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일제말기(1937년~1945년) 친일문학과 해방기 회고의 전략적 성격을 문인들의 ‘자기규정’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친일문인들은 대중적 지도자나 사상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국일본과 조선 사이의 ‘번역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일제의 외부적 압력과 문인의 내부적 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해방은 이들을 순식간에 민족의 죄인이자 평범한 인민의 한 사람으로 끌어내렸다. 해방공간에서 친일문인들은 일제말기 제국일본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조선(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이상으로,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자기변호의 텍스트를 생산해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친일문인들의 해방기 ‘회고’는 문인의 내적 욕망과 외부적 압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점, 시대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사회적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일제말기의 ‘친일문학’과 매우 닮아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제국주의와 주체의 관계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자장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기 위해 일제말기 친일문학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보다는 문인 개개인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그들의 식민지적 주체형성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친일문학이 그저 외압에 의한 몰개성한 선전문학이 아님을 규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식민지적 주체성을 형성하면서 일제하에서나 해방공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세 명의 문인을 통해 친일문학이 일제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문인 각자의 맥락에서 내면화한 결과물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취하는 서술전략과 서술방식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친일의 범위와 의미를 일제강점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를 해방 후 회고와 연결시킴으로써 친일의 시작과 완결을 철저히 작가 본인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서론에서는 친일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갖고 있던 견고한 민족주의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돌파하려는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최근 친일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식민지적 주체’의 문제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친일문학(연구)의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경직된 태도와 시각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친일문학 연구의 난점과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제말기 조선문단의 상황과 문인협회의 존재의의를 바탕으로, 세 문인의 ‘친일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을 그들의 비평(적)텍스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의 문인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아시아’ 개념 속에서 근대와 동양을 초극하고 서구에 대항할 가능성을 찾았다. 문인협회는 문인들의 친일행위를 집단화・조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국민문학론’을 수용하는 등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모색했지만 문학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식민지적 주체의 사상적 균열과 분열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위한 근간인 ‘민족주의’가 친일로 흐르게 되는 양상은 일견 아이러니로 보이지만, 이광수를 통해 보면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결코 상반된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의 민족주의는 ‘자강론’, ‘실력양성론’ 등과 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화주의(assimilation)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김동인의 친일논리는 그의 민족의식의 부재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일본이 내세우는 식민지배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내면화하거나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김동인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조선문단의 대표적 친일문인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일제하에서 문인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일찍이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였던 김동인은 문학이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는 자가당착적 결론에 다다른다. 그래서 일제말기 김동인에게는 주체성이 결여된 식민지 지식인의 수동적인 모습과 식민지배 체제 내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하는 피식민자의 욕망이 동시에 발견된다. 반면 무력한 니힐리스트이자 체제순응자인 채만식의 사회주의는 ‘전체주의’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일제하 신체제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채만식의 친일논리는 이광수에 대한 모방으로, 친일소설의 구상은 히노 아시헤이의 영향 하에서 그 기반을 마련하지만, 이광수와 달리 채만식은 조선(인)을 초극하여 사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조선문학, 그리고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모두 미달된 존재로 규정했던 채만식은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시대에 순응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길을 정한다. Ⅲ장에서는 일제말기 문인에게 내면화된 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인 소설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해방 후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친일소설텍스트들을 새롭게 의미화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 문인의 ‘개성’은 문학작품의 제재(題材)와 장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광수의 친일소설은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제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조선인에게는 충(忠)을, 일본인에게는 성(誠)의 정신을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계몽의 이중적 의도를 보인다. 완전한 내선일체의 완성은 한쪽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광수 특유의 도식적인 인물구도는 ‘내지인-조선인’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어 ‘정신적 내선일체’를 완성하고, 원술을 동원한 군인정신의 강조는 징병제 실시를 통한 ‘실질적 내선일체’의 기획을 뒷받침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미완으로 남은 일군의 소설들에서 이광수는 내선일체론과 국민문학론의 허상을 스스로 폭로하고, 불완전한 내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김동인의 친일소설은 모두 백제, 일본,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김동인의 친일역사소설은 텍스트 자체만으로 볼 때에는 친일적 요소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컨텍스트와 함께 읽으면 그 안에 숨겨진 식민사관과 텍스트의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도의 전략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그는 서구를 통해 동양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일본중심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아편전쟁을 제재로 삼은 두 편의 역사소설에서 김동인은 중국의 치욕적인 역사를 통해 反서구의 정서를 정당화하고, 친중적인 서술태도로 제국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일본정신을 반영한 예술가소설에서는 국책문학 창작에 대한 일본인 문사의 고민을 담았지만, 그 함의는 조선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고민으로 읽는 것이 옳다. 일제의 고대사복원 계획과 발맞춘 친일역사소설에서는 일본역사관을 바탕으로 백제와 일본의 역사적 친연성을 강조하고, 과거 백제가 일본의 도움으로 당군을 물리친 것처럼 조선이 일본을 도와 중국에 대항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채만식의 친일소설은 르포문학의 형태를 띤 전쟁소설과 후방의 역할을 강조하는 총후문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전쟁에 참여하는 용맹한 일본군, 후방에서 이를 적극 지원하는 이상적 ‘총후부인’과 ‘군국의 어머니’를 통해 채만식의 소설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선전한다. 