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남 표해록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김은종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는 『금남 표해록』의 작품분석을 토대로 하여 국어교육에 활용할 방안을 연구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연구 방법, 연구 동향에 대해 언급한다. Ⅱ장에서는 작가와 작품구성 및 금남 일행이 풍랑을 이기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본다. 작가의 일생을 살핀 후 작품의 줄거리를 알아본다. ‘최보’와 ‘최부’사이의 인명표기 혼란에서 오는 문제점과 필자의 견해도 제시한다. Ⅲ장은『금남 표해록』의 작품 분석을 통하여 교육요소를 찾는 장이다. 1장에서는 표해록의 장르적 성격을 연구한다. 『금남 표해록』은 일기체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어 일기문학의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한다. 둘째로는 기행문학으로서의 표해록을 분석한다. 기행의 핵심은 노정에 있다. 필자는 『금남 표해록』의 기행과정을 서두- 표류- 노정( 도저소행- 북경 행- 북경체류-귀환)-결사의 순서로 정리한다. 그리고 각 노정별 갈등의 양상을 분석한다. 셋째로는 표해록의 대부분이 중국 측 사정을 기록한 연행문학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연행문학으로서의 표해록을 분석한다. 명나라 연행과정을 통하여 명나라 초기의 사회상과 정치제도 종교 정책의 변화상을 살핀다. 금남이 명나라에서 만난 사람과의 휴머니즘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체험적 글쓰기를 한다. 2장은 『금남 표해록』을 지역문학의 입장에서 고찰한다. 작가의 출신지와 정체성의 측면에서 지역문학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특히 조선선비로서 명분을 지키기 위한 금남의 행동은 지역정체성을 담보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본다. 교육활동에서는 자아정체성을 발견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금남의 현실인식의 장이다. 금남은 명분과 현실적인 인식을 두루 보여 준다. 명분을 내세울 자리에서는 명분을 앞세운다. 백성을 생각하는 자리에서는 실리를 먼저 생각한다. 교육활동으로는 학교생활에서 명분과 실리의 선택상황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행동할 것인지를 토론한다. 명분과 실리를 주제로 자신의 견해를 쓰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4장은 표해록이 제작되는 과정을 정리한 후 교육 요소를 찾는다. 찬진과정의 논란은 예禮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예를 중심 가치에 놓고 충을 먼저 할 것이냐 효를 먼저 할 것인가를 따진다. 이런 갈등과 대립에서 토론과 타협으로 해결하는 경우는 성종시대이다. 이에 비해 갈등에 대해 독단과 독선으로 해결한 경우는 연산시대임을 알 수 있다. 개인이나 학교. 사회에서도 의견 차이를 두고 대립과 갈등이 노출되었을 때 어떤 자세로 해결할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수업모형과 활용 사례를 알아본다. 자기 성찰의 글쓰기,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글쓰기, 정서적 글쓰기, 자기 견해를 밝히는 글쓰기, 논리적 글쓰기 등의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업모형과 활동사례를 제시한다. 학생들에게 읽기를 통한 수용의 측면과 말하기, 글쓰기 중심의 창작의 측면을 골고루 익히게 하여 교육과정의 본질에 접근한다. 읽기와 글쓰기 활동을 평가와 연결하는 작업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 스테인리스鋼의 引拔에 關한 硏究

        김은종 밀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발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한 인발다이스각의 설계에 관한 다이스(dies) 제작 시 설계 선정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인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이스(dies)의 Reduction Angle, Back relief Angle, 베어링부 길이, 베어링부 직경에 대한 최적의 다이설계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발시뮬레이션(AFDEX)을 사용하여 얻은 최적의 다이(die)설계값과 다이스 제작후 드로잉 전·후 비커스 경도 및 응력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 다이각에 최적값 ◁ 표 삽입 ▷ (원문을 참조하세요) ○ 드로잉 전·후 비커스 경도 및 응력의 변화값 ◁ 표 삽입 ▷ (원문을 참조하세요) 2) 다이설계시 최적값을 얻기위한 연구는 생산현장의 경제성과 효율성, 정확한 자료에 의한 타 직경에 대한 응용등 소성가공에 있어서 제조기술의 발전여건조성등 간접효과 창출에도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Stainless steel is very famous for using of industrials structurer and joint elements. Stainless steel wire-drawing is one of the most ancient crafts. But there's not any standard size of tapered die during the drawing. This paper was studied die angle and dimension of whole die by using AFDEX drawing simulator. Stress, metal flow and strain rate was analyzed by AFDEX Tools during the wire drawing. So optimum data of during dies was taken from them. Simulation data was correspond with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of the optimum dies are shown that (1) Reduction Angle is 13.8。 (2) Back relief Angle is 20。 (3) Bearing Length is 0.7975mm (4) Bearing dia is 0.2393mm The research of the optimum result when the make dies is connected an enterprise. After researching, I hope that indirection effect creation make developement situation of the manufacturial technical, practical application of ther other die size by the detail data, utility factor and economical efficiency.

