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 조사

        채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영아보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적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영아보육시설이 양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영아보육 프로그램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에 있다. 영아의 발달에 적절한 보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아의 부모들의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와 인식을 다각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은 어떠한가? 총 4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영아 보육프로=1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시설을 도시 30곳, 농촌 25곳 총 55개시설의 어머니 274명을 무선 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 된 연구 자료는 χ^(2)-검증을 통해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하원 및 보육시간에 대하여 등원시간은 8:30-9:30사이, 하원시간은3-5시, 시간제 보육은 어머니가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등·하원 할 수 있는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보육료는 11-l5만원이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가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집 근처에 위치한 보육시설 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교사대 영아의 비율은 12개월 미만의 경우 1:3, 24개월 미만은 1:4, 36개월 미만은 1:6으로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간식 점심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더 개선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구·펑은 영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체지도는 칭찬 및 유도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언어지도는 기본적인 의사표현 지도에 가장 많은 요구도를 보였다. 또한 생활지도에 있어서 배변지도는 배변 의사표현 능력을 지도해줄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수면시각은 0-12개월의 영아의 경우 약 3시간. 13-24개월의 경우는 약 2시간, 25-36개월의 경우는 약 1시간 30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비상구 옆에 위치한 수면실과 청결하고 안전한 놀이공간, 발달단계에 적절한 놀이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에 대해서는 2-3년 교육경력이 있는 기혼인 교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은 부모의 역할과 양육에 대한것으로 1년에 2회 실시할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양육에 대하 여는 응답자의 절반정도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을 조사한 본 연구결과는 영아 보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By the increase of demand on the infant nurture and educational interest it is on the extension of infant nursery facilities. But, the development of infant nursery program related to it is insufficient relatively. For accomplishing the nursery problem proper to the development of infant, it needs to reflect the demand of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paren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degree of demand by the mothers for the infant nursery Program multilaterally. The research questions determined above are as follow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district, achievement, age, the existence of employment, and the gross income in their homes?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otal 47 items, and investigated the mothers,'demand and recognition of infant nursery program. As for the object of research, it was divided into the urban areas and rural areas in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it selected 274 mothers in the total 55 facilities, 30 urban areas(Gwangju) and 25 rural areas(Jeonnanl) where it executed the stratified sampling for the facilities with the infants with random sampling As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above, it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he variable through t-tes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s for the nursery hours in attendance and close, the attendance hours are between 8:30 and 9:30, and the close hours are between 15:00 and 17:00. The mothers demanded the part-time nurture most that they could attend and close freely' at a convenient time. It presented that they recognized as the nursery fee was proper to eleven thousands to fifteen thousands Won. Also, they preferred the nursery facilities located on near home operated as a subject of government. As for the rate of teachers to infants, they required 1:3 in case of below 12 months, 1:4 24 months, and 1:6 36 months most. And they wanted to improve the sanitary snack lunch more. As for the constitution of nursery program, it presented that they required the program most that would be helpful to the emotional stabilit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ccording to the infants' ages. In the physical guidance, they required a method of appraise and inducement most. And in the linguistic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basic expression most. Also, as for the life guidance, they required to guide the capacity of bowel movement expression most in the guidance of bowel movement. As for the infants' sleeping hours, it presented they recognized it proper to about 3 hours in case of 0~12 months infants, about 2 hours 13-24 months, and about one and a half 25~36 months. At the physical environmental sides, it showed that they required the proper amusements proper to the sleeping room located on near the exit, clean and safe space for playing, and the developmental stage most, As for the nursery teachers, it presented that it needed the married teachers with the educational career for 2~3 years most. About the parents' education, most of research objects recognized the necessity. In the curriculum, they required to execute the parents 'roles two times a year. Also, half of respondents felt stress about the rearing of infants. This result of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mothers' demand and recognition about the infants' nursery program would be considered as it was to supply important information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nursery program for the infants effectively.

