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으로서 놀이 : H.-G.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김서라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Diese Arbeit erklärt den Begriff des Spiels als Seinsweise des Kunstwerkes mit Gadamers Werk, "Wahrheit und Methode". "Wahrheit und Methode" von Gadamer lag einen Grund d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s. Er beschäftigt sich mit dem Problem, wie Kunst und Philosophie eigenen Wahrheitsanspruch sich zu rechtfertigen, Dafür kritisiert er die neure Geistwissenschaft, die unter den Einfluss des Methodenideals der Naturwissenschaft steht. Gadamer richtet im ersten Teil der seinen Werkes auf hermeneutischer Ansicht gegen die Ästhetik, die an der Subjektivität des ästhetischen Bewußtseins bleibt, indem er das Problem stellt, wie der Wahrheitsfrage an der Erfahrung der Kunst sich freilegen. Er hebt die Ontologie des Kunstwerkes mit dem Begriff des Spiels hervor. Das Kunstwerk gilt als schönes Gegenstand in neuerer Zeit, dagegen bestimmt Gadamer Kunstwerk als das Sein, mit dem man sein eigenes Sein finden kann. Gadamer zufolge ist die Seinsweise das Spiel. Der Begriff des Spiels von Gadamer ist selbtständig und ontologisch. Der ist anders als der des Spieltriebs von Schiller, der zum subjektiven Bewußtsein gehört. Nach Gadamer hat das Spiel eigene Weise, aus Spielen zu entstehen und dies entwickelt sich zum hermeneutischen Verstehen. Diese Arbeit bestimmt den Begriff des Spiels als Seinsweise des Kunstwerkes durch die Eigentümlichkeiten wie die Selbstdarstellung, die Verwandlung ins Gebilde und Mimesis, die Gleichzeitlichkeit, das Okkasionelle und Kritik des Relativismus. Man kann durch die ontologische Spielsweise im Kunstwerk selbst finden, gleichzeitig kann das Kunstwerk im Zuschauer mit eigenem Sein identifiziert werden. In diesem Hinsicht von Gadamer versuchte diese Arbeit, das moderne Subjektivismus des ästhetischen Bewußtseins einzuschränken, und das Spiel als die Seinsweise des Kunstwerkes zu erklären. Vom durchgeführten Spielsbegriff Gadamers ist Tragödie ein repräsentativer Kunstwerk, der mit Zuschauer spielt. So versuche ich hermeneutischen Erfahrung der Kunst durch einen Beispiel, Antigone von Sophokles ontologisch zu interpretieren. Wir können durch dem Versuch den Spielsbegriff nicht nur als eine Seinsweise des Kunstwerkes, sondern auch als ein Erfahrungsstruktur des Menschens verstehen, das unseres wahrhaften hermeneutischen Universums darstellen lässt. 이 글은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근대 미적 의식의 주관주의를 비판하고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으로서 놀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이 중심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은 철학적 해석학의 정초를 닦은 저서이다. 그는 이 저서에서 미적 의식의 주관성에 머문 미학을 벗어나서 예술작품의 존재 문제를 해석학적 시선으로 다루고 있다. 가다머가 예술작품을 보는 해석학적 시선은 근대의 미적의식과 대조될 수 있다. 근대의 예술작품은 내용이 배제된 채로 주관적 미적 의식 안의 아름다운 대상으로만 다루어졌다. 이를 가다머는 미적 의식이 예술작품을 주관화시킨다고 보고 이를 비판한다. 가다머에게 예술작품은 현실 속에서 삶을 사는 인간을 고려하고 있으며, 그 인간과 만남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는 존재이다. 가다머는 이 존재방식을 놀이로 설명한다. 가다머의 놀이 개념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쉴러의 놀이충동처럼 의식 속에 있는 것과는 다르다. 놀이의 존재방식은 놀이함이라는 동시적 사건을 통해 드러난다. 이는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으로서 작용한다.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으로서 놀이는 자기표현, 형성체와 미메시스, 동시성, 우연적 상황성과 비극적 의미형태의 양상들로 해명된다. 이 해명을 통해 예술작품은 관람자가 참여하는 놀이의 장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여기서 놀이는 미적 개념으로서의 고유성을 함축하면서도 참여의 존재론으로 그 의미가 확장된다. 놀이라는 사건을 통해 인간은 예술작품에서, 예술작품은 인간에게서 존재의 동일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작품의 해명으로서 예술경험의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놀이의 존재방식이 다시금 확인될 수 있다. 이처럼 나는 가다머의 관점에서 놀이의 존재론과 함께 예술작품과 진리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다.

