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불교의 사회복지 이념과 실천방향

        이시형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복지란 '살아감이 좋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건강, 물질적인 풍요, 행복 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복지(welfare)란 안정된 삶, 생활욕구의 충족된 상태' 또는 물질적으로 충족된 상태를 뜻한다. 이와 같이 복지란 다차원적인 것이기 때문에 한 인간의 복지를 생각하는 경우에 그것은 복합적인 구성요소를 갖는 것이 된다. 그 가운데 특히 중요한 것은 신체적 복지(건강), 물질적 복지(풍요함), 그리고 정신적 또는 심리적 복지(정신적 안정 또는 정신적 위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복지를 확보하기 위한 모든 정책·방법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신체적 복지에 관련된 것으로는 공중위생·의료 등의 보건위생으로부터 영양, 생활환경 등의 분야가 고려될 수 있으며, 또 물질적 풍요에 관련된 것으로는 소득유지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주택·생활환경시설의 정비·확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나아가 정신적 안정에 관련된 것으로는 정신위생·교육으로부터 각종의 상담·원조활동 그리고 종교적 안정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지의 세 가지 분야 중에서 정신적 복지에 관하여 종교의 역할과 방향에 대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독교, 불교, 원불교의 사회복지 이념과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기독교와 원불교를 비교 분석 하였다. 특히, 원불교가 사회복지 분야에 참여할 정신적 복지로써 일선 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마음공부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는 정신과 물질, 주관과 객관의 이원적 사고를 극복하고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인간과 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공생관계를 이루는데 그 당위성이 있다. 사회복지는 기본적으로 종교사회복지이면서 실천영역에 있어서는 일반사회복지의 범주에 속한 민간복지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원불교사회복지는 일반사회복지가 쉽게 할 수 없는 정신적 복지를 확립하는데 그 독자성을 두어야 하고 동시에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결합시켜 현대사회에 맞는 원불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가 검토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시설 및 각 교당과 교단내 수련시설과 훈련원등과 교립학교 내에서 원불교가 지향하는 일원상 진리를 통해서 광대 무량한 낙원세계건설을 실현해야 한다. 특히 앞서 밝힌바와 같이 일반 시설 및 타종단과 차별화된 종교적 영성과 마음공부 등의 프로그램을 확산시켜 치료 사회복지 예방사회복지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 원불교의 평화사상과 실천에 관한 연구

        정대규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n escalating state of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used by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as passed a crisis due to progress of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Six-Party Talks. Howeve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n pending status of the nuclear issue remains the changeable elements. Likewise, at a critical juncture, the key role of religion for peace in Korean society has been increased relatively. There can be no difference in that religion performs a common function of saving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unarguable symptoms that all religions of the world in connection with peace, war and disputes are always oriented to peace. Rather, sometimes religious leaders and representatives have been taken a course to opposed to peace. They have been accepted it to justify the war as for approving it from a religious background or using religion as a political means. This is unfortunate, but is real. It is an evidence that religion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virtual world. But the religious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grasped positively. Eve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system, both the gover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social groups make substantial efforts now more than ever to achie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Korea has been divided. And then activities of religious groups are remarkable among other things. To guide the way of the reform to North Korea, it needs to continuous support to North Korea. So, religious groups have continuously been support to North Korea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practical ways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beyond the religion, the difference of religion, they have evolved efforts for sustainable practices in reli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for peace of the world. What discourse is developed by the native religion in the Korean Peninsula about division and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sue and what is its realistic meaning just for the study of these things like this beyond religious levels, it is possible to be considered human and religion, social and religious solidarity, the role of religion for peace realization. Moreover, Wonbuddhism, because the religion has grown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religion reflected in its doctrine and including religious worry for ethnic issue. In this regard, peace thought of Wonbuddhism is enough to arouse general concerns. In this connect, rediscovery of a solution to the conflict and discussion of arbitration in Wonbuddhism as Korean pure religion, a study of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as peace-maker can be judged to have meaning in its own way. That is why this research is a review of peace thought revealed to『The Essential Scriptures of Wonbuddhism』in the scripture of Wonbuddhism. First, the contents of peace thought suggested Wonbuddhism leaders analyzed. But it is not to only limit analyzing the contents of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examined how well matched in the virtu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se