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인의 발명에 대한 태도

        김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일반인의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을 알아보는 것으로,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 지역, 직업군, 최종학력)과 교육적 배경(발명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일반인의 발명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형규(2012)의 발명태도 검사지를 기초로 발명교육 교수 1명과 발명교육 전공 대학원생 3명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일반인에게 적합한 표현으로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2022년 5월 01일부터 5월 25일까지 일반인 총 316명을 대상으로 발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의 발명태도는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관심적 태도, 실천적 태도 순으로 발명에 대한 인지적 태도 수준은 높은 편이나 실제로 발명하는 실천적 태도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실천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령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30대가 높은 태도 수준을 갖고 있었다. 넷째, 거주지역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도권 거주자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직업(군)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전문가 및 관련 분야 종사자(교육, 의료, 연구, 예술적 창작활동 등)가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여섯째, 최종학력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일곱째, 발명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발명교육경험자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이를 종합하면,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 교육적 배경과 발명 태도에는 상호적 관계가 보였으며, 특히 발명 경험 여부는 발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을 유도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발명의 대중화와 더불어 발명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반인이 지속적으로 발명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체험형 위주의 발명교육 경험 기회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and make clear the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 depending on their general background: gender, age, region,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 as well as educational background such as experiences in the in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inventive attitude test paper produced by Im Hyung-kyu (2012), the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in more appropriate expression for general people as advised by a professor who specialized in the invention education and three graduate students who studied the invention educa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attitude of invention, targeting a total of 316 ordinary people from May 1 to 25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multivariate analysi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ublic turned out to be high in order: cognitive attitude, emotional attitude, interested attitude, practical attitude—and the cognitive attitude level of invention was high but the practical attitude level to make actual inventions was relatively low.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ublic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but the men had higher practical attitude than women. Third,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had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people in their thirties had high attitude level.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by region they lived but the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high invention attitude level. Fif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by occupation and especially, the specialists and related workers in the fields like research, medical treatment, education, artistic and creative activities showed higher invention attitude level. Six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by academic background and especially,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invention attitude level. Seven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level of inventions in general people by whether they had experienced the invention education and specifically, those who had experienced the invention education before showed higher invention attitude level. To sum up, this study discovered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gener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general people and their inventive attitude and especially, the invention experiences could make them interested in the invention and make inventions constantly. Therefore, it’s required to make endeavor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hands-on invention education where the general people can experience and make their inventions in a bid to popularize the invention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the invention.

      • 발명문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김은숙 서울敎育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analyse general public’s cognition of invention culture. A total of 401 people who live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s survey tool in this study, modified questionnaire was used, based on 「the index system of invention culture」 originated from Kwon O-ill(2015).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is survey were modified and integrated moderately to general public. And they were reconstituted by examination the content validity and internal reli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3, 2016 to October 19, 2016. The researcher selected the regional surveyors who visited and conducted the survey. The surveyor explained the nature of survey and provided background of the intent of this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by the participants at the time of contact and the data were collected, coded, edited and analyzed by「SPSS Statistics ver. 24.0」.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general public's invention cognition on the volitional and actional areas. Simple T-test and One Way ANOVA model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cognition on the invention culture according to the general public's features. For verification of ANOVA results, Scheffé test was also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to 「the index system of invention culture」. Cronbach’s α was used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To have a successful invention education, it’s important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can strength it. The general public are consumer, supplier of education, and creator of invention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general public are also the consumers and the main subject of the invention education. That means they make up the invention culture and can not be separated from invention education. The general public reinforce invention education as the supplier of invention education and promote the base expansion of invention culture as the creator of invention culture. In the environment of invention education, the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has great effects on embeddedness of invention education, the social function of invention,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us, in this paper, the study of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the invention culture was explored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volitional area of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the cognition of both ‘invention & invention history’ and ‘invention ethics’ showed high, and that of ‘invention field(museum・historical sites・science museum)' was high in sequence.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social activities related invention’ was low comparatively. The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the event participation related invention’ was definitely low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areas. And the cognition in the use of ‘mass media related invention’ showed the lowest. Second, For the actional area of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the general public’s experiences about ‘invention field(museum・historical sites・science museum)' were high. And the experiences of 'reading books related invention' were high in sequence. But those of 'competition related invention' and 'seminar related invention' were lower. Third, on the difference analysis of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by the general background(gender, age, residence area, profession, having school aged child), men showed higher cognition on invention culture compared to women besides the cognition of 'invention field'. People with professional background and in executive position had very high recognition for invention culture compared to the other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by age, location of resident, and the person having children in education. Forth, on the difference analysis by the educational background, people who had past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vention-related educations showed higher cognition of invention culture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in whole area. Compared to those who were exposed in early invention education, those who had recent experience with invention education had high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in part. However, they were not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whole. In conclusion, the general public's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showed generally higher level cognition in volitional area which asks interest,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value about invention culture. On the contrary, for the areas of invention culture that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cognition level was low. Considering the popularization of invention culture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nvention education, invention education can be promoted by the base expansion of invention culture. Therefore, the plan to promote cognition of invention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educational, political, and invention cultural perspectives. It’s important to reduce difference of cognition on invention culture areas by general public’s features. And it’s needed to try to enhance the cognition about invention culture on the whole. 본 연구는 발명문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조사 대상으로 참여한 일반인들은 조사 당시 서울에 거주하는 일반인 40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로써 권오일(2015)이 제작한 「발명문화지표」를 사용하였다. 권오일(2015)이 제작한 「발명문화지표」의 발명문화에 대한 설문문항을 일반인에 알맞도록 수정 또는 조정, 통합하였으며, 개발한 항목은 내용 타당도 및 내적 신뢰도 검사를 통해 타당한 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조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3일부터 10월 19일까지의 기간 중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 방법은 본 연구자가 지정하여 의뢰한 지역대표(위임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설문 대상자에게 조사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근거로 자기 기입 방식을 사용하였다. 위임자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coding) 과정과 수정・보완(editing) 과정을 거쳤으며, 「SPSS Statistics ver.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인의 발명문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발명문화 영역을 의지적 영역과 실행적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일반인의 특성을 일반적 배경과 교육적 배경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발명문화 인식을 구조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인의 특성, 즉 일반적 배경과 교육적 배경별 발명에 대한 인식 정도 차(差)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의 사후 검증 방법으로 Scheffé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일반인의 ‘발명문화지표’ 영역들 간의 상관도를 알아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연구를 시행하기 전, 사전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측정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ɑ계수 검증을 사용하였다. 발명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인 학교를 중심으로 볼 때, 교육 환경적 요인으로써 학교발명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요건이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일반인은 교육 수요자이면서, 동시에 교육 공급자이고 문화의 창조자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인은 발명교육 수요자로서 궁극적으로 발명교육과 분리될 수 없으며 발명교육의 주체이다. 일반인은 발명교육 공급자로서 발명교육 강화요인이다. 또한 일반인은 발명문화 창조자로서 일반인의 발명문화 인식은 발명문화의 저변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명교육의 환경적 관점에서 볼 때, 일반인의 발명문화의 인식(친숙도)은 발명교육의 착근성과 발명의 사회적 기능, 국가 경쟁력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발명문화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발명문화에 대한 일반인의 의지적 인식에 대한 조사에서, 일반인은 ‘발명 및 발명역사’와 ‘발명관련 윤리’에 대해 동일하게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발명관련 현장’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발명관련 사회활동’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발명관련 행사’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발명문화의 타 영역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명관련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의 발명문화에 대한 체험‧경험적 인식을 조사하였는데, 일반인은 ‘발명관련 현장(과학관‧박물관‧유적지)’에 대해 가장 높은 친숙도(인식)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발명관련 서적’의 구독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관련 대회’와 ‘발명관련 연구․세미나’에 대한 참여 경험 등은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별 발명문화 인식 차이에 대해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높은 발명문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발명관련 현장(과학관‧박물관‧유적지)’에 대해서만은 여성이 높은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직업군별 발명문화 인식 조사에서는 관리직, 전문직 등의 직업군이 타 직업군에 비해 월등히 발명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별, 거주 지역별, 학령기 자녀 유무별 발명문화 인식 조사에서는 의미 있는 인식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반인의 교육적 배경별 발명문화 인식 조사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일반인의 발명교육 경험의 유무(有無)에 따라 발명문화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발명교육 경험 시기별 발명문화에 대한 인식에서 부분적으로는 발명교육을 조기에 받은 경우보다 최근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문화 인식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합적으로는 유의미한 인식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에 있어서 발명문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일반적으로 관심, 필요성, 참여 의지(의향), 가치 등을 묻는 의지적 영역에 대해서는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에 참여, 활용, 실행 등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위가 요구되는 발명문화 영역. 즉 실행적 영역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 결과를 나타냈다. 발명문화의 대중화가 발명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발명문화 저변확대는 발명교육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의 발명문화 인식을 고양하는 방안이 교육적, 정책적, 발명 문화적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일반인의 발명문화에 대한 영역별 인식 차이와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과 교육적 배경에 대한 발명문화 인식 차이를 해소하고 발명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와 일반인의 인식 비교 연구

