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계림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청소년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박계림 지 도 교 수 박태영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그리고 사회적 지지 요인들이 시설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청소년쉼터 청소년들 중 총 160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적응유연성이 높은 청소년이 학업에 대한 성공과 성취도가 높고 학업에 대한 동기와 흥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학교적응 유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흥미가 높았고,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청소년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 학교부적응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부모-자녀 간 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 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원을 가족, 친구, 교사 등 다양하게 분류하여 이 영향력을 입증하기 위한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는 자기보고 형식에 의해 얻어졌으며, 불성실한 응답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좀 더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필요성도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는 대상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청소년쉼터에만 한정되었으며, 각 지역별로 문제에 대한 욕구가 다양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역에 따른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청소년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은 부모와 장기간 떨어져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부모와의 갈등으로 인해서 쉼터에 거주한다는 점을 고려해봤을 때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보다는 ‘청소년쉼터 내에서의 지지’ 또는 ‘부모와의 경쟁 관계’ 변수를 추가하는 것이 청소년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유연성을 알아보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is affected by factor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ing factors. To achieve this aim, findings about 160 adolescents at youth shelters in Seoul, Kyeonggi and Incheon were put together.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 that affects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was one’s grade. This means that the 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had high potentia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uccess and high degree of motivation and interest in schoolworks. Second,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It has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with high score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were likely to have greater motivation and interest in school life, and had positive attitude towards schoolwork and grade. This means tha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an integral factor whendealing with the situations in which adolescents at youth shelters hadproblems adjusting to school. Lastly,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ing factors had nothing to do with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ays to enhance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re as follows. First, complementary studies are needed to prov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ing factors by classifying social supporting factors into family, friends and teachers. Second, the data of this study was obtained by the templates of self-reporting, thus there is a probability of dishonest responses which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a variety of data in much more persuasive ways. Thir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only those adolescents at youth shelters in Seoul, Kyeonggi and Incheon. Considering that results of study can vary by regional groups, the studies on adolescents at youth shelters in other regions are required. Fourth,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dd the variables such as 'support within the youth shelters' or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figuring out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considering that adolescents living in youth shelters usually live away from their parents for a long term and that they live in the shelters due to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 의약품과 공중보건 관련 TRIPS 협정 및 FTA의 유연성 규정 연구