peace thought are analyzed to see what effect has on aid for North and exchange activit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Wonbuddhism. If peace thought isn’t done in practice, because there is no choice but to fall its meaning and weight. Peace thought of Wonbuddhism based on the Grace thought of Sotaesan, the founder of Wonbuddhism, he said human beings has a relationship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being each other. As well, he said the way for the strong and the weak to remain strong forever. Personally, he said stability and peace of mind should be done first. Sotaesan was succeeded by Chongsan Kyu Song. Chongsan taught peace thought of Samdong Morality(The Morality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Identity). Principle and purpose of all religions is the same. So, he said that all religions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for world peace and the unity in each other. Chongsan was succeeded by Taesan. Taesan said that North Korea shall not go on the road to collapse and shall go with them to embrace. Taesan was succeeded by Chwasan. Chwasan suggested six kinds of unification principle and devoted practical efforts for unification. Religion have a huge potential to contribute to peace culture. Religion can also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culture of peace. Most of the religions pursue peace. At least, as for in doctrine, this is obvious. Therefore, if all religions of the world work together based on ‘peace’, a common goal of human society, peace of the world will be able to achieve. 북한 핵문제로 인해 빚어진 한반도의 긴장 고조 상태가 6자회담을 통한 북한과 미국 간의 협상 진전으로 한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아직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반도 평화는 가변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시기에, 한국 사회 안에서 평화의 실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종교가 인간을 구원한다는 공통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평화나 전쟁, 분쟁과 관련하여 세계의 모든 종교들이 항상 평화를 지향한다고 주장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종교 대표자들과 지도자들은 때때로 평화와 반대 되는 길을 취해 왔다. 그것을 종교적 배경에서 정당화시키거나 종교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하여 전쟁을 정당화시키는 것을 용인해왔다. 이는 불행한 일이지만 현실이며, 종교 역시 현실 세계와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렇지만 한반도의 종교 상황은 긍정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 세계적인 냉전 질서의 해체 이후 남북한 정부와 사회단체들이 한반도에 평화를 위해 분단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실질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 가운데 종교단체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북한이 개혁의 길로 나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북 지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교단체들은 한반도 분단 현실에 대한 극복의 실천적 방안으로 북한에 대한 지원과 교류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뿐만 아니라 종교를 초월하여 종교 간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해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위해 노력을 펼쳐 왔다. 한반도에서 자생된 종교가 한반도 문제인 분단과 평화에 대해 어떤 담론을 전개했는지, 또 그것이 갖는 현실적 의미가 무엇인지, 이러한 것들을 연구하는 것은 단순히 종교의 차원을 넘어 인간과 종교, 사회와 종교적 연대, 평화 구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 등에 대한 고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욱이 원불교는 한반도에서 성장한 종교이기 때문에 민족 문제에 대한 종교적 고민을 담고 이를 교리에 반영시키고 있는 유일한 종교이다. 이런 점에서 원불교의 평화사상은 일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민족의 순수 종교인 원불교가 지닌 갈등 해소와 중재의 담론을 재발견함으로써 평화실현자(peace-maker)로서의 원불교의 평화사상을 연구하는 작업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원불교의 경전인『원불교 전서(圓佛敎 全書)』에서 밝혀진 평화사상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먼저 원불교 지도자들이 제시한 평화사상에 대한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원불교의 평화사상을 분석하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원불교의 평화사상이 한반도의 현실과 얼마나 잘 부합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평화사상이 원불교가 실천해온 대북 지원과 교류 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평화사상은 실천되지 않으면 그 의미와 무게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원불교의 평화사상은 창시자인 소태산의 은(恩) 사상에 기초하여 인류는 서로가 없어서는 생존할 수 없는 관계임을 밝혔다. 또한 강자(강대국)와 약자(약소국)는 서로 영원한 강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말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마음의 안정과 평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소태산의 사상은 정산 송규에 의해 계승되었다. 정산 삼동윤리(三同倫理)의 평화사상을 발표하였다. 모든 종교의 원리와 목적은 같다. 그러므로 모든 종교는 서로 화합하고 세계의 평화에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산의 사상은 대산으로 이어졌다. 대산은 북한을 멸망으로 가도록 해서는 안 되며 그들을 끌어안고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종교 간의 대화가 인류 평화를 위해 매우 소중하다고 하였다. 대산의 사상은 좌산이 계승하였다. 좌산은 6가지 통일원칙을 제시하고 통일을 위한 실천적인 노력을 하였다. 종교는 평화의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갖고 있다. 또한 종교는 평화의 문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종교는 평화를 추구한다. 