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구문인식능력 및 읽기이해능력, 작문능력 간의 상관관계

        조민경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읽기 및 쓰기의 최종목표인 읽기이해 및 작문을 위해서는 낱말 수준, 문장 수준, 텍스트 수준에서의 언어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읽기이해 및 작문은 복잡한 인지 및 언어처리과정을 거쳐 텍스트 수준에서 처리되어야 하므로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장 즉, 구문능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령기에는 단순히 구문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보다 상위 수준에서의 구문능력이 발달한다. 초등 3∼4학년 시기는 해독, 철자쓰기가 거의 완성되어 읽기이해 및 작문이 활발히 발달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초등 3∼4학년 시기의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이해능력 및 작문능력의 특성을 알아보고, 상위구문능력인 구문인식능력이 읽기이해 및 작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소재의 초등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6명, 일반 아동 16명으로 총 32명이었으며 이들을 K-CTONI-2, LSSC, KOLRA를 통해 선별하였다. 이후 구문인식 검사, 읽기이해 검사, 작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로 사용된 구문인식 검사에서는 구문유형(단문, 복문)과 복문유형(접속문, 내포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문항은 한국어의 문장구조 특성 및 발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읽기이해능력 및 작문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은 텍스트 수준에서 처리되는 읽기이해 및 작문능력에 어려움을 보였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및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과 구문유형에 따른 구문인식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문유형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복문이 단문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구문유형에 따른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복문이 단문에 비해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구문표현능력에서 복문의 발달이 더 늦었던 특성을 상위구문능력에서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복문에서 수행력에 대한 격차가 더 커져 복문에서 더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과 복문유형에 따른 구문인식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문유형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내포문이 접속문에 비해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이는 구문표현능력에서 내포문의 발달이 늦었던 특성을 상위구문능력에서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문유형에 따른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내포문이 접속문에 비해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집단에 따른 복문유형 내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접속문, 내포문 모두 일반 아동에 비해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일반아동의 구문인식능력과 읽기이해능력, 작문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구문인식능력과 읽기이해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구문인식능력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아동은 단문, 복문, 복문 중 접속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구문인식능력 중 높은 수준을 보였던 유형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복문, 복문 중 내포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이 가장 어려움을 보인 구문유형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문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아 초등 3∼4학년 시기에 문어 양식에서 텍스트를 표현할 때 상위언어능력인 구문인식능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구문유형 및 복문유형에 따른 구문인식능력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구문인식능력이 읽은 것을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등 3∼4학년 시기의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평가 및 중재 목표 설정 시 구문인식능력을 고려한다면 읽기이해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으로 3∼4학년 시기에 구문인식능력은 작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 작문 발달을 고려한 발달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Fo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which are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and writing, it is necessary to have linguistic ability at the word level, sentence level, and text level. As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must be processed at the text level through complex cognitive and language processing,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entence that makes up the text, that is, the syntactic ability. In school age, not on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sentence, but also the syntactic ability at a higher level develop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decoding and spelling are almost completed,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are beginning to develop vigorous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during the 3rd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how syntactic awareness, which is a higher‐level syntactic ability,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2 3rd to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cluding 16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LLD) and 16 normal children(NC)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city. They were selected through K-CTONI-2, LSSC and KOLRA. After that, this study performed the syntactic awareness test,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the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test. In the syntactic awareness test used as an experiment task, this study divided sentences into a sentence type(simple sentence, complex sentence) and a complex sentence type(compound sentence, embedded sentence). And each item wa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LLD showed lowe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than NC. As LLD had difficulties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being processed at the text level, it was confirmed that appropriat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as needed. Second, when comparing syntactic awareness according to group and sentence type, it is found that LLD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C. Based on the sentence type, complex sentence was found to be more difficult than simple sentence. When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ntence, in both groups, as complex sentence was found to be more difficult than simple sent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ter development of complex sentence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appeared in higher-level of syntax ability. In addition, it is seen that LLD, when compared with NC, was found to have a larger performance gap in complex sentence showing that they showed more difficulties in the complex sentence. Third, when comparing syntactic awareness according to groups and complex sentence types, LLD was shown to have lower performance than NC. When exami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lex sentence, embedded sentence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compound sentence, which demonstrates that in terms of sentence expression ability, the feature of late development in embedded sentence is also seen in higher-level of syntactic ability.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lex sentence, in both groups, embedded sentence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compound sentence.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type of complex sentence by group, LLD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compound sentences and embedded sentences compared to NC. Four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awareness,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in both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confirming that syntactic awareness did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NC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imple sentence, complex sentence, and compound sentence, confirming that the type of syntactic awareness showing high level,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LLD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bedded sentence, it is found that the sentence types which LLD showed most difficulties affect the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case of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as both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fore, when the text is expressed in a written form during the 3rd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yntactic awareness, that is, meta-linguistic skill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This study confirmed the syntactic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the LLD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and complex sentence type, and the syntactic awareness was confirmed to b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what is read. Therefore, when setting evaluation and intervention goals for LLD in the 3rd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must consider that the syntactic awareness. It is suggested that the syntactic awareness will be helpful in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yntactic awaren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in the 3rd and 4th grad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developmental studi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written expression-composition need to be conducted in future.

