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모관심도와 얼굴윤곽관리 인식 및 관리 행동의 심리적 효용 연구

        김루비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외모관심도와 얼굴윤곽관리 인식 및 관리행동에 대해 살펴보고 심리적인 효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총 822부의 자료를 수집 및 선별하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주성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연령은 30대, 학력은 대학교 졸업, 직업은 자영업, 월평균 소득은 550만 원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부 관리 및 얼굴윤곽관리 정보 습득 경로는 친구나 지인, 본인 얼굴 윤곽관리의 필요 유무는 예, 본인의 얼굴윤곽관리에 대한 견해 정도는 매우 긍정, 얼굴윤곽관리를 받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자신감상승을 기대하였다. 또한 얼굴윤곽관리를 받고 있는 사람이 많았으며, 얼굴윤곽관리를 받게 된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외모 불만족, 얼굴윤곽관리를 받고자 할 때는 에스테티션의 실력이 중요하며, 관리 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얼굴윤곽관리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경험 못했지만 정보만 충분히 제공된다면 관리를 받을 의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외모관심도, 얼굴윤곽관리 인식, 얼굴윤곽관리 행동 심리적 효용에 차이를 보였고, 얼굴윤곽관리 실태에 따라 외모관심도, 얼굴윤곽관리 인식, 얼굴윤곽관리 행동, 심리적 효용에 차이를 보였다. 외모관심도와 얼굴윤곽관리 인식 및 관리 행동의 심리적 효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외모관심도가 얼굴윤곽관리 인식, 얼굴윤곽관리 행동, 심리적 효용에 외모 향상형이 가장 큰 변수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고, 얼굴윤곽관리 인식이 얼굴윤곽관리 행동과 심리적 효용에 신뢰성이 가장 큰 변수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얼굴윤곽관리 행동이 심리적 효용에 유행성이 가장 큰 변수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외모관심도와 얼굴윤곽관리 인식 및 관리 행동의 심리적 효용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얼굴윤곽관리 인식과 관리 행동에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한 만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용 산업이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interest in appearance and face contouring perception & behavior and examine their influence on psychological utility.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A total of 822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terms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30s’, ‘college graduates’, ‘sole proprietorship’ and ‘KRW 5.5 million or higher’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When asked how they get the information on skin care and face contouring, ‘friends or acquaintances’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if face contouring is needed, many respondents said, ‘Yes’. When asked what they think of their face shape care behavior, ‘very positive’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face contouring, ‘increase in self-confidence’ was mostly chosen. In addition, many respondents were getting the face contouring treatment. When asked what made them get face contouring, ‘dissatisfied with my appearance’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what aspect they consider most in getting face contouring, ‘aesthetician’s skills’ was selected. In general, respondents’ satisfaction was high after the treatment. Som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have face contouring because they had no idea about the treatment. When asked if they are willing to get the treatment once they are well informed of it, many respondents said, ‘Y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interest in appearance, face contouring perception, face contou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utility. Depending on face contouring conditions, in particular, interest in appearance, face contouring perception, face contou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utility revealed differences. The results found that interest in appearance and face contouring perception & behavior are critical variable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utility, and correlations among them were confirmed. Specifically, ‘interest in appear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ace contouring perception while ‘appearance improvement’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face contou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utility. In addition, ‘face contouring perception’ was the largest variable in terms of reliability,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face contou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utility. Lastly, ‘face contouring behavior’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utility as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trend.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interest in appearance, face contouring perception and face contou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utilit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ince the positive aspects of face contouring perception and behavior have been confirm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important data in planning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osmetology industry.

