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도에 따른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 및 또래관계 : 일 종합병원 성장클리닉을 방문한 아동을 중심으로

        노다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aims at validating sexual maturity of school-age children who visit children’s developmental clinics and examine its correlation with obesity,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The mor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take in the situation of sexual maturity among school-age children. Seco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maturity, obesity,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ird, to analyze how the degree of sexual maturity influences upon obesity,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Fourth,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exual maturity, obesity,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For the cas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very grade who visit “C” children's developmental clinic in Bundang-Ku.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SPSS Statistics 21.0. When the result from the boys of their pubic hair and genital was summed up together with the result of girls with their breast and pubic hair, setting the scope from stage 2 to stage 10, without considering about the sexual maturity, the average of the whole subjects concerning sexual maturity is calculated as stage 2.94. The average BMI is 18.40,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is average 115.78 out of 160, depression is average 34.57 out of 78, and peer relation is shown 54.23 out of 70. The degree of sexual maturity bear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I,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and depression. BMI is closely connected with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and satisfaction about their appeara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Depression is also statistically related with peer relation with a meaningful corelation. As the level of the sexual maturity increases, the number of BMI, the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depression, and peer relation are profoundly significant in the statistic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ascertained that there is special need to care a child wholly in the physical, intellectual, mental, social aspects. Especially, as it i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 visitor of the children's developmental clinics are in the order of third grade(30.3%), fourth grade(26.9%), and second grade(17.4%), there is a need to provide some programs which manage the problems alongside with the development of children, not just focusing on the physical aspect but also on their whole personalities, fully aware of the state of sexual maturity among the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This study is attempted to foster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crisi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exual maturity among the school-age children, seeking the best way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age children.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programs for the welfare of the children to grow into an adult's personality. 본 연구는 성장클리닉을 방문하는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 정도를 확인하고, 성성숙도와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 및 또래관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 정도,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 및 또래관계를 파악한다. 둘째, 성성숙도,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 및 또래관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성성숙 정도에 따른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정도, 또래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성숙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위해 분당구에 소재한 C병원 성장클리닉을 방문한 초등학교 재학 중인 아동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성장클리닉을 방문한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도는 남학생의 음모와 성기, 여학생의 유방과 음모 성성숙도를 따로 보지 않고 합산하여 범위를 2단계에서 10단계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성성숙도는 평균 2.94단계로 나타났다. 전체 비만도는 평균 18.40로, 대상자 중 남학생의 비만도가 평균 19.43으로 여학생의 평균 비만도 18.25보다 높았다. 외모만족도는 총점 160점 중 평균 115.78점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총점 78점 중 평균 34.57점으로, 거의 우울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는 총점 70점 중 평균 54.23점으로 대체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대상자의 성성숙도는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성숙도가 높을수록 비만지수가 높고 외모만족도가 낮으며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성성숙도와 또래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도는 외모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비만지수가 높을수록 외모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 또래관계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는 낮고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또래관계는 좋지 않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상자들의 성성숙 정도에 따라 비만도, 외모만족도, 우울과 또래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만도의 경우에는 성성숙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비만지수가 증가했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외모만족도의 경우에는 비만지수와는 반대로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외모만족도의 평균 점수가 낮았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성숙도가 높을수록 외모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아개념 평균이 유의하게 낮아진 반면, 외모인식과 외모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성숙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우울정도가 높아졌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우울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행동장애가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흥미상실부분, 우울정서,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성성숙도를 파악하여, 이에 아동을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사회적인 어느 한 측면에 국한된 중재를 제공할 것이 아니라, 전인적인 측면에서 성성숙도의 영향요인을 모두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성장클리닉을 방문하는 학년이 3학년(30.3%), 4학년(26.9%), 2학년(17.4%)순으로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학령기 저학년부터 이미 아동의 성성숙 발달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므로, 저학년 아동의 성장 발달 단계에 맞는 전인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성 성숙도에 따른 위기를 전인적 측면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 시도한 것으로, 학령기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하고 나아가 아동이 긍정적인 인성의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재 및 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계속적인 후속 연구 및 보다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제언한다.

