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특성화고 취업지원관의 학생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윤은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특성화고 취업지원관의 학생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윤은주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는 특성화고의 취업지원관으로서 특성화고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학생 진로상담의 문제와 학교와 기업에서 요구하는 지도의 어려움, 현실적인 취업지원 정책의 문제와 필요성을 살펴보고 특성화고 학생의 상황과 현실을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여 연구 기술한 자문화기술지이다. 특성화고에 진학하는 많은 학생들은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춰서 진학하기보다는 가정형편이나 성적에 맞춰 학교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중학생들이 특성화고에 진학한 가장 큰 이유가 전문 기술 습득이나 취업에 유리해서가 아니라 성적 부진에 의한 선택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화고에서는 설립 취지가 취업이라는 전제하에 다른 무엇보다 전공에 맞춘 교육과 취업을 우선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진로 결정은 자신의 흥미나 적성, 능력 등을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춘 직업교육을 받을 때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수요자인 학생들의 관점에서 요구하는 관심과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고, 취업 지도에 있어 학생 개인의 특성이 존중되어야 하며,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으로 진로를 설계하고 진로 목표를 수립할 수 있게 돕는 생애 지도가 되어야 한다. 특성화고에서 근무하고 있는 취업지원관의 역할은 진로‧취업상담과 기업체 발굴, 취업 알선, 취업지도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며 특성화고 학생들이 진로목표를 수립하고 취업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우며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취업지원관은 학교에서 요구하는 취업률에 맞추기 위해 학생들의 특성과 적성에 맞춘 취업지도가 아니라 성과지향적인 취업연계에 더 매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성과 자기주도적인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의 맞춤 취업지원 또한 요원한 일이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학교‧기업‧학생‧학부모‧지역사회의 인식 변화가 선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취업지원관의 개인적인 경험적 기술과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하는 교수 1인과 경험 있는 박사과정 1인 및 함께 자문화기술지를 연구 중인 석사과정 5인에게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기술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에 대한 지도 경험을 담은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통해 이 연구가 공헌할 수 있는 부분과 저자를 포함한 연구 참여자들 그리고 독자들에게 새로운 물음을 던지거나 성찰적인 행동과 실천을 이끄는지를 검토했으며, 연구자의 자문화기술지가 경험의 의미를 구체화했는지를 살펴가며 선행연구의 연구 방법론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의 연구가 진로와 취업에 대해서 고민하고 방황하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과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눈으로 학생들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와 긍정적인 인식 전환이 될 수 있으며, 정부‧학교‧기업‧학생‧학부모‧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여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원관, 진로, 취업상담, 자문화기술지

      • 도덕·윤리과의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윤은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의 급격한 정보화와 문명적 변환 속에서 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변화해왔다. 이런 사회 속에서 도덕·윤리교육은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삶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법까지도 알려주어야 할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 도덕·윤리과의 평가는 단편적 지식이나 객관적인 수치만을 평가하기 보다는 도덕성을 지속적이면서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요구를 가지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도덕·윤리교육에서는 수행 평가를 도입함이 적합하다고 보아진다. 수행평가는 평가자가 학습자들의 학습 과제 수행 및 결과를 직접 관찰하고 그 관찰 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을 의미한다. 수행평가는 또 단편적인 영역에 대해 일회적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학생 개개인의 변화, 발달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전체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 방식이다. 도덕과 수업과 평가를 좀더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시도와 그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오래 전부터 있어 왔지만 현실적으로 그 방법이나 형태를 규정한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도덕적 인간 됨됨이나 윤리적 가치관을 평가해낸다는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도덕 평가는 흔히 공식적으로는 도덕 교육을 받은 사람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잰다고 하면서도 실제는 선발 이데올로기의 관행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또한 도덕 교육을 받는 사람의 총체적 모습을 평가하기보다는 그러한 총체적 모습을 인지.정의.행동으로 분할하여 별도로 평가한 후에 그 결과들을 다시 합치려는 환원주의적 오류를 범해왔다. 그리고 시비의 소지를 막으려는 객관적인 평가에만 얽매여 평가문항이 본래 담고 있어야 할 교수. 학습활동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느냐의 내용 타당도는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도덕과 평가의 문제점은 수행평가의 특성과 장점으로 어느 정도 해소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왜냐하면 수행평가에서는 '점수 메기기'나 '등수 메기기'위주의 선발이나 배치를 목적으로 삼기보다는 교수-학습 상황의 개선을 통한 도덕과 교육의 목적 달성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행평가의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보완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도덕·윤리과 수행평가에 대해 몇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그 공통적인 문제점은 수행평가를 위한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것과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평가 방법의 개선과 교사의 전문적 능력신장으로 보완될 수 있다고 보아진다. 수행평가정책이 학교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행평가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잘못된 점들을 고쳐나가는 것이 시급하다. 수행평가 정책이 제대로 정착되어 잘 활용된다면 바람직한 도덕·윤리교육을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안토닌 드보르작의 <성서의 노래, op.99>의 성서적 고찰

