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 연구 :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이신혜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기 자녀를 위한 신앙교육은 부모에게 달려있다. 부모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교회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만 관심을 집중하였고 신앙의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상호 연계성이 없었다. 그러나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부모를 위한 교육이 함께 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교회의 신앙 교육이 연계되어 있지 못하는 현실적인 시대 속에서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하여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신앙 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이론적 배경과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절기교육, 그리고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요소들인 이야기, 예전, 공동체 등의 핵심요소들을 살펴보고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의 모델로서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한 유아부모교육’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동체적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생태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채영숙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생태유아교육기관 세 곳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동체적 관계성이 아이, 교사, 부모가 공간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동체적 관계성의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1) 공동체적 관계성의 시작단계는 어떠한가? 2) 공동체적 관계성의 구성단계는 어떠한가? 3) 공동체적 관계성의 성장단계는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 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B시의 생태유아교육기관 세 곳을 대상으로 주 1~2회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와 연구 대상 기관의 원장, 교사, 부모, 지역인사로 구성된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참여관찰, 연구참여기관의 각종 서면자료 및 영상자료, 웹 게시물들을 종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기관이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한 시작단계에서는 연구참여기관 세 곳이 서로의 기관들을 들여다보며 유아교육현장에 대한 성찰과 반성에서 출발하여 유아교육기관들이 공동체의 의미와 철학을 고민하고 공동체적 관계성의 방향과 관념을 맞추어가며 공동체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연구참여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은 공통의 목적과 공유된 가치와 신념으로 자유의지에 따라 형성되었으며 아이, 교사, 부모가 공간, 시간의 흐름이라는 다양한 관계 속에서 공동체적 관계성의 철학에 따라 목적, 가치, 협동, 유대감으로 결속되어 우리라는 공동체로 나아감을 볼 수 있었다. 우리라는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의 시작하기 단계에서는 공동체라는 스펙트럼을 통하여 서로의 기관들을 들여다보며 어떤 철학과 가치, 이념을 가지고 아이, 교사, 부모가 다양한 관계 맺기를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공동체의 의미를 고찰하며 더불어 공부하기를 통하여 공동체적 관계성의 방향과 관념을 맞추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교육공동체에 대한 공유된 가치와 신념으로 구성원들이 친밀감을 가지고 협동하는 공동체와 같은 맥락으로 공동체적 관계성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연구참여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은 생태유아교육의 철학과 이념을 기저로 생명 원리에 따른 생명 중심의 공동체를 형성하였으며 구성원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의 조화로 바른 인격을 형성한 사람으로서 생명존중과 사람 섬김을 삶으로 살아가는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성하기 단계에서는 아이, 교사, 부모라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관계의 흐름 속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안과 밖의 더 넓은 공간으로 넘나들고, 시간의 리듬을 따르며 공동체적 관계성을 맺기 위한 길을 찾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삶으로 배우고 정성으로 자라는 관계, 아이다움의 결대로 자라는 관계, 더 넓은 공간에서 자유로운 선택과 충분한 시간으로 놀이하는 관계를 통해 사람-사람, 사람-자연, 사람-지역사회와의 다양한 관계 맺기를 경험하며 공동체적 관계성을 배워 나가며, 아이라는 구성원을 통하여 교사, 부모가 더불어 함께 공동체적 관계성을 배우며 길을 내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교사는 아이, 부모와 함께 생활하며 더불어 성장해가는 존재로서 교사 자신이 가진 예술적인 감수성과 본성을 깨우는 예술가로서의 관계를 맺으며 아이, 동료교사, 부모 나아가 지역사회가 잘 소통하며 동반자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 예술가적 역할을 하며 생활과 삶을 통한 배움의 관계를 맺어간다. 부모 또한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살림의 교육을 위한 실천하기 위해 구성원으로서 협력적 관계성을 맺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공간은 아이, 교사, 부모, 지역사회, 자연 등 다양한 사람과 문화, 자연, 생명체가 만나는 만남의 장으로, 물리적 경계가 허물어지며 통합적 넘나들기가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구참여기관의 아이, 교사, 부모는 우주의 질서 속, 시간의 흐름 속에서 아이의 리듬, 계절의 리듬을 따르며 지금, 여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시간, 그 계절에 일어나는 일상생활과 만남, 관계를 가치롭고 의미 있게 생각하며 사람, 자연, 다양한 사물과의 아름다운 공동체적 관계 맺기를 해 나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공동체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장하기 단계에 나타난 공동체적 관계성의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면 우리라는 존재가 되어서 나에서 우리의 관계로 나아가서 함께 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관계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기관의 구성원들이 지금 ‧ 여기의 삶을 살아가며 관계 맺으며 함께 배움의 관계를 형성하며 아이, 교사, 부모가 함께 성장해가는 공동체적 관계성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공동체적 관계성이 무르익고 깊어지면서 사람, 자연, 사회와의 관계에서 생명의 원리를 실천하며 나아가 모든 생명과 다른 존재의 행복에 관심을 가지며 나아가 우주적 관계로 엮어가는 공동체적 관계성을 나아감을 볼 수 있었다. 