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불교 성가의 분석 : 우리음악 특징을 중심으로

        서은진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rough the "A Sacred Song" of Won-Buddhism, it analyzes the scope of the korean musical technique which appears in tonality, rhythm, texture, lied form, lyricist of a sacred song, composer and a sacred song. The research result of this thesis is as below. The first, "A sacred Won - Buddhism Song" of the 162 tunes published by 1991 was composed of the western and korean music style. There was the 162 tunes, but the 138 tunes of these were Major and the 24 tunes were Minor. Also, F-Major are 38 tunes in the 162 tunes. G-Major are 32 tunes in the 162 tunes. F-Major and G-Major hold 43% out of the 162 tunes. Only 2 tunes of the 12 tunes keep a feature "Pyung - Jo and Kye - Myun - Jo" to the korean music mode. The second, a distribution chart of the rhythm shows that composed the second metera system with 125 tunes, the third metera system with 32 tunes, irregular time and vermischte taktart with 5 tunes. The 8 tunes of them play the"Hui Mo Ri(Dan Mo Ri)"rhythm that is four - fours time, the"Gud Gu ri"and"Chung Chung Mo Ri"rhythm play eight - twelves time, the"Se Ma Chi"rhythm plays four - threes and eight - nines time and the"Gud Gu ri"rhythm plays eight - sixes time. The third,"A Sacred Song"was consist of a monophony tune, 150 homophony tunes, 4 tunes of partial four parts chorus, 2 tunes of two parts chorus, 6 tunes of four parts chorus. The heterophony of the korean remarkable music is not composed by only one tunes. The fourth,"A Sacred Song"was composed of 5 tunes of one part form, 67 tunes of binary form, 43 tunes of ternary form, 20 tunes of expanded ternary form, 19 tunes of reduced ternary form, 11 tunes of small ternary form. The fifth, Kong Jun - Lee, the elder religious affairs of a Won-Buddhism man, write lyrics to 75 tunes. Most of the other tunes write lyrics of the Won - Buddhism priests except few tunes. Although that tunes used a scale and rhythm, it was composed by little imitation did not correctly make the use of the folk mode to the each region. The sixth, the korean Music feature which used at "The Sacred Won - Buddhism Song" used only pentatonic scale to 12 tunes. In other words, the rhythm was composed by the korean music -"Dan Mo Ri․Gud Gu ri․Chung Chung Mo Ri․Se Ma Chi". Although the Won - Buddhism Music made use of basic par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did not show the fea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is based on research result, What is the korean musical feature used to"A Sacred Song" As a result of the written thesis in the focus on sub-title, Although I wrote still a in sufficient thesis whose a feature of the korean music make use of lacking tunes. I wish to “A Sacred Song” that the religious music was created by korea informed the world of the korean musical feature in detail. Also, “The Won-Buddhism” of which the musical formation was short history was important to developing elements. From now on, we have to focus on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a contemporary sacred song which praise religious elements. 우리나라의 4대 종교 중 한 곳인 원불교의 ‘성가’를 대상으로 하여, 조성 ․ 박자 ․ Texture ․ Lied Form ․ 성가의 작사자 ․ 작곡자 ․ 성가에 나타는 한국음악어법의 범위로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1년까지 발행된 162곡의 원불교 성가는 크게 서양 음악 스타일의 곡과 우리음악 스타일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서양음악 어법으로 만들어진 성가를 분석해 보면, 장조 138곡 ․ 단조 24곡으로 구분이 되며, 162곡 중 F-Major 곡이 38곡, G-Major 곡이 32곡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한다. 이들 중 우리민요의 성격을 갖은것이 12곡이 있으며 12곡 중 2곡만이 우리 음악의 선법인 평조와 계면조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둘째, 박자의 분포도를 살펴 본 결과 2박자계의 곡이 125곡, 3박자계의 곡이 32곡, 변박과 혼합박자 곡이 5곡 작곡되었다. 그 중 8곡은 4/4박에 맞는 휘모리(단모리)장단에 맞춰 연주할 수 있었으며, 12/8박은 굿거리장단과 중중모리 장단, 3/4박과 9/8박은 세마치 장단, 6/8박은 굿거리장단에 맞춰 연주할 수 있었다. 셋째, Monophony곡 1곡 ․ Homophony곡 90% ․ 부분 4부합창곡 4곡 ․ 2부합창곡 1곡 ․ 4부합창곡 6곡이 작곡되었다. 우리음악의 특징인 Heterophony로 작곡된 곡은 한곡도 없었다. 넷째, 성가곡이 어떠한 형식으로 작곡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한 도막 형식 5곡 ․ 두 도막 형식 67곡 ․ 세 도막 형식 43곡 ․ 확대된 세 도막 형식 20곡 ․ 축소된 세 도막 형식 19곡 ․ 작은 세 도막 형식 11곡이 작곡되었다. 다섯째, 성가의 작사는 원불교 원로 교무인 이공전 씨가 75곡으로 다수 작사하였고 나머지 곡도 대부분 원불교 성직자인 교무들이 작사하였으며 그 외 일부만 교도들이 작사 하였다. 작곡은 김동진 38곡 ․ 김세형 16곡 ․ 이흥렬 14곡 ․ 진순용 10곡 ․ 김인수 5곡 ․ 구연소 1곡 ․ 김대현 9곡 ․ 김성태 6곡 ․ 박도유 2곡 ․ 김희조 10곡 ․ 송관은 19곡 ․ 나운영 11곡 ․ 정회갑 12곡 ․ 김달성 3곡 ․ 김규환 6곡으로 불교 음악을 전공한 박도유 외에는 모두 서양음악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었다. 여섯째, 성가에서 사용된 한국음악의 특징들을 살펴 본 결과 162곡 중 12곡 만이 5음음계의 사용과 서양음악의 박자를 우리 음악의 (단모리 ․ 굿거리 ․ 중중모리 ․ 세마치)장단에 맞춰 작곡되었다. 그러나 그 곡들은 음계와 장단만 사용했을 뿐 각 지방의 민요적인 선법들을 정확히 살리지 못하고 약간의 모방을 하여 작곡되었다. 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가에서 사용된 한국음악의 특징이란 소제목을 중심으로 논문을 쓴 결과 아직은 우리음악의 특징을 자세히 살린 곡이 많이 부족한 관계로 미흡한 논문을 쓰게 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종교인만큼 성가를 작곡하는 작곡가들이 우리음악적인 특징들을 더 깊고 자세하게 살려서 성가를 통해 우리음악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또한 아직 음악 형성의 역사가 깊지 못한 원불교에서 신도들의 신앙과 수행을 더욱 깊이 있게 정진하고 의식을 발전시키는 요소로써 음악을 중요시 했다면, 앞으로는 일상생활 속에서 그들의 신앙적 요소를 찬송 ․ 찬양하며 즐겨 부를 수 있는 생활 성가를 중심으로 작곡과 보급에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圓佛敎 禪의 原理와 修行法 硏究 : 少太山 大宗師의 全人的 生活禪을 중심으로

