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국내 예술경영 분야의 '학문'과 '현장 노하우' 간 상호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안성배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19

        우리나라에 예술경영이 도입된 지 2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학문적 영역이 구축돼 있지 못한 상황이고, 예술경영 현장에서도 문화예술에 적합한 경영 마인드와 체계적인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지는 못한 실정이다. 이는 현장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이론적 성과로 귀결되지 못하고, 이론적 성과가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예술경영을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과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으로 각각 구분하고, 양자가 맺고 있는 상호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상호관계 성립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목적을 이론적 성과로 구체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우선 기존 문헌 및 연구성과로부터 양자(兩者)의 개념을 추출해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경영 대학원 재학생 및 교·강사진, 현장 예술경영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와 함께 대형 국공립 공연장 예술경영 인력의 예술경영 관련 전공 비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국공립 공연장이나 공공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현장적용 과정과 현황을 짧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을 생산하여 무대에 올리는 행위(기획, 프로그래밍)', '관객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이를 향유하고, 그럼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적 제고에 이바지하는 행위(마케팅, 관객개발)', '예술(적 행위)의 생존을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제반 행위(조직관리, 인사관리, 재원조성)'와 이를 둘러싼 제반 환경(교육, 법제도, 정책)을 탐구하고 규명하는 이론체계로써, 그 대상(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독자적 방법론을 규정받는 경영학의 한 지류(支流)학문"을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으로, "예술 경영학의 학문적 탐구 대상들(기획, 프로그래밍, 마케팅, 관객개발, 조직 ·인사 관리, 재무관리, 재원조성, 기타 법제도 및 정책, 교육 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제반 기술적·방법적 지식 및 예술경영 현장 자체와 현장의 특성"을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으로 각각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에 임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의 국내 현황 및 특성을 다음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은 서구의 절반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그 역사가 매우 짧다. 둘째, 다른 분야에 비해 학문적 성과가 비교적 적다. 셋째, 예술경영학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폭증하고, 괄목할만한 학문적 성과를 이루어 낸 기간은 고작 최근의 3년 정도에 불과하다. 넷째, 이론에 대한 현장의 거부감을 털어 내지 못하고,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마저 형성됨에 따라 예술경영학은 현장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론의 산실인 교육현장이 부실하다. 여섯째 한국 예술경영학은 최근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학회를 창립하는 등 독립적 학문분야로서 발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현장과 이론이 만나는 매체(media)적 구실을 하는 예술경영 관련 정규 교육기관 및 교육제도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 고찰을 통해 예술경영 교육이 현장과의 괴리, 안정적이고 일관된 커리큘럼의 부재, 교·강사진의 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원인으로 왜곡과 오인(誤認)에 따른 예술경영 교육 붐의 조성과 교육정책의 부실함 등이 지목됐다. 또한,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이 국내 현황을 고찰하면서 '학문으로서의 예술경영'과 달리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이 예술의 태동과 함께 시작됐음을 확인하고, 우리나라에서 예술경영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돼 왔는지를 간략히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 속에서 '현장 노하우로서의 예술경영'의 국내 현황을 살폈으며, 그 특징으로 첫째,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 둘째, 이론적 성과 및 예술경영 전문 인력을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정책적 환경과 영세한 구조, 낮은 가동률과 기획 공연률, 명확한 설립취지 및 미션의 부재, 비체계적 마케팅과 후진적인 관객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자(兩者)의 개념, 현황 및 특징, 양자의 접점인 교육현장의 현황과 특징 등을 규명하고, 전술(前述)한 설문조사, 현장조사 등의 분석적 고찰을 통해 아래와 같이 양자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우선 시기적 구분에 따른 역사적 고찰 속에서 양자간의 관계를 파악하려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현장조사, 사례조사 등을 통해 ▲양자간 괴리의 심각함 ▲양자의 상호 괴리를 극복할 시스템의 미비로 인한 교육 부실의 악순환 ▲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에 따른 마케팅에 대한 지나친 강조 ▲학부-대학원 간 연계 시스템 미비 ▲학생들의 교육적 욕구 및 현장과 동떨어진 교과과정 ▲현장에 대한 학술적 규명작업 미흡 ▲이론적 성과를 수용하기 힘든 현장의 구조적 문제점 등을 실증하였다. 또한 중앙집권적 문화행정의 대안으로서 예술경영이 등장하였다는 점과 ▲현장-이론 간 소통 시스템(학회, 학술지, 공론의 장) 및 지식 네트워크 형성 ▲학제간 연구를 통한 독자적 방법론 및 학문체계 구축 ▲이론에 대한 현장의 인식변화 유도 등이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이에 따라 양자간의 바람직한 관계정립을 위해서는 ①예술경영에 대한 왜곡된 인식 개선 ②학문적 방법론 정립 및 독자적 학문체계 구축 ③활발한 학회활동을 통한 상호 소통 시스템 구축 및 지식 네트워크 형성 ④부실한 교육여건 및 교육제도 개선 ⑤인턴쉽 등 산·학(현장-이론) 연결 시스템 구축 ⑥예술경영전문진 제도 도입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arts management was introduced in Korea. But a systematic field of studies regarding this area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even in arts management fields we have yet to see appropriate managing minds and well-organized management systems. The accumulated know-how of the field not being applying to theoretical results, and vice versa, is the biggest reason for these circumstances. With the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e as its backbone, this thesis wishes to-a Classify arts management into 'the arts managements as theory' and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of the field)' b.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maintained between the two types of art management, and therefore seek for ways to set up a desirabl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specify the aforementioned purposes theoretically, this research utilized the following methodologies. First from existing documents and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extracted the two concepts of art management and systematically defined them Having the two definitions as a background a questionnaire survey of a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professors, field arts managers, off was conducted. Also 'arts management related research on major national/public concert areas or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how it is being applied to the field is discussed briefly. This research defines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as " A theoretical system that researches and defines 'the act of producing and staging art(planning, programming)','the act of devising more efficient methods for the audience to enjoy arts and therefore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lives(marketing, audience development)','the act of efficiently managing and utilizing resource for the survival of arts(group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resource promotion)'and the circumstances(education, system of law, policies) surrounding them And also as a field of management studies that require independent methodologies due to the distinctiveness of its subject (arts)." And this research defines'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as "Technical/methodological knowledge and the nature of the arts management field itself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scholastic study subjects(planning, programming, marketing, audience development, group/personnel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resource promotion, related systems of law/policies and education, etc) of arts management studies." These two definitions form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he current state and specific traits concerning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in Korea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ix statements. One, the history of In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in Korea is very short. And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their history, regarding this subject is more than twice as long. Two,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is field is comparatively small compared toother areas. Three, the massive rise of educational interest in the studies of arts managem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s worthy of notice have all only started to happen over the last three years. Four, the field has been unable to shake off its sense of disapproval towards theories and this has even resulted in distorted perceptions abut arts management. Therefore,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is unable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ield. Five, there is a lack of educational fields that are vital forming grounds of theory. Six,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is growing rapidly, and we see a number of research societies being established. The study of arts managemen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in Korea Next,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esent state of arts management related offi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policies that act as mediums where field and theory meet.