즉 공동체 구성원들의 철학과 신념이 일상생활과 삶속에서 실천하면서 성장하게 되고 공동체적 관계성이 깊어지면서 공동체를 둘러싼 모든 사람과 사물, 자연, 사회와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런 공동체적 관계성이 깊어져 감에 따라 구성원들은 나와 다른 존재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사람-사람, 사람-자연, 사람-사회와의 관계가 우주적 관계로 공동체적 관계성이 확장되고 깊어져 모든 존재가 더불어 행복하게 성장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적 관계성은 유아교육기관의 철학과 신념으로 드러나고, 아이, 교사, 부모, 자연, 지역사회의 만남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교사가 공동체적 관계성을 꽃피우는 존재임을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참여기관의 아이들은 삶의 원형이자 생명력인 놀이를 통해서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질적으로 성숙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교육의 질과 공동체 구성원의 행복한 삶의 질에도 결정적인 요인이므로 구성원들의 생명성을 회복시켜 유아교육기관이 더불어 함께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동체적 관계성을 위하여 생명의 원리에 따라 다양한 만남을 경험 할 수 있도록 기회와 환경, 공간, 시간을 마련하여야 하며, 공동체적 관계맺음의 대상은 공동체적 관계에 기초한 돌봄, 평등한 공존을 추구하는 생명존중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사람-사람, 사람-자연, 사람-사회의 관계뿐만 아니라 우주적 관계로 나아가는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해 나가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process of changes took place in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with the lapse of time in three differen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ith an interest in communal relationship. A research question was posed: What is the process of changes in communal relationships that are experien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communal relationships in three different stages: beginning, acting-out and growth stages. Data were gathered from three selecte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an urban community by making a participant observation once or twice a week, and 12 people were interviewed, who were the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figures from the region. In addition, all sorts of documents, video materials and website material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llected. All the data were pieced together, and the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beginning stage of communal relationship building, the community members looked at one another,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One was "into the spectrum of the community," which they reconciled their thoughts on the right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tudied together. Another was "starting the journey of relationship building," which they reflected on the reality and philosophy of management. The third was "creating a good community," where they laid the foundation for communal relationship building and actually established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Second, in the stage of acting out, how they created communal relationship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unveiled,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One was "going with the flow of relationship," where the children opened up a way for their own learning, where the teachers shared their lives, and where the parents mingled with them in pursuit of coexistence. Another was "crossing across broader spaces," where different educational places were used in an integrated way, and where a big yard for learning was prepared. The third was "finding the rhythm of time," where the rhythm of the children and that of the seasons were taken into account. Third, in the growth stage for communal relationship buil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developed into communal ones,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One was "becoming one called we," where the community members existed together in the name of we. Another was "being together with an attitude of learning," where they lived and grew together here and now. The third was "entering into cosmic relationships," where they put the principles of life into practice and became interested in everybody's happiness.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t's discussed that communal relationship is the very philosophy and belief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could be created through encounters among children, teachers, parents, nature and local community. Also, it's discussed that teachers are the major medium to generate commu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the children from the educational centers entered into communal relationships through play which is the archetype and vitality of lif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communal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re a crucial factor for qualitative sociocultural maturity and are one of determinants for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members, communal relationship building is required to help the memb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restore their vitality and grow happily with the institutions. To make it happen, the opportunity, environment, space and time that are necessary to make various encounters take plac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life should be prepared. As for the object of communal relationship building, this relationship should take place between man and man, between man and nature and between man and the universe through communal caring, pursuit of equal coexistence and respect for life.

