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학생의 영어 의사 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 방안 연구 : 게임 활동을 중심으로

        이종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초등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의 목적은 영어의 기본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의 목적으로 초등 학생의 의사 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의사 소통 능력이란, 실제 상황에서 원어민과 적절하게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 연구 대상이 된 초등 학교 4학년에게는 음성 언어 중심으로 지도를 하고, 수업 시간에 다양한 게임을 활용하여 활동적인 수업이 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게임에 여러 가지 교수법들을 적용시켜 학생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력하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의사 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전신 반응 교수법, 의사 소통 언어 교수법 등과 다양한 게임들이 이 논문에서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초등 학생들에게 커다란 효과를 발휘했다. 특히 전선 반응 교수법은 연구한 바와 같이,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아주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하고 흥미 있는 게임 활동을 이용한 교수 기법은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시켰고, 또한 영어를 배우려는 욕구를 계속 지속시킬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은 게임을 하면서 영어 공부하는 것을 매우 즐겨했으며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 상황 등에 대해 강한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 교육의 목적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과 함께 수업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영어 교실에서 학습 조언자,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들의 수준에 적절한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끝임 없이 훌륭한 교수 방법을 개발해내고 늘 수업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초등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이 형식보다는 의미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하며, 수업 시간에 어법보다는 언어의 실제 사용에, 문장의 구조보다는 담화에,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초점을 두고 영어 교육에 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미있는 게임을 수업에 활용한다면 학습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게임을 적용할 때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게임 선택과 교사의 철저한 수업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게임 활동을 적용한 수업은 다양성을 부여하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여 영어 수업 시간을 보다 더 흥미롭고 즐거운 시간으로 느끼게 해줄 것이다.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to improve th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ng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s appropriately in real sit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ach 4th graders while stressing phonetic language and to lead an active English class using various and interesting games. Total Physical Respons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various games which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s the methods aiming to increas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had great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otal Physical Response was a teaching method which was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teaching method, through various and interesting game activities, aroused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and maintained their desire to learn English. Children enjoyed studying English by playing games, and had very strong curiosity and interest in objects, people and situations around them.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s to learn four communicative functions, that i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nglish teacher should be a participant with students, a learning counselor, and a controller in the English classroom. The learning substances and materials prepared by a teacher should be interesting to the students and suitable for the students' level. Therefore, English teachers should develop good teaching methods consistently and prepare for English class thoroughly. In conclusion,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meaning than the form, and to emphasize the use of language rather than usage, discourse rather than sentence structures, and fluency rather than accuracy. If English teachers use interesting games in clas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effect of learning can be great. When teachers use games, they should choose games which are appropriate to learners' level and prepare for the games completely. The English class in which game activities are applied has variety and stimulates the learners' interest. Therefore, games make the learners feel that the English class is a more exciting and enjoyable time.