      • 외모지상주의를 풍자한 조형표현 연구 : 도자와 유리의 접목에 의한 표현을 중심으로

        황선웅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인간에게 있어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인간이 스스로 존재감을 느끼고 그 존재감을 통해 자기 발전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인간이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형식 중에서 몸은 개인의 주체성과 정신성을 담고 있는 인간 정체성의 한 요소이다. 우리는 외모가 또 하나의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곧 자기 자신을 의미하고 자신을 대표하는 것으로, 한 개인에게 있어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개인 경쟁력의 구성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외모를 중시하는 풍조에 따라, 명품을 포함한 브랜드의 선호에 의한 소비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성형수술 등을 통한 외모를 가꾸게 되고 외모의 변모가 곧 취업 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TV나 인터넷 등의 대중매체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내면보다는, 시각적 감각의해 더 쉽게 사물이나 외형을 인지하면서 개인의 능력만큼이나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가 자연스레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사람조차 외모로 판단하는 경향으로 변화되었다. 더욱이, 수많은 광고와 정보를 접하며 문화에 발돋움 하여 현대인의 의식도 점차 빠르게 호응하기 시작하였다. 먹고 살기에 급급한 것이 아니라, 같은 소득으로 얼마나 스스로의 가치를 돋보이게 하고 남에게 얼마만큼 잘 살아 보이게 치장하는 관심을 더욱 기울이게 된 것이다. 그 한편의 허세가 겉치레와 물거품으로 더욱 더 상품화되면서, 허상의식의 감정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유혹적이고 흥미로운 가상의 세계로 구축으로 이어나갔다. 다시 말해, 소비자들은 물질적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외형적, 상징적 이미지를 구매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불편한 진실과도 같은 사회적 배경을 근거로 본인의 작품을 ‘외모지상주의’라는 사회에서 보여지는 현대인의 이미지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도입하게 된다. 작품에서 상품화된 일상의 가치들을 다시 외형적 육체가 상품화되어 가는 과정을 재현함으로써 ‘외모지상주의’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의 작품에서 현대 사회에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적인 면을 시각안에서 고찰해 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자의 작품의 주제와 내용, 그리고 표현방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Today, people feel that they are alive by expressing themselves. Moreover, it enables people to develop into better human beings. Human body can be a tool that people use to express themselves. Body is one element of identity which contains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We are living in an era where the appearance is another competitive power. In this modern society, how you look means and represents who you are. To each individual,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keeps on developing into the element of individual competitive power. Due to the atmosphere where appea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valuating someone’s value, preference towards prestige goods increased, and consumer culture developed in a weird way. Moreover, plastic surgery became almost necessary when it comes to job search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internet, ‘judging the book by its cover has become an ordinary thing. People these days never hesitate to judge others based on their appearance. Furthermore, due to a massive amount of commercials and information, viewpoints of people changed rapidly. They started focusing more on how they look, spending much money decorating themselves. Since ostentation has gradually become commercialized, false images were created. It is like people are buying false symbolic images, instead of material products. My work has been done based on this inconvenient truth. I applied ‘lookism’ and various other phenomena to my work. I would like to consider ‘lookism’ showing how our values are being commercialized. The object of my study is my piece of work. The purpose is to think of many sides of our society through visualization, and to make the subject, context, and methods of this study clear.

      • 무용전공대학생의 외모관리 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무용전공대학생의 외모관리 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dagag

        김민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of college dance major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o a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ing the dance of college student majors.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questionnair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distributed to college dance majo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April 2018. A total of 29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o be able to respond freely after explanation about how to respond. The analysis of all data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PASW 21.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at minimizes loss of information is used as a factor extraction metho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arimax among orthogonal rotation methods was used as a rotation metho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ronbach′s α, which measures internal consistency. Third,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college dance majors on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grade,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upper grades than lower grad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visit appearance management, a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that Korean dance was higher than foreign d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ase of major satisfaction,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foreign dance was higher than Korean d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careers, makeup and skin care factor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7 years or more care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ase of d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education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mong those with more than 7 years of career than those with less than 7 year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ase of dance