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포스트모던시대 교회와 가정의 연계를 통한 기독교적 양육

        권대선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오늘날 기독교는 전체 종교 중에서 신임도와 호감도에서 최하위를 차지하며 사회로부터 많은 외면을 당하고 있다. 왜 기독교는 사회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교회가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기독교적 삶의 양식을 가지고 세상가운데 살아가도록 양육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회 안에 기독교적 양육이 일어나지 못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강력한 이유는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다. 그래서 본 논문의 초반에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 및 특징과 함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요약해 보면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지고 있는 자기중심적 개인주의, 탈(脫)중심주의, 다원주의, 상대주의, 감성적 경험주의는 기독교적 양육에 있어 중요한 두 장(場)인 교회와 가정을 위협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더니즘 안에서 사람들은 극단적인 개인주의에 빠져 자아와 인간성이 파편화되었다. 파편화된 인간성을 가진 구성원들이 모여 있는 가정에서는 더 이상 기독교적 양육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상대주의는 절대적 진리를 인정하지 않으려했고, 결국 성경의 권위까지 위협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속에서 가정과 교회가 회복되고 기독교적 양육을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필자는 먼저 가정의 회복을 위해 부쉬넬의 양육법을 살펴보았다. 부쉬넬은 기독교 교육의 성패는 가정이라는 장(場) 속에서 교사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부모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부쉬넬은 가정을 하나님의 언약공동체로 보고, 자녀와 부모의 신앙과 사랑의 관계에서만 기독교적 양육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속에서 기독교적 양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정, 특히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런데 기독교적 양육을 위해 가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교육의 장(場)인 교회가 교육적 사명에 감각적으로 대처해야한다. 즉 교회가 교회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육의 대상자들이 실제로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인 가정, 특히 부모와 연계하여 교육을 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그래서 교회와 가정이 연계하여 기독교적 양육을 하고 있는 3가지 모델 즉 노스 포인트 커뮤니티 교회(North Point Community Church), 소망교회,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해피투게더’의 예를 살펴보았다. 노스 포인트 커뮤니티 교회는 교육의 핵심가치를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에 두었다. 그들은 “What happens at home is important than what happens here.(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이 교회에서 일어나는 일보다 더 중요하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교육자료를 가정에 보내고, Kidstuf와 같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예배를 통해 교육적 성과를 보고 있다. 소망교회와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해피투게더’의 예를 통해서는 기독교적 양육을 위해 오늘날 한국교회가 필요로 하는 것이 교회와 가정의 연계 교육임을 살펴보았다. 즉 앎과 삶의 분리가 아니라, 교회의 교육내용이 가정 안에서 삶으로 실천되기 위해 교회와 가정이 긴밀하게 연계된 교육 동반자가 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교회와 가정의 가장 큰 관심과 문제는 교육에 관한 것이다. 가정과 교회는 교육을 위해 어떠한 노력도 아낌없이 쏟아 붓고 있지만, 노력한 만큼 열매를 거두어들이기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양육의 대상자들이 이 시대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속에 물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절대적 권위와 진리가 인정되지 못하고, 오직 개인주의 속에 인간성이 파괴되는 상황속에서 기독교적 양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독교교육의 핵심적인 장(場)인 교회와 가정(특히 부모)이 각각의 교육적 사명을 바로 알고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연계하여야 한다. 교회와 가정은 영원한 교육의 동반자이다.

