금 인상이 만든 파급효과로 인해 역설적이게도 최저임금 축소 연합은 언론, 학계, 소상공인 등의 광범위한 행위자들을 포괄한 연합을 만들어진다. 이들 최저임금 축소 연합은 자신들의 최저임금 축소 의제를 사회적으로 부각하는 전략을 선택하여 최저임금 확대 연합과 쟁투를 벌인다.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양측의 쟁투의 결과는 역량의 차이를 통해서 도출되었다. 최저임금 확대 연합은 관료조직과 여당 내의 전향자들로 인해 연합의 동원능력에 균열이 생긴 반면, 최저임금 축소 연합은 동원역량과 담론역량에서 상대방을 앞설 수 있었다. 결국 문재인 정부의 최저임금인상 기조는 2년만에 후퇴하게 되고 오히려 최저임금산입범위 확대라는 최저임금제도의 축소가 이루어진다. 연구를 통해서 밝혀낼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역사적 궤적과 변화의 경로를 분석하여 최저임금제도가 다양한 유형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저임금제도의 형성기에는 저임금 노동자의 보호를 위한 제도로 그 기능이 국한되었으나 IMF 외환위기 이후에는 노동시장의 양극화 극복 및 소득 재분배, 비정규직 및 주변부 노동자 보호를 위한 제도로 전환되었으며, 최근에는 경제성장을 위한 소득증대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되었다. 한국의 최저임금제도는 그간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서 변주되어 왔고 질적으로 구분되는 변화를 겪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심층적으로 서술하고 인과관계들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복잡한 역사적 궤적을 지닌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변화를 추동한 최종 변수는 제도의 변화를 원한 행위자들의 전략적 접근과 실천들이었으며 이러한 전략적 접근과 실천은 행위자들 간의 권력관계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최저임금제도의 변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최저임금제도에 대한 정치적 가시성과 사회적 주목도였다. 최저임금제도가 어떻게 변화해야하는지에 대해서 행위자들이 가지는 이해관계는 항상 존재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없었다. 최저임금의 정치에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기 시작하고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의제가 되었을 때 변화의 계기는 만들어 질 수 있었다. 따라서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제통제권력의 차이와 이를 이용하거나 극복하는 전략적 실천은 결과에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본 연구는 핵심변수인 권력관계를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하고 이에 따른 행위자들의 전략 차이, 성공요인의 차이를 반영한 분석모형을 구성함으로써 더 설명력 있는 분석결과를 내놓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계점 또한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 연구로서 깊이 있는 서술과 분석을 이루어냈으나 다른사례들과의 맥락 비교나 변인 통제 등을 통해서 정치한 인과관계의 도출이나 이론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임금제도의 한·중 비교에 관한 연구

        Liu Limin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임금제도에 대한 내부, 외부공정성 비교를 통하여 중국 임금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중국이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임금제도는 기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정부주도 보다는 기업 스스로가 임금체계를 결정하고 임금액도 노조와의 협상을 통하여 결정하고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은 국가주도로 임금제도와 체계가 결정되며, 특히 임금체계는 각 지방마다 상이하다. 이는 한국 기업이 임금을 결정할 때 동종 업계의 임금제도와 체계를 비교·분석하여 동종 업계와 유사한 임금제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국의 임금제도는 복잡하며 공정성이나 사회적 공평성, 객관성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중국의 임금체계는 각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공정성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보다 간단한 체계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임금제도를 조사한 데이터가 비과학적이고, 아직까지 노동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임금의 조정을 정부나 고용자가 일방적으로 결정하게 되는 임금결정의 비합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임금결정의 비합리성은 근로자의 내부공정성의 미흡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기업의 효율성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한국과 중국의 임금체계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아직까지 연공급 임금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나 향후 연봉제로의 전환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연봉제는 구성원 개인의 능력 및 업적에 임금을 연계시키는 특성이 있다. 공정성의 확보는 기업주가 확보하는 것보다 근로자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평가가 틀려짐은 물론이다. 공정성이 확보된 임금체계는 근로자 개인이 느끼는 임금수준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와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제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indicate the problems of Chinese pay system and directions by comparing the fairness between Korean pay system and that of China, and is an incentive to prepare for China's increasing competition internationally. The aim of Korean pay system is for laborers morale boosting and enterprises' efficiency improvement, and is reasonable and systematic. The Korean pay system is determined by business not the government and the amount of wages is according to the labor union; While Chinese pay system is domi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differentiated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 Korean pay system is decided by comparing different businesses, and the labors in the same trade obtain similar amount of wages, whereas Chinese pay system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the Korean ones. Chinese pay system not only is complicated structurally and regionally, but difficult in guarantying the fairness and lacks scientific investigation statistics. Till today, China still has not set up a well-established and sophisticated labor market. The government and the companies always ignore the laborer's efficiency and equality and their policies on wages are not systematic and reasonable, So the production declines and the enterprises’ effectiveness decreases. Thus, the fairness and social equality and obj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In a word, the yearly salary system is advocated for the Korean businesses and most of Chinese enterprises. The yearly salary system is characteristic by emphasizing the laborers' ability and performance within a year. The system guarantees the laborers' fairness and boosts the laborer's morale and promoting the enterprises' production and competitive powers.

