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휴양관광지 개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영석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의료관광산업은 관광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이끌어 침체된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 넣고 고부가가치의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복․융합화의 새로운 신성장동력 산업이다. 관광을 매개체로 한 의료관광은 관광객에게 차별화되고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관광객에게 삶의 만족과 휴양, 휴식을 제공해 주는 새로운 형태의 관광서비스 산업이다. 의료서비스와 휴양․레저․문화 등과 관광활동이 결합한 의료관광산업은 일반적인 관광활동에 비하여 체류기간이 길며 의료관광 목적에 동반한 참여자가 많은 관계로 관광비용의 지출 역시 많이 소요 된다.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들과 중동의 일부 국가들은 의료관광산업을 정부정책의 주요 전략산업으로 삼고 적극적인 지원을 펼쳐오고 있다. 이들 국가들이 ‘의료허브 구축’ 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예산의 지원과 마케팅활동을 펼치는 것은 의료관광산업이 일반관광산업보다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관광정책의 일환으로 경제자유구역내의 외국병원의 유치 및 제주 국제자유지역의 휴양형주거단지 내에 의료휴양관광단지 개발, 지방자치단체의 메디시티 개발 등과 맞물려 효율적인 의료휴양관광단지 개발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의료시장의 개방과 주변 경쟁국가들의 적극적인 의료관광정책 추진은 우리에게 의료관광산업의 위기로 다가올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기술 및 의료서비스의 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가격과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의료관광산업에 대하여 정부나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인식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의료관광산업은 무한한 잠재력과 성장산업의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의료관광이 단순히 진료를 받고 치료나 예방차원의 목적이 아니라 휴양과 웰빙, 레저가 결합된 복합화 시스템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의료관광산업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육성하고 홍보하며 적극적으로 유치할 필요가 있다. 자연환경자원을 활용하고 입지적인 장점을 활용한 복․융합형태의 의료휴양관광지의 개발은 테마 있는 관광산업과 의료산업의 발전을 동시에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의료관광산업의 선진화와 산업의 고용창출을 통하여 지역발전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Medical tourism industry is a new growth engine industry of complex & confusion which will bring vitality to the stagnant tourism industry and generate a new market with highly added value by advancing the structure of the tourism industry. A medical tourism as a catalyst for tourism is a new type of tourism service industry which provides the tourists with life satisfaction, recreation and relaxation through differentiated & quality medical services. This medical tourism industry combined with medical services, recreation, leisure & cultural activities requires a longer period of stay on the part of the tourists compared with the usual tourist activities and their spending a lot of money on medical service. Asian countries such as Singapore, Thailand, Malaysia, India, the Philippines and some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think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s the main strategy of the government policy, actively supporting it. The main reason these countries support the budget & th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for "Medical Hub" at the level of their respective government is that it will bring much higher added value than the general tourism industry. This study is aimed at seeking ways to develop an efficient & medical spa resort complex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ources of seawater spring in Kanghwa islan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onnection with attracting the foreign hospitals in the Free Economic Zone and developing the medical tourism complex in the resort-type residential complex of Jeju International Free Zone and local government's media city as part of the medical tourism policy the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in order to promote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Opening our domestic medical markets to foreigners and the medical tourism the competitive countries in Asia are actively pushing for will cause our medical tourism industry to get in crisis. The study shows that the medical technology and services of our country has relatively lower medical expenses and higher technology and maintains more competitive edge than that of advanced countries. Meanwhile, our government as well as the Korean people knows little about how potential growth and infinitive possibility our medical tourism industry has. The medical tourism has been changing to be combined with rest, welling, leisure & recreation instead of receiving merely medical treatmen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should actively be fostered and promoted at the national level. To develop the land for the medical treatment, rest & tourism of the form of complex & fus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resources, spring & its favorable position will bring the theme of the tourism industry & the medical industry at the same time. And ultimately the advancement of medical tourism industry will contribute greatly to creating many jobs and developing the region.