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gap between arts management education and the field, the absence of a stable and coherent curriculum, and a shortage of educators were revealed the problems surrounding this issue. A misled promotion of the arts management education boom and insufficient education policies, etc was pointed as reasons. The research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 in Korea. While doing so, it was noted that compared to 'the arts management as theory,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of the field)' started with the birth of arts. So therefore, a brief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rts management Korea was made. Through this examination, some of the specifically Korean situations involving 'the arts management as know-how (of the field)' were discussed.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 distorted perception: a fantasy abut 'financial independence level' of arts that s t e d from th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of arts management. Two, policies and petty structure that are unable to actively soak up theoretical achievements and arts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a weak foundation led by major concert halls, an absence of clear purpose for foundation and mission, a rule of thumb method of marketing, a backward audience development, etc. This research examined the two concepts of arts management, their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looked into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is the meeting ground of the two. An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s such as the aforementioned questionnaire survey, field examination etc, it looked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To do so, first a historical examination through periodical distinctions were attempted. Nex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ield examination, case examination ▲the seriousness of the gap between the two ▲a Vicious cycle of a deficient education due to a lack of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gap ▲an overemphasis on marketing caused by a distorted perception of arts management ▲a lack of connecting system between undergraduate courses and graduate courses ▲a curriculum detached from the. educational desires of students and the field A scholastically define the field ▲the field, which has a hard time applying theoretical results due to its problematic structure etc were verified. Also noted was the fact that arts management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centralized cultural administration and the need for a▲a communication system(research societies, scientific journals, a gathering for public opinion) between the field and theories, and a formation of a knowledge network ▲an establishment of individual methodologies and scholastic systems through researches made in educational systems ▲inducing the field to change its perception of theories, etc were proven. And in order to establish a desirabl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①improving the distorted perception of arts management ②establishing a scholastic methodology and individual scholastic system ③establishing a intercommunicating system through active research society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a knowledge network ④Improving the defici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education system ⑤establishing an industrial-educational (field-theory) connection through internship, etc ⑥inducting a policy of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for arts management specialists, etc were proposed.

      •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원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Mos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Korea relies heavily on public support funds and corporate sponsorships or suppor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activities, Consequently, it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conomic depression and so forth. The amount of funds shows a decline every year although they try to rais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through the donation culture activation in culture and arts and their financial resources from donation support funds are on the decrease while the ratio of public support funds are on the increase year by yea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raw up a development plan for financial resources management exper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as a self-reliant method of their stable and active private finances procurement, by analyzing current status and performing relative case studies. Firstly, as a current status analysis, the change and ratio of annual income structure for public support funds,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has been analyzed, compared to the total incomes in the past three years of performance facilities, cultural art centers, and specialized arts corporation or organizations excepting performing groups. In addition, to figure out the limitation of public supports and the necessity of private supports,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budge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department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ulture of major countries was performed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of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was analyzed as well as the donation expenditures and corporative suppor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Secondly, the organization structure related to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wa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foreign cases and the overseas education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the domestic educational program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status of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domestic arts were closely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First of all, the public support funds account for almost a half of the total income. It reflects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dependence on public support funds is high and the domestic donation culture for culture and arts is not established yet according to the annual decrease of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The public culture and arts support in Korea is typically from the national treasury or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Considering the economy size of Korea, however, the scale and ratio of cultural budget should be increased for smooth public supports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because of the government's low expenditure on the cultural sector, but it is hard to be solved since the cultural budget is regarded as a subsidiary matter in the order of priority compared to the budgets of national defense, economy, and industry. Even though Culture and Arts Committee is consistently collecting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from other financial resources such as private or corporate donations through the activation of donation culture to meet the demand of steeply increasing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e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since the fund-raising was abolished, it is de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e private efforts and support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financial stability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 financial danger of being exhausted. Regardless of the annual steady increase of corporate and private expenditures on donation in Korea, the total amount of private donation on culture and arts excepting other's family events and religious offering accounts for 0.2% and the corporate donation even including the sports sector accounts for 8.7%, which is very low.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more likely to be supports on their own programs or events for corporation PR than pure supports. The donations for supports and sponsorships are relatively low and their motives are also 'contribution to community', 'marketing strategy', or 'organization management'. Moreover,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sensitive to economic situations, so it would not be stable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hus, instead of depending on these unstable financial resources which are easily fluctuating by environmental factors, donator recruitment, program implement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settled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through private donations. Secondly, the concept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should be changed above all things so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can develop financial resources more organizationally and systemically. As foreign cases, various programs development and support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with proper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by establishing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committee or separate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CFRE, a fund-raising expert certificate authentication institution in U.S., grants certifications with educational and training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by strictly verifying professional theory, skills, and qualifications and reviewing responsibility for ethical criteria and working-level fund raising career over a given period. Furthermore, fund-raising expert educational institutions systemically provide an introduction course on AFT financial resource development (raising fund) so that experienced working-level employees can study from fundamental fund-raising to advanced skills for CFRE preparation. The Hope Institute, Korean Donation Culture Institute, 우리나라의 문화예술단체 대부분은 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재원마련에 있어 공공지원금 및 기업의 협찬이나 후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변화에 있어서 결코 안정적이지 못하다. 