        윤은주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드보르작은 19세기의 가장 풍부한 재능을 지닌 다재다능한 작곡가로서 스메타나와 더불어 체코의 국민주의 음악을 세계적인 무대로 옮겨 놓은 국민주의 작곡가 중 창조적 호소력을 크게 지닌 작곡가였다. 드보르작의 음악적 특징은 단순 소박하며 균형 잡힌 고전적 구성과 풍부한 음색, 서정적인 민족적 선율과 리듬에 의하여 명확하게 표현한 점에 있다. 또한 신에 대한 경건한 태도, 조국에 대한 정열과 따뜻한 마음이 기반이 되고 있다. 1894년 드보르작이 작곡한 『성서의 노래, op. 99』는 미국 체재 기간 중 고국에 대한 향수와 인간의 죽음에 대한 초월을 하나님에 대한 신앙심으로 승화시켜 노래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드보르작의 작품 경향 및『성서의 노래』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곡의 원어 가사 및 번역어 가사를 수록한 다음 악곡 분석을 하였다. 또, 성서적 배경에 의한 시와 음악과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연구하였다. 『성서의 노래』의 가사는 구약 성서의 시편에서 취해졌으며, 16세기의 보헤미아 수도사들에 의한 체코어의 번역으로 크라리체의 체코 프로테스탄트 성서를 사용하였다. 이 곡은 과거 역사적 상황이나 사건들을 중심으로 거기에 맞는 시를 시편에서 선택하고 인용하여 가사화한 일종의 서사시들로 되어 있다. 주제는 인간의 모든 삶과 환란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우주적 왕권이신 구원에 있고, 이를 높이 찬양하는 신앙의 절개는 전체적 가사 내용의 중심을 이룬다. 악곡 분석적인 면에서 형식의 구조는 주로 2, 3부 형식이 많으며 4부, 5부 형식도 나타나 있다. 선율에 있어서 흑인영가의 영향으로 낭송적인 부분이 많았고 리듬은 주로 전통 고전적 리듬에 슬라브적 요소를 약간 가미하였다. 화성은 주로 감 7화음같은 반음계적 화성이 많이 사용되었고, 이는 고전적 화성과 성격적 대비를 이루어 극과 극의 통일성을 이루었다. 각 곡의 조성 진행은 반음계적 조바꿈을 사용하여 선율에 다양한 변화를 주었으며 온음계적 조바꿈과 이명동음 조바꿈도 종종 나타났다. 다이내믹은 하나님의 위엄과 인간의 종교적 승화의 대조적인 면을 전 곡에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였다. 포르테와 피아노의 강약 대비를 강하게 두었으며 가사의 변화에 따른 다양성을 중요시하였다. 반주 형태에 있어서는 코랄반주, 트레몰로, 그리고 아르페지오의 사용이 가장 눈에 띄고, 세잇단음표 리듬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성악부 선율에서 반복되는 반주부분이 많으며, 반주부와 성악부 선율이 대화하는 것처럼 이중주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선율을 연주하기도 한다. 이 곡은 가사의 내용과 음악과의 아주 적절한 내면적 결합을 이루면서 그의 음악의 독창적인 면을 부각시켜 주고 있다. 성서의 시편에서 가사를 취하여 10곡의 연가곡을 작곡한 것은 드보르작의 음악적 재능의 풍부함과 그가 시편을 얼마나 확실히 독파했는가를 알 수 있다. 드보르작의『성서의 노래』는 성서의 가사에 낭만주의적 정서를 내면 깊이 간직한 종교적 경건함이 짙은 작품이다. 이 곡에 흐르는 낭만적인 표현과 성서 속의 깊은 사고를 표현하기 위하여 올바르고 적합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ntonin Dvorˇa´k was most honoured Czech composer at late 19 centuries. He had a warmth and optimism and expressed a sense of Czech nationalism in music. He tried to never lose the hope for the future, though he was in hard times. His work was based on piousness that trust in God and passion about his fatherland and the Nature. At 1894, he spent some tim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director of the New York National Conservatory and he had his mature times as a composer. Then, He had his father dead, and Tchaikovsky, Gounod, and Bulow dead also. After that, He began thought much seriously about the Life as a theme. At that time, he composed 『Biblical songs』 from March 5 to 26, 1894 and he fully presented his abundance and richness when he had his prime time as a great composer. Dvorˇa´k made his own field which was unique and got a harmony between Slavic tradition, Czech and new inspiration in the New World, America. The 『Biblical songs』 composed by Dvorˇa´k has been studied for this thesis. The results is as follows ; First, All the songs are settings of verses from the Psalms taken from the Bible of Kralice (Psalm 21, 23, 25, 55, 61, 63, 96, 98, 119, 121, 137, 144, and 145). Second, his work was simple, well balanced classical composition, beautiful sounds and lyrical rhythm influenced by Brahms. Most forms were two-part form(Binary), three-part form(Ternary), and there were also four-part form or five-part form. The melody is recitative and has much chromatic scale which presents melodies of great variation. His creative talent lies in characteristic tonality and close linkage poem and melody together. Simple rhythm and chromatic harmony exhibit well balanced characteristic contrast. The melody of vocal and the accompaniment appear repetitively or play duet like a dialog each other. To be dynamic, it needs diverse variation to describe the dignity of God and religious change. Dvorˇa´k's 『Biblical songs』 represents musical talents inherent in human spirits as well as complete composition techniques. So, his many pieces of work are truly valuable.