      •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박수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육의 목표는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영어가 도입된 이유 역시 영어를 배움으로써 세계의 흐름에 동참하고 질 높은 삶과 문화를 누리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과 더불어 영어에 대한 친밀감과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의 교육 환경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학급이 다인수 과밀학급인 관계로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영어 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정의적 발달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학습 동기 및 흥미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가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은 말하기-듣기 기능에 기초한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가?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은 초등학생의 영어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및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가? 셋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은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S시의 S초등학교 4학년 11개 학급 중에서 능력 동질 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급을 협동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으로 구분하고 매주 2시간씩 총 8개월에 걸쳐 각 학습방법에 따라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도구로는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지, 영어 듣기 능력 평가지, 학습 동기 및 흥미도 검사 설문지, 교우관계 검사 설문지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는 spss/pc^+(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실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를 공부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의사소통 능력 면에서 높은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협동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은 영어 학습 동기 및 흥미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협동학습 도입 후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흥미도 평균 점수가 다소 높아졌으며 이후에도 꾸준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협동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은 교우관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협동학습 집단이 인간관계 형성과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 더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은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교우관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의사소통 능력 면에서는 더욱 주목할 만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 학습 동기와 흥미도 측면에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영어 학습 방법을 재미있게 여기며 자신들이 학습에 참여할 기회가 많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교육은 다인수 학급의 한계로 인한 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협동학습의 기법들이 개발되고 보급될 필요가 있다. The aims of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periods. The reasons of introducing English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e to take up the world trends, and to enjoy high standard of quality in life and culture. So, it is a major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establish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familiarty and interest in English. Most of classes in Korea, however, are overcrowded classes and they have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 so many problems have been discovered i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affective factors. In order to reduce these problems to the minimum, the researcher applied cooperative English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ver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English learning on the communicativecompetencein English and affectivefactors(motivation, interests in English learning and friend-ma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 First, would English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be effectiv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econd, would English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be effectiv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in English learning? Third, would English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be effectiv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iend-making?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90 4th grade students selected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The subjects were pretested before experiment,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mparing group general learning group). The lessons were given two hours a week according to differentiated method, and the term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8 month from March to October.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speaking ability test, listening ability test, learning motivation & interest survey and friend-making survey were used and their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group t-test using spss/pc+(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operative English learning group and general English learning group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ho learned English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progressed a lo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operative English learning group and general English learning group on the motivation & interests in English learning. But they got much enjoyment in their learning methods than general learning group and they showed steady progress since cooperative learning was introduced.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operative English learning group and general English learning group on the friend-making. They showed positive effectiveness in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 development. In conclusion, English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s very effectiv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in English andaffective factors. It can solve problems due to overcrowded class, so cooperative learning is worthwhile to introduce in English classrooms. Consequently, researches concerned with English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must be widely perform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such movement will be able to actualize the English classrooms more efficiently.