      •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국ㆍ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김춘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현황을 알아보고, 영아보육 활성화를 위한 영아보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집단은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 509곳 중 「1999년도 보육사업안내(서울특별시 1999, 267-278)의 주소록을 참조하여, 영아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200곳을 무작위 표본추출하였다. 설문 방법은 200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질문지에 응답을 받거나, 우편으로 질문지를 우송하여 회수하는 우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162부로 81%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부적합한 15부를 제외하여 147부의 질문지를 통계 패키지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①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 ② 영아보육시설 현황, ③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 ④ 영아를 위한 시설, ⑤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 ⑥ 영아보육프로그램, ⑦ 영아보육교사, ⑧ 영아의 건강·안전관리, ⑨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등 총 4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을 보면, 영아보육교사 배경수준은 양호한 편이었다; 영아보육교사의 연령은 20-30대가 87.8%로 젊은편이었고, 70.1%가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하였으며, 85.0%가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졌다. 또한, 영아보육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영아의 연령은 대부분(94.6%) 1-2세아로 0세아는 극소수였다. (2) 영아보육시설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0세반 담당 보육교사 등 영아를 위한 인력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집의 운영체는 84.4%가 종교단체·종교법인, 사회복지법인이었으며, 시설면적은 50-150평이 전체 시설의 37.4%(무응답 제외시 68.8%)였다. 영아반 운영은 1세(110곳) 2세(130곳) 영아반 위주로 편성되어 있었다. 담당교사 1인당 영아수는 1세반(90.7%), 2세반(83.5%)의 경우 「영유아보육법」의 기준을 대체로 준수하였으나, 0세반의 경우 48.5%만이 기준을 준수하였다. 영아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 수는 응답시설의 57.8%가 6-10명으로 소규모였으며, 보육교가는 57.8%가 6-10명이었다. 전체 영아보육시설에서 원장과 보육교사를 제외한 인원 현황은 취사부 (93.9%), 양호교사(21.8%), 영양사(6.1%), 관리인(12.9%), 사무원(21.1%), 기타(8.2%) 등이었다. (3)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부모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은 42.9%가 실시하였으며,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은 71.4%가 원장 또는 담임교사가 어린이집에서 실시하였다. 영아들의 등원·귀가 방법은 대부분(95.2%)이 부모가 직접 데리고 오고 데리고 간다고 응답하였다.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가장 큰 바램은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4) 영아를 위한 시설에서, 영아만을 위한 필요시설 및 영아의 건강에 관계되는 몇가지 비품은 확보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를 위한 영아보육시설의 시설 확보률은 실내미끄럼들(90.5%), 낮은 식탁(83.7%) 등만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으며, 영아를 위한 비품 확보율은 개인사물함(99.3%), 시계(98.0%), 이불·이불장(95.9%), 모빌(85.0%), 의류·기저귀보관통(85.0%) 등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5)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에서,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영양사의 확충과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급식 식단 작성자는 원장(시설장)(41.5%), 영양사(22.4%), 외부전문가(19.0%)였으며, 영아급식 운영에서 가장 큰 애로점은 영아급식에 대한 자료(정보) 부족(25.2%)과 전문지식 부족(22.4%),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 부족(21.1%) 등으로 조사되었다. (6) 영아보육프로그램에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과중한 업무(업무시간·담당아동수)를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작성자는 90.5%가 담임교사였으며, 작성시 참고자료(개발된 교재)로 사용하는 교재는 보건복지부 영유아보육프로그램 42.2%, 영유아 보육에 관한 각종 전문서적 26.5%, 서울특별시 영유아보육프로그램 23.2% 등을 사용하였다. 영아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교재연구를 위한 시간 부족(3.15점/4점기준),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2.65점/4점기준) 등으로 나타났다. 영아보육계획시 비중의 중요도는 0세 영아의 경우 영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지도하기(5.49점/6점기준), 1세 영아의 경우 신체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기(4.79점/6점기준), 2세 영아의 경우 신체활동이 왕성한 시기의 아이들에게 안전훈련 지도하기(6.03점/7점기준) 등이었다. 영아보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는 영아의 안정과 정서발달(4.52점/5점기준)로 나타났다. (7) 영아보육교사에서,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의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이었으며, 「영유아보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육인원을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 을 위한 연수교육기회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교사로 가장 적합한 연령층은 30대(83.1%)였으며, 학부모들이 영아를 영아보육시설에 보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직장문제(96.6%)였다. 