      • 견 피브로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In Vitro에서 캡슐의 3T3 세포 내 침투 연구

        김은종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lk fibroin은 Bombyx mori가 만들어 내는 불용성의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로 최근 silk fibroin 수용액은 의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겔, 다공성 스펀지, 필름 형태의 다양한 biomaterial로 사용되고 있다. Silk fibroin microsphere는 약물 전달용 메트릭스로 시도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orbitan monooleate (Span 80),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oleate (Tween 80), decane 과 fibroin solution을 W/O 에멀젼 방식을 이용하여 silk fibroin microsphere를 제조하여 약물전달 매트릭스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microsphere는 SEM으로 분석한 결과 둥근 형태를 가지며 그 크기는 약 200 nm에서 1200 nm 이고 homogenization rate에 영향을 받았다. 친수성 물질을 fibroin 수용액에 녹여 encapsulation을 시도하였다. Dextran과 FITC-dextran은 효과적으로 silk fibroin microsphere 안으로 encapsulation 되었으며 그 구조는 confocal microscope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In vitro에서 제조된 microsphere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제조된 microsphere는 3T3 세포 안으로 침투되었다. 또한 대장균으로부터 단백질 발현 plasmid DNA를 추출 정제하여 microsphere를 이용하여 3T3 세포 안에서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단백질 같은 열에 민감한 약물전달에 이점이 있을 것이다. Silk fibroin is an insoluble structural protein from Bombyx mori. It can be regenerated as a fibroin solution to form a variety of biomaterials, such as gels, sponges and films, for medical applications. Fibroin microsphere has been suggested as a platform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In this report, submicron scale microspheres was prepared by W/O emulsion method using sorbitan monooleate (Span 80),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oleate (Tween 80), decane and fibroin solution. The stability of the emulsion and the boundaries between opaque and transparent emulsion, largely depends on its water cont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at stability of micro-emulsion by a multiple light scattering method using Turbiscan™. The water contained 2% fibroin by weight in this experiment. The capsules were spherical in shape as determined by SEM with diameters in the range of 200 nm to 1200 nm, depending on the homogenization rate of W/O emulsion. Hydrophilic materials can be encapsulated by dissolving them in the fibroin solution and subsequent emulsification. Dextran and FITC-dextran were efficiently encapsulated in the fibroin microcapsule. Their core-shell structure was identified by confocal microscopy. Because of its very mild conditions of fabrication, this method is potentially advantageous for the encapsulation of heat-labile drugs such as proteins. The fibroin microspheres were readily taken by 3T3 cell lines and were localized mostly in their endolysosomal compartments. The fibroin microspheres did not affect cells viability.

      • 국내 문화예술단체의 기부금 현황 분석 및 확대 방안 연구

        김은종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otal amount of domestic donation in the year 2012 recorded approximately 11,840 billion Korean Won: the private donation consisting of the sum amount of the wage earners and the composite income earners was 7,730 billion Korean Won, and the corporate donation was 4,110 billion Korean Won, accounting for 65.3% and 34.7% respectively.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personal donation in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field accounted for 0.2%(2.2 billion Korean Won out of 11.15 trillion Korean won), and that of corporate donation including the physical field showed only 8.7%(92.8 billion Korean Won out of 1.07 trillion Korean Won). An activity of domestic cultural and artistic organisation is sluggish to raise a fund and it is formally relied on public supportive fund owing to its financial instability. Although the cultural and artistic organisation should be able to raise a fund by itself for the sake of steady operation and financial integrity, fundraising requires a professional fundraiser to be involved with exclusive responsibility. Nonetheless, only a few fundraisers are assumably working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sector in South Korea, and the accurate figure has not been clarified ye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ill state the problems and issues on raising a donation by not only conducting a research and a survey in demand and necessity of a fundraiser in present condition. Also I will propose suggestions to invigorate the fundraisers by means of introducing a certification system and establishing a training course for them, and so forth. To examine this field, a survey has been conducted, which was targeted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associations in nation so as to verify the impact of a fundraiser in terms of raising a donation. A slight inconvenience has left due to the poor responding rate since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wards the association instead of the individual. However, as no precedent existed a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actical analysis on how to create a donation and a fundraiser that I endeavored to make the fullest usage of the research results as categorising them into characteristics, sectors, percentages of donation, and existence of a fundraiser in a corporate body. Statistic analysis has been operated by SPSS 21 for window,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have been appli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figure of fundraiser influences the income of dona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organisation. In general, however, the significance level suggested by statisticians is at 0.05/0.01 at least in order to maintain the scientific value, this examination has been analysed in the level of 0.10,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ample is a few, the trait of question connection and answering form, and social statistics. There has been 107 associatio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y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relationship of fundraising and fundraisers.