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정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3

        국 문 요 약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 정 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정 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낙후된 영어교육 환경과 다양한 영어체험 기회의 부재 속에 살고 있는 도서지역 중학생들의 영어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현재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인천시 내의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학력격차 현상을 해소하고자, 인천 도시지역 중등 영어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학교선정기준의 등급에서 교육환경 및 생활환경이 가장 취약한 지역임을 뜻하는 가지역에 속한 백령중학교ㆍ대청중학교ㆍ연평중학교를 선정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와 각 학교의 웹사이트를 통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각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백령중학교에서 4주간 학교현장실습을 하며 도서지역 교사와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도서지역의 중학교 및 교육환경을 직접 관찰하였다. 아울러 지역 간의 교육격차 및 학력격차 요인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의 도시지역 중 연수구ㆍ부평구ㆍ남동구의 중학교 각 한 곳씩 세 곳을 선정해 동일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천 도서지역의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을 결론적으로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 3단계로 나눠 수준별 영어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도시지역 중학교들과 달리 도서지역의 중학교는 교실 수급, 교사 수 등의 문제로 인해 수준별 영어수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영어수업 및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도서지역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학습방법 연구와 개선방안이 절실하다고 판단되었다. 2) 도서지역에의 가정 내 영어교육과 학교 밖 영어교육 환경은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하며 큰 격차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모든 도서지역 학생들은 밤 9시 또는 9시 30분까지 학교에 남아 야간 자기주도학습을 하지만 이 역시도 체계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도서지역의 학교에서는 대부분의 방과 후 수업과 야간 자기주도학습의 감독까지도 모두 수업교사가 하고 있어 도서지역 교사들의 업무 과중도 염려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야간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이용하여 외부 영어강사 영입을 통한 보다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영어학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수업교사들의 업무 과중을 해결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학습 방법과 분위기를 접하게 하여 영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자극과 동기를 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당국과 지자체의 영어전문인력 유인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3) 셋째, 원어민 영어수업에서의 도서지역 간 격차 역시 해결해야할 문제였다. 다른 두 중학교에 비해 학생 수가 비교적 더 많은 백령중학교 학생들은 절반만이 원어민 영어수업을 받고 있는 데 반해, 대청중학교와 연평중학교의 모든 학생들은 일주일에 적어도 2번, 많은 경우 3번 이상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도서지역의 영어교육을 위한 인력을 파견할 시에는 먼저 도서지역 중학교의 규모와 학생 수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교통편과 생활환경이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한 도서지역으로 영어전문 인력이 원활한 생활을 하며 영어교육에 매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을 통한 주거 대비책 등을 마련해야한다. 4) 도서지역 학생들은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감 역시 결여되어 있었으며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도서지역의 특성이 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더 많은 학생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영어교육 시설 및 환경과 도서지역이 가진 고립성과 폐쇄성, 그리고 다양한 경쟁상대의 부재가 자신들의 영어학습에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따라서 도서지역만의 지역적 상황을 고려해, 도서지역 학생들을 위한 영어체험 시설 등 체계적인 영어교육지원 정책이 수립하고자 학교와 교육당국, 지역사회까지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도시지역 학교들과의 교류를 확대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이 다양한 선의의 경쟁을 통하여 영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Jung-Mi Par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 in English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Jung-Tae Kim) This study focused on increasing awareness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ways: one is a direct observation approach and the other is a survey. All the students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Daecheong Middle School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designed to understand w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think about various aspects of English education. For comparison, the sam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of Inche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iceable differences and problems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of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are difficult to take their level-based English class due to a lack of English teachers and classrooms in the schools.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and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various and proper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make them study in an English class suitable for their level. 2)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remote islands and urban areas of Incheon is th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out of school.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have various ways to supplement their English lesson such as English language institutes. However,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have few helpful people or facilities for their studying. Although they stay in the school until 9 or 9:30 PM everyday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y are not able to use the time efficiently by themselv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make a greate effort to invite a lot of outside English experts into the islands for the systemic and well-organized after-school English courses. 3) A gap among the three middle schools in the remote islands is also a serious problem. Every student of Daecheong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takes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two or three times a week. However, only a half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able to meet their English native teacher once or twice a week. 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imbalance,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students of each middle school in the remote islands before assigning the teachers. 4)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most of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evaluate their English skills low by themselves, and have little self-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lso, most of the students in both areas think that regional features in remote islands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the English study owing to a lack of English education facilities, proper competition,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he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remote islands, as well as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o formulate appropriate policies to support the students who live in relatively poo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주민의 도서관 요구에 관한 연구 : 3개의 지역유형을 중심으로