      • 공연예술 연구주제 빅데이터 분석 -무용·연극 중심으로-

        송연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팬데믹을 기점으로 이에 영향을 받은 국내에서 발표된 공연예술·무용·연극분야와 관련된 연구 주제를 탐색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연예술을 비롯하여 무용과 연극분야 관련 연구들의 시기적·사회적인 변화에 따른 연구흐름과 주제를 파악하여, 연구자들의 변화된 관심 주제에 관한 주요 핵심어를 추출하고 키워드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분석하여 학술적으로 변화된 양상과 이에 따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연예술·무용·연극분야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 및 거시적인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이전의 시기, 발생 이후인 시기를 기준으로 총 2시기(2018년~2019년, 2020년~2021년)로 구분하여 4년(2018년~2021년)간의 학술논문과 석사·박사학위논문에서 주요 키워드와 변화된 연구주제 및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하여 시기별 변화와 어떤 양상의 주요 이슈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분야별 연구의 시대적 환경 변화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연구물의 제목 주제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논문의 경우 무용분야의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2020년을 기점으로 연구량이 증가한 것은 코로나19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한 오프라인 공연의 취소·연기와 재택근무 등 정책적인 변화 영향에 따라 많은 예술가들이 학술적인 집중과 노력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은 공연예술분야가 가장 많은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분야 모두 2018년에 가장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고, 전체적으로 점차 하락세를 나타내다가 2021년 다시 증가함을 보였다. 연극분야에서의 연구도 꾸준히 수행되었지만 타 분야에 비해 연구 건수가 적었으며, 그 중 박사학위논문이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술논문 발행기관 중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낸 기관 현황은 공연예술분야 전체의 발행기관은 총 257곳이며, ‘한국공연문화학회’와 ‘한국연기예술학회’에서 가장 많이 발행하였다. 무용분야는 총 181곳으로 ‘대한무용학회’이며, 연극분야는 총 276곳으로 ‘한국연극학회’에서 가장 많이 발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예술분야 연구에 참여하는 학회 및 대학기관들이 급증하고 창의·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힘쓰는 등 관련 학회기관과 대학기관에서 현재까지도 각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노력하여 연구 성과 향상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시기별 분석 결과로 도출된 키워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코로나, 시대, 뉴노멀, 뉴미디어, 댄스필름, 디지털, 라이브 스트리밍, 메타버스, 비대면, 소셜미디어, 언택트, 온라인, 유튜브, 융복합, 콘텐츠, 포스트, 플랫폼, AI, IT, VR의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연예술·무용·연극분야의 학술논문 및 석사·박사학위논문은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현황을 1시기와 2시기로 비교했을 때, 사회적인 변화 속에서도 연구가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많은 예술인 학자들이 각 분야별 학문의 양적 증가를 위한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각 분야 내의 변화된 환경에 대한 영향이 연구의 증가를 가져온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실질적인 공연과 현장에서의 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문헌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일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 경영, 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형태로 변화하며 다학제적인 성격의 연구활동으로 발전 및 활성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관련 연구주제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시기별 연구경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는 공연예술과 무용, 연극분야 학자들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며, 향후 다른 팬데믹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연구 경향의 변화를 확인하고 후속 연구 주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연구주제 결정과 더불어 실제적인 현장에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performing arts, dance, and theater fields published in Korea,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pandemic, and tri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that change with the times. The keywords of the researcher's interest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analyzed by understanding the research flow and subject of the period and social changes in the field of dance and theater, including performing arts. In addition, the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key keywords by perio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how to respond accordingly. In order to investigate trends in performing arts, dance, and theater, the research themes and aspects related to covid-19 pandemic are divided into two periods (2018~2019, 2020~2021) based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focusing on the title theme of each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jor research content of each field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First of all, the research in the dance sector has been on the rise from 2018 to 2021, The increase in research volume from 2020 seems to have led to academic concentration and efforts by many artists due to the impact of policy changes such as cancellation, postponement of offline performances and telecommuting due to COVID-19's social distancing policy. Master's thesis and PhD thesis were found to have conducted the most research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In all three field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8, and overall, it showed a gradual decline and then increased again in 2021. Research in the theater field was also steadily conducted, but the number of studies was smaller than that of other fields, and among them, the doctoral thesis was significantly lower. Second, a total of 257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re the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s that represent the largest number among academic paper publishers, and they were published the most by the ‘Korean Society of Performing Arts’ and ‘Korean Society of Performing Arts’. A total of 181 dance fields are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and a total of 276 are theater fields, indicating that they were issued the most by the ‘Korean Theater Association’. The number of academic and university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research in the art field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related academic and university institutions have been striving for academic development in various fields. Third,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keyword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by period of this study, keywords of Corona, era, new normal, new media, dance film, digital, live streaming, metaverse, non-face-to-face, social media, untact, online, YouTube, convergence, content, post, platform, AI, IT, and VR were confirmed. Accordingly, academic papers in performing arts, dance, and theater, and papers with master's and doctorate degrees were found to have been affected by COVID-19.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year to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t was found that many artists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ir studies in each field, as research shows an increase in social change.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on the changed environment in each field has led to an increase in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for balanced development as well as a substanti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aspects in the field.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be developed and activated as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ctivity, changing not only in a single academic field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management, cultur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keywords of COVID-19 related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and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by period were analyzed. This shows the perception of performing arts, dance, and theater scholars and will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prepare for other pandemic situations. In order to revitalize various research, we hope that changes in research trends will b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nd guidelines for subsequent research topics will be presented to be used as practical field data along with research topic decisions.

      •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연아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D광역시 대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진로미결정과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및 검증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 커뮤니티 사이트와 전단지, SNS를 통해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현재 심리 상태에 대한 사전 인터뷰, 그리고 진로미결정과 취업 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상자에 적합한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비대면 특성상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융합예술치료 관련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후, 2021년 10월 11일부터 11월 4일까지 주 2회, 회기당 60분의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1회기에서 4회기까지 진행 후 중간 점검을 위해 도입-핵심-마무리 단계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진행은 비대면 화상회의 플랫폼 ‘ZOOM’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주치료사로서 실행하였다. 연구자 외 1명이 보조치료사로서 참여하여 프로그램 보조 및 대상자의 표현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진로미결정 및 취업 스트레스 척도 검사 후 수집한 자료를 모두 점수화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인 양적연구와 회기별 내용분석, 대상자 개인별 사전‧사후 인터뷰 분석 후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미결정의 하위요인 중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자신에 관한 명확성 부족’, ‘진로관련 정보부족’, ‘결단성 부족’, ‘내적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p<.05). 또한 내용분석과 사후 인터뷰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 둘째,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업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성격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취업준비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성을 얻었다(p<.05). 이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사전-사후 평균 비교 결과와 그래프를 살펴보았을 때, 큰 변화를 이끌었다고 볼 순 없었다. 그러나 회기별 내용분석 및 사전-사후 인터뷰 분석에서 일부 대상자에게서 확연한 긍정적인 효과가 관찰되어 본 연구의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8명을 대상으로 8회기 동안 진행한 것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우며, 비대면 프로그램으로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온라인상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가 접속하는 인터넷 환경에 따른 변수가 발생할 수 있기에 치료사는 사전 시스템 점검과 돌발 상황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프로그램의 특성상 치료사와 대상자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의 기회가 제한되어 치료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셋째, 비대면이라는 환경적 특성상 일부 단일예술치료 진행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대면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방면의 심리치료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COVID-19로 인한 대면접촉 제한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는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본 연구가 대면 융합예술치료의 대안으로 활용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nalyzes and verifies the effect of an untact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on career indecision and job-seeking stress in senio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metropolitan city D. The subjects were recruited via the university community website, flyers, and social media platforms. A pre-interview for examining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current psychological state and a test for investigating career indecision and job-seeking stress scale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results, an untact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was created, which is suitable for the participant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on convergence art therapy to test the validity of the untact program,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was then conducted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between October 11 and November 4, 2021. After the 4th session, an FGI was conducted in the steps of introduction-main part-conclusion to check the progress of the program. As an untact video conference platform, a Zoom meeting was held by the author, chief therapist of the program. One assistant therapist helped organizing the program and observed and recorded the participants’ expressions. For data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PSS 27.0 was used. After the scale test on career indecision and job-seeking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scor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content analysis on each session, the analysis of individual pre and post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were describ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llowing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in senior students: “lack of clear understanding of oneself,”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determination,” and “internal conflict” (p<.05). Content and post-interview analyses also demonstrated positive results. Second, the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llowing subfactors of job-seeking stress: “personality stress,” “academic stress,” “family environment stress,” and “job preparation stress” (p<.05). Alth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mean comparisons and graphs. However, in content analysis on each session and pre- and post-interview analysis, som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untact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s this study analyzed eight students for eight sessions. As an untact program, the present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in advance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online network environment and prepare for unexpected situations, as participants may experience difficulties accessing the Internet. Second, give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ntact program, immediate interactions between therapist and participants could be limited, weakening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Third, the nature of the untact environment made some single art therapies difficult. Therefore,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of the untact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follow-up studies should develop multifaceted psychological therapy approaches and programs. In the current environment where face-to-face contacts are limited and social distance is becoming a new normal,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evidence for the alternative to face-to-face convergence art therapy.