      • 어린이 영성 형성을 위한 교회와 가정의 절기교육

        권효림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논문은 어린이 영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 절기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주제로 집필되었다. 기독교교육은 기독교 절기 안에 있는 영적의미를 찾고 다감각적으로 표현하여서 반복하여 지킴으로써 기독교문화가 형성되고 그로 인해 어린이 영성이 형성되며 성장함에 의의를 두고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Ⅰ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동기 및 목적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Ⅱ장에서는 교회력에 대한 정의와 역사, 교육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회력에 근거한 6개의 기독교 절기의 시기, 유래, 신학적 의미와 상징적인 요소를 통해 기독교교육적 요소를 알아보면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Ⅲ장은 절기와 기독교교육이라는 주제로 ‘상징’, ‘몸의 인식’, ‘이야기’, ‘어린이 영성’ 이 네 가지 요소와 기독교교육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상징’과 기독교교육에서는 일반적이고 종교적인 의미를 통해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상징교육의 의미를 찾았으며 절기를 통한 상징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몸의 인식’과 기독교교육에서는 인지과학자 다마지오의 이론을 토대로 신체화된 마음으로 인해 몸의 인식의 중요하며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다감각적인 몸의 인식이 고려되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야기’와 기독교교육에서는 인간은 이야기적 존재이기에 예수님의 마스터 스토리를 심어주어야 함을 제시하면서, 풍성한 예수님 이야기가 담긴 절기교육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어린이 영성’과 기독교교육은 카렌 마리 유스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신앙은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기 때문에 어린이도 영성을 소유하며, 영성 형성을 위해 절기를 통한 의도적인 환경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Ⅳ장은 Ⅱ,Ⅲ장을 바탕으로 절기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사순절과 부활절을 중심으로 절기 안에 있는 다양한 상징과 이야기를 찾아내어 다감각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가정과 교회가 협력해서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였다.

      • 성인 초기의 공적신앙 양육을 위한 교육목회 연구 :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이론을 중심으로

        조엄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성인초기의 공적신앙 양육을 위한 교육목회 연구이다. 현 시대는 전통적인 성인 초기 발달과업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학업과 취업 등 상황적 독립이 늦어지며, 결혼이 늦어지거나 포기하는 세대, 미디어의 발달과 시대적 변화로 인해 개인주의화 되는 세대를 에코세대와 Z세대라 칭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대적 상황을 함께 겪고 있는 에코세대와 Z세대를 한 세대로 묶어 MZ세대라 칭하고 있다. 이들은 20대부터 30대 후반까지도 아직 소명에 대한 갈등, 직업에 대한 갈등, 경제에 대한 갈등, 결혼에 대한 갈등 속에 혼란을 겪고 있다. 나아가서 이러한 성인 초기는 지금 신앙과 현재적 상황에 대한 갈등을 가지고 있다. 교회공동체와 세상과의 괴리감 속에서 살아가며 자신들만의 답을 찾아 나서기 위해 공동체를 떠나는 상황까지 되어버렸다. 그런 그들에게 다시금 공동체로 돌아올 수 있고, 신앙 안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Ⅰ 장에서는 가나안 성도의 실태를 조사하고, 교회를 향한 성인초기의 입장을 정리하면서 문제제기와 동시에 팬데믹 시대 회복이 필요한 성인 초기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교육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 제시에 대한 대안은 공적신앙 양육이다. Ⅱ 장에서는 성인초기에 대한 전통적 이해를 소개하고, 전통적인 이해의 한계점과 동시에 새로운 성인 초기 이해를 소개하면서, 시대적, 상황적 갈등을 살펴보았다. Ⅲ 장에서는 성인초기에게 공적신앙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공적신앙의 이론을 먼저 살펴보았고, 기독교 교육적 공적신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존콜만의 제자직과 시민직을 소개하였다. Ⅳ 장에서는 공적신앙을 양육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목회 이론을 전통적인 교육목회 이론과 한계점, 그에 대한 대안점으로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이론을 공적신앙 양육과 연결하여 살펴보았다. Ⅴ 장에서는 공적신앙 형성을 위한 교육목회 원리로 통전적 원리, 공공성의 원리, 발달적 원리, 연계성의 원리를 제시하며, 전체 내용을 기반으로 성인초기 공적신앙 양육을 위한 교육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의 이해와 목적,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마리아해리스의 다섯가지 커리큘럼에 접목시켜 연구하며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성인초기, MZ세대, 에코세대, 공적신앙, 교육목회, 교회의 공공성.