persistence intention, more than 7 years of career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less than 7 year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ize-winning, environmental satisfac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among a prize-wining group than a non-prize winning group,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case of dance persistence intention, reinforcing factor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sistence intention than the group without priz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ifth,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appearance satisfaction, makeup and skin care factors showed more administrative action than an unsatisfied group,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major satisfaction, clothing management, which is the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t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visit appearance management,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ological factors were negatively influenced, while the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ven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dance persist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clothing management effect, which is a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sibility factors. In the case of visit management, it had a negative impact on reinforcing factors. Eigh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dance persistency intention, psychological factors and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endency factors and possibility factors, while physiological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tendency factors.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을 지속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서울·경기 지역에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 근거한 설문지를 2018년 4월 배포하였다. 응답요령 설명 후 자기평가기입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모든 자료 분석은 윈도우용 PASW 21.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요인추출방식으로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주성분분석, 회전방식으로는 직교회전 방식 중 베리멕스(Varimax)기법을 이용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무용지속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ze)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학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무용지속의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모두 고학년이 저학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복관리 행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방문외모관리는 한국무용이 외국무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의 경우 환경적요인은 외국무용이 한국무용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차이 분석 결과 메이크업 및 피부관리 요인은 경력 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만족의 경우 심리적, 교육적, 생리적, 환경적 요인 모두 경력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지속의도의 경우 가능성요인은 경력 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수상유무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분석 결과 환경적 만족의 경우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무용 지속의도의 경우 강화성 요인은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지속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외모만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결과 메이크업 및 피부관리 요인은 외모에 불만족하는 집단이 만족하는 집단 보다 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외모관리행동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의복관리 경우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요인, 휴식적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외모관리의 경우 심리적요인, 생리적 요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모관리행동의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의복관리의 경우 가능성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관리의 경우 강화성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전공만족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은 심리적요인과 환경적요인은 무용지속의도의 경향성요인과 가능성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리적 요인은 경향성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 청소년의 외모 관련 사회적 압박과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이현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의 대한민국 사회는 마른 체형에 대한 문화 규범과 체형 정체성 및 자기 인식평가를 따르는 지나친 외모 중심 사회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신체상에 대한 염려, 신체 불만족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신체 변화 전략’을 사용할 정도로,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사회참여에 필요한 가치, 태도, 기능을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 매스미디어, 부모, 또래집단, 학교 등 4가지 사회화 요인을 통하여 외모의 사회적 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요하게 여기며, 나아가 자신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 시기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이 느끼는 외모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 외모 관련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압박에 대해서는 보고되었으나, 또래와 부모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변인인 또래와 부모에 의한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체형인식 및 만족도,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 신체부위 만족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및 중도 포기를 제외한 총 1,00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9.2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측정변인 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시행하였다. 