      • 藝術高等學校의 音樂科 敎育課程에 대한 硏究

        오기봉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과학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물질적인 풍요는 정신적인 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러한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예술에 대한 인식수준이 상당히 향상되어 보다 높은 예술적인 경험을 요구하게 되었고 예술 교육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예술교육은 일반교육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교양과목)의 교육과정에서 이뤄지며 전문교육의 경우 보통 대학교의 예술대학에서 행해진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경직된 교육제도에 묶여 대학에서만 전문분야의 예술교육을 주로 하고 있다. 이는 전문예술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조기교육을 해야 한다는 내용에 모순되는 것이다. 해결 방안의 하나로 예술계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53년 사립 서울예술고등학교의 첫 설립을 출발로 하여 1955년 국립국악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60년과 1970년대에는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경북예술고등학교.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기타계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2003년 현재 전국에 25개의 국.공.사립학교가 설립되어 예비 예술인을 배출하고 있다. 전문예술교육을 전담하는 예술고등학교가 처음 개교된지 50년이 지났으나 예술학교 교육에 뿌리가 된다는 전문교과 교육과정 즉, 기타계 예술계열 고등학교만을 위한 교육과정은 1987년도에야 제5차 교육과정으로 마련되었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을 거쳐 지금 현재 제7차 교육과정까지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처음 마련된 제5차 교육과정과 제6차 교육과정, 현재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 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둔다. 본고에서는 첫째로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 살피고, 둘째, 독일.프랑스.영국.일본의 학교제도와 교육과정 음악교육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1990년대 이후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신과 개관, 전국 분포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셋째, 우리나라의 5.6.7차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내용을 조사하고, 보통교과의 과목과 단위 배당 기준 및 전문교과의 단위배당을 알아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예술에 관한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넷째, 이러한 순서에 따라 예술고등학교 음악과가 나아갈 방향과 제7차 교육과정이 이들 예술고등학교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국 25개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 음악과와 관련이 없는 예능고등학교는 제외시켰다. 결론적으로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연주자 양성만을 목표로 두고 실기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다. 예술고등학교는 예술 전문인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교이므로 학생들에게 전공에관련된 실기뿐만 아니라 전공에 대한 다양한 학습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보다는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고 전문교과에 대한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 운영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리라 생각되어진다. 예술고등학교의 양적인 증가도 중요하지만,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좀 더 고등 전문학교로 대학 진학을 위한 연계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음악원식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질적인 향상이 필요할 것이다. The tremendous advance in science has brought us material affluence, and the way of looking at the mental world has changed. Modern people have a better eye for arts, call for higher artistic experience and show a bigger interest in arts education than before. In our nation, general arts education is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optional courses, and professional arts education is mostly offered by arts college.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s so stiff that universities are nearly the only plac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professional arts education, whereas there is a loud cry for early professional arts education. Arts high school is mentioned as one of the possible solutions to address such a need. After a private Seoul Arts High School was established in 1953 for the first time, Nationa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was founded in 1955, and in the 1960s and 1970s,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Gyeongbuk Arts High School and Weongwang Information & Arts High School were established. Since the late '80s, the number of arts high school has been on the rise, and there are 25 national, public and private arts schools across the nation as of 2003, where would-be artists are produced. Although it has been 50 years since the first arts high school was opened, the professional curriculum for arts high school only were just prepared in 1989 as part of the 5th national curricula, and then it has continued to be included in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delve into music curriculum for arts high school in the 5th,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 After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curriculum were discussed, the school systems and music curricula in Germany,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described, and what arts high school curricula have pursued and how many such schools existed in the nation were explained. And then the 5th, 6th and 7th arts high school curricula were reviewed, and how many units were allocated to general and professional classes were investigated. Specifically, the 7th national arts curricula were closely examined. Finally, it's attempted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arts high school music department and to discuss how the 7th national curricula should be applied to arts high schools. 25 arts high school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from across the nation, and schools that had nothing to do with music department were excluded. In conclusion, the curricula in the arts high schools seemed to focus on practice in pursuit of fostering expert performers only. As they initially aim at nurturing arts specialists, they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a variety of related learning opportunitie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the 7th national curricula take learner ability into more account and make a lot of progress in professional courses, but it's expected tha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heir implementation. There should be a sufficient number of arts high schools, but it's equally important to develop those schools into higher professional ones, by managing them in the same manner as conservatory of music, so that students could receive better-quality education and grow into expert musicians.

