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박수빈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의료 시스템 내 퇴원 과정에서 뇌졸중 환자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의료기관에 입원해있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을 탐구하고, 나아가 국내 의료 시스템 내에서 퇴원 시 고려해야 할 맥락과 방향을 작업치료 관점에서 확인하며 작업치료사 역할 의 필요성과 서비스 내 작업치료 접근 방향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병원에 입원 중이며 집으로 퇴원을 예정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6명이었으나 중도에 참여 거부의사를 밝힌 1명을 제외하고 최종분석단계에는 총 5명이 포함되었다. 자료 수집은 심 층면담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8월부터 2022년 10월 까지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진행되었으며, 퇴원 일주일 전에 시행하 였다.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였고, 참여자별 면담횟수 는 3-5회였다. 면담은 "퇴원을 준비/결정하는 경험(또는 심정)이 어떠신가요?" 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진술 내용이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뤄졌으며,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기술을 그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에 대해 6개의 구성요소와 17 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확인한 뇌졸중 환자의 퇴원 경험의 의미구 조는 ‘자율성이 통제된 병원에서 벗어나 사회와의 연결과 의미 있는 작업 참 여를 위해 퇴원 후 대면할 어려움을 대비하고 병원 밖의 일상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과정’이다. 이에 구성요소는 ‘힘든 병원생활의 연속에서 벗어남’, ‘미래에 대한 두려움’, ‘필요한 정보 접근의 어려움’, ‘일상생활에 적응하려는 의지’, ‘자 기발전에 대한 고찰’, ‘앞으로의 삶에 대한 기대’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이 퇴원을 통해 자율성이 통제된 병원에 서 벗어나 일상으로의 복귀와 의미 있는 작업으로의 참여를 통해 사회에 속하 며 자신의 삶으로 돌아가고자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들의 퇴원 준비 과정이 구체적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퇴원 후 다양한 어려움들을 실제 직면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퇴원을 결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에 서 당사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퇴원 후 의 삶을 지지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영국 Localism Act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지역공동체 입찰권리를 중심으로

        박수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서울은 도시개발 단계에서 저성장 및 안정과 성숙의 도시 관리 시대로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도시재생은 2013년에 도시재생특별법의 제정과 함께 낙후·침체된 지역에 대하여 지역의 특성과 맥락, 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종합적 재활성화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회적 기조와는 다르게 도시재생이 일어나는 지역에서는 필연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급격한 임대료 상승을 유발하며 원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 결과 지역 정체성의 상실, 커뮤니티의 붕괴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어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자체가 사회적 문제로 언급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 보다 앞서 도시재생을 경험하고 선제적 방안을 구축한 영국에서는 Localism Act를 제정하여 지역공동체의 권한을 강화시킴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역공동체(community)가 지역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끄는 주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역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해 영국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의 실태를 점검한 후 향후 정책 보완에 시사점을 얻고자 영국 Localism Act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공동체 입찰권리(Community Right to Bid)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는 작동원리 및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도시재생과정에서 우려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외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 결과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활동 사례들이 존재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미흡하였다. 이에 반해 영국 Localism Act는 지역공동체에게 새로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지역주민들 스스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지역공동체에게 부여된 새로운 권리는 크게 3가지로 첫째, 지역 내 공공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발언권 둘째, 지역사회에 필요한 부동산을 건설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건설권 셋째, 지역사회에 공공의 가치가 있는 물리적 자산을 입찰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입찰권이다. 이 중 지역공동체 입찰권리는 지역공동체에게 자산에 대한 선제적 입찰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간직한 지역 상점이나 펍 등이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이었다. 실제 Ivy House pub의 사례를 통해 확인한 결과 입찰권리 작동의 핵심은 지역자산 보호 장치인 ACV제도와 지역공동체 자금조달 방안 중 하나인 지역공동체주식(Community Shares) 그리고 지역공동체 연합 네트워크인 로컬리티(Locality)의 역할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 보존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지역자산을 민간투기자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입찰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며, 둘째, 이 권리의 국내 도입 시 자유로운 매매의 제약에 따른 손실을 보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공동체 권리의 효율적 이행을 돕는 로컬리티와 같은 중간지원조직 역할이 필요하며 넷째, 지역공동체주식과 같은 self-financing 기법을 도입하여 지역공동체 스스로 자금조달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산 보호가 가능할 것이다. The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has shifted to one that aims at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the area. However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can be caused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such as a sharp increase in rental price, involuntary out-migration of small business, and loss of local identit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in how to prevent the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ommunity Rights in Localism Act of UK.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UK government provides Community Right to Challenge, Community Right to Build, Community Right to Bid to local residents for preventing side effects of gentrification. From among these, Community Right to Bid is that local community can take precedence over private capital enterprises regarding real estate purchase and aims at protecting valuable asset of the region. Asset of Community Value and Community Shares, is the main mechanism of Community Right to Bid, are schemes to help self-financing through issue of shares. And also Locality has a key role to help community to carry out the right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Right to Bid with incentives to owners. And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ity and Community Shares to help community to carry out the right effectively. These should be applied in reflecting the domestic situation.