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are classified into 4 groups : 7 private incorporate foundations (6.5%), 15 public incorporate foundations (14%), 24 corporations(22.4%) and 61 of the rest(57.1%) which consisted of a specified corporate, a voluntary association and an individual. Among those groups, the percentage of the rest(voluntary association, individual, specified corporate, etc.) marked the highest. Based on the target of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group which set a department specialised in fundraising accounted for 22%, compared with that of group with no specialising department in fundraising indicated 13.38%, which showed that the former case was more effective to raise a fund and the relationship on between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existence of specialised department in fundraising is substantial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Furthermore, the size of the fund has increased when there was a fundraising department installed in an asso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ize of fund and the fundraisers, the correlation number indicated 0.182%, which represented the positive. The conclusion has been drawn that the size of donation is 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fundraiser in an organisation, and it has proved that the existence of fundraiser is beneficial to raising a fund. Furthermore, the variance analysis explained that the percentage of the association which replied 'there is a fundraiser' was the highest at 24.40%, that of group which answered 'there is a fundraiser but he/she combines fundraising with other task' was at 12.70%, which took the second largest. The proportion for the group who replied 'there is no fundraiser' indicated the lowest point at 3.18%. It demonstra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fundraising increased in compliance with the presence of the fully-engaged fundraiser. In order to invigorate the fundraising and promote expansion of the fundraisers i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sation, firstly, the certification system has to be introduced. Being given qualification in national level, the fundraisers would gain more credits in society and complete their exterior works properly. To achieve this, a certification system to train a domestic fundraiser should be instituted and an organisation in public confidence needs to be involved to operate the system. Secondly, the educational course for the fundraisers should be founded. In the present, only a few of public and private organisations institute the courses. However, the courses given by each organisation are not same nor unified. In addition, the realm of the course is widely covered by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 social and welfare field, not focused on the culture and the art. In order to establish the fundraising training course in cultural and artistic sector, a public organisation should be fully involved in the curriculum 2012년도 기준 국내 기부금 총액은 약 11조원 84백억 원이고, 개인의 기부금은 근로소득자와 종합소득자의 기부금을 합산한 7조 73백억 원으로 전체의 65.3%, 법인의 기부금은 4조 11백억 원으로 34.7%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 국내 전체 문화예술분야 기부금 중 개인 기부금은 0.2%(11.15조 원 중 22억 원)이고, 기업 기부금은 체육 분야를 포함해도 8.7%(1.07조 원 중 928억 원)에 불과하다. 국내 문화예술단체의 기부금 모금 활동이 저조하고, 재정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의례적으로 공공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다. 문화예술단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재무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 기부금 재원 확보를 하여야 하지만, 기부금 모금은 전문적으로 모금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모금전문가(Fundraiser)를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모금전문가는 많지 않은 상황이며 현황도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단체들의 기부금 모금 및 기부금 모금전문가 수요 및 필요성에 대한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기부금 조성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모금전문가를 활성화하기 위해 모금전문가 인증제도 도입, 기부금 모금 인력 양성 교육과정 정립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모금전문가가 기부금 모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전국의 문화예술단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가 개인이 아닌 단체를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되어 자료 회신율이 기대에 못 미치는 아쉬움 있었다. 하지만 선행 논문이 없고, 목적이 재원조성과 기부금 모금 전문가에 관한 실증분석이기 때문에 설문 표본이 부족하더라도 단체의 법인유형별, 분야별, 기부금 비중, 모금 전문가 보유 현황 등으로 구분하고,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 for window에서 실시되었으며, 모금전문가의 수가 문화예술단체의 기부금 수입 영향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T-검정 분석,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인으로 통계학자들이 최소한 과학적 연구가 되기 위해서 유의도 수준을 0.05, 0.01의 기준을 마련하였으나, 본 연구는 표본 수가 적고 질문에 연계성, 답변형태를 고려하고 사회통계를 감안하여, 모든 통계적 유의도 검증은 .10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설문에 대한 분석대상은 설문에 응답한 107개 단체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재원조성과 기부금 모금전문가에 관한 현황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법인 유형별로는 민간재단법인은 6.5%(7개), 공공재단법인은 14%(15개), 사단법인은 22.4%(24개), 기타57.1%(61개)로 나타났다. 