최소한 교리적으로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세계의 종교들이 이 ‘평화’라는 인류의 공동 목표를 토대로 서로 협력한다면 세계 평화는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원불교 대안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 중도탈락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김선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by deriving current challenges based on a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hree dropout alternative schools established by Won-Buddhist. The contents of research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is considered. In Chapter Ⅲ, the current status of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s analyzed through SWOT analysis, and based on this, the current tasks of alternative schools are to be drawn. In Chapter Ⅳ, we will present a plan to activate the current task through prior research, SWOT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field teachers at alternative schools. In Chapter Ⅴ, we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n response to the current tasks derived through SWOT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content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alternative schools and the SWOT analysis method. Based on this, an analysis of interviews with on-site teachers of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and unpublished data from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Council (2022) were used to seek ways to revitalize alternative schools. The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n response to the immediate task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Second, a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council to develop a curriculum tailored to the schoo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Third, customized education methods and self-directed teaching-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level of students should be diversif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nurture passionate and competent teachers who will discover and lead students' talents. Finally, alternative education models with local communities should be developed. keyword Won Buddhism, alternative school, dropout, activation, SWOT analysis 이 연구는 원불교가 설립한 3개의 중도탈락 대안학교의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현재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도출하여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대안학교의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SWOT분석을 통해 원불교 대안학교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안학교의 당면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SWOT분석 그리고 대안학교 현장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당면 과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SWOT분석을 통해 도출된 당면 과제에 대한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내용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안학교와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SWOT 분석방법을 통해 현황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불교 대안학교 현장 교사들과의 인터뷰 분석과 원불교 대안학교 협의회(2022)의 미발표 자료 등을 참고하여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당면 과제들에 대한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 대안학교의 정체성을 명료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불교 대안학교 협의회 산하에 교육과정 개발위원회를 설치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식 교육방법 및 자기주도적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이끌어 줄 열정적이고 유능한 교사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대안교육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주제어 원불교, 대안학교, 중도탈락, 활성화, SWOT분석

      • 원불교 이미지 구축을 위한 C.I(Community Identity) 연구

        김경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Won-Buddhism, which was established in Korea, is a religion which made faith and practice be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whole; a religion whose adherents believe in, awake, and practice the truth of Il-Won (One Circle) [the DharmakÆya Buddha: ∝]; and a religion which pursues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spond to a great opening of matter though faith in a truth-based religion and practice of sound morality training. Il-Won-Sang (One Circle Image), the DharmakÆya (law-body) Buddha, which Won-Buddhists have enshrined as the object of faith and the model of practice, is represented as a circle in form, while it mean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 of all the enlightened ones and sage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The Circle Image (Won-Sang) has a form, which does not incline towards either direction but maintain symmetry around the center, among geometrical patterns. As it has an impression of infinite space and perfection as it is, it makes us feel the true voidness. It also has the meaning of sacred ground, the land of eternal life and sacred space. As well, it, as a from of turning and turning, expresses the state of infinity, having no beginning and end. And it symbolizes the state of being perfect and self-satisfied which have no insufficiency; being void from all the things; but, on the other hand, being integrated as one energy. I try to have this Circle Image utilized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ruth and human beings, making it based on the general theories and religious interpretation and adding the factor of design, and as a symbol to transmit the meaning of faith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and practice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efficiently. This study set up the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the survey of recognition and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Won-Buddhist images, by describing the Circle, a form of the Il-Won-Sang, the DharmakÆya Buddha, as a factor of communication and substituting it into C.I.. And it developed by making the proper noun of Won-Buddhism a logo and constructing a basic design system, deciding fundamental applying articles. I hope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Won-Buddhism and the images, and secure talented people, and will let them have a sense of unity by inspiring the pride, a sense of belonging, etc. of it's believers. Also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development within Won-Buddhism. 