최근 문화예술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해 문예진흥기금을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공공지원금의 비중은 높아져가고 있는 반면 기부후원금을 통한 수입은 점점 낮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단체들이 스스로 안정적이고 활발한 민간재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현황 및 관련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로 진행할 것이다. 첫째, 현황 조사로써 공연단체를 제외한 공연시설, 문예회관, 전문예술법인·단체의 최근 3년간 전체수입 대비 공공지원금, 자체수입, 기부후원금에 대한 비율 및 연도별 수입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공공지원의 한계와 문화예술단체 민간지원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국가의 중앙정부 문화전담부처 예산과의 비교분석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의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기부금 지출현황과 문화예술에 대한 기업의 지원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관련 조직구조를 외국 사례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외국의 모금전문가 교육과정 및 국내 비영리 기관의 모금인력 양성과정과 국내 예술분야 재원조성 관련 교육현황에 대하여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 및 조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공지원금이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반에 가깝다. 이는 문화예술단체들이 공공지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으며, 자체수입 및 기부후원금은 해마다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보아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가 정착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공부문에 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지원은 정부의 국고를 통한 지원이나 문예진흥기금을 통한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정부의 문화부문에 대한 지출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원활한 공공지원을 위해 문화예산의 규모와 비중을 높일 필요성이 있으나 정책 우선순위에서 국방예산이나 경제, 산업분야의 예산에 비해 부수적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 문예진흥기금 역시 2004년 모금이 폐지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활동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예술위원회가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한 개인 및 기업의 기부금 등의 기타재원으로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고갈될 위기해 처해 있어 문화예술단체의 재정적 안정을 위해 민간의 노력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 법인 및 개인의 기부금 지출액은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조사비 및 종교적 헌금을 제외한 순수 개인 기부금의 주요 기부처 중 국내 전체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는 0.2%, 기업 기부금은 체육분야를 포함해도 8.7%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기업의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순수지원의 개념보다는 대부분 기업의 홍보를 위해 자체적으로 기획한 프로그램이나 행사를 위한 지원으로 후원 및 협찬을 통한 기부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지원동기 역시 ‘지역사회 공헌’, ‘마케팅 전략’, ‘조직관리’에 있었다. 또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경기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에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아 환경에 따라 바뀌는 불안정한 재원에 의지하기 보다는 개인의 기부를 통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기부자 모집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조직 내 인적자원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예술단체들이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원조성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단체의 임원과 직원들의 재원조성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야 할 것이며, 외국의 사례처럼 재원조성과 관련된 위원회나 별도의 조직 및 부서 신설을 통해 적절한 조직이나 인원을 갖추어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후원회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모금전문가 자격인증 기관인 CFRE는 모금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과정으로 전문이론 지식 및 기술, 자질 등을 평가하는 검증, 윤리적 기준에 대한 책임, 일정기간 이상의 실무적인 모금경력을 엄격히 검토한 후 모금 전문가의 자격을 인증해 주고 있으며, 모금전문가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AFP 재원조성(기금모금) 입문과정을 통해 모금관련 실무 경력자들이 모금의 기초 이해부터 CFRE를 준비할 수 있을 정도의 모금활동 기법과 내용들을 자연스럽고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민간영역에서 비영리기관 대상으로 모금전문가를 양성하는 희망제작소, 한국기부문화연구소, 도움과 나눔에서는 모금 담당자 대상으로 각각의 특색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

      •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정책 연구 :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중심으로

        염진영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수립된 정책 배경을 살펴보고 사업의 정책 비전, 사업추진전략, 사업집행체계, 정책대상을 분석하여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보완하여 보다 나은 정책결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6년 11월에 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사업」은 첫째 문화예술 분야에 창의적인 매개 인력을 양성하고, 둘째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 운영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주관하여 시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문화예술 매개 전문인력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수급정책이 없었던 가운데, 문화예술 인력정책수립을 위해 최초로 추진되는 정책 사업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사업의 실행구조와 방법, 지원대상의 설정 등 사업추진전략과정에 있어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정책비전이 상위정책의 목적과 연계가 불충분한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나침반이 되어야 할 사업의 목적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며,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에 대한 미래상은 매우 불충분한 정책 비전의 구조를 갖고 있다. 사업 추진 전략에 있어서도, 정부정책이 문화예술 조직의 경영 및 인력채용, 관리 등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으로써 정책흐름에 민간이 흡수되는 등 문화예술시장을 왜곡시키고, 조직과 인력간의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오히려 다양한 갈등구조의 정점에 설 수도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사업 집행 체계에 있어서는 사업 집행 자금이 갖는 성격에 의해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체육진흥투표권 공익사업적림금의 불안정성과 임의성, 추상적인 목적과 내용, 선정기준 등으로 인해 지속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재원으로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사업의 중요도 및 의지를 반영하기 위한 안정적인 예산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사업은 정책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지원정책의 형태인데, 단체·기관의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지원해 주는 정책이 단기적 관점에서 조직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은 확실하지만, 이로 인해 조직의 운영 체계화, 활성화, 자립화의 측면에 대한 기대감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사업이 2년 후 실질적인 효과를 보려면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이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연수프로그램도 공공자금을 활용하여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문화예술현장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가 바탕이 된 커리큘럼이 요구된다. 현장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무교육의 주제, 방법론 등에 대한 연구와 실행을 통해 문화예술 기획·경영 분야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것도 매우 필요하다.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정책구조를 분석하고 타 분야 인럭 양성 정책 사례 연구를 통해 몇 가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정책비전 및 추진전략의 측면에서는 문화예술현장의 질적 성장을 위한 인력 정책의 비전수립과 중·장기 전략목표의 수립과 성과목표 평가체계를 확립하고 정책 이해관계자들 간의 공공의 가치실현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이뤄야 할 것이다. 사업 집행 체계의 측면에서는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정기 전략의 수립, 보다 현장 밀착적인 교육커리큘럼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정책대상의 측면에서 인력수급 전망 등 문화예술현장에 대한 철저한 사전조사가 필요하고 정책대상의 의무와 권한에 따른 명확한 역할을 부여하여 상호간의 신뢰에 바탕을 둔 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Training Project of Professionals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 and in terms of policy visions, strategies, execution systems, and objects of policies, to examine how its applied to the arts and culture field and what influences it had on the field, and to identify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 and the policy tasks for better policy resul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November 2006, 「The Training Project of Professionals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seeks out two goals, which include bringing up creative mediating talents in Arts and culture and systemizing and activating the operation of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arts and culture. It's sponsor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supervised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Its significance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the very first policy project for talents in arts and culture in the absence of long-term, systematic supply policies of mediating professionals in those areas. But it's inevitable to see that the project has many restrictions with the strategies and processe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methods and the selection of