        이주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제통상법 체제에서 의약품 관련 지식재산권과 의약품 접근의 관계에 대해서는 오랜 기간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TRIPS 협정과 FTA에 규정되어 있는 의약품 관련 지식재산권 규정들이 의약품 접근 및 공중보건을 저해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유연성은 양자의 대립을 해결하고 균형을 모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TRIPS 협정의 공중보건을 위한 유연성 규정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해왔다. 도하선언의 채택이나 TRIPS 제31조의2 개정으로 인해 TRIPS 협정의 유연성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하고, WTO 분쟁해결절차 등을 통해 유연성 관련 국가의 권리를 확인하고 있으며, 국제기구 보고서나 지침 등을 통해 유연성 활용 방법을 제고하고 국가별로 이행을 돕고 유연성 개념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TRIPS 유연성 개념의 한계와 실질적인 적용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TRIPS 유연성 규정 자체가 너무 복잡하거나 단편적이며 산발적인 해석에 따라 이행을 어렵게 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대립에 따른 정치, 정책적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산업적 이익이나 인권 등의 쟁점과 얽혀 있어 논의를 복잡하게 한다. 이와 함께 FTA에 유연성을 제한하는 TRIPS 플러스 규정들이 많이 도입되게 되면서 유연성의 활용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체결되는 FTA 관련 규정들을 살펴보면 기술의 발전이나 각국의 통상 및 공중보건 정책 등의 변화로 인해 선진국측은 의약품 혁신만을 우선시하고 개발도상국은 의약품 접근이나 공중보건만을 강조하는 극단적인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일부 FTA에서는 여전히 유연성을 저해할 수 있는 TRIPS 플러스 규정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선진국들은 국내적으로 의료비 절감이나 공중보건 문제 해결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게 되자 의약품 혁신만을 강조하던 입장이 다소 유연해졌고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도 제약산업이나 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의약품 혁신에도 관심이 높아지자 이와 같은 입장들이 FTA 규정에도 반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기술의 발전이나 보호무역주의 강화, 미․중 무역전쟁과 같은 통상정책의 변화, 메가 FTA 체결 증가 등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FTA 상의 지식재산보호 규정들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국제통상법체제의 공중보건을 위한 유연성은 결국 국가들이 지역적으로 규정별로 적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규정별 검토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RIPS 협정과 FTA에서 규정되는 강제실시권, 의약품 자료보호 관련 유연성 그리고 지식재산권의 유예 등 의약품 관련 유연성 규정별로 쟁점사항을 검토하였다. 의약품 개발 및 생산 능력이 없는 국가들에 수출을 허용하고 있는 ‘특별강제실시권체제’ 관련 TRIPS 제31조의2는 어렵게 개정이 되었지만, 동 조항에서 요구하는 절차 및 요건이 까다롭고 해당 국가나 기업들에게 경제적, 절차적 부담이 가중되는 형태라서 현재까지 동 체제를 활용한 사례도 적고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동 체제를 적시에 활용하고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공중보건을 위한 유연성 활용과 관련해서 FTA에 규정되는 TRIPS 플러스 규정들과 TRIPS 규정들의 규범합치성과 보호수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규범 간 충돌을 광의로 이해하는 입장에서는 TRIPS 협정에서 보장하고 있는 중요한 원칙인 국가들의 유연성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서 FTA의 TRIPS 플러스 규정에 따른 의무로 인해 당해 권리가 제한되는 경우 충돌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국제법상의 일반적인 규범 충돌 해결 원칙에 따라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TA 규정이 제3자의 이익을 해하거나 TRIPS 협정의 일탈을 위한 목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FTA 규정은 지켜져야 한다. 다만, 국제법의 조화로운 해석을 통해 충돌을 해결하고 국제법을 준수하기 위한 국가들의 의사가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바이오의약품으로 제약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특허, 자료보호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지식재산권이 관여되고 있으며, 기존의 유연성 개념으로는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어려운 새로운 지식재산권도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의약품 관련 자료보호조항을 FTA에 별도로 규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에서 전세계적인 백신의 공평한 접근과 유연성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유연성 적용과 관련된 실효성 문제가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다. TRIPS 이사회에 제출된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TRIPS 일부 규정에 대한 유예 제안도 이를 반영한 것이다. 특허 중심의 TRIPS 협정의 유연성 조항들이 현대의 기술발전 측면이나 산업현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전세계적인 의료자원이나 의약품 개발 및 생산능력의 편재는 현재의 유연성의 개념과 활용이 공중보건 대응에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할 수 있어 WTO 및 TRIPS 협정의 개선의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상법 체제에서 의약품 관련 공중보건을 위한 유연성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활용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국가들의 유연성 활용은 코로나19와 같은 공중보건 위기 시에 적절하게 작동해야 하고 무엇보다 개발도상국이나 LDCs가 실질적으로 이행가능한 방향으로 적용되고 의약품 접근이 향상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TRIPS 협정의 권리와 목적을 조화시키기 위한 해석의 균형을 통해 의약품 관련 지식재산권과 의약품 접근의 관계가 합리적인 균형을 이루어야 하고, TRIPS 협정의 다자체제와 FTA 양자체제의 상호보완을 통해 유연성 관련 규정을 통해 공중보건 보호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공중보건 정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국가들이 전세계 공중보건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하고 국제협력의 방향을 국제통상체제에서 도입하여 제도화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중요하다. 궁극적으로는 공중보건의 위기 대응은 지식재산권과 같은 어느 한 분야의 대응만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상당한 복잡한 영역에서 국가들 간의 국제적인 협력이 중요하다.