      • 읽기 태도 수준에 따른 읽기 능력의 차이 연구

        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읽기 태도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보다는 후천적인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읽기 태도 교육을 위하여 교사가 먼저 긍정적인 읽기 태도를 갖고, 학생들의 읽기 태도를 고려한 적절한 읽기 교수를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읽기 태도 수준에 따른 읽기 능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 보고자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도 함께 살피고자 한다. 이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의 중학생 남녀 262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4일부터 9월 7일 사이에 걸쳐 읽기 태도 검사와 읽기 능력 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태도와 읽기 능력의 기술 통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들은 절대 평균에 조금 넘는 읽기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읽기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가를 위한 읽기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읽기 태도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게 읽기 태도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읽기 능력의 기술 통계 분석 결과, 비판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가 읽기 능력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읽기 능력은 남학생은 비판적 이해, 여학생은 추론적 이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태도와 읽기 능력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읽기 태도와 읽기 능력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읽기 태도와 읽기 능력 간의 상관 계수는 .240으로 약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로도 읽기 태도와 읽기 능력의 상관 계수를 살펴보았는데, 남학생은 .121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반면에 여학생은 .301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처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태도와 능력 간의 상관이 높았으며, 읽기 태도에 있어서 성별 변인이 중요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원배치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읽기 태도 수준에 다른 읽기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하 집단에서 읽기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성별 읽기 태도 수준에 따른 읽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전에 성별에 따른 읽기 태도의 평균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t검정을 살펴본 결과 읽기 태도가 높은 집단은 여학생 집단이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 읽기 태도 수준에 따른 읽기 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들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여학생들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상·하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읽기 태도가 상인 집단이 중·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읽기 능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여학생들에게서 긍정적인 읽기 태도가 더 보이고 읽기 태도를 현장에서 교육할 때에는 성별을 고려한 읽기 태도를 교육해야 함을 시사한다. Reading attitude is acquired rather than innate. That is why teachers should have positive reading attitude at first and use the proper teaching method of reading considered by students’ reading attitude. This research will confirm the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determined by the level of the reading attitude and also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The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in August 24th. September 7th, 2009 in Cheong ju City, in Korea and the target was 26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 ju. The target students had examinations about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bility. The research analyses prove; first of all, descriptive statistics of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bility were verified. The result analysis presents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reading attitude slightly over the absolute average. The more affecting factor of reading attitude is recreational attitude. In the gender analysis, girls’ reading attitude reports the higher level than boy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reading ability demonstrates that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thinking are similar with reading ability. Boys are stronger in critical thinking and girls are stronger in logical thinking than the students of opposite gend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bility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m is .240, which is the slight positive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bility by gender shows; on the one hand, boys have correlation coefficient .121, which does not imply the strong correlation, one the other hand, girls have correlation coefficient .301, which i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girls report higher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ability than boys, and gender factor is critical in reading attitude. Third, in one-way layout analysis of variance, of reading ability determined by the level of the reading attitude demonstrates th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study level. Especially, the high-scoring students group and the low-scoring students group in reading attitude report distinctive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Fourth it is examined that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determined by the gender level of reading attitude. In order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of reading attitude by gender significantly, I review the T-test; girls group have stronger reading attitude than the opposite group and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statistics. In the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determined by the gender level of reading attitude, boys group does not imply the meaningful correlation. However, girls group reports the correlation in statistics. Especially, between the high-scoring students group and the low-scoring students group in reading attitud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s. That is high-scoring students group in reading attitude shows the higher reading ability than the medium-scoring students group and the low-scoring students group. Ultimately, through these results, it is implied that girls group reports more positive reading attitude, and it is needed to consider gender in reading attitude in the educational field.