일제말기 채만식의 소설 가운데 장편 『아름다운 새벽』은 해방 후 단행본으로 엮이는 과정에서 친일적 요소가 의도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석상의 혼란을 야기했다. 본고에서는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채만식 친일논리와 해방기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화 하였다. Ⅳ장에서는 해방공간에서 쓰인 세 문인의 회고를 대상으로 친일문인들의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적 측면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특히 복잡한 수사와 정치적 맥락 사이에 숨겨진 텍스트의 ‘진의’를 찾고자 했다. 이광수는 인생의 모든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자서전’이 아님에도 친일협력의 기간을 ‘일제말기’에 한정하고, 그 의미를 희석시키기 위해 자서전 형식의 회고를 썼다. 자의적으로 서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를 ‘민족주의를 내세워 자발적으로 친일한 민족적 지도자’로, 자신을 ‘일생 조선문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순수하고 무력한 소설가’로 규정함으로써 친일의 그림자를 이광수에게 덧씌우고 자신은 그 비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특히 그는 자신의 문학적 공로를 과장되게 제시하고, 일제하와 미군정의 ‘지배/점령’을 동일하게 의미화 함으로써 자신을 철저한 피해자에 위치시킨다. 채만식은 스스로를 민족의 ‘죄인’으로 규정하지만, 그의 회고에는 죄의식과 억울함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의 회고에서는 반복적으로 죄에 대한 인정과 동기에 대한 부정이 중첩되어 서술된다. 자신의 친일을 인정하면서도, 본심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 하는 채만식의 회고는 본심과 양심 사이의 팽팽한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해방기 채만식의 인식은 ‘조선인 대부분이 민족의 죄인’이라는 것이다. 자기풍자와 자기폭로를 통해 죄의식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런 면에서 채만식의 회고는 친일에 대한 반성적 텍스트가 아닌 자기변호의 텍스트임이 분명해진다. 문인들의 친일의 동기와 경로, 해방 후 보여준 자기비판과 반성까지 검토한 후 드러나는 것은 식민지적 주체의 모순과 분열의 복잡한 양상이다. 친일문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텍스트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문학’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보는 관점이자, 그 자신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친일문학은 국책을 위한 전략적 글쓰기인 동시에 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다. 친일문인은 식민주의 내부의 구조적인 불균등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정작 자신들의 존재가 이 체제를 상징한다는 것, 나아가 체제를 더 공고히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논문은 세 문인의 일제말기와 해방기의 텍스트를 통해 식민지적 주체의 형성과 분열, 일제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환상과 모순, 친일문학에 내재된 피식민자의 욕망과 주체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 후에도 여전히 세계의 비주체적 존재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그들에게서 ‘식민지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일제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인물 연구

        이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논문은 일제말기(1940~1945) 조선영화에 나타난 인물 분석을 통해 제국 일본이 조선을 식민화하는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은폐시킨 그들의 이중적이며 모순적인 지배 논리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이들 영화를 수용하는 조선인 관객의 의식 체계까지 함께 고찰하였다. 일제말기 조선영화는 제국 일본의 유용한 식민 도구로 이용되었다. 일본의 국책사업의 도구로 전락한 영화는 대부분 프로파간다 영화였으며, 이들 영화의 핵심적인 역할은 조선 민중을 교육시키는 데 있었다. 특히 이들 영화는 일제의 프로파간다 전달에 있어 영화 속 인물을 적극 이용했다. 본고는 영화 텍스트의 내․외적 부분의 동시 고찰을 통해, ‘조선을 배경으로 하고, 조선인 관객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본 연구에서 다뤄질 모든 영화’를 조선영화로 범위 규정한 뒤, 영화에 나타난 남녀 인물을 텍스트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어 이들 인물들이 사회의 장과 만났을 때에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이들 인물을 바라보는 조선인 관객(대중)의 욕망에 관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인물들은 남성과 여성,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 구세대와 신세대, 교육자와 피교육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결국 이들은 영화 후반부에 가서 공적․국가적 공간에서 모두 조우한다. 조우 과정에서 제국 일본의 폭력적 식민 전략은 미화되고 정당화된다. 영화의 관람 주체인 조선인 관객은 제국 일본이라는 식민자의 성역에 진입하고자 하는 신분 상승 욕망으로 인해 제국 일본이 영화에 투사한 프로파간다를 단순히 저항으로써만이 아니라 저항과 순응이 혼재된 착종의 형태로 수용한다. 은폐되고 불편한 일본의 식민 지배 논리와 이를 수용하는 조선인 관객(대중)의 이중적 혹은 착종적인 의식 체계를 밝혀내는 작업을 통해 복잡하고 단일한 키워드로 정의 내리기 힘든 일제말기라는 공간은 기존의 논의와는 또 다른 개념으로 재정의 혹은 재정립될 것이다.

      • 일제말기 정춘수의 행적에 관한 연구

        신현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논문은 1919년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요, 남감리회 한국인 목회자로 당시 주목할 만한 지도급 인사였던 정춘수의 삶 가운데 일제말기 행적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다. 앞부분은 논문의 배경이 되는 일제말기(1937-1945)에 관한 고찰이다. 중일전쟁으로 긴장감이 고조된 동북아시아 정세에 따라 일본은 전시체제로 돌입했다. 식민 지배아래 있던 한국 민족을 끌어들이기에 위해 고도로 이데올로기화된 일제의 종교정책은 신사참배의 강화, 내선일체(內鮮一體)와 조선 백성의 황국신민화를 도모하였고, 조선총독부 당국은 이를 국민정신 총동원·국민총력 조선연맹이라는 체계로 구체화 시켰다. 여기에는 당시 이 땅의 각계 지도층 인사들이 동원되었다. 일부의 저항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이들은 일제의 강압과 회유로 전향하였거나 묵묵히 순응했다. 동시대에 한국교회와 지도자들은 어떤 모습이었는가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선교사들과 일제의 갈등과 그 결과를 조명하였고, 한국인 목회자들의 네 가지 존재양태 곧, 적극 순응·소극 순응·소극 저항·적극 저항으로 구분하였다. 이 후, 교파를 초월해 나타난 순응의 흐름도 이전 연구를 참조하여 개괄하였다. 여기서 적극 순응의 자세를 취했던 한국교회 지도자로서 일제말기 정춘수의 행적은 연구할 가치가 있다. 그는 1874년 충북 청주의 양반가문에서 태어나 유교식 교육아래 자라났던 인물이다. 여기서는 감리교 감독으로 선출된 1939년 이후 그의 생애에 집중한다. 그러나 그의 삶 전체의 모습이 앞서 말한 일제말기 그의 행적을 밝히는 단서가 된다고 판단하여, 정춘수의 생애 전반과 그 사상의 일부인 집필흔적을 고찰하였다. 정춘수의 생애 전체에서 네 번의 큰 전환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고향을 떠나 원산에서의 회심체험(1903)이다. 이 시기는 전통 유교 가치관 속에서 자랐던 그가 기독교 복음을 수용하는 계기였다. 고국을 떠나려했던 그가 회심하여 남감리회의 매서인·전도자로 헌신하기에 이르렀다. 두 번째 전환점은 3·1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의 한사람으로 연루되어 체포당한 것이다. 그는 민족 자결의 정신에 경도되어 독립의 필요성을 느껴 신석구, 오화영, 박희도 외 여러 기독교 인사들과 여기에 참여하였다. 셋째, 흥업구락부 사건과 감독 선출을 전후한 그의 전향과 부일 협력이다. 여기에 관한 자세한 내용과 배경 설명을 통해 그의 행적을 고찰했다. 넷째, 해방이후 반민특위에 피검, 기소유예로 풀려난 뒤 천주교로의 개종이다. 정춘수로 하여금 역사 속에 이러한 실제 삶으로 표출시킨 원인으로서 그의 사상을 연구하였다. 그의 설교에서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 이해와 더불어 그의 성서이해도 살펴보았다. 성서를 선택·차용 했던 그의 성서본문 도구화와 반유대주의 정서를 중심으로 서술했다. 한편, 현실 상황의 급변에 순응으로 대처하는 그의 현실주의와 그의 강연 활동에서 드러나는 실력양성주의, 마지막으로 교회의 정치·사회 현실참여의 근거였던 그의 외침을 『조선감리회보』에 게제 된 감독의 편지에서 찾았다. 그의 생애와 사상을 자세히 고찰하며, ‘권력에의 의지’에서 비롯되는 순응과 적극 협조로의 전향과 그의 친일 행적을 알 수 있었다. 중요한 점은 그가 전향하기 이전 특히 3·1독립선언 사건을 전후하여 벌였던 민족지사로서의 활동과 전향 이후 부일 협력과 목회자요, 기독교조선감리회의 감독으로서 교회에 끼쳤던 영향은 그 자체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가 불의한 현실 앞에 변절과 현실 타협·적극 순응의 자세를 취했다는 것 역시 교회사와 민족사의 시각에서 좋지 못한 평가를 하는 것도 진실규명의 자세로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져야함은 물론이다. 과거사에 대한 규명과 역사의 평가는 어디까지나 진실을 밝히고 새 시대의 화해를 이루어 내는 것에 있다. 그 ‘드러냄’의 날카로운 빛은 누군가를 공격하는 칼날의 빛이 아니라 현실에서 우리의 삶을 비추는 거울 앞의 빛이어야 함이 마땅하다.