        김은종 圓光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원불교선의 원리와 수행법이 무엇인가를 규명한 것이며, 특히 선의 생활화와 대중화의 차원에서 전인적 생활선의 방향에서 추구하였다. 그러한 이해 방향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태산 대종사의 생애와 시대인식, 원불교선의 개념과 원리, 수행방법 등에 대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원불교선이 지향하는 방향과 그 의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대개 禪은 불교에서 제시한 사상과 수행방법으로서 역사적으로 인도의 위빠싸나와 같은 명상, 중국에서 형성된 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등 다양하게 형성, 전개되었다. 그러한 선불교에 비해 원불교 선은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원리와 수행방법론이 있는 것인가? 한 마디로 원불교 선이란 소태산 대종사(박중빈, 1891~1943)에 의해 제시된 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소태산이 대각의 안목에서 불교를 중심으로 儒敎 ․ 道敎 등 전통적인 사상을 폭넓게 수용하면서 그것에 내재된 문제인식을 통해 새롭게 구성한 독자적인 선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에 대해서는 率性을 강조하는 取捨가 중심이며, 불교는 見性을 강조하는 깨달음, 도교는 養性을 강조하는 수양을 각각 그 중심으로 보고, 원불교 선은 이러한 전통적인 수행을 수용하면서도 새롭게 일원화하여 삼학을 병진하는 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교나 불교의 출세간적 수행태도를 지양하고, 유교의 현실참여적인 실천이념을 수용하여 세간생활 가운데서도 수행할 수 있는 생활선을 중시한다. 그러한 입장에서 원불교 선의 원리가 집약되어 제시된 것이 無時禪이란 개념이다. 무시선이란 일의 有無나 시간, 장소 등을 가리지 않는 動靜間不離禪이며, 정신수양 ․ 사리연구 ․ 작업취사의 三學을 병진하며, 이타적 大乘行을 지향하는 선을 의미한다. 이는 소태산의 독특한 진리관인 일원상의 진리를 원불교 선의 원리로 삼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일원상의 진리란 ‘법신불이며,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제불제성의 心印이며, 일체중생의 본성’으로서 그 본질은 ‘은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불교 선은 일체중생의 본성이 일원의 진리와 같이 맑고 밝고 바르며(空圓正), 圓滿具足하고 至公無私하다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성품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원불교선이 필요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온전한 성품을 그대로 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깨달은 사람은 성품 그대로를 발현하여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하게 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욕심과 어리석음에 끌리거나 가려서 성품 그대로를 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품이 고요할 때에는 본성을 함양하고 양성하는 공부를 주로 하며, 성품이 움직일 때에는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 것을 주로 하는 선의 수행이 필요하다. 선을 통하여 動靜間에 일원과 같은 본래 성품을 회복하고 기질을 변화시켜서 六根을 동작하는 것이 일원의 진리의 본질인 은혜를 실현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원불교 선의 방법은 크게 두 때를 따라 수행한다. 일이 있을 때(動할 때)와 일이 없을 때(靜할 때)를 따라 움직일 때에는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양성하며, 고요할 때에는 잡념을 제거하고 일심을 양성한다. 이러한 구분은 편의적인 것이지만, 사실은 動 속에도 靜이 있고, 靜 속에도 動이 있어서 양자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일이 없이 고요할 때에는 좌선이 핵심이 되며, 좌선을 돕는 염불, 좌선, 기도 등의 정신수양과 경전, 의두, 성리, 의견교환 등의 사리연구를 통해 삼대력을 길러나간다. 일이 있어서 움직일 때에는 사전에 연마하고(事前硏磨), 일을 당해서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기를 주의하며(臨事專一), 일을 마친 후에는 대조하는 취사공부(事後對照)를 핵심으로 해서 정신수양과 사리연구의 합력을 통해 삼대력을 양성해 나간다. 원불교 무시선의 특징은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여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실행하는데서 드러난다. 왜냐하면 여기서 말하는 정의는 단순히 정당한 일만이 아니라, 自利利他, 報恩, 佛供 등 사람으로서 행할 바 마땅한 도리를 행함으로써 은혜가 나타나도록 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즉 원불교 선이란 일원의 진리와 같은 본성을 회복해서 일원상 진리의 본질인 은혜를 실현하는 원리가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원불교 선은 ‘훈련’이나 ‘공부(마음공부)’라는 의미를 추가함으로써 그 함의를 보다 충실히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소태산은 선이라는 용어보다는 ‘훈련’이나 ‘공부’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고, 훈련이나 공부의 내용이 원불교 선 수행의 내용과 일치하면서도 더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불교 선은 수행의 공효가 고통으로부터의 탈피, 지혜와 복의 수용, 깨달음과 자유 등의 개인적 완성과 감사와 보은, 자리이타와 봉공, 불공 등의 사회적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원불교 선의 수행이 출세간이나 개인적인 심성수양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四恩과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전인적인 인격의 완성을 통해 고통을 극복하고 혜복을 수용하며 성장하고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지향해 나간다. 나아가 사회적인 관계에서는 감사와 보은의 생활화, 자리이타와 봉공의 실천, 일상생활을 불공의 태도로 최선을 다해 살아나가도록 하는 실천적 지침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원불교 선이 ‘무시선’을 통한 삼대력의 확충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삼학병진의 결과가 개인적 자아완성과 행복뿐 아니라 감사와 보은, 자리이타와 봉공, 불공 등의 사회적 실천으로 나타나야 함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은 원불교 선의 특징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측면이다. 원불교 선의 의의는 전통적인 수행론의 수용과 비판적인 극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것은 원불교 선이 전통적인 선불교나 유교 ․ 도교 등의 수행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것에 내재된 문제점을 극복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전통 수행의 계승 측면에서는 선불교의 간화선과 묵조선, 유교 공부의 실천이념, 도교 내단법 등을 수용하고 있다. 비판적 극복의 측면에서는 전통 수행이 갖는 超世間적 면이나 靜공부에 치중하는 면을 극복하여 動靜을 일관하고, 삼학을 병진하며, 공부와 생활을 중시하며, 영육을 쌍전하는 무시선으로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원불교의 사회복지 이념과 실천방향

