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RISS 인기논문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이미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이 미 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응해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의 발달과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된 유치원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치원 휴업 시, 가정 내 유아의 발달을 돕고 교육공백의 최소화 및 휴업 종료 후 유치원 생활의 빠른 정상화를 지원 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 모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2.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하늘유치원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치원 이름은 가명임 재원중인 180명 유아 (만 3세 44명, 만 4세 66명, 만 5세 70명)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의 준비기간은 2020년 2월 3일부터 2월 28일, 본 연구과정은 2020년 3월 2일부터 5월 15일, 종합평가 및 결과보고의 기간은 2015년 5월 18일부터 6월 26일까지이다. 본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 (1988)의 ‘나선형 자기반성적 연구 모형’을 토대로 계획, 실행, 평가, 협의의 반복적 순환으로 재구성하여 1차 실행, 2차 실행, 3차 실행 등 세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각 차시마다 모바일 설문조사, 학부모 평가단 인터뷰, ‘키즈노트’ 앱, 교사협의회, 연구자 노트 등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범주화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은 1차, 2차, 3차 실행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1차 실행에서는 가정과 유치원의 원활한 소통체계 마련을 위해 모바일 알림장 ‘키즈노트’ 앱 사용을 도입하였다. ‘키즈노트’ 앱을 통해 가정의 부모에게 공지 및 안내 사항 등을 전하였고, 셔틀버스 및 우편으로 1차 ‘집콕놀이 꾸러미’를 유아에게 전달하였다. 1차 ‘집콕놀이 꾸러미'의 ‘함께 지키는 기본생활습관’과 ‘함께 놀이해요’ 활동을 통해 휴업기간에도 유아들이 바른 습관을 형성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내며 다양한 놀이를 통해 즐거울 수 있도록 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사협의회를 통해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하였다. 교사들은 직접 영상컨텐츠를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과 연동하였고, 드라이브 스루를 통해 2차 ‘집콕놀이 꾸러미’로 전달하였다. ‘표고버섯 키우기’ 연계활동 영상과 ‘우리 반 선생님, 교실, 친구들 소개하기’ 영상 등 ‘집콕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가정 내에서 한 주제를 연계한 다양한 활동들을 경험하고, 반 구성원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키즈노트’ 앱에 부모가 아이의 가정 내 놀이영상과 사진을 올리면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해주는 등 모바일 알림장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2차 실행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하늘 유치원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주제를 선정하여 이와 관련된 ‘집콕놀이’ 영상을 제공하였다. 교육과정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유치원 특색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미리 적응하는 유치원 생활’, ‘유치원에서 즐겨 부르는 노래’, ‘자연물로 즐기는 숲놀이’ 등 영상컨텐츠를 제작하였고, 이를 유튜브 채널에 연동한 원격수업을 실행하였다. 2차에서처럼 ‘키즈노트’ 앱을 부모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아이에 대한 영상과 사진으로 피드백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차 실행에서는 별도의 ‘집콕놀이 꾸러미’ 제공 없이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활용품과 집 주변의 자연물들을 활용하도록 했다. 각 실행단계마다 모바일 설문조사, 학부모 평가단 인터뷰, ‘키즈노트’ 앱, 교사협의회, 연구자 노트 등을 통해 실행과정에 대해 평가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 및 건의사항을 개선하고 다음 실행에 반영하여 실제 가정의 부모와 유아에게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유치원 원격수업을 실행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 속에서 의미를 찾아보았다. 코로나19는 유치원 원격수업의 시작점이 되었다. 갑작스러운 개학연기와 이에 대한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교사들은 비대면, 비접촉 가정연계활동을 긴급하게 계획‧준비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패닉이 되었다. 처음 겪어본 위기 속에서도 교사들은 협력하여 신속하게 ‘집콕놀이 꾸러미’를 구성했고 각 가정으로 셔틀버스 및 우편배송을 실시하였다. 아이들과 직접 대면하여 전해준 ‘집콕놀이 꾸러미’는 단순한 놀이지원이 아닌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 큰 기쁨을 주는 선물과도 같았다. 또한 교사들은 각 가정과의 원활한 소통 및 공지 및 안내사항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모바일 알림장 ‘키즈노트’를 사용하였고, 이는 유치원 원격수업 실행에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 적응의 어려움, 부모와 교사의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한계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되었다. 유치원의 휴업이 계속되며 이로 인해 가정 내 돌봄은 더욱 장기화되었고, 교사들은 언택트 시대에 발맞춰 직접 유튜버가 되어 가정 내 유아들과의 온라인 만남을 시도했다. 교사들은 함께 역할을 나누어 협력하였고, 직접 제작한 영상컨텐츠를 유튜브에 게시하며 유아들에게 다양한 놀이지원을 하였다. 2차 ‘집콕놀이 꾸러미’는 드라이브 스루를 통해 유아들에게 직접 전달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와 유아는 행복한 만남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안내 및 공지사항 전달의 수단이었던 ‘키즈노트’ 앱을 부모가 가정 내 유아의 놀이 모습을 영상이나 사진으로 업로드하고, 교사는 이에 대한 관찰 및 평가로 피드백을 하며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언택트 시대 긴밀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더 친밀하게 할 수 있었고, 이는 유치원 원격수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한편, 코로나19의 확산 방지 및 유아 학습권 보호를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도 온‧오프라인을 통한 원격수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19는 교육의 장을 유치원에서 가정으로 전환시켰다. 그야말로 뉴노멀(new normal) 시대가 찾아왔고, 이에 따라 부모의 역량과 책임이 중요해졌다. 온라인을 통한 놀이지원은 각 가정의 부모들에게 유치원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의 돌봄 및 교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차‧2차‧3차에 걸친 유치원 원격수업은 가정과 교실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향후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추가 감염병 및 위급상황에 대비해 유아교육 현장에도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블렌디드 러닝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더 나아가 유치원 원격수업을 통한 온‧오프라인 놀이지원이 ‘교실유치원’이 아닌 ‘집콕유치원’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은 성장하고 배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교사인 연구자가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동료교사들과 함께 협력하여, 부모와 유아의 교육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을 탐색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 향후 또 다른 전염병이나 어려운 상황으로 유치원 등원이 중지될 수 있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교육 및 돌봄을 지원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의 실제적인 모형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공립유치원의 조직유형별 선호도 및 선택변인 분석

        강선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looks at the merits and demerits of public kindergartens according to their organization types by analyzing and examining the preference and selection variables in public kindergartens through a survey of teachers working at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that, it aims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fant education, show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public kingdergartens. First, a survey to know a respondent's working statu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 organizations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questions: the type of the kindergarten organization that the respondent is currently employed at, the reason for employment at that particular organization, the type of organizations for which the respondent has the least or largest number of working days or years worked, and the reasons for working at such organizations.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are the largest. As the reason for employment at that particular organiza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ent by education authorities. As other reasons, some teachers mentioned commuting distance an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having the largest numbers of working days and years worked is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The largest number of teachers were working at their current organization due to personal shifts such as transference to other region.