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지방자치제에 따른 부천시 지역문화 현황 고찰

        정지수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각 지방에는 지방고유의 문화가치가 최소한으로 유지되어 왔으나 서울에 인접한 수도권, 위성도시지역에서는 지역 고유의 문화가 정착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러한 문화가 정착되어질 수 있는 조건 또한 충족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지방자치가 실현되면서 각 지역마다 크고 작은 문화적 이벤트를 내걸고 경쟁적으로 문화, 관광적 우위를 선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자치행정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대응하고 나선 도시가 부천시이다. 부천시는 기초 자치단체로서는 보기 드물게 영화와 만화, 음악 등 문화를 도시의 중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이중 음악을 제외하고는 모두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에 시작되었다. 80년대 후반부터 지가의 상승과 정부의 산업 배치 계획의 조정에 따라 그나마 남아 있던 영세 중소기업들이 인근 수도권 공단으로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지역 산업의 동공화 현상까지 우려되는 상황이 되었다. 90년대에 접어 들어 전면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자치단체마다 재정자립도의 향상이 당면과제로 떠올랐고 저마다 자족형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주민들 역시 과거와는 달리 스스로의 손으로 지역의 대표를 뽑게 되자 다양한 욕구 분출이 끊이지 않게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급속한 성장의 후유증이라고 할 수 있는 부적절한 도시이미지의 개선이라는 사회적 요구, 공장의 이전에 따른 지역산업의 동공화를 막아야 한다는 산업적 요구가 한꺼번에 나타난 것이 부천시가 굴뚝 없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문화산업을 도시의 미래 산업으로 선택하게 된 근본적인 동기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점차 이탈하고 있는 공업기반의 감소와 어둡고 낡은 도시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한 도시재구성전략의 하나로 문화산업을 선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부천시는 부천만화정보센터, 복사골예술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부천국제대학애니메이션페스티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 ‘5대 문화사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박물관이 많은 도시 건설 등 문화도시를 위해 많은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들은 부천을 대표하는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부천은 문화예술 도시로서 지금까지 나름대로 그 상징성을 잘 나타내었고, 어느 정도 성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부천시는 문화적 경쟁력을 갖춘 주변 도시들의 변화를 주시하면서 현재 부천시가 가지고 있는 역량들을 정확히 알고 현재의 정책과 문화도시 역량을 재확인하여 어떻게 하면 부천시가 문화도시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해나갈 수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산업이 정상적으로 육성, 발전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호흡하면서 지역특성에 맞게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세계 속의 문화도시로서 부천시가 꾸준히 발전하기 위해서는 부천시만이 가진 차별화된 문화적 역량을 지속적으로 발굴∙ 개발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발전시켜나가며, 지역주민 및 지역 활동가의 동참을 이끌어내 그 역량을 모아 대외적인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한편 문화 산업을 통해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cultural value of province has been maintained minimal at an each province, but the region original culture is not fixed in contiguous in Seoul region and satellite city area and additionally, the condition to be formed the culture was not fulfilled. In this situation, the local autonomy comes true in each province and they held small and big cultural event and are competing among each province to preoccupy a cultural predominance. The city is the Bucheon that sensitive most to the change of such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 after it confronts. The city of Bucheon, be different to other cities, is rearing the culture of cartoon, movie and music to a center industry. Except the music, the movie and cartoon began after from 1995, a self-governing system is carried out. From the late 80s, the land prices of the Bucheon city began to climb an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government of an industry disposition plan; a number of jobs disappeared and happened to the phenomenon that an area industry is shrunk. From the 90s, as the province self-governing system to be the overall raised, Finance independence became a facing subject and also there are strong requirement that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a self-sufficiency city. Inhabitants not like the past and various desires appeared. Due to the need of the times and side effect of rapid growth, Bucheon had the requirement to improve a city image, so, Bucheon select the culture industry as a future industry which is high value industry and also is not accompany chimney. Bucheon city rearing 5 cultural business as a main strategic, which are Bucheon Cartoon Information Center, Boksagol Arts Festival, Bucheon Philharmonic Orchestra, PISAF and PiFan and they are progressing many efforts to the continuance for the culture city. Such businesses are becoming a key point competitive power, which represents the Bucheon. When we saw the Bucheon city as the synthesis, Bucheon culture art city well expressed the symbol until now and considered also to bring the result to a certain extend. At present, many cities understand the concept of culture and do the public relation to the outside and know that culture plays important to a quality enhance of the life role. They are making much effort for cultural competitive power consolidation also. Consequently, Bucheon city must gaze circumstance cities’s which have a culture competitive power change steadily and must know abilities to have accurately. Bucheon must reaffirm a present time’s policy and culture city ability and know that they can make how the Bucheon enlarges competitive power to the culture city. The culture industry must do the upbringing to be developed properly with the area inhabitant and the policy must be propelled so that it is suitable to the area characteristic. Another important things are: Bucheon city must developed steadily as the culture city of the inside of the world and must dig a culture ability which is drawn a distinction to have to the continuance and must keep developing through efficient operation. To be more successful cultural cities, Bucheon city must draw the participant of an area inhabitant and area activist and gather the ability to activate the area economy through a culture industry.

