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워케이션(Workcation) 관광 현상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민경익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started academically to justify the phenomenon of ‘Workcation’, which has been socially sprea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orkcation tourism’ was defined as a new phenomenon called ‘the emergence of a new work/travel method that integrates work and leisure that affects tourism.’ The study tried to analyze the phenomenon by constantly repeating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ated to the new phenomenon. In order to analyze new social phenomen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is philosophically based on symbolic interactions, was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was applied. FGI was conducted three times with a total of 15 experts. For the in-depth interview,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pre-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xperts' opinions presented at work-related forums. The contents of the workcation phenomenon introduced in various media and the contents of the policy report analyzing the workcation phenomenon were also collected as the primary analysis data of this study. Using MAXQDA software for qualitative research, This dissertation tried to overcome the ‘cognitive limitations’ of researchers that tend to occur in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typical ambiguity' in organizing data. Data were collected and managed as text documents for each data by utilizing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in the softwa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primary research process, such as writing comments for conceptualization, assigning and correcting codes, categorizing and sorting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and recording memos. The data analysis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open, axial, and selective. The open coding process used the words that appeared in the data as they were or named them as abstract words that could encompass the content. Afterward, all assigned codes were laid out, similar concepts were grouped, concepts were finalized, categories were formed based on similar concep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were considered and integrated into higher categories. Finally, 111 concept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se into the level of difference, 31 subcategories and ten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second stage of axial coding, the analysis of matching the categories obtained through open coding was carried ou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of workcation was derived as ‘resistance to social conventional wisdom’, the causal condition causing this was the ‘creation of a flexible working environment in time and space.’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a sudden change in lifestyle (due to COVID-19). The mediating condition was ‘work-life value shift.’ Lastly, selective coding, the story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elaborated based on th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the analytic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the story called ‘story outline technolog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structure between categories were verified. Furthermore, the core category, the story's central theme, was derived. The core theme of this study is not the ‘workcation’ phenomenon but the ‘workcation tourism’ phenomenon. The core category is ‘workcation tourism: the emergence of a new work/travel method that integrates work and leisure that greatly affects tourism domain.’ In the process of hypothetical formalization, a total of eight hypothes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dimensions of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three types were confirm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tate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theses and data. Each type was named ‘digital nomad-type workcation’, ‘network-type workcation’ and ‘self-fulfillment-type workcation.’ ‘Creating a flexible work environment in time and space’, ‘Rapid lifestyle changes (due to COVID-19)’, ‘Changes in work and life values’, ‘Work: Resistance to social conventions’, ‘Understanding’ presented in this study Categories such as ‘expected effects and promotion conditions’ may not be considered to be directly related to tourism. However, they can all have the meaning of independent research topics in connection with tourism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rm of research exploring social phenomena in depth without previous studies. The spiral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a wide range of data and repeats induction and deduction guarante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However, it must b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to secure generalization and transferability. Suppose a structured questionnaire is created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n that case, representative objects are extracted,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the theorization of this study will be verified, and a more convincing explanation of the workcation phenomenon will be possible.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회의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워케이션’ 현상을 학술적으로 규명해야 한다는 당위성으로 출발하였다. ‘워케이션 관광’을 ‘관광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 여가를 통합한 새로운 근무·여행 방식의 출현’이라는 새로운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새로운 사회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상징적 상호작용을 철학적 기반으로 하는 근거이론 방법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였다. 새로운 현상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끊임없이 반복하면서 워케이션 관광이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법론적 삼각검증법을 적용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위해 워케이션 관련 포럼에서 발표된 전문가들의 발표내용을 사전 분석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FGI는 총 1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각종 매체에 소개된 워케이션 현상에 관한 내용들과 워케이션 현상을 분석한 정책 보고서의 내용도 본 연구의 주요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질적연구를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MAXQDA)를 활용함으로써 질적연구에서 발생하기 쉬운 연구자의 ‘인지적 한계’와 자료 정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형적 모호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소프트웨어 속의 문서관리 체계를 활용하여 자료별로 텍스트 문서로 관리하였으며, 개념화를 위한 멘트 기입 및 코드부여 및 수정, 범주화 및 범주간의 관계정렬, 메모의 기록 등 연구의 주요 과정을 수행하는 데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과정은 크게 개방 코딩과 축 코딩, 선택 코딩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개방 코딩 과정에서는 단어나 문장과 같은 최소단위를 기본으로 코드를 부여하였다. 코드는 자료에 나타난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추상적 단어로 명명하기도 하였다. 이후 부여된 전체 코드들을 펼쳐놓고 유사한 개념들을 묶어가면서 개념을 확정하고 유사한 개념들을 토대로 범주를 구성하고 범주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위 범주로 통합하였다. 최종적으로 111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를 다시 유차 차원으로 묶어 3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축 코딩의 단계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의 틀 속에서 개방 코딩을 통해 얻어진 범주들을 맞추는 분석을 하였다. 워케이션의 중심현상은 ‘사회적 통념에 대한 저항’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시공간이 유연한 근무환경 조성’, 맥락적 조건은 ‘(코로나19 팬데믹) 급격한 생활방식의 변화’로, 중재적 조건은 ‘일과 삶의 가치 전환’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단계인 선택 코딩에서는 수집·분석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중심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하였다. ‘이야기 윤곽 기술’이라는 이야기의 분석적 개념화 과정을 통해 범주 간의 연결 관계와 구조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야기의 중심 주제인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주제는 ‘워케이션’ 현상 자체가 아닌 ‘워케이션 관광’ 현상이며, 핵심범주는 ‘워케이션 관광: 관광에 상당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일과 여가를 통합한 새로운 근무·여행 방식의 출현’으로 도출되었다. 가설적 정형화 과정에서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의 차원의 조절에 따라 총 8개의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가설의 관계에 대한 진술과 자료와의 비교분석 검증을 통해 3개의 유형을 확정하였다. 각 유형은 ‘디지털 노마드형 워케이션’, ‘네트워크형 워케이션’, ‘자기 충족형 워케이션’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공간이 유연한 업무환경의 조성’, ‘(코로나19 팬데믹) 급격한 생활방식의 변화’, ‘일과 삶의 가치 변화’, ‘워케이션: 사회적 통념에 대한 저항’, ‘워케이션의 기대효과 및 촉진 조건’ 등의 범주는 관광과 직접적인 연관을 보이지는 않는다고 여겨질 수 있으나, 관광활동과 연계하여 모두 하나의 독립적 연구 주제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사회현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형태의 연구로 진행되었다. 폭넓은 자료의 분석과 귀납과 연역을 반복하는 나선형의 연구 방식은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담보하지만, 추후 양적 연구를 통해 이를 검증하여 일반화와 전환성(Transferability)을 확보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구조화된 설문을 만들고 대표성을 가지는 대상을 추출하여 실증 연구를 수행한다면 본 연구의 이론화의 검증이 될 것이며, 워케이션 현상에 대해보다 설득력 높은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 국내 워케이션 시설의 운영 실태 분석 : 스테이형 워케이션 시설을 중심으로