      • 인사관리 유연성과 정부 조직성과 : 인사관리 유연성의 정의와 한국 중앙행정기관에의 적용

        원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의 생존전략으로서 유연성(flexibil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 차원의 유연성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정부 조직은 외부환경에 대해 개방체제이면서도 폐쇄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려되어온바, 정부 인사관리의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인사관리를 유연하게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논의가 전개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사관리 유연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차원을 제시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한국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한국 정부의 인사관리 유연성이 어떠한 현황을 보이는지 제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인사관리 유연성이 정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경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사관리 유연성에 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이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제시된 유연성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정부의 인사관리 유연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차원으로 관리적 유연성(보직관리, 근무)과 기술적 유연성(채용, 교육)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한국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인사관리 유연성을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중앙행정기관은 전반적으로 인사관리 유연성이 꾸준히 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인사관리 유연성의 하위차원들의 수준은 기관에 따라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각 기관의 수준(level)이나 업무 특성, 조직 구성, 규모 등과 같은 특성에 따라 유연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편, 인사관리 유연성이 정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실증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관리적 유연성의 보직관리 유연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근무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적 유연성의 교육 유연성은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채용 유연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각 인사 제도들이 당초에 목적한 방향과는 다르게 조직에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다소 의외라고 할 수 있지만, 이론적 논의와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과의 인터뷰를 종합하여 실질적이고 설득력 있는 해석을 전개하였으며, 현행 인사관리 유연성의 한계와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또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사관리 유연성이라는 개념의 정의-측정-실증분석이라는 체계로 연구를 구성함으로써 인사관리 유연성에 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사관리 유연성의 개념 정의는 기존에 모호하고 추상적인 선언과도 같이 언급되어오던 유연성이라는 개념을 정부 인사관리에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정의하고자 하였으며 다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이 시도하지 못했던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인사관리 유연성 개념을 한국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제시한 실태분석에서의 논의들은 향후 인사관리 유연성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의 밑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사관리 유연성과 정부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은 인사관리 유연성의 영향력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론적·실제적 논의를 결합한 입체적인 분석을 통해 현행 인사관리 유연성의 한계를 규명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실천적 기여가 있다. This study primarily addressed the type of flexibility pres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enabling effective responses from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oward a changing environment. This is not systematically discussed yet,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flexibility as an organizational survival strategy responding to rapid societal chang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seem to have a closed characteristic while being open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 a steady demand for strengthening flexible government personnel management. There is an absence of systematic discussion to explain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along with the means to achieve it. Accordingl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and present its sub-dimensions. In addition, based on Korea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status of Korean government’s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was also presented. This formulated the study’s aim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effect of flexibility in personnel management on govern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flexibility in government personnel managemen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was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sub-dimensions of managerial flexibility (position management, work) and technical flexibility (recruitment, education). Detailed observations of the Korea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helped examine their current statu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flexibility in personnel management, the Korea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steadily strengthened overall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yet the level of the sub-dimens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Interviews with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officials explained the varying levels of flexibilit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level, type of work,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cale of each organiza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flexibility in personnel management can affect govern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on management flexibility of managerial flexibility had a negative effect, and the work flexibi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Educational and technical flexi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le recruitment flex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unexpected result indicates that each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ffects the organization differently, compared to its intended direction. A practical and persuasive interpretation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oretical