      • 문화예술분야에서의 디지털 컨텐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장희진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디지털 시대의 혁명은 문화예술산업 분야에도 예외 없이 큰 영향을 미쳐 기존의 문화와 예술 개념에 큰 변화가 몰아치고 있다. 인간의 정서를 개발하고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켜온 주된 요소 중의 하나인 예술은 디지털 기술과 만나면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사람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든 사람이 창조의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열어놓음으로써 예술이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삶의 곳곳에서 자리잡아 가고 있다. 20세기가 기술과 물질중심의 산업사회였다면, 21세기는 지식과 정보 그리고 문화가 중시되는 사회이다. 지난 세기 인류를 지배해 온 물질문명의 가치들이 지식과 정보, 그리고 문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들로 대체되고, 세계경제의 중심축도 자본과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컨텐츠 중심의 지식기반 산업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이를 기반 삼아 정보나 지식을 주요 생산요소로 하는 이른바,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 하에서 컨텐츠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컨텐츠 산업은 고도정보시대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잘 부합될 뿐만 아니라 이를 주도하는 측면이 있다. 컨텐츠(content)는 문화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을 이루고 있으므로 문화산업을 컨텐츠 산업이라고도 하고 있다. 인터넷을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은 국가 간 문화 및 산업 경계를 더욱 약화시켜, 마침내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시켜 가고 있는데, 문화적 상상력과 산업이 결합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문화예술산업이 바로 지식과 정보, 문화의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형 산업으로서 국가간의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대두된 것이다. 국민소득이 증대하고 여가활용이 다양해지면서 대부분 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소비욕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디지털 혁명'이라는 변화의 파도가 산업계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파급되면서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 각종 미디어 산업간의 융합과 합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이들 매체에 영화, 영상 제작물, 각종 정보, 음악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컨텐츠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매체의 발달에 비해 이를 채울 컨텐츠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세계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와 문화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인프라를 활용할 컨텐츠의 수급인 것이다. 문화예술산업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성공하기 위한 답은 결국 좋은 컨텐츠와 수익 모델, 그에 따른 인프라로 좁혀진다. 위 세 가지 조건이 딱 맞아떨어질 때, 가상공간과 현실 공간의 경계가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공 전망은 불투명하다. 관련 인프라는 어느 웬만한 선진국을 가뿐히 뛰어 넘을 정도의 수준에 올라가 있으나, 수익 모델이 될만한 컨텐츠가 한정이 되어 있고, 수익 모델이 될만한 것은 그나마 외국의 컨텐츠를 모방한 경우가 거의 대부분인 것이 현실이다. 또한 문화 컨텐츠 산업은 엔터테인먼트 쪽에만 치우쳐서 예술분야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이 미진한 상태이다. 디지털 기술은 한정된 공간을 넘어서는 가상 세계를 무한대로 창조해 갈 수 있는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그 힘을 잘 쓰는 것은 기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창의성과 바람직한 가치를 지닌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에 달려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화, 음반,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디지털 혁명이가져온 문화예술산업구조의 변화와 그를 통한 향후 전망을 모색하였다. 컨텐츠의 수익모델의 측면에서 컨텐츠의 유료화 현황과 인터넷 이용자들의 유료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진로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실태조사를 통해 문화예술분야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revolution of the digital era has also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as it changed the basic idea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he joining of art and digital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for art, one of the elements that has cultivated the human emotion and has made the life of human graceful, to become available to anyone, whenever and wherever he or she wants to enjoy it. This has also allowed all human beings new opportunities and methods for becoming a part of the creative world, which in turn has diversified art into various shapes. If what we had experienced in the 20th century was a technology-oriented, materialistic industrial society, what we face and will face in the 21st century is a society that focuses on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The materialistic values that had dominated the last century will be replaced by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all new values invisible to the eye. The knowledge-based industry focusing on software and contents will substitute the capital and labor-based industry to become the center of the world economy.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we are experiencing in the 21st century,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bases itself on such information technology, has put a lot of emphasis on the contents industry. Not only does the contents industry fit in with the changes going on in this information era, it also leads the way. Contents are the core elements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hat is why the term ‘contents industry’ is often used. The speedy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has weakened the boundaries that had existed between states, cultures and industries and has ultimately put the whole world together as one. Cultural arts industry, which has combined the creativeness of art and the efficiency of industry, has become the fundamental factor that will guide us into the