영아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하여, 영아에 대한 따뜻한 사랑(3.65점/4점기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81.6%)이었다.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육교사 대 아동(영아) 비율에 대한 보육교사의 입장에 관하여, 1인당 0세 2명, 1세 3명, 2세 5명(91.6%)이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문제점으로 전문지식·경험부족(77.5%) 등이었다. 영아반 보육교사를 위한 연수교육 기회가 현장실무에 대부분 도움이 된 것(76.6%)으로 조사되었으며, 영아반 운영에 있어서의 애로점은 학부모의 인식 부족(3.58점/5점기준) 및 시설·설비 부족(3.45점/5점기준)이었으며, 어린이집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보육교사 및 시설(92.1%)이었다. 또한, 영아보육에 대한 의견으로는 가정양육이 가장 바람직하지만(4.25점/5점기준), 영아보육시설의 질적수준에 따라 가정양육보다 지능지수가 높을 것이라(4.51점/5점기준) 생각하고 있었다. (8) 영아의 건강·안전관리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의 정기적 점검이 필요할 것이며, 영아가 아플 경우를 대비하여 응급약품의 구비와 응급처치요령 등 교육을 통하여 영아의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영아의 건강 체크) 시기는 몸이 아플 때 실시(63.9%)하였으며, 0세아(12개월 미만) 입소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영아의 감염유무(4.52점/6점기준) 및 병력(4.34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들의 건강·안전관리에 비중을 두는 부분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육환경의 정비·점검(4.91점/6점기준)과 개개 영아들의 신체적인 상태 파악(4.66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신체검사(신장, 체중) 측정은 대부분 연 2회 이상 실시(93.2%)하였으며,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가 아플때 조치 사항으로는 부모에게 연락(61.2%)하거나 시설의 응급약·응급처치를 이용하는 조치(27.2%)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9)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위한 정책에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수행할 사항을 재정지원확대 측면과 교사자질향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조사(3점기준)한 결과, 재정지원확대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의 보수와 영아보육프로그램 및 교재·교구지원의 현실화(2.13점), 영아보육시설 개선(2.10점), 교사 1인당 영아 비율 축소(1.77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자질향상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정기 연수교육의 확충(2.65점), 영아보육프로그램 연수 전담교사제 실시(2.31점), 연간보육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1.05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에 비하여 짧은 역사를 가진 영아보육에 일선 영아반 교사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불편한 시설개선과 영아보육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수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전제로 어린이집의 미래에 대해서 보다 더 효율성을 지닌 통합교육·전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부 보육정책의 개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어린이집에서 여러 연령층의 영아가 생활하므로 각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보육의 분화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여 영아의 연령에 맞는 다양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 시설장 및 교육담당자에 대한 재교육 및 시설·비품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법적·제도적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2) 건강한 시민양성을 위한 최초의 사회기관으로서 영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교사 1인당 영아수를 적정 수준으로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집은 부모와의 긴밀한 유대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영아와 가장 가까운 부모교육에 예산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며, 점차 그 지원범위를 확대해 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infant day-care policy. Out of 509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200 randomly sampled for subjects by making reference to the day-care center directory of the day-care center's. With 200 questionnaires either researcher's visiting to centers or mailing method was used. By 81 percent of return rate 1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47 questionnaires excluding 15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more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for future day-care centers requires improvement on government policies for infant education as follows: Due to infants of different age groups are living together, government policy should consider budget for specialized day-care programs. Also, these programs are included teacher reeducation, development of facility and equipment. Apparently, it needs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infant per teacher needs to be reduced moderate level for confor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this, government ought to increase the financial support.

