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예술경영교육의 현황 연구

        박권주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에 문화행정이 예술활동에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부여한다는 인식이 커짐에 따라 예술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이 분야에 종사하게 될 예술경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예술경영 교육 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단국대학교를 시작으로 최근 2~3년 사이에 무려 20여 개 이상의 대학에서 예술경영 관련 학과들이 개설되었고, 현직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대학 정규 프로그램이 과거 40년간에 걸쳐 증가하면서, 전수할 만한 일정한 기술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생각하여 미국과 영국의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다. 그리고 국내의 예술경영교육을 대학과 대학 밖에서 이뤄지고 있는 정규교육과 비정규 교육으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예술경영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 문제점들을 위해 앞으로 개선해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첫째,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은 그 교육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그쳐 문화예술 종사자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교육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했고,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역시 부재했으며, 기존에 교육되어지고 있는 연수 프로그램은 문화예술 전문가를 양성하기에 부족했다. 둘째, 대학에서의 예술경영교육은 수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질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먼저, 교육환경이 부실했으며, 커리큘럼의 불안정성, 낮은 이수학점으로 인해 학습량 부족, 전문 교,강사들의 부족, 학교와 현장간의 연계 부족들이 지적되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안해 나갈 개선 방안으로 첫째, 실무자들의 효과적인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강화와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성격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을 위탁하여 교육하는 방식의 맞춤식 위탁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학문적 체계 정립의 필요성과 현장과 이론이 함께 소통 될 수 있는 장으로 정기적인 학술회의, 세미나, 심포지엄, 워크샵 등을 개최하는 학회의 활발한 활동이 요구 된다. 셋째, 예술경영 교육의 현장과의 연계를 위한 인턴십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인턴십은 대학의 예술경영교과과정의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와의 인턴약정이 체결되어야 하며 인턴십 기관과 훈련 프로그램 사이에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턴십 제도의 담당 코디네이터도 함께 창설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현장실습을 확대할 수 있고 이론과 실제를 파악함과 동시에 사례연구를 위한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예술경영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역사가 짧으며, 앞서 살펴본 외국의 예술경영교육의 사례에서도 많은 국가들이 아직까지 예술경영분야의 교육 시스템에 있어 하나의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은 질적인 면보다 양적으로만 팽창하였고 아직은 형성기에 있는 과정이지만 앞으로 끊임없는 교육환경의 개선과 우리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행해진 연구들을 통해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예술경영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미래도 밝을 것이라 본다. As more and more people acknowledge that cultural administration may give new functions and roles to art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arts management becomes highlighted. In accordance with those social demands, a variety of institutions for arts management education begin to appear, which aim to instruct or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arts management, whether they work actually in culture and art fields or they will do so later. In Korea, departments related to arts management have been opened up in about 20 campuses during recent 2∼3 years, since the first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Dankook University(1989). Also,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become rapidly popularized for the re-education of current personnel in arts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agnose the practic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booming recently in Korea, and present reasonable policie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mpli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For these purpos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a series of techniques to hand over to follow-up scholars in the course of grow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in domestic campuses over last four decades, this study showed som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USA and United Kingdom. Moreover, it classified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into regular and irregular education available within or outside campu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s. By looking into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in progress, this study indicated what are the question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Korea and which of the questions is to improve in the future. The questions in domestic art management educat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rregular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mostly discontinued, so their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too temporary to solve the questions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often face actually. Besides, there was not any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re-education of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conventional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have been considered insufficient to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 Secondly,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campus has increased in the level of quantity, but exposed different problems in the level of quality. Above all, many employees in culture and art often pointed out weak educational environment, unstable curriculum, lack of learning or knowledge due to low credits insufficient to complete regular course, lack of specialized lecturers and poor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art/cultural fields. Remedial solutions to complement these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without a hitch for effective re-education of working-level personnel, while promoting customized education by commission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duly qualified institutions, depend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econdly, art management and the science of arts management have been still unfamiliar in Korea, and have been not much acknowledged as one of technical jobs. Majority of domestic campuses have not yet implemented intensive and formulated education to train and foster the future arts management personnel.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domestic cultural institutions still stays in the level of customary mannerism. In terms of methodology, domestic art management has been very underdeveloped as compared with other fields. That is why we should build up arts management in the level of academic system. It is also required to encourage related societies to promote activities such as academic meeting, seminar, symposium and workshop on a regular basis, which may provide a ground to communicate theories(campus) and practices(field). Thirdly,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formulated internship system for interactive connection between arts management education and fields, while facilitating a series of team projects. It is recommended that internship courses should be opened up as required ones in the campus curriculum of arts management. For building up an internship system, internship agreements must be concluded with educational and art & cultural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et up qualified coordinators in the internship system to facilitate practical communications between internship institution and training programs, while facilitating team projects to expand field practices and identify both theory and practice along with case study. The history of study on arts management has been still short around the globe, as well as in Korea.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round foreign countries, many countries have not yet developed a single and unified criterion for their education system in arts management. Currently, arts management educations in Korea have been expanded in the level of quantity, rather than in the level of quality. Besides, it still goes through beginning level. However, if we try to build up a system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compatible in Korea through ceaseless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follow-up studies based on Korea's own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of arts management in Korea will be brighter than now.