age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and will become the key factor that decides the competitiveness of states. With the increase of GNP and time to enjoy life, desire for cultural arts among people has increased rapidly. The wave of ‘digital revolution’ has not only affected the industry but has had tremendous effect on ordinary life. Computer & communication, various media industries have all combined to form an information-providing industry that provide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films, all kinds of information, music, etc. With the expansion of such information-providing industry, the demand for contents has also increased in size. However, supply of contents to fulfill this industry is lacking and rapid increase of contents seems far away. The problem here that there is a lack of contents to be applied to the infrastructure, which had already been prepared. For digital contents to be successful, contents must have good quality, have a profit model and be equipped with the infrastructure to support it. When these three conditions are met, the border between the world of imagination and reality will disappear. Whether Korea will be successful or not is still ambiguous. The infrastructure level to support digital contents is quite high and almost at the highest level. But the number of profit models for digital contents are limited and even the models that have actually created profits are the ones that have just followed the profit models of foreign contents. Moreover,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focusing too much on commercial entertainment and too less on digital arts contents. Thus this dissertation looks into the changes that the digital revolution has brought on the structure of the cultural arts industry with emphasis on films, music and performances and will provide an outlook into the future. Research on profit models for digital contents has also been done on the perceptions people have concerning paid contents. Finally, by comparing the various digital contents that are being serviced, way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has also been researched.

      • 한국 예술경영교육의 현황 연구

        박권주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에 문화행정이 예술활동에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부여한다는 인식이 커짐에 따라 예술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이 분야에 종사하게 될 예술경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예술경영 교육 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단국대학교를 시작으로 최근 2~3년 사이에 무려 20여 개 이상의 대학에서 예술경영 관련 학과들이 개설되었고, 현직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대학 정규 프로그램이 과거 40년간에 걸쳐 증가하면서, 전수할 만한 일정한 기술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생각하여 미국과 영국의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다. 그리고 국내의 예술경영교육을 대학과 대학 밖에서 이뤄지고 있는 정규교육과 비정규 교육으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예술경영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 문제점들을 위해 앞으로 개선해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첫째,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은 그 교육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그쳐 문화예술 종사자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교육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했고,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역시 부재했으며, 기존에 교육되어지고 있는 연수 프로그램은 문화예술 전문가를 양성하기에 부족했다. 둘째, 대학에서의 예술경영교육은 수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질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먼저, 교육환경이 부실했으며, 커리큘럼의 불안정성, 낮은 이수학점으로 인해 학습량 부족, 전문 교,강사들의 부족, 학교와 현장간의 연계 부족들이 지적되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안해 나갈 개선 방안으로 첫째, 실무자들의 효과적인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강화와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성격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을 위탁하여 교육하는 방식의 맞춤식 위탁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학문적 체계 정립의 필요성과 현장과 이론이 함께 소통 될 수 있는 장으로 정기적인 학술회의, 세미나, 심포지엄, 워크샵 등을 개최하는 학회의 활발한 활동이 요구 된다. 셋째, 예술경영 교육의 현장과의 연계를 위한 인턴십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인턴십은 대학의 예술경영교과과정의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와의 인턴약정이 체결되어야 하며 인턴십 기관과 훈련 프로그램 사이에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턴십 제도의 담당 코디네이터도 함께 창설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현장실습을 확대할 수 있고 이론과 실제를 파악함과 동시에 사례연구를 위한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예술경영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역사가 짧으며, 앞서 살펴본 외국의 예술경영교육의 사례에서도 많은 국가들이 아직까지 예술경영분야의 교육 시스템에 있어 하나의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은 질적인 면보다 양적으로만 팽창하였고 아직은 형성기에 있는 과정이지만 앞으로 끊임없는 교육환경의 개선과 우리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행해진 연구들을 통해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예술경영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미래도 밝을 것이라 본다. As more and more people acknowledge that cultural administration may give new functions and roles to art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arts management becomes highlighted. In accordance with those social demands, a variety of institutions for arts management education begin to appear, which aim to instruct or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arts management, whether they work actually in culture and art fields or they will do so