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having the least numbers of working days and worked years is also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As its biggest reason, teachers said that there were no organizations nearby their home, in which they wanted to work. In the surve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regions.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 types preferred and the reason of the preference, and the organization types avoided and the reason of the avoidance to look at the preference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n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 with two or three classes without a principal is preferred as the best one,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For the reason of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organizations,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operated by a principal and independent kindergartens present a high degree of preference in therms of cooperation. An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or more than two classes present a high degree of preference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a flexible curriculum. The types of organizations not preferred are independent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operated by a principal. The biggest reason of avoidance in the types of organizations not preferred is heavy duty. As the reason of avoidanc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types, teachers said loneliness due to the absence of colleagues for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two or three classes, teachers mentioned a difficult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for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without a principal and independent kindergartens, teachers said a lack of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 processes caused by a different education view from managers in charge. Third, in order to investigate selection variabl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types, the study looks at the cases where teachers worked at particular organizations following their desire, excepting the cases where teachers worked by transference to other region and new teachers were sent by education authorities. Then, it examines their plan for career and the reason of the sele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or two or three classes were selected by many teachers. Most of regular teach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less than five years with a teacher's second-class certificate did not hope to work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But many regular teachers who have a teacher's second-class certificate wanted to work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operated by a principal. In terms of regions, teachers in metropolitan cities show a high degree of hope. In the selection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organizations, all kindergartens, excepting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operated by a principal, chose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cess a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variable.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chose growth a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variable. Fifth, a survey to know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ype of organization proper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education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questions: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that the respondent thinks as the most proper orga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education regardless of his/her preference and its reason, and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that should change or be removed and its reason.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most appropriate organization type is an independent kindergarten. According to teachers' certificates and region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The reason that teachers selecte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hree classes and independent kindergartens is because of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teachers who selecte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or two or three classes provided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cess following their conviction as the reason of their selection.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re are organization types that should change or be removed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education. As the organization type that should be removed, they selecte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And its reason is because of the concern about the deterioration of working conditions caused by heavy duty. In case of kindergartens with two or three classes operated by a principal, teachers were worried the most about the infringement of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cess following their conviction. When combining all contents of the study,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have the largest number of years worked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The type of organization preferred the most is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two or three classes, while the type of organization avoided is independent kindergartens. As the most desirable organization type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education, teachers selected the type of an independent kindergarten. They also selected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as an organization type that should change or be removed.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kindergartens in which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is the largest, it is expected that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who think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with one class as an organization type that should change or be removed and on the phenomenon that they avoid these kindergarten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공립유치원의 조직유형별 선호도와 선택변인을 현재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분석, 검토하여 공립유치원의 조직유형별 장단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공립유치원 조직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조직유형별 근무실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현재 근무 중인 유치원의 조직유형과 근무하게 된 이유, 근무 횟수 또는 년수가 가장 적거나 많은 조직유형과 그 이유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 1학급 병설유치원에 근무(46.8%)하는 교사수가 가장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읍ㆍ면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1학급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고, 광역시는 단설유치원(40.0%), 시지역은 전담 원감 없는 2,3학급 병설 유치원(44.3%)에 근무하는 교사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근무지역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재 근무지에 근무하게 된 이유로는 관외전입 등의 이유로 발령을 받아서(56.7%) 근무하게 되었다는 교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이 통근거리 및 자녀교육문제 때문(26.3%)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횟수 및 년수가 가장 많은 조직유형은 1학급 병설유치원(46.8%)이며, 이는 교직경력별, 소지자격별, 근무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횟수 및 년수가 많은 이유는 관외 전입 등의 이유로 발령을 받아 근무하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근무 횟수 및 년수가 가장 적은 조직유형은 1학급 병설 유치원(38.0%)으로 근무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광역시에 근무하는 응답자 중 63.3%가 1학급 병설유치원에 근무한 경험이 제일 적었다. 