      • 최저임금제도와 소득주도성장론

        한송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 록>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투자와 수출주도(export-led) 정책으로 빠른 경제 성장을 보여 왔다.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와 신자유주의 정책 붕괴는 수출주도 성장도 한계에 봉착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경제 침체 해소 방안을 수요 체제의 내수와 소비 부족에서 찾고 이를 해결할 노동의 몫을 중시한 포스트 칼레키안(Post-Kalekian)의 경제 성장 모형을 기초로 소득주도성장론을 소개하고 정책 수단으로 최저임금제도를 제시하였다.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을 낮은 임금과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소득불평등으로 보고 최저임금제도를 통한 실질 소득 증대로 소비와 총수요를 활성화시키는 경제 성장 이론과 정책 대안이다. 소득주도성장을 위한 최저임금제도의 경제적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저임금제도는 임금 및 교섭력 강화와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노·사간 임금 협상력과 근로, 고용 수준을 높여 실질임금과 소득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최저임금제도의 적용 및 인상으로 노동소득분배율과 임금 및 소득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고 실질 소득 증가로 이어져 내수소비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의 임금 하한 및 지지선 역할과 전체적인 임금수준의 가이드라인(guide line) 역할을 하는 등 임금의 준거점(reference point) 역할을 하므로 윤택한 삶과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일정 소득수준을 향유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저임금제도와 고용안정 및 빈곤감소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과 소득주도성장론 자체가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개방 경제에 성장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시각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최저임금제도와 소득주도성장론의 이론적 연결 고리를 제시하고 부정적 논쟁들을 극복하여 경제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데 기틀을 마련해 보았다.

      • 임금의 개념과 제도상 문제점에 관한 연구 :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을 중심으로

        김상률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issues involving the wages have always resulted in conflicts between the workers and employers since the workers want to be paid more while the employers want to pay less. For the worker, the wages is not only the essential means of living but also the basis for the self-realization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The wage therefor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onditions of the employment,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 with regard to the wage is the essence among Acts related to the labor. In Korea, Labor Standards Act provides the basic concept of wages in its Article 2 (1) - 5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The wages in the Article means wages, in its salaries, and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regardless of how such payments are termed.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wages are again divided into the average wages(Labor Standard Act §2 (1) - 6) and the ordinary wages(Enforcement Decree of the Labor Standard Act §6(1)). The average wages are the basis of computing the retirement pay or the allowance during business suspension which are usually connected to the livelihood, and the ordinary wages are that of calculating allowances for the advance notice of discharge or the extended working hours. One controversial issue is with regard to interpreting Article 2 (1) - 5 which provides wages as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The ambiguity of the provision causes the conflict between workers and employers as well as inconsistencies of the court decisions and the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s. Taken social and legal viewpoints, the court decisions, academic theories, and foreign legislations into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wages or the duty to pay wages should be set up not based on the practical provision of the labor but based on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a worker and an employer including the practical labor provision. That is to say, the concept shall be extended because employers bind workers under their business, which means that the employers shall pay for the established relationship between two in addition to the hours for which employees work for them. Accordingly, the definition of the wages in §2(1) - 5 of Labor Standards Act shall be changed from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his/her work” into “any other money and valuable goods an employer pays to a worker for their relationship.” This enlarged concept will include all money and valuable goods arising from the working relationship other than cost-compensatory pay and pays which cannot be wages in nature. In addition, the ordinary wages which have been provided in the Enforcement Decree shall be provided in the Act. The ordinary wages include the regular pays and irregular on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enacted in the Act for protecting workers if a payment is regular, uniform and fixed. The suggestion for the enactment in the Act is as follows; “(1) The ordinary wages means hourly wages, daily wages, weekly wages, monthly wages, yearly wages, or contract wages which are determined to be paid periodically or fixedly(including fixed conditional pays and periodic bonuses) to a worker for his/her prescribed work or whole work by a year, regardless of how such payments are termed. The preceding does not include money and valuables which shall not be wages in nature and fluctuant wages which are paid in proportion to a worker’s achievement. (2) The specific standard for the computation of the ordinary pursuant to paragraph (1) shall be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It is expected that the employers would bear high labor costs if the regular and fixed pays are included in the ordinary wages. In order to minimize this side-effect, the supplement policies such as not paying for weekly day-off, adjusting the extra charge, or encouraging annual paid vacation are need to set up. The best way to resolve the controversies involving the concept of wages and the revision with regard to the ordinary wages is the overall amendment of Labor Standards Act. It is however thought that the overall amendment is not easy to be accomplished soon because workers and employers’ interest is being opposed sharply. The introduction of the report obligation system of the labor contract and the payroll book is a good alternative for protecting the weak and the vulnerable, and preventing the conflic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until amendment of the Act. In conclusi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wages, the revise of the ordinary wages, and the introduction of supplement policies to deal with related issues will result in the fair and resonable wages for what workers do for the employers, leading the just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value we seek.