      • 문화예술 체험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분석 : 원주중앙시장(미로예술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윤보현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문화예술체험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전통시장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가진 곳이다. 옷을 사기도 하고 저녁 찬거리를 사러 나가기도 하고, 아이들과 함께 또는 친구들을 만나 한 끼 식사를 부담 없이 때울 수 있는 먹거리가 지천인 곳이 바로 전통시장이다. 그러한 전통시장은 대형마트의 출현, 유동인구의 변화, 교통의 발달 등으로 인해 쇼핑하기 불편하고, 편의시설도 잘 갖춰지지 않은 낙후된 공간이란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인식들이 정부의 2008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통해 시설개선과 경영개선 등이 이루어지면서 점차 전통시장의 쇼핑 환경이 달라졌다. 삼국시대부터 유래된 시장은 물건을 사고팔기 위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집회나 서민들의 소통 공간이었다. 또한 그곳은 다양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복합적 공간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시장은 소통의 공간 이라기보다는 그저 물건을 사고 파는 단순한 상품유통 공간으로 변하며 침체되었다.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사업 가운데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시행하는 ‘문화 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은 전통적인 시장의 소통 기능을 되찾고, 지역의 역사 문화 자원과, 특화 요소 등을 전통시장과 결합하여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시설 현대화를 한다고 해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처럼 편리하고 깨끗한 공간으로 탈바꿈되는 것은 아니다. 오밀조밀하고 복잡한 전통시장의 구조는 대형마트와는 전혀 다른 차별화된 특징이며, 이 특성을 살리는 것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핵심 포인트이다. 지난 10여 년간의 문화 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은 시장의 기능을 많이 바꾸어 놓았다. 디자인 개선, 지역 특화 축제, 마케팅, 체험을 통해 전통시장이 단순히 물건을 사고 파는 곳에서 문화를 향유하고 소통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모되었다. 또한 시장은 여러 가지 이벤트와 볼거리, 즐길 거리 등이 있는 문화예술체험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시장의 변화된 모습을 SNS를 통해 알림으로써, 전통시장이 젊은 청년들의 참여공간으로, 데이트 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이러한 문화 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의 결과로 몇몇 전통시장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지역사회의 구심점이 되어가고 있다. 그 중 원주 중앙시장은 전통시장에 문화예술을 접목시켜 활성화된 좋은 사례이다. 본 논문은 원주 중앙시장 사례를 통해 낙후되었던 공간이 지역의 관광 랜드마크이자 청년창업의 중심지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문화예술체험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주중앙시장의 사례를 자세하게 기술하고, 문화예술체험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다만 고객, 상인 등 직접적 사업 수혜자들의 데이터를 다양하게 제시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앞으로도 전통시장 활성화는 다양한 방면으로 진행될 것이다. 미로예술시장은 경제적 이익이나 사업성과를 중시하는 정책으로 인해 한쪽으로 밀려나 있는 문화예술과 문화예술체험 콘텐츠가 시장 활성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증명하고 있다. 전통시장이 진정한 문화의 생산지이자 문화의 소비 장소가 되어 우리 서민들의 삶의 질을 풍성하게 만드는 소통과 공유의 공간으로 완성되기를 기대한다.

      • 성남시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과 네트워크 역할에 관한 연구

        이수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combined study of case studies and quantitative studies on local cultur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twork role for Seongnam city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factors. The local culture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the uniqueness of the local culture, the modernity of the local culture, the symbolism of the local culture, the familiarity of the local culture, and the harmony of the local culture and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factors consisted of local culture community, local culture resource creation, local culture spirit cultivation, and support for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case study of regional culture, Seongnam city was classified as Seongnam old town, Bundang new town, and Pangyo high-tech city and included as study subjects. 15 local culture and art experts, foundation experts and festival experts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and network role were selected as participating researchers and interviewed from October 30 to November 25, 2021. In the empirical study,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ordinary citizens of Seongnam city, and a total of 519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the case study results and empiric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eongnam old town needs a public policy that maintains the uniqueness of local culture by preserving the important values ​​of Namhansanseong Fortress, builds trust for local residents' initiative, and accompanies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hat can help the town be reborn as an industrial complex and a new industry convergence complex and create a modernity of local culture, that can help Dreaming art space, maker space 'Jae-Mi', TLI Art Cen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enjoying culture and art harmoniously in Seongnam old town. The Seongnam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should expand the Seongnam Arts Festival, which cultivates the spirit of local culture to help converging tradition and modernity, establishing a cultural identity, and increasing the attachment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festivals and forums that make use of the symbolic historicity of local culture linking Namhansanseong Fortress, Sanseong pul-ie, and Seongnam Atrium should be implemented to devise a strategy to utilize worl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for Namhansanseong Fortress. Second, Bundang new town's local folk plays, 'I-mu-sul pounding sound' and 'ori yard poongmulnori', are one of the unique cultural heritages representing Seongnam and have important value as an event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village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strategy to harmonize the community and expand cultural participation and enjoyment through which community members can share experiences through artistic participation in artistic creation. Seongnam Art Center must establish the creativity of the city, construct a branding system by combining the new technologies of Bundang Valley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with culture and art, help research activities and startups such as mobile multimedia, functional games, story contents, knowledge convergence services, and green cars that incorporate culture and art and encourage municipal art troupes to develop creative contents by re-establishing the function of local art organizations in the midst of change and cultural autonomy. Bundang new town is a festival that connects music festivals such as ACT Seongnam, a digital art festival that combines art CT and technology IT, and Seongnam Music Festival with a municipal symphony orchestra and a municipal art troupe, professional commentary from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 A policy to form a harmonious city should be prepared by continuously holding outdoor performances in Yuldong Park. Bundang new town should prepare policies to connect music festivals such as ACT Seongnam, the digital art festival that combines art CT and technology IT, and the Seongnam Music Festival with the municipal symphony orchestra and the municipal arts troupe with the Seongnam Arts Festival, to provide professional commentary from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 and to continuously hold outdoor performances in Jungang park and Yuldong Park, thereby forming a harmonious city by continuously. Third, the Pangyo High-tech City should utilize cultural resources such as Ssangyong-geo tugging rituals and games and Pangyo 'Brighting Bridge',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local residents and a new cultural industry that converges local culture and arts and cutting-edge