      • 부산지역 의료기관 종사자의 의료관광 산업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

        박찬열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Korea has not only the highest level of medical care staff but also excellent infrastructure in terms of facilities that are second to none in the world. Furthermore, Korea has high level of competitiveness in both quality and cost. Support of the government, although recognizing such enormous value and importance of this market, is incrementally and gradually becoming active. Therefore, medical tourism in Busan is equipped with all the elements necessary for success.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or measurement of reliability of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level of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by using Chronbach's alpha coefficient. Means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scored 0.909, while the importance of medical tourism resulted in the score of 0.889,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tourism 0.836, thereby satisfying the level of reliability. Level of recognition of medical tourism illustrated the following. Firstly, on the aspect of level of recognition on medical tourism,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s on the concept of medical tourism was 32.4% for tourism for treatment of illness, while the highest response to the question of area of interest was 26.7%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onstitution, and approximately 70% responded that they have heard about medical tourism. Secondly, on the area of interest amongst the medical tourism areas, the tendency to consider medical tourism as an opportunity experience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at general hospital rather than at a private medical clinic was relatively high at 17.4%. Furthermore, there was higher tendency to consider medical tourism more positively for people in higher age group, and with regards to the intention to experience medical tourism, higher tendency to consider medical tourism positively was found in people with higher age group. Thirdl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on countries that offer medical tourism, Thailand, Singapore and Southeast Asia was highest with 35.8%.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issue of means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Firstly, affirmative response was very high on introduction of foreign technology with 88.0%while negative response on the level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was very high at 50.6%. Secondly, on the reasons for inadequate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lack of personnel for medical tourism was the highest at 81.3%, followed by lack of national policy on medical tourism at 80.7%. Thirdly, negative responses on the question of level of medical tourism of Korea, which included very low and low, were, at 27.3%, higher than affirmative responses, which included very high and high, at 25.6%. In addition, negative responses on the question of level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of Busan, which included very low and low, were, at 50.6%, higher than affirmative responses, which included very high and high, at 9.7%, thereby illustrating low level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in overall.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format, means of activation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tourism of Busan illu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overseas travel amongst tourism type and reasons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was r=0.021, thereby displaying positive correlation, whi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level of recognition and reasons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was in the range of r=0.022~0.538(p<.01), also displaying affirmative correlation. Execution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mpart influence on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of Busan discovered that importance of medical tourism(B=.508, p<.05) and need for introduction of foreign technology (B=.150, p<.001),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means of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affects the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of Busan. As a task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industry in the region of Busan, if convenience of tourists can be pursued through introduction of visa system for medical tourism and specialization of medical tourism is sought after by using Hanryu fever in Asia, then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industry in Busan, which has location and geographical advantage, appears to be possible. Firstly, specialization in medical technology or changes in medical policy and tourism policy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diversit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of medical tourism product are necessary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industry in the region of Busna. Secondly, there is need to establish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hospitals in overseas countries for administration of medical care following treatment in Korea. Market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securing foreign patients centered-around medical institutions in Busan needs to be preceded. Thirdly, regulations on issuance of visa andmedical treatment law must be eased. Even if foreigners wish to receive medical treatment in Korea, medical visa is not issued. This i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foreign patients are not coming to Korea, in spite of sufficient competitiveness of medical industry in Korea including medical care technology. 