기타로 표시된 단체는 특수법인, 임의단체, 개인 등으로 되어있다. 조사된 단체 중에 기타(임의단체, 개인, 특수법인 등) 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분석 대상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기부금 전담 부서를 보유한 단체’의 비중은 22%‘기부금 전담 부서를 보유하지 않은 단체’는 13.38%로 기부금을 모금하는 전담부서를 보유한 문화예술단체가 기부금 모금 비중이 더 크게 나왔고, 따라서 기부금 모금의 비중과 문화예술단체의 전담부서의 상관관계는 크다고 볼 수 있고, 기부금 모금 전담부서가 존재할 때 기부금의 비중도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부금의 비중과 기부금 모금 전문가 인력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가 0.182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모금 전문가 직원의 수가 많을수록 기부금의 비중이 커진다는 결론이 도출되었고, 문화예술단체에 모금 전문가 직원이 기부금 모금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기부금의 모금 비중과 기부금 모금 전담(담당) 직원에 대한 분산분석을 통하여‘전담직원이 있다’라고 응답한 단체의 평균 기부금 비중은 24.40으로 가장 높았고,‘담당직원 있으나 타 업무 병행’이라고 응답한 단체의 평균 기부금 비중은 12.70으로 두 번째로 높았으며,‘없다’라고 응답한 단체의 평균 기부금 비중은 3.18로 낮게 나타났다. 전담 직원이 있을 수 록 기부금 모금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예술단체의 기부금 모금 활성화와 모금전문가의 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첫 번째로 모금전문가 인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모금전문가 인력이 사회에서 인정받고 원활한 대외활동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여야 한다. 그래서 국내 모금전문가 자격인증 제도를 만들고 자격인증 및 관리를 위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활용하여 운영해야 한다. 두 번째로 모금전문가 교육과정을 정립해야한다. 현재 국내에는 소수의 공공·민간단체에서 모금전문가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이 일원화 되어있지 않고 문화예술분야가 아닌 포괄적인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교육이 대다수이며, 교육 과정 또한 단체 별로 상이하다. 문화예술분야 모금전문가 교육과정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공공단체에서 교육 과정을 전담하고, 교육과정을 문화예술단체 모금교육과 모금전문가 양

      • 도시개발 및 환경정책에 따른 토지이용계획의 변화분석 연구 : 한국토지공사의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은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우리나라의 택지개발사업은 1980년 택지개발촉진법이 제정 시행되기 이전에도 구획정리사업, 대지조성사업 및 일단의 주택지 조성사업 등 다양한 법률에 의하여 사업이 이루어졌다. 당시 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구성을 살펴보면 대체로 주거용지 70%, 상업용지 5%, 도로용지 20%, 공원녹지 3%, 기타용지 2% 등으로 택지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나 정부의 경제개발정책에 따라 인구와 산업의 도시집중으로 늘어나는 토지수요에 비해 기존의 사업방식으로는 택지공급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심각한 주택용지 부족난 해소와 저렴한 서민택지의 대량공급을 위하여 도시개발 관련 법령의 제정 및 개정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한편, 주거환경을 비롯한 생활환경을 규제하는 환경관련 법률들의 변화도 많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천된 도시개발 및 환경관련 법률은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본 연구에서는 관련 법률들의 변천내용과 특징을 분석한 후, 관련 법률들 중에서도 환경분야 법률 및 제도가 토지이용계획 수립, 특히 쾌적한 주거환경조성과 관련되는 공원 및 녹지계획의 수립에 영향을 미친 내용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 정책과 토지이용계획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면서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주택공사가 1979년부터 2007년까지 개발사업에 착수한 전국 231개 지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계획 사례를 분석하고, 본 연구의 객관적 검증을 위하여 사업시행 시 실시한 환경부의 사전협의 및 환경영향평가협의 내용을 병행 비교분석하였다. 도시개발과 환경 관련 정책의 변화분석에서 정책은 법률을 통하여 실현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관련 법률들을 검토하되 토지이용과 환경보전이라는 틀 속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개발관련 법률을 분석함에 있어서 시기별 법률의 특징과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1)초기입법시대(1962-1971), 2)산업발전시대(1972-1981), 3)국민주거복지구현시대(1982-1991), 4)국토균형발전시대(1992-2001), 5)국토뉴패러다임시대(2002년 이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에 따르면 도시개발 관련 법률은 합리적인 토지이용을 위한 용도지역지구제 등을 도입하고 개선하였으나 국토뉴패러다임시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주택의 대량공급을 위한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환경관련 법률도 시기별 특징 등을 고려하여 1)공해방지법시대(1963-1976), 2)환경보전법시대(1977-1989), 3)환경정책기본법시대(1990-1992) 4)환경영향평가법시대(1993-1999), 5)통합영향평가법시대(2000년 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공해방지법 시대를 제외하고, 환경보전법이후 환경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되면서 환경정책은 더욱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도시개발정책과 환경정책은 지속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도시개발관련 법률 등에 의해서는 토지이용계획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환경관련 법률 등에 의해서는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강화로 토지이용계획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환경보전정책 중심으로 상술한 도시개발정책 상 분류와 환경정책 상 분류를 통합하여 1)환경정책형성기(1977-1986), 2)환경정책발전기(1987-1992), 3)환경정책강화기(1993-1999) , 4)환경인식전환기(2000-2007)로 구분하여 공공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계획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환경정책이 토지이용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계기는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시 사전협의(사전환경성 검토)와 계획승인 이전의 환경영향평가협의로 나누어지는데, 사전협의는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여부에 영향을 끼치거나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환경영향평가협의는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공공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계획에 환경정책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도시개발 정책목표의 주요 대상이면서 주요한 도시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주거용지 및 상업업무용지와 환경보전과 관련이 있는 공원 및 녹지를 중심으로 시계열 분석을 하였다. 먼저, 주거용지의 시계열 분석 결과 시기별 주거용지의 평균을 살펴보면 환경정책형성기 58.3%에서 환경인식전환기 38.9%로 약 33%가 감소하였다. 주거용지가 감소하는 이유는 환경정책변화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과 임상 및 자연경관이 양호한 지역의 보전요구, 일정비율이상의 공원녹지율 확보 등을 요구하는 환경부의 협의내용을 개발계획 수립에 반영, 공원 및 녹지면적을 늘리고 기존의 하천 등을 보전 활용하기 위해서 주거용지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상업업무용지는 시대가 변함에 따라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평균을 보면 3.8%→4.1%→6.3%→6.1%로 환경정책형성기에 비해 환경인식전환기에 약60%가 늘어났다. 