        박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1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시행되면서 대기업,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유연한 근무제도가 급격하게 확산했다. 재택근무, 원격근무, 시차출퇴근제, 선택적 근로 시간제, 스마트워크 근무 등 다양한 형태의 유연 근무 제도의 도입으로 근로자는 사업장이 아닌 주거 공간에서 업무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재택에서 근무하던 근로자들은 여행에 대한 갈증을 느끼게 되었고 점차 일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찾게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워케이션(Workation)’이라는 근무 형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워케이션은 참가자들이 원격으로 일하면서 다양한 장소에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혼합된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 유연한 근무 형태와 원격근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워케이션 시설이 등장하여 현대인들이 근무와 개인 생활의 균형을 추구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워케이션은 단순히 근로자들의 근로 형태를 넘어 다양한 해결 방안으로써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관계 인구를 유입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워케이션 제도를 활성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 워케이션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워케이션에 대한 정의의 모호함과 운영 초기 단계의 한계로 인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워케이션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워케이션 시설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워케이션이 지역소멸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써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워케이션 시설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심층적인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워케이션 시설 중에서 지역 연계를 중점으로 하는 워케이션 시설들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국내 워케이션 시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한 ‘2022 워케이션 시설 디렉토리북(한국관광공사. 2022)’를 바탕으로 스테이형 워케이션 시설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총 9개의 시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각 지역에서 공공 및 스타트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워케이션 시설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시설들은 워케이션의 기본 인프라에 대한 검토가 진행된 시설로 선정되어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워케이션 시설 운영실태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문헌 조사, 관찰조사, 시설 운영자 및 로컬 크리에이터 인터뷰, 이용자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운영자 인터뷰는 운영 측면, 지자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측면, 공간 측면으로 구분하여 진행하며, 이를 통해 워케이션 시설의 운영 상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로컬 크리에이터와의 인터뷰는 프로그램에 관한 질문을 중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워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용자 설문조사는 워케이션에 대한 인식, 경험, 워케이션 선호도, 공간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로 구분하여 진행했다. 설문을 통해 얻은 데이터로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위해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워케이션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인 평가와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연구 결과를 보다 신뢰성 있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도출해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케이션 시설과 지역 간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지역 정부와의 관계 강화가 중요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지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워케이션 시설은 필수적인 예산과 지원을 확보하며, 시설 운영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와 교통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강조되었다. 운영자들은 잠재적인 참가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지역 자원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혜택과 개인적 동기에 초점을 맞춰 홍보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워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커뮤니티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새로운 커뮤니티 형성의 기회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커뮤니티 형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데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참가자의 선호도를 수용하기 위해 중단기 및 단기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사용자들은 2주 이하의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기적인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한 지역 프로그램의 특성상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워케이션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로컬 크리에이터들과 협력하여 참가자들이 지역적 특징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With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COVID-19 related social distancing policies, flexible working systems have gained rapid popularity, especially in large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These systems include telecommuting, remote working, staggered commuting, selective working hours, and smart work, allowing employees to work from residential spaces rather than traditional workplaces. Over time, due to the prolonged impact of COVID-19, remote workers have developed a desire for travel and sought various locations to work from. This trend has given rise to the concept of "workation," which refers to a hybrid form of work allowing participants to work remotely whil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in different locations. As the demand for flexible and remote work increases, workation facilities have emerged to cater to the needs of modern individuals seeking work-life balance. Workation is considered a multi-faceted solution beyond conventional work arrangements and has garnered attention for its potential to attract populations to specific regions and revitalize local economie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domestic workation, research on workation facilities remains limite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workation being seen as a potential solution to counter local decline, in-depth research and analysis are essential to enhance the current operation of workation facilities.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workation facilities in Korea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existing workation facilities with a focus on their regional linkages. The study selected nine stay-type workation facilities as research subjects from the "2022 Workation Facility Directory Book" provid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ese facilities were chosen for their thorough review of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 required for workation, making them suitable for this investigation.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of workation facilities in Korea, the study employed literature research, observational research, interviews with facility operators and local creators, and user surveys. Operator interviews were categorized into operational aspects,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program aspects, and space aspects, revealing the operational status and challenges faced by workation facilities. Interviews with local creators primari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ation programs. The user survey collected data on perception, experience, workation preferences, satisfaction with space, services, and programs.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echnique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arious aspects related to workation. This ensured that the subjective evaluations and requirements of users were accurately represented, leading to more reliable research results. The study's findings highlight several key aspects for improving workation facilities. Firstly, it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strong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s to foster seamless cooperation between workation facilities and the region. Such partnerships enable workation facilities to secure essential funding and support, and enhance the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services underpinning their operations. Second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n effective PR strategy. Operators have found that actively communicating with potential participants and promoting workation programs based on the benefits and personal motivations they offer,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local resources, is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interest. Third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formation within workation programs. Participants highly valu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diverse individuals and form new communities,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prioritize community building to ensure continued engagement.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medium- and short-term programs to cater to the diverse preferences of participants. Users exhibited a preference for programs lasting less than two weeks, indicating the positive impact of shorter-term engagements for fostering effective networking in local programs. Final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workation programs that authentically reflect the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Collaborating with local creators is essential in designing programs that allow participants to fully immerse themselves in the regional attributes and experienc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improvement of workation facilities in Korea, shedding light on the operational status and essential considerations for enhancing workation programs. By addressing the identified areas of importance, workation facilities can better cater to the needs of remote workers, foster regional linkage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ies.

