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생활 실태조사 분석 연구

        유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423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실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거기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유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이 설정되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 온 배경과 유학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에 대한 적응도를 분석한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학생들과의 교류정도를 분석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생활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유학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강원대학교 재학 중인 총 외국인 유학생 290명 중 1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28명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중 자료처리에 유효한 설문지는 121부로 회수율은 86.4%였다. 조사도구는 강원대학교 외국인유학생의 유학생활 실태조사 설문지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문제 해결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한 자료 처리는 SPSSWIN 1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대 유학생들은 주로 학교수업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는 언어의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전문적으로 어학을 관리해주고 진행해 주는 프로그램 시스템이 필요할 뿐 아니라 레포트, 발표, 논문 작성 등 예시학습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유학생들은 한국학생과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인유학생들을 위하여 “버디 프로그램” 이나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신입 유학생들에게 1대1 도우미를 배정해 주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가정 방문 프로그램과 Home Stay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는 유학생들에게 관련학과 학생들과 유대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안내해서 동아리 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학생들은 유학생활 필요한 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수집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유학생에게 별도 사이트를 만들어 취직정보와 아르바이트 정보를 제공해 주고,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이메일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유학생들의 정보수집하기가 보다 더 편리할 것이다. 넷째, 강원대학교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 편이다. 다만 유학생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 유학생회에 대한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외국인을 위한 장학기금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한국어 수능 시험의 성적이 우수한 유학생들도 BEST-KNU 장학제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 of foreign students at Ko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ways to improve their studying and living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processes used to carry out the research.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foreign students' background and various requirement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ir adaptability to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urth, this study analyzes how difficult that the foreign students communicate with Korean students. Fifth,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improve the foreign students' living and studying condition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perform this study. The survey was given to 140 foreign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with SPSS WIN 12.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and language are most difficult to the foreign students. So it needs to practise a program to improve their ability of Korean language. And writing papers, announcement, writing thesis program need to be conducted in advance, too. Second, the communication with Korean students is not active. It needs to practise "buddy program" and "home stay" program. Third, it is not convenient for the foreign students to gather information that they need. Therefore, it needs to create an internet site to provide the foreign students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and part-time job. And useful information need to be sent to the foreign students by e-mail. Fourth, the foreign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B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oreign students' association is low. Fifth, the expansion of the scholarships needs to be desirable. The foreign students who have excellent ability of Korean should be included in BEST-KNU Scholarship.

      • A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실태 분석

        이희택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직접 관리하는 A대학교의 유학생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유학생 지원 정책과 대학에서 추진하는 유학생 지원 시책을 법령과 규정, 지침, 업무보고서, 공문, 자료집 등을 중심으로 입시제도, 체류관리, 생활지원, 학업지원 등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재학 중인 학생 1,4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도 병행하여 합리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제도는 GKS전형, 특별전형, 현지전형, 추천전형 등 4개의 전형을 특성화하여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는 정책으로 입시 정책을 제도화 하였다. 둘째, 체류 관리는 비자발급, 시간제 취업 등 법적인 사항으로서 관련 규정에 의거 적정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매년 대상 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증가 속도에 비하여 이탈율은 2019년 현재 1.79%로 양호한 편이다. 셋째, 생활 지원 분야의 주거 지원, 의료보험, 안전관리, 문화생활, 고충상담 등 생활 지원 관련 시책은 가장 어려운 문제로 많은 행정력이 동원되고 있다. 주거 알선을 위한 지정공인중개사제도, 건강관리를 위한 지정병원 운영, 관할경찰서와 협조를 통한 위험지역순찰제도, 인권센터를 통한 성폭력 예방교육 등의 생활 지원 시책이 활용되고 있다. 넷째, 학위 취득을 위한 학업 지원 시책은 재정 확충을 위한 노력과 병행해서 학사관리 조직과 상담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꾸준하게 노력하고 있으나, 매 학기 재적생이 4~6명 정도 발생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전담조직인 유학생지원센터의 강화와 전문 인력 확보이다. 둘째, 중도 탈락자를 줄이면서 합격률이 상승 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글로벌 캠퍼스를 조성하여야 한다. 넷째, 내․외국인의 상호 교류사업 확대 등 유학생지원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이다.