      •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 개발

        정하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체제개발의 가장 대표적인 모형 중의 하나인 ADDIE 모형의 5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단계에 기초한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프로그램 및 활동 계획과는 차별화되면서, 개발절차가 적합하고 구성요소와 절차 및 전략을 체계화한 역할놀이를 활용한 유아진로교육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의 절차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의 최적화된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의 형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2명, 교육공학 전문가 2명,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 2명으로 구성된 총6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3번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전문가의 검토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의 교수설계단계는 ADDIE 모형의 5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하며, 총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크게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3단계로 재분류할 수 있다. 수업 전 활동에는 학습자분석, 요구분석, 환경분석, 과제분석의 분석단계와 목표진술, 내용설계의 설계단계, 교수자료 개발, 교육계획안 개발, 평가도구 개발 등의 개발 단계로 이루어진 수업 전 단계와 수업실시 및 수업실행 시 가이드라인 제공의 수업 중 단계, 교사·유아 평가와 교수설계모형 평가의 수업 후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단계의 구성 요소들은 유기적으로 순환과정을 거쳐 발전하고 피드백을 통해 계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의 절차와 구성요소에 따라 유아진로교육을 진행하되 교사는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따른 요구,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과 상황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 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단계마다 순환과정을 통한 피드백으로 수정 ‧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활동을 전개하도록 한다. 둘째, 그동안의 연구는 부모나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또는 기존의 활동을 통한 진로인식의 효과성 검증에 치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여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역할놀이를 활용한 ADDIE 모형 기반 유아진로교육 교수설계모형’이 현장에서 유아교사들에게 유아진로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교수지원전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민정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organized?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children? In [Research Question 1], a draft proposal of the program was draw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fter feasibility review by 4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he purpose, goal, teaching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draft proposal for the program were reorganized.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applicability of the draft proposal to school was verified by 2 experts and 2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the storytell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developed. In [Research Question 2],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was verified. Population of the study consisted of 54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two classes at L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7 children respectively. For research tools, the ‘Infant Drawing Mathematical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Hae Ik Hwang and Hye Jin Choi (2007) to measur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and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Se Eun Youn (2011) were selected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program was applied in a total of 20 sessions, 2 times a week for 10 weeks from November 14, 2016 to February 3, 2017.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Nuri Project’s life topics was implemented for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and ANCOVA was performed as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im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basic mathematics and develop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o solve problems’. The sub-goals are ‘to understand basic mathematical concepts’, ‘to experience mathematical situations in everyday life’, ‘to use mathematical reasoning methods’, ‘to explore in order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to perform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nd ‘to have an interest in and a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The content of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20 activities, 4 sessions for each area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and calculation’, ‘space and figures’, ‘measurement’, ‘regularity’, and ‘data collection and result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wice from the basic level to the deepening level, centered on 1 picture book, taking account of the activity before, during, and after storytelling as well as the repeated reading in the form of repetition-deepening rather than just simple repetition. In addition, a total of 1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2 picture books for each of the five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Each volume was subjected to 2 sessions from the basic level to the deepening level, constituting a total of 20 sessions. Program evaluation consisted of evaluation of children and evaluation of program. For evaluation of children, self-evaluation by children and evaluation by teacher’s observation of children were conducted. For evaluation of program, evaluation of children’s response, evaluation of teacher,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were carried out. Second,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shows that i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whole mathematical ability and the sub-areas including ‘algebra’, ‘number and calculation’, and ‘geometr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b-area of ‘measurement’. Regarding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whol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in the sub-areas including ‘self-confidence’, ‘self-checking’, and ‘interest’. However, ‘flexibility’, ‘persistence’, and ‘applicability’ in the sub-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due to its efficient organization connecting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urpose,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in the field as an alternative mathematics activ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a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 개발