      •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분석

        공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영어교육의 역사의 핵심인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awareness)을 알아보고 맥락에 따른 정책 반영실태를 분석하여 영어교육정책 내실화를 위한 정책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사들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를 고려하고 Baldauf와 Kaplan(2003)의 언어교육정책 분석틀을 활용하여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 전반, 원어민 보조 교사, 원어민 화상 영어, 영어로 하는 영어수 업(TEE), 영어체험교실 5가지를 대상 정책으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은 설문 연구와 면담 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로 진행되었다. 설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알아보았으 며, 전국의 35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초등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 5가지 의사소통능력 중심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와 태도, 초등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정책에 대한 이해와 태도, 이해와 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면담 연구에서는 맥락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 책에 대한 인식과 반영을 알아보았다. 심층 면담은 설문 연구 대상자 중 전국 의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설문지 연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인식의 이유와 정책 반영 실태를 알아보고, 지역요인, 교사요인, 학생 요인, 정책요인 등 다양한 맥락적 원인에 따라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면담 연구 자료 분석은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혼합연구 결과와 종합 논의에 의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설문 연구 결과 첫째,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교사의 이해 가 태도보다 높았다. 둘째,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의 이해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은 영어지도 경험 여부, 영어교육 경력기간, 영어교 육 전공여부, 학교소재지 순이었다. 셋째, 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정책에 대한 태도와는 관련성이 떨어졌다. 넷째, 이해와 태도가 가장 낮은 정책은 원 어민 화상영어였다. 다섯째, 모든 정책은 이해와 태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면담연구 결과 첫째,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 인식과 반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맥락은 학교 소재지였다. 대체적으로 도시 지역은 정책 인식이 긍정 적이었으며 순응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농산어촌은 정책 인식이 부정적이었으며 대체적으로 불순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 소재지에 따른 영어 격차 (English divide)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책 불순응의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관 련 불순응, 자원 관련 불순응 및 언어교육정책 행정의 부실, 정책 신념 관련 불순응, 행위 관련 불순응, 권위 관련 불순응,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 정책과 EFL 환경의 불일치, 평가와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의 불일치, 본래의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는 초등영어교과전담제도가 있었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지는 요인은 권위 관련 불순응, CLT 정책과 EFL 환경의 불일치였다. 셋째, 현장 교사들이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 불순응을 극복하고 있는 방법은 교사의 노력과 전문성, 교육과정 재구성 등으로 교사 요인이 가장 중 요하였다. 설문연구와 면담연구 결과의 공통사항은 첫째, 한국학생들에게 가장 필요 한 실용영어 능력은 유창성 중심의 의사소통능력과 총체적 언어능력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인식과 반영이 가장 낮았던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정책은 영어 소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원어민 화상 영어였다. 셋째, 전반적으로 이 해에 비해 태도가 낮았다. 넷째, 이해와 태도의 차이가 가장 컸던 정책은 TEE 와 원어민 보조교사로 그 원인은 두 정책이 EFL 영어교육환경과 가장 상충되 기 때문이다. 다섯째, 가장 많은 교사들이 원하는 의사소통능력중심 영어교육 정책 개선 방안은 맥락 중심 접근법(Context approach)이었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 음과 같다. 정책적 제언은 첫째,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정의적인 동기를 증 진시켜야 한다. 둘째, 초등영어교과전담제도를 실효성있게 개선해야 한다. 셋 째, 영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책임교육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실용영어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EFL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영어 교육정책을 개발 및 적용해야 한다. 다섯째, 맥락 중심 접근법(Context approach)을 적용하여 정책실행자인 교사가 학생, 지역 상황에 따라 적합한 교수법, 정책 등을 결정하도록 한다. 후속 영어교육정책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과교육정 책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영어교육전문가들에 의한 영어교육정책 연구 를 바탕으로 현장, 대학, 행정기관이 소통하여 정책을 결정 및 집행해야 할 것 이다. 둘째, 좀 더 세심한 층화표집을 바탕으로 한 영어교육정책 교사 인식 연 구가 필요하다. 셋째, 더 다양한 지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FGI, 사례 연 구, 학교 단위의 참여관찰 등 좀 더 심도 있는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 화상수업을 통한 고등학생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Hamilton Secondary College와의 상호작용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유경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need for classes with live videoconferenc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widesprea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urse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based English learning to improve high school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ross-cultural interaction. My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three groups of high school students (N=86) who experienced different class settings (Group A: class with live videoconference with Australian teacher and an Australian students/Group B: class with live videoconference with an Australian teacher/Group C: class in the usual classroom setting) for 10 weeks. After the 10-week period, questionnaires on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 and a face-to-face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videoconferencing.