본 연구는 21세기 웰빙 및 건강 추구형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지속으로 확대되고 있고,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의료관광산업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의료관광의 이론적 배경으로 의료관광상품의 구성, 유형 및 발달배경을 파악하였다. 또한, 의료관광이 발전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싱가포르와 헝가리, 태국, 필리핀, 인도) 국가들은 외국환자들에게 건강을 위한 의료행위와 관광행동을 접목시켜 관광자의 의료와 관광이라는 목적 관광을 시행함으로써 관광자의 만족을 높임과 동시에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에서도 쌍방이 추구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 사례를 파악하고 부산지역 의료 관광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부산에 소재한 종합병원, 준종합병원, 의원의 병원종사자를 대상으로 2008년 06월 02일부터 2008년 08년 26일까지(약 12주) 실시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질문 8문항, 의료관광인지도에 관한 질문 10문항, 의료관광의 중요성에 관한 질문이 12문항, 부산의 의료관광경쟁력에 관한 질문이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Window SPSS 14.0K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 t-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료관광의 인지도에 있어서, 첫째, 의료관광에 대한 인지도면에 있어서는 의료관광의 개념에 대한 설문에서 병의 치료를 위한 관광이 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심 있는 분야에 에서는 체질개선이 26.7%, 의료관광을 들어 보았는지 여부의 차이 검증에서 약 70%가 의료관광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 분야에서 관심이 있는 분야에서는 종합병원은 17.4%로 의원보다는 종합병원에서 의료관광을 대체의학을 경험하기 위한 관광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의료관광을 경험해 보고 싶은 의향에 있어서도 연령이 높을수록 의료관광의 경험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의료관광국가에 대한 인지도에 차이에 있어서도 의료관광국가로 들어본 적이 있는 나라에는 태국, 싱가폴 및 동남아가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료관광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외국 기술의 도입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88.0%로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50.6%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이 활성화 되지 않는 원인은 의료관광인력이 81.3%, 의료관광에 대한 국가적 정책이 80.7%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의료관광 수준의 정도가 매우 낮음+낮음의 부정적인 응답이 27.3%로 매우 높음+높음의 긍정적인 응답 25.6%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의료관광 활성화 정도가 매우 낮음+낮음의 부정적인 응답이 50.6%로 매우 높음+높음의 긍정적인 응답 9.7%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근거로 부산의료관광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연 무엇인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의 하위요인인 설명력은 36.8%, 의료관광의 중요성(B=0.508, p<0.05)과 외국기술도입의 필요성(B=0.150, p<0.00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선형회귀분석식은 “의료관광활성화 = 0.508*의료관광중요성 + 0.150*기술도입의 필요성 + 1.380”의 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로는 국내 의료관광산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의료시장개방, 외국인 방문현황, 국제의료기관평가, 정부의 법적. 제도적 뒷받침, 특화된 의료서비스의 질과 가격 경쟁력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역에서 의료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크게 의료서비스 특화 분야, 주요 고객 선정, 홍보 부문으로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 같은 부산지역 의료관광산업을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서 의료관광에 대한 비자 제도를 도입하여 관광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아시아의 한류 열풍을 이용하여 의료관광을 특화 한다면 지리적인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는 부산의료관광산업의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의료관련 제도개선의 인지차이 연구

        조성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전세계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와 노령인구의 증가, 그리고 건강을 중시하는 인식의 변화가 더해져 의료관광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더군다나 의료관광은 의료관광객의 체류기간이 일반 관광객에 비해 길고 체류 비용이 크며 사회적으로는 해당 분야의 고용창출 등의 부가가치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보유하고 있는 의료 및 관광 인프라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아직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의료관련 제도의 개선 및 발전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통해 한국 의료관광 활성화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하는 제도적 요인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관학계와 업계간의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해당 제도의 개선이 향후 의료관광 활성화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를 바탕으로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의료법상 의료관광 관련 요인은 의료광고 및 환자유치, 진료비용 및 유치수수료, 부대사업, 의료기관 설립 및 국제인증, 보상보험, 원격의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의료관광 관련 의료법상 제도적 요인의 개선은 모두 중요하다고 인지하였는데, 특히 관학계에서 환자유치기관의 관리 및 유치수수료 기준, 의료분쟁관리규정 등 관리감독이 필요한 규정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행 의료관광 활성화 정도와 비교하여 이러한 제도의 개선은 향후 더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의료법의 개정은 국민보건과 관련된 여러 문제가 수반되는 등 부작용이 예상되므로 이에 따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현행 의료관광을 살펴보면 의료법의 법적 규정과 달리 실제 통용되어 진행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관학계와 업계간의 이해차이를 줄이고 상호협력을 통해 포괄적인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Throughout the world, the demand for medical tourism is growing according to the demand increase of the customer who wa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an emphasis on health added. Furthermore, as the medical tourism has the longer stay of medical tourists compared regular tourists and their stay cost is more and socially there is the added value such as job creation of that field, etc., many countries has been actively proceeding. While Korea is