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박수빈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의료 시스템 내 퇴원 과정에서 뇌졸중 환자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의료기관에 입원해있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을 탐구하고, 나아가 국내 의료 시스템 내에서 퇴원 시 고려해야 할 맥락과 방향을 작업치료 관점에서 확인하며 작업치료사 역할 의 필요성과 서비스 내 작업치료 접근 방향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병원에 입원 중이며 집으로 퇴원을 예정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6명이었으나 중도에 참여 거부의사를 밝힌 1명을 제외하고 최종분석단계에는 총 5명이 포함되었다. 자료 수집은 심 층면담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8월부터 2022년 10월 까지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진행되었으며, 퇴원 일주일 전에 시행하 였다.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였고, 참여자별 면담횟수 는 3-5회였다. 면담은 "퇴원을 준비/결정하는 경험(또는 심정)이 어떠신가요?" 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진술 내용이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뤄졌으며,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기술을 그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에 대해 6개의 구성요소와 17 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확인한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의 의미구 조는 ‘자율성이 통제된 병원에서 벗어나 사회와의 연결과 의미 있는 작업 참 여를 위해 퇴원 후 대면할 어려움을 대비하고 병원 밖의 일상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과정’이다. 이에 구성요소는 ‘힘든 병원생활의 연속에서 벗어남’, ‘미래에 대한 두려움’, ‘필요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일상생활에 적응하려는 의지’, ‘자 기발전에 대한 고찰’, ‘앞으로의 삶에 대한 기대’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이 퇴원을 통해 자율성이 통제된 병원에 서 벗어나 일상으로의 복귀와 의미 있는 작업으로의 참여를 통해 사회에 속하 며 자신의 삶으로 돌아가고자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들의 퇴원 준비 과정이 구체적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퇴원 후 다양한 어려움들을 실제 직면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퇴원을 결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에 서 당사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퇴원 후 의 삶을 지지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영국 Localism Act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지역공동체 입찰권리를 중심으로

        박수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서울은 도시개발 단계에서 저성장 및 안정과 성숙의 도시 관리 시대로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도시재생은 2013년에 도시재생특별법의 제정과 함께 낙후·침체된 지역에 대하여 지역의 특성과 맥락, 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종합적 재활성화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회적 기조와는 다르게 도시재생이 일어나는 지역에서는 필연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급격한 임대료 상승을 유발하며 원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 결과 지역 정체성의 상실, 커뮤니티의 붕괴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어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자체가 사회적 문제로 언급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 보다 앞서 도시재생을 경험하고 선제적 방안을 구축한 영국에서는 Localism Act를 제정하여 지역공동체의 권한을 강화시킴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역공동체(community)가 지역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끄는 주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역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해 영국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의 실태를 점검한 후 향후 정책 보완에 시사점을 얻고자 영국 Localism Act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공동체 입찰권리(Community Right to Bid)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는 작동원리 및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도시재생과정에서 우려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외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 결과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활동 사례들이 존재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미흡하였다. 이에 반해 영국 Localism Act는 지역공동체에게 새로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지역주민들 스스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지역공동체에게 부여된 새로운 권리는 크게 3가지로 첫째, 지역 내 공공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발언권 둘째, 지역사회에 필요한 부동산을 건설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건설권 셋째, 지역사회에 공공의 가치가 있는 물리적 자산을 입찰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입찰권이다. 이 중 지역공동체 입찰권리는 지역공동체에게 자산에 대한 선제적 입찰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간직한 지역 상점이나 펍 등이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이었다. 실제 Ivy House pub의 사례를 통해 확인한 결과 입찰권리 작동의 핵심은 지역자산 보호 장치인 ACV제도와 지역공동체 자금조달 방안 중 하나인 지역공동체주식(Community Shares) 그리고 지역공동체 연합 네트워크인 로컬리티(Locality)의 역할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 보존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지역자산을 민간투기자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입찰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며, 둘째, 이 권리의 국내 도입 시 자유로운 매매의 제약에 따른 손실을 보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공동체 권리의 효율적 이행을 돕는 로컬리티와 같은 중간지원조직 역할이 필요하며 넷째, 지역공동체주식과 같은 self-financing 기법을 도입하여 지역공동체 스스로 자금조달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산 보호가 가능할 것이다. The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has shifted to one that aims at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the area. However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can be caused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such as a sharp increase in rental price, involuntary out-migration of small business, and loss of local identit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in how to prevent the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ommunity Rights in Localism Act of UK.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UK government provides Community Right to Challenge, Community Right to Build, Community Right to Bid to local residents for preventing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From among these, Community Right to Bid is that local community can take precedence over private capital enterprises regarding real estate purchase and aims at protecting valuable asset of the region. Asset of Community Value and Community Shares, is the main mechanism of Community Right to Bid, are schemes to help self-financing through issue of shares. And also Locality has a key role to help community to carry out the right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Right to Bid with incentives to owners. And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ity and Community Shares to help community to carry out the right effectively. These should be applied in reflecting the domestic situation.