        고승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들과 유아기 자녀를 두지 않은 일반인의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유아교육 발전에 보다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와 일반인의 유아교육기관의 필요성 및 선택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자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와 일반인의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자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와 일반인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자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와 일반인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5. 자녀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와 일반인의 유아교육기관의 부모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5개의 유치원과 8개의 어린이집 유아의 312명의 학부모와 무작위로 선정한 148명의 일반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질문지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학부모와 일반인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으로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컴퓨터의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필요성에 대해 유치원 학부모와 어린이집 학부모는 ‘꼭 필요하다’, ‘필요하다’, ‘그저 그렇다’ 의 순이었으며, 일반인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꼭 필요하다’로 응답하여 이러한 인식은 유아교육기관의 학부모와 일반인별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그러나 전반적으로 세 집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아교육기관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과 잠재력을 개발시키기 위해서’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균형 있고 조화로운 전인교육을 위해서’로 나타나,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 학부모와 일반인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또한 유아교육기관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교육비용보다는 교육 내용과 방법 등을 먼저 고려하고 있어 유아교육 및 기관에 대한 인식이 보다 발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영역 중 하위 문항인 입학 연령에 대해서 유치원 학부모는 ‘만 5세’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입학 연령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반면, 어린이집 학부모는 ‘만 3세’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탁아적 요소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며, 일반인은 ‘만 5세’, 그 다음으로는 ‘만 4세’, ‘만 3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을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 학부모와 일반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시간에 대해서 유치원 학부모는 ‘9시-오후 2-3시’에 압도적으로 많은 응답을 하였고, 어린이집 학부모는 ‘9시-오후 2-3시’로 응답한 그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 한다는 응답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운영시간 역시 맞벌이 부부나 취업모로 인한 유아의 보호적 측면이 강하게 드러남을 알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비 부담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부모가 일부+국가가 일부 부담’에 응답하여, 유아교육을 점차 공교육의 일부로 여기는 인식의 증가를 엿볼 수 있었으며, 국가적, 사회적 제도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어린이의 특성과 안전을 고려한 교육시설 및 설비’와 ‘넓고 쾌적한 학습 공간’에 대한 응답률이 높아, 유아교육기관의 학부모와 일반인 모두 교육 시설의 외양적인 면이나 규모, 안정성등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인적 환경 요인 중 원장의 자질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건강한 교육관’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원장의 교육적 전문성이나 운영 능력보다는 보다 포괄적인 인격적인 요소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도 무엇보다 ‘사랑과 애정있는 마음’에 비중을 둠으로서 아동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사랑을 우선 순위로 보고 있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과정의 중심을 이루어야 할 요소에 대하여는 ‘유아의 성장 발달’과 ‘욕구 및 흥미’를 중요시 여겨, 유아교육과정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발달 단계에 적합하여야 하며 흥미를 이끌어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 유발하는 것이 고려되어져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중심을 이루어야 할 요소에 대해서는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각 영역별 (인지, 정서, 신체, 언어)활동 중심 프로그램’에 가장 많은 반응률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양한 놀이를 통한 경험 중심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유아교육기관의 학부모와 일반인 모두 활동. 경험 중심 프로그램을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반면, 문자 교육이나 영재 교육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반응률을 보여 교육에 대한 인식의 발전과 아동 중심 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산을 엿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유치원 학부모와 어린이집 학부모, 일반인 세 집단 모두가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긍정적인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자녀를 교육시키는데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꼽고 있어, 부모 역시 자녀 교육에 대한 많은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유치원 학부모와 어린이집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시 ‘이웃사람, 친구, 유아교육기관에 다녔던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서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받고 있었으며, 신문, 잡지와 같은 대중 매체는 소수의 학부모들이 이용해, 인적자원에 많이 의존하여 신뢰도가 높은 곳으로 자녀를 보냄으로서 그만큼, 유아교육기관 선택시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정보처로부터 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한 정보, 교사의 자질에 관한 정보, 유아교육기관의 규모와 교육 여건‘ 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and improve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what people think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expectations are to the organizations in 3 groups; parents who have young children who go to preschool or kindergarten, who go to daycare, and others who do not have those aged children. Below shows detailed questions to achieve this research. 1. What do two groups of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 or daycare, and the people who dont have those age children, think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are there differences among those 3 groups? 2. Is ther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or daycare, and what do they think about those organizations operating systems? 3. What do two groups of people who send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or daycare and who dont have those children think about those institutions educational environment?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4. What do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or preschool think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s curriculum, and is ther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5. What do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or daycare, think about institutions parental education and is ther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To analyze above 5 questions, I surveyed to the 312 random parents of the 5 kindergartens and 8 daycares and 148 people who do not have those age children. The collected survey was compa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groups by using X2,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in this entire process. When I sum up this research, it will be the below. First, in terms of the early childhood organizations necessity, the parents of kindergarteners and day cared children ranked necessary, needed, neutral and others ranked necessary followed by needed. Therefore, there was slight difference between those groups in terms of statistics(p< .05). However, overall, all 3 groups admitt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cializing and developing potential ability from the similar age group was the number one reason that they ne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next one was for the balanced overall educat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p> .05). When parents choose an institution for their children, they consider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methods before thinking about the cost. It shows that people think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econdly, when I asked about right age for children to start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ers parents said 5, daycare center childrens parents said 3, and others said 5 the most, 4 the second, and 3 the last. It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ose 3 groups (p< .05). About the time schedule, both kindergarteners and day cared parents replied 9 a.m. 2 or 3 p.m. However, day cared childrens parents added additional times up to the parents requests. This shows that educational organizations also act as childrens babysitters since both of the parents work. People also wanted partial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irdly,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most people prioritized to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can protect childrens safety and a wide space for children to experience. It proved that everyone put priorities on various experiences and safety. When I asked about ideal directors of institution, people answered the most for healthy minded educators, and it proves that parents and others focus more on building personalities than learning some special facts. It was same to the teachers. People wanted warm-hearted teachers, so kids can learn the real meaning of love. Next, people believ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focused on childrens growth development, interests and motivation, so that the program is suitable for that child and children can be motivated and voluntarily involved with the education. In addition, people wanted to have activity based programs and experience focused. As a result, both parents and other people prefer fun activities and experiences, not about learning letters and other special programs like gifted children education. Next, all 3 groups of people recognize the necessaries of parental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because they all think that parents take important roles in educating children. Finally, when parents choose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ey gather information mostly from their neighbors, friends and others whose children go to that institution, but they do not depend too much on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refore, it shows that parents are more depending on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rough this information-gathering channel, people get some ideas about the teachers quality, the organizations size and situation and also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이미지 조사 : 내원환자와 일반인 비교분석