growing rapidly through the held medical and tourism infrastructure, it is the time in need of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health-related institutions. In this study, it has a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stitutional factors which need to be improved and added in the activation of Korea medical tourism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materials,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which are recognized important between the government andacademia and the industry through surveys and present a systematic improvement for the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based the degree wherethe improvement of the given system is expected to affect the future’s medical tourism activation. With regard to medical tourism, constraints on medical law are largely configured by 6 kinds, medical advertising and inducement of foreign patients, medical expenses andbid commission, business incidental, medical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 compensation insurance, andtelemedicine and a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 has shown that while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al factors on the medical tourism related medical law for the activation of medical tourism were recognized important, the establishment of a regulation that requires the supervisions such as the management of patient attracting agency, the agency commission rule, the medical dispute, etc.was found important.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these systems was expected to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compared with the current level of medical tourism activation. When it comes to the revision of the medical law, as the side effects which involve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public health are expected, the review should be preceded accordingly. Also, when looking at the current medical tourism, there is the part which is already in progress unlike the legal provisions of the medical law so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ve system is needed through the difference reduction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government and academia and the industry and the mutual cooperation

      • 의료진이 인지하는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윤은주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국내 의료관광산업은 2009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정부에서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의료관광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면서 의료서비스와 관광상품 개발 및 발전에 대해 국가와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의료관광상품을 수준 높은 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법규적인 체계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 의료관광의 법적 제도, 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발전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의료관광 제약요인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활성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의료진이 인지하는 의료관광 제약요인 및 활성화 문제점에 대해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으로 인한 발전 가능성 및 경쟁력, 활성화와 관련 제도에 의해 외국인환자의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의료관광 제도적 제약요인이 의료관광 발전성, 활성화, 긍정적 작용, 다른 국가와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향후 의료관광의 전략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선행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의료관광 개념과 제약요인, 발전 가능성, 긍정적 작용, 다른 국가에 대한 경쟁력 및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13년 9월 10일부터 10월 5일까지 한 달 동안 국내의 1차, 2차, 3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의사, 간호사, 행정직, 특수직 등 5개 직종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총 2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을 제외한 181부를 확보하고 SPSS 18.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에 따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이 의료관광 발전 가능성과 의료관광 발전 및 긍정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약요인이 다른 국가 의료관광 경쟁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화에 대한 부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른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국내 의료관광이 다른 국가 의료관광 경쟁력에 있어서 국제 제약요인, 체계적 제약요인, 업체 및 기구제약요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의료관광의 업체 및 기구제약과 관련해서 국내 종합병원들의 외국인환자에 대한 수용한도 5%를 해제하는 것으로 의료관광 활성화에 긍정적 작용이 될 것이다. 또한 병원간의 제휴미비의 문제에 대해 국내·외 병원의 연계를 통한 환자의 진료기록을 공유하고 환자의 편익 추구 및 국내 의료관광의 수준 높은 서비스를 병행해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국내 의료관광의 체계화 제약과 관련해서는 외국인환자 유치업자에 대한 유치범위, 유치의 상하한수가, 유치수단 등의 관련 규정을 확립하는 것을 통해 국내 의료관광 에이전시의 불법행위를 억제해 나가야 한다. 또한 보험수가 통제에 관해 보험사가 보험계약과 연계한 해외환자 유치행위를 허용한 의료법 개정안을 승인함으로써 외국의료관광객들의 보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국제화제약과 관련해서는 의료진과 환자의 신뢰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의료분쟁을 줄일 수 있으며 국내 의료관광종사자의 교육을 통해 의료관광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의료관광특구 등 관련 제도의 도입을 통해 한국 특색의 의료관광산업 형성 및 방안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호텔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특급호텔의 의료관광 상품개발을 중심으로