      • 예술경영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방안

        김순남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에 관한 교육기관은 학부와 대학원을 비롯해 3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 요구에 따라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예술경영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위한 인턴쉽의 수요와 공급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 예술경영분야 대학원의 설립은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 성장은 있었으나 질적 성장은 가져오지 못하고 있었다. 즉 예술경영의 특성을 반영한 커리큘럼이 부족하였고, 재학기간 중 현장실습을 위한 필수과목인 인턴쉽은 늘어나고는 있었지만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갖춘 교육기관은 부재하였다.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의 미흡은 국내 문화예술단체나 기관의 인턴쉽 현황에서 마찬가지이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조차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은 곳이 더 많으며, 제공되는 곳은 대부분 전시관련시설로 집중되어 있다. 전시관련시설에서의 인턴쉽프로그램은 예술경영전공자에게 있어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는데, 이는 기관에서 지정하는 과목의 이수자만이 인턴쉽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특정기관과 특정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모마나 게티뮤지엄의 경우 인턴쉽프로그램은 대상별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었으며, 세분화되어 있었다. 전공분야와 무관하게 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따로 제공된다. 또한 유급인턴과 무급인턴이 나누어지며, 인턴에게 프로젝트와 연관시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기관(대학원)에서는 인턴쉽을 필수적으로 수료해야만 졸업이 가능하였다. 보스턴 대학의 경우 인턴쉽을 위해 지역 문화예술기관이나 단체와 산학연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인턴쉽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의 목록을 제공하였다. 학생은 지도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자기평가목록 작성)을 통해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있으며 학생과 학교, 해당기관 모두 철저한 책임과 의무가 부여되어 있어 인턴쉽프로그램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교육기관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할 주 항목은 ①인턴쉽의 목표설정, ②인턴대상 및 자격 요건 검토, ③대상기관선정 및 기준마련, ④인턴쉽 약정서 체결, ⑤인턴 교육, ⑥인턴파견, ⑦중간평가 및 기준마련, ⑧인턴최종평가 ⑨사후관리이다. 교육기관의 인턴쉽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교육의 지속적인 정착과 문화예술전문인력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활성화하여 수요공급에 따른 사각지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력자원 관리시스템을 통한 네트웍의 가시화는 인턴쉽, 정보공유의 차원을 넘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포럼, 세미나 등의 활동을 통해 전문인력센터로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턴쉽프로그램 체계적 운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입장에서 각각 살펴볼 수 있다. 교육기관은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높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현장과의 유연교육체제(Flexible Education System)를 구축할 수 있다.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을 통해 업무의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인력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요한 인재확보를 위한 기회가 된다. 정부는 교육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예술경영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인턴쉽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간의 협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교육기관은 현장이 요구하는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문화 예술 분야의 인턴쉽을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관계를 통한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은 단순히 예비인력의 현장실습 차원을 넘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Nowadays, there are more than 30 educational organizations of arts management and it is growing bigger as the request of our society. Therefore, we come to the need of a systematic solution of internships fo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arts management. Although our history of 'arts management' as a graduate school program is short, we were able to gain a quantitative growth but still must improve the quality in the future. There is still a lack of a curriculum which correctly projects the character of arts management. Although the 'internship'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for actual experience of the field, there were hardly any educational organizations providing an efficient operation system. The same problem of the lack of internship programs are found in other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also. Many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organizations don't have any internship programs, either. Even if they do, they are internship programs mostly related to exhibition facilities. Many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s management have problems in applying internship programs at exhibition facilities, since they limit it to people who have only qualified within the related subjects. In this paper, 1 have reviewed the cases of specified organizations and schools of the U S . MoMA or Getty Museum supply various internship programs which are specified to people from all types and majors. People may apply to internship programs that are nonrelated to their own majors, while there are separate internship programs for specialized majors. It is distinguished into 'unpaid intern' and 'paid intern',providing the interns many experiences related with the program. In most education organizations(ex. graduate schools), students must have the qualific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to finish the course. Boston University has founded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rporations and cultural & arts organizations, also preparing lists of cultural organizations which have installed internship programs. Students select their internship program through the consulting with their professor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they have the list which include their valuation). These internship programs tend to be successful, since students, schools and organizations have the entir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the perfect internship programs. The improvable points for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Korean education organizations based on the case review of U.S, are as below; ①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 for the internship programs, ② the examination of the intern and his qualifications, ③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organiza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④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for the internship program, ⑤ education program for the intern, ⑥ the dispatch of the intern, ⑦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for the midterm evaluation, ⑧ the final