둘째, 측정변인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셋째, 측정변인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넷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성,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의 정도와 외모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성형태도에 있어 여학생의 92.42%가 성형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과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있어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남녀학생 모두 긍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정적 상관성을 부정적 평가는 중등도 이상의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외모만족도는 여학생에 있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약물을 복용한 집단일수록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부정적 평가는 여학생에 한해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에 대한 유의한 설명변수였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성형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여학생은 외모관련 사회적 압박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에 의한 사회적 압박을 해소하면서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교육, 개입, 대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남자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신체만족, 피부외모관심 및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김창숙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를 살아가는데 있어 외모는 비언어적인 형태의 자아로, 개성과 이미지형성에 대한 사회 심리적 요소에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 신체나 용모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청소년기에 외모관심과 외모관리행동은 더욱 빠르고 즉흥적이다. 본 연구는 남자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급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잠재적 성인남성 고객인 남자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 피부외모관심,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남자고등학생의 외모관리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강남, 강북지역 거주 1, 2, 3학년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5월1일부터 5월10일까지 총 620부를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검증, 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원에서는 자기애, 지적자신감, 모범성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 하였으며, 모범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강북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신체만족의 차원에서는 손, 발만족, 얼굴만족, 헤어만족, 몸매만족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거주지역에 따른 피부외모관심의 차원에서는 외모인식, 피부외모관심, 관심실천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 하였으며, 관심실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강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원에서는 메디컬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유형화 하였으며, 메디컬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세 요인 모두 강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적자신감이 증가할수록 외모관리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 본 결과, 지적자신감이 높을수록 메디컬, 헤어, 피부, 몸매관리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몸매만족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 본 결과, 몸매만족이 높을수록 메디컬, 헤어, 피부관리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만족의 손·발만족, 얼굴만족, 헤어만족, 몸매만족요인은 몸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피부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심실천이 높아질수록 외모관리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 본 결과, 관심실천이 높을수록 메디컬, 헤어, 피부, 몸매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남성들의 뷰티관련 산업은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특히 남자고등학생들은 변화에 주저함 없이 즉흥적이며, 남성시장의 선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에게 적합한 시장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제품개발 뿐 아니라 마케팅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체계화하여 그 시장을 확대 시킬 수 있을 것이며, 뷰티산업 성장에 충분히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 비교 연구

        김나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처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만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개인의 외모만족에 따라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심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관련하여 예측되는 심리적 특성 중 하나인 우울이 성별, 학교유형 그리고 학교 형태에 따라 어느정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별, 학교유형 그리고 학교 형태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인 측면이 자아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외모가 갖는 중요도도 다른 시기에 비해 증가하는 사춘기를 전후한 청소년을 이해하고 그들이 겪을 수 있는 우울에 대해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개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마다 1 · 2 · 3학년의 학생들 684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66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측정 도구로는 청소년의 신체와 외모에 대한 태도와 감정을 측정하기 위한 외모만족도 척도(이주하, 2005)와 Kovacs(1981)가 개발하고 한유진(1993)이 번역한 아동용 우울 검사(CD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교유형, 학교 형태별로 나누어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외모만족도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인문계고 학생이, 여자학교 학생보다 공학교 학생이, 공학교 학생보다 남고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외모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집단 모두에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고, 외모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자칫 잘못하면 심리적인 위축을 가져오게 되어 정서적으로 우울을 가져올 수 있게 되며, 우울은 생활 전반을 무기력하게 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외모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성공하는 길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여러 다양한 삶의 형태를 통해 행복에 이룰 수 있음을 깨닫도록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며, 외모에 대한 올바른 정립과 교육을 제공하여 그들의 정서적인 안녕을 돕고 스스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우울이 감소하고 건전하고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하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한국 여성의 외모 꾸밈과 탈코르셋 운동