        이희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79

        본 연구는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 주민의 도서관 요구를 파악하여 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방향과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8개 구와 2개 군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 특성에 따라 지역1(원도심 중심), 지역2(신도심 중심), 지역3(도·농 복합 지역), 3개의 지역 유형으로 나누어 그 지역에 속해 있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행태, 도서관 인식 조사와 요구조사, 지역사회 평가,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도심 중심인 지역1, 신도심 중심인 지역2, 도·농 복합지역인 지역3 모두 도서관 이용 목적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자료 이용 및 대출이고 도서관 서비스 요구 사항에서도 소장 자료와 관련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도서관에 대한 지역 사회 평가는 지역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으나 도서관 이용행태,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지역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지역1은 다양한 강좌와 평생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고 지역2는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센터,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역3의 경우는 개인 학습 공간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민원서비스를 대행해주는 생활편의센터로서의 도서관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1(원도심 중심)의 경우, 다양한 교육·문화 강좌를 마련하는 등 평생교육센터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를 제안하였고,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센터로서의 도서관 역할을 요구하는 지역2(신도심 중심)의 경우는 도서관이 지역 공동체의 거점이 되기 위하여 지역사회와 다각도의 연계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도·농 복합지역인 지역3은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편의센터로서의 역할을 위해 지역유관기관과의 서비스 접목을 강조하였다.

      • 도서지역 노후·쇠퇴시설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 중요도 연구 : 인천광역시 옹진군을 중심으로

        신선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4191

        과거 도서지역은 개발 정책에서 소외된 지역이었으나 최근 국가균형발전 차원의 낙후지역 개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서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2000년대 이후 관광객의 다양한 욕구충족, 주 5일제 시행, 내륙관광의 포화상태로 인해 해양관광이 부각됨에 따라 도서지역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서지역의 개발 정책은 도서지역의 환경개선이 아니라 관광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도서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시개발과 같은 형태인 대규모 개발을 하고 있다. 이러한 난개발로 인해 도서지역의 생태ㆍ문화자원을 훼손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지역의 생태ㆍ문화자원은 도서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관광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서지역의 중요한 관광자원이다. 또한 도서지역 주민에게는 경제적 소득원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자원을 최대 보존 및 보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또한 도서지역은 노후성으로 인해 새로운 기반시설의 건립이 필수적이지만, 도서지역의 격절성으로 인해 새로운 건축물을 짓는 것은 비용적 부담이 들고 건축폐기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노후ㆍ쇠퇴시설을 개보수하여 지역의 생태문화적 자원으로 재생시키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에 적합한 생태ㆍ문화자원을 최대한 보존 및 보전하는 방안과 도서지역 내 방치되어 있는 폐교, 노후불량주택, 쇠퇴산업시설, 폐공간의 재생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생태문화적 방법을 통해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지역 노후ㆍ쇠퇴시설의 생태문화적 재생 연구를 위해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정책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고 이러한 틀을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노후ㆍ쇠퇴시설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의 중요도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 재생에 적용가능한 생태문화적 재생 요인에 대한 내용만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폐교는 넓은 부지와 건물을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은 시설물이다. 폐교에는 학교 건물과 운동장 부지가 포함되어 있다. 폐교는 지역의 향토적인 문화유산을 보존하거나 전시하여 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고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체육시설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을 보유하고 있어 휴양시설로 활용이 가능하다. 노후ㆍ불량주택은 「농어촌주택개량촉진법」에 의해 농어촌 지역의 주거환경 향상을 위하여 노후하거나 불량한 농어촌주택을 개량하거나 철거하고 있다. 도서의 아름다운 경관을 보전하고 주민들의 안전한 생활을 제공하기 위해 노후ㆍ불량주택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 노후ㆍ불량주택을 활용하면 기존 건물을 철거할 때 발생되는 폐자재와 쓰레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건축적 가치와 역사적 가치가 있는 주택은 역사문화유산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 해안가에 가까이 위치한 쇠퇴산업시설은 해양관광과 생태체험의 장소로 조성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쇠퇴산업시설을 친수공간으로 활용할 시, 보행자전용지구 및 보행자전용도로 설치, 보행자 도로 구축 및 네트워크 구성하여 주민 및 관광객들의 접근과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해안을 중심으로 도서의 독특성을 담은 쉼터, 안내시설 등의 편의시설 배치하되 해양경관을 보전하여야 한다. 안전성을 고려한 시설물(가드레일, 가로등) 설치하여야 하고 수변감상을 위한 전망데크 조성하여야 한다. 폐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산책 등의 가로공간과 건물의 옥상, 건물과 건물사이의 자투리 공간, 골목 등의 건축공간이 있다. 폐공간은 좁은 자투리 공간으로 쓸모없는 공간으로 인식되어서 쓰레기 투기, 물건의 적재, 불법 주ㆍ정차 공간이 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악화와 사회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옹진군의 아름다운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폐공간은 쾌적한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공간으로, 생태문화적 재생 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