technology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utilize Seongnam content developer and local cultural content researcher who can develop content. It should also raise its brand as a city specializing in game content culture to create a game festival, Pangyo 25th Street Festival, Hwarang Park Festival, and a healthy game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culture with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the technologies of startups and IT companies in the cultural arts program center. The Seongeum Art Center should also prepare a plan to build a cultural and artistic digital talent nurturing platform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industry ecosystem can be activated, AI education and corporate support programs can be operated by forming a performance culture and establishing a test bed through the creation of an innovative industry ecosystem. Fourth, Seongnam old town should share the theme of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Namhansanseong Fortress, Seongnam Cultural Center, Seongnam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Seongnam Citizens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ssociation, Seongnam City Museum and Sanseong Pul-ie play a central role, and develop a program through this, sharing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s, and jointly operating the program to develop a program with young people through creation and convergence of local artists.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of Bundang new town, based on a policy project, develops festivals with local stories through public and private festivals that play a central role in the network of cultural artists with the Seongnam Art Center’s Musical Instruments Museum and the Orpheo Music Museum. They should be converted into an autonomous, privately-led, citizen-led festival and the Pangyo High-tech City should specialize in the Pangyo Museum program, which can incorporate the functions of a community center that can play a central role in the network through space sharing by global companies. Fifth, in Seongnam old town, PLACE C, a cultural space of a living culture station, should be used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groups and network formation between local artists and art institutions, thereby creating a local story and serving as a medium through continuous connection with various cultural spaces. It should be expanded to programs that link the technology of Seongnam High-Tech Valley. Bundang new town should utilize the creative support project implemented by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to promote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artist networks such as the General Association of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the General Association of Civil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Seongnam Culture and Arts Sharing Network. In addition, by utilizing local cultural heritages unique to the region, such as 'I-mu-sul pounding sound' and 'ori yard poongmulnori',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can expand opportunities for traditional culture to play a mediating role based on local features with various stories and historical values. Pangyo High-tech City should discover creative talents to prepare for changes in industrial trend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devising contents that play a mediating role using Ssangyong-geo tugging rituals and games, Pangyo 'Brighting Bridge', Pangyo Museum,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of the region and various performances should be developed to create a forum for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ixth, when planning the Sut-Gol Festival and the Jungwon Hanmadang Festival, Seongnam old town should develop and settle Seongnam's representative festivals that combin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olve problems by participating in all spaces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Bundang new town should help citize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festivals and help to bridge the gap in the local community and a plan for mutual cooperation with the Feder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Pangyo High-tech City should establish a cultural institution that can communicate culture and art that can play a problem-solving role, help the problem-solving role to work actively,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culture and artists. Seventh, Seongnam old town should develop a policy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that can be achieved in a sense of community that can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networks through culture and art by utilizing PLACE C, which is located in a space close to businesses. Bundang new town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should provide policy projects for revitalizing cultural exchange, exchange of ideas using Yatap Valley and IT Valley, and linkage programs that enable local artists to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on the stage. In addition, Pangyo High-tech City should establish a system for shar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can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Eighth, the creative industrializ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cultural autonomy cooperation system of artists should establish and promote a balanced urban policy in the form of a policy community network to revitalize the local culture community. Online Cultural Experience Playground, a citizen culture platform for the creation of a participatory convergence culture and art valley, utilizes the issue network to support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Seongnam cultural space utilization project should apply the issue network and online network methods to cultivate the local culture community. In addition, the Seongnam Art Center operates a cultural sharing seat to resolve the gap between the underprivileged, and supports artists in crisis in Seongnam, support related to the corona pandemic, and establishes a policy community network to foster the local culture community and should be reflected in policy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성남시 지역문화예술 진흥요인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과 네트워크 역할에 관한 연구로 양적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지역문화 특성은 지역문화 고유성, 지역문화 현대성, 지역문화 상징성, 지역문화 친숙성, 지역문화 조화성을 설정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요인은 지역문화 공동체, 지역문화 자원조성, 지역문화 정신함양, 지역문화 예술교육지원을 구성하였다. 지역문화 사례연구는 성남시를 성남원도시, 분당신도시, 판교첨단도시 구분하여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지역문화의 특성과 지역문화예술 진흥, 그리고 네트워크 역할에 대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전문가, 재단 전문가와 축제 전문가를 1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10월 30일부터 11월 25일까지 인터뷰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는 성남지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19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사례연구 결과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남원도시는 남한산성의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보존되어 지역문화 고유성을 잘 유지하고, 지역주민의 주도적 활동을 위한 신뢰 구축과 주민과 함께 하는 공공정책이 필요하다. 