evaluation, ⑨ the management after comple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order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rnship program, the enti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founde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maintain a consistent actual education in raising professional crops of culture and arts, and in activating the demand-supply of professional artists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with it. Visual network based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raise an synergy effect b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beyond public information ownerships, making many forums and seminars and eventually becoming the center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ch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s may be reviewed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various education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The education organizations enable people to have the ability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also in founding the flexible education system through an effective program. The cultural & artistic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benefit from the internship program by not only receiving actual help from the interns but also reducing money in hiring people, and having the chance to ensure the appropriate people. The government may enhance the education policy to a more effective level, rais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of the art management field,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 artistic side. However, in order to operate more effective internship programs, the cooperation among the education organizations,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The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prepare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o supply the right people to the exact position, the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must provide the internship programs, an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id to the internship program of arts &culture.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through the rel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will be the beginning to mak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ield of the real society.

      • 예술경영 교육기관 개선방안 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과정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황도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과정은 국내 석사학위 수준의 예술경영 관련 교육기관 중 비교적 초기라 할 수 있는 2000학년도에 설립․운영됐다.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추구하는 ‘실기 중심’의 교과과정은 예술경영과에 와서는 ‘현장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본 학과를 경험한 다수의 피교육자의 교육적 만족도는 천차만별이었다. 연구자는 한국예술종합학교라는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겪으며 학교만의 특성과 장점,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 인지하게 됐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사항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 분석하여 예술경영 교육기관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두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전수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진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학과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봤다. 심층인터뷰는 설문조사와 연결점을 갖고 있는데, 연구자가 정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대상자와 설문조사에서 파악된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대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과 제언이 나타났지만, 특히 입시고사, 커리큘럼, 인적 네트워크, 교․강사진, 행정체계에 관한 개선사항이 다수의 응답자에 의해 거론됐다. 입시고사에서는 현재 영어에만 집중되어 있는 고사방식을 다각화 할 필요와 논술고사 도입 등이 거론됐으며, 커리큘럼에서는 홍보 및 마케팅 관련 수업 보완과 법률수업의 강화, 커리큘럼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공고화라는 의견이 언급됐다. 동문회 활성화의 필요성과 교내 타 예술전공 학생과의 교류 활성화가 대두됐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을 고려한 교․강사진 보완, 연극원 전임교수 보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과보다는 학교 자체의 개선사항으로 행정체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언급됐다. 조사 결과 눈에 띄었던 점은 다수의 학생이 학과가 학교 내 입지 및 대외적 영향력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 느낀다는 점이다. 이런 점은 입시 지원자 수의 감소, 점차 낮아지는 만족도 등 연구에서 나타난 일련의 현상으로 단순히 개개인의 의견만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학과의 발전과 예술경영 교육기관으로서의 방향성을 위해 언급된 요소들이 하나 둘씩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as founded in 2000,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other graduate school-level art management graduate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e 'practice-oriented' curriculum pursued by the school is operated as 'field-oriented' in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However,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a majority of educatees were multifarious. The author became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fter undergoing several undergraduate curricula and felt the need to identify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for graduate institution of arts management. To achieve this, two research methods were exploited: survey and interview. The entire sample pool of educate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f any.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survey questionnaire. They were in a free conversation form based on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by each interviewer. Through them, a number of suggestions developed, but most indicated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entrance exam, curriculum, human network, instructor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ystem. With regard to entrance exam,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he test that is too concerted on English and adding essays.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in PR and marketing-related classes, law courses and consolidation of human network through curriculum were mentioned. Surveyees and interviewees also commented on the need for an alumni association, exchange with students from other art schools, reinforced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assorted backgrounds of the students, and improved full-time faculty members for the School of Theater. Lastly, rather than the departments, the surveyees and interviewees provided a wide range of ideas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school.