        김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외모는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사람들은 외모를 꾸미고 단장하여 좋은 인상을 주고자 노력한다. 특히 여성에게 있어 외모는 매력을 평가하는 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로 여성은 외모를 꾸미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왔다. 문제는 이러한 사회적 편견이 미디어와 상업성의 발달과 결합되어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여성의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편견과 불평등을 바로잡고자 하는 탈코르셋 운동이 2017년부터 전개되어 왔다. 탈코르셋 운동은 여성에게 불평등하게 부과된 코르셋과 같은 외모에 대한 압력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를 가진 여성 운동이다. 탈코르셋 운동은 각종 SNS, 유튜브 등 온라인을 통해 개인 단위로 활발히 전개되는 등 미디어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다는 특징을 보였다. 여성의 외모 꾸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압력은 크게 미디어 압력과 소속집단 내 준거인을 통한 압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준거인은 소속집단 내 구성원으로 개인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적 압력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을 선택하였다. 이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이 사회적 압력을 인식하고 이에 동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살펴보기 위한 변수이다. 본 논문은 주관적 규범의 사회적 압력 인식을 보완하고자 지시적 규범과 기술적 규범을 변수로 추가하여 개인의 의도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시적 규범과 기술적 규범은 각각 ‘행동 주체가 외모 꾸밈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인식하는 것’과 ‘실제 준거인들의 외모 꾸밈 행동 수준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모 꾸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고, 실제 꾸밈 수준이 높은 20-30대 여성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헤어’, ‘메이크업’, ‘의복행동’을 중심으로 한 외모 꾸밈에 대한 사회적 압력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적 압력이 주관적 규범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탈코르셋 운동이 여성들의 외모 꾸밈에 미친 영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 기사와 유튜브를 분석하여 미디어 속에서 탈코르셋 운동의 취지와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심층 면접을 통해 한국 20-30대 여성의 외모 꾸밈에 관한 사회적 압력 경험과 그 경험이 주관적 규범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탈코르셋 운동이 여성의 외모 꾸밈에 대한 사회적 압력과 개인의 주관적 규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먼저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8월 23일까지 빅카인즈에서 ‘탈코르셋’ 키워드로 검색된 신문 기사 514건을 내용분석 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사회적 압력 경험과 탈코르셋 운동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21년 10월 8일에 ‘탈코(탈코르셋의 줄임말)’와 ‘탈코르셋’으로 검색된 영상 중 조회수 10만 이상의 영상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20-30대 여성들이 경험하고 인식한 사회적 압력과 탈코르셋 운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 평등 의식과 탈코르셋 운동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50부를 수집하였다. 이중 중복 참여나 완료하지 않은 답변을 제외한 나머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기준으로 성 평등 의식이 평균 이상이며 심층면접에 동의한 연구 참여자 19명을 선정하고, 탈코르셋 운동에 관한 견해를 보완할 탈코르셋 참여자 5명을 추가 선정하여 총 23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오르지(Goi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신문 기사와 유튜브를 중심으로 미디어에서 관찰된 탈코르셋 운동의 취지와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코르셋 운동의 취지는 크게 ‘사회에서 요구하는 차별적이고 획일적인 꾸밈을 거부하는 운동’이자 ‘꾸밈 버림 추구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탈코르셋 운동의 영향에 대한 미디어의 인식은 ‘꾸밈 행동의 주체성에 대한 인식 변화’와 ‘페미니스트의 상징성을 갖게 됨에 따른 변화’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성차별적 꾸밈 규범 거부, 자신에 대한 이해 수준 향상, 자기중심적 꾸밈 선택, 타인의 외모에 대한 관심과 언급 지양 등으로 변화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 후자는 페미니스트에 대한 부정적 관점 투영 및 다른 여성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의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에 의한 압력이 개인의 주관적 규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가 외모 꾸밈에 영향을 주는 방식은 크게 획일적이고 이상적인 기준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내면화하도록 하는 방식과 외모 꾸밈에 관한 직접적인 비교와 부정적 평가를 통해 수치심을 공유하게 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사람들은 압력이라고 직관적으로 인식하지는 못하나 준거인의 꾸밈 수준 인식과 동일한 기술적 규범의 과정을 통해 미디어에서 제시한 기준이미지에 자주 노출되어 익숙해짐에 따라 행위자를 둘러싼 준거인들의 꾸밈으로 인식되고 이를 기준으로 삼았다. 전자와 달리 미디어를 통해 부정적 평가를 간접 경험하는 두 번째 방식의 경우 연구 대상자들은 미디어 속 인물의 수치심이 행위자에게 감정 전이를 일으켜 이를 수치심을 피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고, 타인과 비교를 하고 있었다. 이는 행위자가 준거인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꾸밈 정도로 인식하는 지시적 규범으로 작용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준거인의 외모 꾸밈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압력으로 인식한 방식은 칭찬, 꾸밈 제안, 평가, 비교, 단순 언급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중 가장 많이 언급된 사례는 부정적 평가나 반응이었다. 이것은 부정적 경험을 통해 준거인들이 행위자에게 기대하는 꾸밈 수준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시적 규범에 해당한다. 지시적 규범의 경우, 실제 꾸밈 행동으로 연결되는 정도는 개인이 가진 꾸밈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다수의 참여자는 사적 관계나 수평적 관계에서 준거인들의 기대를 인식하였으나 이에 꼭 맞추지 않는다는 응답을 하였다. 반면 참여자들의 소득이나 승진, 학점 등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적 관계에 있는 준거인의 기대는 참여자의 동조적 행동을 유발하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또래들의 전반적인 꾸밈 수준 또한 동조적 태도를 유발하였다. 이는 소속집단에서 부정적으로 눈에 띄는 것이 수치심이나 불이익과 연결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내재된 결과로 볼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사회적 압력 경험에서 기술적 규범이 지시적 규범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탈코르셋 운동과 관련하여 운동의 취지에 대한 일반 참여자들의 대답은 신문 기사에서 다룬 집단 중심적 관점이 더 많이 나타났다. 반면, 탈코르셋 운동 참여자의 경우 동조적 유튜브 콘텐츠에 나타난 관점과 일치하는 취지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탈코르셋 영향에 대해서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 꾸밈을 줄이게 된 것과 타인에게 압력이 되지 않기 위하여 꾸밈에 관한 언급을 지양하게 되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직장인의 경우 직장 내에서 외모 관련 언급 자체가 금기시되는 분위기로 변화하거나, 동료들의 실제 꾸밈 수준도 낮아지고, 다양해지는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는 것처럼 개인 단위뿐 아니라 집단 단위의 변화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사나 유튜브 콘텐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메이크업을 하지 않거나 짧은 헤어스타일을 했다는 이유로 페미니스트라고 지적을 받거나, 페미니스트라고 지적을 받을까봐 오히려 꾸미게 된 사례는 탈코르셋 참여를 인증한 소수를 제외하고 일반 참여자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미디어에서 관심을 유도하거나 특정 분위기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극적인 기사나 콘텐츠를 경쟁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에 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20-30대 여성이 경험하고 인식한 여성의 외모 꾸밈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미디어 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보았고, 사회 구조적으로 주체적이고 다양한 외모 꾸밈 선택을 제한하는 방식과 이러한 압력이 개인에게 미치는 실제적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신문 기사에서 살펴본 사회적 압력은 집단을 중심으로 한 구조적 문제나 특정 사건에 집중한 반면, 인터뷰나 유튜브를 통해 살펴본 사회적 압력은 개인의 환경 특성과 성격에 따른 개인적 경험에 집중되어 있었다. 