      • 전통놀이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윤은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자녀를 둔 부모이며,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모는 가정으로 돌아가 자녀와 함께 전통놀이를 실시하는 조건으로 24명을 모집하였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절차는 김창대(2002)의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정 보완하였으며, 부모교육은 주 1회, 회기 당 90분, 총 6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부모에게 부모-자녀만족도 척도를 자녀에게는 초등학생 부모-자녀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18.0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매 회기별 소감나누기를 분석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시간과 장소의 영향을 덜 받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가위바위보, 쌀보리, 실뜨기, 공기놀이와 같은 손놀이를, 노래와 함께하는 다리셈과, 사고력이 향상되는 스무고개, 오목놀이를, 재료의 다양성으로 창의력이 향상되는 제기차기, 구슬치기, 투호놀이, 딱지치기를 선정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은 부모 자신과 자녀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상호작용 방법, 문제행동의 접근 방식, 변화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등에 대한 내용을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실시를 위해 교육현장에서 전통놀이에 필요한 놀잇감을 직접 만들고 놀이 활동을 체험하였으며, 동영상과 ppt자료의 시각적 매체와 소감나누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전통놀이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결과, 전통놀이를 활용한 놀이 프로그램이 부모와 자녀 사이에 상호작용 역할을 하며, 놀이의 상호작용 속에서 부모-자녀는 서로 친밀감을 느끼고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놀이와 통합적 접근으로 시도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가 부모로써의 자신과 자녀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고, 적절한 감정표현으로 자녀의 말과 행동에 반응하는 소통의 기회를 촉진시켜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통놀이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가정에서 자녀들과 함께하는 전통놀이 활동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통놀이는 가족이 함께 활동한다는 의의가 있다. 가족이 함께 만들고 놀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정해진 규칙만으로 놀이 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 함께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게임 규칙을 만들고 타협하는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서양놀이 보다 전통놀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부모가 어린 시절 함께 했던 놀이를 통해 즐거운 마음으로 편안하고 익숙한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통놀이를 통해 부모는 자신의 어린 시절에 즐거웠던 추억을 지금-여기에서 아이들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아이들의 현재 모습을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으며 아동은 부모의 세대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만족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의료진이 인지하는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윤은주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의료관광산업은 2009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정부에서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의료관광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면서 의료서비스와 관광상품 개발 및 발전에 대해 국가와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의료관광상품을 수준 높은 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법규적인 체계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 의료관광의 법적 제도, 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발전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의료관광 제약요인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활성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의료진이 인지하는 의료관광 제약요인 및 활성화 문제점에 대해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으로 인한 발전 가능성 및 경쟁력, 활성화와 관련 제도에 의해 외국인환자의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의료관광 제도적 제약요인이 의료관광 발전성, 활성화, 긍정적 작용, 다른 국가와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향후 의료관광의 전략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선행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의료관광 개념과 제약요인, 발전 가능성, 긍정적 작용, 다른 국가에 대한 경쟁력 및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013년 9월 10일부터 10월 5일까지 한 달 동안 국내의 1차, 2차, 3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의사, 간호사, 행정직, 특수직 등 5개 직종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총 2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을 제외한 181부를 확보하고 SPSS 18.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에 따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국내 의료관광 제약요인이 의료관광 발전 가능성과 의료관광 발전 및 긍정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약요인이 다른 국가 의료관광 경쟁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화에 대한 부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른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국내 의료관광이 다른 국가 의료관광 경쟁력에 있어서 국제 제약요인, 체계적 제약요인, 업체 및 기구제약요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의료관광의 업체 및 기구제약과 관련해서 국내 종합병원들의 외국인환자에 대한 수용한도 5%를 해제하는 것으로 의료관광 활성화에 긍정적 작용이 될 것이다. 또한 병원간의 제휴미비의 문제에 대해 국내·외 병원의 연계를 통한 환자의 진료기록을 공유하고 환자의 편익 추구 및 국내 의료관광의 수준 높은 서비스를 병행해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국내 의료관광의 체계화 제약과 관련해서는 외국인환자 유치업자에 대한 유치범위, 유치의 상하한수가, 유치수단 등의 관련 규정을 확립하는 것을 통해 국내 의료관광 에이전시의 불법행위를 억제해 나가야 한다. 또한 보험수가 통제에 관해 보험사가 보험계약과 연계한 해외환자 유치행위를 허용한 의료법 개정안을 승인함으로써 외국의료관광객들의 보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국제화제약과 관련해서는 의료진과 환자의 신뢰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의료분쟁을 줄일 수 있으며 국내 의료관광종사자의 교육을 통해 의료관광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의료관광특구 등 관련 제도의 도입을 통해 한국 특색의 의료관광산업 형성 및 방안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어 학습 동기 저하 요인 분석