        신경선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4

        구강건강은 상병에 이환되어 있지 않고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구강조직 및 장기 상태를 의미하며 건강한 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을 유지하고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기술의 향상과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사회적인 보장 및 인식, 장래성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지식·정보를 원하고 있으며 의료보험의 확대로 치과진료의 조기예방에 일반인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자 구강보건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환자나 일반인 대상으로 좋은 구강위생관리 행위의 역할 모델이 필요하다. 환자 및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인식과 이미지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발전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바람직한 치과위생사 인식을 구축하여 치과위생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서울·경기도 지역의 20세 이상의 내원환자 104명과 일반인 96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23일부터 4월 13일까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내원환자와 일반인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이용도 특성에서는 직업과 치과규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나이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식도에서는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을 들어 본 경험, 치과위생사의 면허시험 인식, 치과위생사와 다른 직원을 구별하는 방법, 치과위생사를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의 면허시험 주체에 대한 이해와 치과위생사의 의료법상 위치에 대한 이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식도에서는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인식도와 방문목적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식도에서는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을 들어 본 경험과 치과위생사를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내원환자와 일반인의 치과위생사 인식도 차이분석에서는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을 들어 본 경험에서 내원환자의 69.2%, 일반인의 62.2% 들어 본 적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치과위생사의 교육과정 인식은 내원환자의 83.6%, 일반인의 77.6%가 대학이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면허시험 주체에 대한 이해는 내원환자의 77.9%, 일반인의 73.5%가 인식하였고 치과위생사와 의료법상 위치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 의료보조원이나 의료인으로 인식하였으며 17% 정도만이 의료기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다른 직업을 구별하는 방법에서는 하는 업무와 복장을 보고 많이 구별하였으며 치과위생사가 직접 본인을 소개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했다(p<0.01). 치과위생사를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에서는 선생님과 간호사 가장 많고 치과위생사로 부르는 경우는 내원환자에서는 8.7% 일반인에서는 4.1%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로부터 받아 본 의료서비스는 치과의사 보조업무가 가장 많았고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 구강방사선 촬영·스켈링, 예방업무 순으로 나타났다(p<0.001). 4. 내원환자와 일반인 이미지 차이분석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전문성과 숙련도, 친절도, 성실함과 책임감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이미지가 내원환자와 일반인의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을 체계적인 홍보 활동을 위해 치과위생사협회, 보건소, 치과위생사 양성기관 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단순한 치과치료에서 전문성을 인정하는 구강보건 전문 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하며 국민 모두가 치과위생사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홍보매체를 통해 홍보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유아교육 전문가가 추천한 CD-ROM Title과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의 비교평가