기존의 외모 꾸밈에 관한 연구는 전자에 집중하여 살펴본 연구가 다수였기에 본 연구는 개인적, 일상적인 사회적 압력에 초점을 맞추고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외모 꾸밈 관련 사회적 압력을 탈코르셋 운동과 연결시켜 살펴본 연구들이 여성학적 관점에서 여성의 신체가 가진 상징성이나 화장에만 집중했던 것에서 벗어나 화장뿐 아니라 헤어와 의복행동을 포함한 일상적 외모 꾸밈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탈코르셋 운동을 실질적 꾸밈 행동과 관련지어 실시한 연구들은 대체로 화장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화장이 여성에게만 요구되는 대표적 꾸밈방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상의 꾸밈은 더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범위를 넓히고,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꾸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본 연구는 현시대의 20-30대 여성들의 일상적 꾸밈을 다양한 시선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탈코르셋 운동에 대한 연구가 탈코르셋 운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일반 참여자와 탈코르셋 운동 참여자가 포함된 현시대의 20-30대 여성들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상황이나 경험, 외모 꾸밈이 주는 의미에 따라 탈코르셋 운동에 대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여성들 사이에서 탈코르셋 운동을 두고 대립하는 대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탈코르셋 운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성 평등 의식에 있어 평균 이상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추후 성 평등 의식 수준이나 연령의 폭을 넓혀 살펴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appearance is an important element deciding an impression of people so we make effort for a favorable impression by grooming. However, appearance plays a greater role in women when evaluating their attraction and actually they spend more time taking care of their appearance. Social prejudice leads to social pressure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commerciality and there have been attempts at correcting such an imbalance via the movement of Escape the corset in 2017. Escape the corset is a feminist movement which aims to escape from pressure for appearance shown from a corset unfairly imposed to women. Escape the corset was developed online by individuals on SNS and the YouTube, showing a characteristic where media play a greater role. Social pressure, which affects grooming by women, may be divided into the pressure by media and by a reference group member to which one belongs. The referential person refers to a member of the one's group who influences each other.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ive norms as a concept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pressure. I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it is a variable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recognizing and agreeing to social pressure. Injunctive and descriptive norms were added to the initial subjective norms, meaning 'recognizing what is expected for grooming by an actor' and 'recognizing a level of grooming behaviors by a actual referential person, respectively. Hence, based on 'hair', 'makeup' and 'clothing behavior' commonly done by women in their 20s-30s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grooming with a high level of skills,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y experienced and perceived social pressure for grooming and what effects such social pressure had on the formation of the subjective norms. In addition, it reviewed the effects of Escape the corset on women's grooming.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ly, it looks at the intention and the effect of Escape the corset through the analysis on media such as newspaper articles and the YouTube. Secondl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women in their 20s-30s, it inspects their experiences of social pressure for grooming and the effects such an experience has o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norms. Thirdly, it examines the effects of Escape the corset on social pressure for female grooming and their subjective norms. For the research, an analysis was done for 514 newspaper articles searched with a keyword of 'Escape the corset' from Big Kind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23, 2021. Besides, to know about the opinions of individual experience of social pressure and those of Escape the corset, as for the videos retrieved with key words of 'Talco(a short for Tal-corset)'and 'Escape the corset' on the 8th of October 2021,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videos with more than 100,000 views. And then, in order to research social pressure and Escape the corset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females in their 20s-30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including items on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the attitude of Escape the corset, collecting 250 copies. Questionnaires with participations overlapped or answers uncompleted were exclud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study selected 19 participants who had above-average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agreed to in-depth interviews, along with 5 additional participants to complement opinions of Escape the corset, and 1:1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23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y Goirgi. Firstly, as for the intention of Escape the corset, from newspaper articles and on the YouTube, it shows that it is regarded as 'the movement to deny the discriminatory and uniform grooming demanded in society' and 'the movement to pursue getting rid of grooming'. The effects of Escape the corset on media may be referred to as two, such as 'a change of subjectivity awareness in grooming behaviors' and 'a change resulted from the feminist symbolism'. The former may be embodied by rejection of sexist grooming norms, improvement of self-understanding, selection of one's own grooming and avoidance of interest in and comment on others' appearance. The latter may be specified into projection of negative perspectives about feminists and effects on changes of other women.