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김다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실태와 유아교육에 있어 멀티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유아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어 온 멀티미디어 활용을 포함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유아교육에 새롭게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 가? 셋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과 관련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 27곳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356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와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김선아(2021), 이현지, 강수경(2020), 전호숙(2016), 안우리, 전홍주(2019), 차화연(2019), 최은오(2019)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참조하여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 검증으로 Scheffe를 통해 집단 간 인식의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먼저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 시간의 경우 대부분 일주일 중 주2~3일, 하루 평균 30분~1시간 이하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멀티미디어 활용 도입단계와 활동상 꼭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인터넷 검색으로 가장 많이 습득하고 있었고, 유아들에게는 가끔 자료를 제공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기기 활용실태의 결과를 살펴보면 컴퓨터를 가장 많이 활용하며, 유튜브·SNS, 태블릿PC, CD, PPT, 블루투스스피커 순으로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고 있었다. 반면에 디지털카메라, 빔프로젝트, 스마트폰은 현장에서 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연수실태를 조사한 결과, 연수받을 기회가 없어서 연수받지 못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사의 나이와 담당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근무 기관유형별 차이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만 5세 연령을 담당하고 있는 30대 유아교사가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이유와 관련해서 유아교사는 유아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높이기 위해서 멀티미디어를 활동에 활용하는 경향이 높았고, 유아의 학습효과 증진, 활동 내용 보충, 교사의 자료준비의 용이성 순의 이유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멀티미디어 활용 시 유아의 흥미 유발과 관련하여 만 4세 연령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흥미 유발이 잘된다고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반을 담당하는 유아교사는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2~3년제 졸업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와 만 5세 연령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가능성을 높게 인식한 반면, 경력, 교사 나이, 근무 기관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만 5세 연령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나이, 학력, 경력, 유아교사가 근무 기관유형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도입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는 터치스크린, VR/AR, 스마트러닝(학습기기), 3D프린터, 코딩 순으로 많이 언급되었고, 교사들은 유아의 멀티미디어 활용 시작 적정 연령으로 만 3세를, 그다음 만 4세, 만 5세, 초등학교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요구와 관련해서는 유아 발달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개발 보급, 교사들의 멀티미디어 활용의 관심 증진 및 활용 확대, 시설과 자원지원, 더 나은 멀티미디어 활용 교사 연수, SNS, 인터넷을 통한 자료공유 순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인공지능에 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연수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새로운 멀티미디어 활용 방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이해와 실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 방법 순으로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더욱 다양해지는 멀티미디어가 유아교육현장에 어떻게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이를 대비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관련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COVID19로 인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필요성과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 멀티미디어를 유아교사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해오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이 시점에서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중요성과 요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actual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multi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util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ultimedia education, which is newly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the multimedia utilization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 hood multimedia educ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 ial revolu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5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27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s a research t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multimedia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Kim Sun Ah (2021), Lee Hyun Ji, Kang Soo Kyung (2020), Jung We used a modified and supplemented questionnaire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ies of Hosk (2016), Jung Hong-joo (2019), Cha Hwa-young (2019), and Choi Eun-oh (2019). Data analysis used the SPSS 25.0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of multimedia utiliz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st of the multimedia utilization time is 2 to 3 days a week, 30 minutes to 1 hour or less per day on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y are often used at the introduction stage of multimedia utilization and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activities. Kindergarten teachers learned the most multimedia materials from Internet searches, and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to provide materials to young children from time to tim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use of multimedia device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used computers the most, followed by YouTube/SNS, tablet PCs, CDs, PPT, and Bluetooth speakers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digital cameras, beam projects, and smartphones were not being used well in the fie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media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answers were that they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receive the training and could not receive the training.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teacher and the age in char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30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 aged 5 years, are mo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re the most. It turned out that I recognized it low. Regarding the reasons for the use of multi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 to use multimedia in activities to enhance the curiosity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It was found to utilize multimedia for reasons of order of ease of use. In addition, when using multimedia,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4-year-olds are most likely to be interested in stimulating children's interest,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re the least. I recognized. Third,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graduated from the 2-3 year system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5 years old are young children. Although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using multimedia was highly recogniz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by career, teacher age, and type of instituti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5-year-old children are most aware of the effects of multimedia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in which kindergarten teachers worked. In addition, touch screens, VR/AR, smart learning (learning equipment), 3D printers, and coding order are often mentioned as multimedia devices that are required to be introduc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appropriate age for children to start using multimedia is 3 years old, then 4 years old, 5 years old, and elementary school. Regarding the needs for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ultimedia programs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motion and expansion of teachers' interest in multimedia utilization, support for facilities and resources, better multimedia They answered that they need support in the following order: training for teachers using media, SNS, and material sharing through the Internet.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vel of training demand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ory and practi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highest. In fact, I answered that training is necessary in order of how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help us to understand how multimedia, which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ost-corona era,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teachers in preparation for this.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research. In addition, we must underst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ctually using multimedia, which has become even more necessary and usefu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ue to COVID19, and prepar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at this point in time.