      •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적용한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계획안

        정윤화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1

        일과 놀이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대적인 흐름과 일의 생산성과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일과 놀이를 함께 할 수 있는 근무 겸 휴양의 공간으로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근무 형태가 나타났다. 워케이션은 팬데믹 이후로 디지털 노마드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업무와 놀이의 경계를 넘나든다. 놀이와 일에 대한 연구는 2장에서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통해 놀이의 특징을 도출한다. 그 후 워케이션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살핀다. 놀이의 특징을 기준으로 워케이션 프로그램의 관계를 정리한다.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분석한 결과 놀이를 구성하는 여섯 요소는 자발성, 시공간적 제약, 무목적성, 규칙성, 비일상성, 그리고 긴장감이다. 워케이션은 도심, 리조트, 해양 휴가지의 입지와 상관없이 Play, Work, Meet, Rest, Refresh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든 프로그램이 하나의 공간에 갖추어져 있지 않더라도 다섯 성격의 프로그램은 위치가 인접해 접근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놀이의 여섯 요소 중 시공간적 제약은 대지를 선정할 때 활용한다. 놀이의 규칙은 디자인 컨셉인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에 적용해 시각적으로 컨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놀이의 시공간적 제약 아래 적용되는 비일상적 규칙은 워케이션 참여자들을 배타적이며 특별한 경계로 감싼다. 이런 경계는 참여자들이 Meet의 공간에서 교류를 하며 강화된다. 놀이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긴장감을 놀이를 통해 해소하는 것 만이 놀이의 무목적성이기 때문에 일과 놀이 사이에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는 Rest와 Refresh 공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놀이의 자발성은 재미에 비례하기 때문에 놀이의 자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Work와 Play에 몰입할 수 있는 양질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가 계획하는 워케이션 공간의 타깃을 기존의 디지털 노마드가 아닌 가구, 제품, 공간 등을 제작하는 산업 디자이너로 제한한다. 국내에 운영 중인 워케이션 공간은 디지털 노마드에게 적합한 공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별화를 갖는다. 이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과 공간적 특성을 연구해 놀이의 재미를 높이고 자발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위해 도심에 모여 일을 하는 공유 디자인 스튜디오, 네트워킹을 하는 공유 공간, 그리고 실제 제품을 만드는 디자인 스쿨의 시설을 살펴본다. 워케이션은 Work와 Play의 프로그램으로만 구성되지 않았다. 이렇게 디자이너의 Work를 분석한 후 참여자의 교류를 통해 일이 놀이로 거듭날 수 있는 Meet의 공간적 특징을 공유 공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작하는 교육을 진행하는 학교의 시설도 살펴 놀이의 비일상성을 부여한다. 4절에서는 도심에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서울 윈드서핑장, 구립 도서관과 체육관, 공원, 야외수영장이 인접한 대지를 선정한다. 대지 분석 후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를 컨셉으로 디자인을 진행한다. 매스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인 워케이션 참여자를 위한 유닛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치한다. 그 규칙은 대지 환경에 맞춰 정해지고 최적의 유닛 배치를 완료한 뒤 유닛의 집합 아래 공유공간 영역을 설정한다. 공유공간의 면적과 위치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평면을 계획한다.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가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입지에 위치해 Play 프로그램을 즐길 수 했지만 디자이너만을 위한 특화된 놀이 요소도 추가한다. 그 프로그램으로 머티리얼 라이브러리를 제안한다. 머티리얼 라이브러리의 디자인 또한 컨셉인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 컨셉을 기본으로 디자인된다. 호모 루덴스 개념을 적용한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계획안을 연구하며 다양한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는 놀이의 보편적인 요소 여섯 가지로 정리했다. . 사례분석을 통해 워케이션의 대표 프로그램 다섯가지를 도출하고 이것이 놀이의 보편 요소와 갖는 관계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진행했다. 워케이션은 일과 놀이, 휴식을 위한 양질의 공간이 있어야 하고, 참여자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만남의 공간 또한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며 공간 계획을 마무리한다. 국내외에 운영 중인 디자이너들의 작업 공간과 교류 공간을 다양하게 살피고,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참여자에 대한 시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나은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Work and play became insepara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creativity of work created a hybrid type of work and play called ‘Workation’. A new type of work and play flourish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since 2019, allowing more workers to become digital nomads while remaining their position as a full-time employee, freely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play. The study starts by analyzing the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s concept of play, ‘Homo Ludens’. Play is studied throughout the second chapter to discover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play to apply it to workation programs. Then, workation programs will be categor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ctivities. Six characteristics of play and five workation programs are matched and applied during the design process. The six characteristics of play are spontaneousness, space-time limits, strict rules, abnormality, tension, and purposelessness. Spontaneousness and space-time limits are factors that set the conditions of play. Under space-time limits and spontaneous players, strict yet abnormal rules are applied during play. As a result, tension rises, and the only purpose of play is to relieve it. Huizinga asserts that all characteristics should be shown to call an act as play. Workation programs are composed of five space programs - Play, Work, Meet, Rest, and Refresh. Not all five programs must be strictly assembled under one mass, space programs with such characteristics can be placed on a spot where it is highly accessible near the site. The conditions of play, spontaneousness and space-time limitation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workation space programs. However, to maintain spontaneousness, play must be fun. To keep the participants immersed in play, high quality workation programs must be provided. Space-time limitations are appliable when selecting the site. Most workation venues are located near places with seasonal changes. Strict rules that workation programs follow is that high quality Play, Work, and Meeting programs are placed nearby. Through play, royalty is granted among participants, which is created because of the abnormal characteristic of play. To form royalty, Meeting space programs are essential. Tension itself as a characteristic of play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workation programs. But programs such as Rest and Refresh help participants relieve tension during work and play. Purposelessness is another factor with a loose connection with workation programs. It is more related to the design process, which aims to design a workation studio that can fit diverse needs of the participants, rather than having a strict and invariable use. The third chapter studies working conditions of industrial designers. The first case study covers a coworking office placed in an urban environment. Pleasant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well-lit rooms and ventilation supplies are necessary. Facilities and suitable tools based on the designer’s work was another key factor. The second case study covers space design solutions for meeting areas in coworking space in Seoul. Vertical passages located among working areas acted a key role to trigger unexpected meetings. Structure and materials that enhance visual exchange also helped build community. The third case study was intended to increase abnormality of the working areas, studying the facilities of Bauhaus University Weimar. Through the study, a specialized Play program, such as the material library was applied. The project is located on an abnormal site where space-time limits are applied. Near the Han River located in Seoul, the only site for wind surfing is surrounded with public parks, library, and outdoor swimming pools. Since the site and the surrounding amenities are located near the river, seasonal changes influence the programs surrounding the site. After analyzing site surroundings, the design process follows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grid filled with play’. The residential unit for designers is also planned to be filled with each designers’ spontaneous work and play. The units are placed on the site surroundings, units on the lower level of the buildings are replaced with the common areas. The volume of the common areas determined which programs would be placed. Even the site is located near a windsurfing site, a specialized program for designers to play is prepared. A material library is placed on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for designer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The material library also follows the concept, creating units by subtracting pathways and stacking the unit forms the space. Through the study, workation studio specialized for designers should have high quality space programs that support work and play. Places for Meet, Rest, and Refresh are also prudently designed. Further field studies on various designers’ workshop and market research on the target-industrial designers- will make the current plan more suitable. Also, applying the relations between play and workation programs on a smaller site would make the project more feasible.