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pressure by media on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ubjective nor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way media influence grooming may be referred to as the natural internalization of a standardized and ideal image and sharing of shame through the straightforward comparison and negative evaluation of looks. In case of the former, though people cannot recognize pressure intuitively, as they are frequently exposed and accustomed to a standard image suggested by media, it is set as a standard for grooming by a referential person surrounding an actor through a process of the descriptive norms perceived as level of grooming by such a referential person. Unlike the former case, if they have indirect experience of a negative evaluation by media, shame felt by a person on media causes an actor to experience emotional transference so it becomes a reference for avoiding shame, inducing comparison with others. It functions as the injunctive norm perceived by an actor as a degree of grooming that referential person is expecting. Secondly, grooming of a referential person was perceived as pressure through communication in many manners including praise, suggestion for grooming, evaluation, comparison and a simple comment. In particular, the most mentioned case is negative evaluation or reaction. It pertains to the injunctive norms in that actors can know a level of grooming expected by referential persons through such negative experi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values of groom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a degree that injunctive norms led to an actual grooming behavior. In the private or horizontal relation, there were a lot of participants who mentioned that they did not follow the expectation of the referential person even though they had perceived it. On the other hand, in the vertical relation where the evaluation of the referential person influenced their income, promotion or grades, they were influenced by her expectation and showed the conforming behavior. In addition, at work or school, they frequently showed the conforming behavior about grooming of peers. It may be said that it originated from fear that in a group to which they belonged, negatively standing out could result in shame or disadvantage. Accordingly, as for experience of social pressure, it reveals descriptive norms function more strongly than the injunctive norms. Thirdly, as for the intention of Escape the corset, in general participants had a collective perspective dealt with in newspaper articles but those who participated in Escape the corset had a perspective matching with that of the YouTube contents sympathetic with the Movement. As for the effects of Escape the corset, the responses answered most were that they refrained from grooming for eyes of others and avoided comments on grooming in order not to give pressure to others. They said in their work places commenting on appearance became a taboo an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changes where a level of grooming by workers was lowered. As such, it showed there happened changes not only by individual but by group. However, for general participants except for a few who confirmed their participation in Escape the corset, there was no case that they were mentioned as feminists due to short hair or no makeup or that they took care of their appearance for fear that they might be criticized as feminists, as shown from newspaper articles and the YouTube contents. It may be resulted from competitive production of provocative newspaper articles and contents by media to attract attention or create certain atmosphe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social pressure for grooming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Korean women in their 20s-30s in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analysis on media and in-depth interviews, investigating the way various options for subjective grooming is to be limited within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effect such pressure has on an individual. In particular, social pressure shown from newspaper articles focused on the structural issues or certain events based on a group while social pressure revealed from interviews or the YouTube focu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or personality. The existing research on grooming concentrated on the former so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entered on individual and routine social pressure. Secondly, the precedent studies on social pressure for grooming, which were conducted under the connection to Escape the corset, focused only on the symbolism of a female body or makeup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eyond such a perspecti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grooming in a daily life, including hair and clothing behavior in addition to makeup. Researches that considered Escape the corset in relation to actual grooming behavior give stress on makeup and the reason why is that makeup is the representative method for grooming demanded to women only. However, the study extended the range of grooming and examined routine grooming since it is done in a comprehensive manner. Thirdly, while the existing researches on Escape the corset were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Mov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t with routine grooming by the contemporary women aged 20s-30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study demonstrated people can accept Escape the corset in many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individual situation or experience and the meaning grooming has so it aimed to present the basis to broaden understanding of females rather than conflicting with each other for the Movement. In the study, basic understanding of Escape the corset was needed so it was conducted for those who had above-average gender equality awareness. However, it is expected for follow-up studies to achiev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extended level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age.