        홍미연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CD-ROM Title과 추천 이유 및 일반인들이 구매하는 CD-ROM Title과 구매이유를 조사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일반인들이 좋은 유아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 전문가의 추천이유와 일반인의 구매이유는 무엇인가? 2. 유아교육 전문가가 추천한 CD-ROM Title과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의 평가 점수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문가 35인이 10개씩의 추천한 350개의 CD-ROM Title 목록에서 공통적인 것을 추린 결과인 26개중 상위 20개 Title, 그리고 일반인 57명이 구매한 63개의 CD-ROM Title 목록에서 공통적인 것을 추린 결과인 22개중 상위 20개 Title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사용된 설문지는 추천하는 CD-ROM Title 10개와 추천시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이 무엇인지 개방형으로 기입하도록 구성되었다.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과 구매이유를 조사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매장에서 유아교육용 CD-ROM Title을 구입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방형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전문가가 추천한 CD-ROM Title 20개와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 20개를 평가하기 위하여 Buckleitner에 의해 개발된「Children's Software Revue(CSR) 소프트웨어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5개의 하위영역으로 나뉘며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 방법은 추천이유와 선택이유에 관한 설문지의 경우 비슷한 항목을 통합하여 정리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전문가가 추천한 CD-ROM Title과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의 평가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체 평가점수와 하위항목별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각각의 평균을 구하였다. 또한 CD-ROM Title의 평가점수를 점수 판단기준에 따라 나누고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전문가의 추천이유는 '내용이 교육적이며 연령에 적절하다', '개방적이다', '재미있다',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 '사용이 쉽다', '상호 작용적이다', '그래픽이 우수하다', '음향효과가 다양하고 재미있다', '난이도의 차이가 있다'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선택이유는 유아교육 전문가의 추천이유와 상이하게 달랐으며 '특정 개념(영어, 글자, 숫자 등)을 가르치기 위해서', '판매자의 권유', '표지에 있는 내용을 보고 좋을 것 같아서', '가격이 적당해서', '주위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 것', '아이들이 사달라고 하는 것', '도서나 연수에서 전문가가 추천하는 것'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평가점수 및 하위항목별 평가점수의 평균은 전문가가 추천한 CD-ROM Title이 일반인이 구매한 CD-ROM Title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평가점수의 평균을 '평가점수의 판단기준'에 비춰 보면 전문가가 추천한 Title의 전체 평가점수 및 하위항목별 평가점수는 모두 '우수하다'에 속하였다. 일반인이 구매한 Title의 경우는 전체 평가점수와 '사용의 용이성', '유아의 적합성', '흥미성' 항목에서는 '보통이다'에 속하였으며 '교육적 가치', '디자인 특성'항목에서는 '나쁘다'에 속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valid information helpful to choose the right CD-ROM Titl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D-ROM Titles which are recommend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reason for their recommendation, and the CD-ROM Titles which are purchased by general public and the reason for their purcha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ason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what is the one for purchase of the general public? 2. How are the ratings of the Titles recommend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Titles purchased by general public?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op 20 CD-ROM Titles recommended by 35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top 20 CD-ROM Titles purchased by 57 general public. Questionnair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comprised questions asking 10 recommendable CD-ROM Titles and the important reasons for the recommendation. For investigation of CD-ROM Titles purchased by general public and the reason for the purchase, people who purchased CD-ROM Titl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interviewed from the shop. Evaluation of the 20 Titles recommended by specialists and another 20 publicly purchased Titles was performed through use of 'Children's Software Revue Software Evaluation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Buckleitner. It is composed of 5 subcategories and has total 55 queries. Recommendation and selection reasons were merged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For the comparison of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itles recommended by specialists and the Titles favored by general public, total points and subcategory points were evaluated and mean values were obtained each. Additionally each points were rearranged by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and frequency and percent ratio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Recommendation the reas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ere 'educative and proper to children's age', 'open-ended type', 'enjoyable to use', 'integral accessibility', 'easy to use', 'interactive', 'superior graphics', 'interesting and varied sounds', 'distinguishable difficulty', and etc. Reasons for public selection we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specialists and were 'fit for special purposes like English, Korean alphabet, or arithmetic', 'seller's recommendation', 'impression from the cover', 'reasonable price', 'opinions from the people around', 'children's plea', 'specialists' recommendation from books or seminars' and etc. 2. The CD-ROM Titles recommended by specialists got higher points than the Titles favored by public in the average value of total score and subcategory scor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on, total and subcategory evaluation of the Titles recommended by specialists were both rated as 'good'. As for the Titles favored by public, they were rated as 'fair' in total quality and the subcategories of 'easy to use', 'childproof', and 'entertaining', and as 'poor' in the subcategories of 'educational', and 'design features'.