      • 청년을 위한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정동민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청년들의 탈 교회화 현상으로 인하여 오늘날 한국교회의 구조는 건강한 정삼각형 구조에서 탈피하여 정삼각형의 반대 구조인 역삼각형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여 각 교회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도입하며 영적 성장을 주도해 왔다. 하지만 시대가 바뀜에 따라 가치관의 형성이나 개념의 변화에 영적 성장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늘을 살아가는 청년들의 삶을 이해하고, 기존에 진행되었던 영성교육 프로그램들의 한계를 극복하여 청년들의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청년들의 영적 실태를 고발하기 위하여 청년 사역을 하며 관찰된 청년들의 모습 및 인터뷰 내용을 첨부하였으며, 그동안 출간된 도서와 학위논문, 그리고 학술지에서 발표된 논문 등의 문헌들을 바탕으로 영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총 7장으로 구성된 본 연구는 Ⅰ장은 서론으로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를 제시하였고, Ⅱ장은 영성에 관한 연구에 앞서 연구의 대상이 되는 청년의 의미 및 특성을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청년들에게 영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개관을 이야기 하였고, Ⅳ장에서 연구의 대상이 되는 크리스천 청년들의 실제적인 문제와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Ⅴ장에서 영성교육의 원리를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내용을 다룬 후 Ⅵ장에서는 영성교육원리를 이용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의 실제를 제안하며 Ⅶ장은 결론으로 논문의 전체내용에 대하여 요약하고, 더 나은 연구를 위하여 제언하며 논문을 마치고 있다. 여려 문헌들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이 시대의 청년들이 영적으로 보다 성숙해질 수 있는 영성교육프로그램으로 영성독서, 영성기도, 영성일기, 영성침묵의 총 4단계에 걸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청년들의 영성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으며, 실제적으로 청년들의 영적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많은 교회의 청년부에서 실제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양육 한 후 실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관찰해 보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청년 세대가 믿음 안에 견고히 설 수 있도록 청년세대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더 많은 영성 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영아의 긍정적 하나님 표상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대상이론을 중심으로

        고수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갓 태어난 영아는 어머니의 자궁과 돌봄에 절대적으로 의존되어 있다. 즉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의존한 영아는 그로부터 안정감을 느끼고, 어머니와의 동일시하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또한 어머니들은 아기와 이런 저런 방식으로 동일시한다. 그들은 놀랍게도 아기의 욕구에 대해 알 수 있는 아주 예민한 감각을 얻게 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대상관계이론은 생애 초기의 아기-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에 대해 주목한다. 먼저 위니캇은 이 시기에 어떠한 돌봄을 받았는가가 초기 아동발달에 영향을 끼칠 뿐 만 아니라,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성숙과 독립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발견했다. 한편 리주토는 영아의 초기 대상과의 관계, 즉 부모와의 관계가 하나님의 표상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영아는 최초의 대상인 어머니의 돌봄을 통해 하나님 표상을 처음으로 정교화한다. 이는 초기 대상관계 경험으로부터 온 어머니의 좋은 이미지가 긍정적 하나님 표상 형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아의 타고난 잠재력은 모성적 돌봄의 환경적 제공에 따라 발현되고 성장한다. 그에 따른 영아기의 순조로운 신체적 심리적 성장은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성인의 종교경험들을 조직화하고, 성숙한 신앙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한다. 필자는 위의 이론에 근거하여 영아의 긍정적 하나님 표상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긍정적 하나님 표상 형성을 위해서는 영아의 욕구에 세밀하게 반응해주는 충분한 모성적 돌봄과 좋은 어머니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더불어 영아의 신앙교육은 부모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주5일 근무시대 교육목회의 한 방안으로서의 주말학교 연구

        조원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과 목회를 통합하는 새로운 교육 형태에 대한 관심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변화와 교회교육 이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다. 한국의 기독교는 이 땅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큰 고통을 받았지만 한국 사회를 이룩하는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오면서 한국교회는 위기를 맞게 된다. 사회가 안정되면서 사회에 중추적 역할을 했던 교회의 역할은 축소되었고, 세속 문화와 주5일 근무제라는 새로운 문화에 맞서 한국교회는 교회가 가진 가치와 의미가 점점 약화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 구조의 영향은 한국교회를 뒤 흔들었고, 사회와 역사를 향한 하나님의 나라보다는 종교로서의 체계 유지와 교세 확장을 중심으로 향하게 되어 교회교육의 기능이 교회학교로 극히 제한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편협한 신앙과 왜곡된 영성의 길들임이 계속되었고, 교회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복음 전파의 영향력은 크게 축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교인들의 모습은 교회에서 제자의 삶을 살아가지만 자신의 삶의 처소에서는 시민으로 살아가는 이중인격의 신앙 즉 삶의 불일치를 낳게 되어 가정과 분리된 신앙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런 교회의 위기 속에 주5일 근무시대라는 새로운 문화의 접목은 더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는 우려가 있는데, 주일예배 참석률 감소의 우려와 일 보다 여가를 즐기려는 우려, 소비 중심에서 나오는 개인의 쾌락주의, 교육시간 증가에 대처할 효과적인 교육부재, 새신자 전도의 어려움 등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이런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한국교회는 위기임이 분명하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이 때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목회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그 한 방안으로 주말학교가 가능하다. 주5일 근무 시대는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선교의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주5일 근무 시대의 대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늘어난 휴일을 교육의 기회로 삼고 있다. 