산업단지와 신산업 융복합 단지로 거듭나 지역문화 현대성을 창출하고 있고 꿈꾸는예술터, 창생공간재미, TLI아트센터, 성남아트리움은 성남원도시에서 조화롭게 문화예술 향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남예총이 전통과 현대의 융합과 문화정체성 확립과 지역주민들의 애착심을 높이기 위해 지역문화 정신함양을 함양한 성남예술제를 확대 운영하고, 남한산성, 산성풀이, 성남아트리움을 연계한 지역문화 상징적 역사성을 살리는 축제와 포럼을 시행하여 남한산성을 세계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하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분당신도시는 이무술집터다지는소리 와 분당오리뜰은 성남을 대표하는 고유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며,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행사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예술창작의 예술참여로 공동체 구성원 상호 간의 경험을 공유하고 공동체의 조화와 문화참여 및 향유 확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성남아트센터는 도시의 창조성을 확립하고, 분당밸리 정보기술 및 생명 공학기술의 신기술을 문화예술의 접목하여 브랜딩화 하는 제도를 구축하고, 문화예술을 접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능성 게임, 스토리 콘텐츠, 지식융합서비스, 그린카 등의 연구활동과 창업보육 사업 전개 그리고 시립예술단들이 변화와 문화자치의 흐름 속에서 지역예술조직의 기능을 재정립하여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ACT성남, 예술CT와 기술IT이 융합된 디지털 아트 축제와 시립교향악단, 시립예술단이 함께하는 성남뮤직페스티벌 등 음악축제를 성남예술제와 연계하는 축제와 악기박물관의 전문적인 해설과 중앙공원과 율동공원에 야외공연장의 지속적인 공연을 만들어 조화로운 도시를 형성하는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판교첨단도시는 쌍용거줄다리기, 판교다리밝기의 문화자원을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프로그램과 지역 문화예술과 첨단기술이 융합한 새로운 문화산업 콘텐츠를 개발을 성남콘텐츠 진흥원과 지역문화 콘텐츠연구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도시는 게임페스티벌, 판교25통 거리축제, 화랑공원 축제와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해 게임콘텐츠 문화특화 도시브랜드를 높이고 문화예술 프로그램센터에 스타트업과 IT 기업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갖춘 지역문화를 정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성음아트센터는 공연문화를 형성과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테스트 베드 구축으로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 활성화, AI 교육 및 기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도록 문화예술 디지털 인재 양성플랫폼 구축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성남원도시는 남한산성과 성남문화원, 성남예총, 성남민예총, 성남시립박물관 그리고 산성 풀이가 중심적 역할을 하는 전통문화의 테마를 공유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예술 정보공유와 프로그램 공동 운영으로 지역예술인들의 창작, 융합을 통해 신진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성남문화재단은 정책적인 사업을 바탕으로 성남아트센터의 악기박물관과 오르페오음악박물관과의 문화예술인들의 네트워크 중심적 역할을 하는 공공 축제와 민간축제를 통해 지역의 스토리가 있는 축제 개발로 예술인들이 자율적 민간주도형의 시민축제로 전환하여야 한다. 판교첨단도시는 글로벌기업의 공간공유를 통한 네트워크 중심적 역할이 가능한 커뮤니티 센터의 기능을 접목하여 중심적 역할을 하는 판교박물관 프로그램을 전문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성남원도시는 성남하이테크 문화마루가 단체 간의 정보공유와 지역예술인들이 예술기관들과 네트워크 형성하여 지역의 스토리를 만들고 다양한 문화공간과 지속적인 연결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성남 하이테크밸리의 기술력을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창작지원사업을 예총, 민예총, 성남문화예술 공유네트워크 등 예술인 네트워크로 지속적인 소통 및 교류와 이무술집터다지는소리, 오리뜰농악들은 지역 고유의 향토문화 유산들은 다양한 이야기와 역사성을 지닌 지역색을 바탕으로 매개적 역할이 가능한 전통문화의 기회를 확대하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판교첨단도시는 쌍용거줄다리기, 판교다리밟기, 판교박물관, 지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활용하여 매개적 역할을 하는 콘텐츠를 구상하여 산업 트렌드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창의적 인재가 발굴하고 다양한 공연을 개발하여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의 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여섯째, 성남원도시는 숯골축제, 중원한마당축제를 문화예술 기관의 모든 공간에서 함께 만들어 지역 특색을 접목하여 문제해결 역할을 하는 성남의 대표축제 개발하여 정착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시민들이 축제를 통해 상호소통과 지역사회의 격차 해소를 위한 대형 규모의 축제를 문화재단중심으로 문제해결 역할을 하는 성남문화원, 성남예총과 상호협력의 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판교첨단도시는 문제해결 역할이 가능한 문화예술을 소통할 수 있는 문화기관을 설립하여 문제해결 역할이 활발하게 작동하는 문화예술인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일곱째, 성남원도시는 기업과 밀접한 공간에 있는 성남하이테크 문화마루를 활용하여 문화예술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고 네트워크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공동체 의식 속에서 문화예술 향유 확대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 성남문화재단은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인 사업과 야탑밸리. IT밸리를 활용한 아이디어 교환과 지역예술인들이 활동무대를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며, 판교첨단도시는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문화예술 활동 공유하는 시스템 마련이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예술인 지역별 문화자치 협력체계 개선과 문화예술자원의 창조산업화는 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정첵공동체 네트워크 방식으로 균형 있는 도시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참여 융합형 문화예술 벨리 조성의 시민문화 플랫폼 랜선 문화체험 놀이터는 문화예술교육지원을 위하여 이슈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성남 문화공간 활용사업은 지역문화공동체 함양을 위하여 이슈네트워크와 온라인네트워크를 방식을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성남아트센터 소외계층 격차 해소 문화나눔석 운영 그리고 성남 위기예술인 지원 코로나 사태, 문화기반 확충· 문화환경 조성은 지역문화공동체 함양을 위하여 정책공동체네트워크를 반영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 예술 지원정책으로서 청년예술 지원정책 바라보기 : 국내 청년예술정책 및 지원사업의 현황 및 과제

        김정엽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년예술 지원정책은 청년과 예술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대한민국 사회가 경제위기를 겪은 이후로 지금까지 긴급하고 구호적인 관점에서 설계되고 추진된 복지적 차원의 청년 정책의 그 의도와 방향을 나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청년에 대한 미래를 설계하며 청년이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지키고 행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되었고 또 되고 있을까?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예술지원의 목적과 기능을 일부 상실한 채로 청년이자 예술인이라고 불리는 ‘청년예술인’에 대한 정책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그동안 동정과 연민으로 청년을 바라본 시선에 가난과 궁핍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배고픈 예술이 더해져 청년예술 지원정책은 그야말로 시혜적 성격의 나눠주기식 정책이 되고 말았다. 이는 예술지원이 갖는 공공의 역할과 책무에 대해서 그 가치와 중요성을 간과하게 만드는 일로 이어져 온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청년예술 지원정책의 현황을 통해 예술지원으로서의 기능과 목적을 다시 살펴보는 시도로써 청년예술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의 관점에서 인지되고 있는 청년예술 지원정책의 기능과 목적을 서로 비교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는 청년예술의 여러 이슈와 쟁점들이 단기간에 급부상한 청년예술 지원정책과 사업에서 어떠한 이유로 등장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예술지원이 갖는 의미가 일부 퇴색된 배경이 무엇이며 법제도 안에서는 이를 어떻게 준거하여 규정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연구를 위해 전국 단위 문화재단에서 실시하는 청년예술 지원정책과 사업의 현황을 연구 시점의 기준으로 최신화하고 관련한 이슈를 직접 경험하고 고민하는 청년예술인 당사자, 기관 실무자, 연구자, 기획자, 활동가, 입법조사관 등 전문가 11인을 심층 인터뷰하여 그 내용을 함께 활용하였다. The youth art support policy clearly shows how to view young people and artists. Since the Korean society suffered an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2000s, it has been aligned with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youth policy at the welfare level designed and promoted from an urgent and relief perspective. However, has there been sufficient discussion and is it being made on the matters that young people should protect and do as members of the board of directors while designing the future for young peopl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for "young artists," called young people and artists, have emerged in a flurry with some loss of the purpose and function of art support. In the meantime, hungry art, considered the object of poverty and poverty, has been added to the gaze of youth with sympathy and compassion, making the youth art support policy a truly beneficial distribution policy. This has led to overlook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public role and responsibility of art suppor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find a future direction by comparing the functions and objectives of the youth art support policy, which is recognized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youth art support policy. Various issues and issues of youth art that have emer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some reason in youth art support policies and projects, and in the process, some of the meaning of art support has faded, and how the legal system regulates it. For the study, 11 experts, including young artist parties, institutional practitioners, researchers, planners, activists, and legislative investigators, who directly experience and contemplate issues related to the latest state of youth art support policies and projects conducted by cultural foundations nationwide.