      • 협동적 읽기, 쓰기 통합(CIRC)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 분석

        윤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교과 관련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책무성 강화와 수업 장면의 구조화 등과 같은 협동학습의 원리와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 전략들을 학습 장면에 적용한다. 또한 기존의 학습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교과의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언어 교과에서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능동적 언어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 개발된 읽기와 쓰기를 위한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 CIRC, 이하 CIRC로 표기함) 프로그램의 활용과 적용 또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읽기와 쓰기를 적절히 통합한 CIRC라는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분석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은 어떠한가? 1-1.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이해 능력은 어떠한가? 1-2.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요약 능력은 어떠한가? 1-3.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추론 능력은 어떠한가? 2.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은 어떠한가? 2-1.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내용 구성 능력은 어떠한가? 2-2.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조직 능력은 어떠한가? 2-3.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표현 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으로는 초등학교 3학년 1개 반을 사례 연구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례 연구 집단에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관한 사전 검사 후, 총 9주 45차시의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읽기 능력 검사는 이해, 요약, 추론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아동들이 검사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쓰기 능력 검사는 주제를 주어 글쓰기를 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이 어떠한지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 수준 .05에서 사례 연구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를 두 종속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읽기 능력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이해 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요약 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추론 능력이 신장되었다. 쓰기 능력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내용 구성 능력이 신장되었다. 그리고 하위 평가 요소인 주제와 내용의 일치, 풍부한 내용 및 정서 표현 모두에서 신장을 나타냈다. 둘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조직 능력이 신장되었다. 그리고 하위 평가 요소인 문단의 짜임과 문단의 조직 모두에서 신장을 나타냈다. 셋째, 셋째, CIRC 프로그램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글의 표현 능력이 신장되었다. 그러나 하위 평가 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하위 평가 요소인 정확한 어휘 사용은 신장되었으나, 표기법의 경우는 신장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CIR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이 전반적으로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대한 CIRC 프로그램의 정확한 효과를 논의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엄격한 실험 통제를 통한 실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Cooperative instruction was applied for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 instruction and various instruction strategies, as improving responsibility and structuring of instruction. The purposes of cooperative instruction on subject were overcoming the problem of established instruction and making subject instruction more effectively. Especially, it was premised that cooperative instruction in language subject helps to improve a various language abilities. Due to the premis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CIRC program have been remark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with the application of CIRC program.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the participants had changed on their reading abilities with the application of CIRC program, especially understanding, summarizing, and reasoning abilities? 2. How the participants had changed on their writing abilities with the application of CIRC program, especially abilities for construct, organize, and express tex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e 3rd grade students in on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had received 45 classes, for 9 weeks related to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lessons. It was applied pre- and post- t-tests for evaluating an improvement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ading abilities, the participants showed an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summarizing, and reasoning abilities with the application of CIRC program. Second, in terms of writing abilities, the participants showed an improvement in abilities for construct, organize, and express text with the application of CIRC progra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use of CIRC program helped to improve the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However, it was strongly needed to improve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hich could compare an effectiveness of CIRC program wi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읽기 문항에 관한 고찰 : 읽기 능력과 맥락을 중심으로

        박순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언어영역은 국어과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하고 있고 국어과 교육과정과의 상관성도 높다. 2007년에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사고력과 맥락이 주요한 화두로 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변화에 발맞춰 수능 언어영역에서 사고력과 맥락을 반영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 보았다. 수능은 본래 그 출발부터 언어적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었다. 특히 읽기 영역에서의 언어적 사고력은 곧 읽기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수능 언어영역은 이 읽기 능력 중에서 실제로 읽기 수행의 어휘·어법, 사실적 사고, 추론적 사고 정도만 다루었다. 그동안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는 선다형 문항의 한계로 인해 간접 평가되었고, 읽기 과정 전반에 걸친 읽기 전, 읽기 후의 기능들은 한 번도 출제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선다형 문항을 통해서도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읽기 능력 전반에 대한 평가 가능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기능의 경우, 문두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게끔 진술하고 답지는 답지 자체를 비판하거나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두 사고의 대상을 답지에 직접 진술하면 이 기능들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읽기 능력 전반의 경우, 읽기 전 문항들은 각 평가 요소에 맞춰 지문 앞에 배치하거나 단독 문항으로 배치하면 가능할 것이고, 읽기 후의 기능을 다룬 문항은 읽고 난 후에 맥락에 따라 의미를 구성하게끔 문두와 <보기>를 구성하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맥락 부분에서는 그간 언어적 맥락 위주로 문항들이 출제되었다.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지문의 맥락만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맥락의 하위 범주에 따라, 상황 맥락의 ‘주체, 주제, 목적’, 사회·문화적 맥락의 ‘역사적·사회적 상황, 이데올로기, 공동체의 가치·신념’과 관련된 문항을 <보기>에 자료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The language s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s based on curriculum of Korean department and also has high correlation to the curriculum. When there ar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education in 2007, concerns are emerging about thinking ability and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search for the way to reflect the thinking ability and context in CSAT's languag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The very start point of CSAT's language section is for measuring linguistic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in the section can be said to be reading ability, but the section meanwhile has dealt only with vocabulary and grammar in reading, realistic thinking, and inferential thinking in relation to read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have been tested indirectly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ultiple-choice test of CSAT, while the functions of the overall reading process before and after reading have never been tested.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verify the possibility to evaluat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the overall reading ability with multiple-choice questions. I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questioning is composed to attract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responses are composed to criticize the very response or to think creatively by directly describing the objects of the two kinds of thinking. In the overall reading ability, the items before reading are arranged in front of the reading materials or as separate items in accordance with each element of evaluation, and the items to treat the function after reading comprise questioning and <examples> for the testees to compose the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s. When it comes to the context section, the items have been presented for the most part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context. The items require the testees to solve the items with the only contexts of the reading materials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s, or socio-cultural contexts.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presents the items in relation to 'subjects, motif and purpose' of the contexts of situations; and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ideologies, and values and beliefs of the community'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by providing the related materials in <examples>, according to sub-categories of contexts in 2007 curriculum of Korean department.