later. In Korea, departments related to arts management have been opened up in about 20 campuses during recent 2∼3 years, since the first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Dankook University(1989). Also,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become rapidly popularized for the re-education of current personnel in arts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agnose the practic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booming recently in Korea, and present reasonable policie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mpli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For these purpos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a series of techniques to hand over to follow-up scholars in the course of grow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in domestic campuses over last four decades, this study showed som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USA and United Kingdom. Moreover, it classified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into regular and irregular education available within or outside campu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s. By looking into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in progress, this study indicated what are the question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Korea and which of the questions is to improve in the future. The questions in domestic art management educat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rregular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mostly discontinued, so their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too temporary to solve the questions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often face actually. Besides, there was not any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re-education of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conventional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have been considered insufficient to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 Secondly,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campus has increased in the level of quantity, but exposed different problems in the level of quality. Above all, many employees in culture and art often pointed out weak educational environment, unstable curriculum, lack of learning or knowledge due to low credits insufficient to complete regular course, lack of specialized lecturers and poor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art/cultural fields. Remedial solutions to complement these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without a hitch for effective re-education of working-level personnel, while promoting customized education by commission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duly qualified institutions, depend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econdly, art management and the science of arts management have been still unfamiliar in Korea, and have been not much acknowledged as one of technical jobs. Majority of domestic campuses have not yet implemented intensive and formulated education to train and foster the future arts management personnel.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domestic cultural institutions still stays in the level of customary mannerism. In terms of methodology, domestic art management has been very underdeveloped as compared with other fields. That is why we should build up arts management in the level of academic system. It is also required to encourage related societies to promote activities such as academic meeting, seminar, symposium and workshop on a regular basis, which may provide a ground to communicate theories(campus) and practices(field). Thirdly,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formulated internship system for interactive connection between arts management education and fields, while facilitating a series of team projects. It is recommended that internship courses should be opened up as required ones in the campus curriculum of arts management. For building up an internship system, internship agreements must be concluded with educational and art & cultural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et up qualified coordinators in the internship system to facilitate practical communications between internship institution and training programs, while facilitating team projects to expand field practices and identify both theory and practice along with case study. The history of study on arts management has been still short around the globe, as well as in Korea.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round foreign countries, many countries have not yet developed a single and unified criterion for their education system in arts management. Currently, arts management educations in Korea have been expanded in the level of quantity, rather than in the level of quality. Besides, it still goes through beginning level. However, if we try to build up a system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compatible in Korea through ceaseless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follow-up studies based on Korea's own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of arts management in Korea will be brighter than now.