      •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 비교 연구

        김나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처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만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개인의 외모만족에 따라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심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관련하여 예측되는 심리적 특성 중 하나인 우울이 성별, 학교유형 그리고 학교 형태에 따라 어느정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별, 학교유형 그리고 학교 형태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인 측면이 자아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외모가 갖는 중요도도 다른 시기에 비해 증가하는 사춘기를 전후한 청소년을 이해하고 그들이 겪을 수 있는 우울에 대해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개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마다 1 · 2 · 3학년의 학생들 684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66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측정 도구로는 청소년의 신체와 외모에 대한 태도와 감정을 측정하기 위한 외모만족도 척도(이주하, 2005)와 Kovacs(1981)가 개발하고 한유진(1993)이 번역한 아동용 우울 검사(CD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교유형, 학교 형태별로 나누어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외모만족도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인문계고 학생이, 여자학교 학생보다 공학교 학생이, 공학교 학생보다 남고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외모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집단 모두에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고, 외모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자칫 잘못하면 심리적인 위축을 가져오게 되어 정서적으로 우울을 가져올 수 있게 되며, 우울은 생활 전반을 무기력하게 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외모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성공하는 길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여러 다양한 삶의 형태를 통해 행복에 이룰 수 있음을 깨닫도록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며, 외모에 대한 올바른 정립과 교육을 제공하여 그들의 정서적인 안녕을 돕고 스스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우울이 감소하고 건전하고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하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남정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stress cop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With this resul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can have an objective vision and confidence of the various progra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ess-cop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is to help you to impro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based on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Gender and grade based on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stress, cop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s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search Question 2. Appearance & body satisfaction, stress cop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are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earch Question 3.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on stress, coping behaviors and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like? For this elementary school of Seoul, y, 4, 6 grade children a total 676 peopl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SPSS 12.0 was collect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 and grade based on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stress, coping behavio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peer relationships, gender and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ress-coping behavior in boys than girls, and a passive-avoidance coping behaviors in stressful situations and found more commonly used. Peer relationships help girls compared to boys, exclusivity, recognition, self-expression showed a lot of use.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compared to Grade 4 Grade 6 has a high satisfaction. Grade 4 Grade 6 in circumstances of stress than the aggressive, passive, and uses a lot of avoidance coping behaviors. Peer relationships in the 6th grade this year compared with 4 a lot of self-expression and conflict. Secondly,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stress, cop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s and recognize the correlation results,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sub-region in pursuit of positive cop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were the static correlation.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nd physical appearance of the help sub-region, exclusivity, were recognized from the static correlation. The stress of coping behaviors actively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that help one, exclusivity, recognition, self-expression and the static correlation appeared. Third, the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on stress, cop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gain insight about the relative influence, appearance satisfaction on stress,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influencing. Satisfaction appearance of stress-coping behaviors sub-region from actively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behavior and the static affected. Next, the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in peer relationships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except for physical strength in all areas showed significant influencing.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level has a lot of research on the stress-cop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is learned about the significance is the point. Children'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for stress-coping behavior and physical appearance and a positive self-concepts to improve the program was presented in terms of development be required to find that sees the value.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 자신의 외모 및 신체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1. 성별과 학년에 따른 외모 및 신체만족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또래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1-1 성별과 학년에 따른 외모 및 신체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1-2 성별과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1-3 성별과 학년에 따른 또래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2. 외모 및 신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또래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1 외모 및 신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2 외모 및 신체만족도와 또래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3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 3. 