이는 환경정책 변화와 직접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삶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서비스산업 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고, 단위당 택지개발규모가 환경정책형성기보다 커지면서 단순히 베드타운의 역할만이 아니라 자족기능을 도입하면서 직주근접에 따른 업무용 공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공원용지율의 시기별 평균을 보면 5.2%→6.3%→7.8%→13.4%로 초기 3기에는 약20%정도씩의 증가를 보였으나 환경정책강화기에서 환경인식전환기 사이에는 약 70%로 급격히 늘어났다. 녹지의 비율도 0.8%→3.0%→5.2%→5.9%로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환경관리제도가 정착되면서 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을 위한 관계기관협의 시 환경부로부터 공원 확보와 도로 및 철도 주변에 소음방지를 위한 녹지대 설치요구가 많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환경정책변화와 토지이용계획간의 시기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ANOVA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통계적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권역별, 도시규모별, 사업지구 규모별 분석도 병행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공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계획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수요자들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할 수도 있지만, 공원녹지율은 택지개발사업의 사업성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강력한 영향력이 없으면 쉽게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환경보전법에서 환경영향평가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환경영향평가제도임이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영향평가협의 등을 거치면서 개발계획안이 환경측면을 고려, 개선된 계획으로 변모하고, 환경제도의 강화 및 학습효과의 누적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계획안의 질적 수준도 향상된다는 점도 알았다. 한편,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주거환경에 대한 주민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지 않아 계획지표로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주요어 : 도시개발정책, 환경정책,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 공원녹지 ABSTRACT Analysis of Land Use Planning in Public Housing Sites followed by the Changes of Urban Development & Environment Policies in Korea Kim, Eun Jong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uh, Hong-Koo, Ph.D. August, 2010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had been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acts regarding land readjustment project, housing site construction and etc. prior to legislating the Act on Housing Site Development Promotion in 1980. At that time, the land use plan of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were mostly composed of residential(70%), commercial(5%), roads (20%), parks & green zone(3%) and others(2%). Even the residential portion indicated much higher than others,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and industry according to an economy development policy extremely brought the lack of housing sites with its traditional development system. Accordingly, the government legislated and revised laws related with urban development constantly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and provide sufficient housing sites for the low income people. In other hand, the laws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been actively reformed. So,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 and the revision history for laws related with urban development and environment which could be strongly influenced to establish the land use plan. And, especially this research analyzed how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with environment has impacted to establish the land use plan includ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regarding parks and green zone plan. Final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ies and the land use plans through analysis closely. The land use plans of 231 projects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Korea Land-Housing Corporation from 1979 to 2007 were analysed for this research. And, also it has comparably analyzed the practical discussion materials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for promoting project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Considering that a policy must be realized by an act, basically this research respected two axises of land us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the analysis of alteration regarding urban development and environment policy.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laws related with urban development have been introduced and improved the zoning ordinance for efficient land utilization. However, they mostly focused on huge supply of the housing units except New Paradigm Phase for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after 2000). Also, the laws related with environment was separately analyzed considering characteristic in moment. Sinc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g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ing been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much regulated environmental policy excep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ct Age. As the result indicated, the land use plan has not been influenced directly by the laws related with the urban development, even though the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policy have been revised constantly. But, it contrastively has been influenced by the laws related with the environment due to the stro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gulation. The time for time-series analysis was divided as