근무 횟수 및 년수가 적은 이유를 살펴보면, 근무하고 싶은 조직유형이 생활권과 가까운 곳에 없어서라는 의견이 높았으며(29.8%), 전담 원감이 배치된 3학급 이상의 병설유치원이나 단설유치원의 경우는 근무하고 싶지 않은 조직유형이라 지원을 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유형별 선호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근무를 선호하는 조직유형과 선호이유, 근무를 기피하는 조직유형과 기피이유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담 원감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초등학교 병설 2,3학급 유치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1학급 병설 유치원에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유형별 선호이유는 전담 원감이 배치된 3학급 이상과 단설유치원의 경우에는 동료교사와의 협력면(49.1%)이 높았고, 1학급과 2,3학급 병설유치원의 경우에는 자율적이고 융통적인 교육과정 운영면(41.5%)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선호하지 않는 조직유형은 단설유치원과 전담 원감이 배치된 3학급 이상 병설유치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설유치원은 교직경력별, 소지자격별, 타 유아교육기관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근무지역에 따라서는 광역시와 시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를 선호하지 않는 조직유형의 기피이유는 과중한 업무 부담(50.9%)에서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학급 병설 유치원의 경우에는 유아교육 전공 동료의 부재로 인한 외로움(41.9%)과 초등위주의 학사업무가 그 다음 기피이유로 나타났다. 2,3학급 병설의 경우에는 동료교사와의 마찰에서 오는 인간관계의 어려움(33.3%), 전담 원감이 없는 3학급 이상 병설유치원과 단설유치원의 경우에는 전담 관리자와의 교육관 차이로 인한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부족과 원장(원감)의 인간성 및 지도력 부재를 그 다음 기피이유로 응답하였다. 셋째, 조직유형별 선택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서 신규발령이나 관외 전입 등 발령에 의해 근무하게 된 경우를 제외한 교사 자신의 희망에 의해 근무한 경우 및 근무계획 여부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조직유형을 선택하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학급과 2, 3학급 병설유치원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유형별 선택변인은 전담원감이 배치된 3학급 이상 병설유치원을 제외한 모든 유치원이 교육과정 운영면을 가장 중요한 선택변인으로 응답하였다. 특히 1학급 병설 유치원은 과반수가 이에 응답하였으며, 3학급 이상 병설유치원은 전문성 신장면을 가장 중요한 선택변인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바람직한 조직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교사 개인의 선호도에 관계없이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조직유형과 그 이유, 또 없어지거나 달라져야 할 조직유형과 그 이유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장 바람직한 조직유형은 연구대상자의 과반수가 독립 단설유치원(57.3%)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는 유아 공교육체제의 기반조성(43.3%)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과반수는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해 없어지거나 달라져야 할 조직유형이 있다(59.1%)고 응답하였고, 없어져야할 조직유형은 초등학교 병설 1학급으로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없어지거나 달라져야할 이유로는 전체적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과중한 노동력으로 인한 근무조건의 악화우려(37.6%)가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3학급과 전담 원감이 배치된 3학급 이상 유치원의 경우에는 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침해가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 유치원 교원의 장학활동에 관한 인식과 기대 : 강원도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김옥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alternative with the consideration of improvements and problems on the operation of upcoming kindergarten supervision, by recognizing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nd expectations on various supervision.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 is directed as following: First,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kindergarten visit supervision?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local area autonomous supervision of kindergarten districts? Third,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in-house autonomous supervision? Fourth, what are the teachers’ expectations on types and challenges of the supervision? Due to the investigation of those researches, surve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subject of the survey includes 162 individuals of teachers of the public, private kindergartens in Chuncheon. 143 useful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mong thos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subject of the survey and recollected. The creation of the survey was directly done by the researcher with the advisory of the academic adviso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etc. The survey configurations were composed of the kindergarten visit scholarship, the local area autonomous supervision, the in-house autonomous supervision, and expected supervision. The sub-factors of those configurations were comprised of 22 objects. The statistical method of the study is statistical processing by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 for the analysis is χ2 verification and the verification was conduc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hrough thus process, the conclusion is made as following. First, the kindergarten visit supervision is supposed to be regularly done once a year keeping the present system. By doing so, the evaluation and support for the kindergarten work site and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techniques of teachers and teacher-learning method with the qualified management are anticipated. As for those who are not experienced enough, the guidance to let them recogniz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upervision in the right way is required. Second, the way to activate the local area autonomous supervision is necessary. At the same time, the alternative to minimize the wasteful movement and troubles of getting together, and burdens for kindergarten which provides the place to meet needs to be figured out. The opportunity to visit other teachers’ class should be offered much as well.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fferent supervision types will help amicabl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kindergartens. Third, the type of the supervision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as the most effective is in order of the in-house autonomous supervision, the self supervision, the local area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 visit supervision. The in-house autonomous supervision is keenly performed in private kindergartens, while it is carried out on relatively negative lines in the public kindergarten. The teacher of a singular class is expected to develop his/her expertise throughout a fervent self supervision. Moreover, ways to reduce the task burden and sundry duties and help teachers only focus on their classes need to be established, since teacher’s work burden and sundry duties were estimated to be the obstacle to activate the in-house autonomous supervision. Fourth, on·off-line infrastructure should be operated for teachers at all times in order to make use of the experts in location by constructing the education infrastructure. It is based on the high percentage of demand for teachers who are willing to ask for advisory and get data from local teachers when they need information and data regarding to educational activities at kindergarten educational work site or an advisory to solve conflicts, if there are some channels that can be actively used. 