      • 일제 말기 이효석 소설 연구

        조성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이효석이 일제 말기에 발표한 일본어로 쓴 작품을 중심으로 엿볼 수 있는 문학적 경향과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일제 말기라는 제한적인 창작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특수한 국내 정치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 이전 시기와 같이 자유로운 문학활동은 보장되지 않았다. 일제 말기에 접어든 후 이효석에게 발견되는 변화는 일제의 국책 이데올로기로 말미암아 작품에서 보여준 문학적 경향의 변화이다. 조선어로 창작하면서 동시에 일본어로도 창작한 이중어 소설 작품의 경향을 본고에서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일제의 내지인과 조선인의 대표적인 동화 정책인 ‘내선일체’ 정책 노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고, 두 번째는 ‘조선적인 것’에 대해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을 엿볼 수 있었던 작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세 번째는 당시 일제 정책과 관련한 ‘국민문학’과 관련된 이효석의 작품과 소설관을 언급하였다. 이효석의 전체적인 삶을 조망하였을 때 그의 문학 세계는 여러 가지 성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제 말기 그의 문학적 경향을 비추어 보았을 때 ‘탈이데올로기’적 성향이 다분했다는 것과 제한적인 소재와 주제로 창작할 수밖에 없었던 시기에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심미적 취향은 일제 말기에 ‘조선적인 것’ 또는 ‘향토적인 것’과 맞물려 일제가 의도하고자 하였던 지배 담론을 역으로 뒤집어 놓는 효과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이효석의 ‘국민문학론’을 생각해 본다면 세계적 차원에서의 지방 문학으로서 조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literary tendency and aspects in Lee Hyo-seok’s works which were written in Japanese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writers under the special internal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uld not help writing with limited literary creation. Therefore It was clear that Lee Hyo-seok was not guaranteed the freedom of literary activities as of old. The literary changes discovered in Lee Hyo-seok since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as due to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polic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his bilingual novels written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as follows. First, the dissertation examined his works which included the policy of 'Japan and Korea are one', typical assimilation policy between Japanese people dwelling in Joseon and the people of Joseon. Second, the dissertation inspected closely Lee Hyo-seok's aesthetic tastes about the identity of Joseon, Third, the dissertation contained Lee Hyo-seok's viewpoint of novels in light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connected to Japanese imperialism. Surveying Lee Hyo-seok's whole life, his literary world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He tried to escape from ideology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distinct leaning toward aestheticism was shown greatly in his works with limited materials and subjects of that time. He mixed things Joseon with ‘local color’ using his aesthetic tast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overturned dominating discourse and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And also the Lee Hyo-seo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can be discussed as local literature as a world level.

      • 일제말기 배경 소설의 지식인상 연구 : 김사량의 「천마(天馬)」와 다나카 히데미츠의 「취한 배(醉いどれ船)」를 중심으로

        공주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intellectuals’ conduct of life who lived in the late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and then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outlook of the two writers for the intellectuals, by way of Kim, Sa Ryang’s Cheonma(The Horse of Heaven) and Tanaka Hidemitsu’s Chwihanbae(The Drunken Boat). The characters shaped in the two novels were all intellectuals.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y took a special or extraordinary position in that they had a more essential interest in the issues of the time and the society they lived in and that they showed a sensitive response for the moral issues and for the recognition system of the time and the society. Especially, by way of the two novels in which the aspects of a subjugated Chosun intellectual and a ruling Japanese intellectual were shaped, the difference in the viewpoint of Kim, Sa Ryang and Tanaka Hidemitsu, so-called intellectuals at that time, can be found out. Kim, Sa Ryang, one of Chosun intellectuals who lived in the late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thought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ugated Chosun people and the ruling Japanese people could not be dissolved. He created the protagonist, Hyun Ryong thrashing around in the delusion, Naesunilche(Unity of Japan and Chosun) in Cheonma. He tried to show his desire to be one of Japanese people and the course of his frustration, and finally disclosed its contradiction. On the other hand, Tanaka Hidemitsu, one of the Japanese people who resided in Chosun in the late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carried on his pro-government writing activities. He who was in line with national policy wrote Chwihanbae in 1948 after Japan lost World War Ⅱ. He covered up his past pro-government activities and pleaded congenital weakness and drunkeness as excuses for the activities by way of his alter ego, Sakamoto kokichi. The two novels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ame period, the late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in the background, shaping the aspects of intellectuals who lived that day, and appearance of the character representing the writer. However, the outlook of each writer is not same. Kim, Sa Ryang disclosed critically the desire and the frustration of Chosun intellectuals represented as Hyun Ryong by way of the othernizational work of Japanese intellectuals who were around him and the bizarre modernistic forms rooted in Chosun. However, Tanaka Hidemitsu did not understand the agonies of Chosun intellectuals to the end and shaped them as grotesque figures. And even he merely recognized the Chosun female intellectuals as an object of eroticism. 본 논문의 목적은 김사량의 「천마」와 다나카 히데미츠의 「취한 배」를 통해 일제말기의 현실을 살아간 당대 지식인들의 처세를 살피고 그들을 바라본 두 작가의 시선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천마」와 「취한 배」에서 형상화되는 인물은 모두 지식인으로, 이 부류는 한 시대와 사회의 문제들에 대해 보다 본질적인 관심을 보이며 또 한 시대와 사회의 인식체계와 도덕적 문제에 더욱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점에서 특수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지식인, 특히 피식민자 조선 지식인과 식민자 일본 지식인의 양태들을 형상화한 두 작품을 통해 당대의 지식인이라 할 수 있는 김사량과 다나카 히데미츠의 시선의 차이를 밝힐 수 있다. 김사량은 일제말기의 현실 속에 살아간 조선의 지식인으로, 봉합할 수 없는 피식민자 조선인과 식민자 일본인 사이의 경계를 인식한다. 그는 「천마」를 통해 내선일체라는 허상 속에 허우적대는 현룡이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그가 내포한 일본인 되기의 욕망과 그 좌절의 과정을 따라가는 글쓰기를 시도함으로써 일제가 내건 구호의 모순을 폭로한다. 한편 다나카 히데미츠는 일제말의 시기에 조선에 거주한 재조 일본인의 하나로 존재하는데 그는 시류에 편승하며 창작활동을 이어간다. 일제말기 국책에 협력하던 그는 1945년 8월 15일 패전 후 「취한 배」를 창작한다. 그는 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자신의 분신인 사카모토 고키치라는 인물을 통해 과거의 국책 협력적 행위를 은폐하고 그러한 행동을 했던 자신을 선천적인 나약함과 술 취함으로 변명한다. 이 작품들은 일제말기라는 동일한 시기를 배경으로 창작되었고 당대에 살아간 지식인들의 모습을 형상화했으며 작가를 대변하는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공통된 점이 있지만 각 작가의 시선이 머무는 곳은 서로 다르다. 김사량이 현룡으로 대표되는 조선 지식인의 욕망과 좌절의 양상을 그의 주변에 존재한 일본 지식인들의 타자화 작업과 조선에 뿌리 내린 기괴한 근대의 형상 속에서 비판적으로 드러낸 반면, 다나카 히데미츠는 최건영 등 조선 지식인의 고뇌를 끝내 이해하지 못하고 그들을 그로테스크한 형상으로 그리는 한편 노천심과 같은 조선의 여성 지식인을 에로티시즘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데 그친다.