      • 독립무용가의 예술지원 경험의 의미

        박수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용가들은 재정적인 어려움, 예술적인 자원과 인프라의 부족, 교육 및 전문적인 훈련의 부족, 예술 활동과 일상생활의 균형 유지 어려움 등의 문제로 인해 예술적 성장과 지속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때문에 많은 무용가들은 자신의 예술 활동을 뒤로 미뤄둔 채 그들의 경제적인 수입을 창출하기 위하여 무용가 활동 이외에도 무용 강사 등 부수입을 수반하는 부업을 함께 해나간다. 하지만 부수입마저도 안정적이지 못하여 결국 무용가의 활동을 포기하게 되는 예술가들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무용가의 권익을 보호하고 무용가들의 창작 활동 지원, 복지 증진, 일자리 창출 등 무용가들이 예술 활동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많은 기관들이 지원제도를 구축하여 다양한 예술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무용가들이 복지를 수혜 받을 수 있는 기관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정작 무용가들은 예술지원 정보의 무지로 지원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무용가들이 적극적이고 자체적인 자세로 꾸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며, 더불어 시행되고 있는 복지에 관해 무용가들이 인지하고 스스로 권리를 주장하여야 무용가에 대한 예술지원사업의 필요성이 뚜렷해질 것이다. 또한 당위성 확보를 통하여 국가나 기관에 지속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통한 독립무용가의 예술지원사업 수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가들이 경제적 요인 혹은 그 외적 요인으로 예술 활동을 포기하지 않도록 해당 문제에 대해 재조명하며 독립무용가의 예술지원 경험의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하여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가 고찰한 독립무용가의 예술지원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무용가의 예술지원 경험은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이는 무용가가 자신의 예술적인 목표와 가치를 탐구하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예술적인 인식과 영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독립무용가는 자신만의 예술적 가치와 정체성을 구축하며 예술적인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예술지원은 독립무용가들의 다양한 네트워킹과 국제적인 교류를 통해 예술가로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무용가들은 다양한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영감을 얻고 협업의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며, 자신의 예술적 신념과 비전을 깊이 탐구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이 모든 요소들이 독립무용가의 예술적인 성장과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술지원은 무용가들에게 필수적인 지원체계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예술지원은 독립무용가가 예술계에서 다양한 네트워킹과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독립무용가들이 다른 예술가 혹은 다른 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영감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독립무용가의 예술 활동 범위를 확장시켜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의 협업 기회를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예술지원은 독립무용가들이 서로 교류하고 협업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며, 이는 독립무용가들의 상호 지원과 협력을 촉진하고 예술적인 아이디어의 탄생과 발전에 기여한다. 넷째, 예술지원사업의 지원금은 독립무용가들이 예술 작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경제적인 여건을 안정화시켜주었다. 이러한 경제적인 안정은 독립무용가들이 예술적인 창작을 지속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예술지원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무용가들은 작업 활동에 집중하여 더 높은 수준의 예술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예술지원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독립무용가들은 경제적인 안정을 통해 예술적인 역량을 발전시키고 작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많은 무용가들에게 예술지원 사업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예술지원 사업 참여를 촉진하고 효과적인 실행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 연구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친일문학이 태어난 배경은 식민주의 억압에 의한 것이었으나 문인들과 지식인들은 친일문학 창작을 통해 일본의 식민주의 정책을 내면화했다. 그런 의미에서 친일문학은 일본의 식민주의 전반 즉 군사주의와 전체주의, 자원입대와 내선일체 등을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식민주의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광수는 스스로가 친일을 했음을 인정했고, 단순히 일제의 외압에 의해 작품 활동을 했다기보다 스스로 내적 논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일문학을 창작했다. 