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강원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생활 실태조사 분석 연구

        유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실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거기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유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이 설정되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 온 배경과 유학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에 대한 적응도를 분석한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학생들과의 교류정도를 분석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생활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유학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강원대학교 재학 중인 총 외국인 유학생 290명 중 14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28명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중 자료처리에 유효한 설문지는 121부로 회수율은 86.4%였다. 조사도구는 강원대학교 외국인유학생의 유학생활 실태조사 설문지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문제 해결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한 자료 처리는 SPSSWIN 1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대 유학생들은 주로 학교수업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는 언어의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전문적으로 어학을 관리해주고 진행해 주는 프로그램 시스템이 필요할 뿐 아니라 레포트, 발표, 논문 작성 등 예시학습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유학생들은 한국학생과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인유학생들을 위하여 “버디 프로그램” 이나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신입 유학생들에게 1대1 도우미를 배정해 주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가정 방문 프로그램과 Home Stay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는 유학생들에게 관련학과 학생들과 유대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안내해서 동아리 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학생들은 유학생활 필요한 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수집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유학생에게 별도 사이트를 만들어 취직정보와 아르바이트 정보를 제공해 주고,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이메일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유학생들의 정보수집하기가 보다 더 편리할 것이다. 넷째, 강원대학교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 편이다. 다만 유학생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 유학생회에 대한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외국인을 위한 장학기금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한국어 수능 시험의 성적이 우수한 유학생들도 BEST-KNU 장학제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 of foreign students at Ko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ways to improve their studying and living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processes used to carry out the research.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foreign students' background and various requirement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ir adaptability to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urth, this study analyzes how difficult that the foreign students communicate with Korean students. Fifth,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improve the foreign students' living and studying condition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perform this study. The survey was given to 140 foreign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with SPSS WIN 12.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and language are most difficult to the foreign students. So it needs to practise a program to improve their ability of Korean language. And writing papers, announcement, writing thesis program need to be conducted in advance, too. Second, the communication with Korean students is not active. It needs to practise "buddy program" and "home stay" program. Third, it is not convenient for the foreign students to gather information that they need. Therefore, it needs to create an internet site to provide the foreign students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and part-time job. And useful information need to be sent to the foreign students by e-mail. Fourth, the foreign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living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B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oreign students' association is low. Fifth, the expansion of the scholarships needs to be desirable. The foreign students who have excellent ability of Korean should be included in BEST-KNU Scholarship.

      • 내적 충원 교수의 학과유형별 연구 실적 차이 분석

        유훼 강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faculty inbreeding means recruiting faculty members from among the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the equivalent mother schools with degrees. Of those inbred faculty members, there ar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Yongsoon Im(1993) presented a theoretical analysis model that could classify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and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by the level of department not by that of individuals. There are a number of methods 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ut one of the meaningful ways of investigating faculty inbreeding is to divide the types of departments by the size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by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Yongsoon Im(1993) argued that when faculty inbreeding rates equal, the probability of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place would be higher in a department with a low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an in a department with a higher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above argument by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assumed. First, what levels are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Also, what types are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by the department? Second, what phases are the distributional types of departments when dividing department types based o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Third, what difference is there i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 viewpoint of the study. This study verifies an analysis model of faculty inbreeding by analyz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the inbred faculty according to the department type. To provide a key to the settlement of these research questions, we mainly collect the required data by using a web database, Web of Science index and the ‘Faculty Directory of Universities in Korea’ published by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The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process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by the department is p<.05.