        이시형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복지란 '살아감이 좋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건강, 물질적인 풍요, 행복 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복지(welfare)란 안정된 삶, 생활욕구의 충족된 상태' 또는 물질적으로 충족된 상태를 뜻한다. 이와 같이 복지란 다차원적인 것이기 때문에 한 인간의 복지를 생각하는 경우에 그것은 복합적인 구성요소를 갖는 것이 된다. 그 가운데 특히 중요한 것은 신체적 복지(건강), 물질적 복지(풍요함), 그리고 정신적 또는 심리적 복지(정신적 안정 또는 정신적 위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복지를 확보하기 위한 모든 정책·방법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신체적 복지에 관련된 것으로는 공중위생·의료 등의 보건위생으로부터 영양, 생활환경 등의 분야가 고려될 수 있으며, 또 물질적 풍요에 관련된 것으로는 소득유지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주택·생활환경시설의 정비·확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나아가 정신적 안정에 관련된 것으로는 정신위생·교육으로부터 각종의 상담·원조활동 그리고 종교적 안정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지의 세 가지 분야 중에서 정신적 복지에 관하여 종교의 역할과 방향에 대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독교, 불교, 원불교의 사회복지 이념과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기독교와 원불교를 비교 분석 하였다. 특히, 원불교가 사회복지 분야에 참여할 정신적 복지로써 일선 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마음공부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는 정신과 물질, 주관과 객관의 이원적 사고를 극복하고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인간과 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공생관계를 이루는데 그 당위성이 있다. 사회복지는 기본적으로 종교사회복지이면서 실천영역에 있어서는 일반사회복지의 범주에 속한 민간복지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원불교사회복지는 일반사회복지가 쉽게 할 수 없는 정신적 복지를 확립하는데 그 독자성을 두어야 하고 동시에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결합시켜 현대사회에 맞는 원불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가 검토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시설 및 각 교당과 교단내 수련시설과 훈련원등과 교립학교 내에서 원불교가 지향하는 일원상 진리를 통해서 광대 무량한 낙원세계건설을 실현해야 한다. 특히 앞서 밝힌바와 같이 일반 시설 및 타종단과 차별화된 종교적 영성과 마음공부 등의 프로그램을 확산시켜 치료 사회복지 예방사회복지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 원불교의 평화사상과 실천에 관한 연구

        정대규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n escalating state of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used by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as passed a crisis due to progress of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Six-Party Talks. Howeve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n pending status of the nuclear issue remains the changeable elements. Likewise, at a critical juncture, the key role of religion for peace in Korean society has been increased relatively. There can be no difference in that religion performs a common function of saving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unarguable symptoms that all religions of the world in connection with peace, war and disputes are always oriented to peace. Rather, sometimes religious leaders and representatives have been taken a course to opposed to peace. They have been accepted it to justify the war as for approving it from a religious background or using religion as a political means. This is unfortunate, but is real. It is an evidence that religion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virtual world. But the religious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grasped positively. Eve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system, both the gover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social groups make substantial efforts now more than ever to achie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Korea has been divided. And then activities of religious groups are remarkable among other things. To guide the way of the reform to North Korea, it needs to continuous support to North Korea. So, religious groups have continuously been support to North Korea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practical ways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beyond the religion, the difference of religion, they have evolved efforts for sustainable practices in reli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for peace of the world. What discourse is developed by the native religion in the Korean Peninsula about division and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sue and what is its realistic meaning just for the study of these things like this beyond religious levels, it is possible to be considered human and religion, social and religious solidarity, the role of religion for peace realization. Moreover, Wonbuddhism, because the religion has grown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religion reflected in its doctrine and including religious worry for ethnic issue. In this regard, peace thought of Wonbuddhism is enough to arouse general