한국에서 시작된 원불교는 신앙과 수행을 일체화 시킨 종교이며, 일원의 진리(법신불 :○)를 믿고 깨달아 실천하게 하는 종교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해 물질개벽에 상응한 정신개벽을 하자는 종교이다. 신앙의 대상이자 수행의 표본으로 모시는 법신불 일원상(法身佛一圓相)은 형상적으로는 원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의미로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며, 모든 깨달은 사람과 성인의 마음이며, 일체 중생의 근본 성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원상은 기하학적인 형태 중에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지 않는 중심대칭 형태로, 그 자체로 무한한 공간감과 완전함을 갖고 있어 진공(眞空)의 상태를 느끼게 하며 성지, 영생의 땅, 성스러운 공간의 뜻도 갖고 있다. 또한 돌고 도는 형상으로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의 상태를 표현하고, 부족함 없이 원만 자족(圓滿自足)하며, 일체가 텅 비고(空), 한편으로는 한 기운으로 뭉쳐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논자는 이 원상을 일반론과 종교적 해석에 바탕하고 디자인 요소를 적용시켜 진리와 인간 사이에 소통의 매개체로, 또한 원불교 개교의 동기에 바탕한 신앙(인과보응 因果報應)과 수행(진공묘유 眞空妙有)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상징으로 활용되게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원불교 이미지 구축을 위하여 법신불 일원상의 형상인 원을 소통의 요소로 표현하고 C.I(community identity)에 대입해 인식조사 및 자료조사에 바탕한 디자인 방향을 정하였으며 원불교의 고유명사를 로고타입으로 하여 베이직 시스템(basic design system)을 구축하고 기본 응용 항목을 규정하여 전개하였다. 이 연구가 원불교의 지명도 및 이미지 향상과 인재 확보에 도움이 되고, 교도의 자부심, 귀속감 등을 고취해 일체성을 갖게 하며, 원불교 내 디자인 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원불교 생명사상에 나타난 유아교육관

        양정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ed on the life philosophy of Won Buddhism. These days, our education is man-centered, based on the Materialistic view of World. The material comfort and convenience that man centered and machine-orientated view of the World produced is causing havoc to the ecology and life on the Earth. The Life Philosophy will help provide a new paradigm for today's childhood education.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may be found from the view point of Won Buddhism on the World that insists on the Thought of Four Indebtednesses that sees the essence of the World from the indebted point of view. The Won Buddhism,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religion implies a broad range of Life-awing Thoughts and Educational Philosophy. Won Buddhism's view on the world is the center of monism, which is the thought of indebtedness that see the World in the relationships of indebted.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Won Buddhism can suggest a new paradigm for the next generation of childhood educational outlook.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hilosophy of Won Buddhism reflects the Life Philosoph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Life Philosophy aims at developing the harmonious personality well balanced.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Won Buddhism is organized in line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the heaviest emphasis on Parental care, Home training, and Moral Education. And the three steps that constitute the Childhood education of Won Buddhism are Prenatal care, Nursery care, and Juvenil Education,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theses particular method, Mind training, Behavioral training, Didactic training, and Disciplinary training. And the parental education of Life Philosophy asks parents to take care of and to nurture their children at the same time, and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mutual prosperity and blessing by teaching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 圓佛敎의 老人福祉 理念에 關한 硏究

        김인종 韓瑞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article study theoretical base for the Won-Buddhism elderly welfare work under the premise 'The religion's role in social welfare'. In Korea society, the Won-Buddhism which starts as Korean popular religion in modern times, has played an important part about 'The religion's role in social welfare' together with some existing religious. Welfare service connected with the Won-Buddhism are 6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ffiliated 15 organizations and about 50 institutions to take an active part in various sections. In this situatio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service has developed as variety and professional welfare work by the nation welfare policy. This article is centering around elderly welfare facilities data and related literature of Won-Buddhism. and on the whole frame construct like this ;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al welfare, changing process of Won-Buddhism elderly welfare, its present condition, elderly welfare idea as well as practical idea and the question in elderly welfare. The discussion of the study inquired into elderly welfare in Won-Buddhism not only existenc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being the old age's meaning but also axiological access, because a religion guide welfare of spirit and elderly welfare secure life of old ages. First, I insist existence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mutual help) and practical idea-helpless protection. These are religions humanism movement