        조진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ADDIE 모형의 각 단계인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 단계에 기초한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개발된 모형의 구성요소와 절차 및 전략을 체계화하여 영유아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의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의 절차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의 최적화 된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교육공학 전문가 및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 등 총 7명을 대상으로 3차의 조사 설문지를 통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의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의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의 절차나 구성요소에 따라 유아안전교육을 진행하되, 교사는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따른 요구, 유아가 속한 지역사회, 유아교육기관 등 다양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 단계마다 순환과정을 통한 피드백으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차별성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유아교육 전문가, 교육공학전문가,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를 통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ADDIE 모형 기반의 유아안전교육 교수설계모형’이 현장에서 활용하고 계획할 때, 영유아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부모의 자녀 유아교육기관 선택하기

        이미성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규 유아교육기관과 사설 유아교육기관을 보내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들이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 어떠한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선정하며, 선택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기관을 선택한 후에 자녀들은 어떤 경험들을 하며, 그 경험에 의한 부모의 만족감은 어떤지 알아보았다. 이는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 소비자인 부모들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유아의 발달에 맞는 범위 내에서 수용하며 더욱 질 높은 전인교육의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을 위한 정보수집 및 선정과정과 선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학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따라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대상은 자녀가 이미 유아교육기관(정규 유치원, 영어학원, 놀이학원)을 마친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나이와 직업은 주부, 교사, 의사, 공사직원, 회사원, 사업가 등으로 다양하게 섭외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요인과 만족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자녀 성별 또한 편중되지 않게 고려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심층면담, 집단면담, 전화면담, e-mail 서신자료, 연구자의 저널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은 6개월에 걸쳐 진행되었고,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유목화하여 이를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에 선택을 위한 정보를 입소문, 지인소개, 인터넷, 전단지로 수집하고 있었다. 부모들이 입소문이나 지인소개를 받은 경우는 처음부터 기관에 대한 신뢰감을 가지고 접근하나, 인터넷이나 전단지에서 정보를 얻은 경우는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해당 기관에 다녀본 사람들의 의견을 찾고, 그 사람들에게 궁금한 점들을 물어가며 정보를 수집함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보낼 기관의 정통, 교사 대 유아 비율, 효율성, 아이 성향으로 조사되었다. 정통의 경우, 정규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 중 대학교 부설유치원을 보낸 경우에만 나타났다. 교사 대 유아의 비율에 대한 요인은 모든 기관에서 조사되었으며, 유치원은 교실에 부담임 선생님이 함께 있었던 경우에만 만족스럽다는 답변이 있었고, 사설학원을 보낸 부모들은 교사 대 유아 비율이 낮게는 1: 3, 높게는 1: 10 정도이기 때문에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효율성은 사설학원을 보낸 부모에게서만 나타난 요인으로 부모들은 학원비용 대비 영어를 확실하게 배울 수 있는지와 학원으로 이동시켜주는 번거로움이나 비용 차이가 없이 영어, 운동, 악기, 미술 등 다양한 특별활동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였다. 아이의 성향에 관한 요인은 영어학원을 보낸 부모에게만 나타났으며, 영어학원은 시설에 있는 동안 한국어 사용이 금지되고 오로지 영어만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언어감각이 있는 아이는 즐겁게 다닐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종일 영어로만 생활해야 하는 경우 스트레스 받으며 적응이 어렵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함께 하였다. 부모가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함에 따라 자녀가 경험하는 것들은 자연환경, 초등연계, 다양한 경험, 교사의 보살핌, 교육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사설학원들은 유치원과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나 보통 상가건물에 있어 자연환경에 대한 경험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러나 사설학원을 보내는 부모의 경우는 처음부터 자연환경은 고려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치원을 보낸 부모는 자연환경이 아이들에게 주는 이점 또한 고려하는 차이가 있었다. 초등연계활동은 모든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과 놀이학원의 경우는 부모의 요구나 기대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한글에 많이 노출이 되며, 기관에 따라 문자식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영어학원의 경우는 누리교육과정을 포함한 교재를 사용한다고 하지만 한글노출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한글뿐 아니라 애국가, 동요, 국어어휘 등의 한글 교육을 부모가 따로 가정에서 챙겨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의 보살핌은 모든 부모가 바라는 요인이며, 교사에 대한 만족은 사설학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사설학원의 경우 교사 대 유아 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부모들은 교사가 유아교육전공자가 아닌 이유로 유아기의 발달에 대한 이해 및 그에 맞는 교육에 대한 기대가 적었다. 다만, 아이가 다치지 않게 다닐 수 있도록 보살핌 부분에서 기대감을 가졌으며 이것이 충족됐을 때 만족감이 높은 것이라 조사되었다. 유치원을 보내는 부모의 경우는 교사와 부모가 아이를 위해 서로 아이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같이 교육하는 것에서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나타났다. 유치원의 경우는 주제에 맞춰 변화하는 교실환경과 교구로 인해 아이들이 실물을 경험함으로써 얻어지는 배경지식이 많아진다는 점, 발표를 통해 자신감을 얻는 점, 칭찬을 받아 학습욕구가 올라가고 자존감이 올라간다는 점 등에서 만족했다. 