      • 냉각속도에 따른 탄소섬유/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물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수빈 嶺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cooling rate on the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polypropylene composite. Press molding was carried out by varying the cooling rate in four ways. Changes in properties observed as the cooling rate were var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cooling rate were studi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tensile test, flexural test, interlaminar shear strength(ILSS) test, drop-weight impact test and mode I test As a result of the cooling rate, the crystallinity of the So Fast(6.0℃/min) specimen is decreased by 35.2% and tensile strength, tesnsile modulus, flexural strength, flexural modulus, ILSS were also decreased. And the cooling rate increased, the impact maximum force increased and the impact absorption energy decreased. Load of the mode I increased with increased cooling rate.

      • 경증이상의 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 장기용양서비스 이용여부와 인지기능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 중심으로

        박수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수준과 우울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장기이용 서비스 이용여부가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의 인구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노년기 장기화로 일어날 수 있는 노화의 과정, 그중에서도 인지기능 저하는 노화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우울 증가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수준과 우울의 관계를 보고, 나아가 문헌검토를 통해 최근 인지기능 어려움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조절변수로,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가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Pearlin 외(1981)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경증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를 스트레스 원, 그 결과 나타나는 우울을 스트레스로 대입하고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가 스트레스 원과 스트레스의 관계의 조절요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 수준은 노인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기본조사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분석대상은 인지기능검사와 우울 관련질문에 직접 응답하고, 인지기능 점수가 24점미만으로 경증이상의 인지기능 장애가 있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노인 3,020명이다. 본 연구는 횡단 연구로 노인의 인지기능 수준과 우울 수준의 관계 분석하는 데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검증하고자 하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 외에 종속변수에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언급된 유의한 통제변수, 독립변수, 조절변수의 차원을 나누어 투입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정 방법은 OLS 추정 방법을 사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 수준이 노인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할 수준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증인지장애 노인은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여부에 관계없이 우울수준의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기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증인지장애 노인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이용하는 집단의 우울수준이 유의할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노인의 인지기능 평가 시 우울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조기 치료나 정기적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장기요양서비스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인지기능이 경증 혹은 중등/중증인지를 구분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표본의 대표성을 보완하고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 기초하여 조절 효과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지만, 자료의 한계로 시설에 거주하는 장기요양등급 1-2등급 인정 노인을 제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을 전체 장기요양 인정 노인을 대표하는 연구 결과로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횡단적으로 조사가 실시되어 인지기능 수준과 우울의 관계, 장기요양서비스의 조절 효과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인지기능수준과 우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그리고 개인적 특성을 Pearlin 외(1981)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스트레스 원, 결과, 이를 조절하는 요인, 그리고 스트레스 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배경 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지기능 수준과 우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인지기능이 우울로 연결되는 과정을 완화할 수 있는 심리적 차원의 개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 사회 과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장기요양서비스가 노인의 우울수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인지기능 수준 별로 개입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level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cognitive level and using long-term care service.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earlin et al.‘s Stress-Process model(1981). The Stress-Process model was used to frame cognitive level as a stressor, depression as an outcome, and long-term care service as a moderator.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cognitive level affect depression in the elderly? Second, does using long-term care service differe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vel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in cognitive level? To verify each question, analyses were based on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is study used an analytic sample of 3,020 older adults who had mild, moderate or severe cognitive impairment(MMSE score < 24) and answered the SGDS(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is study used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including interaction terms.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cognitive level on older adults’ depression was significant. Older adults’ who had lower cognitive scores had higher depression scor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using long-term care service on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vel and depress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in cognitive level. In other words, elderly with relatively low cognitive score had no difference in depression score whether they use long-term service or not. However, elderly with relatively high cognitive scor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score whether they use long-term service or not. When using long-term care service, depression score was much higher. Therefore, in the group where the elderly do not use long-term care service, elderly with low cognitive impairment had higher depression score than elderly with high cognitive impairment. But in the group where the elderly use long-term care service, elderly with high cognitive impairment had higher depression score. To summarize, this research suggests when older adults test their cognitive status, they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 risk of depression and regularly manage their emotion. Also, to practice long-term service in a positive way, the service should intervene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has mild or severe cognitive impairment. Those with relatively high cognition seem to require additional psychological intervention. Until now, long-term service heavily emphasized helping daily, basic tasks and satisfying the users’ physical needs, but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rapies to improve emotional states should also be delivered integrally, especially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유체주입사출성형의 2차 유체 물성 변화에 따른 중공성형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박수빈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체주입사출성형은 중공 제품의 생산을 위해 1차 수지를 사출하고 2차 유체를 주입하여 내부에 중공을 성형하는 공정이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유체는 가스와 물이 있다. 