discussion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present the limitations and scope of improvement of the current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of research for the definition-measurement-empirical analysis of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Previously, the concept of flexibility had an ambiguous and abstract declaration, which was systematically defined here by applying it to government personnel management. This study’s novelty lies in its expansion of the theoretical field that remains untested by previous studies. The discussion of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presented by measuring the defined concept of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in Korea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will be the basis for various future empirical studies on 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Finall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in personnel management and govern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current personnel management flexibility, presenting the steps for improvement through a three-dimensional analysis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Hence,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서

        윤줄리아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잉간섭이 인지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과잉간섭과 인지적 유연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검증을 위하여 총 65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pielberger, Kranser 와 Solomon(1988)의 분노표현 척도와 허묘연의 양육태도척도, Dennis와 Vander(2010), 홍숙지(2005)의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637부가 통계처리 되었다.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위해서는 Pearson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 과 Kenny(1986) 방법론에 의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과잉간섭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세째, 지각된 부모과잉간섭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이 분노 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부모의 과잉간섭이 자녀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을 예측하는 중요 변임이며, 그 사이에 인지적 유연성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것은 역기능적인 분노 표현을 막기 위해서 인지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 역기능적 분노 표현, 인지적 유연성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rusivenes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this study, 637 high school students (286 boys, 351 girl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rental Intrusiveness Scale pulled by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Huh, Myo Yeon, Anger expression scale by Spielberger, Kranser & Solomon (1988),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by Hong, Suk Ji(2005), and Cognitive Flexibility by Dennis & Vender Wal(2010).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anger expressi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anger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lower the child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r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and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high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Second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al intrusive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dysfunctional expression.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was a factor that played a role of having an influence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nal expression. Therefore, it illustrates that balanced and appropriate parental behavior is needed to foster cognitive flexibility, and that cognitive factor has an impact in decreasing dysfunctional expression.

      • 두 개의 대처유연성 척도의 타당화 : 대처유연성 질문지 및 목표 조절 유연성 척도

        송지은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Coping flexi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change goals and strategies of cop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o consider consequences of coping behavi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wo coping flexibility scales in a community sample of Korean adults: the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COFLEX), Flexible Goal Adjustment Scale (FGAS). Both the COFEX and FGAS'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goo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hree factor structure(perceived coping repertories, evaluation of coping behavior, coping behavior flexibility) of the COFLEX and one factor structure for the FGAS. Howev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COFLEX had an adequate fit. Coping flexibility measured by the COFLEX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adaptive coping. Yet, only the evaluation of coping behavior facto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maladaptive coping. In addition, coping flexibility measured by the COFLEX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coping.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with high coping flexibility would have various adaptive coping resources, but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with high coping flexibility would use problem-focused versus emotion-focused coping flexibility depending on their perceived controllability. 대처유연성은 상황에 따라 대처와 대처의 목표를 바꾸고, 대처의 결과에 대해 고려할 줄 아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유연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도구인 대처유연성 질문지(COFLEX)와 목표 조절 유연성 척도(FGAS)를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 대처유연성에 대한 대처의 수 가설과 대처 적합도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COFLEX와 FGAS의 신뢰도와 수렴 및 준거 타당도는 모두 적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COFLEX는 원척도와 달리 지각된 대처 자원, 대처 행동 평가, 대처 행동 유연성의 세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FGA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목표 조절 유연성을 측정하는 단일요인이 추출되었다. 