영어학원의 경우는 영어를 잘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보낸 곳이니 만큼 영어실력이 높아지는 것에 만족을 했고, 인성프로그램이 좋다고 강조한 놀이학원의 경우는 인성교육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강민정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교육 보편화 및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단계에 대한 국가책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 개선이 시급하며 특히, 부족한 유아 공교육 기반을 확대함과 동시에 공·사립 유치원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하여 건강한 유아교육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교육부(2018)에서 발표한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의 추진과제 항목에 기초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교육 전문가와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면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 놀이·유아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행정인력 지원을 통한 교원 업무경감, 사립유치원 행정업무 지원을 통한 투명성 확보에 대해 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에서 하위 요소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연령에서는 20대 보다 40대 이상의 교사가, 경력에서는 3년 미만보다 7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교사보다는 주임 이상 교사에게서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으며, 2,3년제 대학 졸업자 보다는 4년제 대학 졸업자 교사가, 사립유치원 보다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에게서 긍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정부에서 발표한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교육부에서 발표한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부에서 추진하여 만든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아 추후 다른 정책안을 수립할 경우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하여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출발점인 유아교육 단계에서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책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영성과 부모상담 성과 간 자기성찰의 매개효과

        최경숙 칼빈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영성이 부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에서 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의 영성과 자기성찰 능력을 성장시켜 부모상담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 문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교육기관 교사의 영성이 부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성찰이 부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영성과 부모상담 성과 사이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52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영성은 부모상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의 하위변인인 내적통합성은 부모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삶의 의미와 목적, 상호관계성, 초월성은 부모상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성찰은 부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성찰은 부모상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의 하위변인인 타인탐색은 부모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이해는 부모상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영성과 부모상담 성과 사이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성찰의 하위변인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 모두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교사의 영성과 자기성찰은 부모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수집방법에 있어서, 교사의 지각을 통해서 부모상담 성과를 측정하였는데 부모 또는 제3의 관찰자가 평가한 상담성과를 포함한 다차원적인 측정을 통하여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의 방법론에 있어서, 부모상담의 성과를 상담 종결 시기에 측정하여 부모상담의 성과요인을 다시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영성과 자기성찰이 부모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상담과정에서 교사가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실천하며,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들이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담학 분야에서 영성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 교사의 영성이 부모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the parent counseling outcom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pirituality on parental counseling outcom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counseling and by growing their spirituality and self-reflection ability. Three questions were set as research topic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teacher's spirituality on parental counseling outcom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self-refl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outcome of parent counseling?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pirituality and parental counseling out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21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come of parental counseling. Intra-integration, a sub-variable of spirituality, did not affect parental counseling outcome, but the life meaning and purpose, its interrelationship and transcend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al counseling outcom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self-refl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flection on the counseling outcome of parents,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search for others, which is a sub-variable of self-reflection, did not affect the outcome of parental counseling, but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come of parental counseling.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pirituality and parental counseling outcome,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and was analyzed as mediating effect.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sub-variables of self-reflection, indirect effects of self-search, self-understanding, search of others and understanding of others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As the result of abov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spirituality and self-refle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outcome of parental counseling.