      •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권랑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광역시 유아교육기관 44곳의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만 3-5세 담임교사들 3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을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일부 하위요인들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교사신념의 하위요인인 성숙주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근무환경, 사회적 인정,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38.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사의 변인들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 스스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며,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하여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Subjects of this research included 362 teachers who were teaching 3 to 5 year-old children from 44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 city. Survey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to examine participating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teachers'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Also, some subfactors of teachers'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ver teacher-child interaction. Teachers' beliefs on maturation, satisfaction with working environment and social recognition, and the personal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explained 38.6%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particular,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power ove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variables of teacher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high-quality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need to be developed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also need to improve their positive self-awareness.

      •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만 3-5세를 중심으로

        이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통계연보(2019)에 의하면 2019년 유아교육 취원율은 92.4%로 만 3-5세 아동의 열 명 중 아홉 명 이상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고 있다. 즉 유아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것은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 흐름으로 인해 유아기 보육 및 교육은 개인적 차원의 가정을 넘어 사회적 차원인 유아교육기관으로 확대 되었다(권영례, 김소라, 2011). 유아교육에 있어 국가적인 지원과 책임을 강조하는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정부는 2012년 만 5세에 누리과정을 도입하였다(교육부, 2012). 유아보육 및 교육에 있어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백혜리, 2012). 이에 따라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교육분야의 연구동향을 통찰하는 것은 유아교육 공동체가 탐구하고 축적해 온 발자취를 다듬기 위한 필수적이고도 주기적인 과제이다(김영옥, 2005).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통찰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의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의 동향을 고찰하고자 누리과정의 시작시점인 2012년을 기준으로 2012-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및 석․박사 학위논문을 수집하였다. 메타분석을 하기 위해 상관계수로 영향을 나타낸 연구만을 수집하였다. 또한 동일한 변인에 대해 2개 이상의 연구가 있는 연구만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52편의 분석 대상 연구들을 선정하여 83개의 효과크기와 17개의 변인을 도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은 어떤 것들인가? 둘째,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분석대상의 논문은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사의 놀이성,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민감성, 사회적 지지, 셀프리더십, 인성, 전문성 발달, 전문성 인식, 정서지능,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창의적 인성, 행복감, 회복탄력성 총 17개의 변인과 관련된 논문이다. 즉, 17개의 변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변인의 전체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Zr=0.55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17개 변인들이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미 있는 영향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셋째,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효과크기를 각각 살펴본 결과 교수창의성(Zr=0.82), 민감성(Zr=0.82), 전문성 발달(Zr=0.75), 전문성 인식(Zr=0.73), 교수몰입(Zr=0.72), 인성(Zr=0.67), 셀프리더십(Zr=0.66), 교수효능감(Zr=0.64), 정서지능(Zr=0.62), 회복탄력성(Zr=0.58), 놀이교수효능감(Zr=0.52), 직무만족(Zr=0.52), 행복감(Zr=0.52), 창의적 인성(Zr=0.47), 사회적 지지(Zr=0.38), 교사의 놀이성(Zr=0.29), 직무스트레스(Zr=-0.29)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이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과 크거나 중간 수준의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세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메타분석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기존의 연구와 이론적 주장들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17개의 변인을 밝혔을뿐만 아니라 이질성이 큰 연구에 해당되는 9개의 변인도 도출하였다.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민감성, 셀프리더십, 전문성 발달, 전문성 인식, 직무만족, 창의적 인성, 행복감은 연구마다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일관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위의 9개 변인의 이질성이 큰 이유를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룬 17개의 모든 변인이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크거나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방안과 관련된 환경 조성, 제도적 지원, 교사교육 등을 강화할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효과적인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유아교사 스스로 인식하고 관련된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tistical Yearbook(2019), the admission ra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2019 was 92.4%, and more than nine out of ten children aged 3-5 are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universal for children to attend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ue to these trends in modern society,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has expande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of the family to the social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Kwon & S. R. Kim, 2011). In response to a social demand that emphasizes national support and responsibi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Nuri course at the age of 5 in 2012 (Ministry of Education, 2012).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children(H. R. Baek, 2012). Accordingly, studies on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 insight into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n essential and periodic task to refine the footsteps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has explored and accumulated(Y. O. Kim, 2005). However, until now, there is no ins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related variabl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accumulated research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a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ildren,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studies so far. In order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we collected thes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2-2020 based on 2012, the starting point of the Nuri course. For meta-analysis, only studies showing the effect of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llected. In addition, only studies that have the two or more of the same variable were selected. As a result A total of 52 studies were collected to be analysed studies, and 84 effect sizes and 17 variables were derived.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theses are analyzed?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is thesis is related to a total of 17 variables. First the variables analyzed in the thesis wer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eacher's playfulness, teaching efficacy, teaching commitment, teaching creativity, play-teaching efficacy, sensitivity, social support, self-leadership, person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recognitio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creative personality, happiness, and resilience. As a resut, 17 variables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as Zr=0.55.