하지만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OFLEX의 3요인 구조는 양호한 합치도를 보였으나, FGAS의 1요인 구조는 낮은 합치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와 요인구조가 모두 지지된 COFLEX 전체 점수와 하위 요인들에서 측정하는 대처유연성이 높은 사람들이 다양한 대처의 수를 보유하고 있고(대처의 수 가설),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하는지를(적합도 가설) 알아보기 위해 COFLEX와 일반적인 대처를 측정하는 COPE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COFLEX로 측정한 대처유연성 및 세 개의 하위 요인은 모두 적응적인 대처의 수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 이 중 부적응적인 대처의 수와 부적인 관계를 보인 요인은 대처 행동 평가뿐이었다. 또한 예상과 달리 대처유연성은 지각된 통제감과 대처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하였다. 즉, 대처유연성이 높다고 해서 지각된 통제감에 따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를 달리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대처유연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지각된 통제감 수준과 상관없이 문제 중심적 대처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처 유연성에 대한 대처의 수 가설은 지지하지만 대처 적합도 가설은 지지하지 않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처유연성의 개념에 대한 가설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 조리직 종사자의 고용환경변화가 노동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중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기업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업의 유연하고 능동적인 대처가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우리사회는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노동시장 유연화 조치가 실시되면서, 기업의 구조조정전략은 탄력을 받아 대규모 감원조치, 비상용근로자의 활용 등의 인력구조조정을 실시하여 단기적인 성과를 보았다. 하지만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 인력구조조정의 한계를 지적하였으며, 이후 노동유연성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수량적 유연성에서 기능적· 임금유연성 등의 다양한 유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노동유연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직무불안정, 조직시민행동, 사회보장등과 같은 노동안정성에 비중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노동유연성이 ‘조직-사원’관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주시할 때 관계, 신뢰, 호혜성 요인을 설명하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호텔· 외식기업과 같은 인력중심의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은 기업의 원활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텔· 외식기업에 종사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고용환경변화에 따라 노동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독립변수로 다운사이징, 조직공정성, ‘조직-사원’관계를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 수량적 유연성, 기능적 유연성, 임금유연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매개하는 변수로 사회적 자본의 요인인 네트워크, 신뢰, 상호호혜성 규범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표본은 서울· 대전 지역 내 30인 이상의 외식업체 및 호텔에 종사하는 조리직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여 373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66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t-검정, ANOVA, 상관관계, 매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용환경변화가 노동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모든 독립변수가 수량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유연성과의 관계에서는 조직공정성, 조직-사원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금유연성과는 조직공정성, 조직-사원관계, 비정규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고용환경 변화의 하위변수들은 노동유연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용환경변화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고용환경변화 요인 중 조직- 사원 관계가 사회적 자본 전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변수인 네트워크와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공정성으로 나타났으며, 호혜성규범은 조직-사원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사회적 자본이 노동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수량적 유연성은 네트워크와 호혜성규범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능적 유연성은 네트워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임금유연성에는 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립변수가 노동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네트워크, 신뢰, 호혜성 규범이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텔 및 외식기업에서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대한 관심을 가지며 종사원이 노동유연화와 같은 기업의사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 유연성전략·생산활동기법 및 성과에 관한 연구

        이근호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7807

        세계적인 환경의 변화와 보다 격심한 경쟁의 상황하에서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 및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 목표로서 유연성을 전략적 목표로서 추구해야 한다. 유연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명확하게 그 차원들에 대한 공통된 의견은 없었다. 그러나 유연성이 다차원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은 여러 가지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이 추구하고자하는 전략적 목표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다차원적인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제조기업이 추구하는 유연성전략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해 유연성차원들을 유연성경쟁수단변수라 이름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연성전략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전략의 내용을 규명하였다. 구성된 전략집단들과의 유연성성과지표의 중요도, 생산활동기법에 있어서 기술적 요인과 비기술적 요인, 그리고 유연성성과 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작성하고 연구대상으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생산사업단위를 선정한 후 경영자들에 대한 방문 및 우편설문을 실시하였다. 표본의 선정은 기계, 전자산업을 많이 할당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변수들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요인분석과 신뢰도검사를 하였으며, 전략집단을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변수들과 집단간에 일원분산 및 Scheffe'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와 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유연성전략의 차원은 유연성전략무강조집단, 운영유연성전략집단, 그리고 생산유연성전략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유연성전략을 다르게 추구하는 집단에 따라 유연성성과지표의 중요도에 차이가 이었으나, 유연성성과에서는 운영유연성전략집단과 유연성전략무강조집단만이 차이가 나타났다. 