      • 일제말기 한국재림교회의 지하 신앙공동체에 관한 일 연구

        민삼홍 삼육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일제말기 교회해산을 전후로 일어난 한국재림교회의 지하 신앙공동체에 대한 역사적 조명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한국 재림교회의 역사는 주로 공식적인 두 기관지인 시조와 교회지남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런데 일제말기에 두 기관지가 폐간됨에 따라 교회역사는 공백기를 갖게 되었다. 이 역사의 공백기를 어떻게 알 수 있으며 그 공백기를 채워줄 역사적 증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한국 재림교회의 신앙공동체의 출현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이와같은 문제들에 대해서 조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진술과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그리고 연구의 방법과 제한을 다루었다. 제2장에서는 먼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일제가 취해 온 식민지 정책의 단계적 변화와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행한 기독교정책과 거기에 따른 기독교의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재림교회의 지하 신앙공동체 형성에 직접적인 배경을 제공하는 일제말기 한국재림교회의 정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한국재림교회의 지하 신앙 공동체들의 발생배경과 생활상에 대하여 증언과 밝혀진 자료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진술했다. 그런데 여기서 특별히 두 신앙공동체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이유는 현재까지 탐사되고 발굴된 지하신앙공동체는 적목리와 지리산 두 곳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기타지역으로 묶어놓은 하송관을 비롯한 나머지 지하 신앙공동체에 대해서도 소수의 증인들과 증인들의 서적들을 통해 간단히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면서 지하 신앙공동체가 갖는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한 진술을 통해 결론을 대신했다. 일제말기 지하신앙공동체가 우리 시대에 주는 역사적 의의란 첫째로 그들이 바로 성경의 각 시대에 존재해 왔던 남은무리의 신앙적 특성을 지닌 사람들로서 일제말엽의 종교암흑시기에 중세 왈덴스인들의 역사적 전통을 계승한 한국의 왈덴스인들의 삶이 무엇인지를 보여준 데에 있다. 둘째로 성경의 올바른 역사적 전통을 물려받고자 하는 교도들 중의 하나가 바로 한국재림교회의 교인들이며 성서적 안식일 준수와 재림신앙의 정신이야말로 마지막 시대를 살아가는 하나님의백성들에게 있어서 변함없는 신앙적 유산이라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 일제말기 완도지역 노무동원 연구

        문혜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제말기 완도지역에서 행해진 노무동원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 지역인 완도는 한반도 서남단 연안에 위치하며 군외면 달도가 1967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연륙되기 전까지는 모두 섬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완도지역은 연안선박교통의 중심지라는 지리적 이점과 김 양식 등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바탕으로 다른 지역과 달리 사립학교를 기점으로 청년들이 주축을 이룬 항일민족운동을 야기 시켰다. 그러나 이처럼 항일민족운동이 활발했던 완도지역도 일제의 노무동원을 피해 갈 수는 없었다. 완도지역의 노무동원은 ‘총동원체제’라는 거대한 틀 안에서 ‘노무동원계획’에 의해 전쟁 이전부터 계획된 결과물로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제는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기점으로 각종 법령들을 공포하며 본격적으로 법을 앞세우며 강제적 노무동원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왜정시 피징용자명부’와 ‘피해진상자료’를 통해 살펴 본 완도지역의 노무동원의 특징은 먼저 동원된 면의 경우 8개의 읍 · 면 중 고금면과 금일면, 그리고 완도면(읍)이 다른 면에 비해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다. 또한 완도지역 노무동원자들은 크게 국내와 국외로 투입되었는데 국내의 경우 대부분 북부지역에 투입되었고, 국외의 경우 주로 일본의 전 지역과 만주에 투입되었다. 이와 더불어 완도지역 노무동원자들은 일제의 패전이 얼마 남지 않은 1942년과 1943년, 1944년에 이전 시기에 비해 두드러지게 많은 인원이 동원되어 갔다. 주로 동원되어 간 연령층은 21세~30세 사이의 젊은 층이었으나 여성 노무동원자들의 경우 10세~15세 사이로 남성의 동원나이에 비해 매우 어렸다. 이렇게 노무동원된 인원들은 주로 모집, 관알선, 징용 등의 방법으로 동원되어 가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기존의 동원절차를 무시한 그저 동원자 수를 채우기 위한 마구잡이식의 강제적 동원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구분 없이 모두 마찬가지였으며, 이 중 간혹 이중동원을 당한 이들도 있었다. 결국 동원대상자로 선정된 이들은 국내, 일본, 만주로 투입되기 위해 배와 차량 그리고 기차를 이용해 목포, 여수, 부산의 집결지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국내와 만주의 경우 목포에서 기차를 이용해서 그리고 일본의 경우 여수와 부산에서 배를 타고 각각의 투입지로 이동했다. 완도지역 노무동원자들의 국내외 투입지에서의 노동실상은 모두 매우 열악했다. 이들은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조차 변변한 것이 하나 없었음은 물론 잡역과 다름없는 작업도중 부상을 당하기 일쑤였고, 작업장의 관리자나 책임자에게 모진 구타를 당하기도 했다. 임금 역시 없다시피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본 일제말기 완도지역의 노무동원은 기존에 연구된 내륙지역의 노무동원과 섬과 내륙이라는 지역적 차이로 인해 완도지역의 노무동원자들이 국내외의 투입지로 이동시 조금 더 번거로웠을 뿐 전체적인 동원양상과 노동실상은 큰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꿔 말하면 조선시대 때만 해도 군역 등을 피해 도망치던 공간이었던 섬 지역이 일제말기에 들어서는 오히려 내륙지역과 마찬가지로 일제의 강력한 지배정책에 의해 희생된 수탈의 대상지였음을 말해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labor mobilization conducted in the Wando area during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Wando, which is the area subject to this Research, is located at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sed to be composed of only islands before Dal-do, Gunoe-myeon became connected to Namchang-ri, Bukpyeong-myeon, Naenam-gun in 1967. Wando at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gave rise to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which the young generation played a pivotal role based on private schools, unlike other regions,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laver farming and geographical advantages of being at the center of coastal sea traffic. However, even Wando, where the anti-Japanese movement was active, could not escape the labor mobilization by the Japanese. Labor mobilization at Wando was a result that was planned even before the war through the ‘Labor Mobilization Plan’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War Mobilization System,’ thus, the Japanese implemented forced labor mobilization in full-scale by announcing various laws and using such laws, starting from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in 1938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in 1937. Under this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obilization at Wando examined through ‘Actual Damage Data’ and ‘List of Forced Mobilized Laborers During the Japanese Rule’ shows that among the eight eups and myeons (area units in Korea) that were mobilized, a relatively higher number of people were mobilized from Gogeum-myeon, Geumil-myeon, and Wando-myeon (eup) compared to other myeons. In addition, the mobilized laborers from Wando were deployed largely within Korea or to overseas areas. Most that were deployed in Korea were sent to the northern area, and in particular, female mobilized laborers were all deployed within Jeollanam-do. People deployed overseas were mostly sent to all regions of Japan and Manju. In addition, a noticeably large number of people from Wando were mobilized during 1942, 1943, and 1944 compared to previous years, just a short time before the Japanese surrendered. The age groups mostly mobilized were