      • 전문가와 일반인의 환경위해도 인식 차이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장은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90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조사하여 두 집단간의 의견 차이점과 합의점을 파악하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773명의 일반인과 353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000년도 3월과 4월에 걸쳐 구조화된 질문서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환경문제 항목들은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것들로서 현재 우리나라 환경분야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세부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인이 전문가에 비해 환경문제의 위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해서도 일반인이 더 엄격한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환경문제의 위해성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해도 인식과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는데 즉, 위해도가 심각하게 나타난 문제일수록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문가집단과 일반이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위해도가 심각하게 인식되면서 동시에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된 문제는 ‘자동차 배기가스’, ‘공단의 대기오염 배출물질’, ‘산업폐수 및 기름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대기오염’, ‘가정, 공장 및 축산폐수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의 오염’, ‘지하수오염’, ‘공장 및 병원폐기물’, ‘쓰레기 및 음식찌꺼기’, ‘농약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오염’으로 나타나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관리방안은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주요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보면, 건강상태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정도는 일반인보다 전문가집단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을 위한 노력정도와 환경오염 개선규제,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대해 일반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이 문화적요인 중 법치주의, 개인주의, 경제개발주의에 동의하는 성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위해도 인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관련요인은 건강문제 관심도, 환경상태 만족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 관심도,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노력, 환경오염 개선 규제, 기업체의 환경오염 개선 노력,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경험, 위해 감소용이 성과 문화적 요인 중 법치주의, 평등주의였다. 위해도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피해경험,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이었고, 일반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과 피해경험, 건강문제 관심도, 법치주의, 가구 월평균 총소득 순에 따라 위해도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가들은 피해경험, 위해 감소용이성,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따라 위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시점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위해 인식도의 의견차이점과 합의점을 조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가 앞으로 계속 되어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iffer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risk perception towards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between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samples from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during March and April, 2000. Total number of reponses were about 1,126 including 773 general public and 353 experts. Risk perception toward 26 environmental issues were r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each issue, knowledge, controllability, experience, political view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interest in health, health status, socio-demographic,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Korea, and culture predisposi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Overall, general public were tend to be perceived risk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society's need to regulate these problems more risky than experts. The issues posed higher riskiness in both risk perception and need to regulate were 'automobile exhaust', 'industrial air pollution'. 'ocean contamination by industrial waste and oil exhaust, 'air contamination by chemicals',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waste from household, industrial, and live-stock animals', 'groundwater contamination', 'industrial and hospital waste',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pesticide', and 'sewage and food waste'. Consequently, it seems that prior management on theses issues is urgently needed. Risk percep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it means that higher risk perception was posed as the higher its perceived risk. General public posed more higher score in the aspect of health status, interests in environmental problem and showed negative response to political view than experts. Also, among cultural disposition, they were tend to more agree with hierarchist, individualist, and technological enthusiasm. The factors exhibited high correlations with risk perception were interest in health,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political view, knowledge, experience, controllability, hierarchist, and egalitarian. The factors mostly associated with overall participant's perception of health risk were knowledge, experience, gender, and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n addition, interest in health, part of respondents, and controllability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risk perception. Thus, perception of the risk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s as knowledge of impacts increases, harmful experience is increases, some one is women, the level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s increases, someone is more controllable,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es, and someone is general public. A consequence of the general public's concerns and it's difference to that of experts has been increased in attempts to inform and educate people about risk. And risk perception research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such educational efforts. Therefore, by recognizing the potential divergences and area of agreement in perceived risk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e risk communication and risk education can be emerging a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o develop polici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This study indicates potential divergences in perceived risk between the views of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at can lead to controversy over risk management priorities. These divergences also suggest areas where dialogue between experts and general public is needed. Therefore,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risk information among different groups and to provide effective risk management on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further studies in risk perceptions are strongly needed.

      • 광주광역시 미술관 건축의 입지요소에 관한 조사연구 : 전문가와 일반인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이현정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88

        미술관은 문화·예술의 발전과 일반의 문화교육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시설로서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미술관의 입지는 대중이 많이 이용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미술 관련자 및 도시·건축 관계자 등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일반인의 의견이 고려되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가 200명과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미술관 입지선정에 고려해야 할 요소인 미술관의 성격, 주변환경, 접근성, 문화시설과의 연계, 도시정비효과, 지역개발효과, 장소의 인지도, 장소의 이미지, 미술관의 규모, 미술관의 관리·운영, 확장 가능성, 사업시행이 용이성의 12가지 입지요소를 문헌을 통해 추출하고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의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이용, 전문가와 일반인 두 집단간의 입지요소의 순위와 입지요소들간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인집단의 경우 주변환경, 미술관의 관리·운영이 가장 중요한 입지요소로 나타난 반면 전문가집단의 경우 미술관 성격, 접근성, 주변환경이 중요한 입지요소로 나타났다. 2. 일반인집단의 경우 입지요소간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적고(40개) 낮게(최대치 0.57) 나타난 반면 전문가집단의 경우 입지요소간의 상관관계가 높고(0.64) 많게(59개)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은 각각의 입지요소를 단편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반면 전문가는 각각의 입지요소를 종합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일반인집단의 경우 12가지의 입지요소를 3가지의 성분으로 구분하고 있는 반면 전문가집단의 경우는 4가지의 성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집단의 경우는 입지요소의 순위가 높게 나타난 요소의 요인 설명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전문가집단의 경우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요소의 요인 설명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가 일반인에 비해 입지요소를 더 종합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일반인집단의 경우 지역과 미술에 관심이 높은 경우 전문가와 같은 미술관의 성격, 주변환경, 접근성이 중요 요소로 나타났고 전문가집단의 경우 미술관 입지요소 중 미술관의 성격, 주변환경, 접근성이 가장 중요 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전문가의 의견과 일반인 중에서도 지역과 미술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사람들의 의견을 미술관 입지선정시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사회적 가치에 근거한 보건의료자원 분배기준