      • 스테이형 워케이션 공간에 나타나는 플레이스 브랜딩 특성 연구

        한유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0

        As the times changed, the overall work structure of society began to change into various forms. In particular, the 'non-face-to-face' work method, which began for safety reaso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ppeared in the form of work such as telecommuting and remote work. As manycompanies experience a non-face-to-face work structure, the perception that work should be done in one space is gradually collapsing, and adopting a work metho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s emerging as a corporate strategy. Beyond this Office-Free, the concept of Digital Nomad is resurfacing. Digital Nomad refers to a method of performing tasks using laptops or mobile devices needed for work,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like nomads.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 remote work method, which has been limited to freelancers and creators, has also been applied to ordinary office workers, and the concept of Workcaiton has emerged as an extension. Workcaiton is a compound word of work + vacation, which refers to a new type of work that combines work and vacation. Many companies are actively introducing the Workcaiton system as a way to increase employee welfare and work efficiency, and the workcaiton space is constantly increasing. Workcaiton is emerging not only as a corporate welfare but also as a countermeasure against local extinction. The "living population" that stays as a workcaiton while forming a local workcaiton space can not only prevent population decline but also create an economic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resident population by staying for recreation and work in the tourist area. As such, Workcaiton shows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be a wa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can be a positive urban brand strategy project. In order to practice Workcaiton as a way to revitalize the regio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and place of the region is required. Therefore,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place branding was necessary when planning the space of the Workcaiton fac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gram and composition relationship of the space for Workcaiton, analyze the methods and elements of place branding applied according to local community condition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Workcaiton space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branding spaces that appear in stay-type Workcaiton facilities to present basic data on effective Workcaiton facility plan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Workcaiton facilities. The method of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branding space of a stay-type workcaiton facilit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study and describe the concepts of place branding and work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the methodological elements of place branding were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Workcaiton were def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work spaces, accommodation spaces, and tourism spaces. Afterwards, the method of recognizing place branding in space was viewed as a physical structure, a narrative structure, and a participatory structure, and detailed elements were derived based on this. By deriving eight characteristics of place branding from the derived detailed factors, eight cases of stay-type workcaiton spaces suggest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22) were analyzed. For detailed research, specific analysis frameworks and standards were established to organize indicators through graphic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spa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kplace characteristics shown in each space were different through case analysis.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of each region,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locality that formed the identity of the region appeared, and symbolism and regeneration were shown by conveying the identity of the existing place with a new image of the pla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orkcaiton space has potential differences that give the place its own local landscape and image. This reinforced the place identity of the space by expanding the place identity and image through storytelling with the landscape and image of the area. These characteristics expanded the community's organizational solidarity and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linkage of local residents by participatory factors, indicating the public interest openness to co-prosperity for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this,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branding were closely appearing in the Workcaiton space, and it was found that the space was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branding that appeared in each space were strengthened and expanded by relational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and building the image in organizing and planning the Workcaiton space, and to reinforce th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mage of the place through various participatory elements and narrative structur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on Workcaiton, and it is judged to have theoretical value in the research and planning of local communities and spaces.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업무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특히나,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안전상의 이유로 시작된 ‘비대면’이라는 업무방식은 재택근무, 원격근무 (Remote Work)등의 업무형태로 나타났다. 많은 기업들이 비대면 방식의 업무구조를 경험하면서 한 공간에서 업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무너지고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업무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기업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오피스 프리 (Office –Free)를 넘어서서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의 개념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노마드는 유목민처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랩탑이나 업무에 필요한 이동 가능한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코로나 19 펜데믹의 이후로 프리랜서나 크리에이터에 한정되었던 리모트 워크의 방식은 일반 직장인들에게도 적용되면서 연장선상의 워케이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워케이션이란 일(Work) + 휴가(Vacation) 의 합성어로 일과 휴가를 결합한 새로운 업무 형태를 의미한다. 많은 기업들은 직원들의 복지와 업무 효율성 증대의 방법으로 워케이션 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워케이션 공간도 증가하고 있다. 