      • 한국 자동차산업 전략적 제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혁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세계자동차 산업은 세계 경제 침체와 1990년대부터 불어닥친 환경오염 및 대체 에너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신기술 개발을 위한 막대한 R&D비용 부담과 그에 따르는 위험성을 낮추고, 규모의 경제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 세계자동차기업간 전략적 제휴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1세기에 한국이 주요 자동차 생산국 및 수출국으로 성장ㆍ발전하기 위해서는 선진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에 대응 할 전략적 제휴가 필수적이다. 한국자동차 산업은 더 이상 자신의 경쟁자원만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세계자동차 시장에서 살아남기가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경쟁기업간 혹은 산업간 협력을 도모해야한다. 이에 본 논문은 세계자동차 산업의 전략적 제휴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한국자동차 산업의 현황 및 전략적 제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결과 한국 자동차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부차원과 기업차원의 전략적 제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부측 전략적 제휴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산업기술협력을 강화하는 일이다. 이는 국제 공동연구개발사업의 추진, 합작투자, 기술교류 등 전략적 제휴의 증진을 위한 기반조성에 기여하게된다. 둘째, 정부는 경쟁력을 결정할 핵심요소가 기술력이라는 판단하에, 응용연구와 개발을 중시하는 기업의 R&D투자 강화 추세에 보조를 맞추어 기술정책기조를 전환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시켜야 한다. 셋째, 전략적 제휴의 활성화를 위한 경영환경을 조성해 주는 일이다. 기업의 국제화와 외국 기업과의 교류 및 국내 기업간의 제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산업기술정책을 보강하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넷째, 기업간 전략적 제휴의 활성화를 위한 금융ㆍ세제상의 지원체제를 정비해야한다. 다섯째, 정부 부처 내 통상산업부와 같은 기관에 전략적 제휴를 담당하는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다음은 기업 차원에서 전략적 제휴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국에서 국내 기업간은 물론 해외 경쟁업체와도 제휴를 통해 합작 생산 또는 차종별 비교우위에 바탕을 둔 완성차의 상호 보완 공급체제를 갖추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국내 자동차업체간 공동기술개발 및 협력에 대한 제도적 실행을 정착 시켜야 한다. 셋째, 전략적 제휴를 기업의 세계화 및 생존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외국의 선진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는 경우, 지속적인 R&D와 신제품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기술자립 및 한국식 생산방식 개발 등의 기술 및 생산의 핵심역량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업간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는 경우 제휴기간과 제휴목적을 보다 분명히 설정해야 할 것이며, 또한 체결 후 원활한 의사소통 채널의 유지 등과 같은 사후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자동차 산업의 전략적 제휴 역사가 짧고, 현황 및 체계적인 연구가 미진한 점이 심층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하는데 애로점이 많았다. 앞으로 한국자동차 산업은 경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지금까지의 전근대적인 경영관행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경영기법과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World automobile industry is facing to the depression all over the world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ternative energy since 1990s. And then, to reduce the huge burden of R&D expense and its risks and secure economic effect of its size, strategic cooperations between world automobile businesses are going on actively. In order that Korea may develop into a major country of automobile production and export in twenty first century, such a strategic cooperation would be necessary that might cope with the competitiveness from automobile industry of advanced countries. Since it is hard for Korean automobile industry to survive in the world market all by itself only with its competitive resource, it should device the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rival businesses or industries. Present study considers, therefore, the real condition of strategic cooperation of would automobile industry and the problems and resolutions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in terms of Korean government and business. The measures in terms of Korean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echnique should be reinforced. It will contribute to set up a base for promoting strategic cooperations including international joint R&D, joint venture and exchange of technique. Second, on the base that technical power is the key to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Korean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desire on R&D by changing the policy fit to the tendency of reinforcement of business's R&D investment focusing o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Third, a management condition should be prepared to activize strategic cooperations. Policies about automobile industry has to be invigorated and regulations be lifted so as to facilitate globalization of business, communication to foreign company and cooperation between domestic businesses. Fourth, to activize strategic cooperations between businesses, financial and tax supporting systems should be rearranged. Fift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ike the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should reinforce the function for strategic cooperation. The measures in terms of business are as follows: First, within a certain state it should consider the mutual supplement and supply system of car through cooperation not only between Korean businesses domestic, but with oversee company, based on joint production or comparative superiority of cars. Second, a system should be fixed on joint R&D and cooperation among domestic automobile busine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rategic cooperation as a key factor for globalization and survival of business. Fourth, in case of strategic cooperation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Korean businesses should build up the capability to be independent, develop and product in Korean style by everlasting R&D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 Fifth, in case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Korean businesses, period and purpose must be clear, and successive measures also should be perfect like maintaining channel of easy communication. The fact that the short history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Korean automobile businesses and lack of systemic researches made the study hard for more serious and deeper investigation. Afterwards, it is hopeful that Korean automobile industry could increase its effectiveness of management and productivity, escape from premature practice of management, and keep on studying more systemic and scientific management technique.