최근 두 유체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리콘 오일을 도입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였을 때 내벽 품질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는 유체의 인자 변화에 따라 중공 형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향을 주는 인자를 점도와 열 물성으로 설정하고 수치 해석을 통해 중공 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상 유동을 해석할 수 있는 COMSOL을 사용하였으며, 열전달 현상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점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차 사출하는 수지를 ABS로 설정하고 2차 주입 유체는 물과 다양한 점도(0.001 ~ 1,000 Pa‧s)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였다. 형상에 따른 점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직관과 곡관을 해석에 사용하였다. 열 물성 변화에 따른 영향도 분석의 경우, 실리콘 오일과 물의 물성을 대상으로 해석하였다. 중공 성형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잔류 벽두께와 중공의 편심도를 조사하였다. 점도에 따른 중공 성형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해석 결과 직관의 경우, 2차 주입 유체의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 벽두께는 약 14% 감소하며 불균일하게 형성되었다. 곡관의 경우, 바깥쪽 벽두께는 약 4% 감소하고 안쪽 벽두께는 약 3% 증가하였으며 직관과 같이 잔류 벽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편심도는 약 1.8% 정도 향상되었다. 두 형상 모두 2차 주입 유체의 점도가 1차 주입 유체 점도의 1/10이 되었을 때부터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열 물성에 따른 중공 성형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해석 결과, 2차 주입 유체의 열전도율과 비열이 증가하였을 때 해석을 통한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아동기 성폭력 피해경험과 치유과정에 대한 문학상담적 고찰 : 두 편의 '성폭력 생존자 치유에세이'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박수빈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성폭력 피해경험을 담고 있는 자전적 에세이, 은수연의 『눈물도 빛을 만나면 반짝인다』와 너울의 『꽃을 던지고 싶다』를 분석하여 아동기 성폭력 피해경험과 치유과정을 생존자들의 삶의 맥락 안에서 이해하고, 글쓰기를 통한 자기서사 구성이 생존자의 치유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성폭력피해자들을 위한 적절한 개입 및 심리상담을 위해서는 피해자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언어로 그들의 고통과 경험을 듣는 일이 필요하며, 상담과정에 오는 내담자들은 자신만의 삶의 이야기를 갖고 오는 한 명의 사람이기에 범주화 된 지식 이면에 있는 구체적 삶의 이야기 속에서 경험의 의미를 이해해보는 과정이 상담자에게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를 분석하기에 앞서, 성폭력과 트라우마,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고, 자서전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본 연구의 언어활동을 경험의 서사화, 재현과 성찰로서의 쓰기, 대화와 이해로서의 읽기로 정리하여 문학상담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은수연의 작품에 나타난 세계 경험을 <성폭력 피해경험>, <가족의 반응>, <사람들의 반응>, <기억과의 싸움>, <나와의 만남>으로 정리하고, 너울의 작품에 나타난 세계 경험을 <기억의 침투>, <아동기 성폭력 피해경험>, <성폭력 피해의 영향>, <너울의 관계경험>, <기억의 직면>으로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성폭력 피해 경험의 생존자에게는 ‘어떤 피해와 고통을 겪었는가’를 세세하게 묘사하고 이를 현재의 시점에서 재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두 작가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기억을 다스리는 일이자 흩어져 있는 삶의 조각들을 모아 전체 삶의 이야기에 통합하고 스스로에게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치유의 작업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폭력 피해로부터의 치유란 종결점이 있는 과정이 아닌 자기 스스로 자신을 돌보고 책임지는 자기양육의 과정이자 수동적인 존재에서 능동적인 존재로 전환되는 주체화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피해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피해로 인한 고통을 다룰만한 상태로 조절하거나, 때로는 고통을 지닌 채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고, 고통 때문에 보지 못했던 삶의 다른 다양한 부분으로 시선을 옮겨가는 것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삶의 경험을 자기언어로 생생하게 담고 있는 자서전을 분석함으로써 내담자의 실제 삶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한사람의 삶을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자로서 성폭력 생존자를 이해하고자 할 때, ‘성폭력’이라는 명제 아래 일반화할 수 없는 개인의 다양한 삶의 기반과 현실, 경험의 고유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상담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텍스트를 통해 인간 경험을 추체험하고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며 연구자 본인 스스로의 관점을 검토하는 문학상담의 과정이자, 상담자로서 타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을 성찰하여 성장시켜나가는 자기교육의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한 사람의 삶의 경험을 자서전을 통해 이해하는 문학상담의 연구과정이 한 인간으로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뿐 아니라 상담자로서의 태도를 성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성폭력, 트라우마, 문학상담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 : Google A.I. Experiments를 활용한 통합예술 교육 방안

        박수빈 공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estyle has been changed with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dustrial revolution with automation have enhanced the convenience of daily life in various ways. Despite in most areas machines are replacing human labor, it is recognized that art can not be taken over by robots for the reason that it requires the creativity and intuition which only human being can have. However, the situation has changed with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deep learning. Machines with the A.I. have started to learn and imitate art works based on the huge amount of art materials in history and high processing speed of computers. Since the A.I. allows machines to perform almost like human - from copying a painting in the style of a various age to writing novels, dramatizing a scenario and composing music - artists now are no longer free from the threat of automation. At this point we need to take a look at the position that artists should take in this era of paradigm shift. In this study, I first examine the definition, history and current addr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I studied which kind of art is already using A.I. and how the definition of art and teaching art would be chang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n I analyze ‘Google A.I. Experiments’ that can be used for integrated curriculum of art education tools.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유형과 관계재에 관한 연구 :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박수빈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 따른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각 잠재프로파일과 개인적 요인에 따른 관계재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저성장과 고실업, 불확실성의 사회·환경적 어려움 속에서 청년들은 새로운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가구형태의 다양화로 1인가구의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청년 1인가구의 비중이 특히 높다. 