워케이션은 기업의 복지 뿐만 아니라, 지방소멸 대응방안으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지방의 워케이션 공간을 형성하면서 워케이션으로 머무르는 ‘생활인구’가 경제활동을 하며 인구 감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광과 휴양, 업무 등을 위해 머물면서 정주인구와 비슷한 경제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렇듯 워케이션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긍정적인 도시 브랜드 전략 사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역의 활성화 방안으로 워케이션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정체성과 장소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구자는 워케이션 시설의 공간을 기획할 때 플레이스 브랜딩 (Place Branding)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워케이션을 위한 공간의 프로그램과 구성관계를 살피고, 지역 사회의 조건에 따라 적용된 플레이스 브랜딩의 방법과 요소 들을 분석하여, 사례 분석을 통해 워케이션 공간에 나타나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점차 증가하는 워케이션 시설에 대하여 효과적인 워케이션 시설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 제시를 위해 스테이형 워케이션 시설에 나타나는 플레이스 브랜딩 공간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스테이형 워케이션 시설의 플레이스 브랜딩 공간 특성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플레이스 브랜딩과 워케이션에 대한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서술한다. 이를 토대로 플레이스브랜딩의 방법적 요소를 내부적 요인, 외부적 요인 관계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워케이션의 공간 구성 요소를 업무공간 , 숙박공간, 관광공간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이후 공간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이 인식되는 방법을 물리적 구조, 서사적 구조, 참여적 구조로 보고 이를 토대로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세부 요소에서 플레이스 브랜딩의 특성을 8가지로 도출하여 한국관광공사 (2022)에서 제시한 스테이형 워케이션 공간 사례 8곳을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를 위해 구체적인 분석틀과 기준을 세워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성의 유무를 그래픽을 통해 지표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례분석을 통해 워케이션 공간은 각 공간마다 보여지는 장소적 특성이 상이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역마다 지닌 역사성과 문화적 특수성을 통해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동적인 지역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 장소의 정체성을 새롭게 장소 이미지를 전달하면서 상징성과 재생성이 보여졌다. 또한 워케이션 공간은 그 장소만의 지역적인 경관과 이미지를 부여하는 잠재적 차이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지역의 경관과 이미지 및 지역에 내제된 스토리가 스토리텔링을 통해 장소 정체성과 이미지를 확장시키며 해당 공간의 장소정체성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특성들은 참여적 요소에 의한 지역민의 참여와 연계를 통해 커뮤니티의 조직적 연대와 공동체 의식을 확장하여, 지역발전에 상생할 수 있는 공익적인 개방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워케이션 공간은 플레이스브랜딩의 특성이 밀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각 지역의 장소적 특성에 따라 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공간에서 나타나는 플레이스 브랜딩 특성들 중 관계적 요소에 의해 그 특성들이 강화되고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워케이션 공간을 구성하고 계획함에 있어서 장소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참여적 요소와 서사적인 구조를 통해 지역의 장소적 이미지를 만들어 가야할 필요성이 있다. 해당 연구가 워케이션에 대한 후속 연구에 선행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지역사회와 공간의 연구 및 계획에 있어서 이론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LDA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호텔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이후 ‘워케이션(WORK+VACATION)’ 행태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원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486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COVID –19)가 급속히 유행하면서 전 세계적 누적 감염자 수가 약 120,000명을 넘어서자 세계 보건 기구(WHO)는 전염병 경보 단계 중 최고 경보 등급인 6단계 ‘팬데믹(Pandemic; 전염병의 대유행)’을 선언하며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을 선포하였다. 이후 치료제가 개발되고 백신 접종률이 상승하면서 코로나19가 팬데믹을 넘은 ‘엔데믹(Endemic;감염병 주기적 유행)의 상태인 현재는 코로나19에 대한 사회의 전반적인 대처 능력이 향상되었고, 생활 행태 또한 변화되면서 4차 산업혁명에 의한 AI, VR, AR과 같은 시스템이 더욱 발전되었다. 감염병 이슈의 장기화로 재택 근무, 거점 오피스 제도, 유연 근로제 등 새로운 근무의 형태가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 잡음은 물론 공존이 불가능 해 보였던 업무와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WORK+ VACATION)'에 대한 인식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자연히 호텔 산업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가 시도 되고 있는데 특히, '워케이션(WORK+VACATION)'을 키워드로 하여 단순한 숙박의 기능 뿐 아니라 장기 투숙형 관광 고객과 지역 사회 공간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운영 방식으로 호텔 산업에서도 다각화된 시야로 산업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의 호텔 구성과 운영 프로그램 방식이 한정적이고 대중의 인식 또한 기존의 행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공용 공간의 규모와 기능이 축소되어 환대 서비스가 부족하거나, 무분별한 활용에 의해 본질적 기능인 숙박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어 그 특성이 와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호텔 대다수가 일시적인 매출에 치중한 운영 프로그램과 변화하는 산업 구조에 비적극적인 대응 방법으로 계획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자연어처리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모델링'을 통해 호텔 공용 공간에 대한 다양한 활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워케이션 (WORK+VACATION)' 행태에 따른 호텔의 운영 프로그램과 공간의 구성 관계를 살펴보고, 대중의 인식과 행태가 변화함에 따라 호텔 공용 공간의 다양한 활용에 대한 최신 동향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호텔의 실내 공간 구성 계획 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이다. In December 2019, as COVID-19 that began in Wuhan, China, rapidly spread, the cumulative number of infections worldwide exceeded about 120,00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the sixth stage of the pandemic, the highest alert level among infectious disease alert stages. Since then, as treatments have been developed and vaccination rates have risen, the society's overall ability to cope with COVID-19 has improved, and systems such as AI, VR, and AR have been further developed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e prolonged issue of infectious diseases, new forms of work such as telecommuting, base office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have become new daily lives, as well as awareness of "WORK+ VACATION" that combines work and vacation that seemed impossible to coexist. Naturally, various changes are being attempted in the hotel industry, especially with the keyword "WORK+VACATION" as a simple accommodation function as well as a community space for long-term stay-at-home tourists and community spaces. However, until now, the domestic hotel composition and operation program method are limited, and the public's perception has not deviated significantly from the existing behavior. As a result, the size and function of the public space are reduced, resulting in a lack of hospitality services, or the privacy of accommodation, an essential function, is violated by indiscriminate use, and its characteristics are being disrupted.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ajority of hotels are planned in a way that counteracts temporary sales-oriented operating programs and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various uses of hotel public spaces through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in deep 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examines the composition of hotel operating programs and spaces according to WORK+VACATION behavior. Finally, the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test trends in the use of hotel public spac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as public perception and behavior change,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hotel interior space composition plans.