recipients. The goals of lower policies don't match those of higher policies much, the structure of policy visions doesn't provide enough explanations about the values and future directions of business objects, which should serve as the compass for a business project. The problem is clearly reflected in the strategies. The government policies have a risk of creating diverse conflicts by directly affecting the management, recruitment, and maintenance of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and causing direct influences on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s and talents. The nature of business execution funds also presents restrictions with the business execution system. The public project reserve of the Sports Toto is hard to guarantee continuity due to its instability, voluntariness, abstract goals and contents, and selection criteria. Therefore, it's extremely crucial to secure stable budgets to reflect the importance and determination of the project in a more aggressive and active fashion. As for policy means, the types of support projects were investigated. While it's certain that providing grants for the labor costs of the organizations and agencies is of practical help to their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a short-term, it doesn't necessarily lead to a high expectation that their operation will become systematic, active, and independent. There should be a process designed to improve such a perception if the Project is to generate practical effects in two years. It's also necessary to organize curriculums based on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arts and culture field sinc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do receive fund supply from the public sector. Another much needed task is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capable of enhancing the quality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 through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the themes and methodologies of practical education designed for field professionals. A couple of improvement measure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policy structure of 「The Training Project of Professionals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and doing a case study of talent training policies in other fields. As for policy vis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ere should be ongoing efforts to provide visions on talent policies for the quality growth of the arts and culture field, set up mid- and long-term strategic goals,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for achievement goals, and create consensus among the policy stakeholders to realize public values. As for the system of project implementation, they should set up regular strategies to secure stable financial sources and develop and practice educational curriculums closer to the field. And as for the objects of policy, it's important to conduct thorough preliminary researches on the arts and culture field including the prospect of man power demand and supply. And they should base the projects on mutual trust by assigning clearly defined roles to the objects of policy according to their duties and rights.

      • 예술경영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방안

        김순남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에 관한 교육기관은 학부와 대학원을 비롯해 3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 요구에 따라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예술경영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위한 인턴쉽의 수요와 공급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 예술경영분야 대학원의 설립은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 성장은 있었으나 질적 성장은 가져오지 못하고 있었다. 즉 예술경영의 특성을 반영한 커리큘럼이 부족하였고, 재학기간 중 현장실습을 위한 필수과목인 인턴쉽은 늘어나고는 있었지만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갖춘 교육기관은 부재하였다.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의 미흡은 국내 문화예술단체나 기관의 인턴쉽 현황에서 마찬가지이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조차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은 곳이 더 많으며, 제공되는 곳은 대부분 전시관련시설로 집중되어 있다. 전시관련시설에서의 인턴쉽프로그램은 예술경영전공자에게 있어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는데, 이는 기관에서 지정하는 과목의 이수자만이 인턴쉽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특정기관과 특정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모마나 게티뮤지엄의 경우 인턴쉽프로그램은 대상별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었으며, 세분화되어 있었다. 전공분야와 무관하게 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따로 제공된다. 또한 유급인턴과 무급인턴이 나누어지며, 인턴에게 프로젝트와 연관시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기관(대학원)에서는 인턴쉽을 필수적으로 수료해야만 졸업이 가능하였다. 보스턴 대학의 경우 인턴쉽을 위해 지역 문화예술기관이나 단체와 산학연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인턴쉽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의 목록을 제공하였다. 학생은 지도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자기평가목록 작성)을 통해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있으며 학생과 학교, 해당기관 모두 철저한 책임과 의무가 부여되어 있어 인턴쉽프로그램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교육기관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할 주 항목은 ①인턴쉽의 목표설정, ②인턴대상 및 자격 요건 검토, ③대상기관선정 및 기준마련, ④인턴쉽 약정서 체결, ⑤인턴 교육, ⑥인턴파견, ⑦중간평가 및 기준마련, ⑧인턴최종평가 ⑨사후관리이다. 교육기관의 인턴쉽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교육의 지속적인 정착과 문화예술전문인력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활성화하여 수요공급에 따른 사각지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력자원 관리시스템을 통한 네트웍의 가시화는 인턴쉽, 정보공유의 차원을 넘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포럼, 세미나 등의 활동을 통해 전문인력센터로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턴쉽프로그램 체계적 운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입장에서 각각 살펴볼 수 있다. 교육기관은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높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현장과의 유연교육체제(Flexible Education System)를 구축할 수 있다.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을 통해 업무의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인력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요한 인재확보를 위한 기회가 된다. 정부는 교육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예술경영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인턴쉽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간의 협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교육기관은 현장이 요구하는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문화 예술 분야의 인턴쉽을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관계를 통한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은 단순히 예비인력의 현장실습 차원을 넘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Nowadays, there are more than 30 educational organizations of arts management and it is growing bigger as the request of our society. Therefore, we come to the need of a systematic solution of internships fo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arts management. Although our history of 'arts management' as a graduate school program is short, we were able to gain a quantitative growth but still must improve the quality in the future. There is still a lack of a curriculum which correctly projects the character of arts management. Although the 'internship'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for actual experience of the field, there were hardly any educational organizations providing an efficient operation system. The same problem of the lack of internship programs are found in other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also. Many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organizations don't have any internship programs, either. Even if they do, they are internship programs mostly related to exhibition facilities. Many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s management have problems in applying internship programs at exhibition facilities, since they limit it to people who have only qualified within the related subjects. In this paper, 1 have reviewed the cases of specified organizations and schools of the U S . MoMA or Getty Museum supply various internship programs which are specified to people from all types and majors. People may apply to internship programs that are nonrelated to their own majors, while there are separate internship programs for specialized majors. It is distinguished into 'unpaid intern' and 'paid intern',providing the interns many experiences related with the program. In most education organizations(ex. graduate schools), students must have the qualific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to finish the course. Boston University has founded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rporations and cultural & arts organizations, also preparing lists of cultural organizations which have installed internship programs. Students select their internship program through the consulting with their professor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they have the list which include their valuation). These internship programs tend to be successful, since students, schools and organizations have the entir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the perfect internship programs. The improvable