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17 variables affec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at affects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had a large or medium level relationship with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the folloing order from the highest values to the lowest: in that order: teaching creativity(Zr=0.82), sensitivity(Zr=0.82), professiona l development(Zr=0.75), professional recognition(Zr=0.73), teaching commitment (Zr=0.72), personality(Zr=0.67), self-leadership(Zr=0.66), teacher efficacy (Zr=0.64), emotional intelligence(Zr=0.62), resilience(Zr=0.58), play teacher efficacy(Zr=0.52), job satisfaction(Zr=0.52), happiness(Zr=0.52), creative personality(Zr=0.47), social support (Zr=0.38), teacher's playability(Zr=0.29), job stress(Zr=-0.29).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supported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oretical arguments on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Second, not only 17 variables affec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were revealed, but also 9 variables corresponding to studies with large heterogeneity were derived. Teaching efficacy, teaching commitment, sensitivity, self-leadership,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recognition, job satisfaction,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were found to have inconsistent degrees of influence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each study. Therefore, future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asons for the large heterogeneity of the above nine variables. Third, all 17 variables covered in this study had large or medium effect size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refore, future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nvironment crea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expressed in revealing the necessi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cognize the variables that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o develop relevant competencies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이지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preschool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impact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tendency of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and the impact of preschool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on their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258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s located in Seoul teaching children aged 3-5 were participants of the study. Preschool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Self-Esteem Scale was us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 instrument was measured by teacher themselves.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questions that this study seeks to answer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2) How does differences in demographic feature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workplace, experience) related with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tendency of all the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showed to be above average level. Factors of affective empathetic ability show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cognitive empathetic ability, however, there was barely difference in average. Preschool teachers’ self-esteem showed to be generally high and positive self-esteem factors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level whereas negative self-esteem factors were found to be low.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workplace, experience) and their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was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ged between 46 and 50 and above 51 had relatively high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while preschool teachers aged below 25 were shown to have low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Regarding marital status factors, married pre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igher empathetic ability than single preschool teachers. On educational level,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self-esteem and preschool teachers with junior college degrees were found to have low self-esteem. Preschool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high empathetic ability than those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Regarding self-este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reschool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home based childcare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high empathetic ability while preschool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were found to show relatively low empathetic ability and regarding self-este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ork experience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affects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that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within even within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Since the demographic features of the preschool teachers may potentially affect the relationship of teacher and children, preschool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and put effort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resources that may positively impac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as also show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foundations in cultivating talent capacities fo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developing empathetic ability and self-esteem of pre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 인구사회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이에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일반적 경향이 어떠한지 규명하고, 유아교사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간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5세 담임교사 25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 모두 교사 본인에 의해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인구사회적(성별, 연령, 결혼유무, 최종학력, 전공, 근무기관, 경력)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자아존중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공감능력, 자아존중감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교사 전체 공감능력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하위요인에서 정서적 공감이 상대적으로 인지적 공감보다 약간 높았으나 평균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유아교사 전체 자아존중감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보통보다 높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낮았다. 둘째, 유아교사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연령의 경우, 46~50세와 51세 이후가 상대적으로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낮은 25세 이하에서는 낮은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결혼유무의 경우, 미혼보다 기혼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감능력을 보였고 자아존중감에서도 미혼보다는 기혼이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최종학력의 경우, 보육교사 교육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감능력을 보였고,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은 낮은 공감능력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에서는 대학원 이상이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였고,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의 경우, 유아교육학에서 높은 공감능력을 보였고, 복지학은 낮은 공감능력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무기관의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과 가정 어린이집의 경우 높은 공감능력을 보였고, 민간 어린이집은 상대적으로 낮은 공감능력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력의 경우,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학습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동일한 교육 현장이라 할지라도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즉 교사가 갖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교사-유아의 관계에서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의 역할에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지원하는 교육과 자원에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 유아교육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이 입증된 것은 유아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바, 이에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중 하나인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킴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에게 중요한 소양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진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elf-elasticity, which is an internal variable of teachers,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Through this, we sought to find a way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silience, and efficacy in guiding problem behavior?