below combining the sort by the urban development policy and the environment policy; 1) the Formation Phase of Environmental Policy(1977-1986), 2) the Development Phase of Environmental Policy(1987-1992), 3) the Consolidation Phase of Environment Policy(1993-1999), 4) the Diversion Phase of Environmental Understanding(2000- 2007). The environment policy usually influenced on the land use plan through the pre-discussion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implemented for the decision of the housing site designated and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mplemented before the approval of plan. In case of pre-discussion, it influenced to designate and establish the land use plan indirectly. However,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influenced establishing the plan directly. It also tried time-series analysis to figure out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influenced to establish a land use plan. The analysis was executed with emphasizing parks and green zone which are very concerned about environmental preservation, also residential and commercial which are the objects of the urban development policy and carry out the main urban function. First of all, the average ratio of residential area in land use plan was decreased approximately 33% from 58.3% in the Formation Phase of Environmental Policy to 38.9% in the Diversion Phase of Environmental Understanding as the analysis result. Meanwhile, the ratio of the park increased every 20% till the early the 3rd phase and about 70% from the 3rd phase to the 4th phase as follows ; 5.2%→ 6.3%→7.8%→13.4%. The ratio of green zone is shown to be raised drastically as follows ; 0.8%→3.0%→5.2%→5.9%. It was due to increasing deman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securing the park site and preventing the noise originated from the near road and railways. Besides, it applied the measure of ANOVA to analyze the periodic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the land use plan and the environmental policy, so it ascertained there was a statistical meaning between them. It also tried to identify every characteristic through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s per the each region, size of the city and size of the project sites.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out that the most effective and almost unique factor with the ratio of the green zone and park sites was the system just lik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the land use plan itself have been changed better due to tightening up the system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needs by the accumulated effect of learning. Key words : Urban Development Policy, Environmental Policy, Land Use Pl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arks and Green Zone

      • 199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 연구 : 『조선문학』을 중심으로

        김은종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북한의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이자, 대표적인 월간종합문예지인 『조선문학』에 실린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 215편을 기본 자료로 하여, 1990년대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의 전개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첫째, 1990년대 북한의 정세 변화에 따른 문학적 전개양상을 짚어내며, 둘째, 북한의 현실을 비교적 사실적으로 다룬 장르적 특성에 입각해 북한의 1990년대 현실이 어떻게 문학에 반영되었는지 살피고, 셋째, 1990년대 북한의 구체적인 문학사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없는 현실에서 1990년대 북한 문학의 흐름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 논문의 Ⅱ장에서는 1990년대 북한의 문학적 특성이 시대적 상황과 매우 밀접하다고 전제하고 1990년대를 1990년대 초반기, 중반기, 하반기로 세분화하여 각 시기의 정치·사회적인 상황을 기술하였다. 또한 헌법 개정 사항도 그 해당 시기에 첨가하여 서술하였다. Ⅲ장은 Ⅱ장의 시기구분을 바탕으로 하여 1990년대 초반기, 중반기, 하반기의 『조선문학』에 실린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의 전개양상을 인물, 갈등, 주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1990년대 초반기에는 사회주의 붕괴와 통치권이양의 움직임이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에 계속 반영되는데, 특히 1980년대 현실주제 소설의 연장선상에서 생활의 다양한 모습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기술하였고, 1990년대 중반기는 김일성의 죽음과 ‘고난의 행군’으로 일컬어지는 경제난 속에서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였다. 1990년대 하반기는 ‘강성대국’이라는 기치에 따라 이전 시기와 확연히 구분되는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의 경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보았던 1990년대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의 의의를 짚어보았다. 『조선문학』에 실린 1990년대 ‘사회주의 현실주제’ 단편소설에 깔려있는 북한의 인간적인 갈등과 고민 등은 남북 상호간에 동질성을 부여하여 체제의 간격만큼이나 벌어진 남북 문학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이것은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이 통일문학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줌과 동시에 통일문학이 남북의 통일을 추동하는 힘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Joseon literature』 is an organ of Joseon writers league's central committee as well as a representative monthly comprehensive literary publication. This study chose 215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in rJoseon literatures as the research subject, and it aims to identify how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had developed in 1990s' short novels. First, in this study, I will identify how North Korean literature had developed according to political change of North Korea in 1990s. Second, I will consider how North Korean situation in 1990s had influenced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a genre which treated relatively realistically North Korean situation. Third, I tried to identify at least partial flow