      • 한국 대학의 예술경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박주동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 불고 있는 문화예술 시장의 대형화, 기업화는 GNI(국민총소득)의 상승과 맞물려 확장일로에 있다. 소득 증가에 따른 문화예술의 소비와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를 견인할 문화예술 기반 또한 전문화 추세를 보인다. 기업까지 나서서 이미지의 제고를 위해 지난 1994년,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저변을 넓히고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사단법인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를 발족해 ‘1기업 1문화 운동’ 등을 전개하며 공익사업에 매진하는 추세이다. 예술경영학은 이러한 폭증하는 문화예술과 소비자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매개할 방법론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신생학문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이 소재한 현장이 1차적 연구의 대상이며, 현장의 트렌드가 무엇보다 충분히 반영되어야 학문으로서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문화예술 그 자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물론이거니와 경영, 행정, 법률, 철학, 과학 등 제반 학문과의 연계도 절대적이어서 대표적인 학제간 학문분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예술경영학은 시스템화한 일부 산업현장과 달리 ‘현장성, 노동집약적, 휴먼네트워크 중심, 비(非)자동화, 공익성, 창조성’ 등 예술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이런 전제 조건들을 명확하게 교육하고 수용시킬 특화된 커리큐럼이 요구된다. 필자는 이런 예술경영학의 특성을 고려, 학문의 성격상 걸음마 단계인 예술경영학 관련 28개 대학 및 대학원 재학생, 교수 등 127명의 설문을 통해 교과과정 상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대안을 제시했다. 설문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현장성이 부족한 이론위주의 수업과다, 둘째 교수요원의 절대적 부족에 따른 실용적 교과배정 불가능, 셋째 신생학문의 성격상 정부 ‧ 기업 등의 정책적 지원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필자는 예술경영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이론 위주의 실무교육과 현장교육이 적절히 안배되어야 하며, 이론 교과 중 특히 예술기획 및 마케팅 분야의 교과는 앞으로도 더욱 다양해지고 확산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 교과 강화와 아울러 유명무실했던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현장의 감각을 피교육생들이 체험하게 하여 추후 현장에 진출해서도 실용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실용학풍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수련과정에서 매체예술 및 현장기술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고 경영 마인드를 성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인턴십 프로그램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둘째 이를 위해 대학 및 대학원은 인턴을 수행할 기관을 폭넓게 확대하고 이를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인턴기관이 내실 있는 인턴 프로그램을 상설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현장이 필요로 하는 교과목이 개설될 수 있도록 대학 및 대학원과 인턴기관이 상호 유기적으로 협의할 협의체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미래 산업의 한축으로 성장할 예술경영학의 지속적 발전과 전문인 양성, 국가 및 기업의 정책적인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서 학부과정의 전문인 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부생 보다 석사과정생이 훨씬 많은 기형적 구도를 개선해야 하며, 이와 동시에 학부 및 석박사 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또한 대학원들은 예술경영학이 갖는 학문적 정체성을 인식, 합리적인 편제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석사과정의 경우 설문에 응한 23개 대학원은 그 편제가 상식에 걸맞지 않은 경우와 심지어 단일 대학 내에 2개 대학원으로 예술경영학 관련 학문을 설치한 사례도 있음은 조속히 시정되어야 한다. 필자의 연구가 자료수집 및 설문 표본의 부족 등으로 논거의 일반화를 성급히 하기엔 적절치 못한 부분도 있겠으나 예술경영학이 <교과 강화 - 경쟁력 제고 - 관계 분야 취업 활성화 등 시장의 호평 - 예술경영학의 체질 강화>라는 특성화의 선순환에 일조하고자 교과과정 부문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나름의 대안을 제안했다. Recently, the culture & arts market has been expanding its domain into a form of gigantic industry with the rise of GNI (Gross National Income) in Korea. The field of culture & arts shows tendency to specialize in the increase of culture & arts consumption and concerns for it. Korea Council for the Arts has strived to popularize public services to spread culture & art throughout the society, 'One company One culture campaign' which was established in 1994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vements that reflects their effort. Art management is a new area of study building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s and culture & arts. Therefore, culture & arts, its trend and necessity to link all sorts of studi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philosophy, and science, should be studied first. Art management's importance lies in developing a speci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 arts field like presence, labor intensive, human network, manual work system, public benefit, and creativity. I had conducted a survey with 127 college students and professors related in the field of culture & art in 28 college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problems with the curriculum thus, I suggest the alternative plan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Three problems occur in its theory based instructions, a shortage of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sufficient support of the government.