      •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

        김지혜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to develop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by exploring infant teachers’operation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lans the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By doing so,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4th‘Infant Care Program’guideline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and for opera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relevant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have infant teachers been operat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2) What difficulties do infant teachers have in us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Infant Care Program’? 3)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Infant Care Program’? (1)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the presentation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Infant Care Program’? (2)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the context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Infant Care Program’? To investigate infant teachers’ operation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lans the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it to a final one, which was used for infant teachers living in City P, Gyeongsangbuk-do from Feb 7 to 22, 2019. The researcher made phone calls to the target institutions to gain consent, paid visits to distribute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and re-visited the institutions a week later to collect the questionnaire. Out of the total of 280 survey sheets distributed, 254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excluding 26 sheets that were poorly or partially answer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over 69.2% of the teachers had been operating music education activities well in terms of the reflection of infant care plans, the utilization of the Infant Care Program, the application of infants’ variables, themes related to life, various activity types,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a range of activities, a range of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When it came to the differences by teachers’ variable, the teachers who were at home daycare centers (the type of institution), who completed a graduate school (the highest education level), who had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otal teaching experience), and who had taught infants for more than 15 years (infant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apply plans, and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4-year university tended to reflect themes related to life.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over 15 years and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ssessment certification applied various musical elements, while those who had been teaching infants for 9-14 year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ir you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for autonomous activity and exploration and organize and reflect activities with different features such as activities planned by themselves, active and inactive activities, and combination with other interest areas. Second, 13.4-32.7%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Infant Care Program, while 41.7-64.5% revealed it was not. More teachers found the Infant Care Program not difficult to generally understand and the purpose, goal, and activity methods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not challenging. As for the differences by teachers’ variable,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and who majored in children education lacked teaching expertise,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1-5 years or 9-14 years showed high scor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hose who majored in infant care were high in material and facility,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9-14 years were high in inconsistent demand. In all criteria for difficulty,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less than 1 year revealed high scores. Third, 57.1% of the teachers revealed demand for improv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 In terms of the type of institution,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high results in all criteria except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As for major, those majored in child education were high i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and training by age. Th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ssessment certification were high in all criteria of specific and accurate explan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training for teachers by age, and improvement plans. More than 93.7% of the teachers requir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infant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 개발방향 등을 제시하기 위해서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를 살펴보고,‘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의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 4차 어린이집‘영아보육프로그램’해설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활동 개발 방향과 관련 기관의 현직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은 어떠한가? 3)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1)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 제시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 관련 현직교육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와‘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 된 최종 설문지를 2019년 2월 7일부터 2월 22일까지 경상북도 P시에 위치한 영아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조사대상 기관에 전화하여 동의를 얻고 직접 방문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설문지는 일주일 후에 직접 방문을 통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80부를 배포하였으나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한 문항이 있는 26부를 제외하고 총 25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영아음악교육활동의 운영 실태는 69.2% 이상의 교사가 보육계획 반영, 영아보육프로그램 활용, 영아 변인반영, 생활주제, 다양한 활동유형, 다양한 음악요소, 다양한 활동성격, 다양한 교수자료, 평가 면에서 잘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변인 별 차이에서는 교사의 기관설립유형에서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최종 학력은 대학원졸, 총 교육경력은 15년 이상의 교사, 영아반 교육경력은 15년 이상의 교사가 계획반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최종 학력이 4년대졸 교사들이 생활 주제 반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총 교육경력이 15년 이상의 교사와 평가인증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가 다양한 음악요소를 반영하였고, 교사의 영아반 교육경력이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영아의 자율적인 활동과 탐색의 기회를 제공, 교사가 계획한 활동, 정적활동, 동적활동, 다른 흥미영역과의 통합 실행 등 다양한 특성의 활동구성  운영 반영을 많이 하였다. 둘째, 13.4∼32.7%의 교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해 활용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41.7∼64.5%의 교사들은 활용하기 어렵지 않다고 하였다. 영아보육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고, 음악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활동 방법이 활용하기 어렵지 않다는 교사들이 어렵다는 교사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교사변인 별 차이에서는 고졸인 최종 학력과, 아동학 전공 교사들이 교사지식이 부족하였고, 교사의 총 교육경력은 1∼5년 미만과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근무환경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보육학 전공 교사들이 자료시설 면에서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총 교육경력이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요구불일치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어려움의 전체 항목에서 교사의 최종 학력이 고졸이고, 총 교육경력이 1년 미만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57.1% 이상의 교사들이‘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나타났다. 기관설립유형별로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이 자료 개발 보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공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자료 개발 보급과 연령별 연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평가인증 참여한 교사들이 구체 명확 설명, 자료 개발 보급, 연령별 교사연수, 개선방안 전체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영아음악교육에서의 현직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93.7% 이상 요구하였다.