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artments with 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56.9%, and those with 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0 are up to 60.2%. In the mean time, the departments with over 50%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re 8.3%, and those with with over 10%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are 1.8%. This phenomenon explicitly shows that a significant dev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n case of Korea. In terms of time, there is practically little change in the mean of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when the mean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is decreased. Second, when classifying the departments into 4 types on the basis of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that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rate for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of type 4 which has simultaneously low both in the faculty inbreeding rate and in the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rate is the majority of the portion, and the rate for open?type departments of type 2 the lowest, the rates for conventional departments of type 1 and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are shown alike. In a stream of time for 15 years since 1990, these patterns are shown to be regular, and in terms of transitional trends, the rate for unreasonabl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is increased and the rates for other conventional?type, open?type and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are relatively decreased. With a focus on the conventional type departments of type 1 and the closed?type departments of type 3 respectively with the high rate of faculty inbreeding, on the subjects of year 2005 departments such as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and econom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ductivity show that the level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the type 1 departments is distinctively higher than that of type 3 departments. Also, in case of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and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with the low rate of faculty inbreeding, even though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ype 4 newly?established type department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s for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fter reclassifying the department types by adjusting the mean of the rate of faculty inbreeding and the mean of the rate of external faculty marketshare, the level of research productivity for the type 2 open?type departments is shown to be higher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type 4 depart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feasibility of distinguishing the two different types of faculty inbreeding between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in a dimension of department units presented by Yongsoon Im(1993).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s that there is no necessity of regulating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chievement whil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faculty inbreeding in connection with ascription, and by getting out of policy trends of regulating faculty inbreeding in one way assuming that every faculty inbreeding is connected only with ascription not with achievement as it is show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faculty recruiting quarter system. 교수의 내적 충원(faculty inbreeding)이란 광의적으로 모교에서 학위수여 받은 졸업생을 교수로 채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충원은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으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로 임용순(1993)은 교수 개인 수준 차원이 아닌 학과 수준 차원에서 성취성 내적 충원과 연고성 내적 충원을 구분해낼 수 있는 이론적 분석모형을 제시한 바 있다. 교수 충원에 따른 학과 유형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교수의 내적 충원을 의미 있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학과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크기에 따라 학과를 유형화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내적 충원이 동일한 수준이라면 외적 공급률이 낮은 학과가 외적 공급률이 높은 학과보다 연고성 내적 충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임용순(1993)의 주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학과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교수의 학과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율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의 학과별 분포는 어떠한 형태를 보이는가? 둘째, 학과의 유형을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네 가지로 구분할 때 학과의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 모습을 나타내는가? 그리고 이러한 분포는 시간적(1990년-2005년) 흐름 속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가? 셋째,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은 학과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는 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발행한 『국·공립대학교원명부』와 웹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 색인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자료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이용하였다. 학과유형별 연구 실적 분석할 때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p<.05의 수준을 적용하였다. 세 가지 차원의 연구방법에 따른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 수준을 분석한 결과 내적 충원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56.9%, 외적 공급률이 0(zero)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60.2%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내적 충원률이 5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8.3%로 나타났으며 외적 공급률이 10% 이상인 학과는 전체학과의 1.8%를 차지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경우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에 있어서 쏠림현상이 있음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한편 평균 내적 충원률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반해 평균 외적 공급률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교수의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을 기준으로 학과를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전체분포 중 내적 충원률과 외적 공급률이 동시에 낮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후 15년 동안 이러한 패턴들이 일정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변화 경향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비율이 증가한데 비해서 그밖에 다른 전통형, 개방형, 신설형 학과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충원률이 높은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와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경우 2005년도를 기준으로 물리학과, 화학과, 수학과, 그리고 경제학과를 대상으로 한 내적 충원 교수의 연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유형 Ⅰ>의 전통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Ⅲ>의 폐쇄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충원률이 낮은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와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경우,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다만, 화학과의 경우 평균 내충률과 평균 외공률을 바탕으로 하여 유형별 분포가 덜 편포되도록 조정하여 분석한 결과 <유형 Ⅱ>의 개방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이 <유형 Ⅳ>의 신설형 학과의 연구 실적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임용순(1993)이 제시한 내적 충원의 두 가지 형태인 ‘연고성’ 내적 충원과 ‘성취성’ 내적 충원을 학과단위 차원에서 구분하여 연구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교수임용 쿼터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재확인의 기회가 되었다. 