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lesson and practical lesson should be assigned aptly, and arts planning and marketing lessons should be diversified particularly. In addition, titular internship should be expanded for practical use, especially focused on developing management mind and acquiring general media arts and actual skills. Second,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need to increase connections for internship under direct control and support. A conference group between colleges and internship organizations should be set to opening practical lessons. Third, colleges should open training courses for professionals in order to get a full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develop a support system to train arts management professionals. Due to its abnormal structures that graduate students outnumber undergraduate students have caused breakage of link betwee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 had even found that a college had 2 graduate schools for arts management, and it was not in accordance with common sense. Graduate schools need to arrange a 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 of arts management. Although my paper has inappropriate parts that make a hasty generalization because of the lack of data and statistics, it confronts the realistic problems in art & management fields. I have suggested a counteroffer in my own way to help specialize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through a flow of 'magnifying classes→raising competitiveness→favorable percentage of employment in a relevant subject area→the field of arts management strengthened'.

      •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엽의범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 학과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예술경영학과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미국과 비교분석하여 중국 예술경영 학과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대학 사례는 예술경영학과를 최초로 설립한 중앙희극학원과 예술경영학부 모집 코드를 최초로 신고한 중앙미술학원, 상하이희극학원 에 단과 예술 대학교에서 개설한 예술경영학과를 선정해, 학과 교수진과 커리큘럼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우선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후 학부 과정으로 확장했기 때문에 학부에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학교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필자가 예술행정교육자협회(AAAE: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의 구성원인 Butler University, 종합대학교 Drexel University와 예술대학교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를 선정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두 국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중국의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는 학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예술경영교육을 통한 무용공연의 활성화 방안

        조아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95

        Artist or managers conducting the performance play the role in making creative activities the center of culture, so they have to heighten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dance performance through the education of art management to constantly raise the levels of dance performance. The appearance of management position in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 education is needed greatly to produce highly skilled managers for the dancer arts. In this study I will find the processes needed for proper direction of art management education should take in the dance department, the improvement through the general steam of art management done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forums and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scientific journals and periodicals. First, I will research the pres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 in our countr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it. Second, I will grasp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art management for dance majors in our country and formulate the plan for the dance performance revitalization. Last, I will provide the scheme to improve the current dance performance system. When a dance major becomes an art manager who choreographs dance and performance on the stage, he should have the knowledge of administration, planning, marketing, and audience, outside supports for dance performance. He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performance easily. However many dance majors haven't learned about art management, because the lack of management courses in the major. We realize the need of management through the limitations of dance performances also the staffs leading dance performances aren't educated in systematic and structured art management. This all leads to in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lack of marketing, the lack of professionals to produce the performance, and new dance performances doesn't attract the audience's excitement and interest. Lastly, currently dance majors are not studying art management, but in order for the art of dance to develop into higher lever, the injection of art management into the dance curriculum is importantly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will be to find the devices needed to revitalize dance performance by knowing what the audience really wants, both artist and audiences through the education of art management can experience the performances at the same level.