세속화에 빠지지 않고 이겨낼 수 있는 신앙인으로 훈련할 수 있고, 위기의 가정도 회복할 수 있으며, 사회봉사와 섬김을 통해 주변의 어려운 이웃들을 섬겨 교회의 본질적 사명도 가능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요구에 맞추어 여러 교회에서 주말학교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주말학교가 오랜 연구를 통해 검증 되었다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주먹구구식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특히 여가 문화(놀이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당장은 유익할 수 있으나 교회의 본질적 사명을 잃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교회교육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 본 연구는 주5일 근무 시대에 교육목회의 한 방안으로 주말학교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주말학교는 첫째, 주5일 근무 시대를 살고 있는 아동들과 청소년들에게 주말을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과 제자로 자라나 하나님의 본질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늘어난 휴일로 인해 가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현재 주어진 환경과 여러 요인들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핵가족화와 이성주의, 개인주의, 세속화 등의 영향을 받아 맞벌이 가정과 편부, 편모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다문화 가정까지도 온전한 쉼의 방법과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고 있는데, 교회가 나서서 가정을 케어하고, 온전한 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셋째,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고 그들을 섬길 수 있는 봉사의 현장을 갖게 하는 것이다. 교회는 복음을 통해서도 전도사역을 할 수도 있지만 섬김을 통해 이웃들에게 다가갈 수도 있다. 교회가 사회봉사에 참여하는 것은 성경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다. 예수님의 가르침 속에 교회는 섬김의 모습으로 나아가야 하고 주5일 근무 시대를 통해 그동안 교회가 하지 못했던 이웃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 돕고 협력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 안에 Ⅱ장에서는 주5일 근무제에 대한 이론과 주5일 근무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하였고, 성경이 말하는 주5일 근무와 안식에 대해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주5일 근무제가 미국과 유럽교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교회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통해 주5일 근무 시대에 따른 교육 목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교육목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목회 이해에 대해 서술하였다. 특히 교육목회와 신앙공동체, 교육목회의 교육과정을 알아보았고, 교육목회의 방향을 통해 주말학교의 중심을 잡았고, 주5일 근무시대의 교육목회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그 한 방안으로 주말학교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기존교회들이 실시하고 있는 주말학교의 사례를 모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한 뒤, 새로운 주말학교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주말학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교육영역으로 정리하였는데 이는 효과적인 주말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세분화 하였다. 주말학교를 통해 기존 신자들은 제자가 되고, 불신자들은 예수그리스도를 믿을 수 있도록 주말학교의 프로그램과 구체적인 진행 안을 제시하였다. 주말학교는 교회가 주체가 되어야 하고 가정과 연계되어야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무너진 가정을 세우고 가정이 함께 공동체성 신앙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회에서 장을 마련해야 한다. 주5일 근무 시대에 교회는 교회교육과 가정을 위한 교육을 담당한 책임과 사명이 분명히 있고 이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지도할 때 한국교회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Concerns about new educational forms which integrate the education and pastorate have come to the front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with burst spee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eories in the church. Though Korean Christianity got from a suffering greatly in order to get off a root on this earth, but it affected large influences while playing a motive power of accomplishing Korean society. However, the Korean church became to be confronted with a crisis while coming 1990’s. The role of the church which has done central roles in the society was reduced as the society was stabilized, and the church has reached to now where the church’s value and meanings has been weakened gradually while facing the new culture called secularism and five-day workweek system. The influence of these social structures shook Korean churches and the churches became to go forward system maintenance as a religion and expansion of total number of Christians rather than a country of God for the society and history, and thus the function of church’s education was limited to church schools extremely. Under these influences, narrow-minded faith and nurturing of divine nature were continued, and evangelism’s influence as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was reduced greatly. Besides, the faithful were living as followers in the church, but they showed civilian features in the residence, and thus became to have faith of double-faced personality. In this crisis of the church, the grafting of new culture called five-day workweek times could make a worry about larger issues such as decrease of participating rate in the weekend worship, enjoying leisure rather than work, personal secularism centering on consumption and effective education inexistence which could cope with increase of educational times and difficulty in preaching new believers. In the meantime, Korean church was not able to solve these issues easily. By this, it is clear that the Korean church is in the crisis. At the time when five-day workweek system is enforced, the