concerns. In this connect, rediscovery of a solution to the conflict and discussion of arbitration in Wonbuddhism as Korean pure religion, a study of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as peace-maker can be judged to have meaning in its own way. That is why this research is a review of peace thought revealed to『The Essential Scriptures of Wonbuddhism』in the scripture of Wonbuddhism. First, the contents of peace thought suggested Wonbuddhism leaders analyzed. But it is not to only limit analyzing the contents of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Peace thought in Wonbuddhism examined how well matched in the virtu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se peace thought are analyzed to see what effect has on aid for North and exchange activit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Wonbuddhism. If peace thought isn’t done in practice, because there is no choice but to fall its meaning and weight. Peace thought of Wonbuddhism based on the Grace thought of Sotaesan, the founder of Wonbuddhism, he said human beings has a relationship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being each other. As well, he said the way for the strong and the weak to remain strong forever. Personally, he said stability and peace of mind should be done first. Sotaesan was succeeded by Chongsan Kyu Song. Chongsan taught peace thought of Samdong Morality(The Morality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Identity). Principle and purpose of all religions is the same. So, he said that all religions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for world peace and the unity in each other. Chongsan was succeeded by Taesan. Taesan said that North Korea shall not go on the road to collapse and shall go with them to embrace. Taesan was succeeded by Chwasan. Chwasan suggested six kinds of unification principle and devoted practical efforts for unification. Religion have a huge potential to contribute to peace culture. Religion can also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culture of peace. Most of the religions pursue peace. At least, as for in doctrine, this is obvious. Therefore, if all religions of the world work together based on ‘peace’, a common goal of human society, peace of the world will be able to achieve. 북한 핵문제로 인해 빚어진 한반도의 긴장 고조 상태가 6자회담을 통한 북한과 미국 간의 협상 진전으로 한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아직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반도 평화는 가변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시기에, 한국 사회 안에서 평화의 실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종교가 인간을 구원한다는 공통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평화나 전쟁, 분쟁과 관련하여 세계의 모든 종교들이 항상 평화를 지향한다고 주장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종교 대표자들과 지도자들은 때때로 평화와 반대 되는 길을 취해 왔다. 그것을 종교적 배경에서 정당화시키거나 종교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하여 전쟁을 정당화시키는 것을 용인해왔다. 이는 불행한 일이지만 현실이며, 종교 역시 현실 세계와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렇지만 한반도의 종교 상황은 긍정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 세계적인 냉전 질서의 해체 이후 남북한 정부와 사회단체들이 한반도에 평화를 위해 분단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실질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 가운데 종교단체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북한이 개혁의 길로 나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북 지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교단체들은 한반도 분단 현실에 대한 극복의 실천적 방안으로 북한에 대한 지원과 교류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뿐만 아니라 종교를 초월하여 종교 간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해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위해 노력을 펼쳐 왔다. 한반도에서 자생된 종교가 한반도 문제인 분단과 평화에 대해 어떤 담론을 전개했는지, 또 그것이 갖는 현실적 의미가 무엇인지, 이러한 것들을 연구하는 것은 단순히 종교의 차원을 넘어 인간과 종교, 사회와 종교적 연대, 평화 구현을 위한 종교의 역할 등에 대한 고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욱이 원불교는 한반도에서 성장한 종교이기 때문에 민족 문제에 대한 종교적 고민을 담고 이를 교리에 반영시키고 있는 유일한 종교이다. 이런 점에서 원불교의 평화사상은 일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민족의 순수 종교인 원불교가 지닌 갈등 해소와 중재의 담론을 재발견함으로써 평화실현자(peace-maker)로서의 원불교의 평화사상을 연구하는 작업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원불교의 경전인『원불교 전서(圓佛敎 全書)』에서 밝혀진 평화사상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먼저 원불교 지도자들이 제시한 평화사상에 대한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원불교의 평화사상을 분석하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원불교의 평화사상이 한반도의 현실과 얼마나 잘 부합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평화사상이 원불교가 실천해온 대북 지원과 교류 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평화사상은 실천되지 않으면 그 의미와 무게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원불교의 평화사상은 창시자인 소태산의 은(恩) 사상에 기초하여 인류는 서로가 없어서는 생존할 수 없는 관계임을 밝혔다. 또한 강자(강대국)와 약자(약소국)는 서로 영원한 강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말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마음의 안정과 평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소태산의 사상은 정산 송규에 의해 계승되었다. 