      •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정다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basic and standard data with Korean universities as it analyzes curriculum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graduate programs by the type of college, and identifies it. Firs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Arts Administration by comparing with Arts Management because they are similar each other, and explains the necessity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view of theory and field demand with analyzing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studies which show the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are referred. Next, it shows which filed of study more related to general understanding of Arts Administration is, and which title of subjects most frequently used is by classifying AAAE's member schools in standard of their degree and college. Both of Arts Administration and Arts Management are used for the title of Arts Administration curriculum. MA is the most common, and MFA is there the next in view of degree. Humanity&#8228;Arts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ocial Science, Management&#8228;Law, and Education in view of college. Next, it shows 10 essential subjects which are the standard of AAAE graduate curriculum('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 'Financial Analysis / Budget Management', 'Income Generation : Marketing and Development', 'Strategic Planning', 'Legal and Ethical Environments for the Arts', 'Policy for the Arts',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the Arts', 'Research Methodology', 'Technology Management / Training') and other subjects in view of 'Degree Requirements', and focuses on the specialty of 3 types of college('Education', 'Humanity&#8228;Arts', 'Social Science, Management&#8228;Law). This study is consist of two type of analysis. One of them is macro method that focuses on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and the other one is micro method that focuses on qualitative text of every subject in order to identify each college. Three points are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the different method of manage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essence of Arts Administration. Secondly, subjects which deal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have to be opened. Lastly, Internship program should be operated as an essential course for the degree by aligning the regular curriculum. This study could be contribute to academic world of Arts Administration because it provides the domestic universities with systematic blueprint of curriculum. 본 연구는 AAAE 회원 학교들을 중심으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을 대학의 유형별로 파악하고, 특성을 도출해 내어 국내 학계가 예술행정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있어 표준으로 삼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예술행정의 등장배경과 유사개념인 예술경영과의 비교를 통해 예술행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나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예술행정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과 현장수요의 면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특성이 학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부 예술경영 교육의 특성을 설명한 연구를 찾아보았다. 그 다음에는 조사대상인 AAAE의 회원 학교들을 각각 졸업 시 수여하는 학위와,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단과대학(원)에 따라 분류하여 예술행정의 보편적인 인식이 어느 학문에 더 가까운지, 전공과정명으로는 무엇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명칭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예술행정과 예술경영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여하는 학위에 대해서는 인문학석사학위(MA)가 가장 많았으며, 예술학석사학위(MFA)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예술행정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의 유형에 대해서는 인문&#8228;예술대학 분류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사회과학, 경영&#8228;법학대학 분류군과, 교육대학 분류군 순이었다. 다음으로 AAAE가 대학원 교과과정 기준으로 제시한 10개의 예술행정 필수과목(‘예술 창작과 보급’, ‘재무 분석 / 재정 경영’, ‘수익창출 : 마케팅과 관객개발’, ‘전략 기획’ ‘예술의 법적&#8228;윤리적 환경’, ‘예술 정책’, ‘조직 리더십과 경영’, ‘예술의 국제적 환경’, ‘연구방법론’, ‘기술 경영 / 훈련’)과 학위 취득조건을 중심으로 모든 교과목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에서 분류한 단과대학(원)의 3가지 유형(‘교육대학’, ‘인문&#8228;예술대학’, ‘사회과학, 경영&#8228;법학대학’)별로 특성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단과대학(원)별로 강조하는 과목이 있는지를 과목의 개수와 분포도를 통해 거시적으로 분석하였고, 두 번째는 개설된 과목들이 단과대학(원)별로 지니고 있는 특성을 도출해내기 위해 학과목 분류별로 모든 과목들의 설명을 참고해 미시적인 분석을 하였다.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 특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예술행정 교과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행정의 본질을 흐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기업과는 다른 경영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인터넷과 스마트폰 활용 기술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이다. 셋째, 인턴십을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단과대학별 특성은 향후 국내 예술행정학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 예술경영 측면에서 본 전통음악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화선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우리는 지금 21C 문화의 경쟁시대에 살고 있다. 더구나 우리들은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구촌 시대에 살면서, 미국문화와 같은 커다란 문화권에 휩쓸리는가 하면, 반면에 자기나라의 고유문화를 지켜 나가려고 한다. 한국의 고유문화를 상징하는 전통음악도 우리가 지키고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우리의 전통음악을 아끼고 사랑하는 많은 수요자의 확보와 침체되어 있는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키고 확산시킬 전문경영인이 있어야 한다. 전통음악은 한국인의 독창성, 고유성, 동질성, 민족성을 나타내고 한국인의 정서를 표현하는 특징과 이것을 보존, 보급하고 발전시켜야 할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통음악의 특징과 중요성에 비추어, 전통음악의 개념을 정리하고 예술경영측면에서 본 전통음악 경영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그 특수성을 중요시하였다. 