      • COVID-19 펜데믹 환경하에서 Airbnb를 통한 워케이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미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419

        코로나19 펜데믹의 상황 속 4차산업 기술의 발전과 변화된 관광욕구는 호텔 및 숙박산업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다양한 기업들이 비대면 서비스와 온라인 플랫폼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고객 유치를 위해 기업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아울러 전염병이라는 불확실성 속, 워라벨의 가치는 더욱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일과 삶의 조화를 장기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욕구는 점차 발전하여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이렇듯, 현 시기를 기회로 활용하여 세밀한 시장조사와 판단이 필요하며 변화된 관광욕구의 영향력을 충분히 검토될 필요가 있다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표적인 숙박공유 기업인 에어비앤비를 바탕으로 구조적 요인을 세 가지로 나누어 이것이 관계결속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향후 에어비앤비 이용의도와 워케이션 참여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숙소의 지각된 안전성이 계산적 결속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유연한 예약과 Airbnb 호스트의 요인은 관계결속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관계결속 중 정서적 결속이 Airbnb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결속을 통한 Airbnb 이용의도는 향후 이용객들이 에어비앤비를 통해 워케이션에 참여하는데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각 특성의 요소들이 영향력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워케이션 참여 가능성을 확인한 것을 토대로, 학문적 그리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언하고, 이에 따른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제론하였다. In this COVID-19 pandemic, the development of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changed tourism needs are presenting new directions for the hotel and accommodation industries. Due to social distancing, various companies are striving to develop non-face-to-face services and online platforms, and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intensifying to attract customers. In addition, in the middle of the uncertainty of infectious diseases, the value of work-life balance began to draw more attention, and the desire to achieve work-life harmony in the long run gradually developed and became a new travel trend called Workation. As suc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xpanding its influence on online platform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VID-19 and the changed tourism trend as a possibility. In addition, detailed market research and judgment are required using the current period as an opportunity, and the influence of the changed tourism needs needs to be sufficiently review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is affects relationship solidarity by dividing structural factors into three based on Airbnb, a representative accommodation sharing company, and demonstrate how it affects future Airbnb use intention and work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Airbnb. As a result of the study, except for the effect of perceived safety of accommodation on economic solidarity, it was found that flexible matching and trust of Airbnb host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solidarity, and emotional solidar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Airbnb use intention. Airbnb use intention through relationship solidar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future Airbnb users’ work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Airbnb, so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factors of each characteristic proposed in this study were influential variabl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ut possibility of Workation particip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result were suggest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accordingly.

      • 워케이션을 위한 레지던스 호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포도호텔을 중심으로

        박이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407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업무공간은 고정되지 않고 어디서든 원격으로 일하는 형태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에 업무와 휴식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업무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업무 방식은 COVID-19와 MZ 세대의 등장으로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단기적으로 숙식이 가능한 레지던스 공간과 업무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레지던스 호텔들은 워케이션의 근무 환경 조건을 충족하기에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워케이션을 위한 레지던스 호텔을 디자인하는 데 있다. 원격 근무자가 장․단기간 편안하게 삶을 유지하며 업무와 휴식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지는 휴양과 관광에 최적화되어 있는 제주도의 포도호텔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포도호텔의 설계 의도에서 도출하였다. 주요 기능은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워케이션 공간의 특징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디자인 콘셉트는 ‘열림과 닫힘 그리고 자연’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도호텔의 리노베이션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업무의 생산성과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는 공간을 설계하고, 자연과 계속해서 이어지는 구조로 일상의 휴식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워케이션을 위한 업무공간이 반영된 레지던스 호텔의 설계안을 자연경관이 좋은 제주에 위치한 포도호텔에 접목하여 업무와 휴식을 동시에 경험하며 참여자들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어질 수 있는 공간 계획을 제안한다. In today's technologically advanced world, workspaces are transforming from traditional, fixed locations to flexible, remote formats accessible from anywhere. This shift has led to a fusion of work and leisure, giving rise to the concept of "workation."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rise of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have further propelled this trend. To accommodate this evolving work style, there's a growing demand for both short-term and long-term accommodations that cater to workation needs. Traditional residence hotels, however, often lack the necessary amenities to support this hybrid work-leisure environment. Addressing this gap, this paper proposes designing residence hotels specifically for workation purposes. The objective is to create spaces where remote workers can seamlessly blend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ies, whether for brief stays or longer period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Grape Hotel in Jeju, a location ideally suited for leisure and tourism. The design approach is inspired by the original vision behind the Grape Hotel. This research identifies essential elements by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workation spaces. The spatial design philosophy is articulated as a balance of 'openness, closure, and nature.' Under this framework, a renovation plan for the Grape Hotel is outlined. The proposed design enhances productivity and creativity by fostering natural interactions and daily relaxation, connecting the structure with the natural surroundings. The result is a comprehensive design for a residence hotel that integrates workspaces suitable for workation, harmonizing with the scenic backdrop of Jeju's Grape Hotel. This concept aims to craft a venue where individuals can engage in both professional tasks and relaxation, promoting organic interactions among its users.