        박현숙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관광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의료관광산업은 의료서비스산업과 관광서비스 산업이 결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블루오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관광이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는 인식은 분명하지만 대부분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관광서비스가 고려된 한국적인 의료관광상품에 대한 연구나 준비가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관광산업에서 중요한 분야인 숙박업, 즉 호텔업에서의 의료관광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은 매우 낮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의료관광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 즉, 의료분야, 여행·호텔업분야, 정부 관련기관, 의료관광 컨설턴트분야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방안을 찾고자 한다. 또한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병원과 호텔의 복합시설 “메디텔”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실제 의료관광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메디텔 개발의 필요성과 발전가능성을 찾아 호텔산업의 경쟁력강화 방안으로 의료관광 상품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의료관광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응답자의 의료관광 효과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이 높고,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직업별 조사에서 정부 관련기관 근무자가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에 의료관광 컨설턴트 근무자가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의료관광 실태조사에서는 의료서비스 실태 조사에서는 의료업계 종사자가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반면 관광실태 조사에서는 호텔․여행업계근무자가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의료관광 시 중요 고려요소로 의료적인 요소를 중시하였다. 즉, 의료관광에 있어서 의료요소를 관광요소 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 의료관광의 관광요소 조사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매우 긍정적인 반면 음식에 대한 이미지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음식에 대한 낮은 이미지는 다양한 국가로부터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의 방문이 많은 의료관광객의 특수성을 볼 때 각 나라의 문화적 특징 및 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국인 환자들에 대한 메뉴개발 및 식이제공에 대한 적극적 연구가 시급함을 보여 준다. 넷째, 우리나라 의료관광 활성화에 대한 전반적 인식에서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활성화가 되지 않은 이유로는 의료관광 국가정책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료관광 상품부족, 의료관광프로그램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도 국가적인 정책지원이나 규제완화가 중요한 문제이며 상품개발 및 의료관광 프로그램개발 또한 좀 더 과감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병원과 호텔의 복합시설 개발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이유로 환자숙박시설의 편리성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보호자의 숙박시설 편리성, 외국환자 메뉴 선택 다양성, 환자이송의 컨시어지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디텔 개발이 의료관광 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고용창출효과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관광수입증대, 방문수요증가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정부 관련기관 근무자들이 메디텔 개발에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반면 호텔여행업계에서는 가장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와 이론적 고찰, 국내외 의료관광 현황과 사례를 통해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호텔산업의 경쟁력강화방안에 대한 호텔 의료관광 상품개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개발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의 균형발전을 통한 의료관광산업의 고도화 전략으로 관광서비스 연계산업지원 방안으로 병원과 호텔의 복합시설인 메디텔 개발을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과 과감한 투자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의료 관광 상품개발 방안으로 병원과 연계된 호텔서비스의 복합 상품을 제시하였다. 즉, 각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특화된 상품위주로 의료관광 패키지를 구성하여 환자나 가족들의 장기체류에 대한 부담과 다양한 음식선택, 타국의 문화나 관광을 접할 수 있는 기회제공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상품으로 사료된다. 셋째, 의료기관내 부대사업으로 숙박업 허용에 대한 과감한 정책 지원과 규제완화이다. 2011년부터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신·증축하는 경우 용적률 적용 확대 및 관광진흥기금 융자. 지원으로 적극적인 지원 대책을 발표하였으나 세부적인 개발계획지원 및 시설설치 규제완화 각종 세제 헤택 등의 육성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휴양형 의료관광 단지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하여 웰니스 의료관광 상품을 통한 호텔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관광공사로 이원화되어 있는 정책집행기관의 균형 있는 정책개발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특히 한

      • 한국 의료관광산업의 중국인 의료관광객 유치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장천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문초록 21세기인 지금, 건강과 관광을 결합한 "의료관광(Medical Tourism)"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의료관광을 국가적 차원의 전략산업으로 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기후 환경이 좋고 의료시스템이 잘 구비된 아시아 국가들이 그러하다. 의료관광업이 처음 시작될 때 관광산업과 의료산업의 상호 시너지 효과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국가의 경우 관광산업은 비교적 발달하였으며, 최근 몇 년 간 한국도 이 분야를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삼아 크게 육성하기 시작하였으며 한국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국제 의료관광 시장은 금년 후 3~5년 안에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올해 아시아 인구의 급격한 증가, 끊임없는 경제 성장과 동아시아 사회의 노령화 진입 등 요소들은 의료 서비스 수요를 확대시키고 나아가 의료관광산업의 지속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 한국은 다른 선진 국가들에 비해 의료관광산업을 늦게 시작하고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의료관관에 대한 관련 의료업계와 관광업계의 인식 부족에 따른 전략 부재로 의료관광산업을 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도 미흡하다. 하지만 2009년 의료법에 개정을 계기로 의료관광산업을 고가가치산업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한국 의료산업을 가격, 의료서비스, 의료기술력에 있어서 주변 국가들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인 의료교육이 행해지고 있다는 점은 의료관광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 의료관광은 한류 등을 통한 국가이미지 제고의 수혜자이다. 한류영향 등에 힘입어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을 의료관광 대상지로 선택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한류열풍을 타고 떠오른 의료관광은 새로운 한류 트렌드를 만들고 있다. 본문은 이 논제를 선택하게 된 배경과 동기를 우선 소개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이어서 의료관광의 개념, 의료관광의 등장 배경 그리고 의료관광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과 세계 주요 경쟁국의 의료관광산업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는 한국의료관광산업의 환경 분석을 통해 한국 의료관광산업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강화 방안을 구축하였다. 제4절에는 중국 의료관광객 대상으로 유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부분은 본 논문 새로운 시점으로 현재 중국의료관광객을 유차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활성화 전략을 제기하였다. 총 세 가지 측면, 즉 정책·제도 차원, 관광인프라 차원 그리고 의료서비스 차원에서 의료관광객 유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앞에 분석한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으며 본 논문의 부족한 점을 밝히면서 앞으로 한·중 양국의 공동 발전을 위한 건의사항을 제기하였다. 핵심용어: 의료관광산업, 중국 시장, 중국 의료관광객, 유치 활성화 전략