정산 삼동윤리(三同倫理)의 평화사상을 발표하였다. 모든 종교의 원리와 목적은 같다. 그러므로 모든 종교는 서로 화합하고 세계의 평화에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산의 사상은 대산으로 이어졌다. 대산은 북한을 멸망으로 가도록 해서는 안 되며 그들을 끌어안고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종교 간의 대화가 인류 평화를 위해 매우 소중하다고 하였다. 대산의 사상은 좌산이 계승하였다. 좌산은 6가지 통일원칙을 제시하고 통일을 위한 실천적인 노력을 하였다. 종교는 평화의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갖고 있다. 또한 종교는 평화의 문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종교는 평화를 추구한다. 최소한 교리적으로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세계의 종교들이 이 ‘평화’라는 인류의 공동 목표를 토대로 서로 협력한다면 세계 평화는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원불교 대안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 중도탈락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김선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by deriving current challenges based on a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hree dropout alternative schools established by Won-Buddhist. The contents of research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is considered. In Chapter Ⅲ, the current status of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s analyzed through SWOT analysis, and based on this, the current tasks of alternative schools are to be drawn. In Chapter Ⅳ, we will present a plan to activate the current task through prior research, SWOT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field teachers at alternative schools. In Chapter Ⅴ, we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n response to the current tasks derived through SWOT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content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alternative schools and the SWOT analysis method. Based on this, an analysis of interviews with on-site teachers of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and unpublished data from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Council (2022) were used to seek ways to revitalize alternative schools. The plan to revitaliz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s in response to the immediate task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Second, a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Won-Buddhist alternative school council to develop a curriculum tailored to the schoo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Third, customized education methods and self-directed teaching-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level of students should be diversif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nurture passionate and competent teachers who will discover and lead students' talents. Finally, alternative education models with local communities should be developed. keyword Won Buddhism, alternative school, dropout, activation, SWOT analysis 이 연구는 원불교가 설립한 3개의 중도탈락 대안학교의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현재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도출하여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대안학교의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SWOT분석을 통해 원불교 대안학교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안학교의 당면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SWOT분석 그리고 대안학교 현장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당면 과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SWOT분석을 통해 도출된 당면 과제에 대한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내용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안학교와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SWOT 분석방법을 통해 현황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불교 대안학교 현장 교사들과의 인터뷰 분석과 원불교 대안학교 협의회(2022)의 미발표 자료 등을 참고하여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당면 과제들에 대한 원불교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 대안학교의 정체성을 명료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불교 대안학교 협의회 산하에 교육과정 개발위원회를 설치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식 교육방법 및 자기주도적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이끌어 줄 열정적이고 유능한 교사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대안교육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주제어 원불교, 대안학교, 중도탈락, 활성화, SWOT분석

      • 원불교 이미지 구축을 위한 C.I(Community Identity) 연구