      • 임금피크제도 도입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안정성지각과 직위를 중심으로

        박남규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임금피크제도가 고령화 사회에서 기업의 생산적 인적자산 관리의 전략으로 대두됨으로써 점차 도입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 근로자 300명 이상의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2016년부터 만 60세 정년을 도입하여야 하는 바 인건비 절감 및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기의 우수 노동력의 급격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임금피크제도 도입을 급격히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금피크제도 도입에 따른 고용안정성지각과 대상자들의 직위 차이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첫째, 임금피크제도가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지각을 촉진하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임금피크제도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며 둘째, 임금피크제도가 현재 임금피크 직원들과 잠재적 대상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 직위를 조절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설문자료는 K은행의 임금피크 재직자와 중·고령 잠재적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수집하였다. 임금피크제도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조직유효성 선행변수이며 본 논문에서는 결과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고용안정성지각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 가설을 세워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가설검증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끼리 묶어줌으로서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요인들이 동질적 변수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계분석 실시결과 22개의 가설 중에서 15개가 기각되고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피크제도 3개요인(임금수준, 복지, 제도관리)중 임금수준 변수가 직무만족 변수에, 복지변수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고 제도관리 변수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임금피크제도 도입이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지각해서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용안정성지각의 조절효과가 미미하거나 없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본 연구모형의 조절(독립)변수인 고용안정성지각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임금피크 직원과 잠재적대상자를 더미 직위변수로 분류하여 임금피크제도에 대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지 검증결과 직무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와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피크제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중·고령직원들의 고용안정성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 조절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임금피크 직원과 잠재적 대상자의 임금피크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금피크제도가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지각시키기 못하고 직무불만족을 야기하는 인력구조조정의 일환의 인력관리제도로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임금피크제도가 기업과 정부 당사자들에게 상호 유효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갖도록 임금피크제도를 위기 상황의 인력구조조정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소극적 사고에서 벗어나 경험과 역량이 풍부한 중·고령층 인력들의 급격한 이탈로 야기될 수 있는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임금피크 직원들의 축척된 역량을 존중하고 활용하는 다양한 임금피크 인력관리정책 인식함으로써 고령화 시대가 품고 있는 중·고령층 일자리 문제, 청년실업 문제 등 사회적 갈등해소에 유효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임금피크제도에 대한 경영층의 혁신적 인식전환 및 임금피크 근로자들의 조직에 대한 지속적인 충성과 헌신 그리고 후배 직원들의 임금피크제도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바람직한 기업 문화는 늘 이런 이해관계자들의 이해와 협조를 요구 하는 바 동 제도를 잘 조정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노력을 다 하여야 할 것이다.≫ By wage peak is emerging as a strategy for produ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the enterprise in an aging society, a company that is being introduced gradually increased. Workers with more than 300 companies are only mandatory for 2016 as part of a policy to prevent the sudden departure of the bar staff costs and excellent workforce retiring baby boomers groups to be introduced to 60-year-old age limit to be introduced rapidly expanding wage peak is expected. Nevertheless, the wage peak position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job securi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subject is insufficient empirical studies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paper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 wage peak is also a duty to promote employee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job security to help organizations wage peak effectiveness by analyzing how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and second, wage peak was derived research model to analyze how the wage peak employees and job satisfaction and impact analyzes to different positions indicate whether any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tential subjects. Survey data required for this study, the peak of the wages of incumbent employees of a particular bank aging potential targets were subject to random collection Company to introduce a wage peak antecedents a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hould be verified established a hypothesis that should I take advantage of job security in order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in the present study outcome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suitability of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exploratory factor tied to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alyzed among a handful were factors that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at consists of a homogeneous variables. Dismissal of 15 performed in a multi-accounting analysis result 22, and the hypothesis was adopted seven hypotheses for verification. Specifically, information is as follows. Specifically, inform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wage peak 3 Overview of satisfaction (wages, welfare, institutional management) of the wage variable i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is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iables, hypotheses adopted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variables are dismissed was. Second, the wage peak and also the introduction of workers' perceptions of job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predict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ilt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little or no job security been verified. Third, the adjustment of the research model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job security has been verifie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ependent variable Fourth, if the wage peak chair and potentially subjects classified b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ge peak position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the test results had a significant impac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Previous stud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Fig wage peak, despite the introduction of job security perception of older employees who were found to have an adjustable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wage peak parties and potential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is a significa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ge peak also is not to perceive the job security of workers was just guessing that you are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as part of the restructuring «Therefore, even a sharp departure wage peak of the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parties have a mutual validly positive impact away from the accident that also recognizes the wage peak as a tool for workforce restructuring in a crisis situation, experience and capability of the rich to older workers prevent deterioration and productivity, which can b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that respect the wage peak scaled the peak capacity of wages to employees who take advantage of having an aging society, older job by operating problems, youth unemployment and social conflict a look that can deal effectively with strategic. It also continued to wage peak loyalty and devotion to the revolutionary transition and organizational awareness of wage workers in the management of the peak and junior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n wage peak of the staff will also be prioritized. Corporate culture is always desirable to adjust the bar the same system that requires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se stakeholders will be worth the effort to share .»