        윤은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어 학습 동기 저하 요인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있어서의 탈동기 요인을 파악하여 학습자들의 추후 학습에 도움을 주어 영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있어서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학습에 있어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탈동기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영어 학습에 있어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탈동기 요인이 학년 간, 학업성취도 수준, 사교육 노출 여부 등 개인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세 곳의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에게 사용한 연구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Kim(2014)이 고안한 6개 탈동기 요인에 대한 27개 문항의 설문도구를 통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주요하게 작용한 탈동기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영어 학습의 어려움으로 인해 탈동기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영어 수업에서 느끼는 불만족스러움으로 인해 탈동기화에 학년 간, 성별 간 차이를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탈동기가 높게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사교육 노출여부와 그 기간, 성취도 수준에 따라 영어 학습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탈동기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이 없거나 경험이 있다 하더라도 그 기간이 짧을수록, 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들일수록 해당 요인에 의해 탈동기화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둘째로 Kikuchi(2009)가 일본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 탈동기 요인을 알아보고자 만든 인터뷰법을 통하여 정량적 방법인 설문지에서 얻을 수 없었던 연구 참여자들의 7가지 탈동기 요인에 대한 정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답변을 얻고자 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Dӧrnyei(1998)과 Choi와 Kim(2013)의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과거의 영어 학습 경험이 현재 학습에 대한 태도나 동기에 영향을 주어 탈동기가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경향성은 5학년과 6학년, 성적이 ‘상’ 과 ‘중’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에게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 학습 환경에 노출되는 빈도와 정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과거의 학습 경험이 누적되어 현재의 학습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이 부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초등학교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그 어려움에서 좌절된 경험이 누적된 결과로 인해 영어 학습에 있어서 탈동기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학습의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사, 학부모, 교육 기관 등의 역할로 강조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영어 학습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목적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은주 대구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위험군 학생의 문제행동(소음내기, 부적절한 자세 및 자리이탈, 지시불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학생의 문제행동(소음내기, 부적절한 자세 및 자리이탈, 지시불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 4학년 ADHD 위험군 학생 2명과 일반학생 24명을 선정하였다. 수업 중 문제행동의 기능평가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윤예니(2009), 윤차민(2010), 장은정(2012), 이선아(2014)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은 기초선 3회기, 6주간 중재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은 사전 검사 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위험군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문제행동 발생 빈도를 등간기록법으로 측정하여 문제행동 발생률을 AB그래프로 처리하고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 변화를 회기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문제행동의 발생 빈도를 등간기록법으로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문제행동 발생률을 표와 그래프로 처리하였다. 또한 일반학생의 문제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ADHD 위험군 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소음내기, 부적절한 자세 및 자리이탈, 지시불이행)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기능평가를 통해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습 환경의 재구조화, 행동계약서, CICO 점검, 또래 재능기부, 강화체제 변경 등의 다양한 중재를 동시에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일반학생의 문제행동(소음내기, 부적절한 자세 및 자리이탈, 지시불이행)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기능평가를 통해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교수 학습 환경의 재구조화, 토큰 강화, 칭찬통장, 사회적 기술 교수 등 다양한 중재요소를 동시에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 국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은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and positive ethnic identity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ere there are many different cultures from various ethnic groups. A person who has a positive ethnic identification with his or her own ethnic group tend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other ethnic group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means for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constitute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pluralistic values of culture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be