points for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Korean education organizations based on the case review of U.S, are as below; ①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 for the internship programs, ② the examination of the intern and his qualifications, ③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organiza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④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for the internship program, ⑤ education program for the intern, ⑥ the dispatch of the intern, ⑦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for the midterm evaluation, ⑧ the final evaluation, ⑨ the management after comple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order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rnship program, the enti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founde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maintain a consistent actual education in raising professional crops of culture and arts, and in activating the demand-supply of professional artists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with it. Visual network based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raise an synergy effect b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beyond public information ownerships, making many forums and seminars and eventually becoming the center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ch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s may be reviewed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various education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The education organizations enable people to have the ability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also in founding the flexible education system through an effective program. The cultural & artistic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benefit from the internship program by not only receiving actual help from the interns but also reducing money in hiring people, and having the chance to ensure the appropriate people. The government may enhance the education policy to a more effective level, rais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of the art management field,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 artistic side. However, in order to operate more effective internship programs, the cooperation among the education organizations,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The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prepare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o supply the right people to the exact position, the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must provide the internship programs, an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id to the internship program of arts &culture.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through the rel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will be the beginning to mak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ield of the real society.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 연구

        장유진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helpe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realize the limitations of the market economy, inducing them to pay greater interest in the social economy or social enterprises and competitively conduct diversified activities in related areas both at the private and government level.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originated in Europe. It received great attention in the U.S. and later came under the spotlight in Korea. Korea began to institutionalize polic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immediatel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mid-2000s. This effort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to certify social enterprises in 2007. The system, implemen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 centered on direct support to certified enterprises in terms of labor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while inducing pducnerships between private businesses and local governments. As of 2010, the total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stands at 319. Only 29 of that number is taken up by those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 clear indication that social enterprises in the said area account for a fairly insignificant portion of all social enterprises in the country. The 29 certified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how a heavy dependence on government support in their overall expenditure. Most of those in the aforementioned sector have yet to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sustainable business, which raises concerns for their operation after government support is suspend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a direction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o this end, a study on the theor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present status thereof at home and abroad as well as into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in Korea. The study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present status of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 they receive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 direction was found in the process to draw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working-level professionals. In addi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s of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of exemplary domestic cases and to seek measures to apply such cases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proposals based o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hrough a study of related theories,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an analysis of successful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three perspectives are associated with policies and institutions, management within social enterprises as well as with external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proposal related to policies and institutions seeks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social enterprises by shifting the current direct support policy to a indirect support scheme and to expand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Another proposal requires social enterprises to make diversified efforts to secure necessary resources by vitalizing inter-business networks and establishing a revenue model. The last proposal seeks to improve external environment for social enterprises with greater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and partnerships with large corporations in terms of technology and managerial abilities. A close look at the contents of the proposals reveals that each of the proposal is linked with one another.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various entities including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itizens should form the basic framework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t is within this framework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o that they can firmly take root as a new area in the marke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gures out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both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in general. It aims to encourage wide-ranging research and approach on not only the area of culture and art, but also on various social enterprises. 2008년 말의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시장경제의 한계를 자각하게 된 각국의 정부들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또는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에 대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며 경쟁이라도 하듯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다각화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적기업은 미국에 이어 한국에까지 관심이 증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금융 위기 직후인 2000년대 중반에 사회적기업 관련 제도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의 2007년부터 노동부 주도 아래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기업 인증 제도는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연계를 유도하면서, 사회적기업에게 인건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는 직접지원의 형태를 주축으로 해왔다. 2010년까지 사회적기업 수는 총 319개를 나타내는데, 그 중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29개로 아직 전체 사회적기업에서 문화예술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인증된 29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도 전체 예산에서 지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은 아직도 지속경영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의 지원금이 중단된 이후의 기업운영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국내외 일반현황과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개념, 정부 및 지자체 지원과 일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결론 도출을 위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해외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모범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시각에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 국내외 사례분석 등의 조사방법을 통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으로 세 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정책 및 제도적 관점, 기업 내부 경영적 관점 그리고 외부 환경적 관점이다. 