이 연구는 다양한 장학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과 기대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유치원 장학활동 운영 시 제고되어야 할 개선방안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유치원 방문장학에 대하여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에 대하여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원내 자율장학에 대하여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넷째, 장학활동의 형태와 과제에 대한 교원들의 기대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내용들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춘천시 관내 공·사립유치원 교원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회수하여 유용한 자료 143명분을 처리하였다. 질문지 작성은 문헌 조사, 예비 조사 등을 기초로 하여 지도 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방문장학, 지구별 자율장학, 원내 자율장학, 기대하는 장학활동으로 구성하였고 이들 영역에 대한 하위요인으로 22개 항목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 방법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x²검증이며,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장학은 현행대로 연 1회, 정기적인 방문장학을 통하여 유치원 현장을 평가·지원하고, 교사의 수업기술을 개선시키며 교육과정의 질적 관리로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겠고, 경력이 낮은 교사들에게는 장학지도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바르게 인식하도록 계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별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도모하되, 장소 제공 유치원의 부담감이나 모이는 번거로움과 이동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또한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유치원 간의 정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학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 교원들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장학의 형태는 원내 자율장학, 자기장학, 지구별 자율장학, 방문장학 순이다. 사립유치원의 경우 원내 자율장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일학급으로 구성된 유치원이 많은 공립에서는 비교적 소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단일학급 교사는 부단한 자기장학을 통하여 전문성을 신장시키도록 촉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교사의 업무 부담 및 잡무라고 파악된 만큼 교사가 수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업무 부담을 줄이고 잡무가 축소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정보나 자료 또는 갈등해결의 자문이 필요할 때 지역의 교수들로부터 자료 제공,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창구가 있다면 적극 활용하겠다고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니, 지역사회 전문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상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활동실태 및 인식

        김나경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aimed to analyze activities, perception, and requirements of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instructors for kindergarten by typ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operations of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for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the follows: First, how is activities of instructors in charge in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for kindergarten? Second, how is perception of instructors in charge in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for kindergarten? Third, how is requirements of instructors in charge in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for kindergarten?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160 for instructors in charge in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for kindergarten; 44 instructors for programs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35 instructors for recommendation programs and 81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Th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used and complemented those used in the studies of An Hea-jin(2012), Yoon Cho-rong(2014).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a total of 30; 8 for general backgrounds, 12 for activities of instructors in charge, and 10 for perception and requirements of instructors in charge.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activities, recognitions and requirements of instructors in charge used SPSS 22.0.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instructors for kindergarten showed that the performance proportion of pre-education of instructors in charge showed more than 86%, and most of courses were offered companies they belong. time spent on pre-education were 30 hours for program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11.52 hours for recommendation programs and 22.63 hours for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Also, as for numbers of pre-education of instructors in charge were 4.94 for instructors of program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4.20 for recommendation programs, and 7.29 for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As for the number of negotiation for class plan between instructors in charge and kindergarten, instructors of program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structors of recommendation programs and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had the highest of once a months. As for the number of class plan submission, once a moth had the highest. As for the number of kindergarten where instructors of specialized program after school kindergarten, 3.74 for instructors of programs develop by Ministry of Education, 8.91 for instructors of recommendation programs and 4.64 for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As for the number of class of instructors, 9.86 instructors of programs develop by Ministry of Education, 17.06 for instructors of recommendation programs and 8.08 for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The age of preschoolers who are specialized program after school kindergarten, five year old for instructors of programs develop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four year old for instructors of recommendation programs and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As for the number of preschoolers, 11-20 for Ministry of Education and 21-30 for instructors of recommendation programs and instructors for private program. The teaching course of instructors in charge specialized program after school kindergarten were mostly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time for every instructors have 30mins on average. Second, the result of perception of the after school special program instructors for kindergarten by type showed that the aim of the programs is to offer various experiences to children. Instructors focused on preschoolers' interests. As for interesting, they responded "very interesting". The reason why they are not interested in was due to great number of preschoolers. And all instructors who operated the programs responded that "generally satisfied". Third, re-education need is required because more than 90% of instructors responded. and the requirements included level understanding and teaching methods, ect. Instructors in charge responded that class environments should be improved. Lastly, they asked that working conditions and class environments are needed urg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별 담당강사의 활동 실태 및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별 담당강사의 활동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유형별 담당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유형별 담당강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소재의 공사립유치원에서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담당강사 160명을 대상으로 담당강사들의 활동실태 및 인식과 요구사항 관련 내용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담당강사들은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 44명,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 35명,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 81명, 총 160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안혜진(2012), 윤초롱(2014)이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했던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 문항은 일반적 배경 8문항, 담당 강사의 활동실태 12문항, 담당강사의 인식 및 요구 10문항,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22.0을 사용하여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활동실태 및 인식과 요구들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별 담당강사의 활동실태를 살펴본 결과 모든 담당강사의 사전교육 수행비율은 86%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전교육 프로그램은 모두 소속업체 제공 강좌가 가장 많았다. 