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silience,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4)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For this purpose, 29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H and O citie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To find out the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ools developed by Park(1985)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2010) and Im(2000), and then revised by Ahn(2013). For the self-elasti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lohnen(1996) used a tool that translated the California Personality Test CPI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by Park(1996). Finally,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developed by Kim and Lee(2019)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problem 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of infants, and collecting data related to constituent factors throug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ajor professors. The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was us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s of major variabl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generally high, and in the sub-factors, instrumental support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support was the lowest. The general tendency of self-elasticity was generally high, and the sub-factors were in the order of optimism, self-confidence, interpersonal efficiency, and anger control.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was above average, and in the sub-factors, personal 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management skills were more similar than normal, and external influence factors were below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in which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orks, the final education level, and the support program.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recognized high social support in the order of workplace daycare centers,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private kindergarten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was perceived lower than that of the institution type.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was perceived in the order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junior college graduation, and education school completion.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nd teachers with an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ose who completed the institute.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upport program was found in the order of healing program support, educational training support, assistant teacher support, alternative teacher support, and none. The group receiving the healing program was found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e most, and the group without any support program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receiving support for assistant teachers, educational training, and healing programs perceived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support programs at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elf-elastic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and whether or not to marry. First,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self-elasticity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elf-elasticity, followed by workplace daycare centers,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As a result of post-morte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had higher levels of self-elasticity than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Married teachers had higher self-elasticity than unmarried teachers in the difference in self-elasti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Graduate school or higher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fficacy in problem behavior guidance, followed by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junior college graduation, and education school comple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t was found that all three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self-elasticity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the higher the self-elasticity, the higher the efficacy of the problem behavioral guidance.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eachers'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on the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problem-behavior guidance, both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of preschool teacher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problem-behavior guidance. Among them, the self-elasticity of preschool teacher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than on social suppor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for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management skills, personal efficacy, and external influence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ocial support and It was found that self-elastic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self-elasticit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management skills and personal 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self-elasticity on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on problem-behavior guidance efficacy,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inter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ind out the effect on problem-behavior guidance efficacy. It is significant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variable, self-elasticity, influences the efficacy of the problem behavior ma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fellow teachers in the workplace and the teacher's self-elasticity are important variables as a method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behavior guidance. Therefore, a lot of attention is required to develop a support system for positive support that can sufficiently receive social support within the educational perio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ic data useful for development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가 유아 교육기관 내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 내적 변인인 자아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향상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지원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배경 특성에 따라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경기도 H시와 O시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 사립 유치원, 국공립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9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한 도구를 박은주(2010), 임진형(2000)이 수정 보완하고, 이후 안혜정(2013)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Klohnen (1996)이 California 성격검사 CPI(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를 박현진(1996)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김성현과 이종향(2019)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교사효능감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고, 구성요인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개발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도구적 지지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정서적 지지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일반적 경향은 대체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은 낙관적 태도,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감, 분노 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서는 개인적 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 및 관리기술이 보통 이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외부영향요인은 보통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 유형, 최종 학력, 지원프로그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기관 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장 어린이집, 국공립 유치원, 국공립 어린이집, 사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 순으로 교사가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했으며, 사후분석 결과,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가 다른 네 개의 기관 유형에 비해 사회적 지지를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최종 학력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서는 대학원 이상, 4년제 대학교졸업, 전문대 졸업, 교육원 수료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했다. 