      • 대한민국 거주 건강보험 의무 가입 대상 유학생의 건강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 한국 거주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중심으로 -

        ERGASHEV KHOJIAKBAR JAKHONGIR UGLI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4239

        Introduc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institutions have predominantly refrained from enrolling in health insurance or have opted for relatively affordable private insurance. However, a significant policy shift occurred in 2015 under the auspices of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andating that foreign students must compulsorily enroll in either health insurance or private insurance. Subsequently, in December 2018,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local enrollees were extended from a minimum stay of 3 months to 6 months, and from July 16, 2019, onwards, foreign nationals and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6 months were obligated to enroll as local participants in health insurance. The enforcement of mandatory enrollment for health insurance for foreign students was officially implemented on March 1, 2021, in accordance with Article 109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with the aim of preventing misuse and enhanc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This transition aimed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abuse and management systems with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On the other hand, the advantages of this policy chan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e the ability to access various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during their study period in Korea.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lief from the financial burden that may arise in the event of contracting severe diseases. Nevertheles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findings, a considerabl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despite being enroll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did not seek medical care. There is a scarcity of prior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and specifically,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atterns and factor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health of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have been hitherto overlooked and inadequately researched. Objective: This study targeted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a university in Asan City, Chungcheongnam-do, who have resid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6 months and are obligated to enroll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primary aim of the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health status and pattern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to valid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use of medical services. Additionally, as secondary objectives, the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gard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providing insights into trend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Furthermore, the study undertakes a descriptive survey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economic burden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y face due to mandatory enrollment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140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the university as of August 2023. From this population, 10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1, 2023. The survey yielded responses from 104 participants, excluding one non-respondent.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research subject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cross-tabu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Lastly, to examine the impact of all influencing factors on international students'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satisfaction levels, and factors potentially affecting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mong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ing a comprehensive basis for the subsequent analyses. Results: Upon exam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51% of the participants had not visited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past year, and 55.9% engaged in self-treatment when they fell ill. Regarding health status, 76% actively managed their health, with an average score of 4 points on a 5-point scale (indicating good health). This suggest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viewing themselves positively in terms of health, tend to underutilize medical services. After mandatory enrollment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more than half (61.5%)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negative views about the system. The primary reason cited was the perception that insurance premiums are expensive, accounting for 73%.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economic factors, illness and treatment methods, health management, awareness of health, and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levels, residency status, duration of stay, illness experience, treatment history, medication intake, health management practices, and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insuranc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their health management practices significantly influence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Higher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well as proactive health 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ed that older ag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was correlated with higher medical service utilization. Students with dependents showed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nd longer duration of stay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oreover,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was linked to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Finally, students who engaged in self-treatment when ill exhibited lower rat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Conclusion: A significant portion of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expressed negative thoughts and dissatisfaction with South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particularly citing the perceived high personal burden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as the primary cause. Despite recogniz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beneficial and necessary, many international students conveyed a common desire for reduced financial obliga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ir economic circumstances. Keywords: foreigners, international students, health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medical services by international stud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insurance. 국내에서 재학하는 유학생들은 주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민간보험에 가입하였다. 하지만,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 정책에 의해 외국인 유학생들은 건강보험 또는 민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추후 2018년 12월에는 지역가입자들의 가입 기준이 대한민국 체류 3개월에서 6개월로 변경되었으며 2019년 7월 16일부터 대한 민국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의 지역 가입자로 가입하게끔 변경되었다. 외국인 유학생 국민건강보험 의무 가입 제도의 시행은 2021년 3월 1일 「국민건강보험법」 제109조에 따라 공식적으로 시행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악용 방지 및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들이 유학 생활을 하는 동안 한국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다양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위험한 질병에 걸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과중한 비용 부담을 완화되게 하는 것은 국민 건강보험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민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음에도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는 유학생이 많았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고 특히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고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건강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의 한 대학교에서 재학 중이며 국내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국민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학생의 건강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 목적으로는 유학생들의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및 만족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이용 동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학생 개인이 의무적으로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부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조사 대상은 본 대학교에서 현재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40명 (2023년 8월 기준) 중 105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23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응답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104명의 응답 완료된 설문지 자료를 모두 회수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른 독립 변수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영향 요인이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및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들의 51%가 1년 동안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없고, 55.9%가 발병 시 자가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에 대한 결과 76%가 건강관리를 하여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이 4점(좋다) 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이 자신에 건강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즉, 유학생들이 본인이 자신은 건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를 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의무 가입 이후 국민건강보험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61.5%로 절반 이상이었다. 그 원인으로는 “보험료가 비싸다고 생각한다.”가 7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들의 일반적인 특성, 경제적인 요인, 질병 및 치료 방법, 건강관리 및 건강에 대한 인식,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 등 사이에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 여부를 검정한 결과 연구 참여자의 학력, 거주 형태, 체류기간, 발병 경험, 치료 여부, 의약품 복용, 건강관리 여부, 건강보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 건강관리 여부가 유학생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학생이 건강관리를 하는 경우와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의료기관 이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유학생의 나이가 많을수록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자취하는 유학생 경우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체류기간이 늘어 날수록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병 시 자가치료를 하는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에서 대한민국의 국민 건강보험제도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적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건강보험료가 비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유학생들은 모두 국민건강보험이 좋은 제도인 것은 알고, 대부분이 국민건강보험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유학생의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금액을 낮추어 주면 좋겠다는 공통적인 의견이 많았다. 핵심 주제어: 외국인, 유학생, 유학생 건강 실태, 유학생 의료서비스 이용, 국민건강보험, 의료보험