        임민경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772

        한정된 보건의료자원을 분배하면서 공정성이나 형평성과 같은 윤리적 이슈들이 필연적으로 파생되게 된다. 따라서 의사결정자들은 이러한 이슈들과 비용, 효과라는 결과측면을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최근 들어 이러한 고민의 돌파구로써 일반인들의 견해인 사회적 가치를 의사결정에 반영하려는 노력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초기 단계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보건의료자원 분배기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에 근거한 보건의료자원 분배 의사결정에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초점집단면접조사)를 통해 선호하는 분배기준과 선호 기저에 깔려있는 가치를, 양적 연구(선택실험법, 편익분포 선택 질문)를 통해 여러 분배기준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주요 분배기준별 QALY 가중치, 건강이익의 분포에 대한 선호를 도출하였다. 질적 연구에 참여한 일반인들은 각기 특성이 다른 환자들의 치료 우선순위를 판단할 때, 치료로부터 얻은 이익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젊은 연령의 환자를 노인 환자보다 더 높은 치료 우선순위가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많았으며, 치료 전 건강수준과 치료로부터 얻는 이익이 각각 다른 경우 치료로부터 얻은 이익이 작을지라도 치료 전 건강수준이 더 낮은 환자에게 더 높은 치료 우선순위를 부여하려 하였다. 질병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는 환자보다 없는 환자에게, 부양가족이 없는 환자보다 있는 환자에게,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환자보다 낮은 환자에게 치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병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더라도 질병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에는 질병의 책임이 개인에게는 없지만 중증도가 낮은 환자보다 더 높은 치료우선순위가 부여되었다. 환자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환자가 높은 환자에 비해 치료우선순위가 높게 부여되었는데, 이러한 기조는 치료로부터 얻는 이익이 작더라도 변하지 않았다. 건강이익의 분포에 대해서도 무관심하지 않았다. 다수의 고통경감이 중요하지만 개인에게 돌아가는 건강이익이 어느 이하로 작을 경우 자원을 소수에게 집중하고자 하였다. 동일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환자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동일한 치료 우선순위가 부여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소수였다. 치료 우선순위가 높다고 생각한 이유로는 환자의 건강개선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생산성이 높은 연령의 환자, 부양가족이 있는 환자), 치료 전 건강수준이 얼마나 낮은지(치료의 위급성이나 질병의 중증도가 높은 환자), 질병의 원인이 자신의 조절 안에 있는지(질병 책임여부), 환자가 현재까지 얼마나 살았는지(fair inning), 환자가 건강보험재정에 기여한 정도(노인환자), 환자의 건강에 대한 능력(capacity)(치료효과, 자원의 효율적 사용), 보건의료자원에 대한 접근성(환자의 소득수준) 등이 있었다. 질적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선택한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화하기가 쉽지 않고, 언급된 중요한 분배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일반인 800명으로 대상으로 선택실험법과 편익분포 선택 질문을 적용하였다. 선택실험법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중요한 보건의료자원 분배 기준으로 언급된 기준인 질병의 중증도(치료받지 않을 경우 남아있는 수명, 치료받지 않을 경우 삶의 질), 환자의 소득수준, 치료로부터 얻는 이익(QALY)에 대해 상대적 중요도와 QALY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건강이익의 분포에 대한 선호를 파악하기 위해서 선택 질문이 적용되었다. 선택실험법 결과, 환자가 치료로부터 얻은 이익이 클수록, 치료받지 않을 경우 남아있는 수명이 짧을수록, 치료받지 않을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낮을수록, 환자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더 높은 치료 우선순위가 있는 환자라고 일반인들이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이들 환자의 특성 중 치료로부터 얻는 이익이 크기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길이,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수준, 환자의 소득수준 순으로 치료 우선순위가 있는 환자를 선택할 때 중요한 판단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로부터 얻은 이익을 ‘효율’관점, 치료받지 않을 경우 삶의 길이와 삶의 질(질병의 중증도), 환자의 소득수준을 ‘형평’관점으로 간주할 경우, 일반인들은 대체로 ‘효율’을 ‘형평’보다는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평’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간과될 경우에는 ‘효율’을 ‘형평’보다 더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평한 분배를 위해 효율을 희생하려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선택실험법에서 도출된 효용식을 바탕으로 QALY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도출결과,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길이가 15년 이하 또는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질 수준이 30%이하가 될 경우에는 환자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상관없이 기준으로 삼은 환자의 QALY 보다 더 높은 QALY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길이가 10년 이하인 경우에는 치료받지 않을 경우의 삶의 질 수준과 상관없이 기준으로 삼은 QALY 보다 더 높은 가치가 부여되었다. 건강편익의 분포에 대한 일반인들의 견해를 살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가 두 치료법의 우선순위가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소수에게 건강이익을 몰아주는 프로그램 보다 개인 당 돌아가는 건강이익이 작아지더라도 다수에게 건강이익이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선택한 응답자가 많았다(diffusors, 58.9%). 총 건강이득이 동일할 경우 건강이익이 돌아가는 사람 수는 상관하지 않는 즉 ‘건강최대화주의자(maximizers)’라고 할 수 있는 응답자들은 18.9%였으며, 소수에게 더 많은 건강이익을 몰아주는 프로그램을 선택한 응답자들(concentrators)은 16.2%였다. 총 건강이익이 100년일 때보다는 200년일 때에는 확산자에 비해 집중자가 줄어들어, 다수에게 작아진 건강이익이 돌아가게 하려는 응답자들의 비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총 건강이익이 500년으로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확산자에 비해 집중자의 비율이 총 건강이익이 100년일 때와 비슷하였다. 이 결과가 작은 크기의 건강이익이더라고 다수에게 돌아가게 하려는 응답자들의 선호가 크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겠으나, 한편으로는 개인에게 돌아가는 건강이익의 크기가 아주 작을 경우 건강이익의 확산보다는 소수에게 집중하고자 하는 총 건강이익의 임계값(threshold value)이 100년보다 낮은 곳에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회적 가치를 도출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일반인들은 환자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모든 환자의 1 QALY는 똑같은 1 QALY의 가치를 부여하는 건강최대화 원칙의 전제와는 달리, 건강이익이 생산되는 맥락적 요소를 고려하였고 건강편익의 분포에도 무관심하지 않았다. 즉, 형평한 분배를 달성하기 위해 총 건강이득을 어느 정도 희생하려 하였다. 이는 바람직한 보건의료자원 분배 논의에 있어 일반인들이 자신만을 고려하지 않고 타인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가치에 근거한 보건의료자원 분배 결정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첫째, 바람직한 보건의료자원 분배 결정을 위해서 공정한 절차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의사결정에 사회적 가치의 반영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때 사회적 가치의 반영 방식은 투명하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적 가치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숙고를 가능하게 하는 숙의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가치를 의사결정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Ethical issues, such as fairness and equity, inevitably occur during the allocation of limited health care resources. Policy makers have to consider the cos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se resources, in addition to ethical issues, when making decisions regarding allocation. To ensure fairness and equity, policy makers are making an increasing effort to consider the social values of the population when making decisions about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s. However, the debate about the social value are at an early stag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values with regard to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using the responses of people to equity versus efficiency questions. An additional aim was to offer some lessons from these surveys, which were designed to elicit people’s preferences in terms of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This study used an iterative process involving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approach. The qualitative arm of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asons underlying the respondents’ choices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values, 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s) weights, and the distributive preference for health gains were analyzed in the quantitative arm.