      • 最低 賃金制度에 관한 硏究

        윤도순 淸州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conomy of Korea achieved rapid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from the early sisties untill the late seventies. It is known that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in Korea is based upon the export-oriect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and low-wage labor force with a high educational level provided the country with a comparative advantage in labor-intensive good exports from the sixties. Statistically speaking, the economic growth performance in Korea is recorded by an average annual rate of approximately 10 percent during the same period in GNP. But in the course economic growth, although economy of Korea has attained rapid growth, it gave rise to problems of low-wage and unbalance of industrial structure, distortion of income distribution, dual structure of labour force or labour market and so on. Among these problems, especially, problems of low-wage is the most important one. Because the Low-Wage not only Wage-earner to hard their living, but also impossible to secure the force of reproductivity of labour. Thus the pace of economic growth will be reduced in some future. As we look into the minimum wage rates through all countries of the worl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Federal Government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on the basic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act make up an independent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same time it deals with an unfair labor practice. Secondly, In England, Committee of wage is constituted of a tripartite meeting among labourer, worker and government, even if it so limited, take charge of a function to lead out self-regulation between capital and labour. The following, in France, the highest committee of a collective agreement under the presidency of the minister of labour as a chairman takes charge of play an important part of an advisory organs and they carry into effect the minimum responsibility rates through an administrative orders about thee Minimum wage up to now. In case of Japan, the minister of labor with the consent of central committee of the minimum wages on the basis of the law off minimum responsibility decides Minimum wages. In the Republic of India, the Minister of labor who is inquired of the central advisory committee carry definitely in to the rate of minimum wages based on the laws of minimum wages. In the philippines, the Minister of labor who is inquired of or advised to committee of responsibillity carry into it through a responsible ordinance on the basis of the Law of Minimum wages. Accordingly, I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Minimum-Wage system will be helpful to protect Wage-earner's living and to achieve continuous economic growth. Therefore, this paper aimed at establishing the desirable model of Minimum-Wage System if it is introduced in our country. To easy analysis, I divided this paper into Six Chapter and this is indicated below ; Chapter I ; Introduction Chapter II ; The general theory on the Minimum-Wage system. Chapter III ; ILO's recommendation and each nation's Minimum-Wage System. Chapter IV ; The reality of Korea's Wage Level. Chapter V ; The Korea's introduction for the sake reproduction conditions and bearing Minimum-Wage System. Chapter VI ; Summary In chapter III, IV among above contents, I reviewwed ILO's activity on the Minimum-Wage and each nation's system and tried to present background and reasonableness to the introduction of Minimum-Wage system in our country. And I described the necessity of system's introduction by reviewing the reality of Korea's Wage level and tried to point out application scope and decision method, decision criteria. In Chapter V, I trie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s Minimum-Wage System on the ground of chapter II, III, IV, and lastly, I described expected-effect and evil reaction when this system practice. Consequently, in chapter VI, I explained synthetically on the economic effect of this system and emphasized on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this system under present Korea's economic situation, and proposed that this system must be practiced as soon as it possibly c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