young people between 21 and 30, however, female mobilized laborers appeared to be between ages 10 and 15, being much younger than males. The people mobilized for labor in this way were mobilized through methods such as recruitment, government placement, or conscription, however, most were mobilized in a random and forced manner, ignoring the prior mobilization procedures in order to fill up the number of mobilized people. This manner appli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some people were occasionally subject to double mobilization. In the end, the people selected as mobilization targets were transferred to the assembly areas in Mokpo, Yeosu, and Busan by trains, vehicles, and ships, to be deployed in Korea, Japan, and Manju. Those sent to Korea and Manju were transferred to the respective deployment areas by train from Mokpo, and those sent to Japan were transferred by ship from Yeosu and Busan. The labor conditions of the mobilized laborers from Wando both in Korea and overseas were all extremely deteriorated. Laborers were not adequately provided basic life necessities, were frequently injured while performing labor that consisted of fatigue duties, and were severely beat by managers or the person in charge at the workspace. Wages were rarely paid. In consequence, labor mobilization from Wando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examined through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overall mobilization condition and labor reality was similar to labor mobilization from inland except for the fact that transferring the mobilized laborers from Wando to the deployment areas in Korea and overseas was slightly more cumbersome due to the geographic difference between an island and inland, which had been studied previously.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sland areas where people used to escape from military serv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an area subject to exploita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just like the inland areas sacrificed by the strong ruling policy of Japan.

      • 임화의 역사인식과 문화기획 연구

        이재웅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제 말기 임화 비평이 서술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제국의 지배문화에 대하여, 임화의 ‘인식’과 ‘발화’를 이루는 일관된 계기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과제이다. 무엇을 위해, 임화가 어떤 것을 인식하고 어떻게 말하였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일제 말기의 문화를 정치적으로 인식하고 미래를 전망하고자 했던 임화의 문화기획을 규명한다. 일제 말기 임화의 문화기획은 지배문화에 대한 저항인 동시에 새로운 문화에 대한 상상이었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일제 말기 임화의 비평을 ‘저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비평에 내재한 ‘대안’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고찰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고는 일제 말기 임화의 비평을 ‘저항’과 ‘대안’ 양자의 관점에서 살피고자한다. 그로부터 임화의 문화기획이 제국의 지배문화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지점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기획이 식민권력의 문화를 거부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그것이 수행되는 방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래서 일제 말기라는 시대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도, 문화에 대한 임화의 비판과 대안을 각 장의 분석 내용으로 삼는다. 2장에서는 임화의 신문학사와 수필을 중심으로 임화 문화기획의 인식구도로서 ‘이식’과 ‘일상’을 살펴본다. 임화는 신문학사에서 조선 문화의 고유성을 확인하고 발전의 원리로서 ‘이식’을 정립한다. 이식은 서구의 근대와 조선의 전통이 서로 교섭하는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 조선 근대문화사 발전의 원리와 고유성을 보여준다. 그의 문학사에서 신소설 분석은 조선의 전통 양식(구소설)이 서구의 양식(근대문화)과 교섭 하는 양상(이식)을 규명한 하나의 사례다. 이로부터 ‘이식’이 임화가 문학사 서술을 통해 발견한 근대문화사의 발전 논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임화의 수필에 대한 관심은 그가 삶에서 느끼는 감각을 통해 변혁의 내적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의 학예사 경영 경험은 독서문화에 대한 시각을 더 날카롭게 하며, 생활의 문제와 돈의 욕구에 대한 그의 경험은 일상의 정치성을 부각한다. 그리고 그 감각들은 정치(식민권력의 통제)와 자본의 결합(권력에의 영합)이라는 현실 문제를 내포한다. 3장에서는 임화의 미디어론에서 나타나는 일제말기 미디어의 이중성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을 살핀다. 임화의 미디어 비평에서 ‘상대화’를 통해 제국 지배문화의 절대성을 해체하는 담론 전략이 확인된다. 임화는 미디어론을 통해서 식민권력의 통제·기획과 자본의 영합을 비판했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잡지의 정론성과 민중성을 제안했다. ‘캐피탈 정신’, ‘󰡔개벽󰡕과 󰡔조선지광󰡕에의 강조’는 작가가 계몽적 주체로서 자각할 것과 저널리즘이 계몽성과 민중성(문화가치)에 입각한 경제가치(이윤)을 추구해야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그 대안이 상정됨으로써 기존의 미디어는 제국·자본이 구축한 경계 너머를 상상하고 탈주할 수 있는 것이다. 임화의 미디어 비판과 대안의 기저에는 통제정책에 순응하여 상업적 이윤을 추구하려는 출판자본의 정치적 취약성(제국에의 협력)에 대한 문제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4장에서는 임화의 생산문학론과 농민문학론에 나타난 국책-국책문학에 대한 비판과 대안 문화를 살펴본다. 임화는 ‘리얼리즘’과 ‘이식’의 개념을 통해서 국책문학을 비판하고 농촌에 대한 재인식을 이끌어낸다. 그는 소설론을 문화의 층위에서 다룸으로써, 생산의 일면성만을 부각시키려던 국책문학을 비판한다. 그는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을 경유해서 생산(농촌)과 소비(시정)의 전체로서 현실을 그릴 것을 주장한다. 임화가 주장한 리얼리즘을 따르자면, 사회적 관계가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때, 사회적 관계의 고찰은 생산물이 어떻게 누구에게 소유되는가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다시 말해서, 리얼리즘은 국책문학이 은폐하고자 했던 생산증산책의 모순(수탈)을 폭로하는 방법이 된다. 그럼으로써 임화의 리얼리즘 주장은 ‘제국의 수탈’과 ‘국책문학을 통해 수탈을 은폐ᅙᅡ는 작가’ 모두에 대한 비판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제국 중심의 동양화를 위해 농촌이 제고되는 상황에서 임화는 농촌을 긍정하기 보다 생산수단으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을 상상한다. 임화가 제안하는 ‘자유로운 인간상’은 농촌(전통, 생산)과 도시(근대, 소비)의 전체적인 교섭의 결과로 나타난다. 본고는 일제 말기 임화의 비평을 문화기획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임화의 비평은 ‘지배문화에 대한 상대화’와 ‘대안제시’의 구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담론은 지배문화에 대한 상대화와 함께 대안을 강조하는 ‘기획’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에 대한 이해로부터, 카프시기 문예운동가 임화와 해방기 문화정책입안자 임화의 과도기로서 ‘일제 말기 임화’를 상상할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the criticism of Lim Hwa is described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ask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consistent opportunities for the compose of Lim Hwa’s ‘recognition’ and ‘expression’ with respect to the Dominance Culture of the empire. It is intended to clarify for what and how Lim Hwa recognized and spoke. Therefore, this paper clarifies the cultural planning of Lim Hwa, who politically recognized the culture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ried to predict the future. Lim Hwa’s cultural planning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oth a resistance against the dominant culture and an imagination of a new culture. Most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Lim Hwa’s criticism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a focus on ‘resistance.’ Such work has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actively consider the meaning of the ‘alternative’ inherent in the criticis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Lim Hwa’s criticism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both perspectives of ‘resistance’ and ‘alternative.’ By doing so, it will be possible to elucidate the points at which Lim Hwa’s cultural planning criticizes the empire’s dominant culture and proposes alternatives. If cultural planning involves rejecting the culture of colonial power and proposing alternatives, th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it is carried out. Therefore, considering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Lim Hwa’s criticism and alternatives to culture as the content of analysis in each chapter. Chapter 2 examines ‘transplantation’ and ‘daily life’ as the framework of Lim Hwa’s cultural planning, focusing on his ‘History of New-Literature’ and essays. In his ‘History of New-Literature,’ Lim Hwa identifies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and establishes ‘transplantation’ as a principle of development. Transplant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negotiation between Western modernity and Korean tradition, demonstrating the principle and uniquenes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cultural history. His analysis of New-Novels in literary history is an example that clarifies the aspect of transplantation, where Korea’s traditional style (old novels) negotiates with Western style (modern culture). Based on this, we can confirm that ‘transplantation’ is the logic of development in modern cultural history discovered by Lim Hwa through his literary historical narrative. Meanwhile, his interest in essays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cure the internal driving force of transformation through the sensations he feels in daily life. His experience in managing Hagyesa (a publisher) sharpens his perspective on reading culture, and his experiences with life’s problems and the desire for money highlight the political nature of daily life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sensations encompass the real issues of politics (control by colonial power) and the combination of capital (complicity with power). The word "sensations’ here seems to be used in a broader sense, encompassing not just physical feelings but also deeper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arising from his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Chapter 3 focuses on Lim Hwa’s critique of the dual nature of media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his alternatives in his media theory. Lim Hwa’s media criticism, as a discourse strategy, challenges the absoluteness of imperial dominance culture through ‘relativization.’ He criticized the control and planning of the empire and the pandering to capital through his media theory. As an alternative, he proposed the politics and popularity of magazines. The emphasis on ‘Capital Spirit’ in publications such as Kaebyeok and ChosunJigwang led to the argument that authors should be conscious of their role as enlightening subjects and that journalism should pursue economic values (profit) based on enlightenment and popularity (cultural value). These alternatives helped the media during the period with opportunities to move beyond the constraints of imperial and capitalistic systems. This highlights Lim Hwa’s awareness of the political vulnerabilities within the publishing industry and its tendency to align with imperial policies for commercial profits. Chapter 4 examines Lim Hwa’s criticism and alternative cultural perspectives on national policy literature, as seen in his theories of production literature and peasant literature. Lim Hwa criticizes national policy literature through the concepts of ‘realism’ and ‘transplantation,’ leading to a reevaluation of the rural landscape. He addresses novel theo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criticizing national policy literature’s focus solely on the aspect of production. Lim Hwa advocates for a depiction of reality as a whole, encompassing both production (rural areas) and consumption (urban areas), through the concept of ‘realism.’ According to the realism proposed by Lim Hwa, social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significant. This examin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highlights the issue of how and to whom products are owned. In other words, realism becomes a method to expose the contradictions (that is, exploitation) of production increase strategies, which national policy literature sought to conceal. Thus, Lim Hwa’s advocacy for realism carries a critical meaning against both ‘imperial exploitation’ and ‘authors who conceal exploitation through national policy literature.’ Meanwhile, in a context where the countryside is idealized for an empire-centric Orientalization, Lim Hwa imagines humans free from the means of production rather than positively viewing the rural areas. The ‘free human image’ proposed by Lim Hwa emerges as a result of the overall negotiation between the countryside (tradition, production) and the city (modernity, consumption). This paper examined Lim Hwa’s criticism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lanning. Lim Hwa’s criticism is structured around the ‘relativization of the dominant culture’ and the ‘proposal of alternatives.’ Therefore, his discourse prominently features the nature of ‘planning’ that emphasizes alternatives along with the relativization of the dominant culture. Understanding this perspective facilitates the conceptualization of Lim Hwa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transitional figure, bridging the roles of Lim Hwa as a critic in the KAPF literary movement and as a cultural policy planner in the post-liberation era in Korea.