사후분석 결과,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교육원을 수료한 교사보다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프로그램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서는 힐링프로그램 지원, 교육연수 지원, 보조교사 지원, 대체교사 지원, 없음 순으로 나타났다. 힐링프로그램을 지원받는 집단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프로그램이 전혀 없는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보조교사, 교육연수, 힐링프로그램을 지원받는 집단이 지원프로그램이 전혀 없는 집단보다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관 유형과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관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장 어린이집, 국공립 유치원, 사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에서는 기혼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자아탄력성이 높았다.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최종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대학원 이상의 학력이 가장 높은 수준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4년제 대학교졸업, 전문대 졸업, 교육원 수료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들 간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 높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모두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보다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문제행도지도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문제행동지도 및 관리기술’, ‘개인적 효능감’, ‘외부영향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지도 및 관리기술과 개인적 효능감에는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보다 더 큰 영향을, 외부영향요인에는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에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유아교사의 내적 변인들을 중점으로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외적 변인인 유아 교육기관 내의 사회적 지지와 내적 변인인 자아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직장 내 동료 교사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향상을 위해 교육 기간 내에서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제공 받을 수 있는 긍정적 지원을 위한 지원체계 개발에 많은 관심이 요구되며,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

        권소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Use Ability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ing Creativity Kwon, So Hyeon Advised by Prof. Lee, You-M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ch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ing crea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use ability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se two sides.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use ability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ing creativ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3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Busan. Due to COVID-19,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non-face-to-face visits, mail and e-mail from 20 December 2020 to 04 January 2021. In this study, Ha Joo-hyun (2000) developed ‘Creativity Test Paper’ to find out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and Park Chun-sun (2001)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information use ability of Elementary Teachers’ scale.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ing creativity, Baek Young-sook and Kim Hee-tae (2008) used the ‘Creativity Tes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irst, we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random analysis according to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Baron and Kenny (1986)'s three-step metho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ooking at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verage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independence’ was the highest and ‘adventurous’ was the lowest.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formation use ability, ‘the ability to utilize programs and informatization devices (basic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use of classes’ was the lowest. If you look at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ey come in order of cognitive and definitive factors. Second,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showed a significant level difference in ‘highest level of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 more creative personality the teacher is.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formation us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g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ype of facilitie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ly appeared in ‘ability to utilize programs and informatization devices (advanced capabilities)’. The lower the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highe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information use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working at the ‘National Daycare Cen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use ability, ‘program and informatization device utilization (basic ability)’ and ‘program and informatization device utilization (advanced abilit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difference in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ird, we looked at th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It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level of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eaching creativity. Four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use abil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ing creativity and that information use abil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use ability in detail, the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wareness’ and ‘the use of cla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mediating effects in ‘program and informatization device utilization (basic ability)’ and ‘program and informatization device utilization (advanced ability)’. Combining the results so f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use ability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ing creativity. Based on this study, for creative class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arly childhood teacher's ‘information use ability’ education in a technical as well as a practical wa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isten with interest to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of you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pport is expected to strengthen training opportunities to foster information literacy of older early childhood teachers.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Creative Personality, Information Use Ability, Teaching Creativity, Mediating Effect.