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indicated that people are not willing to consider only the size of the health gain from a treatment when prioritizing resources between patients. They gave different priority to pati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neficiaries. They prioritized younger adults over older ones, as well as patient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the parents of children, and caregivers of elders. They discriminated against patients based on the cause of the illness. If a patient had severe ill health due to personal behavior, people appeared willing to discriminate because the disease was self-inflicted.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give higher priority to patients with poor health, even when the treatment offered little in the way of a health gain. The respondents were not indifferent to distributive health gain. They expressed a preference for the diffusion of health gains to more patients. However, if the gain was below a certain threshold, they preferred that a few, rather than many, groups of patients benefited. A few respondents wanted to give the same priority to two patients if they had the same disease, irrespective of what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hen the respondents made choices, they took account of factors such as social worth (productivity, dependents of the patient), health status before treatment (urgency and severity of the disease), self-inflicted nature of the illness (responsibility for the disease), fair innings, contribution of health insurance budget, capacity to health (treatment effect, efficiency), and access to health care (income level). This qualitative method can address the reasons underlying the respondent’ preferences, bu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Moreover,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es cannot shed light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related to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The quantitative approach was adopt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of the qualitative method. In the quantitative study, 800 adults participated in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DCE) and in a choice exercise where they were presented with a series of pairwise choices.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and the findings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o determine the attributes and levels for the DCE: gain in QALYs with treatment, severity of the illness (life expectancy and quality of life [QoL] if untreated), and income level. The DCE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QALYs and to estimate the relative weight of QALYs attached to health gai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neficiaries of these gains. The choice exercise was conducted to elicit the respondents’ preferenc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health gains. The results of the DCE suggested that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patient with a more severe health status, greater gains in QALYs, and a lower income level. The most important criteria dictating preferences were gains of QALYs, followed by life expectancy, QoL without treatment, and income level. Th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post hoc as belonging to either the equity or the efficiency realm. The attributes classified under equity were disease severity and income level, whereas the gain in QALYs was classified under efficiency.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howed stronger preferences for efficiency criteria than equity criteria. However, when the equity criteria were below the threshold, they showed a preference for equity rather than effici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are willing to relinquish efficiency for a more equitable allocation of health resources. The QALY weights were estimated using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choice. When the life expectancy and the QoL without treatment were below 15 years and 30%, respectively, the weight increased, regardless of income level. When the life expectancy without treatment was below 10 years, the weight increased, regardless of QoL without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choice exercise showed that 75% of the respondents assigned different priorities to two treatments. A total of 58.9% were diffusors who selected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nd 18.9% were maximizers who cared only about the size of the total health effects. A total of 16.2% were concentrators who had a large effect for each beneficiary. When the total health gain was changed from 100 years to 200 years, the proportions of concentrator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oportions of diffusors. However, when the total health gain was increased to 500 years, the proportions of concentrator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oportions of diffusors. These results imply that a threshold value may exist and that it is somewhere around 100 year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eople consider contextual factors involved in producing health gains and that they are not indifferent to the distribution of health gains when setting priorities. Therefore, it seems that people will be willing to sacrifice health gains to achieve a more equitable allocation of health resources. It also appears that people will consider others rather than only themselves when making decisions regarding the appropriate alloc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applying social values to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decisions,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First, fair procedures are needed to ensure appropriate alloc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and social values must be a key consideration when making decisions. Second, an open and transparent decision-making process is needed that considers these social values. Third, diverse methods, including deliberative approaches, can be used to understand social values. Last, how best to incorporate social values in priority setting and decision making needs to be determined.