정책 및 제도적으로는, 현재의 직접지원을 간접지원으로 전환하여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육 및 홍보 등의 활동을 확대하여야 한다. 기업 내부적으로는, 기업간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고 수익모델을 구축하는 등 재원을 위한 다각화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적으로는,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확대와 대기업의 기술 및 경영능력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 세 가지 방향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서로 하나로 연결되는 개념이다. 정부-기업-시민 및 다양한 영역과의 소통과 교류가 기본바탕이 되고 그 안에서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새로운 시장영역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뿐만 아니라 예비사회적기업 전반에 걸쳐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문화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접근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파트너십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a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structure which increased leisure time of individual and brought economic growth. Thanks to physical fertility by economic growth, the level of living increased and people had desire on the quality of life besides basic life of cloth, meal and house. To achieve better quality of life,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As creativity is weighed high on the economic growth, the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became more significant. In line with social trend focusing on culture and art, culture and art are widely used in the marketing of the corporation such as experience marketing that combines products with culture and art, culture marketing that creates customers through communic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like music, art and movie with consumers and artmarketing that adds art to produc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Management paradigm of the corporation consider sustainable management, creation of shared value and innovation management together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ethics, environment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companies seeking corporate value. While companies use culture and art as a strategy for such change, due to the specialty of culture and art, it is not easy to secure culture and art resources. As an alternative, partnership relation with NGO, art organiz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made to share complementary key capacity for effective culture and art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partnership of culture and art activity of the corporation by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y type, the study proposed preparation to form positive partnership with culture and art group and various partners. For this purpose, theories on general partnership were examined and case study was made in the category of alliance, collaboration, governance and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and sponsor which are widely used in culture and art area. As for the case of alliance such as Gmarket, NEFS and YG Entertainment, mediating group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iance between the company and culture and art,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ercise capacity of the company. While there are cases of business plan to specific beneficiary, But the scope of benefit is wide to provide participants of a specific project. But, there was no sustainable of the project and most projects were one-time project. Collaboration of Hyundai Motor Company, Samsonite and Samsung Electronics have executed capacity of production and partner tomaximize synergy. Most companies had direct effect of sales increase. Also,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existing customers of partner through collaboration and the corporate brand image was increased by giving a new image to the existing image. Governance of Lotte Duty Free Shop and GS Caltex with local government has a large size in finance over other partnership, and it had great effect in job creation and cultural art infrastructure. The role of each subject in the partnership was clearly allocated. While companie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finance, local governments were for administrative part in the project and ARCON and NGOs planned specific items on the project.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by Seoul Mecenat, Artswork and C-Festival promoted by the mediating organization is performed by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having common objective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mediating organization wa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ypes. In this case, companies does not seek mutual profit nor share capacity, but formed network in one project to specify business area and to expand its size. While sponsoring on culture and art area has strong character of 'support', when the cases of GS Caltex,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nwha Group and Amore Pacific were examined, many companies sponsored the business of mediating organization or supported artistic groups or artists that were matched with mediating organization. And, they could progressed the business more effectively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partnership relation. Companies did not seek financial profit from sponsor, but sought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effective work performance by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on the companies. Companies could get effects from partnership such as expansion ofactivity size and scope, efficient link of resources, professionality of program, sustainable of business, creation of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securing new customers. Except for collaboration having numerical result as product sold-out, there was no data on accurate effect of collaboration. thus, no minute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was significant as it analyzed corporate culture and artistic activities by types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development plan.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culture and art development plan and partnership. 현대사회는 산업구조와 노동구조의 변화로 개인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가져온 물질적 풍요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식·주 의 기본적인 생활 외에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더 나은 삶 을 위한 삶의 질 문제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경제발전 의 원동력으로 창의성을 중요시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도 중요해져가 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을 중요시하는 사회적인 흐름 속에 기업의 마케팅 패러다 임도 제품과 문화예술을 접목해 제품을 인지시키는 체험 마케팅, 음악, 미 술, 영화 등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 객을 창출하는 문화 마케팅, 예술적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에 예술을 덧입히는 아트 마케팅 등 기업의 마케팅 전반에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도 지속가능경영, 공유가치 창출, 혁신경영 등 재정 적 이익 외에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 비재무성과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하 여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갖고, 기업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고 있지 만, 문화예술이 갖고 있는 전문성으로 인해 기업 내에서 문화예술 관련 자 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기관, 예술단체, 지 자체 등과 같은 외부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상호 보완적인 핵심역량 을 공유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을 파트너십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조 사하여, 각 유형별 파트너십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문 화예술단체 및 다양한 파트너들이 기업과 긍정적인 파트너 관계 형성을 위 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파트너십에 대한 이론들을 조사하였고, 문화예 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제휴, 콜라보레이션, 거버넌스,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 후원으로 유형을 나누어 사례 조사를 하였다. G마켓, 넵스, YG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과 문화예술과의 제휴에는 매개단체의 역할이 컸으며, 기업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는 기회가 많았다. 사업 목적을 정하고 그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수 혜가 갈 수 있도록 그 수혜대상의 범위가 넓었으나, 사업의 지속성이 있지 는 않았으며,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현대자동차, 쌤소나이트, 삼성전자의 콜라보레이션은 기업이 갖고 있는 제 품 제작 등의 역량과 파트너의 역량이 가장 잘 발휘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 대화되었고, 대부분의 기업은 매출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효과를 보았다. 또한 파트너가 갖고 있는 기존 고객을 새롭게 유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고,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된 제품을 통하여 기업의 기존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주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다. 롯데면세점, GS칼텍스가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거버넌스는 다른파트너십 유형 보다 가장 재정적인 규모가 컸으며, 지역의 일자리 창출, 문 화예술 인프라 조성 등에서 큰 효과가 있었다. 파트너십에 있어 각각의 주 체의 역할은 정확히 분담이 되어, 기업은 주로 재정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행정 관련 부분을, ARCON과 시민단체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템 등 을 기획하였다. 서울메세나 아츠워크와 C-페스티벌의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은 매개단체가 추진하는 하나의 공통된 목적에 뜻이 맞는 기업들이 참여하여 파트너를 이루는 구조로, 어떤 파트너십 유형보다 매개단체의 기능과 역할 이 가장 컸다. 이 경우 기업들은 서로 간의 이익을 바라거나 서로의 역량 을 공유하지는 않았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업의 분 야를 세분화하고, 규모를 확장시키는 형태로만 협력을 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의 후원은 일반적으로 ‘지원’의 의미가 강하나, GS칼텍스, 서울대학교병원, 한화그룹, 아모레퍼시픽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예술가들에게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다른 수혜대상에게 후원을 하는 구조로서 활동을 하였다. 매개단체를 통하여 매칭 된 예술단체나 예술가들과 파트너십을 갖고 후원 하는 경우가 많았고, 활동의 특성에 따라 전문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다. 기업은 후원을 통해 재정적인 이익을 바라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임직원들의 기업에 대한 만 족으로 인한 효과적인 업무 성과 창출 등 물질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활동 규모와 범위의 확장, 자원의 효율적 연계, 프로그램의 전문성, 사업의 지속성,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창출, 새 로운 고객 확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제품의 완판이라는 수치적 결과가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을 제외하고는 파트너십에 대한 정확한 효과에 대한 세부 자료가 없어 세밀한 분석이 이