        김경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Won-Buddhism, which was established in Korea, is a religion which made faith and practice be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whole; a religion whose adherents believe in, awake, and practice the truth of Il-Won (One Circle) [the DharmakÆya Buddha: ∝]; and a religion which pursues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spond to a great opening of matter though faith in a truth-based religion and practice of sound morality training. Il-Won-Sang (One Circle Image), the DharmakÆya (law-body) Buddha, which Won-Buddhists have enshrined as the object of faith and the model of practice, is represented as a circle in form, while it mean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 of all the enlightened ones and sage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The Circle Image (Won-Sang) has a form, which does not incline towards either direction but maintain symmetry around the center, among geometrical patterns. As it has an impression of infinite space and perfection as it is, it makes us feel the true voidness. It also has the meaning of sacred ground, the land of eternal life and sacred space. As well, it, as a from of turning and turning, expresses the state of infinity, having no beginning and end. And it symbolizes the state of being perfect and self-satisfied which have no insufficiency; being void from all the things; but, on the other hand, being integrated as one energy. I try to have this Circle Image utilized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ruth and human beings, making it based on the general theories and religious interpretation and adding the factor of design, and as a symbol to transmit the meaning of faith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and practice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efficiently. This study set up the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the survey of recognition and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Won-Buddhist images, by describing the Circle, a form of the Il-Won-Sang, the DharmakÆya Buddha, as a factor of communication and substituting it into C.I.. And it developed by making the proper noun of Won-Buddhism a logo and constructing a basic design system, deciding fundamental applying articles. I hope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Won-Buddhism and the images, and secure talented people, and will let them have a sense of unity by inspiring the pride, a sense of belonging, etc. of it's believers. Also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development within Won-Buddhism. 한국에서 시작된 원불교는 신앙과 수행을 일체화 시킨 종교이며, 일원의 진리(법신불 :○)를 믿고 깨달아 실천하게 하는 종교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해 물질개벽에 상응한 정신개벽을 하자는 종교이다. 신앙의 대상이자 수행의 표본으로 모시는 법신불 일원상(法身佛一圓相)은 형상적으로는 원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의미로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며, 모든 깨달은 사람과 성인의 마음이며, 일체 중생의 근본 성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원상은 기하학적인 형태 중에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지 않는 중심대칭 형태로, 그 자체로 무한한 공간감과 완전함을 갖고 있어 진공(眞空)의 상태를 느끼게 하며 성지, 영생의 땅, 성스러운 공간의 뜻도 갖고 있다. 또한 돌고 도는 형상으로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의 상태를 표현하고, 부족함 없이 원만 자족(圓滿自足)하며, 일체가 텅 비고(空), 한편으로는 한 기운으로 뭉쳐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논자는 이 원상을 일반론과 종교적 해석에 바탕하고 디자인 요소를 적용시켜 진리와 인간 사이에 소통의 매개체로, 또한 원불교 개교의 동기에 바탕한 신앙(인과보응 因果報應)과 수행(진공묘유 眞空妙有)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상징으로 활용되게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원불교 이미지 구축을 위하여 법신불 일원상의 형상인 원을 소통의 요소로 표현하고 C.I(community identity)에 대입해 인식조사 및 자료조사에 바탕한 디자인 방향을 정하였으며 원불교의 고유명사를 로고타입으로 하여 베이직 시스템(basic design system)을 구축하고 기본 응용 항목을 규정하여 전개하였다. 이 연구가 원불교의 지명도 및 이미지 향상과 인재 확보에 도움이 되고, 교도의 자부심, 귀속감 등을 고취해 일체성을 갖게 하며, 원불교 내 디자인 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圓佛敎社會福祉理念에 對한 硏究

        정현주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이란 원불교라는 교단이 주체가 되어 파란고해의 일체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기 위해 시행되는 일체의 사회복지활동과 실천적인 노력을 하게 하는 원불교 교리정신에 입각한 신념이나 가치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원불교사회복지이념에 대한 그동안 연구 성과는 크게 세 부류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첫째는 심대섭을 중심으로 한 무아봉공사상, 둘째는 원석조의 자선정신, 셋째는 원불교 교리를 토대로 한 서윤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파악한 일원주의와 보은상생사상, 사요평등과 자리이타 등이다. 필자는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을 크게 근본이념과 실천이념, 정책이념으로 나누어 정립을 했다. 근본이념으로 파악된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은 첫째는 파란고해의 일체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기 위한 개교정신, 둘째는 천하를 한집안 한식구로 보고 우주만물과 제불제성, 일체중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보는 일원주의사상, 셋째는 클라이언트의 인권을 존중하고 무정물까지도 부처로 보는 처처불상 사사불공사상, 넷째는 사상이나 이념, 종교나 인종, 생계와 사업까지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고 평등하게 보는 대동화합의 삼동윤리사상이다. 실천이념으로 파악된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은 첫째는 서로 간에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사은 상생사상, 둘째는 평등사회를 건설하는 사회불공과 사회완성의 원리로서 사요사상, 셋째는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를 하게 하여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을 중시하는 자아완성의 원리로서 삼학사상, 넷째는 사회문제의 적극적 예방차원의 대책인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 사상, 다섯째는 자리이타로 진화하도록 도와주고 보살피며 스승삼아 진화하는 강자∙약자 진화상의 사상, 여섯째는 이타적 대승행으로서 중생제도에 성심성의를 다 하자는 무아봉공사상 등이다. 