with immanent human dignity. Second, I insist life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harmony) and practical idea-helping and being indebted to one another. It is symbiotic social movement that the youth and old helping each other. Third, I explain equality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great one) and practical idea-selfless service for the public. It has a feature for old age's life movement which is over the conflict structure prejudice or discriminatio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has not simply object on individual prosperity, either it has immanent pragmatism thinking, raising life quality together with both living and neighborhood. By my analysis result, i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I grasp a immanent basic principle of social welfare - human dignity·assistance for self support·social unity , also find a practical idea as synthetic human service and community moral sense. This article has a view of a question for Won-Buddhism elderly welfare to take charge from an aging society·information society·citizen society. First, elderly welfare needs practice campaign with filial piety, which is based on religious humanism in an aging society. Second, welfare also needs linked (welfare, religion, region) community consciousness recovery from the network assistance in an information society. Third, elderly welfare emphasizes activation of old people's interests campaign in a community, which will be able to develop social morality and sense of common bonds to the youth and old cultures in a citizen society.

      • 圓佛敎 社會敎育의 內容과 方法에 관한 硏究

        이광재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생활에 있어서 민주시민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덕적 생활태도와 지식 등 정신적 가치관의 중요성을 배양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회교육이 사회교육적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의 사상적 원천과 사회교육적 이념은 무엇인가? 둘째, 원불교의 사회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원불교의 사회교육이 개선하여야 할 점은 무엇인가? 위의 문제들을 究明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로는 원불교의 사상적 배경, 원불교의 일원주의 사상 그리고 사회교육적 측면에서 사회교육 이념형성의 배경과 원불교 사회교육의 이념을 원불교 사상 연구원의 자료와 참고문헌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조사연구에 있어서는 현재 원불교 부설로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회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사회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육강사 및 시설에 관한 사항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 교리에 내포된 원불교 사회교육의 이념은 도덕문명의 부활과 함께 개인의 발전과 전인격의 원만한 발달에 도움을 주도록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원불교 사회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원불교 사회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 원불교 사회교육의 이념이 실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원불교 부설로 사회교육을 실시하는 교구와 교당의 확대와 교육 대상자의 욕구측면을 고려 교양과목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신설이 필요하다. 또한 원불교 사회교육에 대한 홍보 활동의 강화로 참여의식 고취방안을 모색하여 이들을 흡수할 수 있는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원불교 사회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사회교육 대상자들의 의사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교육 대상자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다각적인 운영방안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원불교 사회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는 사회교육 전문요원으로서의 소양과 지식을 갖춘 사람으로 임용할 것이 요청되었다. 또한 전문요원을 양성하여 원불교 사회교육기관에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원불교 사회교육 대상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원불교 사회교육기관의 학습실 및 학습교구의 확충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서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을 정비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adult education in the Won-Buddhism. For these ends, this study posed three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 (1) What are the origin of thought and the idea of adult education in the Won-Buddhism? (2)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adult education in the Won-Buddhism? (3) How can we improve the adult education in the Won-Buddhism? 2.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ought and monistic thought, the idea of adult education in the Won-Buddhism. And through a survey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methods, the process of adult education in institutions of the Won-Buddhism. 3. Findings First, the opportunities of adult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so that everybody, who needs the program in the adult education of the Won-Buddhism institution, can always enjoy lifelong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the rapidly changing of the society, the Won-Buddhism institution should offer students the course of general arts and various programs, and the Won-Buddhism should establish an incentive system which can stimulate prospecting students' interests. Third, the Won-Buddhism should establish the institution for adult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new skills and technology. Fourth, the contents and methods linked with real life in the Won-Buddhism adult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and interested in cultivating students' humanity and providing newly developed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new technology and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