      • 한방의료관광 활성화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의료공급자와 잠재수요자간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이판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33311

        Even though the medical treatment is considered as superior, few empirical studies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its practical managers and consumer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oriental medical suppliers and potential consumers perceive oriental medical tourism by comparing both side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opinion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toward; the perception degree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the need of invigorating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its competitiveness over other medical tourism industries, participation possibility of the oriental industry in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the need of the adoption of foreign medical techniques and policy. Second,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toward the definition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its strategic fields. Third,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toward the plan of invigorating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its expected effects. Fourth, it is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medical practioners between medical practioners adopting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ifth, it is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or similar perception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a paired sample t-tes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operationally defines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s a type of tourism which combines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done by oriental doctors and illness treatment through health guidance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with the oriental medical healthcare to improve 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abilities, humans’ reproductivity and their health. This study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medical service suppliers(e.g. agents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doctors, and nurses) and potential consumers who visited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experienced the oriental treat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15 to August 20, 2015. A total of 107 respondents among medical suppli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hile 378 data of visitors to the oriental hospitals were vali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ppliers and potential consumers in the perception degree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the need of invigorating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its competitiveness over other medical tourism industrie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in the participation possibility of the oriental industry in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nd the need of the adoption of foreign medical techniques and policy. Second, the common perception toward the definition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is that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is most highly perceived for illness treatment. Meanwhile, the medical suppliers consider the tourism for health diagnostic the most important. However, the potential consumers perceive spa or wellbeing tourism to be the most important. The common perception toward the strategic fields for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is that the oriental medicine for skincare beauty treatment and diets, and the oriental constitutional medicine are highly considered by both suppliers and consumers. Although the medical suppliers consider the oriental medicine for skincare beauty treatment the most important, consumers most prefer the oriental constitutional medicine. Third, the common perception toward the plans for invigorating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is that both medical service suppliers and potential consumers perceive the expertise in the oriental medical techniques and the expected effect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most critical. The medical suppliers think of the policy for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tourism poli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However, the potential consumers consider the openness of the oriental medicine market most important.