      •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초기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agram Implementation on Early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김영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발음중심 읽기지도와 음운인식 및 반복읽기를 통합한 한글읽기 훈련을 취학 후 읽기장애 위험아동에게 실시하여 초기 읽기능력(음운인식 능력, 자소-음소 대응 능력, 단어 해독 능력, 읽기 유창 성)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자소-음소 대응 능력을 향상 시키는가? 셋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 해독 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넷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읽기 유창 성을 향상시키는가? 연구 대상은 경북 A면 농촌지역에 있는 2개 초등학교의 1, 2학년에 재학 중인 7명의 읽기장애 위험아동들이며, 연구 설계는 유사 실험 연구 중 단일 군 검사로 사전-중간-사후 검사의 반복측정설계이다. 독립변인은 한글읽기 통합훈련 프로그램이며, 종속변인은 음운인식 능력, 자소-음소 대응 능력, 단어 해독 능력, 읽기 유창 성이다. 한글읽기 통합훈련 프로그램은 중재 1과 중재 2로 구성 되었으며, 총 31회기로 이루어졌다. 19회기로 구성된 중재 1은 소리와 문자의 대응 원리를 강조하는 발음중심 읽기지도와 변별, 합성, 대치, 분절, 탈락의 음운인식 원리 및 동시 자료의 반복읽기를 실시하였으며, 12회기로 구성된 중재 2는 220~230음절의 동화책 텍스트를 중심으로 반복읽기를 실시하여 읽기 유창 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음운변동에 대한 이해를 중재하였다. 종속변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 처리는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사전-중간-사후의 전체 음운인식, 음절인식, 음소인식의 향상은 전체 음운인식 능력이 평균 43.88%, 83.93%, 90.68%로 향상되었으며, 음절인식 능력이 평균 84.13%, 95.63%, 98.41%로 향상되었고, 음소인식 능력이 평균 3.58%, 72.22%, 82.50%로 향상되었다. 또한, 효과 크기는 전체 음운인식 능력이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및 중간-사후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음절인식과 음소인식으로 나누어 효과 크기를 살펴보면, 음절인식이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음소인식이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절인식과 음소인식이 중간-사후 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음절인식은 이미 중간과 사후검사에서 천정효과가 나타났으며, 음소인식 또한 중간과 사후검사에서 비교적 높은 수행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종합하면,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전체 음운인식과 음절 및 음소 인식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자소-음소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사전-중간-사후의 전체 자소-음소 대응 능력은 평균 22.38%, 59.76%, 68.10%로 향상되었다. 이를 초성, 중성, 종성의 대응 능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초성 대응 능력은 평균 29.75%, 59.54%, 73.79%로 향상되었으며, 중성 대응 능력은 평균 23.20%, 69.62%, 66.66%로 나타났고, 종성 대응 능력은 평균 5.91%, 40.50%, 59.50%로 향상되었다. 초성, 중성, 종성 대응 능력은 사전, 중간, 사후 기간에 지속적인 향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중재 1이 적용됨에 따라 자소-음소 대응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중재 1이 적용됨에 따라 자소-음소 대응 능력이 크게 향상된 이유는 7명의 읽기장애 위험아동에 대한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음소 대응 능력이 평균 29.75%, 23.20%, 5.91%인 것을 참조해 볼 때, 자소-음소 대응 능력이 평균 22.38%로 매우 낮은 것이 근본 원인이고, 이런 근본 원인은 중재 1의 문자와 소리의 대응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발음중심 읽기지도가 집중적으로 실시됨으로 인해 매우 낮은 자소-음소 대응 능력을 크게 향상 시킨 근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효과 크기는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전체 자소-음소 대응 능력의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및 중간-사후 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성, 중성, 종성 대응 능력의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및 중간-사후 기간에서 미친 교육적 가치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중성 대응 능력의 중간-사후 기간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중성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모음은 소리의 변화가 없지만, 이중모음은 최종적으로 들리는 소리가 처음 소리와 다르기 때문에(예, ‘ㅘ’는 최종 소리가 ‘ㅏ’로 들린다)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종합적으로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자소-음소 대응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 해독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전체 단어 해독 능력이 사전, 중간, 사후검사에서 평균 31.43%, 74.77%, 79.53%로 향상되었으며, 이를 의미단어 해독 능력과 무의미 단어 해독 능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의미단어 해독 능력은 사전, 중간, 사후 검사에서 평균 36.20%, 73.30%, 80%로 향상되었으며, 무의미 단어 해독 능력은 사전, 중간, 사후검사에서 평균 26.06%, 76.20%, 79.06%로 향상되었다. 의미단어와 무의미 단어 해독 능력은 사전, 중간, 사후에 계속적인 향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중재 1을 적용한 후 큰 향상을 나타냈다. 무의미단어 해독 능력의 향상은 음운정보를 활용하여 글자를 읽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한글읽기 통합훈련의 결과로 읽기장애 위험아동은 글자를 해독 할 때 음운정보를 활용하여 읽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어 해독 능력의 효과 크기는 사전-사후와 사전-중간 및 중간-사후의 모든 기간에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간-사후 기간의 무의미 단어 해독 능력의 교육적 가치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이미 중재 1의 훈련 효과로 중간 검사 점수가 비교적 높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중재 2는 음운변동과 반복읽기를 훈련하는 기간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종합하면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단어 해독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넷째, 한글읽기 통합훈련은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읽기 유창 성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1분 안에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가 평균 33음절인데 반해, 중간, 사후에는 각각 75, 86음절로 향상되었다. 또한 효과 크기는 사전-사후, 사전-중간, 중간-사후의 모든 기간에서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 유창 성 향상에 미친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글읽기 통합훈련이 읽기장애 위험아동의 읽기 유창 성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itial reading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word decoding ability, reading fluenc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by implementation of Hangul reading program integrated pronunciation-oriented reading instruction, phoneme awareness, and reading repetition. Specified study questions are listed as followings. First, does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mprov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Second, does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enhance corresponding ability of grapheme and phoneme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Third, does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upgrade word decoding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Forth, does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elevate reading fluenc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Seven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in 1st and 2nd grade of primary school located at rural area in A myeon, Kyoungbook were selected as research object and its design was repetitive measure of pretest-intermediate test-posttest measures assigning group test among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 was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whereas, dependent variables wer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word decoding ability and reading fluency.