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Group A achieved the most effective result in the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Test in English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Group A and Group B both showed improvements in the receptive skills and productive skills, but Group A showed more improvement. This showed that the direct interaction with the Australian teacher and Australian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lts. Since learners of group A achieved better results on their post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Test, it is true that cross-cultural videoconferencing can be an effective way in learning English. Secondly, the results from the student's affective questionnaires have demonstrated that videoconferenc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ultural awareness, confidence, motivation, and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Thirdly, there is strong evidence that videoconferencing enabled Korean students to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nd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through peer interaction with Australian students. Korean students were provided with authentic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in videoconferencing facilities and this English input and output improved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studen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Australian accents and pronunciations;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and allowed time to adjust to various English accents and pronunciatio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 people. Also, there were time delay and connection errors in the system, so upon solving these setbacks, the videoconferencing class that class A had could be an effective English teaching model in an actual school environment. In answering the general research questions, three classes all show academic improvements on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Test. Specifically, the live videoconferenc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Group A. Second,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lass with live videoconferencing had positive with regards to the affective factors pertaining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re is evidence that videoconferencing has advantages in learning English and raising cultural awarenes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 demonstrated some important features and proved that videoconferencing is effective for enhancing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affective factors. The cross-cultural videoconferencing program should be adop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as a tool for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reating awareness of various cultures. The videoconferencing program, when integrated with an international exchange with schools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would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various cultures in the global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의 화상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수업을 실시한 경기도 소재 A 고등학교의 심화반 3학급의 8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호주문화와 문학을 주제로 10주간 1주일에 1회 90분간의 수업이 이루어졌다.A 학급과 B 학급의 경우 화상수업을 실시하여 A 학급의 경우에는 화상수업에 호주 교사와 호주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여 교사 뿐 아니라 학생들과도 상호작용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였고, B 학급의 경우에는 호주 학생들의 참여 없이 호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C 학급의 경우에는 같은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한국인 교사가 일반 교실 수업 환경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본 연구는 양적 및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을 위해 본 연구는 영어의사소통능력인증시험과 설문을 사용하였다. 한편, 질적 연구를 위하여 인터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Nvivo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화상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테스트로 경기도 영어의사소통능력인증시험을 사용하였다. 사전,사후테스트를 통해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 정도를 살펴보고, 정의적 영역에 관한 설문지와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화상수업을 활용한 영어 학습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인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영역에서 A 학급의 점수 향상의 폭이 가장 컸다. 이는 호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화상수업이 제일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반면, 어휘, 어법 유형은 세 학급 중 전형적인 한국교실과 비슷한 상황에서 수업을 진행한 C 학급의 결과가 가장 향상되었다.세 학급 모두 사전 영어의사소통능력평가 총점에 비해서 사후의 영어의사소통능력평가 총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향상정도는 A 학급> C 학급> B 학급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 수용적 영역(receptive skills)인 듣기와 읽기 영역은 화상수업을 한 A 학급과 B 학급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특히 호주 교사 및 호주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화상수업을 받은 A 학급이 더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쓰기 영역의 생산적 기능(productive skills)의 점수는 A 학급의 수업방식에 의해서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수용적 영역인 듣기, 읽기 영역과 마찬가지로 A 학급이 받은 화상수업이 가장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화상수업 실험설계에 참가한 A 학급과 B 학급의 학생들에게 ‘화상수업의 효과성, 화상수업이 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호주에 대한 문화 인식, 호주 원어민 교사에 대한 만족도, 화상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특히 A 학급에서 호주 학생들과 화상수업을 하면서 한국 학생들의 정의적 여과장치가 낮아졌고, 흥미가 유발되었으며, 자신감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이 감소되었으며, 화상수업에 참가한 학습자들이 호주 문화를 이해하고, 호주 원어민 교사와 화상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그룹토의 인터뷰 결과 외국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화상수업은 호주 단위학교와의 국제교류를 가능하게 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호주 문화를 체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교사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정의적 영역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는 곧 계속되는 영어 입력과 출력으로 이어져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다. 우수한 시스템과 시설 속에서 학생들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영어사용기회를 제공받았으며 이러한 장점은 화상수업이 영어교육에 활용되었을 때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호주영어의 발음이나 억양의 차이점과 같은 단점은 충분한 영어입력이 있으면 극복이 가능하다고 본다. 또 다른 단점인 시스템의 연결 에러와 느린 반응 속도는 계속되는 기술의 발전으로 보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원어민 교사 뿐 아니라 외국인 학생들과도 상호작용하는 A 학급과 같은 화상수업 방식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영어 교수학습모델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연구 결과 화상수업을 통해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에 두드러진 향상이 일어났고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화상수업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효과적인 화상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상수업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로 이러한 화상수업을 공교육에 도입하고 지로 화상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양상 및 학생의 의사소통 의지 분석