      •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를 위한 경영평가지표 분석

        이혜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Undergoing catastroph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supply chain crises due to wars, ESG becam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significantly influencing not only corporations but also governments an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considered how to introduce and activate ESG for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in the context of survival. It especially categorized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to executive agencies, other public institutions, regional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and basic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based on their executive departments and applicable Acts, and quantified the proportion of ESG in th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to a score through analyzing the evaluated it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to improve management evaluation in relation to ESG activation by consulting the field experts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rough FGI. First, major concepts related to ESG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various examples of the current trend are introduced.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 the necessity to introduce ESG to culture and arts is suggest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for the activation of ESG. Third, the status quo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published by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s examined, and ESG classification indices are suggest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that presented ESG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order to select the indice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 that belong to ESG. Fourth, through FGI,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SG management, ESG evaluation process, and the ideal proportion of ESG in management evaluation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Fifth, the scores of the ESG proportion are calculated for two different years of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by four different typ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SG classification indices suggested earlier, and th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indice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activation of ESG management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the evaluated item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indices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rather than conducting a separate ESG evaluation. Furthermore, the management evaluation items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can be continuously analyzed and discussed through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her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ESG and potentially expanding this trend to individual artists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을 겪으며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고 기업을 넘어 각국의 정부, 공공 및 민간단체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해 ESG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성화 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공공문화예술기관을 관리부처와 근거법률 등을 바탕으로 책임운영기관, 기타공공기관, 광역자치단체 출연기관, 기조자치단체 출연기관으로 나누었고 경영평가편람 평가항목 분석을 통해 현재 경영평가 내 ESG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점수로 계량화시켰다. 또한 FGI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ESG활성화와 관련한 경영평가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ESG 관련 주요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현재 동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최근 동향을 통해 문화예술의 ESG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또한 ESG활성화를 위해 평가와 측정의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기존에 이뤄지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평가편람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기관과 문화예술기관의 ESG평가지표를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기존 경영평가 내 ESG에 해당되는 지표들을 선별하고자 ESG분류지표를 제시하였다. 넷째, FGI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ESG평가 진행방식, 경영평가 내 ESG의 이상적 비율 등의 내용 등에 대하여 인터뷰하였다. 다섯째, 각기 다른 유형의 네 곳의 문화예술기관의 각각 두 개의 다른 연도의 경영평가편람에서 ESG비중을 점수로 도출하였다. 이에 앞서 제시한 ESG분류지표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고 해당 지표의 배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 경영평가에서 이뤄지는 평가항목의 개선과 보완을 통한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별도의 ESG평가의 진행보다 기존 경영평가 평가항목을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의 개선을 이뤄가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지표를 통해 경영평가 평가항목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과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활성화가 이루어져 이런 추세가 민간예술인과 민간예술단체들로 확대 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 구성요소 연구

        진윤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examines how ESG management, a new paradigm for corporate growth, can be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reviewed how to apply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ESG managemen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how to construct evaluation indexes components applicable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se ESG evaluation indexes secures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self-sufficiency, and stability, and preemptively predicts crises and risk factors in the organization's operation.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ESG management were reviewed, and the case of SK holdings, a domestic company, was stud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ies for each core element. Second, based on the previously researched definition of ESG management and case analysis for each core element, the necessity of ESG manage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raised and the details of each core element were studied. Third, case studies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in practice, the environment-based theater operation case of the Pigfoot theater company in England was investigated. As another example, Samsung Cultural Foundation's ESG management cases and current statu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example is Academy Passion & Sha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S), a performance group with 25 members, was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of ESG 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stainable organizations and that it can help other companies realize ESG management. Fourth, the need for ESG evalu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studi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struct the ESG evaluation index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 cases of ESG evaluation index of general companies were first studied and analyzed. The corporate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analyzed in detail. The company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basic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as models. The specificity of ESG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studied, and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It is suggested that each cultural and organization itself select the weight and application pa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when evaluating each par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evaluation index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fair judgment criterion by using the constructed evaluation factors when deliberation of investment and support by companies and public support organizations. I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execute and evaluate ESG management using the index system and diagnosis items studied in the future, they can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and self-sufficiency based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market.