      • 회계정보시스템의 전산화에 관한 연구 : A사의 전산화 중심으로

        윤종호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회계는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창출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다양한 운영절차를 가지고 있는 정보시스템이다. 그리고 회계를 통하여 기업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사건들이 표현 및 요양되어 전달된다. 정보란 의사결정 목적을 위해 어떠한 처리과정을 거친 데이터들의 집합을 말한다. 시스템이란 한가지 이상의 목적, 제약조건 및 목적달성을 위해 다양한 통제가 수반되는 복합적 실체를 말한다. 회계정보시스템은 경제적 자료를 재무적 정보로 전환하여 기업의 영업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들에게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보고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는 기업실체 내의 통합된 시스템이다. 회계정보시스템은 영업활동을 위한 정보제공과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제공 이 두 가지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게 되면 회계정보시스템은 상당한 효익을 창출하게 된다. 컴퓨터 등의 정보기술의 활용은 경영학 및 회계학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경영정보시스템 및 회계정보시스템의 학문으로 발전한다.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도별 추세는 1980년 대에 단편적인 수준의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1990년 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정보시스템 환경(57%) 정보시스템 처리과정(28%) 정보시스템(14%)의 순으로 나타났고 조직환경의 항목(30%)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21%) 정보시스템과 정보시스템 교육 및 연구(각각 14%) 그리고 관련학문, 외부환경과 정보기술(각각 7%)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시스템 관리와 정보시스템 사용 항목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실증적 연구는 설문연구와 실험실 연구의 방법이, 비실증적 연구에서는 개념적인 연구방법 만이 채택되고 있다. 특히 실증적 연구에서 설문조사 연구가 그 비중이 크므로 설문문항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요구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회계정보시스템의 관련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회계정보시스템 분야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 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전무학술지의 창간과 함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연구대상 학술지와 논문의 수가 절대적으로 빈약하였다.

      • 전통예술공연의 마케팅 방안 연구 :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송혁규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50655

        전통예술은 한 나라의 문화를 대표하는 동시에 자체로서 그 존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전통예술공연은 역사적, 제도적인 문제와 여타의 비효율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대중들과 많은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맞아 전통예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적인 지원과 활성화 노력이 펼쳐지고 전통예술의 교육활동도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전통예술과 관련된 연희자나 기획자들도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그동안 전통예술과는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었던 마케팅개념을 도입하여 전통예술이 보다 폭넓게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마케팅이론 중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이론을 적용하여 보았다. 예술마케팅 관련이론은 실제로 많은 공연에서 적용되고 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다. 이것은 전통예술공연도 치밀한 마케팅 계획하에 진행한다면 보다 많은 관객들을 확보할 수 있고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좋은 예일 것이다. 전통예술은 새로운 세기의 대표적인 국가문화상품이고 또한 보존하고 발전시켜야 할 예술의 장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전통예술의 대중성 획득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민에게 외면받는 전통예술은 이미 그 존재의 의미를 상실한 것이기 때문에 박제화될 수 밖에 없고 정형화 될 수 밖에 없다. 전통예술공연에 있어서 이것은 최우선으로 극복하여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Traditional art represents the culture of a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s fully meaningful by its existence. However,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Korea are far apart from the masses of people due to historical and systemic problems as well as their inefficiency. People's recognition on traditional art has been changing since entering the 21C of the culture. This fact can be confirmed by national support, various activating efforts, and active educational programs about traditional art. Performers and planners related to traditional art shall adapt these changes and try to activate traditional art according to these movements. In this paper, the Marketing Mix Theory among various marketing theori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a completely different thing from traditional art, was introduced and applied, focusing on widely spreading traditional art. Theories related to Art Marketing have been applied to many real performances and have obtained positive reactions. This is an example of attracting many audiences and securing good reactions by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f progressed under detailed marketing plans. Traditional art is a representative national art product in this new century and is a kind of art genre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obtaining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art should be focused. Traditional art ignored by its own national people cannot be but stuffed and formalized. This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overcome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 사물놀이의 관객개발을 위한 마케팅 연구