담당강사의 사전교육 시간은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30시간,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11.52시간,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22.63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강사의 사전교육 횟수는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4.94번,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4.20번,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7.29번으로 나타났다. 담당강사와 유치원과의 수업 계획안 협의 횟수는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매주 협의, 추천제와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월 1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안 제출 횟수는 모든 담당강사가 월 1회 제출이 가장 많았다.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주당 방문하는 유치원 기관수는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3.74개원,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8.91개원,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4.64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강사의 수업 횟수는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9.86번,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17.06번,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평균 8.08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아의 연령은 교육부개발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경우 만 5세, 추천제와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경우 만 4세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아 수는 교육부개발과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경우 11명∼20명이 가장 많았고, 추천제 프로그램 담당강사는 21명∼30명이 가장 많았다.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담당과목은 예·체능이 주를 이루며 회당 프로그램 수업 시간은 모든 담당강사의 경우 3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별 담당강사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실시 목적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에서는 유아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담당강사가 수업 계획 시 가장 우선순위에 두는 것은 유아의 흥미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수업 시 유아의 흥미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 흥미 있어함’의 인식 정도가 가장 높았다. 유아가 흥미 없어 하는 이유로는 유아 수가 많은 것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또한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만족도는 교육부개발, 추천제, 민간 프로그램 담당강사 모두 ‘대체로 만족’이라고 답했다. 셋째,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유형별 담당강사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을 살펴본 결과, 담당강사의 재교육에 대한 요구는 90%이상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는 연령별 수업 수준 이해, 유아를 위한 활동별 교수방법 등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 수업 운영에 대해서는 담당강사의 교육 및 강사수급의 문제와 강의 환경 문제가 가장 개선되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지원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적정 강사료의 산정 및 현실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끝으로 담당강사의 사기 증진을 위해 우선 될 요구로근로 조건 개선과 수업환경 개선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 공립유치원 컨설팅 장학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 인천시를 중심으로

        신성옥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in public kindergarten in the City of Incheon and analyzing the teachers’ needs and awareness of the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helps teachers to be aware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encourage the program to be taken roots in kindergarten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see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How is the operation condi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in public kindergarten? 2. How is the awareness of consulting supervision among pubic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295 teachers working public in kindergarten under the jurisdiction of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Literature review was made to prepare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the Cronbach ⍺ representing the confidence level was denoted as 0.86.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was made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0 software package.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differences of response rates by background variables, χ2(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peration condi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in Kindergarten, teachers have general knowledge of the program to some degree, and many of them have some experiences of taking consulting supervision. Analysis results by background variables present that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degree and longer teaching career have more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as well as better understand the program. However, only a few of the teach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eachers with no experience of the program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request the consulting supervision in the future. For the reasons for not requesting the program, they responded that they either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xisting supervision or they simply did not have enough time for the participation. Two primary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the heavy workloads in working place (kindergarten) and the lack of time for taking the classes in the supervision program. Secondly, it turned out that teachers recognized class consulting a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various domains of consulting supervision, and class running skills such as the improvement of teaching· learning method was the most necessary element. The most necessary element was different among the domains of consulting supervision program. For classroom consulting domain, it was shown that teachers most wanted effective method for running, whil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fter-school activity were the most wanted elements in case of management consulting domain. In terms of administration-institution consulting domain, it turned out that teachers wanted to receive consulting on kindergarten facility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hirdly, teachers responded that a specialized system was necessary, of which role was to research and develop methods for running kindergarten consulting supervision. It turned out that teachers most wanted senior teachers or faculty members majoring in infantile education to be personnel responsible for consulting supervision. Again, analysis results presented that teachers most wanted the consulting supervision to be run by providing the opportunities for opening-class and face-to-face consulting via three-year period class visits. Fourthly, teachers recognized that activa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would improve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lass.