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 분석 및 증진방안

        쑨궈칭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5

        중국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 분석 및 증진방안 쑨 궈 칭 동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지도교수 권재환) 본 연구는 중국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를 분석하고 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 증진 방안을 제안하고, 그들의 전문성과 실무능력 향상을 통하여 중국 농촌 의료 환경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농 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 수준 및 관계는 어떠한가? 둘 째, 중국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직업정체성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에 따 라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국 임상 의대생의 양성유형(주문지향, 비 주 문지향)에 따라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는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중국 농촌 주문지 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를 증진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중국 지린성에 소재한 2개 의과대학 재학생 1,003명을 대상으로 의대 생 직업정체성 척도와 대학생 학습동기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 평균점수는 5점 척도의 ‘보통이다’ 에서 ‘비교적 그렇다’ 사이에 분포해 있었고,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는 ‘직업행동 = 직 업감정 > 직업약속 > 직업가치 > 직업기대 > 직업인지’ 순으로 나타났다. 농촌 주 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학습동기 평균점수는 5점 척도의 ‘보통이다’에서 ‘비교적 그 렇다’ 사이에 분포해 있었고,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는 ‘능력추구 > 지식욕구 > 이타 적 취향 > 평판획득’ 순으로 나타나, 내재적 동기(능력추구, 지식욕구) 차원이 외재 적 동기(이타적 취향, 평판획득) 차원보다 평균점수가 높았다. 주문지향 임상 의대 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는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였고, 회귀분석 결과 직업 정체성이 높을수록 학습동기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직업정체성의 차이 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 평균점수는 직업인지 > 직업감정 > 직업기대 > 직업가치 관 > 직업약속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직업행동은 학년별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았다. 성별 평균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형제자매 유무별로 는 외동아이가 비 외동아이에 비해 직업정체성 평균점수가 높았고, 하위요인 중 직 업약속과 직업기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입학동기별 비교결과, 자 발적 집단이 비자발적 집단에 비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하위요인 중 직 업감정 > 직업인지 > 직업약속 > 직업행동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 업기대와 직업가치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 평균점수는 이타적 취향과 능력추구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고, 지식욕구와 평판획득은 학년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4개의 하위요인을 내 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재분류한 결과, 외재적 동기가 내재적 동기보다 더 많 은 차이를 보였다. 성별 평균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평판획득만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자매 유무별의 학습동기 평균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평판획득만 비 외동아이가 외동아이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동기별 학습동 기 평균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이타적 취향만 자발 적 집단이 비자발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성유형별 직업정체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이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보다 직업정체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에는 직업행동과 직업감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양성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가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이 주문지향 임 상 의대생보다 학습동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능 력추구 > 이타적 취향 > 지식욕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판획득 요 인은 통게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 증진방안에서 정부는 양성프로 그램 및 관련 정책 홍보 및 지도 강화, 수련의사 교육, 전과 의사의 사회적 지위 및 기타 조치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일 수 있다. 학교는 책임의식 교육, 봉사정신 교 육, 직업발전 교육 등의 조치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일 수 있다. 농촌 주문지향 임 상 의대생의 학습동기 증진방안에서 정부는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발전환경 및 사회적 지위를 개선한 조치를 통해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학교는 사상교육, 임상 실습, 외적 동기, 자기효능감 등을 강화해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직업정체성과 학습동기를 증진방안을 제안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 주문지향 임상 의대생 양성과정의 품질을 강화하여 농 촌에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봉사정신과 사명감을 향상시키고, 농촌 의료 및 건강 서 비스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주문지향, 임상 의대생, 직업정체성, 학습동기

      • 의대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인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동연 仁濟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실태를 설문지에 의해 경험적으로 조사 · 분석하고 의대생들의 건강, 운동, 스트레스, 직업의 향후 전망, 의과대학 재학에 대한 긍지와 대학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교차분석 등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규칙적인 운동의 유무만 제외하고 나머지 변수들은 대학생활 만족도와 아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의대생의 경우 의과대학 재학에 대한 긍지, 직업의 향후 전망이 대학생활의 만족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조사대상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만 한정된 것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their health, exercise, stress, job prospects, pride, etc.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by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are us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regular exercise and the degree of campus life satisfaction.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at medical students of In-Je Univ. are the only research sample, so the generalization of this article's conclusion would better be restrained.