        권혜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와 발화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Pearson r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생 영어 발화 횟수와 영어 의사소통 의지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 중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과 과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 주체 중 학생이 전체 발화의 과반수의 발화 비율을 차지하였다. 교사의 발화 언어는 모국어가 가장 많았고, 학생의 발화 언어는 대부분 영어였다. 교사가 영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은 대부분 영어로 답변하였으며, 교사가 영어+모국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은 무반응이 가장 많았고, 교사가 모국어로 질문하였을 때는 모국어로 답변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사의 질문 유형은 대부분 전시형 질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학생의 영어 발화 횟수와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 점수 간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업 중 드러나는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이 개인의 기질적 특성의 발현임인 동시에 여러 교실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온라인 수업의 기술적 한계로 인한 소통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대상, 흥미도, 자신감이라는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 개인당 발화 횟수는 교사의 발화 횟수와 비교하였을 때 훨씬 적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기술적인 문제와 정적인 학습 활동으로 인한 집중력 및 흥미도 저하 등으로 인해 학생들이 대면 수업에서보다 온라인 수업에서 발화를 적게 시도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의 발화 중 절반 이상이 모국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영어로 질문하였을 때 학생의 반응 횟수가 가장 높았고, 반응 언어 비율도 영어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영어 질문이 학생의 참여를 높이는 데에 필수적임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의 영어 발화는 교사-학생 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타나기보다는 따라 말하기 등의 패턴 연습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참조형 질문보다는 전시형 질문이 교사의 질문 유형의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도 교사-학생 간 실제적인 의사소통 과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의지 점수와 영어 발화 횟수 간 중간 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는 교실 상황 속 학생의 영어 발화에 영향을 끼치는 개인적 및 상황적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의 발화 시도를 높이고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영어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사진숙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se days the English teaching is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the linguistic competence as well a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real situations. According to this trend, the seventh curriculum started in 2001 is emphasized English teaching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student-base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program rather than accuracy-based. But until now, the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eaching method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have not been studied m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s of ideal language teaching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skills. Therefore, I researche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mmunicational improvement, collected data in the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zed how the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are conducted for improving learner's English speaking skill through dialogues by means of questionnaire As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found, many teachers believe English class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fluency and language use for communicative skills. However, even though they feel the necessity in their existing teaching methods, they do not apply and use communicative methods in their own. Therefore, their classes are for the most part teacher-dominated. English teachers are of the opinion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for better English teaching and they need training related to teaching speaking skills. Second, the various methods and activities to give an interest the students of language teaching according to learners' level were shown to be insufficient. For example, the step of introduction only consisted of simple greetings and confirming the last class(6.6%) and the rest of class mainly consisted of development and practice steps(50%). Third, the result of classroom observation is that teachers have to select the best way to elevat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such as free talking based on dialogue, role play, information gap activity, making a dialogue, etc and the traditional activity such as grammar explanation, Phrases drill, interpretation are not good way for fluency. In summary, the teachers' perception research and observation in the classroom help us recognize that the current English teaching skills needs to change. Therefore, teachers have to apply the various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 and injection methods which are tried not by teacher-based, but by activity-based and task-based learning. Along with these, when the teachers study teaching skills constantly supplied the information of applicable methods in the classroom and teachers' efforts for their own quality improvement are increased, th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students will also be improved.