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some incentives needed to be provided for stimula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nsulting supervision and consequently invigorating the program. As incentives to encourage the program, it was shown that teachers most wanted the training credits from the participation to be reflected in efficiency rating process. In addi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will of voluntary participation in and the reduction of the negative awareness on the program were the most desirable factors to encourage the expansion and settlement of the program. They preferred to use the results accumulated from the consulting supervision to provide the practical cases for teacher guidance or teacher training program. 본 연구는 인천시 공립 유치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컨설팅 장학의 운영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유치원 컨설팅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돕고, 컨설팅 장학이 유치원 교육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립 유치원 컨설팅 장학 실태는 어떠한가? 2. 공립 유치원 컨설팅 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공립 유치원 교사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컨설팅 장학에 대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산출 결과 Cronbach ⍺= .86 이었다. 조사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배경별인별 응답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χ2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컨설팅 장학의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컨설팅 장학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고, 직접 받아본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직경력과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컨설팅 장학에 대한 이해를 잘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가 컨설팅 장학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우는 소수에 불과하였고, 컨설팅 장학을 받아보지 못한 교사들 대부분은 앞으로 컨설팅 장학을 의뢰하지 않겠다고 대답하였다. 장학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기존 장학과 별 차이가 없거나 시간의 여유가 없어서라고 가장 많은 교사가 응답하였다. 컨설팅 장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유치원의 과중한 업무와 수업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컨설팅 장학의 내용영역을 살펴보면 교사들은 유치원 수업 컨설팅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수업 컨설팅에서 가장 필요한 영역은 수업기술(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에서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교실 컨설팅은 효과적인 학급운영 방법, 경영 컨설팅은 유치원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 행정·제도 컨설팅에서는 유치원 시설사업 및 인사제도에 관한 컨설팅을 교사들은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컨설팅 장학의 운영방법을 살펴보면 교사들은 유치원 컨설팅 장학 및 연구·개발 역할을 하는 별도의 전담기관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컨설팅 장학요원으로 수석교사나 유아교육전공 교수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 장학에 대해서 교사들은 수업공개 전, 3년을 주기로, 현장방문을 통한 면대면 컨설팅 장학으로 실시되는 것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넷째, 유치원 컨설팅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컨설팅 장학이 활성화 되면 교사의 전문성과 수업의 질이 향상되며, 컨설팅 장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치원 컨설팅 장학 참여를 위한 유인책 제공 및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 조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컨설팅 장학 실시 교사에 대한 보상 방안으로는 연수학점 인정과 근무평정에 반영하는 것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 의지와 유치원 컨설팅 장학에 대한 부정적인식 해소가 컨설팅 장학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컨설팅 장학 결과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교사용 지도 자료의 사례로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Seo, Peniel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주관적 안녕감은 어떠한가? 2.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은 차이가 있는가? 3. 공립유치원교사의 자기격려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은 차이가 있는가? 4.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별로 자기격려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공립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 주관적 안녕감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 이상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의 부정적 정서는 보통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2.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긍정적 정서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으며, 부정적 정서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3. 공립유치원교사의 자기격려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격려수준이 높은 공립유치원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긍정적 정서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으며, 부정적 정서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4.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우, 자기격려 수준까지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영역이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낮더라도 자기격려가 높은 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격려가 높으면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무만족도가 낮은 유치원교사라도 자기격려가 높다면 긍정적 정서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S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2. Is there a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3. Is there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the Self - Encouragement level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4. Is there a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level of Self-Encouragement by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this study, 121 kind of questionnaires were asked about the Job Satisfaction, Self - 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 - Being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 in Chungcheong buk–do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Job Satisfaction,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generally high level of absolute standard, and the Negative Affects were similar but mostly low. 2. Subjective Well-Being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 who had high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Affects of Subjective Well - Being and high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of cognitive life, but their Negative Affects of level were low.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Self-Encouragement level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 who had high level of Self - Encouragement showed Positive Affects of Subjective Well - Be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of cognitive life, but Negative Affects were low.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by Job Satisfact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and closely related to Positive Affects. 4. When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 Teachers with high Self - Encouragement lev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Well - Being than Teachers with low Self – Encouragement. Also, even though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low Job Satisfaction, Teachers with higher Self - Encouragement showed higher Positive Affects than those with lower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 - Encouragemen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 – Being. Also, even if Kindergarten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are high Self - Encouragement, it suggests that Positive Affects can be raised even mor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운영 실태분석-부산광역시교육청을 중심으로-