      • 은퇴자의 해외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과 부부관계에 관한 연구=

        최병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371

        As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r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among the elderly due to the aging population, mental loneliness, and an increase in divorce at dusk, multifaceted efforts are being emphasized to lead a happy life afte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determin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nd to suggest a plan for a living abroad program as part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for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enable people to pursue self-realization and happiness, and promote maintenance of health. The retirement of Korea's baby boomers has raised social issues. They were bor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in society they were leaders in the growth of Korea's industrial society. At home, they faithfully fulfilled their role as heads of the times, investing generously in raising children. However, due to the unprepared retirement of the aging baby boomers, various social problems have been raised, and among these, issues of marital relations such as divorce at dusk have emerged as a key concer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retiree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nd marital relationships as important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Retired people must break away from society, family, and work life and pioneer and adapt to a new life. From this point 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smooth marital relationship, achieve change and development,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Participation in variou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greatly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re becoming an important axis in an individual's life as old age becomes longer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has emerged as a major concern in our society. Therefore, we devoted ourselves to research with the vision that if retiree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re developed into a social system in the future based on existing previous research, they can become a unique culture for retirees. It is worth studying with interest all of our society in order to create the necessary conditions to enjoy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to prepare financially so that one can live proactively as a member of society, and to maintain amicable relationships between couples during old age. For this purpose, a survey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in parall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for retirees living overseas for a long period of time on marital relationships using this Delphi technique,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for retirees were found to be high,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also found to be high. Due to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romotion of the pilot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awareness of workation, a concept similar to long-term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s spread widely,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verseas long-term living travel has also been highly formed. could know that On the other hand,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programs for retirees and the elderly in Korea are still at a weak level, and development and promotion should be more active.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the prospect that a long-term living abroad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s can be supported.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marital relationships can be improved through new environments and diverse experiences through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such as long-term living abroad, and a bond of understanding and reliance on each other can be formed. Long-term overseas travel is highly likely to lead to a decrease in divorce at dusk due to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ed marital intimacy and spread of dependence and mutual trust between couples due to the new experiences the couple has together and the anticipation and excitement of an unfamiliar environment. . In order to improve marital intimacy and a sense of support in old age, couples need to actively engage in activities to improve intimacy. This is also very helpful in fostering a positive view of the spouse and a sense of active support between the couple. It is expected that long-term overseas travel, a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retirees, can lead to increased intimacy and a sense of mutual support between couples in old ag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s and reducing divorce in their twilight years. Recently, the term ‘active senior’ has appeared a lot, which refers to the generation in their 50s or 60s or older who still enjoy consumption and leisure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The government's policies also appear to be actively preparing for these changes. As Korea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a steady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ideas by issuing policy research tasks for active seniors. Therefore, i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such as living abroad for retirees are included as part of a life planning program for active seniors, it may be linked to government policy. There was also a high opinion that participating in overseas travel was more effective after experiencing domestic long-term living travel due to factors such as financial burden and adaptation to an unfamiliar environment. In order to practic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programs such as long-term living abroad, a certain degree of economic power must be provided after retirement. In response to various social changes such as an aging society and early retirement,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epare for life before and after retirement in order to wisely prepare for life in old age. In addition, continuous efforts by individuals and society are need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One of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highlight the need for various practical studies to improve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programs in line with new trends and changes. 저출산과 기대수명의 증가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 빈곤 문제, 정신적 고독, 황혼이혼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킴에 따라 은퇴 이후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다방면적 노력이 노력이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은퇴 이후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건강한 부부관계를 위한 여가문화활동의 일환으로 해외 살아보기식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가문화활동은 인간의 삶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자아실현 및 행복을 추구하게 하고 건강 유지를 증진한다.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전후로 태어나 사회에서는 대한민국 산업사회의 성장을 주도한 역군으로, 가정에서는 자녀 양육 등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는 가장으로서 시대적 역할을 성실히 수행했다. 그러나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세대에서 준비되지 못한 은퇴로 인해 여러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어 왔고 이 중에서 황혼이혼 등 부부관계의 문제가 핵심적인 관심사로 떠올랐다. 따라서 노년기 삶의 질과 관련된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서 은퇴자의 여가문화활동과 부부관계의 문제가 이 논문의 분석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은퇴자는 사회·가정과 직장생활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적응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이때부터는 적극적으로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며 생활 만족도를 향상하게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은퇴 이후 여가문화활동은 노년기가 길어지면서 은퇴자의 생활 만족도와 삶의 질이 우리 사회의 중대한 관심사로 등장함에 따라 개인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한 축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은퇴 이후 여가문화활동을 누릴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의 조성과 사회구성원으로서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재무적인 준비와 노년 기간 부부의 원만한 관계 유지를 위해 우리 사회 모두가 관심 있게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설문 조사와 문헌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노년기 은퇴자들의 해외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과 부부관계를 분석했다. 델파이 기법에 따라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은퇴자 여가문화활동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은퇴자 여가문화활동의 필요성과 그 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참여 의사도 높게 나타났다. 정부와 지자체의 시범사업 홍보로 인해 장기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과 유사한 개념인 워케이션(workation)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여행에 대한 참여 의사도 높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은퇴자나 노년 계층을 위한 여가문화활동 프로그램은 아직 미약한 수준이며 개발과 홍보가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프로그램이 부부관계의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에서 새로운 환경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부부관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를 이해하고 의지하는 유대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장기 살아보기식 해외여행은 부부가 함께하는 새로운 체험, 낯선 환경에 대한 기대 및 설렘 등으로 인하여 부부친밀감 상승, 부부간의 의존 및 상호 신뢰 확산 등의 긍정적인 효과로 황혼이혼의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부의 적극적인 친밀감 향상 활동이 필요하다. 이는 배우자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부간 적극적인 부양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에도 큰 도움이 된다.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여행이 은퇴자 여가문화활동 프로그램으로 노년기 부부간 친밀감 상승과 상호 부양의식의 고취로 이어져 부부관계 개선과 황혼이혼 감소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은퇴 이후에도 여전히 소비생활과 여가생활을 즐기며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50~60대 이상의 세대를 지칭하는 ‘액티브 시니어’라는 용어가 유행하고 있다. 정부 또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정책과제를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은퇴자의 해외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생애설계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본 연구 또한 정부의 사회정책과도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여행은 비용적인 문제와 낯선 문화의 환경에 적응 등의 부담으로 국내에서 장기 살아보기식 여행을 경험한 후에 해외여행 참여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높게 나타났다. 해외 장기 살아보기식 여가문화활동 프로그램의 실천을 위해서는 은퇴 이후 경제력이 어느 정도 수반되어야 한다. 고령사회와 조기 은퇴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서 은퇴 이후 증가한 노년기 삶을 슬기롭게 준비하기 위하여 은퇴 이전부터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은퇴 이후 삶의 만족을 증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추세와 변화에 맞는 여가문화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도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 직업 및 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인식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인숙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24

        코로나19의 확산은 기업의 재택근무, 시간차 근무 등 다양한 형태의 근무방식으로 코로나19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보이면서 유연근무제에 대한 확대 및 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업가치관 및 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의 인식에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유연근무제의 제도적 정착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특히, 직업가치관과 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 인식과 행동의도 사이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 에 대한 여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장인 229명을 표본으로 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직업가치관의 타인관계직업가치관, 도전적직업가치관, 자아발전직업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의 자기발전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한편, 직업가치관의 금전적직업가치관은 유연근무제의 제도정비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0.01). 둘째, 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가치관의 가족지향가치관, 자기개발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의 자기발전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또한, 여가가치관의 가족지향가치관, 자기개발여가가치관이 유연근무제의 제도정비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셋째, 유연근무제의 인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연근무제인식의 자기발전인식과 제도정비인식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0.001). 또한, 유연근무제의 인식과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직업가치관과 여가가치관의 조절효과를 확인 한 결과 첫째, 유연근무제의 자기발전인식이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직업가치관의 자아발전적직업가치관이 긍정적인 조절변수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B=.105, β=.107, t=3.296, p<.01). 둘째, 유연근무제의 자기발전인식이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여가가치관의 자기개발여가가치관이 긍정적인 조절변수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B=.203, β=.203, t=2.626, p<.05).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직업가치관과 여가가치관은 유연근무제의 인식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직업가치관이나 여가가치관 중에 자아발전과 관련된 가치관이 유연근무제를 통해 자아발전의 실현의 기회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As the spread of COVID-19 shows effort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through various types of work methods such as telecommuting and time difference, discussions were being made on the expans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its poss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establish the flexible work system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s and leisure values of office workers on the percep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ccupational value and leisure value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29 office worker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ob values related to others, challenging job values, and self-development job valu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development percep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p<0.05).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netary vocational value of job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ystem maintenanc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p<0.01).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leisure values on the percep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oriented values and self-development leisure values of the flexible work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evelopment perception (p<0.0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oriented values and self-development leisure values of leisure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ystem maintenance of the flexible work system (p<0.0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self-development and system maintenance of flexible work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p<0.001).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value and leisure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flexible work system and behavioral intentio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development of job value positively affects behavioral intention (B=105, 5,=).107, t=3.296, p<.01). Second, when the perception of self-development of the flexible work system positively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development leisure value of the leisure value tube affects it as a positive control variable (B=.203, ==).203, t=2.626, p<.05).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values and leisure values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in particular, among job values and leisure values, values related to self-development are thought of as opportunities to realize self-development through the flexible work system