정책이념으로 파악된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은 첫째는 소태산 대종사의 교화∙교육∙자선의 삼대사업 병진사상, 둘째는 정산종사의 구호와 제도사업 병행 쌍전사상, 셋째는 대산종사의 사대봉공회(四大奉公會) 사상, 넷째는 좌산 이광정 종사의 「맑고 밝게 훈훈하게」의 취임법문과 복지사업의 전국화 등이다. 이상과 같이 원불교사회복지이념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좀 더 깊이 있고 모두가 공감하는 원불교사회복지이념을 개발하고 제시되기를 바라면서 첫째는 원불교사회복지이념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교단의 연구기관이나 원불교사회복지 관련 교육기관, 또는 원불교사회복지단체에서 자주 세미나나 심포지엄을 마련하고 기회를 제공하며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 둘째는 가능한 빨리 원불교사회복지에 대한 개념 정의와 원칙 수립, 또는 지침들이 교단적인 공론과 합의를 통해서 정리되고 나와야 한다는 점, 셋째는 총론인 원불교사회복지이념뿐만 아니라 더욱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각론인 원불교사회복지정책이념이나 행정이념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는 점, 넷째는 복지의 대상에 따른 이념 개발연구와 정산종사나 대산종사, 좌산종사와 기타 사회복지계의 역대 인물들에 따른 복지이념들도 다양하게 연구되어 발표되어야 한다는 점, 다섯째는 특정 교리를 통해서 본 사회복지이념도 심도 있고 다양하게 고찰되어야 한다는 점,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 관련 연구회나 연구소 설립 운영을 통해서 심도 있고 다양한 연구들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마련해주고 연구자들을 관리하며, 원불교사회복지에 대한 데이터 구축과 자료정리, 정책과 이념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단의 정책적인 뒷받침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한다. The ideologies of Won-Buddhist social welfare means beliefs or evaluative systems based on the Won-Buddhist doctrines by which the Order of Won-Buddhism as the main body perform all the activities and practical efforts for social welfare in order to lead all sentient beings, who drowning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to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The results of study on these ideologies of Won-Buddhist social welfare hitherto are greatly manifested by three classes; first, the idea of 'selfless service to the public' advocated mainly by Daeseop Shim; second, the spirit by Seokjo Won; and thirdly, Il-Wonism (the idea of One Circle), the idea of 'requital of grace and corresponding lifegiving', equality of 'the Four Essentials', 'benefiting oneselves and benefiting others', etc., based on Won-Buddhist doctrines,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including Yun Seo.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ideologies as a fundamental one are; first, the founding motive in order to lead all sentient beings drowning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into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second, Il-Woninsm through which we see the whole world as a family in the same home and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all the buddhas and sages and all the sentient beings as one community; third, the idea of 'everywhere a Buddha image, every act a Buddha offering' to respect the right of clients and consider even insentient beings buddhas; fourth, the idea of 'Three Identical Morality' of great identity and harmony not to treat discriminatingly but see fairly and equally ideas or ideology, religions or races, occupations or businesses. The Won-Buddhist ideologies as a practical one are; first, the idea of 'the Fourfold Graces and corresponding lifegiving', meaning being unable to live without them; second, buddha offering to a society for constructing equal society and the idea of 'the Four Essentials' as an ideology of completing a society; third, the idea of 'the Threefold Study' as a principle of self-perfection to make clients respect their right of self-decision by making them choose with sound thought; fourth, the idea of 'an ill society and its treatment' which may be a counterplan of positive prevention for social problems; fifth, the idea 'regarding how the strong and the weak may evolve' to help one evolve and take care of him/her by benefiting oneself and benefiting others and by regarding each other their mentor or teacher; sixth, the idea of 'selfless service to the public' meaning to devote ourselves with sincerity and dedication to delivering all sentient beings through an altruistic Mahayana practice, etc. The Won-Buddhist ideologies as a administrative one are; first, the idea of balancing and making progress the three great enterprises of religious edification, education and charity by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second, the idea of balancing and making progress relief and delivering by Master Jeongsan; third, the idea of the four great service community by Master Daesan; fourth, inauguration dhamra words of 'purely, brightly and warmly' and nationalization of welfare works by Master Kwongjeong Lee, etc. As above, studying on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ideologies, I hope the Won-Buddhist welfare ideologies which are deeper than before and everyone sympathize for will be developed and suggested and I also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our Order's