of North Korean literatur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ccess directly specific history of 1990s' North Korean literature. In chapter II of this study, I assumed that the features of 1990s' North Korean literature was very close with North Korean situation of 1990s, I categorized 1990s into early 1990s, mid 1990s and late 1990s, and I illustrated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in each period. In addition, I added and delineated the articles of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to each period which was performed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the chapter III, based on each period, I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which were published in rjoseon literatureji in early 1990s, mid 1990s, and late 1990s. In novels of the early 1990s, the disruption of communism and the sign about hanover of the sovereign power continued to reflected on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and especially I described how various ways of life were revealed in the continuation with 1980s' novels with realistic subject. In novels of mid 1990s, I focused on and illustrated that how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changed in the death of Kim il-seong and economic difficulty called ' the march of suffering.' In novels of late 1990s, I focused on and delineated the trend of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which was clearly distinctive with previous periods by the flag of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Moreover, in the chapter IV, I clarified the meaning of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in 1990s which I considered in previous chapters. Short novel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in rJoseon literatur ed show personal confliction and anguish of North Korean people, they contribute to some ident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and it might be helpful for overcoming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which are differed as same as difference from political systems. It shows that works with 'communistic realistic subject' might have the possibility of the literature of unified country, and the literature of unified country might be driving force for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고급사고력함양을 위한 수업형태에 대한 연구

        김은종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흔히 사회과교육의 궁극적 목표를 바람직한 시민의 양성이라고 한다. ‘바람직한’의 의미해석에 있어 사람들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바람직한 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은 단순하게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것과 그 지식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개정된 7차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기존의 6차 이전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전혀 다르다. 사회과교육을 통해 단순한 역사적 사실의 암기나 개념의 이해를 목표로 교육하던 시대를 넘어 시민성을 연습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훌륭한 사회의 일원이 되도록 교육하자는 흐름이 7차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흐름이다. 본 논문을 쓰게 된 계기는 3년 정도 고등학교에서 재직하면서 고급사고력을 교육해야 한다는 교육부의 지침과 시대적인 필요성에 공감은 하면서도 교실 안의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는 현실에서 비롯되었다. 6차교육과정에서도 사고력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사회과에서 다뤄지는 학습내용이나 수업방식 등이 뒷받침되지 못해서 여전히 사고력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러한 교육현실이 교육과정이 개정된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과의 내용도 줄이고 통합하는 등의 노력이 고급사고력을 함양하게 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교실의 상황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고급사고력을 함양하게 하기 위해서 어떠한 작업이 있어야 하는지에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사고력이라는 개념 자체가 명료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고 공통점을 찾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고급사고력의 다섯가지 (창의성, 비판적사고, 의사결정능력, 메타인지, 탐구력) 를 정의함으로써 수업을 할 때 구체적으로 고급사고력의 각 영역을 표방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를 하면서 고급사고력함양을 위한 교육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추구하는 바와 관련지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학습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위치한 물리적, 사회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해석적, 순환적인 과정이라 정의한다. 이것은 지식의 단순획득과 재생산이 아닌 능동적인 구성과정을 의미한다. 구성주의적인 교육관에서 강조하는 협동학습의 수업형태가 고차적인 사고를 하는데 효과적인 형태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구나 협동학습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진 교과가 사회과이다. 그리하여 사회과교육에서 교육현장에 대입했을 때, 고급사고력 함양에 도움이 될 만한 협동학습 형태의 수업모형을 모색하였다. 또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강의식수업을 통해서도 고차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논문을 맺으면서 내린 결론은 고급사고력함양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교사자신의 노력이라는 것이다. 협동학습 수업형태가 고차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우리나라의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에서 모든 수업을 협동학습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은 불가능 할 것이다. 제시한 협동학습 수업모형의 일부분이라도 수업 중에 시도를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교실 상황에 알맞은 수업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강의식 수업형태에서도 고급사고력을 염두에 둔 질문을 많이 하거나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 등도 실천 가능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한줄세우기'식 평가를 위한 교육이 아닌, 실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 되기 위하여 정부-학교-가정 세 방면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정부도 우리나라의 교육여건에 맞는 교육과정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얻어진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필요를 느꼈다.