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s composed of intervention 1 and 2 with 31 sections. Intervention 1 with 19 sections carried out phonological awareness principle of identification, blending, substitution, segment and omission with repetitive reading of children’s poem as well as pronunciation-oriented instruction emphasizing principle of correspondence of sound and letter, then intervention 2 with 12 sections completed 4 times repetitive reading on 220~230 syllables in fairy tale book improving reading fluency and understanding about phonemic change. Repetitive measure anova and effect size were drawn to find out effect of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tells following results. First,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Awareness of phoneme, syllable and total phonology in pretest-intermediate test-posttest was proved with improvement of 3.57%, 72.22%, and 82.50% on phonemic awareness ability, 84.13%, 95.63%, and 98.41% on syllable awareness ability and 43.88%, 83.93%, and 90.68% on total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In addition, effect size was turned out to be moderate educational value only for change of phonemic awareness ability in intermediate test-posttest step, whereas a high educational value was shown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n phonemic, syllable, and total phonology. This indicates that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s effective on phonemic awareness ability that is a major defect of children at reading disability. Second,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actice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to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Shown some decrease in post test of middle sound, corresponding ability for initial, middle and last sound during terms of pretest, intermediate test and posttest performed a continuous growth, especially application of intervention 1 drew a remarkable improvement on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The root cause that application of intervention 1 made outstanding improvement on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was extremely low scoring of average 6.21%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while those seven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recorded 29.75%, 23.20% and 5.91% in average for the pretest of initial, middle and last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This root cause become proof that a very low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was improved very much by a intensive instruction of pronunciation-oriented reading based on corresponding principle of sound and letter in intervention 1. While middle sound corresponding presented a moderate educational value during intermediate test-posttest, the effect size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expressed a high educational value in the whole sections. This tells that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actice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ing ability to the children with risk of reading disability. Third,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gave good effects on improvement of word decoding of the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Namely, word decoding ability of meaningful words and meaningless ones improved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pretest, intermediate test and posttest with a outstanding jump up after application of intervention 1 especially. Improvement of meaningless words decoding ability indicated that legibility was upgraded by a phonologic processing,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read letters using a phonologic process by the result of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n addition, meaningless words decoding ability presented a moderate educational value between intermediate test-posttest, the effect size of meaningful words decoding ability expressed a high educational value in the whole sections. This shows that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words decoding abilit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Fourth,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reading fluency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Namely, while 33 syllables in average were readable correctly in one minutes during pretest, correct reading was improved up to 75 and 86 syllables in intermediate test and posttest. In addition, the effect size put high educational value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fluency by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during the whole sections of pretest-intermediate test, intermediate test-posttest and pretest-posttest. Effectiveness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fluency to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ability by Hangul reading integration program is proved.