research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relevant with Won-Buddhist social welfare, or the organizations of Won-Buddhist social welfare should set up frequently seminars or symposiums; supply opportunities; and make invest so that various discussions can be actively progressed on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ideologies. Second, as soon as possible, the definitions of the concepts and setting up the principles, or the guides on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should be arranged and made by public opinions and mutual agreement of the Order. Third, the studies not on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ideologies as a general remark but also on the ideologies Won-Buddhist social welfare policies or administration as more particular remarks should be made more actively. Fourth, developing ideologies according to the objects of welfare, and also welfare ideologies according to Master Jeonsan, Master Daesan, Master Jwasan and other past figures of social welfare field should be studied and presented diversely. Fifth, even social welfare ideologies with a perspective of particular doctrines should be reviewed deeply and variously. Last, the political support from the Order should be accompanied so that, through setting up and operating communities or institutions relevant with Won-Buddhist social welfare, the atmosphere for a depth and variety of research can be promoted; researchers administrated; data on the Won-Buddhist social welfare constructed and arranged; and the politics and ideologies developed.

      • 圓佛敎의 老人福祉 理念에 關한 硏究

        김인종 韓瑞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article study theoretical base for the Won-Buddhism elderly welfare work under the premise 'The religion's role in social welfare'. In Korea society, the Won-Buddhism which starts as Korean popular religion in modern times, has played an important part about 'The religion's role in social welfare' together with some existing religious. Welfare service connected with the Won-Buddhism are 6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ffiliated 15 organizations and about 50 institutions to take an active part in various sections. In this situatio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service has developed as variety and professional welfare work by the nation welfare policy. This article is centering around elderly welfare facilities data and related literature of Won-Buddhism. and on the whole frame construct like this ;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al welfare, changing process of Won-Buddhism elderly welfare, its present condition, elderly welfare idea as well as practical idea and the question in elderly welfare. The discussion of the study inquired into elderly welfare in Won-Buddhism not only existenc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being the old age's meaning but also axiological access, because a religion guide welfare of spirit and elderly welfare secure life of old ages. First, I insist existence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mutual help) and practical idea-helpless protection. These are religions humanism movement with immanent human dignity. Second, I insist life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harmony) and practical idea-helping and being indebted to one another. It is symbiotic social movement that the youth and old helping each other. Third, I explain equality relation principles(namely, idea of great one) and practical idea-selfless service for the public. It has a feature for old age's life movement which is over the conflict structure prejudice or discriminatio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has not simply object on individual prosperity, either it has immanent pragmatism thinking, raising life quality together with both living and neighborhood. By my analysis result, in Won-Buddhism elderly welfare, I grasp a immanent basic principle of social welfare - human dignity·assistance for self support·social unity , also find a practical idea as synthetic human service and community moral sense. This article has a view of a question for Won-Buddhism elderly welfare to take charge from an aging society·information society·citizen society. First, elderly welfare needs practice campaign with filial piety, which is based on religious humanism in an aging society. Second, welfare also needs linked (welfare, religion, region) community consciousness recovery from the network assistance in an information society. Third, elderly welfare emphasizes activation of old people's interests campaign in a community, which will be able to develop social morality and sense of common bonds to the youth and old cultures in a citize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