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ata collection method, parents' counseling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the teacher's perception,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rough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including counseling performance evaluated by parents or third party observers. Second, in the methodology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utcome factors of parental counseling by measuring it at the end of counseling. Third, since the teacher's spirituality and self-refle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parental counseling outcome, the discussions about how teachers should use, practice, and deal with them in the counseling process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Lastly, it is significant that teachers' spirit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outcome of parental counseling at the point of increasing interest in the importance and role of spirituality in the field of counseling.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영어교육의 운영실태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

        김민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의 운영실태와 영어수업을 정규수업시간에 운영함에 따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0명이 유아영어교육 운영실태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교사 4명과 원장 2명이 면담을 통해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진술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은 빈도와 백분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어교육의 운영실태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유아영어교육의 주당 실시횟수는 유치원에서는 주 4회, 어린이집에서는 주 2, 3, 4회 실시한다는 의견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외부에서 도입된 프로그램으로 1회당 20-30분씩 일과 중 대그룹으로 실시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영어교육 담당교사는 두 집단 모두 영어전공의 한국인 외부강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영어교육 실시에 만족하며 유아영어교육이 효과가 있으며, 유아는 영어교육에 흥미가 있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에 대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유아교사들이 제기한 문제점은 영어수업이 정규수업의 교육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과 영어교사의 교수방법, 교사의 자격, 수업 시 사용하는 부적절한 어휘나 대화법 그리고 부모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압력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해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유아영어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practices of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in the education setting an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within the English curriculum.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0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city who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type of problems teachers had in regards to the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in the education setting. Participants of the interview consisted of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 headma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kindergarten classrooms who carried out English classes 4 times a week and day care centers carrying out English classes two to four times a week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rates. These two groups carried out 20 to 30 minutes English based curriculums. Both of these groups consisted of Korean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in College. Based on the questionnaires,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English based curriculum and believed it to be effective in where children showed an interest in the English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nglish based curriculum indicated that teachers had issues with understanding methods, vocabulary, and conservation skills. Teachers also struggled with parents excessive interest in the English language and also the pressure for English based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educators with solutions to the problems that currently exi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using an English based curriculum. The data allows educators to reflect on the issues and find solutions.

      • 부산광역시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환경 실태조사 : 인적환경을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Human Environment

        지에스더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기의 교육환경은 유아가 생활속에서 경험하는 모든 환경으로부터 스스로 배우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제공되어 지는 환경에 의해 다양한 발달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의미가 크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유아음악전문교사를 통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음악교육을 하는 유아교육기관들이 점차 확산되어지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에서 음악교육을 제공하는 인적환경인 교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실태를 인적환경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음악전담교사와 일반담임교사의 의견을 확인하여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유아음악교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를 채택하였고, 인적환경을 중심으로 조사하기 위해 유아음악전담교사와 유아교육기관의 일반담임교사를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항목에서는 유아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들이 높은 인식도를 보이고 있었지만,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을 알고 실천하는 항목에서는 다섯 가지 영역 모두 음악전담교사가 일반담임교사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수업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항목에서는 음악전담교사가 일반담임교사 보다 더 다양한 음악과 악기, 신체활동으로 수업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창의성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하기, 음악감상, 악기연주, 신체표현 등의 음악활동에 있어 유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교사 교육에 관한 평가’에 대한 항목에서는 음악전담교사의 대부분이 자신의 음악교육평가에 대해 만족하고 노력하며 보람을 느낀다고 응답하였지만 일반담임교사는 교사 자신의 음악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연수를 확대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 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