        박준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의 전통문화는 최근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다양한 외래문명이 스며들어 많은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시발점으로 하여 국민의 정신문화에 자리잡아 잃기 쉬운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통문화가운데 사물놀이의 마케팅 전략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전통문화를 개발하고, 개발한 문화를 널리 보급시킴으로써 한국인뿐 아니라 세계인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재로 발전시켜 우리의 생활 속에서 늘 공유할 수 있는 문화로 자립 잡을 수 있도록 함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선진국의 공연예술 산업의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국내에서는 김덕수패를 중심으로 사물놀이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사물놀이 마케팅 전략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놀이 마케팅 전략으로는 마케팅 및 프로모션을 통한 발전방안, 기업 및 언론연계를 통한 발전방안, 공연예술 연계구조를 통한 발전방안, 법규제적 환경의 개선방안이 있다. 마케팅 및 프로모션을 통한 발전방안으로는 관객 유인 및 회원개발을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서 공연장 주변의 시설과 기념품, 예술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야 할 것이며, 관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언제 원하는지, 어디에서 원하는지, 어떻게 구매하는지를 맞추는 타켓 마케팅 등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과 언론연계를 통한 마케팅 방안으로는 기업을 언론과 연계시켜 기업에게는 홍보효과를 주고, 언론업계는 이익을 추구하는 윈-윈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공연예술 연계구조의 마케팅 방안에 대해서는 '아티스트와의 적정한 방법을 통한 접촉에 의해 적정 숫자의 관객을 끌어들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목적 달성에 부합되는 가장 큰 재정적 이익을 얻으려는 마케팅을 도입해야 한다. 넷째, 법규제적 제도환경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정부가 예술단체들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문화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관계당국이 공연예술시장에 대한 마케팅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의 각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활동 지원금을 높여야 할 것이며 우리 공연물의 해외 진출에 대한 인식과 방법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원과 더불어 세제에 대한 혜택도 빼놓을 수 없는데 문화관련 산업에 대한 세제확대가 필요하며, 문화산업을 육성하는 기업들에 대해서도 세제확대를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물놀이의 구체적인 마케팅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마케팅전력 기획의 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마케팅 제시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ur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fluenced by diverse foreign civilization soaked inside social transitions rapidly happening during recent days. With the first departure point out of the above issues, this study groped for marketing strategic measures of Samulnori among many traditional cultures, in order to preserve as well as activate our traditional cultures that are easily lost in usual but should be settled down inside people's spiritual culture. It i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amulnori, our representative traditional entertainment, distributing the developed culture widely, and encouraging it developed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assets that people of all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ns can participate in and enjoy together, furthermore, making it settled down as the culture all of us share inside our living environments. The study contents focus on the marketing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public performance art industry, and Kim, Duk Su circle's Samulnori. So that this report tried to contemplate the modern sense of Samulnori. The marketing strategic plans of Samulnori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mulnori marketing strategies are the development plans through marketing promotion, the development plan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and enterprise, the development plans through linked structure of public performance art, improvement plans of legalistic restrictive environments, etc.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marketing and promotion is offering facilities around performance places, souvenirs, art-related information, as the marketing plans for attracting audience & increasing the number of members. Moreover, other target marketing is necessary like predicting what, when, where the audience want, or how they purchase. Second, the marketing pla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and enterprises is proposing Win-win strategy that connects between the press and enterprises, provides public information effectiveness with enterprises, and provides financial benefits with enterprises. Third, the most desirable marketing plans of public performance art's connective structure should attract a proper number of audience by contacting the artist in a proper route, and obtain the largest interests that would meet several purposes. Fourth, the development plan of legally controlling institutional environments is the government's providing practical benefits with these art organizations. In order to execute these cultural policies,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recognize the market of public performance art from the viewpoint of marketing. Also, the government need access various support-programs more easily, to increase the amount of activity-aiding cost. The recognition way of our performances' expanding overseas should be changed, also. Adding to these kinds of supports, taxation benefits must not left out; the tax benefits need be expanded in the area of cultural industry, and the enterprises involved in and bringing up the culture-related businesses should be benefited by taxation regul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an approximate frame plans to achieve marketing strength rather than applying concrete marketing techniques of Samulnori. Therefore, future reports should be the studies on concrete marketing plans.