      • 지역의 문화예술단체 보조금 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 구미시를 중심으로

        임윤이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for local cultural development have become more important.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Gumi City, for which the researcher has worked since 2012 at the Division of Culture and Tourism.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of Gumi City has been implemented every year under the name of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Events by Gumi City.” The city selects beneficiary organizations by making public announcements for local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receiving request submissions, and conducting assessment processes, and evaluates the result to reflect on the next year’s project. Despite the growth of the city, changing social awareness and values on culture and art, the project has been operated without any improvement for a long time. Although the administration recognizes that the project needs to be upgraded, they have not discussed how to resolve some fundamental probl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Events by Gumi City” and social environments. For this,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l response and social flow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based on the official support for culture and art and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wer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Events by Gumi City” from the last 3 years, 2015 to 2017, were analyzed, and the opinions from local artists and officials from the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veloped: 1. Establishing specific missions for culture and art support to develop the local culture 2. Improving the project structu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3. Strengthening the specialty of the project by establishing a professional institution 4. Expanding the reasons for stable support by revising and enacting relevant ordinanc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ful to improve “the Subsidy Project for Culture and Art Events by Gumi City” as well as to establish culture and art policies reflecting the desire for culture and art in the city and environmental changes. Additionally, it will provide basic data for other primary local governments that have similar circumstances or concerns as Gumi City to formulate policies to support culture and art. 본 연구는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과 함께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예술단체 보조금 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본 연구자가 2012년부터 시청 문화관광담당관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구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구미시의 문화예술단체 보조금 지원사업은 매년 「구미시 문화예술행사 보조금 지원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지역의 문화예술단체를 대상으로 공고 및 신청, 심사의 과정을 거쳐서 지원대상자(보조사업자)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익년도 사업에 반영하고 있다. 도시가 성장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가치가 변화하고 있지만, 본 사업은 오랫동안 변화 없이 답습되고 있다. 행정 내부에서 사업 개선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미시 문화예술행사 보조금 지원사업」의 현황과 사회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 지원과 지역문화진흥법을 바탕으로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지역별 대응 현황 및 사회적 흐름을 살펴보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3년간 「구미시 문화예술행사 보조금 지원사업」의 추진현황 분석과 지역 예술가 및 문화예술단체 관계자의 의견 수렴 등의 연구과정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1.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문화예술 지원의 구체적인 미션 설정 2. 문화예술의 특수성을 반영한 사업구조의 개선 3. 전문기관의 설립을 통한 사업 추진의 전문성 강화 4. 관련 조례 개정 및 재정을 통한 안정적 지원 근거 확충 본 연구가 「구미시 문화예술행사 보조금 지원사업」의 개선과 함께 구미시 지역 내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와 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문화예술정책을 수립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것 뿐 만 아니라, 구미시와 유사한 상황과 고민을 가지고 있는 다른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예술 지원을 위한 정책수립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무용 제작과정 분석을 통한 무용제작시스템의 효율적 모델 방안 연구

        최혜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인들의 질적 풍요로움을 추구하면서 ‘문화예술’을 보고 즐기며 체험하는 활동들로 여가활동이 확산되고 점차 비중의 확장과 함께 대중예술뿐만 아니라 순수예술에 대한 관심도 확장되었다. 순수예술 분야 중 ‘무용’은 일반인들의 발레예술교육과 함께 보편화되어 예전에 비 관심분야의 장르라는 예술적 포지션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발레를 제외한 한국무용분야나 현대무용의 분야는 아방가르드적인 전문적인 예술적 이상향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레 장르를 제외한 순수공연예술로써의 ‘무용’은 대중의 흥행과는 상반될 수 없어 산업적 영역으로 들어서기에는 아직 어려운 점이 있다. 모든 산업은 기초과학이나 기초예술 위에서 발전의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으로 순수예술의 예술적 가치를 산업적인 가치로만 성과를 치부해서는 안 된다. 순수예술이 기초예술로서의 가치를 보존․유지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가치 안에서 공연예술로써의 무용제작 방식에 대한 현대화와 체계적 과정이 확립되어져야 한다. 사실 현 상황에서 순수 무용계의 개인단체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개인단체의 높은 비중은 제작방식에서의 현대화나 기술화를 이루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수예술 분야 중 대중성이 낮은 ‘무용’을 대상으로 무용장르의 발전적 방안 모색의 한 방편으로서 무용제작 방식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개인단체들을 배제하고 체계화와 현대적 제작시스템이 존재하는 국공립 극장 중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를 중점으로 제작과정을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작과정 속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각각의 기관의 장점을 서로 대입하여 무용제작 공연의 체계적인 과정확립과 무용제작과정을 통한 질 높은 무용공연작품 생산을 위한 이상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각각의 기관에서 무용작품 제작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우는 산하 단체인 무용단을 위한 관리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작품의 새로운 캐스팅이 필요하다는 점, 레퍼토리 작품과 기획 작품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는 점이 나타났다.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경우는 무용작품 제작을 위한 계약직고용으로 인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문 인력의 부족과 획일화된 홍보방식에 따른 관객층의 한계성, 적은 예산에 따른 창작비용의 부족에 있었다. 두 기관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인 점은 전문적 구성인력이 부족과 제한적인 마케팅 전략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발굴과 양성 및 환경 구축 두 번째, 다양한 홍보방식의 방안마련과 성공적 전략의 DB 구축 두 기관의 문제점 및 보완점 도출과정에서 각각의 기관의 다른 장점이 서로 교차하여 시스템에 대입하였을 때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그에 따른 각 기관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국립극장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공연프로젝트의 안무가 선정방법을 대입, 국립극장 작품의 외부안무가를 섭외, 무용공연의 발전과 작품의 다양성을 추구 두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다양한 무용수 선정을 대입, 주역무용수의 오디션방식을 도입하여 고정적 레퍼토리의 예술적 성장과 고정적 관객을 유치 (2) 한국공연예술센터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국립극장의 고정적 인력배치방식을 대입,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구축으로 제작과정의 효율성을 높임 두 번째, 국립극장의 제작공연에 대한 전체구성의 비중도를 높였던 점을 바탕으로 한국공연예술센터에서의 무용제작 프로젝트의 정기적 진행과 발전가능성을 열어둠 세 번째, 제작비중도에 따라 무용제작비용에 대한 투자를 확대, 창작과정의 비용부담을 덜어 작품의 다양한 콘텐츠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함 As contemporary men have pursued qualitative richness, leisure has expanded to activities watching, enjoying, and experiencing ‘Cultural Art’ and interest about not only popular art but also pure art has expanded with graduated extension of portion. ‘Dance’ among pure arts is generalized with ballet education for ordinary people, so has diverged from artistic position like the nonmainstream. However, Korean dance or modern dance except for ballet have pursued avant-garde, professional, and artistic utopia. ‘Dance’ as pure performing art except for ballet cannot be separated from popular run in such situ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is dance to enter industrial field. All industries can hold role of catalyst for development on basic science or basic art, so value of pure art should not be evaluated with industrial value.