지금까지 내적 충원을 모두 연고성 내적 충원으로 가정하고 그것을 일방적으로 규제하려는 정책적 시도에서 벗어나, 연고성 내적 충원은 규제하되 성취성 내적 충원은 규제할 필요가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중국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important to develop talented employees through the training and education, for enterprise continue to grow in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hina will entry the long-term aging society with the falling birthrate in the future. With the growth of the labor costs, the SMEs in China will lose the past competitiveness. It is also difficult to overcome the technological barriers of developed countries, so developing new high value-added industry will be not optimized too. Thus, i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key success factors of the company's to continue to grow the develop knowledge and skills of members of the company. Chinese companies, particularly SMEs in China, do not perceive reality of the situation. Many corporate executives in China think the employee's education and training as a cost. They prefer the short-term business performance oriented and are un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training and education manage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hinese SMEs, this paper will study the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blems of SMEs in China, and also introduce the proposal of improv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ment for Chinese SMEs through the objective statistical data and research by reference to.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we focused on the reference of SMEs study of China, including various statistical data, reports published by Chinese government, documents, laws, and published papers outside of China. We present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blems of the SMEs and the proposal of those problems.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oblems of the small business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ment are as follows: Firstly, the CEOs do not perce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ly, the system of training is inadequate. Thirdly, there is a lack of efficient evaluation system for training accomplishments. SMEs usually evaluate their employees' training results only by some randomly and temporarily paper tests, and not systematically manage the records well after the tests. Based on this paper’s point of view, the above three problems can be improved from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of all,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can cause a positive change. Government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area. They could amend the original policies and laws that are outdated and make some new to guide SMEs’ managers into a positive and far-sighted perspective on their employees’ training and education. Secondly, the system of training need to be further improved as well. Moreover, analysis of requirements can be the first thing need to be done in the whole new system developing process. An appropriate, efficient and usefull training program can be created, only if the exact real requirements had been identified. Furthermore, control of such system’s cost shall be the second thing which shall be considered. Balance between system’s achievement and managers’ tolerance of the cost should be handled well. Last of all, improvement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uch system are also significant. The managers of SMEs should mainly focused on four areas, thus employees’ reflection of their study, the achievement of their study, the change of their behaviors and their work efficiency. Changes of employees’ attitude and performance after training should be record properly as well.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and reliable records can help managers making objective, fair and convincing opinions. 급변하는 기업 환경 속에서 기업이 장기적으로 계속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모든 종업원을 유능한 인재가 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 중국은 장기적 저출산 선호 정책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과거 중국의 성장 기반이었던 노동집약적 산업의 경쟁력은 고임금과 인력난 등으로 급속히 떨어질 것이다. 선진국의 기술 장벽과 시장보호 정책을 극복하지 못함으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의 건설도 낙관할 수 없게 되어 국민경제가 어려운 상태에 놓일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계속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존 노동력인 구성원들의 지식과 기능을 개발시키는 교육훈련이 기업의 미래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중국 기업도 기업의 발전을 위해 교육훈련을 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 기업들, 특히 중국 중소기업의 현실은 이러한 상황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많은 기업의 경영자는 종업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생각하고, 단기적인 경영성과를 중시하고, 교육훈련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중소기업 교육훈련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여 객관적인 통계자료와 연구 자료를 참고로 하여 중국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연구 분석하여 중국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중국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중국 통계국의 각종 통계자료, 중국 정부에서 공개한 보고서, 문건, 법규, 중국내ㆍ외에서 발표된 논문, 연구 자료를 위주로 하는 문헌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을 이끌어나가는 CEO들의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 부족의 원인은 교육훈련이 당장 효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교육훈련의 무용론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경영상의 어려움(자금조달)과 인력 부족, 이직 문제 등 현실적 제한으로 인해 기업의 근로자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무관심 상태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 둘째, 합리적인 교육훈련 시스템의 미비이다. 주로 교육전문 인력 부족, 형식화된 훈련 계획, 교육훈련의 성과보다는 학생 수만 추구하는 현상, 중소기업 요구에 부응하는 교과방법이나 중소기업 실정에 맞는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역량 부족 등의 문제로 제한되고 있다. 셋째,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관리시스템 불건전이다. 다수의 중소기업들은 주로 필기시험 방식을 채용하여 교육훈련을 평가하며, 사후에는 근로자들의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기록을 전문적으로 관리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에 따른 3가지 개선방안을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다. 먼저 정부는 시대의 발전에 뒤떨어진 정책이나 법률을 수정하고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정책을 제출하고, 교육훈련의 발전에 유리한 환경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경영자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육훈련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즉 교육훈련을 통해 생산에 양과 질을 제고할 수 있고 종업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해 주며 직무 만족도를 높여주고 노사 간의 인간관계를 개선하게 되어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투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합리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건설 및 개선이다. 기업의 니즈(needs)에 맞는 교육훈련 계획 수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교육훈련을 실행하기 전에 해당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조사하고 연구, 분석하여 교육훈련에 대한 세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 다음에 교육업무의 과제 및 목표달성을 위해 실행해야 할 구체적인 과정을 수립하는 것과 교육훈련 자금의 내원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훈련 평가제도의 정비 개선이다. 학습 반응, 학습 성과, 행동변화와 업무효율을 대상지표로 교육훈련의 평가기준을 정하고, 교육훈련 실행 후에는 근로자의 업무태도, 업무성과 등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며, 교육훈련 결과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