      •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 표현력

        양은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language expression and the reading abilities and ag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80 four-year-old children 80 and five-year-old children selected from five daycare centers located in D-city. Reading ability tests were type A and type C of Reading Test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8). Story comprehension tests was composed of excerpts from Young-Ae Jang’s “Language Ability Test tool” (1988). Language expressions test was the Language Expressions Test made by Young-Ae Jang (1981).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language expressions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and 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groups of reading ability. In other words, children of high reading ability could comprehend stories better than children of low reading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four years old and five years old children. It showed that children of older age could comprehend stories bett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read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expression ability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showing that children in higher reading ability group recorded the higher average mark in language expressions than children of the lower reading ability. Fifth, there was no language expression depending on age.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ge had no effect on what child expressed in language. Sixth, reading ability and age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language expression. It meant that both four and five year old children in group of superior reading ability could express better than children group of inferior reading ability. (초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5개의 어린이집에서 만4세아 80명, 만5세아 80명으로 총 160명이었다. 연구자는 유아에게 일대일 면접을 통해 읽기능력 검사를 실시한 다음 이야기 이해력 검사, 언어 표현력 검사 순으로 개별 검사하였다. 읽기능력 검사는 유아의 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연구원(1988)에서 제작한 읽기검사 가 형, 다 형을 사용하였다. 이야기 이해력 검사는 장영애(1981)의 『언어능력 측정 도구』중 언어 이해력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언어 표현력 검사는 선행연구(이연섭 외, 1980; 전용신, 1971; 한국행동과학 연구소, 1973; 허형 외, 1978)를 기초로 장영애(1981)가 제작한 언어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어느 집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능력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느 읽기능력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상 집단과 읽기능력 하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읽기능력이 높은 유아가 읽기능력이 낮은 유아보다 이야기를 잘 이해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은 아이가 이야기를 더 잘 이해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읽기능력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이야기 이해력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읽기능력에 따라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중 집단의 유아가 읽기능력이 가장 높은 상 집단의 유아보다 언어표현력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능력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에 따라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유아가 언어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읽기능력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언어 표현력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읽기능력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읽기능력이 높은 집단 4, 5세 유아 모두 언어 표현을 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른 이야기 구성 능력에 관한 연구

        권신숙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른 글자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구성능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라 유아의 자유로운 이야기 구성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라 유아의 자극되어진 이야기 구성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라 유아의 다른 제목 정하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안양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중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 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인 A유치원, Y유치원의 만5세 유아 각각 50명씩 총 100명을 임의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유아에게 익숙하지 않은 그림책 한 권을 선정하여 1:1 면접을 통해 읽기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읽기 능력 검사의 결과에 따라 1단계 유아, 2단계 유아, 3단계 유아로 분류한 후 1단계 유아의 인원을 확인하였다. 읽기 능력 1단계에 해당하는 유아를 살펴본 결과 20명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읽기 능력 2, 3단계에 분포되어 있는 유아 각 20명씩을 남녀구성비가 동일하게 무선표집하여 최종 연구대상인 60명을 결정하였다. 이야기 구성 능력 검사는 글자없는 그립책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이야기 구성 능력, 자극되어진 이야기 구성 능력, 제목 정하기 능력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읽기 능력에 따라 이야기 구성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어느 집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유로운 이야기 구성 능력은 초기탐색, 그림에 대한 언급, 정교화하기와 개인적 참여, 메타언어, 주제 및 교훈에서 읽기 능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수정전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제목·작가 언급하기, 사물·인물 수세기, 의견 제시하기, 관계짓기, 예측하기, 이야기의 느낌 표현하기, 투사하기, 동일시하기, 구연·억양 사용하기, 기존 경험·지식 사용하기, 이야기 결론 말하기, 이야기 교훈 말하기에서 읽기 능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자극되어진 이야기 구성 능럭은 초기탐색, 그림에 대한 언급, 정교화하기와 개인적 참여, 메타언어, 수정전략, 주제 및 교훈의 전 범주에서 읽기 능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제목·작가 언급하기, 주제·장르 언급하기, 동기 밝히기, 관계짓기, 투사하기, 구연·억양 사용하기, 대화체 구성하기, 이야기구조 명효화하기, 기존 경험·지식 사용하기, 이야기 요약하기, 이야기 교훈 말하기에서 읽기 능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라 제목 정하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from a wordless picture book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pontaneous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prompted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titl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0 five-year-olds, 30 boys and 30 girls, from two different kindergartens in Anyang. Children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first, second, and third level) according to their picture book reading abilities. The number of children in each level is 20.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re checked by using Lee & Lee(1985)'s developmental levels of picture book reading. To measure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from a wordless picture book are checked by using van Kraayenoord & Paris(1996)'s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Young children's reading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are measured by one to one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Young children's spontaneous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were in initial examination, comments about pictures, elaboration and personal involvement, metalinguistics and theme and moral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vision strategies. 2. Young children's prompted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total categories - initial examination, comments about pictures, elaboration and personal involvement, metalinguistics, revision strategies and theme and moral -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3. Young children's titling abiliti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reading abilities.