      •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최유리 이화여자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8655

        Imperialist Japan reigned over Chosun by taking the form of direct rule, based on the assimilation principle from the beginning. Especially, Minami, Jiro(南次郞), who started for his new post as a governor-general of Chosu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enforced the most powerful assimilation policy on the people of Chosun under the sloga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一體) as it was his ideology of colonial rule.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had the purpose of providing spiritual mobilization system in making Chosun a supply base of the continental advancement for the performance of war of imperialist Japan. Therefore, the theory made the important ideological basis of all policies during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mport of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一體論) was to make perfect Japanese out of Chosun people, centering around the national structure of Japan, and this was used for the purpose to make Chosun people think that they were the community having the same fate as Japanese and then they could be easily mobilized without any resistance when in war. Similarly, as a part of the operations to control thoughts and intelligence of Chosun people, they carried out the readjustment of newspapers written in Chosun language, and in this process, Dong-a-ilbo and Chosun-il-bo, the representative national papers, were forcibly discontinued their publication. In order to reorganize spiritual state of Chosun people on a war footing, a government-inspired campaign was entered upon in the name of the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國民精神總動員運動) in 1938. This campaign systematized whole Chosun people into the organized system unified with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 was forming the watch and mobilization system through low echelon organization unit so-called Patriotic Neighbourhood Meeting(愛國班). The substance of the Campaign was devided into two categories, that is, one was campaign of spiritual-enlightment for integration of Japanese and Chosun people, and the other, that of war-time cooperation which supported economically performance of war of imperialist Japan but, despite of its demanding of Chosun peoples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the Campaign, it was no more than quite formal character. Japan found the way out of limits of the Campaign of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and in order to keep pace up with the trend of a new system movement, arising at the time in Japan, Japan switched the Campaign of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over to National All-out Campaign(國民總力運動) in 1940. While the new system campaign in Japan made progress by the name of Taisei Yokusan Kai(大政翼贊會), in Korea, they named National All-out Campaign in order to eliminate the political character of campaign from the very beginning, and stricktly kept guard on the gushing out of political interest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campaign. The National All-out Campaign appeared as the colligation movement of all the colonial politics of imperialist Japan, by abolishing or unifying the movement of developing an agricultural community(農村振興運動), which had been carried through 1930s. Not only that but, the governor-general, by going into office directly as the President of the League of Chosun, went forward to the unification of government structure of imperial Japa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ampaign. The substance of the Campaign took over basically that of the previous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as it was, but as the importance of delivery(供出), production increase(增産), and saving, etc. were given much weight because of performance of war, economical pressure on Chosun people was gradually added by an extra weight. Series of government-inspired campaigns, from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to National All-out Campaign, aimed for the completio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as their most important object, and also the main gist of the campaigns were operations of recreating the imperial subject(皇民) out of Chosun people. However, the ultimate object of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was to prepare for the practicable situations to mobilize Chosun people to war. One of the good example was the problem of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The campaign of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which was one of the National All-out Campaign and had been unfolding in the name of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Campaign of Ordinary Use of Japanese Language"(國語全解·常用運動) since 1942, was a recreating operation of imperial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preparation work for draft system, which was expected to bring into operation in 1944. Imperial Japan converted the lukewarm policy of Japanese language diffusion, which had been performing mainly at school since the year of 1937, when the argument on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had begun. Now, on one hand, teaching of Chosun language was eliminated from school curriculum but the other hand, several measures to turn Japanese language into ordinary-use-language were putting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as an important device of imperializing policy,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was coming up to the surface. Nevertheless, the diffusion rate of Japanese language as of 1942 did not come up to 20% of the national average. As for imperialist Japan, who must introduce draft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only 25% of age group of recruiting objects, understanding Japanese language, couldnt but concentrate on the diffusion and ordinary use of Japanese language by putting whole organization of National All-out Campaign into full operation. Both the military volunteer system that started in 1938 and the draft system which had been enforced since 1944 had something in common. Both were the systems aimed at the mobilization of Chosun people to war as military force, but the concrete purpose of practice and the real intention of imperial Japan was different. In case of the volunteer system, it was enforced under the intention of infusing imperial sense into Chosun peoples minds, along with the purpose of trying to clear up the problem of insufficient military forces which came up with the expansions of aggressive and long-pending war. In this period, the great emphasis was rather placed on the former. Namely, imperialist Japan calculated that it would be not until the national education for Chosun people be put to practice when right time for the practice of perfect compulsory education arrives in Chosun, that then Chosun people could be used with confidence as the resources of military force. Therefore, enforcement of draft system in Chosun was estimated as the task of approximately 50 years or, at least, 20 to 30 years later than that of volunteer system and they clarified that the volunteer system was not the premise of the draft system. But this plan of imperialist Japan brought about a big mistake on account of the outbreak of World War Ⅱ. The scale of military forces that imperialist Japan needed was 2,000,000 to 2,500,000, while the reasonable scale available was merely 1,200,000 in case of supplying solely with Japanese people. What was more, continuous drop of birth-rate in Japan brought about the shortage of labor and even insufficiency of military force. Consequently, imperialist Japan noticed the use of foreign people and Chosun people became the first object of it. Accordingly, the draft system in Korea was to be enforce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of imperialist Japan, the draft system had to be introduced all of a sudden before the mapping out of concrete plan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was done yet. In fact, the compulsory education was precondition of the draft system. Soon, Japan enforced thorough education to the objects of the draft through Youth Special Training School(靑年特別鍊成所) as preparation for the draft system. Above all, the fact of not being able to have confidenc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of the youths, born aft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d started and educated from them, proved the opposite that the assimilation policy of Japan did not give any satisfactory results. The propaganda and enlightenment on the draft system, which had driven the very lives of Chosun people into war, were of great importance. The primary logic was nothing but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that is, by advocating their logic,--having had accomplished the task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they offered the noble obligatory military service--they concealed cleverly the original inten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they had intend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military force through conscription.