approach of church pastorate is necessary to recover this crisis, and weekend school is possible as a method. It is because the five-day workday times can recover the church crisis and make an opportunity for mission works. Alternatives of the five-day workweek times are pouring on the latest date with bases of this. Specially, this is considering the increased holidays as an opportunity of education. This opportunity can train people as believers who are able to attain full victory without indulging in secularism, recover family’s crises and enable do essential duties of church by serving difficult neighborhoods with social services and devoting. Besides, a lot of churches are processing the weekend schools as fitting to these needs. However, there are problems because the weekend school has been progressed in programs of rough estimate style rather than having been verified through long studies. Specially, this weekend school can be helpful for the present, but can be lost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as it is focusing in leisure culture (game culture). Therefore, the church shall continue effort and study constantly so that church education can be progressed well. This study presented an educational program called weekend school as a method of church pastorate in the five-day workweek times. The purpose of this weekend school: First, this executes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so that they can be brought up as the people and pupil of the God and then manage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God by using the weekend. Second, though the importance of family is increased owing to increased holidays, but environment having been given presently and many factors do not solve these problems at present. As a dual-income family and one-parent family are increasing gradually by being influenced from nuclear family and rationalism, individualism and secularization, and sound rests and problems even in the multiple-culture family are not solved, this has a purpose of enabling the church care the family and provide sound rests to them. Third, this is to get service places so as to look back difficult neighbors in the region and devote them. The church can do the missionary role through the gospel and also approach to the neighborhood through services. It is a practice of love from Jesus Christ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service, not being coming off in the bible. The church shall go forward with the serving feature under teaching of Jesus Christ, and give helps to the difficult neighbors so as to recover their difficulties along with cooperation which has not been carried out in the meantime through five-day workweek ti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cribed theories on the five-day workweek system in chapter ll and the effect of the system to the society, and then depicted the five-day work and rest that the Bible spoke. In chapter III, the study proposed an alternative of church pastorate according to the five-day workweek times after reviewing the effect of this system to the church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long with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to Korean church. In chapter IV, this study described on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astorates so as to solve the tasks of the pastorate. Specially, the study examined educational pastorate and religious community, educational pastorate and its educational course, and posted the center of weekend school through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astorate, and then proposed the possibility of weekend school as one solution along with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pastorate in the five-day work times. In chapter V, the study analyzed the weekend school after collecting cases having been executed in the existing churches, and then appointed the problems. Also, this study searched it so as to propose a new model of weekend school. In chapter VI, the study proposed a new model of the weekend school. This study arranged it as educational purpose and its contents, educational scopes and then subdivided so as to be able to educate effective weekend education. The study suggested a concrete progress plan in detail along with program of the school for existing believers to be pupil of the God and unbelievers to be reliable to Jesus Christ. The church shall be the subject of the weekend school, and effective education is possible in case of connecting with families. Besides, the church shall prepare for a place that elect the destroyed family and enable the family to do religious education through community characters. The church has a responsibility and mission of taking charge of the education for the church education and family one certainly in the five-day workweek times, and the future of church will be bright in case of supporting and instructing these tasks continuously.