      • REITs制度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 現況과 發展課題 中心으로

        박기현 檀國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1998년 IMF 구제금융을 신청한 이후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과제 가운데 하나인 부실채권의 신속한 처리와 급격한 자산디플레이션에 따른 複合不況을 막기 위하여 부동산 증권화 제도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되었는데 企業 및 金融機關의 구조조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부동산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ABS를 도입하였고 이어 1999년 MBS가 도입됨으로써 기업들에게 많은 자금을 조달하는 제도로 활용되었다. 또한 부동산을 증권화하여 일반 국민들에게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 및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며 부동산에 대한 건전한 투자를 활성화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2001년 4월 7일 부동산투자회사법을 제정하여 不動産 投資信託(REITs)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높은 안정성과 낮은 유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을 높은 유동성과 낮은 유동성의 금융시장과 연계시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안정성과 유동성을 동시에 갖춘 투자수단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하여 시행된 현행 부동산투자회사법은 구조조정리츠에 대한 상대적인 우대와 법안 심의과정에서의 부분적인 수정으로 인한 제도의 체계성 약화 등 실효성이 떨어지는 일부 규제로 인하여 일반리츠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일반리츠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함에 따라 당장 문제가 되는 것은 구조조정리츠의 exit program 부재로 구조조정리츠회사의 存續期間이 끝나는 시점에 유동성 위기가 도래할 수 있다. 즉, 일반리츠제도가 정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구조조정리츠회사의 존속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매각하여야 하는데 매각물건을 매입할 수 있는 수요자가 없으므로 새로운 유동성 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동산투자회사 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할 경우 투자자의 실망과 함께 어렵사리 마련한 부동산시장의 先進化 및 高度化의 기회와 우리 나라 부동산시장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을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는데 이는 국민 경제의 입장에서 상당한 손실이 아닐 수 없으므로 기업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고 주먹구구식에다 투명하지 못했던 과거 부동산 투자방식을 장기적·안정적으로 透明化·科學化·效率化·健全化시킴으로써 부동산시장이 발전할 수 있는 土臺가 될 수 있도록 REITs제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에 따른 제도 및 운영의 모순점을 찾아내어서 건전한 투자기회 제공과 국민경제 발전에 貢獻할 수 있는 부동산투자회사(REITs)제도로 발전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도개선 및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겠다. 또한 일반리츠회사 설립인가를 준비하는 회사들이 성실한 자세로 리츠시장에 참여하고 책임감 있는 자산운용으로 높은 투자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반투자자들이 리츠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하며 어렵게 도입한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는 조세지원 등을 비롯한 정책지원 및 인프라 구축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는 논리를 제시하였다.

      • 국공립합창단 운영현황과 활성화방안 연구 : 수도권 지역 합창단을 중심으로

        송예진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는 말이 시사하듯이 지금 세계 각 국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근본 수단으로 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으며 문화를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로 간주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역간에 균형적인 문화발전을 위하여 예술단체들의 활성화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공립합창단들은 전국의 대도시에 고루 분포되어 문화적 불균형을 해소하는 중요한 입지에 있지만 그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운영하는 관계로 경영의 한계점과 마찰 속에서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공립합창단 중에서 수도권의 4개 단체인 국립합창단, 서울시합창단, 수원시립합창단, 인천시립합창단으로 제한하여 각 단체의 운영현황을 비교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합창단원들과 행정직원들에게 설문하여 실질적인 문제점을 찾고자 하였다. 운영현황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지원의 부족과 그에 따른 통제에 의한 경영의 한계점이 지적되었고, 둘째, 단원들은 처우에 대하여 불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관객을 유치할 수 있는 관객개발의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마지막으로 전문 인력의 부족에서 오는 비전문적이고 비효율적인 운영이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개선할 방안으로는 첫째, 예술법인제를 도입하여 자율적인 재원관리와 기부금 모금을 통한 재원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관리하여 재원조성 뿐 아니라 고정관객 확보에도 힘써야 한다. 셋째, 관객들과 함께 호흡한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관객들을 교육하고 참여시킬 수 있는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전문 예술행정 및 예술경영 인력을 채용하여 합창단의 특수성에 맞는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외에도 인터넷을 활용한 관객과의 정보교환 및 홍보활동과 관객을 직접 참여 시키는 자원봉사자 프로그램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공립합창단들은 자신의 입지를 되돌아보고, 합창단의 육성과 합창음악의 경쟁력 있는 발전의 계기로 삼아 합창인구의 저변확대를 통한 음악의 사회적 기여와 균형적인 문화발전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As we call the 21st century 'Century of Cultu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renew the perception of culture as an important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ey consider culture the core element of national development and make nationwide efforts in culture development. In particular to make balanced culture development among regions, it is urgently needed to activate art organizations. National and public choruses are distributed to large cities in Korea so they should play important role in resolving culture bias. But they do not play their roles and maintain their existences under the limitation and conflict of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history of choruses in Korea and analyze overall operation status including national subsidy, program composition and ticket issuance through comparing the organization, regulation and operation rules of the four biggest choruses such as National Chorus, Seoul Metro Chorus, Suwon Municipal Chorus and Incheon Municipal Chorus. National and public choruses have many problems in operation and artistic activities becaus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operate them. This study will be the opportunity to nurture national and public choruses and develop competitiveness of chorus music by proposing reasonable methodist supplement or improve current problem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Chorus members and administrative staf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