        허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부의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정책으로 공립유치원의 교육공무직원 수가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 부산광역시교육청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전체 실태조사를 하였고 교육공무직원, 공립유치원 관리자, 교육청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운영기준이 모호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단설유치원과 비교하면 병설 유치원에 인력을 차별적으로 배치하고 있어 병설 유치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운영에 어려움이 없도록 업무를 분석하여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와는 별도로 교육공무직원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둘째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공무직원 운영을 위해서 교육부의 총액인건비 산정기준 현실화가 필요하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적정수준 인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정원 책정을 최소로 하여 현원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이는 인력운영 원칙과는 맞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의 교육청이 공통으로 겪고 있어 교육부에서는 교육공무직원 총액인건비 산정기준을 현실에 맞게 개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공무직원 운영으로 업무량과 업무 범위 설정에 구성원 간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교육과 보육을 같이 하는 유치원 특성 때문에 교육공무직원의 직무가 타 학교급과는 다르고 직종별로 직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은 초, 중, 고등학교와는 다른 유치원 특성에 맞는 기준을 적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정수준으로 직종을 통합하여 유치원 규모에 맞는 인력을 배치하고 직무를 적정수준으로 균형 있게 안분 한다면 직종 간 업무 범위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바람직한 교육공무직원 역할 정립과 원활한 교육활동 지원을 위해 업무역량 및 책무성 강화가 필요하다. 교육공무직원 배치로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었고 교육활동 지원에 효과가 있음에도, 교육공무직원은 유치원 근무가 다른 학교급에 비해 더 힘들다고 했으며, 교사 지원업무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공무직원 배치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업무역량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연수 도입이 필요하며, 교사 지원업무가 단순하게 교사를 보조하는 차원이 아닌 학교 교육 활성화에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다섯째 교육여건 변화 등으로 공립유치원에 신규 인력을 투입할 경우 교육공무직원 배치를 신중하게 해야 할 것이다. 공립유치원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인력을 대부분 교육공무직원으로 채용하고 있어, 교육공무직원 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인력운영에 과도한 행정과 재정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공립유치원 운영을 위해서 인력 투입이 필요하다면 직무를 분석하여 교사, 지방공무원, 교육공무직원 등 다양한 직종 중에서 필요한 직종을 적정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무에 따라서는 사회적 기업 등 외부에 위탁하는 등 효과적인 인력운영 방안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본 연구를 통해서 교육공무직원이 공립유치원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공무직원이 교육 주체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 인식전환, 역량 강화 교육훈련, 생애 주기적 관점의 임금체계 설계 등 노동 정책 전반에 대해 국가적 차원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과 정책적 제언이 향후 공립유치원 교육공무직원 정책 결정에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장학의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용남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장학의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멘토링 장학의 효율성을 재고해보고 바람직한 멘토링 장학을 위한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장학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장학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멘토링 장학을 실시하고 있는 대전공립유치원 교사 6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로써 멘토링 장학 실태와 관련된 내용은 선행 연구 및 관련문헌, 멘토링 장학 경험교사를 기초로 하였고, 멘토링 장학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내용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1998)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보충할 문항들을 추가·수정하고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은 멘토링 장학의 필요성을 모두 절실히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능숙한 행정업무 수행 부분에서 멘토링 장학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멘토링 장학은 협의 중심과 수업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정서적 지원과 전문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둘째, 멘토와 멘티가 상호 협력에 의해 계획을 세움으로써 초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반영하였고, 멘토링 장학이 끝난 후 평가를 함으로써 멘토나 멘티는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셋째, 멘토링 장학의 효과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장학이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넷째, 멘토링은 지원과 도움이 주가 되는 과정이므로 멘토는 초임교사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정서적 지원을 기초로 전문적인 지원을 하여야 효과적인 멘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the mentoring supervision for public kindergarten's newly appointed teachers, to reconsider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mentoring supervision, and to suggest a desirable mentoring supervision. For the purpos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the practices of the mentoring supervision for public kindergarten's newly appointed teachers? 2.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effects of the mentoring supervision for public kindergarten's newly appointed teacher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63 teachers working for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n which are conducting the mentoring supervision.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 practices of mentoring supervision was based upon prior research, reference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had been given the mentoring supervision.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 effects of mentoring supervision was based up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kindergartens (1998). Experts in young childhood education validated the contents of two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newly appointed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urgently needed the mentoring supervision. They perceived that the mentoring supervision on improving teaching methods and performing office work were especially needed. The mentoring supervision conducted through discussion and on-class research was perceived to provide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both affective and professional assistance. Second, the mentoring supervision reflected what newly appointed teachers needed in the field of teaching work, for mentor and mentee planned the mentoring supervision together. Assessment on the mentoring supervision also offered some reflective thinking opportunity to mentor and mentee. Third, newly appointed teachers perceived effects of the mentoring supervision to be very high. This confirmed that the mentoring supervision should be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Fourth, mentoring, a process of support and help, can be more effective when mentor's affective support for mentee should come before professional support.