그간 청년 1인가구는 취업 전 또는 결혼 전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단계로 여겨져 왔으나 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결혼 인식의 변화 등으로 청년 1인가구의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1인가구 특성상 취약할 수 있는 관계의 부재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관계 그 자체로 재화인 ‘관계재’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1인가구의 증가와 함께 사회적 고립의 문제가 고독사와 맞물려 적극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한 바,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관계재를 통하여 청년 1인가구가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시간을 탐색하고,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과 어떠한 개인적 요인이 관계재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이 2019년 발표한 ‘생활시간조사’와 생활시간조사의 ‘함께한 사람’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Mplus 8.8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유형을 평일과 주말, 그리고 필수, 의무, 여가시간으로 나누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잠재프로파일간 차이와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는 Stata 15.1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을 더미변수 처리하고 관계재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관계재는 ‘총관계재’, ‘가족과의 관계재’,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평일과 주말 모두 3개씩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생활시간 사용 특성에 따라 평일 3집단은 ‘평일학습집중형’, ‘평일일집중형’, ‘평일여가집중형’으로 명명하였으며, 주말 3집단은 ‘주말학습집중형’, ‘주말수면여가집중형’, ‘주말일집중형’으로 명명하였다. 평일 잠재프로파일간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평일학습집중형’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하였을 때 가구총소득이 높을수록, 취업형태가 전일제 근로일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평일일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학습집중형’과 ‘평일여가집중형’과의 비교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평일여가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평일일집중형’을 기준집단으로 나머지 잠재프로파일인 ‘평일여가집중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행한 결과 시간제 근로인 경우, 피곤할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평일여가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 잠재프로파일간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는 ‘주말학습집중형’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하였을 때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주말수면여가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학습집중형’과 ‘주말일집중형’과의 비교 결과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을수록 ‘주말일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집단을 ‘주말수면여가집중형’으로 설정하여 ‘주말일집중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진행한 결과, 남성인 경우 ‘주말일집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관계재를 평일과 주말로 나누어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로, 평일보다 주말의 관계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일과 주말 모두 가족과의 관계재보다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 1인가구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관계재 평균 시간은 평일과 주말 각각 여가시간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일여가집중형’과 ‘주말수면여가집중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년 1인가구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을 더미변수 처리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총관계재, 가족과의 관계재,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의 순서로 제시하였다. 먼저 총관계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평일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서 개인적 요인 중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총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일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 중 ‘평일여가집중형’의 총관계재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말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서는 개인적 요인 중 나이가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낄수록 총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주말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 중 ‘주말수면여가집중형’의 총관계재 양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과의 관계재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평일 청년 1인가구 생활시간 사용에서는 아파트에 거주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일에 청년 1인가구의 가족과의 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말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주말에 청년 1인가구의 가족과의 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과 주말 모두 잠재프로파일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평일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일 청년 1인가구 생활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 중 ‘평일여가집중형’이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말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에서는 시간이 부족할수록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말 청년 1인가구 생활시간 사용에서 ‘주말수면여가집중형’의 기타 아는 사람과의 관계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을 바탕으로 총체적인 일상생활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지는 청년 1인가구에게 열린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그간의 청년에 관한 연구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고용 안정과 일자리 제공 등의 문제 기반적 접근을 해온 바, 기존의 문제 중심적인 접근의 분석 방법과 관점을 달리하여 사람 중심의 분석 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셋째, 증가하는 청년 1인가구와 그에 따른 사회적 관계 문제와 관련하여 관계재 개념을 통해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관계재가 행복의 변수라는 점에서 궁극적으로는 청년의 행복과 안녕에 관한 접근이라는 점에 의의를 둔다. 나아가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의 문제가 새로운 이슈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립의 측정이 어렵고 표준적인 도구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 객관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관계재 개념을 도입하였다는 데에서 방법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living time us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goods according to each latent profile and personal factors. Young people are emerging as new socially vulnerable groups amid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of low growth, high unemployment, and uncertainty. Meanwhile, the propor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s particularly high amid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household types. Until now,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sidered temporary before employment or marriage, but the increase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s expected to continue due to instability in the job market and changes in marriage awarenes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Relational goods' regarding the absence of a relationship that may be vulnera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long with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is linked to the ‘Lonely death’, so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active alternatives. Therefore, after exploring the time that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spend with other people through relational goods, which are variables that affect happiness, we tried to find out which latent profile and personal factors can increase relational goods. This article uses a secondary data from a survey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in 2019: 『Time Use Survey』. First, using the Mplus 8.8 statistical progra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type of time us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to weekdays, weekends, and essential, obligations, and leisure time. Based on these results,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latent profiles were verifi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processing the latent profile as a dummy variable using the Stata 15.1 statistical program and setting the 'relational goods' as a dependent variable. Here, the ‘relational goods’ consisted of 'total relational goods',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and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number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time us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s 3 for both weekdays and weekends. According to the time usage patterns of each group, the 3 groups on weekdays were named 'weekday study intensive type', 'weekday work intensive type', and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And the 3 groups on weekends were named 'weekend study intensive type',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and 'weekend work intensive type'.