외모 및 신체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3-1 외모 및 신체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3-2 외모 및 신체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의 y초등학교 4, 6학년 아동 총 67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외모 및 신체만족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외모 및 신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경우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소극 및 회피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도움, 배타성, 인정, 자기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을 비교하였을 땐 외모 및 신체만족도는 4학년이 6학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6학년이 4학년보다 공격적, 소극 및 회피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고 4학년은 6학년에 비해 스트레스 상황 시 적극적 대처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결과는 6학년이 4학년에 비해 자기표현과 갈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 및 신체만족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외모 및 신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하위영역 중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적지지 추구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공격적 대처행동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외모 및 신체만족도와 또래관계 하위영역 중 도움, 배타성, 인정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갈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스트레스 대처행동 중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적지지 추구가 또래관계 중 도움, 배타성, 인정, 자기표현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적 대처행동과 소극 및 회피 대처행동은 자기표현과 갈등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외모 및 신체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면, 외모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는 스트레스 대처행동 하위영역 중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적지지 추구와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격적, 소극 및 회피적 대처행동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외모 및 신체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외모만족도와 신체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신체강도가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자기표현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와 신체강도는 또래관계 하위영역 중 도움, 배타성, 인정과는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고 갈등과는 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외모 및 신체만족도에 대한 연구들이 그리 많지 않은 단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아동의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또래관계를 위해서 외모와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박명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2.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3.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인불안을 감소시킬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5개 반(153명) 아동에게 사전에 외모만족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대인불안 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남 16, 여 13명)으로 하고, 외모만족도 점수가 실험집단과 유사한 학급을 통제집단(남 15, 여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각 4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연구자 본인이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실험기간 중에 정규수업을 하였다. 프로그램을 종결한 후에는 효과검증을 위해 각 집단에 외모만족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대인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외모 만족도 검사는 이주아(2005)가 번안한 Mendelson과 White(1993)의 신체존중감 척도(body 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번안한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SEI, Self Esteem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대인불안 검사는 김영술(1995)의 대인불안검사를 사용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홍미경 (2009)의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SPSS(Win) 12.0K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 1은 부정되었다. 그 이유를 추정해 보면 외모에 대한 관심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높아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수 있다. 다른 이유로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홍미경(2009)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또래상담용 프로그램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사 주도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효과가 없었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본 연구에서 실험회기가 10회기로 비교적 짧았던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 2는 부정되었다. 가설이 부정된 원인을 추정해보면 외모만족도가 향상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아존중감도 향상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가 향상되면 자아존중감도 향상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나 가설 1에서 보았듯이 외모만족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아서 자아존중감도 향상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인불안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 3은 부정되었다. 가설이 부정된 원인을 추정해보면 외모만족도가 향상되지 않았으므로 대인불안도 감소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가 향상되면 대인불안이 감소할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나 가설 1에서 보았듯이 외모만족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아서 대인불안도 감소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이 부정되었기 때문에 초등학교 중학년 이하에서 외모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초등학교 중학년 이하 학생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20회기 이상, 5개월 이상으로 기간을 확대하여 외모만족도 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편성한 실험집단 29명은 충분한 피드백을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인원이었다. 따라서 집단상담의 집단 크기를 10 ~ 15명 정도로 줄여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험장소는 일반교실이 아닌 상담실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외모만족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교사주도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나은가 또래상담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나은가 하는 문제는 계속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실험 직후의 효과만을 검증을 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지연검사도 해 볼 필요가 있다.

      • 외모만족도가 메이크업 서비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양정임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모를 가꾸고 관리하는 것은 남녀노소를 막론한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행동이다. 현대 사회에서 취업시장이나 결혼시장에서 아름다운 외모는 매우 영향력 있는 조건이 되며 젊고 건강하게 살기 원하고 외모를 중요한 지표로 삼게 된다. 외모를 가꾸고 꾸미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가장 효과가 크고 빠르며 위험부담이 적은 것은 메이크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여성에게 메이크업이란 단순히 가꾸고 꾸미는 것 이상으로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사상적 의미를 지닌 관리의 개념의 의미를 가진다. 메이크업의 역할이 단순히 얼굴을 가꾸고 꾸미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외모만족감이 메이크업 서비스,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직접 메이크업 숍으로 메이크업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방문하는 성인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가 메이크업 서비스 및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외모만족도, 메이크업 서비스, 심리적 안녕감의 일반적 경향,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와 메이크업 서비스,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외모만족도와 메이크업 서비스,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 관계, 조사대상자의 외모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여 메이크업 숍의 바람직한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경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서비스 중 제품, 환경, 아티스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대인관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도가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서비스 중 가격,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율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도가 환경통제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서비스 중 제품, 아티스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환경통제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도가 자아수용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서비스 중 환경, 재방문,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수용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도가 삶의 목적에 미치는 영향은 메이크업 서비스 중 제품,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목적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은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이 높아지고, 환경통제, 자아수용, 삶의 목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에 대한 만족감은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아지게 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외모 만족감에 있어 자율성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있어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외모 만족감이 높을수록 환경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 만족감과 자아수용이 정(+)의 상관관계에 있고, 외모 만족감이 높아지면 삶의 목적도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메이크업의 역할이 단순히 얼굴을 가꾸고 꾸미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외모만족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제품이나 환경 등이 메이크업 서비스 만족에 중요한 요인이 되나 메이크업 서비스에 있어서 아티스트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은 아티스트의 역량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 해야 하며 이는 메이크업 숍의 외모만족도와 메이크업 서비스에 대한 기초자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다.