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draft system, the problem of suffrage of Chosun people was of great importance. Since Chosun people underwent the obligatory military service as Japanese people now, an issue on suffrage flared up again among the national reformers(民族改良主義者) in Chosun, who were in the state of lull since the first half of 1930. Namely, the issue was that Chosun peoples participation in government must be expanded as a consideration to the paying of blood tax. Imperialist Japan who had been consistently confronting with the claim on suffrage of Chosun people till then, now began to bring on a change in method by introducing extremely limited and formal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y worried that if they kept using the device of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system as the solution of suffrage problem, it might go as far as the formation of Chosun local assembly and moreover, it would possibly go further into the self-governing dominization and independence. On this matter, Japan judged that further expans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as dangerous for continuance of the colonial rule in Chosun, and settled the problem of suffrage, by allowing Chosun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 of Japan(衆議院), about which they were abstained from up to that time from the reason that they might hold the casting vote. However, the method of election was such a strictly restricted one that only 2% of whole Chosun people held the right to vote and 22% of it was occupied by Japanese. In short, the franchis was given to extremely small part of pro-Japanese, and then, they planned to realize a government of national separate control(民族分割統治), by weaving in the government structure of imperialist Japan through measures of granting very few Chosun people whom they had 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Japanese assembly. And yet, they kept propagating toward Chosun people the logic of having accomplished the result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they had already confirmed with the enforcement of draft system--, through the system of participation in Japanese congress. In this manner, with the same logic Japanese imperialism explained to Chosun people that matters of draft system and suffrage were a materializatio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But the fact of including both the draft system, which regarded the lives of Chosun people as its object and the suffrage, which its object was economically upper class and only less than 2% of whole population by way of strictly limited election, was not persuasive enough. 일제의 조선 통치는 처음부터 同化主義에 입각한 직접 통치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전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南次郞은 식민지 지배의 이념으로 ‘內鮮一體’를 내걸고 조선인에 대한 보다 강력한 동화정책을 실시하였다. 내선일체론은 조선을 일제의 전쟁 수행을 위한 대륙전진병참기지로 만드는 데 있어 정신적인 동원 체제를 갖추기 위한 것으로서 일제 말기 모든 정책들의 이념적 기반을 이루고 있었다. 내선일체론은 일본 國體를 중심으로 조선인을 완전한 일본인으로 만드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인들로 하여금 일본인과 같은 운명 공동체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아무런 저항없이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인들의 사상과 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조선어 신문에 대한 정리가 단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조선의 대표적인 민족지였던 동아·조선일보가 강제 폐간되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령의 개정을 통해 조선인을 ‘皇國臣民’으로 만드는 작업이 병행되고 있었다. 조선인들의 정신상태를 전시체제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본격화한 것이 1938년의 ‘國民精神總動員運動’이다. 이 운동은 행정조직과 일원화된 조직 체계 속에 전조선인들을 조직화하는 한편, 애국반이라는 말단 조직을 통해 감시와 동원체제를 만들고 있었다. 운동의 내용은 내선일체화를 위한 정신교화운동과 일제의 전쟁 수행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전시협력운동으로 나누어지고 있었는데, 일제의 조선인들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 요구에도 불구하고 극히 형식적인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보여주고 있었던 한계성을 타개하고 마침 일본 내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新體制運動’의 움직임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1940년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國民總力運動’으로 전환하였다. 일본의 신체제운동이 ‘大政翼贊會’라는 명칭의 단체에 의해 주도된 것에 비해 조선에서는 운동의 정치성을 처음부터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총력운동으로 명명함으로써 조선인들의 정치적 관심이 운동의 조직들을 통해 분출되는 것을 극히 경계하고 있었다. 국민총력운동에서는 1930년대를 일관하여 진행되어 오던 農村振興運動을 폐지·통합함으로써 일제의 모든 식민지 정책을 총괄하는 운동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총독이 중앙조직인 조선연맹 총재에 직접 취임함으로써 일제의 통치 구조와 운동의 조직을 일체화시켜 나아갔다. 운동의 내용은 앞서의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기본적으로는 그대로 계승하였지만, 전쟁 수행을 위한 공출·증산·저축 등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조선인들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가중시켜 나아갔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에서 국민총력운동에 이르는 일련의 관제운동들은 모두 내선일체의 완성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내걸고 있었고, 운동의 내용 또한 조선인의 皇民化 작업을 주된 골자로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내선일체의 최종적인 목적은 조선인들을 전쟁에 동원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데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는 것이 일본어 보급문제이다. 국민총력운동 가운데 ‘國語全解·常用運動’ 명칭으로 1942년부터 전개되었던 일본어 보급 운동은 일본어를 통한 황민화 작업인 동시에 1944년으로 예정되어 있던 징병제 실시를 위한 준비작업이었다. 일제는 내선일체론이 등장한 1937년 이후 그때까지의 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던 미온적인 일본어 보급 정책을 전환하여 조선어 교육을 학교 교육에서 배제하는 한편 일본어를 생활 언어로 만들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실시하고 있었다. 즉 황민화 정책의 주요한 수단으로 일본어 보급이 부상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2년말 현재 일본어 보급률이 전국 평균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또 징병 대상 연령층이 25% 정도만이 일본어를 해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징병제를 도입해야 했던 일제로서는 국민총력운동의 전조직을 가동하여 일본어의 보급과 상용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다. 1938년 시작된 陸軍特別志願兵制度와 1944년부터 실시된 徵兵制는 모두 조선인들을 병력으로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시목적과 그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일제의 의도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원병제도의 경우는 일제의 침략전쟁 확대와 장기화에 따른 병력 부족을 해소한다는 목적과 함께 조선인들에게 황국의식을 주입하기 위한 의도아래 실시되고 있었다. 즉 조선에서 완전한 의무교육을 실시하는 단계가 되어 조선인에 대한 국민교육이 실시된 후에야 비로소 조선인들을 안심하고 병력 자원으로 쓸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따라서 조선에 대한 징병제의 실시는 지원병제도 실시 후 50년 정도 적어도 2, 30년 후의 일로 상정하고 있었으며, 지원병제도가 징병제의 전제가 아님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이러한 계획은 1941년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커다란 차질을 가져오게 되었다. 일제가 필요로 하는 병력의 규모가 200만 내지 250만에 이르는데 반해 일본 민족만으로 병력을 충당할 경우 적정 규모는 120만에 불과한 상황이 된 것이었다. 게다가 계속되는 일본내의 출생률 저하는 병력의 부족과 더불어 노동력의 부족까지 초래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일제는 外地民族의 활용에 착안을 하게 되었고, 그 일차적인 대상이 된 것이 조선인들이었고 조선에 징병제가 실시되게 되었다. 일제의 당초 의도와는 달리 징병제가 그 전제조건이었던 의무교육이 구체적인 계획도 입안되기 전에 갑작스럽게 도입되게 되자 일제로서는 징병제의 준비 작업으로 靑年特別鍊成所를 통해 징병 대상자들에 대한 빠짐없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일제가 조선통치를 시작한 이후 태어나 일제로부터 교육을 받은 청년들의 의식 상태에 대해서도 신뢰를 보낼 수 없었다는 것은 일제의 동화정책이 아무런 실효가 없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여기서 중요성을 갖고 등장한 것이 바로 조선이들의 생명을 전쟁에 몰아 넣는 징병제에 대한 선전·계몽이었고, 그 주된 논리가 바로 내선일체론이었다. 즉 조선인의 내선일체화 작업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비로소 숭고한 병역의 의무가 부여되었다는 논리를 내세움으로써, 병력의 부족을 조선인의 징집을 통해 보충하려 한다는 일제의 본래의 의도를 교모히 감추고 있었다. 징병제의 실시와 더불어 중요성을 갖게 된 것이 조선인들의 參政權 문제였다. 조선인들이 일본인들과 마찬가지로 병역의 의무를 지게 되자 1930년대 전반 이후 소강 상태를 보이던 조선의 민족개량주의자들 사이의 참정권 논의가 다시 재연하게 되었다. 즉 血稅를 납부하는 데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조선인들의 정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일제는 지금까지 조선인들의 참정권 요구에 대해 극히 제한적이고 형식적인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일관하고 있었던 대응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참정권 문제의 해결을 지방자치제의 확대라는 방식으로 계속해 나아갈 경우 이것이 조선지방의회의 설립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조선의 자치령화와 독립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일제는 조선의 식민지 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의 자치제 확대는 위험하다는 판단 아래 지금까지 캐스팅 보트를 쥘 수도 있다는 이유로 금기시되어 왔던 조선인 의원의 일본 중의원 참여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참정권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그 선거 방식은 엄격한 제한선거였기 때문에 전조선인의 약 2%만이 선거권을 갖는 것이었고, 그 가운데 29%는 일본인이 점하고 있었다. 즉 극히 일부의 친일적인 조선인들에게만 선거권을 부여하고, 이들이 뽑은 몇몇 조선인들을 일본 의회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통해 일제의 지배 구조 속에 편입시킴으로써 민족분할통치를 실현하려는 의도였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조선인들에 대해서는 징병제의 실시로 확인한 조선인들의 내선일체화의 결과를 일본 의회 참여라는 제도를 통해 완성시켰다는 논리로 선전해 가고 있었다. 이처럼 일제는 징병제와 참정권 문제를 내선일체의 구현이라는 같은 논리로 조선인들에게 설명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조선인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는 징병제와 엄격한 제한선거로 전조선인의 2%에 불과한 경제적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참정권을 함께 포괄하기에는 설득력을 갖기 어려운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