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eading a sustainable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ESG경영을 어떤 방식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업의 ESG경영의 핵심요소를 문화예술 단체에 적용하고 국내기업의 ESG경영지표와 K-ESG평가지표 모델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단체의 경쟁력, 자생력, 안정성을 확보하고 단체 운영의 위기와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이 일반기업과 기관들의 ESG경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의 대안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이론적 배경으로 ESG경영의 정의 및 핵심요소를 살펴보고 각 핵심요소별 기업의 ESG경영 사례분석으로 국내기업 SK주식회사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된 ESG경영의 정의 및 각 핵심요소별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각 핵심요소별 세부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ESG경영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국외 사례로 영국 피그풋 시어터(Pigfoot theatre company)의 환경에 기반 한 극장운영사례를 조사하였고 국내사례로 삼성문화재단의 ESG경영사례 및 현황을 연구 분석 하였다. 25인 규모의 연주단체인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이하APS)의 운영상황을 ESG경영의 핵심요소 별로 분석하였다. 시사점으로 ESG경영이 지속가능한 단체의 운영을 현실화 시키는데 중요한 경영방식 이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의 특성상 레퍼토리의 구성, 지역기업과의 파트너 쉽 형성 등이 다른 기업의 ESG경영 실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의 필요성과 평가지표 기능 및 지표 구성요소를 연구 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기능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구성을 위하여 먼저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 중견중소기업 기본 진단항목을 모델로 삼았다. 문화예술단체 ESG경영관련 특수성을 연구하고,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대표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을 감안한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해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문화예술단체의 특수성에 맞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각 부분 평가 시 모든 문화예술단체의 단체별 특수성을 고려해 가중치 및 적용부분은 단체 스스로 선택할 것을 제안 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성된 된 평가지표는 사회공헌에 관심 있는 기업 및 공공지원 단체에서 투자 및 지원 심의 시 구성된 평가요소를 활용 하여 공정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된 지표체계와 진단항목을 이용하여 문화예술단체가 ESG경영을 실행하고 평가한다면 시장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술경영 측면에서 본 전통음악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화선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는 지금 21C 문화의 경쟁시대에 살고 있다. 더구나 우리들은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구촌 시대에 살면서, 미국문화와 같은 커다란 문화권에 휩쓸리는가 하면, 반면에 자기나라의 고유문화를 지켜 나가려고 한다. 한국의 고유문화를 상징하는 전통음악도 우리가 지키고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우리의 전통음악을 아끼고 사랑하는 많은 수요자의 확보와 침체되어 있는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키고 확산시킬 전문경영인이 있어야 한다. 전통음악은 한국인의 독창성, 고유성, 동질성, 민족성을 나타내고 한국인의 정서를 표현하는 특징과 이것을 보존, 보급하고 발전시켜야 할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통음악의 특징과 중요성에 비추어, 전통음악의 개념을 정리하고 예술경영측면에서 본 전통음악 경영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그 특수성을 중요시하였다. 현재와 같은 예술경영이란 체계적인 학문 없이도 전통음악과 관련된 사회교육기관이나 단체들이 현장에서는 어떻게 운영되었으며, 공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전통음악 보급을 위한 일반 수요자를 대상으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한 역사성을 시대별로 고찰하였다. 전통음악의 사회교육개념과 그 필요성을 제시했고, 지금 당면하고 있는 전통음악 사회교육기관의 예술경영환경을 열거하였다. 그리고 전통음악 사회교육은 평생교육차원에서 일반인 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육의 범주로 설정했으며, 경영학적 개념으로 수요와 공급의 차원에서 수요자 확대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사업목적이 비슷한 전통음악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몇 개의 전통예술단체와 전통음악 사회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대상은 공급자인 정부의 정책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및 국립단체, 기업의 문화센터 운영 및 사단법인과 민간운영단체를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 단체에서 운영하는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정책 및 교육내용을 분석했다. 특히 대부분 전통음악단체의 미션인 전통음악보존과 보급 및 계승, 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운영, 관객개발을 위한 수요층 확보, 후진 양성 등 단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유형별로 선정한 단체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수요자 분석은 문헌과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예술단체의 설문결과와 인터뷰를 통하여 수요자의 요구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종합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음악의 활성화를 위한 전통음악 사회교육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객개발 차원의 수요자 확보, 학교 교육과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과의 연계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경영자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도 하고 감퇴시키기도 하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영방법 및 연구개선 할 수 있는 능력과 전통음악의 특수성에 밝은 전문경영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전통음악의 활성화와 전통음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마케팅, 홍보, 펀드레이징 등 예술경영기법의 도입과 전통음악 사회교육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관심과 예산확충을 위한 정책적인 배려를 제시했다.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e era of the global village with cultural competition and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dividual cultures strive to preserve themselves despite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n order for Korean culture and art to thrive in the global market, Korea needs professional art managers who can devote themselves to studying and developing Koreas traditional arts, and to promoting an appreciation of these arts among the public. This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usic cannot be further developed without revitalizing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professional arts management. Traditional music represents the Korean peoples originality, uniqueness and ethnicity as well as serves as a venue for the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These qualit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have motivated this thesis, which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and introduces a new concept of traditional music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management. Furthermore, an investigation is made of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music education programs before the systematic discipline of arts management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 the realization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the public in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a listing of the conditions and realities facing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s they manage their programs. This listing underscores the need to seek methods of expan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music to a wider audience. In support of this theory, eight traditional arts organizations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offer traditional music programs to the public, were selected from among government-supported agencies, government agencies, national organizations, foundations, corpora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n, the procedures used to operate these programs were analyz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lanning, polici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Many traditional music institutions implement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are intended to preserve, promote and develop traditional music, to encourage a larger audience, and to train followers of traditional music. Each institution has its own ideas of how to best implement programs that achieve these goals, and these ideas are examined. Moreover, the problems and shortfalls faced by these programs are discussed,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revitalizing the programs. An analysis of applicants to these programs was then made, mainly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most requested program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traditional music needs to be invigorated by expanding and developing cultural education programs which attract more people. Furtherm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train arts management experts in order to implement and maintain these programs effectivel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one of these programs depends heavily on its managers ability to implement and improve such programs, and so those managers must be capable of developing and revising effective programs and be knowledgeable about the unique character of traditional music. Toward this goal, it is proposed that a department of traditional arts management be established. However any such effort to revitalize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must have government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