        유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고민과 그 고민들을 해결해 가는 과정을 알아보고, 더불어 그 과정에서 겪는 경험들의 교육적 의미를 세밀하게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어머니와 자녀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즐겁게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문해적 환경을 이해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의 고민은 무엇인가? 2. 어머니들이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3.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P시의 H작은도서관에서 2017년 7월 중순부터 2017년 9월 말까지 10회기의‘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진행하며 연구참여자 여덟 명을 참여관찰 하였고, 이후 그룹면담 3회와 개인면담 16회로 총 19회의 심층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목적은 지식습득을 통한 인지발달과 언어(말, 문자) 발달 및 다양한 발달을 위해서였다. 그리고 그림책으로 폭넓은 경험을 대신해 주고 생활의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랬다. 또 아이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책이 평생의 친구가 되고, 재미를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 이와 같이 어머니들은 복합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기 위한 방법론적인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자녀발달의 이해 측면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발달시기에 맞는 책 선정의 어려움, 좋은 책 선정 기준에서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는데 아이들의 집중력 부족과 좋아하는 책만 반복적으로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읽어주는 기술 측면에서의 어려움은 어머니가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는데 있어 기술의 부족과 젊은 세대 어머니들이 공감하기 어려운 전래동화를 읽어주는 것, 그리고 바쁜 일과 속에서 의무감으로 읽어주는 습관적 행위를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복합적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림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그 어떤 목적 수행이 아닌 자녀의 즐거움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의 변화와 그림책을 단순한 읽기 매체가 아닌 놀이감으로 보는 시각의 변화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의 행동을 허용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어머니들이 책을 읽어주는 방식의 기술적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평소 글자에 집중하던 어머니들이 그림을 보게 되었고, 간단한 각색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하였으며, 노래와 동작을 곁들여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또 그림책 선정 기준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어른 입장이 아닌 아이 입장을 고려한 책 선정과 구입방법이 양 중심에서 아이의 흥미를 고려한 질 중심으로 낱권을 구입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은 아이들이 보는 책이라고 생각하던 어머니들이 스스로 그림책의 재미에 빠져들었다.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를 반성하게 만드는 그림책을 통해서 등장인물을 동일시하며 공감하였고, 재미를 느꼈으며, 책놀이를 통해 양육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조절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사회로서의 작은도서관은 어머니들에게 공간의 의미, 사람의 이해, 관계의 의미가 있었다. 공간의 의미로 작은도서관은 다양한 체험과 배움의 장이었다. 즉, 자녀에게는 비형식적 교육기관이자 어머니들에게는 자기 개발의 장소였다. 그리고 접근이 용이한 작은도서관은 자유롭게 아이와 함께하면서 편안하게 놀 수 있는 놀이 공간이었다. 사람의 이해에서 어머니들은 또래 엄마와 동등한 입장으로 자녀 양육방법과 교육방법을 나누었고, 선배 엄마는 자녀 양육의 선 경험자로 육아 방법에 서툰 어머니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또한 어머니들은 도서관에서 만난 타인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반성하였고 자녀를 이해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관계의 의미에서는 새로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을 통해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나타났고, 그림책을 매개로 대화를 많이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머니들 간의 관계를 보면 나와 다른 타인을 통해 잠재된 나를 발견하였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면서 어머니 자신이 가진 능력을 자원 활동가로 발휘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치를 느끼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일상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통해 그림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읽어주는 전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삶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림책을 읽어주는 어머니들의 변화가 자녀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로 확장됨에 따라 책을 읽어주는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ries of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in reading picture books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and to analyze in detail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 involved in the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worries of mothers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2. What is the strategy for mothers to read picture books in an interesting way? 3.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in a small library?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by conduc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 class at a small library H in P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ading picture books, the aim of mothers is to acquire knowledge, have a wide range of experience, and give pleasure to their infants and toddlers. The mothers were having a methodological problem of effectively read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complex task. Next, in reading activities of the picture books, difficulties appear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children's behavior, and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skills, and the mothers were worried about this. Second, while implemen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program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 worries that the mothers experience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 change occurred in values and in technical aspects of reading picture books. In addition, in choosing a picture book, the mothers learned to think of the children’s position first, and the mothers became immersed in the fun of the picture books themselves. Third, small library as a local community was a space where various experiences and learning occurred to both children and mothers. It was also a comfortable play space with easy access and to be with children. In the understanding of people, peer mothers served as a social equal, whereas senior mothers served as a supportive force in parenting as experienced hands in child rearing. Also, communication with others you met at the library helped to understand your own children. Furthermore,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the new way of read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