the basis of understanding our own culture and music properly and developing ethnic identification. Also, it will prevent students from feeling superior or inferior to other ethnic groups by leading them to have interests in other cultures and making them properly understand and respect those cultures. It is a process of learning to respect and accept values of other cultures and can be internalized as a belief to admit differences and diversity. Finally, it can caus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tool to understand our culture and develop ethnic ident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dentity between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between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o solv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established a test group consisting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for 34 hours as well as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a control group made up of students who receiv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ly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st group in order to measure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n,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quantitatively by us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in ident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Second,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 in ident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ould be that it proved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medi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sugges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effective in cultivating ethnic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diverse cultural values, as one of alterna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a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ctivities focusing on enhancing identity should be positively promoted. 여러 민족의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과 명확하고 긍정적인 민족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자신의 민족 집단에 대해 긍정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다른 민족 집단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 및 우리 문화 이해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 이해 도구로써의 국악교육은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의 첫 단계이기도 하다. 국악교육 은 우리 고유 음악과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근간이 되는 동시에 민족 정체성 함양의 도구가 될 것이며, 또한 다른 민족의 음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그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존중하게 함으로써 다른 민족에 대한 우월감이나 열등감에 빠지지 않게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공정하게 존중하고 인정하는 것이며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신념으로 내면화되어, 궁극적으로 다문화교육 실현에 가장 중요한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우리 문화 이해와 민족 정체성 함양 도구로써 국악교육을 매개로 한 다문화교육에 주목하였으며, 국악교육이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국악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자아정체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악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아정체감은 다문화 인식과 관계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교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외에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국악교육을 총 34시간 운영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음악교과서의 평균 26.9% 차지(현경실, 2013)) 외에는 별도의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반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 도구로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국악교육의 효과성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을 한 학교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자아정체감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교육을 한 학교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다문화 인식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매개체로써 국악교육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국악교육이 단순히 전통문화를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 정체성 함양을 통한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 도구로써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기에 이를 다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은 서로 관련이 있는 요소이므로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위한 방안으로 자아정체감 향상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윤은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시화로 인해 양적ㆍ질적인 감소, 파편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도시녹지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개별 단위녹지의 생태적 특성뿐만 아니라 공간적 분포가 생태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거시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을 경관생태학적 접근방식이라고 하고 경관생태학에서 녹지의 공간 구조 및 분포 설명에 사용하는 공간통계방법이 경관지수이다. 