현재와 같은 예술경영이란 체계적인 학문 없이도 전통음악과 관련된 사회교육기관이나 단체들이 현장에서는 어떻게 운영되었으며, 공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전통음악 보급을 위한 일반 수요자를 대상으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한 역사성을 시대별로 고찰하였다. 전통음악의 사회교육개념과 그 필요성을 제시했고, 지금 당면하고 있는 전통음악 사회교육기관의 예술경영환경을 열거하였다. 그리고 전통음악 사회교육은 평생교육차원에서 일반인 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육의 범주로 설정했으며, 경영학적 개념으로 수요와 공급의 차원에서 수요자 확대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사업목적이 비슷한 전통음악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몇 개의 전통예술단체와 전통음악 사회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대상은 공급자인 정부의 정책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및 국립단체, 기업의 문화센터 운영 및 사단법인과 민간운영단체를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 단체에서 운영하는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정책 및 교육내용을 분석했다. 특히 대부분 전통음악단체의 미션인 전통음악보존과 보급 및 계승, 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운영, 관객개발을 위한 수요층 확보, 후진 양성 등 단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유형별로 선정한 단체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수요자 분석은 문헌과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예술단체의 설문결과와 인터뷰를 통하여 수요자의 요구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종합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음악의 활성화를 위한 전통음악 사회교육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객개발 차원의 수요자 확보, 학교 교육과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과의 연계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경영자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도 하고 감퇴시키기도 하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영방법 및 연구개선 할 수 있는 능력과 전통음악의 특수성에 밝은 전문경영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전통음악의 활성화와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마케팅, 홍보, 펀드레이징 등 예술경영기법의 도입과 전통음악 사회교육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관심과 예산확충을 위한 정책적인 배려를 제시했다.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e era of the global village with cultural competition and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dividual cultures strive to preserve themselves despite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n order for Korean culture and art to thrive in the global market, Korea needs professional art managers who can devote themselves to studying and developing Koreas traditional arts, and to promoting an appreciation of these arts among the public. This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usic cannot be further developed without revitalizing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professional arts management. Traditional music represents the Korean peoples originality, uniqueness and ethnicity as well as serves as a venue for the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These qualit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have motivated this thesis, which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and introduces a new concept of traditional music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management. Furthermore, an investigation is made of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music education programs before the systematic discipline of arts management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 the realization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the public in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a listing of the conditions and realities facing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s they manage their programs. This listing underscores the need to seek methods of expan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music to a wider audience. In support of this theory, eight traditional arts organizations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offer traditional music programs to the public, were selected from among government-supported agencies, government agencies, national organizations, foundations, corpora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n, the procedures used to operate these programs were analyz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lanning, polic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Many traditional music institutions implement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are intended to preserve, promote and develop traditional music, to encourage a larger audience, and to train followers of traditional music. Each institution has its own ideas of how to best implement programs that achieve these goals, and these ideas are examined. Moreover, the problems and shortfalls faced by these programs are discussed,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revitalizing the programs. An analysis of applicants to these programs was then made, mainly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most requested program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traditional music needs to be invigorated by expanding and developing cultural education programs which attract more people. Furtherm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train arts management experts in order to implement and maintain these programs effectivel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one of these programs depends heavily on its managers ability to implement and improve such programs, and so those managers must be capable of developing and revising effective programs and be knowledgeable about the unique character of traditional music. Toward this goal, it is proposed that a department of traditional arts management be established. However any such effort to revitalize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must have government support.