      • 대중매체를 통한 일반인의 춤인식에 관한 소고

        김소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758

        92년이 춤의 해로 지정되어 여러 가지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으나, 현재 춤 예술의 공연상황은 종전과 별다를 바 없이 춤계 자체내의 행사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대체로 춤 공연이 일반 대중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요인으로 대두된다. 현재 일반인의 춤에 대한 인식은 춤이 특별한 대중적 관심이나 지적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일반인이 춤을 자신과는 거리가 먼 별개의 예술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데에 기인한다. 이러한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것은 현대의 일반인들이 춤예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한 수단으로서 현대의 대중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먼저 대중매체가 춤에 대한 기사 및 방송 프로그램에 할애하는 시간과 편성내용을 TV방송 5사의 95년도 5월과 10월의 편성표와 EBS의 '예술의 광장'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5대 일간지에서 95년도 1년 동안 120일분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지를 통해 일반인들이 대중매체에서 춤을 얼마나 자주 접하며, 춤에 대한 인식 및 대중의 관심은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춤의 활성화에 있어서 대중 매체의 개선 방안을 연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신문의 문화예술 기사를 보는 일반인들은 47.4%, TV를 통해 춤을 접한 사람들은 90.3%에 이르나, 그 동기를 보면 주관적 관심보다는 우연히 춤을 시청하거나 타의에 의해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춤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자발적으로 가질 수 있는 동기 유발 및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 그 방법의 하나로 춤예술의 수용에 있어서 소극적인 TV와 신문매체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면서, 춤에 관한 관심과 관련기사 및 방송의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린다면, 춤문화는 일반인의 생활 가까이 에서 친근하게 자리잡게 될 것이며, 일반인들이 자연스럽게 춤을 접하고 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문화로서의 춤예술은 보다 많은 일반인의 관심과 폭넓은 관객의 수용 속에서 분명하고 확고한 사회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와 위상을 정립시켜야 한다. Although various dance events have been actively programmed particularly since 1992 which was designated as "Year of Dance", today's condition of dance art performances is little better beyond the events organized by the dance circle. There seems to be many causes for such poor dance performances, but the most plausible one conceived may be people's poor concern about dance. In other words,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at the dance cannot attract people's special or intellectual interest and therefore, that dance is an art placed for from their living. In order to correct such a misunderstanding, the modern mass media should be more positively used because they may allow people to get access to the unfamiliar dance easily and thereby be interested in it. With such a basic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people's perception of dance through mass media. To this end, the programs of 5 local TV companies designed for May and October, 1995 and the EBS program "Hall of Art" were analyzed, while the articles of 5 major local dailies carried for 120 days in 1995 examined. Based on this analysis, people's perceptions of dance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Lastly, summing up all thes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reform measures to promote dance using the mass media were explored. It was disclosed through the survey that 47.4% of the sample people read the culture or art columns of the newspapers, and that 90.3% of them have seen the dance performances on TV. However, they did not proceed to watch the performances, but happened to see them or were force to do so. In consideration of such a low public recognition of dance, they should be more motivated or given opportunities to be interested in dance. One of the ways to awaken people of the dance is to encourage our local mass media to organize more dance programs or increase their ratio of dance programs drastically. If so, our dance culture will be place nearer the public, and thereby, people will have more natural opportunities to get access to the art, and finally will be reawakened of the dance. All in all, the art of dance as a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as clearer and more solid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component of our community amid people's applauds and higher concern.

      • 경관조명의 특성과 일반인 인식 : 서울시 강남역 가로를 중심으로

        송두석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43

        With the increase in night activities in the city, interest in the night landscape is growing. Even if the law was enacted for the artificial lighting in Korea, problems about standards for legal regulation have been raised. In addition, when standards for regulation of artificial lighting were set, the users’ perception was not reflected. There are limitations in regulation for artificial lighting which we meet in the real world based on simply legal luminance. Thus, physical characteristic and general people’s perception of artificial lighting should be reflected for appropriate regula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lighting which is a major factor of night landscape. In this study, the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are measured from visual point of the pedestrian and general public perception includ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s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eople’s perception. A study site is located in Yeoksam-dong, Gangnam-gu Gangnam station around street. Gangnam station is a representatively commercial area in Seoul. It is a place in which various lighting conditions are made and the daily average floating population is the highest.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uminance, area and number of light source are measured on site with LMK Mobile device using fish-eye lens. For general public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users,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artificial lighting, landscape image preference are examined by using questionnaires. Extracted data and survey data are analyzed by using Excel and statistical program. Comparative analysis including average analysis in each group, cross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analyzed results are performed and structure of night landscape perception i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analysis on physical quantities of lighting, a total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are the highest in sections 2 and 5 and the lowest in sections 1 and 4 in Gangnam roa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 and number of light source between section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are analyzed with indoor lighting and outdoor lighting. Second, for analysis o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ighting, 10s people, male, students, meeting, 1~2 times a month and 18~20 o’clock have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in 50s people, female, sales/service workers, passage, everyday and after 24 o’clock, respectively. Third, a regression model is deriv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hysical quantities and use satisfaction of lighting. A total amount of luminance gives the bigg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Area of light source and a total amount of luminance are followed. With increase in total amount of luminance and average luminance, the satisfaction is lowered. With increase in area of light source, the satisfaction is increased. Fourth, in the proces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landscape images and lighting satisfaction and derive factors, comfort and aesthetic factors are derived and a regression model is derived through it. Landscape satisfaction of artificial lighting gets higher with increasing comfort and aesthetics. Comfort factors give more effects than aesthetics. In the time when the study on Public Percep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 of artificial lighting is insuffici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lighting and the correlation with general public perception.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lighting environment plan for night landscape and artificial lighting. 도시 내 야간활동의 증가와 함께 야간경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인공조명에 대한 법이 제정되었지만 법적 규제의 기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또한 인공조명 규제의 기준 설정 시 이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실생활에서 접하는 인공조명을 단순히 법적 휘도를 기준으로 한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야간경관의 주요 요소인 인공조명의 적절한 규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인공조명의 물리적 특성과 함께 일반인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시점에서의 시지각 특성을 반영한 인공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선호도, 만족도를 포함한 일반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특성과 일반인 인식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강남역 주변 가로이다. 강남역은 서울시의 대표적인 상업지역으로 다양한 조명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일평균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다. 광원의 휘도 및 면적, 갯수 등 물리적 특성은 어안렌즈를 사용한 LMK Mobile 장비로 현장에서 계측하였다. 일반인의 인식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와 인공조명의 만족도, 경관이미지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추출된 자료와 조사 자료들은 엑셀 및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결과들간의 집단별 평균 분석, 교차 분석, 상관관계 등의 비교분석과 야간경관인식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명 물리량 분석에 있어 강남가로는 총량휘도, 평균휘도가 2구간과 5구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구간과 4구간에서 낮게 나타났다. 광원의 면적과 광원 갯수는 구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요인들 영향은 실내등과 외부조명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일반인 인식에 남성, 10대, 학생, 월 1~2회 이용자, 18시~20시 이용자, 모임목적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명 물리량과 이용 만족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공조명물리량 만족도에는 총량휘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광원면적과 총량휘도 등의 순이었다. 총량휘도와 평균휘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는 낮아지고 광원면적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넷째, 경관이미지와 조명 만족도의 상관분석과 요인도출 과정에서 쾌적성과 심미성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를 통하여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공조명 경관만족도는 쾌적성과 심미성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며 심미성보다는 쾌적성 요인이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조명의 일반인 인식과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시기에 본 연구는 인공조명의 물리적 특성과 일반인 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결과는 야간경관 및 인공조명에서 조명환경관리계획의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