      • 유치원 여교사의 유아체육 관심도에 관한 연구

        김현우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uch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s has interests in kindergartner's physical exercise so that can provide basic instructions to the teachers for more healthy, positive and expansive class. Each 150 teachers from Seoul and Daegu, total 300 teachers are joined for this research. Revised version of "The Stage of Concerns Questionnaire" from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re used for this research. Reliability of this questionnaires are α value of Cronbach's as 0.952. Data outputs from self-evaluation method are analyzed with SPSS window 12.0 version and analyze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One-way ANOVA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how much interests does the teachers has, t-test method has applied for th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interests for fact such as age, academical backgrounds and whether they are married or not. Seco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caused by working environment, also t-test method has been applied and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national kindergarten and who are working for private kindergarten.(F=5.642, p<.05)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private kindergarten had more interests rather than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national kindergarten. Third, for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teacher's teaching period, One-way ANOVA method has been applied and post hoc tested by Scheffe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on informational interests(F=3.516, p<.01), personal interests(F=3.578, p<.01), operational interests(F=3.488, p<.01), consequence interests(F=2.777, p<.05) and cooperative interests(F=2.408, p<.05). Fourth, for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teacher's past sports participating measures, One-way ANOVA method has been applied and post hoc tested by Scheffe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of informational interests(F=13.579, p<.001), personal interests(F=14.061, p<.001), operational interests(F=8.866, p<.001), consequence interests(F=15.360, p<.001), cooperative interests(F=15.116, p<.001) and alternative interests(F=15.360, p<.001). Fifth, for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teacher's present sports participating measures, One-way ANOVA method has been applied and post hoc tested by Scheffe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of informational interests(F=5.414, p<.001), personal interests(F=3.420, p<.001), operational interests(F=3.239, p<.05), consequence interests(F=3.531, p<.01), cooperative interests(F=6.298, p<.001) and alternative interests(F=5.400, p<.001). For last, to find out how much does the teacher's personal character effects the interests to the kindergartner's physical exerc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As a result, there were some effects caused by th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informational interests, personal interests, operational interests, consequence interests, cooperative interests and alternative interests. 본 연구는 유아교육 대부분의 시간을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여교사들의 유아체육 관심도에 관한 연구해 봄으로써 유아체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유아가 보다 건강하고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일선 교육현장의 지도자와 운영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구에서 근무하는 유치원교사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이었다. 교사들의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관심도 질문지(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를 본 연구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의 α값=.952 으로 나타나 매우 신뢰 할만 설문지로 판단되었다. 자기평가방법에 의해 얻어진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및 다중회기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여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유치원 여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결혼유무)에 따른 유아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치원 여교사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교사특성 중 근무지 유형에 따른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관심도의 하위요인 중 운영적 관심에서 국, 공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와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F=5.642, p<.05),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여교사가 국, 공립에 근무하는 유치원 여교사 보다 운영적 관심도에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여교사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교사특성 중 교사 경력에 따른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검증(Post hoc test)을 실시한 결과, 관심도의 하위요인 중 정보적 관심(F=3.516, p<.01), 개인적 관심(F=3.758, p<.01), 운영적 관심(F=3.488, p<.01), 결과적 관심(F=2.777, p<.05), 협력적 관심(F=2.408,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유치원 여교사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스포츠 관여 수준 중 과거 스포츠 관여 수준에 따른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검증(Post hoc test)을 실시한 결과, 관심도의 하위요인 중 정보적 관심(F=13.579, p<.001), 개인적 관심(F=14.061, p<.001), 운영적 관심(F=8.866, p<.001), 결과적 관심(F=14.875, p<.001), 협력적 관심(F=15.116, p<.001), 대안적 관심(F=15.360, p<.001)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여교사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스포츠 관여 수준 중 현재 스포츠 관여 수준에 따른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검증(Post hoc test)을 실시한 결과, 관심도의 하위요인 중 정보적 관심(F=5.414, p<.001), 개인적 관심(F=3.420, p<.01), 운영적 관심(F=3.239, p<.05), 결과적 관심(F=3.531, p<.01), 협력적 관심(F=6.298, p<.001), 대안적 관심(F=5.400, p<.001)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 번째, 유치원 여교사의 개인적 특성이 유아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스포츠 관여 수준은 정보적 관심, 개인적 관심, 운영적 관심, 결과적 관심, 협력적 관심, 대안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