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PA, both the medical suppliers and the potential consumers consider the diverse tourism programs and its differentiation, promotion for the products of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the attention and suppor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a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factors. Meanwhile, the medical suppliers consider the up-to-dated oriental medical techniques most important while the potential consumers do not. Fifth, selection attributes for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a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the different selection attributes between the medical suppliers and the potential consumers are the oriental hospitals where have convenient facilities for patients’ family, the health insurance can be applied to, and have low diagnostic cost, the diverse packages for the medical tourism can be used and can be conveniently accessed worldwi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monly perceived factors between the medical suppliers and the potential consum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bridge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m, marketing managers for the oriental medical tourism need to develop the tourism products consisting of the oriental medicine experiences and to enhance the convenient accessibility for the foreign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very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and the limitations are suggested.

      •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 A대학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정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00575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부족한 울산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국인 의료관광 현황, 의료관광의 국내·외 성공사례 및 제약 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울산지역 A대학병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다양한 논의와 실제적인 제안사항 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 A대학병원 해외환자 유치 TFT의 자료를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료관광의 기반조성정책 및 의료 인프라, 의료 경쟁력, 경쟁력을 위한 제고 방안 등을 심층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PEST, SWOT 분석을 통하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하였다. 그 결과 A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외국인 대상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 특화 의료서비스 개발과 중국과의 MOU 체결로 A대학병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이 울산지역 지자체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에이전시 육성, 지자체 차원의 홍보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

        김수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67807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떠오른 의료관광은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이후 시장개방을 통한 국경 없는 무한경쟁 속에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의료산업이 경쟁 분야로 떠오르고 각국의 의료산업이 국제적으로 교류되면서 환자 역시 저렴한 비용의 의료서비스 또는 현대적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국제적 이동을 하여 주체적인 선택을 하는 양상을 보이며 의료산업의 세계화가 도래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의료서비스를 세계화의 흐름 속에 산업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2009년 국가신성장동력산업의 일환으로 ‘글로벌헬스케어’가 선정, 그 해 5월 1일 의료법을 개정하면서 본격화 되었다. 최근 성형 및 미용에 집중 된 해외환자 유치보다는 장기적인 의료관광산업 성장을 위하여 진료 수익 측면에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증질환 환자를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대한민국의 선진화 된 의료기술 홍보를 위해서도 중증질환 치료에 대한 집중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도출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은 대형화 및 전문화되어 국내 환자들의 수요 및 선호도 또한 매우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의료관광산업에 자원 및 인력을 투입하고 적극적인 해외환자 유치를 하는 데에는 일정부분 견제와 우려가 따른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로부터의 현황 분석을 통해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현재 해외환자 유치 및 국내 환자 의료 보장에 대해 자각하는 현황을 분석한 후에 향후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관광산업 필요성을 도출하여 의료관광산업에서 가지는 역할을 분명히 인지하고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역 내 상급종합병원 24곳을 대상으로 각 기관 종사자의 259개의 표본을 얻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구성의 요인분석을,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병원규모, 소속, 전담기구 설치 여부에 따라 의료관광의 필요성, 현황, 국내 수요, 활성화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료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변수 간 다중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의료관광 활성화의 하위영역별로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종사자들은 전반적으로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해외환자진료경험 또한 많았다. 평균적으로 대한민국 의료관광 수준 및 해당 기관 의료관광 수준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료관광산업의 대외적인 홍보 기능을 위한 필요도가 높았다. 의료관광 활성화 조건에 대하여 현재까지도 전문 인력 필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해외 의료기관과의 협력관계 및 해외환자 분쟁 대응책이 다음으로 제시되었다. 기관별 특징에 따라 병상수가 많은 대규모 기관일수록 국내환자의 수요정도는 높았으나 의료관광산업의 필요성 또한 높게 평가되었고 의료관광 현황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았다. 또한 소속에 따라서는 의사 및 행정직이 간호사보다 해당 병원 의료관광 현황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관광이 활성화되고 체계화 된 진료프로세스가 부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선진화된 의료기술 및 체계화된 의료프로세스를 통해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가 유리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으며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관광이 활성화될 경우 한국 의료기술의 인지도 상승과 중증환자치료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기대하는 인식이 높았다. 이를 통해 상급종합병원은 해외환자유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의료관광산업에서 선진의료기술을 통해 대외적인 홍보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를 알 수 있었다. 기관 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 교육 필요와 의료분쟁에 대한 제도적 장치도 요구되었다. 