      • 효과적인 교회 말씀 교육을 위한 교회 교육자의 목소리 연구 : 발성법을 중심으로

        강주영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회 교육의 핵심은 ‘말씀’ 교육이다. 이러한 말씀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말씀을 어떻게 잘 전달하는가, 효과적으로 전달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교회 말씀 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설교와 성경공부 등은 모두 음성언어, 즉 목소리를 주로 사용하는 교육이다. 그러나 정작 교회 교육에서는 교육의 중요한 도구가 되는 목소리에 관한 관심도가 저조하고 그에 대한 교육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회 교육에서의 음성언어를 통한 말씀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짚어보고, 교회 교육자의 좋은 목소리가 갖는 교회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교회 교육자의 발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미혼모를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 신앙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정미선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지고 있는 미혼모의 문제를 기독교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신앙공동체 안에서 이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혼모 문제는 잘못된 성문화로 시작하여 결국은 생명에 대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에 대한 윤리적인 부분만 강조한다면 더 이상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해결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사회적 구조와 동시에 미혼모가 상황에 직면했을 때 겪게 되는 불안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그들이 원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대부분 미혼모들은 막연한 상황을 직면하게 될 때 종교단체의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공동체는 미혼모의 겪게 되는 심리적 불안감과 현실의 막막함을 신앙공동체 안에서 수용하여 하나님과의 관계회복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바른 길을 제시해 줄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미혼모의 문제점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사회적으로 평가되어진 통계를 가지고 미혼모가 현실적으로 느끼고 있는 자신들의 위치와 차별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신이 저지른 행위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진 양육미혼모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절실하다. 양육 미혼모들이 경제적 궁핍을 극복하지 못하여 또다시 사회적 일탈자로 전락하지 않도록 대처를 마련해야 한다. 미혼모는 자녀를 양육한다는 책임과 동시에 사회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의사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런 준비가 되지 않은 양육미혼모를 위하여 사회적 지원은 더욱 늘어나야 하며 기독교 단체 및 교회는 편견의식을 벗어버리고 이들과 친교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원죄가 있는 모든 인간에게 베푸신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아 삶에 있어 잊어버리지 못할 굴레를 만들지 않도록 교회는 미혼모에게 기독교 부모교육을 시켜야 한다. 더욱이 이들을 수용하고 받아들이기 전에 ‘그리스도인답게’ 라는 살아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삶의 목적을 가지고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삶의 생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함께 해야 한다. 양육미혼모는 자녀를 교육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보다는 재빠른 삶의 안정을 추구하며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데 급급해 한다. 특히, 발달과정 중 엄마의 손길이 가장 많이 필요한 영유아기 자녀들을 양육할 수 있도록 교회가 도와주며 가정에서 기독교교육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기독교교육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미혼모는 엄마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수행자이다. 그렇기에 Ⅲ장에서는 미혼모인 엄마와 처음 접하게 되는 영유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신체적 발달, 인지적 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신앙적 발달을 통하여 자녀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파울러는 신앙에 대한 경험은 출생과 더불어 부모에 의해 경험적 신앙이 형성된다고 한다. 그렇게 때문에 양육자인 미혼모부터 부모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인간과 맺으신 언약을 이루기 위해 가정에게 명령하신 부모의 교육적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 부모교육의 기원이 될 수 있다. 교육의 주체가 부모가 되어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과 부모와 자녀의 삼중적인 관계를 잘 이루어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며 미혼모가 영유아 자녀의 발달을 이해하고 언약백성으로서의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미혼모에게 기독교적 가치관을 심어야 한다. Ⅳ장에서는 미혼모를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를 알아보고 확대가족으로서 교회의 역할과 확대가족으로서의 미혼모가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약에 하나님께서 사회적 약자의 연약함을 불쌍히 여기시며 돌보시기를 원하신다. 