세째, 생산활동기법 기술적 요인들과 비기술적 요인들로 구분하여 유연성전략집단별 차이에서 운영유연성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설계/계획 기술들과 시스템 기술들을 중요시 고려하고, 생산유연성전략집단들은 분석/제조 기술들을 중요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은 유연성을 기업의 전략적 목표로서 추구하고 있으며 전략적 목표로서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성과도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기업이 추구하는 유연성이 다를 때에는 그에 따라 생산활동기법중 기술적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이 전략적 목표로서 유연성을 추구하고자 할 때 기업에 필요한 생산기술이 무엇이며, 어떠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생산담당경영자 뿐만 아니라 제조기업에 조그마한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Nowadays, the worldwide environment and competition situations are more changeable and complicated. th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must seek flexibility as a new their strategic goals in order to keep and reinforce competitive ability. There has already been much study on flexibility, but it does not come to common conclusion of its dimension. But flexibility has several dimensions. Companies are able to search for multiple flexibility at once, they can achieve their strategic goals through it. As a result, by using multiple flexibility, this study is to deal with flexible strategy of th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o do so, flexibility dimensions are renamed to flexible competitiveness means variables. By using it, flexible strategy group are made and composed strategic contents are explained. What are analyzed is the importance of flexibility achievement index, consisted strategic groups, technical elements and nontechnical elements, and flexible achievement between consisted strategic groups. In order to analyze them experimentally, research papers are prepared and production business unit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 and visiting companies and mail research are also done. Choice of samples is centered on machinery and electronic compan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variables, element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are done.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unitary dispersion between variables and groups, and Schffe verification are combined.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nd its mean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 of flexible strategy in th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divided into nonemphasized group of flexible strategy, management flexible strategy group and production flexible strategy group. Second, according to groups in the pursuit of flexible strategy differently, they show som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of flexible strategy index. But in flexible achievement, we hav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flexible strategy group and nonemphasis group of flexible strategy. Third, by dividing production activity technique elements and nontechnical elements in the difference of flexible strategy groups, the companies, seeking management flexible strategy, consider design or planning techniques and system techniques most, while production flexible strategy companies emphasize analysis or manufacturing techniques most. In conclusion, th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seek flexibility as their strategic goal, and try to improve it. As a result, achievement of companies flexibility comes to see. Also, when the flexibility which companies seek is differently, technical elements, among production activity techniques, are highly considered. Research results show that when companies seek flexibility as strategic goals, it can help production managers or manufacturing companies to know what production skill is needed to them, and to expect how their achievement are.

      • 생산유연성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윤호중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생산전략 패러다임의 제 모형들이 입증해 온 경쟁능력변수들의 상호관계에서, 유연성(manufacturing flexibility)과 품질(quality)의 상호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즉, 생산전략의 누적모형 이후, 기존 연구 이론이 제시한 바와 같이, 유연성이 품질의 향상에 상충적인 영향(trade-off)이 아니라 누적적(cumulative)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유연성과 품질의 각 경쟁변수별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연성은 품질의 향상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단속생산라인방식보다는 연속생산라인방식에서 품질에 미치는 유연성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연속생산라인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유연성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상충적이지 않고 누적적으로 나타나, 생산시스템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분석에서도 품질과 유연성의 관계가 누적적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제품의 종류별로 살펴본 결과, 유의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품질과 유연성의 관계가 누적적임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최근의 생산전략 패러다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의 향상은 그 기초가 되는 품질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유연성은 품질의 향상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quality in the interactions of competitive priorities, which has been proven through models in the manufacturing strategy paradigm. Through an empirical investigation conducted according to competitive priorities, this study ascertains that manufacturing flexibility has a cumulative effect rather than a trade-off effect on quality enhancement, which is consistent to theories in existing studies from the cumulative model of the manufacturing strateg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nufacturing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cumulative effect on quality enhancement. Second, the effec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on qu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process production flow system than in a discrete production flow system in domestic firms. Because the effec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on quality was cumulative instead of a trade-off; in studie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the manufacturing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quality proved to be cumulative. Third, although the significa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product,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proved to be cumulat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recent manufacturing strategy paradigms suggest, enhancemen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causes enhancement of quality. Therefore, manufacturing flexibility has a cumulative effect on quality enhan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