기관 규모에 따른 활성화 정도가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나는 만큼 기관별 해외환자 유치의 기능적인 특성에 따라 해외환자 유치에 관한 규제를 완화 또는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환자 의료보장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상급종합병원의 현황을 분석하는 자료가 됨에 의의가 있지만 여전히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에 향후 규모적인 실태조사 및 기관의 분류에 따른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medical tour which emerged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of the 21st century was accelerated through the limitless competition without borde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WTO. As the medical industry emerged as a competitive industry and was exchanged among countries, patients made independent decisions to travel internationally for inexpensive or advanced medical services, resulting in the glottalization of the medical industry. South Korea also implemented a policy to industrialize its medic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with the ‘Global Health Care’ selected as the Industry for National Developmental Force in 2009 and the revision of the Health Law on May 1st of the same year, the industrialization of medical service became official. Recently, opinions that rather than foreign patients requiring plastic surgery or beauty treatment,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s who can create high profits should be attracted for long-term growth of the medical tour industry are rising, and thoughts that strategic focus on the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s is needed to advertise the advanced medical services of South Korea are being deducted. Advanced general hospitals of South Korea are oversized and specialized, and domestic patients’ demands and preference for those hospitals are high. In a situation like this,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s have some restriction and worries in investing resources into medical tour industry and attracting foreign patien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from the workers of medical institution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workers of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s on the medical tour,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securing medical services for domestic patients and deduct the necessity of the medical tour industry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to recognize the role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the medical tour industry and examine the strategies and policies. 259 workers of 24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the capital area were interviewed and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The main methods for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use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need for medical tour, present condition, domestic demands, in relation to the size of hospitals, departments, and the presence of organization exclusive to medical tour, variance analysis an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medical tour,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ub-categories of medical tour activation. , The result showed that workers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were highly aware of medical tour industry and they had much experience in treating foreign patients. On average, the quality of medical tour of South Korea and of corresponding organization were considered high, and the need for advertising the medical tour industry to foreign countries was high. Among the conditions for activating medical tour, the need for the health professionals was the highest, and the need for the cooperation with foreign medical organizations and for the countermeasures for disputes of foreign patients were the nex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s the number of beds increase for an institution, the demands for domestic patients for the institution was high, but the need for medical tour industry was also evaluated as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present conditions for medical tour was also high. Doctors and administrato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ospitals’ medical tour conditions than nurses showing that the systemized treatment process where medical tour is activated are different from departments to departments.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it is advantageous to activate medical tour industry through the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and systemized medical process, and when the medical tour is activated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medical technologies would increase, and South Korea would have a competitive edge in treating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 Through this, advanced general hospitals are actively working to attract foreign patients, and they expect to participate in advertising to foreign countries with advanced medical services. Educating worker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medical dispute were also needed. Since the relation between the organ-scale and the level of activation was positive appear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ttracting foreign patients, it was needed to relieve or supplement the restrictions on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the strategy for securing the medical service for domestic patients was also needed.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 industry, but still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and that implies that scalar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and analysi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