      •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읽기관련 변인연구

        박은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형태소인식능력, 시지각능력, 어휘력, 음운처리능력이 읽기능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하고 읽기능력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남자: 8명, 여자: 10명), 2학년(남자: 9명, 여자: 8명)중 학령기 아동 언어검사에서 -1SD이상에 속하는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읽기, 형태소인식, 시지각, 어휘, 음운처리 검사차를 실시하였다. 1, 2학년 간 읽기능력, 형태소인식능력, 시지각능력, 어휘력, 음운처리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읽기능력을 예측해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읽기능력, 형태소인식능력, 어휘력, 음운처리능력 모두 2학년이 1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시지각능력에서는 시각기억 과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읽기능력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은 음운처리능력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빠른이름대기, 음운인식, 음운기억 순으로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소인식능력, 시지각능력, 어휘력은 읽기능력을 예측해 줄 수 있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determining what the connection i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ual ability, vocabular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and defining what variables can facilitate prediction on the reading abilitie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first grade students (Male: 8, Female: 10)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Male: 9, Female: 10) in Jeollanam-do were targeted for this study, and of them, those over -1SD in Language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LSSD) were selected. The students were test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vocabulary,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 T-test of independent sample was implemen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grade students for the abilities in reading, morph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search for the variables to predict the reading abilities. First, it proved that the second grade students had higher competence in reading, morph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han the first grade ones. Only a visual memory test for visual perception abilitie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it appeared that in a sequence of rapid automatized nam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memory, they influenced the reading ability, but the variables, which are morph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and vocabulary,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 영어 학습자의 초기읽기능력 진단을 위한 한국형 DIBELS-Next 벤치마크 개발

        남예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읽기는 시각적 기호를 음성화하여 궁극적으로 그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으로, 성공적 읽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초기 읽기 단계에서 해독 능력과 유창성, 기본적 이해력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초기 읽기능력의 교육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평가 시스템은 읽기 행위의 결과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적기에 파악되지 못한 초기 읽기능력의 결손은 효과적인 독해를 방해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 의미 구성을 어렵게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 읽기 단계에서의 해독 능력과 유창성, 기본적 이해력 등 읽기 능력을 요인별로 분석, 객관화하여 적절한 발달 수준을 준거로서 제시할 수 있는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영어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진단하기 위해 김정렬과 류현정(2014)이 개발한 K-DIBELS 벤치마크 평가의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의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준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K-DIBELS 평가는 아동의 초기 영어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의 오레곤 대학교 교수학습센터(Center on Teaching & Learning)에서 개발한 DIBELS를 바탕으로, 국내 학습자를 대상으로 평가 문항을 재구성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평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K-DIBELS 평가를 활용하여 초기 읽기능력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추후 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내 초등 3~6학년 학습자에 적용할 수 있는 벤치마크(목표 점수, 위험차단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파일럿 실험을 통하여 초등 3~6학년 학습자 대상의 준거평가를 완성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준거평가는 벤치마크 개발의 본 실험집단이 되는 국내 3개 지역 초등 3~6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는 평가로,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초기 문해 능력의 수준을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국내 3개 지역 초등 3~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K-DIBELS 평가를 실시하였다. 셋째, 준거평가와 K-DIBELS 평가 결과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K-DIBELS의 각 영역과 준거평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벤치마크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준거평가와 K-DIBELS 간 산점도 분석을 통하여 목표 점수와 위험차단점을 설정하였다. K-DIBELS 벤치마크의 목표 점수(benchmark)는 준거평가의 평균점 +1 표준편차 지점에 대응하는 점수로 설정하였으며, 위험차단점(cut point for risk)은 준거평가의 평균점 –1 표준편차 지점에 대응하는 점수로 설정하였다. 개발의 결과는 학년별로 구분함과 동시에 K-DIBELS 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K-DIBELS 벤치마크는 학습자의 초기 읽기능력을 진단하는 진단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할 때에는 K-DIBELS 각 영역 발달 속도의 편차를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모든 영역을 적용하고 해석할 것을 권장한다. 한편, 본 연구는 국내 영어 학습자의 초기 읽기능력을 객관화하고, 학습자가 어느 정도의 발달 수준에 있으며, 어떠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 교사가 판단할 수 있는 실용적 기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기 영어읽기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 및 교육 수요자 간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초기 읽기능력의 발달 정도를 검사하는 도구로 확립,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능력연구 : 소리내어 읽기과제를 이용한 오류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장은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읽기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오류는 주어진 글을 읽어나가는 과정에서 언어적인 단서를 잘못 받아들인 현상으로서 '읽기과정을 들여다보게 해주는 창문'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오류는 독자가 의미를 이해하고 추구하는 과정의 반영인 것이다. 