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keep value of pure art as basic art, and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performing art in this value. In fact, individual organizations in the world of pure dance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in this situation, and such high sharing of individual organizations makes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making method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desires to discuss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one expedient of groping expansive method of dance targeting ‘dance’ whose popular appeal is low among pure arts. Especially, the researcher excluded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examined pros and cons of making process, focusing on the National Theater and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mong national theaters having systematic and modern making system. Through this, this study substituted strength of each institution by grasping problem in making process, so desires to establish systematic process of dance production performance and to build ideal model for production of dance performing works of a high quality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dance. As a result of analysis, problems of making process of dance works can be drown from each institution. In case of the National Theater, administration manpower is insufficient for Dance Company under the National Theater, new casting of works is necessary, and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repertoire works and the planning works economically. Problem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e insufficient continuous and stable specialty manpower by hiring contract employees for production of dance works, limitation of audience type according to standardized public relations, and insufficient making cost by a low budget. As a result of examining problems of two institutions, common problem is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problem of restrictive marketing strategy, so the study suggested methods according to this. First, hunting and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field of making dance and building environment. Second, preparation of various public relations and building DB with successful strategy. Different strength of each institute has mixed each other in generating process of problems and supplement points of two institutions, so when this substituted to system, it is possible to build effective system. And according to this, effective methods of each institu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the National Theater First, substituting methods of choreographer choice of performing project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casting outside choreographer of works of the National Theater, seeking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and diversity of works. Second, substituting selection of various dancer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tistic growth of static repertoire and inducement of static audience by audition to delegate the principal dancers. (2)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First, substitution of static method about manpower arrangement of the National Theater, enhancing efficiency of making process by building professional manpower of field of making dance. Second, opening regular progr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project for making dance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based on enhancing portion of the whole composition about making performance of the National Theater. Third, extension of investment about cost of making dance according to portion of production, realizing various contents of works by lightening the burden about cost of making process.

      • 한국과 중국 공연예술의 발전 방향 연구 : 현대무용 단체를 중심으로

        호효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공연예술은 문화산업의 대표적인 장르로서, 공연예술이 내부적 또한 외부적인 운영기술을 더욱 성숙시켜서 훌륭한 작품을 다수 창작하고 전체적인 문화산업의 예술성과 전문성의 발전을 지속해서 이루어야 한다. 최근에는 현대무용을 중심 분야로 활용하는 공연예술의 새로운 형식이 상당히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대무용 특유의 높은 예술성과 전문성의 장점이 더해져 전반적 공연예술의 성공 기반이 마련되었다. 다만 공연예술작품의 평가와 이해에 대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결국 다양한 계층의 관객이다. 각자 다른 문화적 취향을 지니고 있는 관객들을 만족시기기 위해서는 그만큼 높은 문화적 수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연예술 작품의 완성도에 대한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고, 이는 현대무용 관련 예술작품도 높은 수준의 작품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현대무용 발전과정을 파악하고 현대무용 단체의 공연현황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설문지를 기반으로 한·중 현대무용단체의 내부마케팅 및 만족과 관객의 만족, 충성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현대무용 공연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현대무용단체는 3개의 단체(트러스트 현대무용단, LDP 현대무용단, 가림다 현대무용단)을 주축으로 분석하였고 중국의 2개 현대무용단체(김성 현대무용단, 레이동천하 현대무용단)을 선정하여 공연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과 중국의 현대무용단체의 현황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무용공연의 활발한 교류를 촉진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몇 몇 현대무용단체의 운영 현황과 무용공연 사례분석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현대무용 단체의 설립 배경과 현대무용단 활동 및 공연 건수와 공연 횟수, 그리고 무용예술 단체의 내부요인과 관객의 공연 만족도의 양국 간의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무용공연 활성화 방안, 홍보, 마케팅 전략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현대무용단체의 분석 범위와 연구방법의 확대 및 조사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양국의 지역 무용단체의 발굴과 세부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성공사례 분석의 연구에 있어서 문헌과 조사연구가 병행한다면 무용교류의 활성화와 다국적 무용 발전 및 학문적 연구가 향후 후학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현대무용의 발전에 커다란 초석의 결과가 될 것이다. 주요어 :한국, 중국, 공연예술, 현대무용단체 Performing arts is a representative genre of the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provide great art works, operating techniques should be improv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he artistry and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cultural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In recent years, new forms of performing arts, which utilize modern dance as a central subject, have become increasingly quite active. The merit of high artistry and professionalism unique to modern dance has been added to the foundation of success of overall performing arts. However, it is the audiences of various classes who play a decisive role in the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performing arts. In order to satisfy audiences with different cultural preferences, a higher cultural level is required and the demand for perfection of performing art works is also increasing. This also demands a high level of art works related to modern danc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dance in Korea and China and compared the cases of performances of modern dance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lan to revitalize the performances of modern dance in both countrie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ner marketing and satisfaction, audience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for modern dance organizations in Korea and China. Specifically, I analyzed three Korean main dance organizations(Trust Modern Dance Company, LDP Modern Dance Company, Garimda Modern Dance Company) and two modern dance groups (Kim Sung Modern Dance Company, Lei Dong Cheon Ha Modern Dance Company) in China.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modern dance groups in Korea and China, I hop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active exchange of dance performa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and survey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some modern dance groups in Korea and China, I analyzed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f modern dance group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of modern dance groups in both countries. And I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factors of the dance arts group and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audiences i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dance performance, advertisement and marketing strateg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the analysi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properly investigate contemporary dance organizations in Korea and China. Secondly, the local dance groups in both countries should be excavated and studied in detail. If we combine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vey in analyzing successful cases, this can contribute to promoting dance exchanges in both countries. In addition, the impact of multinational dance development and academic research will have a great impact on future scholars, which will be a great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keyword: Korea, China, Performing Arts, Modern Danc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