      • 리모트워크를 위한 제주 레지던스 오피스 디자인

        박유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24

        오늘날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일하는 방식은 다변화하며 혁신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와 기술 발전으로 고정된 업무공간을 벗어나 원격으로 일하는 디지털 노마드라는 개념이 나타나면서 업무 환경과 행태는 점차 진화하였다. 이러한 혁신의 배경은 업무를 인식하는 태도와 업무 방식의 변화에서도 기인한다. 과거에는 일을 하는 목적이 생계와 직결되었고, 그로 인해 삶과 일을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며 일의 목적은 점차 다양해졌다. 생활의 영위를 위한 목적 외에도 자아실현이나 개인에게 가치 있는 일에 시간을 투자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며 변화가 시작되었다. 일하는 목적이 이전보다 주관적이고 세분화되며 다양해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우연히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구에 맞는 기술과 환경의 혁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러한 업무 방식의 변화는 지난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었고 선택의 상황이었던 원격근무가 한때에는 필수의 상황이 되기도 하였다. 공유오피스나 기존 시설을 이용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 걸맞은 재택과 원격근무를 위한 리모트워크에 대응하는 공간은 아직 미비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리모트워크를 시행하는 리모트워커를 위한 새로운 공간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리모트워크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나 업무와 휴식의 구분 없이 어디에서나 일하는 업무 방식을 말한다. 점차 업무와 휴식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업무공간에 휴식의 도입은 근무자에게 업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긴장감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는 제주도 서귀포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통한 휴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지에 계획할 리모트워크를 위한 레지던스 오피스는 업무와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원격 근무자, 즉 리모트워커를 위한 공간으로 근무자들이 장, 단기간 머무르며 일할 수 있는 복합공간이다. 이와 관련한 국내외 사례들을 분석하고 공간 특성과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와 대상지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한 후 그 콘셉트에 맞게 공간을 설계하였다. 프로젝트의 타이틀은 ‘제주에서 비우고 채우다’이다. 이는 휴식과 업무라는 다소 이질적인 기능을 복합하는 과정에서 도출하였다. 두 기능을 다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비움’의 개념을 적용하고, 여기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운 이미지를 휴식과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집중과 몰입이 필요한 업무의 기능을 비워진 공간 사이에 ‘채움’으로써 둘의 균형을 맞춘다. 이러한 개념을 공간에 적용해 다양한 시선과 경험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공간을 경험하는 개개인이 스스로 내면을 비우고 채우는 과정을 반복하기를 바랐다. 점차 휴식과 업무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있다. 업무공간의 디자인 방향이 인간과 자연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는 근무자의 요구가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발현되고 있으며, 이는 본 연구와 관련된 리모트워크를 위한 공간, 그리고 레지던스 오피스의 설계가 지속 연구될 가능성을 드러낸다. 본 연구를 통해 리모트워크 업무 방식을 위한 레지던스와 오피스로 구성한 복합공간을 설계하고, 이를 자연 경관이 좋은 제주에 위치시켜 업무와 휴식을 동시에 경험하는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Today, the way people work is developing innovatively with diverse change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As the term digital nomads emerged to describe people who work remotely outside of a fixed work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echnology, work environment and behavior also gradually evolved. The background of such innovation also stems from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 work and work methods. In the past, the purpose of work was connected directly to livelihood. Therefore, life and work were perceived as one. With the change of times, however, the purpose of work gradually diversified. This is because, the need to invest time in self-realization or personally valuable work increased besides the goal of making a living. As a result, the purpose of work become more subjective, segmented, and diverse than before. These changes did not happen by chance but were possible because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innovations catering to diverse needs. Changes in work methods have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First, remote work, which was once an option, has become a necessity. Second, services using shared offices or existing facilities are increasing.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still not enough space that responds the needs of remote workers for telecommuting and remote work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space for remote workers. Remote work refers to a work method that allows a worker to work anywhere and anytime without any restrictions on place and time an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rest. In this arrangement, the boundaries between work and rest are getting blurred, and the introduction of rest in the work space works as a factor of relieving work stress and lowering tension for workers. Therefore, the Seogwipo area of ​​Jeju Island is chosen as the site of this project so that its beautiful natural scenery offers rest to remote workers. The residence office planned here is a space for remote workers who aim for work and rest. It is a complex space where workers can work while staying for a long term or a short term.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analyzed to deduce pertinent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After establishing a design concept that reflects the analysis results and site characteristics, the residence office spac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ept. The title of the project is ‘To empty and to fill in Jeju.’ The title was decided in the process of mixing work and rest, two functions that are somewhat heterogeneous. The concept of 'emptying' is applied for a space of possibility that can contain both functions, and the relaxed image emanating from the space can be connected with rest. In contrast, by ‘filling’ the emptied space with the function of work that requires concentration and immersion, a balance is created between the two. The residence office is intended to convey a variety of viewpoints and experiences by applying such a concept of space, and it is expected that each individual who experiences this space would repeat the process of emptying and filling his/her inner self. The boundaries between rest and work are getting blurred. The direction of work space design is changing with a focus humans and nature. This proves that the needs of workers stem from those elements. This trend of change is also observed in Korea,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design practice and research of spaces for remote work and residence offices. In this study, a complex space consisting of a residence and an office for the work arrangement of remote work is designed and conceived in a location in Jeju Island surrounded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so as to present a new space where one can experience both work and rest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