평론, 소설, 시, 수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글을 썼을 뿐 아니라, 강연회와 문인협회 조직 등 작품 내적, 외적으로 다양한 친일행위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광수의 친일문학에 대한 연구는 친일행위에 집중한 나머지 문학은 외면하는 양상을 띠어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광수의 친일을 논하는데 있어 단순히 친일행위에 집중하여 이를 조명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의 친일문학 형성에 있어서 작가 개인의 창작 욕구에 의한 부분과 일본의 식민주의 정책에 의한 부분을 함께 살펴보려 하였다. 1910년대와 20년대의 이광수는 정신적 자각에서 기초한 ‘변화’를 꾀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유교를 비롯한 조선의 구습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식과 체제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준비론과 실력양성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는 변화를 바탕으로 한 민족성 개조와 실력양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광수가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 있었다. 바로 교육의 중요성이다. 일본의 신지식과 신체제를 조선인에게 교육하는 것, 이광수에게 있어 교육은 일제하 혼란스러운 조선의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은 조선인을 능히 일본인으로 만들어줄 수 있고, 조선을 일본화(化)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이었다. 한편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의 외부적인 발생요인으로는 국민문학론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광수의 내선일체논리는 이미 1910년대부터 그 기초가 마련되어 있었고, 1930년대 후반 일제의 식민지배 정책 중 하나인 국민문학론의 등장과 맞물려 내선일체지향소설로 나타났다. 일본어를 문화어로 규정하는 일본어상용정책을 통해서 문학을 도구로 삼아 일본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여 조선인을 ‘일본적 교양인’으로 양성하는 것이 국민문학의 목적이었다. 2장에서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이광수의 내적 논리와 일제의 식민지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조선에 대한 여러 정책과 맞물려 이를 홍보하고 선전하는 국민문학의 성격을 뚜렷이 띠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주장하는 바를 살펴보고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주장하는 바는 ‘조선인의 일본인화’이며, 이 논문에서는 이를 ‘생활의 황민화’, ‘생활의 임전화’, ‘조선(인)과 일본(인)의 일체화’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민족개조론과 그 궤를 같이 하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는 개조의 대상이 반드시 등장한다. 그 대상은 조선인이며 실제로는 조선 전체를 의미한다. 개조의 방법과 목적은 일본의 앞선 문화, 제도, 사소한 생활양식까지도 모두 이어받아 조선인의 철저한 일본인화를 꾀하는 데 있다. 4장에서는 이광수가 내선일체지향의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작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선인(內鮮人)간의 연애와 결혼, 교육을 통한 계몽, 징병제와 참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광수의 작품에서 내선인간의 결혼과 연애는 일본인 남성과 조선인 여성, 또는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결합을 통한 總親和가 목적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창씨개명’과 ‘내선결혼’이다. 특히 내선결혼은 이광수가 내선일체지향소설에서 일관되게 나타내고 있는 ‘정(情)을 통한 내선일체’의 방향에도 잘 부합되며, 내부적으로 조선과 일본을 결합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으므로 1940년대에 활발한 국책사업으로 홍보하기도 하였다. 교육은 조선인을 황민화 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광수의 여러 내선일체지향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이광수는 훌륭한 교육자 한 사람이 조선인 여럿을 변화, 감화시킬 수 있음을 작품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민족개조론」에서부터 이어져온 피라미드식 동맹이 조선민족의 개조와 조선인의 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징병제의 실시는 조선인에 대한 인적 착취였음에도 불구하고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서 완전한 일본의 국민이 될 수 있는 기회로 포장되었다. 결국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 드러난 내선일체의 목적은 ‘조선인의 일본인화’였으며 그 방법론은 ‘정(情)’을 통한 것이었다. 또한 이광수의 ‘내선일체’는 조선인이 일본인을 모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피와 살과 뼈가 일본인이 되어야 하는 것, 조선인이 완전한 일본인이 되는 것이었다. 1910년대 조선의 현실을 비참하게 자각한 이광수에게 있어 일본은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고 미래의 희망을 제시할 수 있는 이상향이었다. 결과적으로 일본을 지향하는 내선일체의 기본 논리는 1940년대까지 지속되었고, 그 과정에서 방법론만이 이따금 변화하였을 뿐이다.