      •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 광주광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박소애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외모관리행동은 의복 관심, 체중 관리, 헤어 관리, 피부 관리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4개 차원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2개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는 기각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외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헤어와 피부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하는 것이 외모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자신이 외모를 관리하더라도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영향관계가 무관함으로 말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소 자신의 의복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 가능성이 높으며, 평소 자신의 헤어와 피부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헤어와 피부가 외모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으므로 헤어와 피부는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외모 표현 수단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모 만족 행동의 헤어와 피부, 의복은 각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용 분야에서의 외모관리행동의 중요성을 시 사 하는 것으로 향후 대학생들을 위한 외모관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외모관리행동,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This research ver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fluenc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titutes four aspects which are interest in clothing, weight management, hair style management, and skin care while self-esteem consists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be more specific, the four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igured out what influences was brought to appearance management and both low and high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briefly explai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Firstly, becaus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artially influence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fist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accepted correct. To be more detailed, th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con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id not bring meaningful influence on high self-esteem rendering the second hypothesis to be rejected.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partial negative influence toward self-esteem which makes the third hypothesis partially accepted. To put it more specific, behaviors of being interested in cloth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explain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university student’s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showed positive result toward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fore, when providing services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hair and skin should be considered as key factors when creating or providing services since it will be an efficient way to make appearance satisfaction most effective.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give meaningful influence to high self-esteem. These results in the end, showed that managing one’s appearanc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creating high self-esteem which also means that there is not relation between high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irdly, results also showed that, behaviors shown by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which is one of the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s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is means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focuses on managing their cloth from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is more likely not to have low self-esteem while, students who is generally interested and takes care of their hair style and skin care most likely has low self-esteem. Thus, in order to decrease having low-self este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have interests in clothing. In conclusion, the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the four aspects, hair and skin care, has meaningful influenc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which also shows that hair and skin care is being utilized to show important expression by th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the three aspects among the fou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skin care, and clothing behaviors, each has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low self-esteem.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suggest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Beauty. Th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search for university student is needed. Key terms :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steem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은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녀 및 학년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3.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5학년과 6학년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남녀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원주시 소재 S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표집인원 480명 중 418명(남자 209명, 여자 209명, 5학년 219명, 6학년 19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외모만족도 검사(이주아, 2005), 행복감 검사(이정화, 2005), 자아존중감 검사(최보가, 전귀연, 1993)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0K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가 높으면 행복감도 높아지고 외모만족도가 낮으면 행복감도 낮아져서, 외모는 사춘기로 접어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행복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긍정적인 외모상을 정립함으로써 높은 행복감을 지닐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의 연계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자아존중감은 외모 불만이 행복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즉 외모만족도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지만,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되면 비록 외모만족도가 낮다하더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행복감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 때문에 행복감도 낮은 학생들을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5학년과 6학년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학년별로 같음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외모 불만인 초등학생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의 역할은 학년과 상관없이 매우 중요함을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외모 불만인 학생들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학년 구분 없이 적용해도 무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 불만이 행복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데 남녀 모두 자아존중감이 공통적인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즉, 외모 불만으로 행복감이 낮은 학생들은 남녀 상관없이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높여준다면 행복감도 향상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모 불만인 학생들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은 남녀 구분 없이 적용해도 무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한 동시에,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외모에 대해 건전하고 바람직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상담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외모 불만으로 인하여 행복감도 낮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하여 행복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의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성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20-30대 성인들의 발달과업을 좀 더 충실히 이루어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연령에 따라서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셋째, 성별에 따라서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응답 완료된 231부 중에서 조건에 충족되지 않는 31부를 제외한 총 200명(약 87%)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Mendelson과 White(1993)의 신체적 존중감 척도(Body Esteem Scale)를 심경옥(2006)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ㆍ차정은(1996)의 측정도구를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v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계수는 .52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차원을 살펴보면 제외하고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와도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신감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본 결과, 연령별 상관분석에서 20대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상관계수 .58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30대의 경우 .49로 역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상관계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에 따라 미치는 영향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상관분석에서 남자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상관계수 .58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여자의 경우 .45로 역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모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20대와 30대에서 성별이나 연령과 상관없이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이러한 주제는 대부분 초등학생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30대야말로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도 많이 느끼고,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재고해 보는 기회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논의되는 결과가 20-30대 성인들을 이해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여 자신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직업적ㆍ사회적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안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하는가? 둘째,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P시에 소재한 C중학교 301명 학생들에게 외모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둘째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면,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선 중학생의 외모만족도는 학교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크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이 외모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역시 더 높아져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강화가 필요하다.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학생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 내적으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치료나 활동, 상담 프로그램 등이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나 개인 및 집단 상담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상담적 개입도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