신앙공동체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바라보시는 하나님의 뜻을 바로 알고 실천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신학적 이론을 살펴보며 생명이란 인간이 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영역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구약의 쉐마교육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앞 세대와 뒷세대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위해서도 부모교육은 필요하다. 웨스트호프 역시 양육이라는 폭넓은 이해와 공동체 안에서의 회중과 신앙과 삶이 나누어 질 수 있는 공동체 교육을 중요시 하면서 교회와 가정에서의 공동체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교회에서 이루어져야 할 부모교육 중 미혼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변해가는 시대의 가정의 흐름에 따라 교회가 받아들어야 할 사명이며 미혼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약함을 가진 자를 위한 친교적인 방향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Ⅴ장에서는 신앙공동체 이론을 바탕으로 미혼모를 위한 미혼모 부모교육을 제시하였다. 부모 자신이 비판적 사고와 적절한 선택, 그리고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성숙한 기독교 부모가 되기 위해서 실시되어야 하며 내용으로는 나의 정체성과 부모 됨 알기,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통해 자녀를 알기, 하나님이 세우신 가정의 역할에 대해 알기에 대해서 제시한 것이다. 미혼모 교육을 이끌어 가는 동역자인 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 5주 과정 프로그램 실제 : “___ With 나 Special ____” Ⅵ에 제시하였다. 미혼모의 신체적 특성상을 고려해야 2시간의 교육이며 50분 진행, 10분 휴식, 50분 진행 형식으로 진행된다. 세 가지의 큰 제목을 가지고 본 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세부적 프로그램 내용은 나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께서 만드신 나의 정체성을 바로 알고,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알고, 성경적 어머니의 자아상을 통해 나를 바라볼 수 있다.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통해 자녀를 알며 신앙적으로 자녀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미혼모는 거듭남의 경험으로 멘토(교사)의 가정에 들어가 신앙적 지도방법 중 가정예배에 참여해 본다. 멘토(교사)는 프로그램의 도우미 역할에 그치지 않고 미혼모가 가정을 잘 이루어 자립 할 수 있도록 교회와 미혼모가정, 교회와 지역사회, 미혼모가정과 지역사회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신앙공동체와 함께 하며 미혼모(가정)는 더 이상 소외된 존재, 손가락질 받는 존재가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대한 회복과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믿음의 가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자율교육 활성화 방안

        김종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선교사를 통하여 기독교가 이 땅에 들어온 지 120년이 넘었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기독교학교의 역사도 선교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동안 기독교학교가 우리나라 교육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며 기독교학교를 통해서 이 땅에 많은 인재가 양성되어 국가와 사회를 위하여 큰 공헌을 한 사실도 역사를 통하여 증명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독교학교는 초창기 기독교학교를 설립 할 때 세웠던 이념에 맞게 교육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어가고 있고, 많은 기독교학교가 기독교정신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기독교를 전파할 목적으로 가르치며 기독교적 인간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의미는 점점 상실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기독교학교가 그 정체성을 상실하고 본래의 건학이념을 구현하지 못하는 데에는 제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특히 1974년 고교 평준화 정책 이후에 기독교학교가 학생 선발권을 상실함으로 말미암아 기독교학교에 입학하기를 원치 않는 학생들이 입학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종교계 학교에서 특정 종교를 가르칠 수 없게 되는 실정이 되고 말았다. 그 이유는 평준화 제도를 비롯하여 일선 학교들의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에 또는 자주 바뀌는 교육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기독교학교가 정체성이 흔들리게 되었고 가장 기본적인 기독교 교육을 하는 것 조차도 어려움과 혼란을 격어야만 하게 되었다. 그리고 또 기독교학교의 본래의 건학이념을 잘 구현하지 못하는 정치적 사회적 어려움도 오늘날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을 상실하는데 한 몫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학교들의 정체성을 상실해 가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 정체성 회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이 허용하는 창조재량활동을 포함한 자율교육을 교육적으로 잘 활용함으로서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회복을 추구하기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독교학교에서 창조재량활동을 포함한 자율교육을 활성화시킴으로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회복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