      • 한국 의대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Medical students are living under heavy stress coming from excessive work load and competition.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that medical students feel and to set directions for guiding medical students’ study and life.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15 medical students who were freshmen, sophomores or juniors attending the Medical School of Yonsei University as of 2005. The contents of survey were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quality of life and school record. The survey on life quality was made using WHO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brief form (WHOQOL?\BREF) and a self?\developed questionnaire on socio?\demographical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four domains ?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chool record of 142 students, who consented to open their school records, out of the 215 participants. The relations among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quality of life and school record were tested through t?\test and ANOVA.:The total score of quality of life and the social domain score of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In the physical doma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freshmen and the junio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ophomores. Students from special high school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quality of life than students from ordinary high schools in the social domain. In addition, students who exercise 1~3 hours a week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cores of the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domains. The students who chose to enter medical school by internal motivation had higher scores on quality of life in the psychological domains than those who chose to enter medical school because of the prospects of the medical profession. Also, those who do not drink alcoh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ocial domain than those who drink alcoh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otal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cores of the four domains in relations to the distance from home to school, the area in which graduated high schools are located, whether the students live in a dormitory, how they entered medical school, religion, smoking, coffee, sleeping hours, whether the students have a boyfriend or a girlfriend, club activities, the number of close friends, and allowances. Smo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smokers.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show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and it is important to guide them in establishing social rela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reshmen who start medical study and juniors who start clinical experiment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thus medical student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to take regular exercise. 의대생들은 과중한 학업량과 경쟁으로 인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느끼는 삶의 질을 통하여 의과대학생들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 및 생활 지도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2005년도에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에 재학 중인 1,2,3학년 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인구학적 특징, 삶의 질, 학교 성적이었다. 삶의 질 조사는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와 자체적으로 제작한 인구 사회학적 구성에 관한 설문이었다. 결과는 전체 점수 및 신체, 심리, 사회, 환경의 4가지 도메인 점수를 가지고 평가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자신의 학교성적 열람을 동의한 학생들 142명의 성적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구성 및 성적과 삶의 질의 관계를 T-test 및 ANOVA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삶의 질 전체 점수와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신체적 영역에서 1학년, 3학년 학생들의 삶의 질은 2학년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목고 출신 학생이 일반고 출신의 학생에 비해서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더 높았다. 또한 운동을 1주일에 1시간 초과 3시간 이하로 하는 학생들이 운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서 삶의 질 총점 및 신체, 사회관계, 환경적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삶의 질이 높았다. 자신의 내적 동기에 의해서 의대를 입학한 학생들이 사회적인 전망에 의해 의대를 선택하게 된 학생들에 비해서 심리적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술을 안 마시는 학생들이 마시는 학생들에 비해서 사회관계 영역에 있어서 삶의 질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교 거리, 출신고 소재지, 기숙사 거주 여부, 입학 형태, 종교 유무, 흡연 유무, 커피 음용 여부, 수면 시간, 이성 교제, 서클 활동, 친한 친구 수, 한달 용돈 등은 삶의 질 총점 및 4개 영역의 삶의 질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 성적 집단 간에 있어 삶의 질 총점, 4개 영역의 삶의 질 점수에서는 각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금연자가 흡연자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성적이 높았다.이와 같은 결과는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여학생들이 취약하며, 특히 그들의 사회적 관계를 잘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의과대학 교육을 처음 받는 1학년 및 임상실습을 처음 시작하는 3학년 학생들의 신체 상태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 수 있고, 의대생이 일정한 정도의 운동시간을 가지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국 의과대학생의 운동참여도, 공격성, 단체정신, 불안의 구조적 관계

        류무위안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4

        중국 의과대학생의 운동참여도, 공격성, 단체정신, 불안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류무위안 중국의 의과대학생들은 학업, 취업, 감정 문제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 면해 있으며 이는 정신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운동참여는 불 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의대생들은 상대적으로 운동 참여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의 운동참여도와 공격성, 불안 및 단체정신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 과 같다. 연구문제 1:중국 의과 대학생들의 운동참여도, 단체정신, 공격성, 불안 의 경향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중국 의과 대학생들의 운동참여도, 공격성, 단체정신, 불안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중국 장쑤성(江苏省)에 있는 서주(徐州市)의과대학 의대생 406명이다. 연구대상자 표집을 위해 비확률적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 고,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일까지로 온라인으로 진행하였 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体育活动等级量表(PARS-3)’는 α=.84, ‘Buss-Pery 공격성척도’는 α=.94, ‘团队环境量表(GEQ)’는 α=.96, ‘Generalized Anxiexy Disorde-7(GAD-7)'는 α=.92이다. 각 척도는 Likert 5 점 척도로 구성 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과 AMO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기술통계를 통해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성별, 학년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가 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수 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은 운동참여도 3.29점, 공격성 2.56점, 단체정신 3.40점, 불안 2.68점이었다. 모든 변인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 이가 없었다. 둘째, 단체정신은 운동참여도와 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공격성은 단체정신과 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단체정신과 공격성은 운동참여도와 불안의 관계에서 다중매개효 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단체정신은 운동참여도와 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 다. 여섯째, 공격성은 운동참여도와 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의과대학생들의 운동참여도를 촉진하고 향상시킴으로써 정신건강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적절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여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마인드를 유지해야 한다. 셋째, 대학은 학생들이 운동참여도를 높이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격성을 낮추고 단체정신을 강화하며 불안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시험 스트레스가 의대생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충수 충남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7613