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 권 소 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 미치는 영향과 이들 두 변인 간 인과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의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조사는 서울, 경기, 충청, 부산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12월 20일부터 2021년 01월 04일까지 비대면 방문 및 우편, 전자 우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하주현(2000)의 ‘창의적인성 검사지’, 정보소양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박춘선(2001)의 ‘초등교사의 정보소양능력’ 척도를 유아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수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영숙, 김희태(2008)의 ‘유아교사 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F-test에 따른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정보소양능력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의 수준을 살펴보았다.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 수준을 살펴보면 정보소양능력과 교수창의성의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인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독립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험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보소양능력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 능력(기초능력)’이 가장 높게 인식했고 ‘수업활용도’를 가장 낮게 인식했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수준 차이가 나타났다. 즉 ‘최종학력’이 높은 유아교사일수록 창의적인성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보소양능력의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시설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은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고급능력)’에서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정보소양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정보소양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시설유형’에 따라 정보소양능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가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정보소양능력 전체와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고급능력)’에서 수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최종학력’에서 유의미한 수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과 정보소양능력, 교수창의성 간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보소양능력과 교수창의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정보소양능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하위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육정보화 인식’과 ‘수업활용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기초능력) 및 ‘프로그램 및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고급능력)’에서는 매개효과를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창의적인성이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소양능력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창의적인 수업을 위해 유아교사의 정보소양능력 교육을 의무교육으로 하여 기술적인 부분 뿐 아니라 활용적인 방향으로 진행할 필요하다. 더불어, 연령이 낮은 유아교사의 교수학습과정 준비와 실행에 관심을 가지고 경청할 필요가 있으며 연령이 높은 유아교사의 정보소양능력을 함양을 위한 연수기회 강화를 위한 지원을 기대하는 바이다. 주제어: 유아교사, 창의적인성, 교수창의성, 정보소양능력, 매개효과

      • 안전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 창원시 사립 유치원 대상으로

        문숙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시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안전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현실성 있는 정책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안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안전교육 내용에 관한 실태는 어떠한가? 3. 안전교육은 어떠한 방법을 이루어지고 있는가? 4. 안전실천에 대한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고, 유아의 연령이 어릴 때부터 안전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건강생활 지도를 수립해서 유아들이 위험한 상황에 대처하는 안전 기능의 터득을 습득하도록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교육 내용에서는 유아의 발달단계와 자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우선 고려하여 놀잇감 등의 안전 사용법을 주로 교육하며, 교육자료 활용도와 교육과정의 수업 반영도가 높았다. 셋째, 안전교육 방법에서는, 시청각자료를 교수매체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안전교육활성화를 위해 교육내용 및 활동의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안전실천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고 특히 바깥놀이 지도 시 관리감독에 유의하고 있으나,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처치능력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 유아 안전교육은 유아에게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으나, 사고의 위험은 많은데 비해 그 해결 방안이 대단히 미약해서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이 아쉬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효율적인 안전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필요하다. 첫째, 교사들이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 활동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이 교육되어야 하며, 교육현실에 맞추어 지속적인 연수 등의 추가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안전교육은 실천 반복 교육이므로 자료의 개발과 보급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유아들이 흥미 있게 접하는 컴퓨터, CD를 통한 시청각 자료와 동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교재가 개발·보급되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안전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현재의 안전교육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안전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포함한 기본 교육 방침을 정하고 세부적인 교육지침서를 보급해서 안전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 될 수 있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안전교육의 교사연수는 이론위주의 교육에서 현장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될 것이 요청되며, 응급처치·심폐소생술 등의 전문적 소양이 갖추어지도록 탄력적인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ve and present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in private nursery schools of Chang-won city, and provide basis for a actual policy forming. The research subjects for this objective were as following. 1. How are the teachers cognizing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2.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3. How is safety education being executed? 4. How is safety practice being manag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had generally high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nd they regarded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held starting from young age children. Teachers also had formed a health living teaching plan and were instructing safety functions to manage dangerous situations. Secon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connected each child development stage to frequent safety accidents, and which mostly educated the safe using of toys. Education material utilization and reflection of curriculum to teaching turned out to be high. Third, as of the methodology of safety education, audio-visual materials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re was understanding that education contents and activities needed to be diversified to activate safety education. Forth, on examination of safety practice, the perception of safety management was high and supervising outdoor playing was especially taken care of, but it turned out that first aid treatments such as CPR needed to be supplemented. Regarding such results, recent child safety education inspires significance of safety to the child, and is designed for safe education. However in spite the high risk of accidents, the solutions for such incidents seem extremely fragile lacking an effective safety education. Therefore to settle efficient safe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the following measurements are required. First, although teachers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afety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should be educated specifically to each teaching situation along with additional study and training adapting recent education condition. Second, since safety education is repetitive and practical, efforts and concern should be focused on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education materials. Effective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via various materials in forms that children show interest in; audio-visual materials, stories, animations on computers or CDs. Third, for systematic and premeditated safety education, a basic education plan that includes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amended into the previous safety education, and an education guidebook with details should be supplied for systematic safety education. Forth, study and training of teachers on child safety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a field applicable program, and become flexible enough to provide professional attainments such as emergency treatment and CPR.