      • 외국인 유학생 노동에 관한 실증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노동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LE VI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51503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exceeded 140,000 in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pecific programs in place to attract foreign students with the objective to have 200,000 foreign students by 2020.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foreign students, and the discourse on foreign students in Korean society is distorting and marginalizing the existence of foreign students. In this atmospher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foreign students, especially labor issues. And how to understand and categorize them in the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ght on the reality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Korea, to find out what problems they experienced in social life and labor process as foreign students who entered Korean societ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ietnamese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eply analyz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labor and their survival strategies by gather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the migration process, labor activities, and lif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from Vietna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hat foreign students face in Korea. They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such as adaptation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work together to survive, and difficulties related to unemployed employment procedures and work environments. In addition, there are complaints that foreign students face due to their grievances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because they do not know Korean law and system. First, it i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admission. Foreign students are exposed to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many opportunity costs such as expenses for studying abroad during the admission process. Second, in social life such as the residential area, school and everyday life, foreign students are discriminated against due to the weakness of their status as a foreign student, racial awareness of foreigners and lack of language skills. Third, many foreign students are working in blind spots where the law does not apply. In the course of labor, they work while enduring various problems such as overdue wages, low wages, industrial accidents, illnesses, long hours of work, poor working conditions, and are unable to cope with abuse, assault, sexual harassment and intimidation by an employer. Foreign students showed a low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while only recognizing exploitation in labor, despit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by prejudice or distorted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in daily life and labor. Students who study abroad have overcome social exclusion personally to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Korean society and studying abroad. Finally, while foreign students are in the victim status due to the institutional and social exclusion of Korea, they are not the passive victims but actively utilize the social network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He was established as a main player in Korean society that was developing his own survival strategy. Their commitment to Korean society seems to be very strong. This study described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 students face while working and studying in Korean society and also have confirmed that in the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framework, foreign students who combine work with study can be classified as a new category of 'student-worker' and emphasizes that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foreign students i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labor force, and the study of them needs to be seen in the flow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Keywords: Foreign student, work rights, Foreign student's labor issue, Living Conditions, work rights, student-worker, international migration of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migrant labor, Vietnamese students. 2018년 한국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14만 여명을 넘어섰고 교육부는 2020년까지 유학생 20만 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충분히 관심을 가지지 않고 한국 사회의 담론은 외국인 유학생의 존재를 왜곡시키고 주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현실, 특히 노동 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글로벌 정치경제학적 구조에서 그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범주화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세계의 현실을 밝히고 그들이 한국사회에 유입되면서 유학생의 지위로서 사회생활과 노동과정에 무슨 문제를 겪었는지 알아보고 이 문제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에서 거주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했다. 베트남 출신 유학생들의 이주과정, 노동활동, 한국 생활 경험을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여 이들이 노동 과정에 겪은 문제점과 이들의 생존전략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다양하다. 낯선 환경에서의 적응, 생존을 위해 취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 특히 경험해 보지 못한 취업절차 및 업무환경과 관련된 어려움 등 다양한 고충을 경험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법과 제도를 몰라서 겪는 고충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겪는 고충 등이 있다. 첫째, 입학 과정에서의 겪는 문제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입학 과정에서 유학경비 등 많은 기회비용 지출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둘째, 사회생활에서는 주거영역,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유학생이라는 신분적인 약점, 외국인에 대한 인종주의적 인식, 언어 능력 부족의 이유 등으로 인해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 셋째,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법이 적용되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노동을 하고 있다. 노동과정에서 이들은 각종 문제 즉 임금체불 𐩐 저임금 𐩐 산업재해 𐩐 질병 𐩐 장시간 노동 열악한 근로조건을 견디면서 근무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폭언과 폭행, 성희롱, 협박 등에 시달려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일상생활이나 노동현장에서 한국사회의 편견이나 왜곡된 인식으로부터 차별대우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착취 받는다는 것만을 인식 할 뿐이고, 다른 형태로 드러나는 차별에 대해서는 불만을 가질 뿐, 낮은 인식의 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의 배제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동시에 한국사회와 유학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제도적·사회적 배제로 인해 피해자 지위에 처해있지만 수동적인 피해자의 위치가 아니라 한국사회에 적응해나가기 위해 사회적 연결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나름의 생존전략을 만들어가는 한국사회내의 한 주체로서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들의 한국사회 편입의지는 매우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고 노동을 겸하고 있는 현실을 묘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글로벌 정치경제학적 구조에서 공부를 하면서 노동을 병행하는 중간적인 존재로서 자리 매겨지는 그들을 ‘유학생-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유학생의 국제이동은 노동력이동과 연관되는 것이고 앞으로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제노동력이동의 흐름 속에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주요 어: 외국인 유학생, 유학생의 노동문제, 유학생의 생활실태, 유학생의 근로 권리, 유학생-노동자, 유학생의 국제이주, 국제노동력이동, 이주 노동, 베트남 유학생