      • 效率的인 漢字 學習 方法硏究 : 中學校 漢文 敎育用 基礎漢字를 중심으로

        박수빈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현장에 있으면서 정규교과에서 비입시과목이라 홀대받는 한문교육의 현실 속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반감시키고 한문 교과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단순 암기식 한자 학습 방법을 안타깝게 여겨, 학생들이 한문 교과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효율적으로 한자 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나름대로 구안할 필요성을 인식해왔다. 본 연구는 정규교과로서 한문을 처음 접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한자를 쉽고 재미있게 하는 학습 방법이 한자학습의 흥미유발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한자어와 연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한자어의 활용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한자의 기초가 되는 부수의 字源을 우선적으로 학습하여 부수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도록 지도하고, 둘째,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를 구성 원리와 응용원리에 따른 육서의 짜임을 통해 지도하였다. 셋째, 게임을 통해 한자 학습에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율적으로 한자를 암기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제천시에 위치한 00중학교 학생들 가운데 현재 한문을 배우고 있는 1학년 2개 반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행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가운데 한자 영역만을 연구 범위로 국한시켰고,《康熙字典》이후 대부분의 한자 자전에서 채택하고 있는 부수 214자의 자원과 육서별 짜임을 우선 학습한 후, 교과서의 새로 배울 한자를 형성원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한자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연구를 제한하였다. 부수 학습의 범위는 음·뜻과 자원을 학습하는 것으로 제한하였고, 부수 한자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獨體字를 중점 지도하였다. 육서별 짜임 학습은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가운데 비교적 짜임 분류가 명확한 것으로 한자의 형성원리인 상형, 지사, 회의, 형성 등을 학습하고 전주와 가차 등 운용의 원리에 관하여는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학생들이 소지하고 있는 字典마다 제각각 다르게 나와 있는 부수의 자원에 관한 설명은 『漢字部首解說』을 기준으로 하여 지도하였고, 중학교 교육용 900 한자의 육서별 분류와 자원에 관한 설명은 『常用 2000 漢字 形音義 源流字典』을 참고하였다.