      • 유아체육교사와 학부모의 유아체육 인식 연구

        정관영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체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의 유아체육에 대한 운영 실태, 인식, 교육과정, 발전 방향에 관하여 교사 97명과 학부모 101명의 인식 차이를 <부록 1, 2>와 같이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자료화하여 측정 검사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체육전공자가 대부분이며, 관련 자격증도 유아체육지도자 자격증이 가장 많았다. 유아체육시간의 주당 평균 수업 횟수와 수업시간은 1.22회와 37.06분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체육을 위한 시설은 대부분이 보유하고 있었다. 유아체육프로그램도 각종 전문지 프로그램이나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구를 위한 놀이와 동작교육, 공놀이, 체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체육에 관련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체육의 이해와 필요성은 전체적으로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교사가 학부모보다 많이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체육의 필요성의 이유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의 우선 시 되어야 할 교육내용은 교사는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 학부모는 신체활동에 참여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가 가장 많았고,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적 교육과 기본동작을 소홀히 하고 있는 유아체육은 유아교사와 분담하고 협의하여 서로의 전문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유아체육의 활성화 방안은 전체적으로 유아체육에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 보재 및 시설의 확충, 학부모나 원장님의 인식변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 유아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현장교사 뿐만 아니라 교육학자, 체육학자, 일반인에게 재인식시키는 것이 요구되어지며, 체육시설이 부족한 기관은 충분한 유아체육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교육부는 유아교육의 예산편성 확보를 마련하여 확충 운영실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며, 발달적 체육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유아체육이 평생체육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 되어진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about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running situation, understanding, curriculum and vision performed by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97 teachers and 107 parents were surveyed on paper as shown in <appendix 1, 2> and the analyzed conclusion from the data is following. First, most of teachers instructing the young children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majored physical science and they have the licences related with young children education teaching. The average frequency of lesson and time fo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are 1.22 times and 37.06 minutes a week. And most of the institutes has facilities for the education. The young children education are perfored with their own program or programs from several magazines related. The programs consist of play with gears or ball games and physical exercise and most of teachers have taken the related training course. Second, teachers have more understandings than parents though both of them basicall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he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understanding. The reason fo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is said the harmony of intelligence, virtue and good health. Third, the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prime teaching contents needed first. Understanding body and moving by teachers,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ies by parents. Teachers and parents should share the tasks and have conference with young children teachers who need creativ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basic movement to organize teaching contents for maximizing the special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Forth, the programs to activate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and text should be developed and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the cognition shift of principal. also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o the pedagogists, physical educators and common people besides teachers in the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institute. Institute which needs more facilities should manage with secured budget from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bette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Various program based on developmental physic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link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o lifelong physical education. New institutes to train the physical education leaders should be established.

      • 예비 유아교사들의 직장 어린이집 취업 이야기

        박소영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교육, 보육 관련 학과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자신의 전공에 따라 유아교사로서의 취업을 선택하고 있다. 그 중 직장 어린이집은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보이는 취업 기관의 하나이다. 직장 어린이집의 교사는 타 설립유형 어린이집에 비해 높은 보수를 지급 받으며, 질 높은 교사 교육을 제공받음으로써 전문성을 향상할 기회가 많은 편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예비 유아교사들의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직장 어린이집의 양적 확대로 인해 직장 어린이집의 교사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관련 정보나 자료 탐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취업 준비과정에서의 충분한 정보 탐색 제한 및 확신 부족은 교사의 이직, 보육⋅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 어린이집에 취업하고자 하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탐색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에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 취업이 이루어지는지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예비 유아교사들의 진로 선택과 취업 준비 행동을 돕고자 하는 이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 어린이집 취업을 준비하였던 예비 유아교사 6인을 참여자로 목적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1년 1월 초부터 21년 2월 말까지 총 2개월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6명의 연구 참여자 중 5명의 참여자들은 2번의 개별 면담, 1번의 집단 면담이 진행되었고, 1명의 참여자는 3번의 개별 면담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텍스트로 정리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분석적 메모를 작성하였고, 코드를 선정하여 선정한 코드별로 자료를 유목화 하였다. 자료의 유목화와 의미 추출을 통해 연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주제를 개념화하였다.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구성원 검토, 동료 연구자와 질적 연구 전문가의 확인과 조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주변 환경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직장 어린이집 취업으로 향하게 되었고, 참여자 스스로도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며 취업 방향을 확정짓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직장 어린이집 관련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등의 다양한 출처를 참조하였고 실질적 취업 준비의 과정에서도 다양한 지원처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더불어 실습은 직장 어린이집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추후 취업과 연결될 수 있어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다고 하였다. 특히, 직장 어린이집의 채용과정에서 가장 결정적인 부분은 면접이라고 보았고 면접 준비에 많은 개인적인 노력들을 쏟았다. 