      • 무용 예술 전공자의 외모 관련 사회 문화적 태도 및 관리 행동이 무용 몰입에 미치는 영향

        양유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e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ch dance art majors recognize on dance commitment in causal contexts. Though in-depth analyses, from making dance instructors and dance art majors form desirable awareness of appearance, the study was implemented so that usefu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which can draw posi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necessary for dance performance. For this, first, through a survey,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ch dance art majors are aware of on dance commitment was analyzed. Second, supporting the survey result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 integrated study was conducted so as to process in-depth analyses in a personal experimental dimens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order that dance art majors attending universities in areas of Seoul and Gyeonggi-province in October, 2015 could answer freely in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 way of responding was explained to them. For all the data analyses, 23.0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Purposeful Sampling, the interview including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structured interview was performed targeting ten dance major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for about 60 minutes per each time,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5. The collected data was transcribed for precise reading numerous times based on the scanning technique. Classifying it into a single word and generalizing, the triangulation was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through triple processes such as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and de-brief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next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at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dance commi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represen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career), specialty (major), satisfaction degree of appearance, and time of using media all except school years. In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specialty, it appear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 commitment as a subordinate factor of dance commitment. In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pressure, and exercise internalization as sub-factor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body management behavior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behavior commitment as a sub-factor of dance commitment. In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degree of appearan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commitment of dance commitment. In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time of using media,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sure and general internalization as sub-factor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makeu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as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cond, it was represen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dance commitment. At the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which demographic factor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ve on cognitive commitment as the sub-factor of dance commitment, it appeared that general internalization among sub-factor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body management behavior as the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ffected it significantly statistically. At the result of analyzing effect which demographic factors, sociocultural attitude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ve on behavior commitment as the sub-factor of dance commitment, it was shown that specialty among demographic factors, pressure, general internalization, and exercise internalization among sub-factors of sociocultural attitude appearance, makeup and hair majagement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fluenced it significantly statistically. Third, since dance is an art expressing emotion, thinking, and ideology by using body, popularly, pretty appearance and slim body image are required. Expressing dance as an art to show,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ensitive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appearance. Fourth, they perceived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manage appearance to complement insufficient parts compared to the standard perceived by dance majors. Especially, when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r dance competition, they showed the most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top of their own decisio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was conducted by their instructors' recommendation. Fifth, the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elpful to dance performance was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their skills. The biggest change perceiv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after plastic surgery was to solve their appearance complex and also to improve their confidence, which was a factor having influence on dance flow. Sixth, even though appearance is significant to dance, most of the dance majors perceived appearance management as an additional part for the improvement of skills, and also preferred posi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for the improvement of skills.

      •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 광주광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박소애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외모관리행동은 의복 관심, 체중 관리, 헤어 관리, 피부 관리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4개 차원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2개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는 기각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외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헤어와 피부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하는 것이 외모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자신이 외모를 관리하더라도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영향관계가 무관함으로 말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소 자신의 의복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 가능성이 높으며, 평소 자신의 헤어와 피부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헤어와 피부가 외모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으므로 헤어와 피부는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외모 표현 수단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모 만족 행동의 헤어와 피부, 의복은 각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용 분야에서의 외모관리행동의 중요성을 시 사 하는 것으로 향후 대학생들을 위한 외모관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외모관리행동,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This research ver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fluenc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titutes four aspects which are interest in clothing, weight management, hair style management, and skin care while self-esteem consists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be more specific, the four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igured out what influences was brought to appearance management and both low and high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briefly explai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Firstly, becaus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artially influence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fist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accepted correct. To be more detailed, th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con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id not bring meaningful influence on high self-esteem rendering the second hypothesis to be rejected.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partial negative influence toward self-esteem which makes the third hypothesis partially accepted. To put it more specific, behaviors of being interested in cloth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explain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university student’s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showed positive result toward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fore, when providing services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hair and skin should be considered as key factors when creating or providing services since it will be an efficient way to make appearance satisfaction most effective.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give meaningful influence to high self-esteem. These results in the end, showed that managing one’s appearanc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creating high self-esteem which also means that there is not relation between high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irdly, results also showed that, behaviors shown by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which is one of the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s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is means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focuses on managing their cloth from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is more likely not to have low self-esteem while, students who is generally interested and takes care of their hair style and skin care most likely has low self-esteem. Thus, in order to decrease having low-self este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have interests in clothing. In conclusion, the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the four aspects, hair and skin care, has meaningful influenc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which also shows that hair and skin care is being utilized to show important expression by th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the three aspects among the fou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skin care, and clothing behaviors, each has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low self-esteem.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suggest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Beauty. Th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search for university student is needed. Key terms :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