따라서 읽기오류를 분석함으로써 그 아동이 언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이고, 또 모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이것을 통해 각자의 이해의 수준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글을 읽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읽기장애 학습자들의 읽기지도와 평가를 위해서는 초기 읽기습득단계에 있는 아동이 소리내어 읽기(oral reading)과제<부록3-a>에서 나타낸 오류를 분석하여 각 오류유형들의 특징과 그 발달단계를 규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읽기표준화 검사는 개인 내에서의 읽기능력상의 강점과 약점 및 읽기오류분석에 관한 정보제공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읽기오류분석연구들은 읽기과제에서 나타나 오류의 질적 또는 양적인 분석만을 다루어 왔었고, 읽기의 중요한 요소인 이해와의 관계를 간과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소리내어 읽기(oral reading)과제에서의 읽기오류유형을 분석하고 두 집단(하위읽기능력집단과 상위읽기능력집단)간의 차이는 물론 더 나아가 각 오류유형과 이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아동 171명을 대상으로 단어재인능력과 해당학년수준의 이해능력을 기준으로 하위읽기능력아동과 상위읽기능력아동을 선별한 후에, 선별된 두 집단에게 소리내어 읽기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산출한 오류유형을 대치(무의미단어로의 대치와 의미단어로의 대치)와 생략, 삽입, 그리고 수정으로 나누어 빈도분석 하였고, 아동이 소리내어 읽은 과제에 대한 이해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읽기이해검사Ⅱ<부록3-b>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나타낸 오류 유형의 빈도수와 읽기이해검사Ⅱ에서 나타낸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모든 읽기자료는 전사하여 각 오류유형별로 채점되어 산출빈도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오류유형들에 대해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이 산출한 오류유형과 이해검사Ⅱ에서 나타난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r 상관계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읽기능력아동은 상위읽기능력아동에 비해 총 오류에 대한 빈도수는 물론, 수정을 제외한 각각의 오류유형(무의미단어대치, 의미단어대치, 생략, 삽입오류)별로 나타낸 "절대적인" 빈도수에 있어서도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나타냈다. 둘째, 다른 오류유형별 평균 산출빈도수에서는, 총 오류수를 비교한 결과와 유사하게, 수정오류를 제외한 나머지 무의미대치오류, 의미대치오류, 생략오류, 삽입오류 빈도수에 있어서 하위읽기능력집단이 상위읽기능력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리내어 읽기검사에서 두 집단이 산출한 서로 다른 오류유형 산출빈도수과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의미단어대치오류, 의미단어대치오류, 생략오류, 그리고 삽입오류가 이해점수와 부적상관(negative corelation)이 있는 오류유형으로 나타났고, 수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무의미단어나 의미단어로 대치하는 빈도가 높아질수록 또 생략하거나 삽입하는 오류의 빈도수가 높아질수록 읽기이해검사II에서의 정답 수가 낮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생략이나 삽입오류보다는 무의미단어나 의미단어로의 대치오류가 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므로 이들 오류가 이해점수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과정에 있어서 하위읽기능력아동은 상위읽기능력아동에 비해 자소단서를 보다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무의미단어 또는 의미단어로 대치하거나, 목표어휘를 생략 또는 삽입하여 다른 어휘로 산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나아가 이런 오류들이 이해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결과를 통해, 결국 수정을 제외한 무의미단어대치, 의미단어대치, 생략, 그리고 삽입오류는 읽기과제를 수행할 때 상위읽기능력집단에서 뿐만 아니라 하위읽기능력집단에게 있어서도 이해의 과정을 더욱 더 방해하는 요소임을 알수 있었다. 반대로 하위읽기능력집단과 하위읽기능력집단아동들은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해점수와도 유의미한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 결과는 초기읽기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이 나타낸 오류유형을 통해 그들의 읽기능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나아가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의 읽기지도방법의 선택에 있어서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miscue patterns between poor readers and good readers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miscue patterns and comprehension test scor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are ask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total number of miscue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2) Do they differ in the performances on the number of miscue which are differently produced each other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3) Are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ch miscue patterns and comprehension test scor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171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tested o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op 15 and bottom 15 based on test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good and poor readers, respectively. Subsequent tasks were administered to each group. To measure oral reading miscue types, participants orally read the tasks and the data were transcripted after reading. subsequently comprehension testII which were about what the participants read were taken.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total number of oral reading miscu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number of oral reading miscue depending on each type of different error. In particular, among the error types, 'non-word substitution', 'word substitution', 'deletion', and 'inser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on the 'self-correction' error type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rd,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ch miscue pattern('non-word substitution', 'word substitution', 'deletion', and 'insertion') and comprehension testII score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self-correction' error type and comprehension testII scores. This study may be challenged on account of using non-standardized procedure and tasks to evaluate the nature of oral reading miscue analysis. However, it has contributed to stepping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liable and standardized procedure by reexamining the specific properties of poor readers at earlier developmental stage. Given that any reliable and valid procedures are currently unavailable, development of better test procedures are urgently needed. And, longitudinal studies following the long-term courses of reading ability are needed to detect any reading deficiency at any earlier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