더불어 이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느낀 아쉬움과 어려움, 혼란도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에 막연한 분위기로 자연스럽게 쏠리게 되는 것이 아닌, 보다 의식적이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에서 마주치는 것들을 하나의 사건으로 만들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단기적인 취업 성공이 아닌 장기적인 자신의 삶을 고민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공적인 진로 선택과 취업 준비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원, 지원처의 유연한 활용을 통해 자신에게 적절한 것으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정확한 정보를 판단하고 거짓 정보들을 걸러내는 등의 주체적 정보 문해력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실습은 교사의 자질을 갖추고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사를 길러내기 위한 주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나, 실습의 본래 목적이나 의미가 퇴색되어 평가와 취업 연계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를 위해 원장, 지도교사는 성공적인 조력자 역할을 넘어 훌륭한 삶의 역할 모델이 될 필요가 있다. 넷째, 면접이 국한된 형태와 한정적인 상황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단편적인 측면만을 평가할 가능성이 컸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모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면접 질문, 방식을 도입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직장 어린이집의 진로 지도, 취업 준비과정을 돕기 위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진로 및 취업 지도의 방향을 고민함으로써 신중한 진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Studen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lated departments mostly pursue employment in the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 diverse institutions,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re one of the most attractive institutions where many students show their interest. Teachers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re usually paid more than other types of daycare center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expertise by receiving high-quality teacher education from the institutions. Due to these advantag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howing an increased level of interes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 teachers. Based on such situation,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however, getting relevant and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recruitment process is not easy. The limits of exploring a sufficient level of data dur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and the lack of confidence are likely to lead teachers' career change, which might ultimately cause lower qualit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ory of seeking employmen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ose who intend on help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 to choosing a career path and carrying ou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showing what perspectiv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nd what process takes place dur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Six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individual interviews and one group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 from early January to late February in 2021. To analyze the data, all transcriptions from the interviews were repeatedly read and coded. By classifying the codes and extracting the meanings, the final themes were emerged. The study utilized a member check as well as the verification and advice from fellow resear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naturally tend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were revealed to have settled on a direction of employment by seeking information abou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hey also referred to variety of sources both on- and offline and received help from a variety of support institutions during the actual proce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lthough their practicum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was valuable for having actual experiences 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also felt burden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linking to their future employment chance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viewed the interview as the most critical part in the recruitment process for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nd devoted much of their personal effort into the interview preparation. Furthermore, there was considerable regret, difficulty, and confusion experienc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irst, it is important to help students create what they encounter in their lives consciously and independently as a single event and to explore this event, as opposed to spontaneously being driven by a vague atmosphere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sufficiently understand themselves and instruct them in a way that allows them to think over their life in the long-term rather than simply succeed in getting employed in short-term. Secon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the ability to convert resources into something adequate for themselves by flexibly utiliz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s and support institutions in order to successfully choose a career path and prepare for employment. Therefore, students require independent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which involves find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within a deluge of information, determining the accurate information, and filtering out false information. Third, although the practicum is a key proces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as teachers and the ability to successfully perform such a role, the original purpose and meaning of the practicum have been distorted into something that involves fear in terms of evaluation and employment linkage. Consequently, directors and mentor teachers need to serve as excellent life role models beyond the level of successful helpers. Fourth, as the interviews were limited in form and circumstance, it was only possible to make assessments about fragmentary aspects of the applica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that involve adopting a variety of interview questions and methods capable of allowing applicants to exert all of their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meaningful data that guides career paths and aids the process of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By being concerned with a more desirable direction of guidance for career paths and employment, it would hope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able to carefully choose a career path and reduce the problem of childcare teacher turn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