      • 모둠 구성 방법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규연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learner grouping types on Willingness to Communicate(WTC)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group size and gender effects on WTC in terms of communication anxiety,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learning responsibility, and learner belief, and compares interactions among group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WTC depending on the group siz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WTC depending on the gender? Third, is there an interaction on the effects of WTC depending on group size and gender? For these purposes, experimental English lessons were carried out in 6th grade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order to exclude the personal preference of grouping types, this study took a ‘Counter-balanced model’. The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divisions only concerning group size and gender: gender-homogeneous groups of either two or four students, and gender-heterogeneous groups of either two or four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WTC questionnaire, learning journals recorded by the students, participant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WTC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parts: communication anxiety,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learning responsibility and learner belief. They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the two-way ANOVA tool. Learning journals, participant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were also analyzed qualitatively as well.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group size effects on WT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xiety based on group size.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articipants’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learner responsibility, and learner belief.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er belief were higher in groups of four than two. However, learner responsibility was higher in groups of two than four.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when group size is four, the responsibility appeared to be distributed. Seco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gender effects on WTC.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mmunication anxiety, the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er belief depending on the gender composition. Learning responsibilities, on the other h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gender composition. In communication activities, learners experienced lower communication anxiety, when they participated in gender-homogeneous group. Also,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higher in gender-homogeneous group than in gender-heterogeneous group. Besides, students had more positive learner belief in gender-homogeneous group than gender-heterogeneous group. Third, interaction effect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group size and gender were found. Student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 communication anxiety when participating in communicative activities with two or four in gender-homogeneous group.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communicated comfortably in a group composed of same gend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size and gender composition. In the group activities, the learner's 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responsibilities were higher in the two gender-homogeneous group and the four gender-heterogeneous group. And it was found that learner belief was better in the gender-homogeneous groups of four and the gender-heterogeneous groups of fou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effects of WTC could be maximiz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group size and gender. The present study also advises instructors to be more aware of the possible independent variables on learner grouping types when implemen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본 연구는 집단 크기 및 학습자 성별 구성에 따른 모둠 구성 방법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는 집단 크기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는 집단 내 학습자의 성별 구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는 집단 크기와 학습자 성별 구성에 따라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가? 위의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 D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인 총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크기와 집단 내 학습자 성별 구성을 다르게 구성하여 의사소통 활동 중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은 역균형 모형을 적용하여 4차시씩 주기 1과 주기 2로 나누고 차시별로 집단 크기와 성별을 다르게 구성하였다. 집단 크기는 2인 모둠과 4인 모둠으로 분류하였으며, 성별 구성은 혼성 모둠과 동성 모둠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2인 동성 모둠, 2인 혼성 모둠, 4인 동성 모둠, 4인 혼성 모둠의 네 가지 모둠 구성 방법으로 범주화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모둠 구성 시 집단 크기와 성별 구성 이외의 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제비뽑기를 통해 무작위로 모둠을 선정하였다. 모둠 구성 방법에 따른 실험 수업 종료 후, 의사소통의지 설문지, 학습 소감문, 수업 관찰, 학습자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의사소통의지 설문 결과는 통계 프로그램인 i-STATistics를 활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사소통의지 변화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학습 소감문, 교사의 수업 관찰, 학습자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크기에 따른 의사소통의지를 비교한 결과 의사소통 불안은 집단 크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자각 의사소통 능력과 학습 책임감, 학습자 신념은 모두 집단 크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각 의사소통 능력과 학습자 신념은 집단 크기가 4인인 경우에 2인인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책임감은 2인 모둠이 4인 모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크기가 커질 경우 책임감이 분산되는 것으로 추론된다. 둘째, 학습자 성별 구성에 따른 의사소통의지를 비교한 결과 의사소통 불안, 자각 의사소통 능력, 학습자 신념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반면에 학습 책임감은 학습자 성별 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들은 동성으로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할 때 혼성 모둠에 비해 낮은 의사소통 불안을 경험하였다. 학습자의 자각 의사소통 능력은 동성 모둠이 혼성 모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신념은 동성 모둠이 혼성 모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동성으로 구성된 모둠에서 소집단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는 집단 크기 및 성별 구성에 따라 상호작용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먼저 의사소통 불안은 집단 크기 및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2인 동성 및 4인 동성으로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할 때 비교적 낮은 의사소통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들이 동성으로 구성된 모둠에서 편안하게 의사소통하였음을 의미한다. 자각 의사소통 능력은 집단 크기와 성별 구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둠 활동 시 학습자의 자각 의사소통 능력은 2인 동성 모둠과 4인 혼성 모둠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책임감은 집단 크기와 성별 구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 결과 2인 동성 모둠과 4인 혼성 모둠에서 학습자의 학습 책임감이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자 신념은 집단 크기 및 학습자 성별 구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4인 동성 모둠인 경우와 4인 혼성 모둠에서 의사소통 활동을 보다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이는 의사소통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모둠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집단 크기 및 학습자 성별 구성에 따라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양적으로 분석하고 질적 자료를 활용하여 그 원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모둠 구성 방법과 같은 학습 환경에 영향을 받는 상황적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사는 모둠 구성 방법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에 끼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중학교 영어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연구 : 영어 노래 지도와 흥미도를 중심으로