      • 圓佛敎 禪의 原理와 修行法 硏究 : 少太山 大宗師의 全人的 生活禪을 중심으로

        김은종 圓光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원불교선의 원리와 수행법이 무엇인가를 규명한 것이며, 특히 선의 생활화와 대중화의 차원에서 전인적 생활선의 방향에서 추구하였다. 그러한 이해 방향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태산 대종사의 생애와 시대인식, 원불교선의 개념과 원리, 수행방법 등에 대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원불교선이 지향하는 방향과 그 의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대개 禪은 불교에서 제시한 사상과 수행방법으로서 역사적으로 인도의 위빠싸나와 같은 명상, 중국에서 형성된 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등 다양하게 형성, 전개되었다. 그러한 선불교에 비해 원불교 선은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원리와 수행방법론이 있는 것인가? 한 마디로 원불교 선이란 소태산 대종사(박중빈, 1891~1943)에 의해 제시된 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소태산이 대각의 안목에서 불교를 중심으로 儒敎 ․ 道敎 등 전통적인 사상을 폭넓게 수용하면서 그것에 내재된 문제인식을 통해 새롭게 구성한 독자적인 선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에 대해서는 率性을 강조하는 取捨가 중심이며, 불교는 見性을 강조하는 깨달음, 도교는 養性을 강조하는 수양을 각각 그 중심으로 보고, 원불교 선은 이러한 전통적인 수행을 수용하면서도 새롭게 일원화하여 삼학을 병진하는 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교나 불교의 출세간적 수행태도를 지양하고, 유교의 현실참여적인 실천이념을 수용하여 세간생활 가운데서도 수행할 수 있는 생활선을 중시한다. 그러한 입장에서 원불교 선의 원리가 집약되어 제시된 것이 無時禪이란 개념이다. 무시선이란 일의 有無나 시간, 장소 등을 가리지 않는 動靜間不離禪이며, 정신수양 ․ 사리연구 ․ 작업취사의 三學을 병진하며, 이타적 大乘行을 지향하는 선을 의미한다. 이는 소태산의 독특한 진리관인 일원상의 진리를 원불교 선의 원리로 삼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일원상의 진리란 ‘법신불이며,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제불제성의 心印이며, 일체중생의 본성’으로서 그 본질은 ‘은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불교 선은 일체중생의 본성이 일원의 진리와 같이 맑고 밝고 바르며(空圓正), 圓滿具足하고 至公無私하다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성품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원불교선이 필요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온전한 성품을 그대로 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깨달은 사람은 성품 그대로를 발현하여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하게 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욕심과 어리석음에 끌리거나 가려서 성품 그대로를 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품이 고요할 때에는 본성을 함양하고 양성하는 공부를 주로 하며, 성품이 움직일 때에는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 것을 주로 하는 선의 수행이 필요하다. 선을 통하여 動靜間에 일원과 같은 본래 성품을 회복하고 기질을 변화시켜서 六根을 동작하는 것이 일원의 진리의 본질인 은혜를 실현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원불교 선의 방법은 크게 두 때를 따라 수행한다. 일이 있을 때(動할 때)와 일이 없을 때(靜할 때)를 따라 움직일 때에는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양성하며, 고요할 때에는 잡념을 제거하고 일심을 양성한다. 이러한 구분은 편의적인 것이지만, 사실은 動 속에도 靜이 있고, 靜 속에도 動이 있어서 양자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일이 없이 고요할 때에는 좌선이 핵심이 되며, 좌선을 돕는 염불, 좌선, 기도 등의 정신수양과 경전, 의두, 성리, 의견교환 등의 사리연구를 통해 삼대력을 길러나간다. 일이 있어서 움직일 때에는 사전에 연마하고(事前硏磨), 일을 당해서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기를 주의하며(臨事專一), 일을 마친 후에는 대조하는 취사공부(事後對照)를 핵심으로 해서 정신수양과 사리연구의 합력을 통해 삼대력을 양성해 나간다. 원불교 무시선의 특징은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여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실행하는데서 드러난다. 왜냐하면 여기서 말하는 정의는 단순히 정당한 일만이 아니라, 自利利他, 報恩, 佛供 등 사람으로서 행할 바 마땅한 도리를 행함으로써 은혜가 나타나도록 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즉 원불교 선이란 일원의 진리와 같은 본성을 회복해서 일원상 진리의 본질인 은혜를 실현하는 원리가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원불교 선은 ‘훈련’이나 ‘공부(마음공부)’라는 의미를 추가함으로써 그 함의를 보다 충실히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소태산은 선이라는 용어보다는 ‘훈련’이나 ‘공부’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고, 훈련이나 공부의 내용이 원불교 선 수행의 내용과 일치하면서도 더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불교 선은 수행의 공효가 고통으로부터의 탈피, 지혜와 복의 수용, 깨달음과 자유 등의 개인적 완성과 감사와 보은, 자리이타와 봉공, 불공 등의 사회적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원불교 선의 수행이 출세간이나 개인적인 심성수양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四恩과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전인적인 인격의 완성을 통해 고통을 극복하고 혜복을 수용하며 성장하고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지향해 나간다. 나아가 사회적인 관계에서는 감사와 보은의 생활화, 자리이타와 봉공의 실천, 일상생활을 불공의 태도로 최선을 다해 살아나가도록 하는 실천적 지침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원불교 선이 ‘무시선’을 통한 삼대력의 확충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삼학병진의 결과가 개인적 자아완성과 행복뿐 아니라 감사와 보은, 자리이타와 봉공, 불공 등의 사회적 실천으로 나타나야 함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은 원불교 선의 특징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측면이다. 원불교 선의 의의는 전통적인 수행론의 수용과 비판적인 극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것은 원불교 선이 전통적인 선불교나 유교 ․ 도교 등의 수행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것에 내재된 문제점을 극복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전통 수행의 계승 측면에서는 선불교의 간화선과 묵조선, 유교 공부의 실천이념, 도교 내단법 등을 수용하고 있다. 비판적 극복의 측면에서는 전통 수행이 갖는 超世間적 면이나 靜공부에 치중하는 면을 극복하여 動靜을 일관하고, 삼학을 병진하며, 공부와 생활을 중시하며, 영육을 쌍전하는 무시선으로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부분 분사에 의한 축류형 마이크로 터빈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은종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esearch for the optimum shape of micro-turbine's stator, rotor and nozzle is conducted. The micro-turbine used in this research is the type that gets the required power by eject the highly pressured air through a nozzle to a rotor, and this type is like a impulse turbine that static pressure variation is none in rotor. A simple and effective type of partial admission nozzle which produce a reduced power in a turbine is selected and it is comprised of 1st stator, rotor and 2nd rotor. To inspect about blade shape a fluid special quality, fluid angle about flow of Internal turbine is visualized about exit of stator and rotor and measured exit velocity of each shape in flow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