      • 예술경영학과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영국·미국대학을 중심으로

        신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history of the art management is not that long. The art management that is supposed to be newly- born and fused study has only 50 years of global history. The improvement of private life standard begun from capitalism increased the role of cultural art and locally, nationally, internationally and world-widely, the social and economic profits from such an enlarged cultural art field may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art management and paradigm. Because art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s, owns comparatively short history, we can say it seems nascent research on the incalculable spectrum. Moreover, after the introduction into Korea, it has not passed over 30 years. Nevertheless, What is the reason that the various kinds of art organizations emerged rapidly and swiftly without special grounds?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role is to try to aim at causing consumers to meet most effectively with artists and artistic works. Likewise, art organizers mediate cultural contact between consumers and artist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since 1960 as Art management became a faculty, after having introduced administration into art area,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Since art management clothed with academic colour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30 universities activated and utilized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ourses. I will try to research into the items as follows; Sor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al courses and the actual offering to th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so called, the living academy of instruction.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curriculum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efficacy and value of that faculty. The careful probe into positive orientation for education after capturing 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urse. This thesis will put especial emphasis on history and curriculum of art management within Korean universities, the comparison of art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with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A and U.K and the curriculum in art management of the famous foreign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ressing on the internship as the sharp difference both in the past and presence. With this, in prologue, I will try, in conclusion,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t management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it. 자본주의에서 시작된 개인적 삶의 질 향상이 사회에서의 문화·예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이처럼 확대된 문화의 영역은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에 예술경영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양산했다. 예술경영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예술과 경영이 합해진 세계적인 신생 융합 학문으로 여겨지는 예술경영학은 그 역사가 5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60년대 이후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탄생했고, 한국 대학에 도입된 지는 20여년 정도로 현재 학사·석사 과정으로 약 30개의 대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경영이 단 기간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이유가 무엇일까. 이 논문에서 비중있게 다뤄질 부분은 한국의 대학 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교육과정이며 그를 통해 결론에서 도출 할 것은 한국 예술경영학의 특징과 앞으로의 방향성 제시이다. 예술경영학이 우리나라 대학교 안에 예술경영이란 이름으로 석사과정에 공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으로 2000년대 초에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융합학문이라는 특징으로 다양한 장르의 단과대학 안에 편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의 단과대는 28개 대학 중 11개인 문화예술대학(주로 석사과정), 8개의 예술대학(주로 학사과정)이다. 학사는 예술전공 위주의 교과편색을 드러냈으며, 석사에서는 학과 간 연계과정 대학을 따로 운영됨으로 각 학과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학교 간 일반 교과 항목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학과별 장르의 특성이 존재했다. 장르의 구분을 통해 예술경영의 영역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했는데 그 내용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의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국은 예술경영선진국이자 출발지인 미국과 영국이다. 영국, 미국의 대학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턴쉽이다. 대부분의 대학 필수 항목으로 사회 기업과 연계하여 운영실무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게 구체적 내용과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텁쉽 교과과정은 28개 학교 중 9개에 불과했으며, 규격화 되어있지 않고 뚜렷한 방법도 제시하고 있지 않음으로 보아 과목제도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턴쉽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국가·산업관 연계 강화로 학부와 실무와의 연계성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융합학문 형태인 예술경영학의 근본 목적은 양질의 컨텐츠 연구와 현장에서 필요한 예술경영인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첫째, 전문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핵심 활동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 설치와 연구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한다. 둘째, 학문적인 예술경영의 형태인 ‘문화콘텐츠’가 양질의 컨텐츠 연구를 이룸과 동시에 산업적인 소득 창출의 예술경영이 합일점을 이루는 통합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생산적 경영을 위한 정책·학술 연구가 각 학교와 기관에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학교 내에서 강화하며 그것을 체화하기 위해 국내 예술현장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인턴쉽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예술경영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문화컨텐츠라는 ‘예술경영 재료’로써의 준비, 두 번째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직접적 ‘실행 단계의 예술경영’과, 세 번째는 예술경영행정이란 ‘제도의 정립’이다. 위의 내용처럼 대학 내에서 이 세 단계(예술의 재료, 경영, 제도)에 합당한 학과의 적절한 증설이 필요하며 재료와 경영의 소득창출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와 학과간, 대학간, 기관 간 학술간의 연계가 중요하며, 정부의 예술 기관을 연계하여 인턴쉽을 강화하는 교과목 프로그램 강화 운영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