      • K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박수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 프로틴 경력태도를 조절변인으로 하여 감성지능과 직무만족간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성지능, 직무만족, 프로틴 경력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3-1. K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3-2. K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가치지향성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국내 K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총 500명에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447부를 유효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측정한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감성지능, 직무만족, 프로틴 경력태도의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감성지능과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로는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특히 감성활용은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감성조절, 자기감성이해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 다른 하위요소인 타인감성이해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로는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는 자신의 책임 하에 자기 주도적이고 내적 가치를 추구하는 프로틴 경력태도가 자신의 조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직무만족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경력관리의 일환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문제 3의 결과,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변인별로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성조절과 프로틴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의 상호작용만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감성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감성이해와 프로틴 경력태도의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의 상호작용은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절효과가 모두 미미하게 나타났고 감성지능과 프로틴 경력태도의 하위변인 간 상호작용이 모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아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용자의 정치성향과 언론사의 이념성 지각이 적대적 매체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수빈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태극기와 촛불로 대변되는 정치적 이념성 분화는 보수와 진보를 넘어 극우와 극좌로 양극화되는 현상이 정치 집단을 분화한다. 이러한 사회 양극화로 정치 집단의 구성원이 이용하는 언론은 그들의 지각적 편향을 강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 연구는 수용자가 인식하는 언론의 이념성과 실제 보도내용에 대한 편향지각의 관계를 규명한다. 정파적 수용자일수록 메시지가 “그들의 이념성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향되었다고 지각하는 것을 기본 가설로 삼는 적대적 매체지각 이론이 유용한 틀이라 판단하여 이 이론을 중심으로 정파적 수용자와 언론사의 이념성 지각의 관계를 탐구했다. 개인의 정치성향과 언론사의 이념성 지각이 메시지에 대한 편향지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V조선과 채널A 조건부 재승인 건을 갈등적 이슈로 설정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보수, 진보 성향의 수용자는 중도 성향의 수용자보다 편향지각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의견에 따른 편향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다. 주목할만한 점은 보수 성향의 수용자와 진보 성향의 수용자의 편향지각 방향이 같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처치물로 제작된 기사가 두 종합편성채널 재승인을 찬성하는 방향으로 편향되었다고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인을 갈등적 이슈로 선정한 종편 재승인 건에서 탐구했다. 또 실험에 활용된 TV조선, 채널A, 조선일보, 한겨레에 대한 이념성을 보수적, 혹은 진보적으로 인식할수록 편향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론사의 이념성이 수용자들의 편향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로 정파 언론이라는 특수한 언론의 환경이 수용자의 편향지각과 함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수빈 고려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아집단이 남아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취업모의 스트레스 상황 대처 시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 사회적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와 기관기반 교육 참여가 높을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에는 유아의 성별과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별로는 유아의 성별,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아의 인기도/지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성별과 취업모의 낙관성은 유아의 사회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실정에서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하여 보다 폭 넓은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아동 및 청소년기에 국한되어있던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들에서 벗어나 자녀 양육과 직장 간의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져 있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부모상담 및 유아교육 기관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혈류제한 저강도 근력 트레이닝이 노인여성의 혈중 VEGF와 SCLEROSTIN 농도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Serum VEGF, Sclerostin,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women. Twenty-one elderly women subjects (78.7 ± 6.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with blood flow restriction(BFR-LRT, n=8); high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HRT, n=8);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LRT, n=5). All subjects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serum blood test(VEGF, Sclerostin, Bone ALP, CTX), calcaneus bone mineral density(BMD), maximum strength(1RM), muscle functional test before initial resistance training and after last resistance training. Both the BFR-LRT and LRT groups worked out knee extension and leg curl exercises at 20% of each estimated one-repetition maximum(1RM), and HRT group worked out knee extension and leg curl exercises at 70% of each estimated 1RM , 3 days per week, for 12 weeks. After 12 weeks, serum VEGF level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group compared to HRT and LRT groups. Serum sclerostin level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mong three groups. Serum Bone ALP level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and HRT groups compared to LRT group. Serum CTX level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mong all groups. Calcaneus BMD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and HRT groups compared to LRT group. Calcaneus BMD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mong LRT group. Maximum strength(1RM)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and HRT groups compared to LRT group. 2-minute step tes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all groups. 2-minute step test hav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Chair stand tes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group compared to HRT group. Chair stand test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mong LRT group. 2.44 up-and-go test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among BFR-LRT and HRT groups. 2.44 up-and-go test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mong LRT group. In conclusion, despite using low intensity load, BFR-LRT is a efficient training alternative to HRT for improving bone and muscle metabolism in older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