        최순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 노래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신장시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2장에서는 의사 소통 능력에 대한 기본 이론과 Direct Method에 관한 기본 이론 및 노래 활동 학습의 지도 유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영어 노래를 교실 상황에 활용하여 광주 비아중학교 2학년 4개반 187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고 현재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주)천재교육 Middle School English 2의 <Dialog> 대화문을 채택하였다. 실험 수행은 학생들을 각각 실험 집단 2반과 비교 집단 2반으로 나누어 추진 하였는데 실험 집단은 영어 노래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시청각 자료와 교실 영어를 기본으로 하는 외국어 습득의 학습 방법인 Direct Method에 의한 반복적인 대화 연습에 중점을 두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영어로 표현하는 데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고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증대되었다. 즉, 영어 노래를 활용한 교수 학습 활동은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 집단의 듣기 이해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폭을 보인다. 셋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영어 성취도 평가에서도 높은 접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여타의 결과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영어 노래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실시하면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은 우리 나라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영어 노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노래의 선별과 그 자료를 교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영어 노래 자료 중에서 우리 교육 목적에 맞고 또한 학습자의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면서 수업 시간 중에 학습한 표현들을 활용할 수 있는 노래를 선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둘째, 영어 노래를 활용하는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 환경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녹음기, 컴퓨터, 그리고 뮤직 비디오 등을 상영할 수 있는 시청각 기자재가 확보되어진 영어 전담 교실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영어 노래를 통한 학습은 지루하고 답답한 교과서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즐겁고 활기찬, 이른바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여 즐기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이다. 다시 말해 여러 가지 음악적 요소를 도입한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우리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영어 노래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다양한 실험 연구와 영어 노래를 활용한 의사 소통에 접근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가 요청되며 교사들이 영어 노래를 활용하여 즐겁고 생동감 있는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o increas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through English songs. For this purpose, different teaching-learning procedures, the lessons with the use of VCR materials and sufficient classroom English and the lessons with the use of English songs, were designed with 187 of the secon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Kwangju area. In the lessons with the use of VCR materials and sufficient classroom English, teachers played videos and tape recorders. The students followed the teacher's instruction spoken in English. In the lessons with the use of English songs, students practiced singing songs and reviewed what they had studied through the whole lesson. Several methods were used teacher observation evaluation, students' self-evaluation, the questionnaires,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he students' reaction to the class. Changes in the interest levels and attitudes of students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of these various evaluations were analyzed and several conclusions were reached as below: First, in the classes making use of English songs, students learned songs. Students didn't do mimic drills or repetition drills, but they participated in meaningful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increased their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They developed a motivation to learn songs.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English songs contributed to develop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o study English. Third, analyses of the data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glish songs can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positively affect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Give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develop various methods and techniques of using English songs in their English classes.

      • 실생활 중심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아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 방안 연구

        문영희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 Study on Improving Communicative Ability for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in Primary School by Using the Conversational English Program Moon Young He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motivate students who lost their interest in studying English. In other words, it is to help students experiencing an academic slump in learning English by using a conversational English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1 contains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Chapter 2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hapter 3 describe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Chapter 4 is the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of this study. I applied the following teaching methods in my English class: First, I taught conversational English expressions using a conversational English textbook to the students at the start of each lesson. In the next class, the students were given the chance to practice the dialogue and to mix the expressions they’ve learned in a conversation. Also, I appli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English play to teach conversational English. We had pre-and post-listening tests and two sessions of English interviews in order to check the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the tests, I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1)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with low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can gain confidence in English through the conversational English program. (2) English play has an effect of stimulating interest and curiosity in English class for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with low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3)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with low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can open their eyes and ears to pronunciation and expression through English play activity. (4) Using the conversational English expressions can help educationally retarded children with low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mprove their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