서로 다른 공간을 비교하거나, 다양한 원자료를 가공할 경우 해상도와 대상지 범위 변경과 같은 스케일 변경을 거치게 되는데, 스케일에 대한 지수반응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상반된 연구결과를 도출할 우려가 있으므로 분석에 사용하고자 하는 지수가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지를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가변적 공간 단위 문제(MAUP: modifiable area unit problem)라 하며 최근 도시 및 지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 도시녹지처럼 단편화가 심하고 소규모 녹지의 비율이 높으며 녹지가 외곽에 편중된 경우, 공간해상도 및 대상지 범위 변경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경관지수는 면적 및 밀도, 가장자리, 모양, 중심지, 고립 및 접근, 대조, 접촉 및 산포, 연결성 등 경관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100여개가 넘는 지수가 개발되었으며, 이중 상당수는 유사한 생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중복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분석에 앞서 대상지 특성에 적합한 지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경관지수를 이용해 도시공간 변화를 설명하는 연구가 늘고 있으나, 사용지수가 면적, 형태 등 개별 패치 정보에 편중되어 있고 기존 연구에서의 사용여부를 기준으로 지수선정이 이루어지고 있어, 대상지 적합성을 기반으로한 지수선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분석내용면에서도 녹지량 감소에 따른 패치의 형태변화를 보여주는 등 경관지수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어서 도시녹지 평가 및 변화 예측 등의 방향으로 경관지수의 활용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처럼 복잡한 생태구조를 분석함에 있어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이고 변별력이 있는 지수를 선별하고, 선별된 지수를 이용해 서울시 녹지평가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85년, 1991년, 1996년, 2000년, 2003년 등 5개 연도 영상자료를 이용해 만든 해상도 변경자료 20개, 대상지 범위 변경자료 41개를 대상으로 FRAGSTATS 프로그램에 탑재된 클래스 수준 지수 54개의 민감성과 변별력이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경관생태학적 도시녹지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민감성과 변별력 분석을 통해 선정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서울시 강북과 강남의 도시녹지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해상도 및 대상지 범위 등 스케일 민감성을 분석한 결과, 클래스 수준 54개 지수 중 21개가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지수 종류별로는 모양지수 중 민감성이 높은 지수가 많았으며, 실험대상지별로는 2000년 이후 자료에서 스케일에 민감한 지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해상도 분석의 경우, 공간 해상도 30m~60m 간의 지수 변동폭이 가장 컸으며, 공간해상도 120m 이상에서는 큰 변동이 없었다. 대상지 범위 변경자료의 경우, 대상지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녹지면적 비율이 최소 18%에서 최대 70%까지 증가하였는데, 녹지율 40%를 기준으로 그래프의 방향이 바뀜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지수들이 40% 이하에서는 선형적 반응패턴으로 보였고, 이후 거의 변화가 없거나 약간의 증감이 나타났다. 둘째, 변별력이 있는 지수는 서로 다른 공간을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수변동폭 또는 중복율이 작은 지수라고 할 수 있는데, 해상도 변경자료 및 대상지 범위 변경자료 모두에서 서로 다른 공간을 구별하는 지수는 36개, 변동폭이 좁거나 중복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지수는 41개(해상도 도면의 경우, 중심지 지수 특성은 면적지수와 같은 것을 간주)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54개 지수 중 27개 지수를 변별력 있는 지수로 선정하였다. 셋째, 민감성과 변별력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해상도 및 대상지 범위 변화 등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이고 서로 다른 공간을 구별할 수 있는 적합지수로 8개 범주 19개 지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수들은 면적 및 밀도 지수 중 CA, PLAND, NP, AREA_MN, AREA_SD 등 5개, 가장자리 지수 중 TE, 모양지수 중 FRAC_AM, CONTIG_AM 등 2개, 중심지지수 중 TCA, CPLAND, NDCA, CORE_MN, DCORE_MN, CAI_AM 등 6개, 고립 및 접근지수 중 ENN_AM, 대조지수 중 TECI, 접촉 및 산포지수 중 PALDJ, AI 등 2개, 연결성 지수 중 COHESION 등이었다. 넷째, 서울 등 우리나라 대도시를 대상으로 한 경관지수 사용 사례를 조사한 결과 16개 지수가 사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지수들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앞서 선정된 적합지수와 비교한 결과, 사용빈도가 높은 지수 중 6개 지수만이 적합지수였고, 나머지 8개 지수는 스케일에 민감하거나 변별력이 떨어져 서울시처럼 단편화가 심한 도시녹지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관지수를 도시녹지 평가 도구로 이용하기 위해 도시녹지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맞는 지수를 제안하였다. 선정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서울 강남과 강북의 도시녹지를 비교한 결과, 강북의 녹지가 더 안정적인 구조라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비오톱 유형평가자료 및 식생활력지수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결론이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울시를 대상으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과 변별력을 분석하여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에 적합한 지수를 제안하였다. 단편화 경향과 피복 형태의 복잡성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각각의 대상지에 적합한 지수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기존 선행연구에서의 사용빈도를 기준으로 하던 지수선정 방식보다는 본 연구에서 시도한 적합성 분석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5개 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수 민감성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단편화 정도에 따라 민감성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고, 지수의 비선형적 특징과 관련해서는 녹지율 40%를 기준으로 지수반응 패턴이 바뀌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둘째, 도시녹지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별 사용지수를 제안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었던 개별 패치 정보를 나타내는 지수 외에 공간 분포와 관련된 지수까지 지수활용의 가능성을 넓히고 경관지수 분석의 활용 범위를 넓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