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of latent profiles on weekdays, when the 'weekday study intensive type' was set as the reference group, the higher the household gross income, the full-time worker, and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weekday work intensive typ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weekday study intensive type’ and the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with 'weekday work intensive type' as the reference group, it was found that part-time work, the more tired, and the better th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between weekend latent profiles are as follows. When the reference group was the 'weekend study intensive type', the more they felt that there was no shortage of time and the better their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weekend study intensive type' and the 'weekend work intensive typ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weekend work intensive type'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low, when there was no shortage of time, and when leisure satisfaction was low.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ith the 'weekend work intensive type' by setting the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as the reference group, it was found that ma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weekend work intensive type'.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by dividing ‘relational goods’ into weekdays and weekend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relational goods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were found to be more than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In addition, it was the average time of relational goods by latent profil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s the highest in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and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that use leisure time the most on weekdays and weekends. Final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reating the latent profil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ummy variable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otal relational goods,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and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Firs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total relational goods’ as a dependent variable are as follows. Among the personal factor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days,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 the higher the total relational good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latent profile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days, the total relational goods of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was the most. On weekend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personal factor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younger the age,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more time felt insufficient, the more total relational goods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relational goods of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was the largest among the latent profile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end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as the dependent variable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lived in apartments on weekday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heir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on weekdays. As for weeken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higher the income and the better the health status, the more relational goods with family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ends. Differences between latent profiles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health statu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days, the more relationships with other acquaintan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latent profiles of time use by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days, the ‘weekday leisure intensive type’ had the most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Whe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ends felt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it was found that their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use of tim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on weekends, the relational goods with other acquaintances of the 'weekend sleep & leisure intensive type' was the most comm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n open approach to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various lifestyles by identifying the overall daily life structure based on the use of living tim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vided basic data accordingly. Second, studies on young people so far have been problem-based approaches such as job security and job provision to solve economic difficulties. Therefore, it is methodolog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introduces a person-centered analysis method, latent profile analysis, by differentiating the perspective from the analysis method of the existing problem-oriented approach. Third, an approach was attempted through the concept of relational goods in relation to the social relation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n that relational goods are variables of happiness, it is ultimately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pproach to the happiness and well-being of young people. Furthermore,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s emerging as a new issue, but it is difficult to measure isolation, and standard tool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Therefore, it ha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in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lational goods that can be objectively meas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