        To evaluate the effect of stress on immunological functions, lymphocyte subpopulation measure by flow cytometry technique, lymphocyte stimulation test using Con A and PHA, and the NK cell activity measure were performed on 12 medical students during test and va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s of GARS, SAS and S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est compared to the vacation periods(P<0.001).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bsolute unmbers and percentages of the total lymphocyte, B-cell, T-cell, T-cell subset and NK cell between the test and vacation periods. 3. NK cel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test periods compared to the vacation periods(P<0.001 or P<0.01). 4.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by PH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est periods compared to the vacation periods(P<0.05). 5.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increase in stress and the amount of decrease in NK cell activity or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In summary, the functions of T lymphocyte and NK cel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epressed during the test period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subpopulation of lymphocytes were obser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munological changes due to test stress might appear as decrease in the NK cell or T cell function rather than the changes of cell population.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se findings.

      • 일 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전지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0

        Objectives : Conversion of medical colleges to medical schools has been tried by governmental force since 2005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the medical educational system. Methods : Four hundred twenty eight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247 were undergraduate and 181 were graduate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psychological assessments including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alexithymia scale. Results : Overall, the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ree of MMPI subscales(F, depression, and social introversion) and two of SCL-90-R subscales(somatization and obsessive-compulsive) than the graduate medical students. When comparing four groups(male undergraduate, female undergraduate, male graduate, female graduate)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controlling age as a covari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graduate and male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the same subscales except somatization item,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group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le graduate medical students may have better mental health states and less psychological problems tha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ge.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female groups. Although every score of all items was within normal range regardless of groups,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male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hown in some psychological profiles such as depression, social introversion, and obsessive-compulsive trait. KEY WORDS : Medical students ㆍ Graduate ㆍ Undergraduate ㆍ MMPI ㆍ Psychological symptoms ㆍ Alexithymia

      • 의대생 및 의전원생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민정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407

        의대생 및 의전원생은 의과대학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정신건강, 학업 성취 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전원)에 입학한 학생들은 장차 인간의 생명을 책임져야 하는 막대한 의무감을 가지고 필요한 지식, 수기, 태도들을 의과대학 교육을 통해 학습한다. 물론 졸업 후 전문 수련과정을 겪겠지만, 학생들은 장기간의 교육기간동안 개인의 안위를 접어두고 계속되는 방대한 양의 강의, 밤낮을 가리지 않은 임상실습, 시험의 압박 등의 특수한 경험들을 하게 된다[1,2,3].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시간압박, 환자와의 관계, 한 번 실시되면 복구가 불가능한 치료의 성격, 인간의 생명을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특히 의과대학생이 직면한 스트레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학업과 관련된 것으로, 과도한 학습량, 잦은 시험, 성적 저하로 인한 유급에 대한 두려움 등이 스트레스의 80% 이상을 차지한다[4]. 다소 권위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동료와의 과도한 경쟁을 해야 하는 의과대학의 특수한 환경과 졸업 후 진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학업성적 때문에 의과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민감성은 다른 단과대학 학생들에 비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과대학생의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학업 및 생활 컨설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별 스트레스 프로파일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학생들의 스트레스 이유나 문제에 맞도록 컨설팅 모형을 결정하고 이를 타당한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국외의 경우 의과대학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위해 1984년 Vitaliano et al.[5]가 개발한 의학 스트레스 척도(medical stress scale)를 많은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척도는 의학교육과정 및 환경, 개인적 유능감 및 인내심, 재정적 측면 등에서 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국내 연구에서도 이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나[6,7], 국내 의과대학 환경을 고려한 학생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는 개발된 바가 없다. Marie Dahlin, Nils Joneborg, Bo Runeson[8]의 연구에서는 의대생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7 영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그 내용은 각각 학업 환경, 역량, 교수법, 여가생활, 전공, 피드백 부족, 경제적 스트레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답자들은 각 문항에 대해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그런 편이다’, ‘4=정말 그렇다’의 4점 만점으로 응답하였다. 부정적 질문에 해당하는 항목은 5점에서 해당 항목 점수를 뺀 값을 해당 점수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계산되도록 하였다. 33개의 항목에 대한 응답을 모두 합한 평균값을 산출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예과 1학년 학생들은 과중한 공부량과 피드백의 부족, 본과 1학년 학생들은 역량, 교수법의 문제를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본과 4학년 학생들은 또한 학업환경 중 비협조적인 동료관계를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꼽았다. 남학생들에 비하여 여학생들이 스트레스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몇몇 스트레스 요인은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나라마다 의과대학의 교육 환경이 다르다는 점과 위 연구에서 적용한 스트레스 척도는 학업 스트레스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영역을 파악하여, 의과대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판 의과대학생용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