      • 외국인 유학생 실태 분석과 효과적 지원 방안 연구 : 서울대학교 실태를 중심으로

        이인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02367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리를 질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지속적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뿐만 아니라 우수 외국 인력을 고급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업무 담당자와의 면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관심 분야인 입학, 교육, 시설 및 환경, 장학금, 상담 등의 분야별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체제와 유학생들의 요청 사항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부문에서 보면, 서울대학교에서는 입학 시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로 안내하고 제출서류 간소화 등을 통해 입학 시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합격 후에도 친절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조기에 한국생활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으며, 영문판 학사행정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외국인 교수 및 학생들에게 학사행정 서비스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부문에서 보면, 입학 전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외국어 진행강좌의 확대를 통하여 수요자 중심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및 환경 부문에서 보면 통합지원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통합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지금보다 훨씬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추진 중에 있었다. 그리고 도서관과 기숙사 등 각종 편의시설은 확충되고 개선되고 있었다. 넷째, 장학금 부문에서 보면, 현행 신입생 외국인의 일반장학금은 없으나, 향후 신입생 우수 장학금의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다섯째, 상담 부문에서 보면,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하여 24시간 상담전화인 SNU Call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요구사항 중에는 유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장학금 제도 개선 및 확충이며,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차별 제도 및 차별 의식 철폐 또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 외국인 등록생 현황의 경우 2010년도는 전년 대비 70개국에서 86개국으로 22.9%의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였고, 인원 또한 22.6%나 대폭 증가하였다. 양년도 주요 국가의 유학생 현황을 보면, 전년 대비 중국은 3.9%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일본 0.9%, 몽골 0,1%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미국은 3.4%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캐나다가 0.5%, 기타 국가가 1.0%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유학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여 유학 국가의 다변화를 보이고 있고, 미국, 캐나다의 유학생이 대폭 증가하는 추세는 긍정적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유학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입국하여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활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나라의 문화 등을 이해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개연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초래된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부터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 생활에서 불편하지 않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각종 제도를 개선하여 질적 관리가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한국에서 공부하면서 느끼는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도서관 시설이고, 그 다음으로 연구실 시설 수준, 관리 직원의 친절도, 강의실 시설 수준, 교육의 질(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상담(카운셀링)이고, 그 다음으로 장학금 지원, 교내 식사, 신입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한국어 프로그램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를 정책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장학금 제도를 개선하고 확충하여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한다. 자비 유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지원을 위해 국내 주요 기업과 우수한 자비 유학생과의 연결을 추진한다. 둘째, 외국인에 대한 규제를 풀고 차별을 철폐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통합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셋째, 각 부처에 산재하여 있는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업무를 일원화하여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국립국제교육원)을 설치한다. 넷째, 대학별로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하여 ‘언어권별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지속적인 질적 관리를 위해 가칭 ‘외국인 유학생 평가 및 지원 위원회‘를 설치하여 학업성취도, 취업 등을 지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