      • 경기도 지역 보육시설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이정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해 시설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학부모와 보육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와 학부모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적절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유형에 따라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시설유형에 따라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보육시설의 영아보육프로그램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영유아보육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Abbott-Shim과 Sibley(1987)에 의해 개발된 APECP(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을 강숙현(1994)이 번안하고, 조인숙(1997)이 수정한 도구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의 하위영역은 5개영역에서 총 6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70군데 보육시설에서 영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144명)와 영아를 보육시설에 보내는 학부모(127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영아보육프로그램 질적 수준에 대해 시설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유형에 따라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보육환경', '건강과 안전', '보육프로그램',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국·공립보육시설 보육교사가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시설유형에 따라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해서는 국·공립보육시설의 학부모가 민간보육시설의 학부모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시설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보육시설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해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는 학부모가 보육교사보다 '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수준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민간보육시설의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인식에 대한 국·공립보육시설의 보육교사나 학부모 보다 낮다는 것은 국·공립보육시설이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보다 나은 보육환경과 영아보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고, 영아보육프로그램 관련 영아보육과정이수나 연수를 받은 경험이 국·공립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이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민간보육시설의 경우 보육교사들의 교육의 기회확대 및 보육시설의 환경개선이 시급하다고 생각되어지며, 정책적으로도 민간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재정적인 지원과 표준화된 영아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 주는 방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aregivers and par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an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ir opinions in light of the type of daycare center. It's mean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appropriate infant daycare programs that could satisfy both caregivers and par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es the type of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 outlook of caregivers on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2. Does the type of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 perception of parents about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caregivers and parents on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was Abbott-Shim and Sibley(1987)'s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or APECP, which was adapted by Gang Suk-hyeon(1994) and modified by Jo In-suk(1997). This instrument included 69 items in five different are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aregivers in charge of infants at about 70 daycare centers and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those daycare centers. For data handling, t-test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caregivers and par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caregivers in different types of daycare centers about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had a higher opinion on daycare center environments, health, safety, daycare programs, caregiver-child interaction and caregiver-parent interaction than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did.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view of the parents in different types of daycare centers about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the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et a higher value on the overall quality of infant care programs than the 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private daycare centers did, and the type of daycare cent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views. Third, as to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the caregivers and parents on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the parents viewed daycare center environments more favorably than the caregivers. Thus, whether or not the type of daycare center made any differences to the people's way of looking at infant care programs was investigated. The private center caregivers and parents set a lower value on the quality of infant care programs than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and parents did, and the reason seemed that the latter excelled the former in environments and programs. Another reason seemed that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caregivers took more courses or got more training in infant care than the private daycare center caregivers did. Private daycare centers urgently needed to offer more chances for caregivers to receive education, and their environments should be improved as well. The government should offer more financial aid and standardized infant care programs for private daycare centers to boost their performance.

      • 만0〜2세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 분석 : 내용의 범위와 계열 및 교수학습방법을 중심으로

        함형숙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4

        This study The scope and sequence of education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presented in 'Infant Care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of 0-2 years old nursing h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uggesting ways to improve teachers. The research problems that have been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Based on a standard childcare course of 0-2 years old childcare ‘Infant Care Program’ What is the content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1) Music education activities What is the scope of education contents? (2) Music education activities What is the sequence of education contents? 2) Based on a standard childcare course of 0-2 years old childcare ‘Infant Care Program’ Wha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1) Wha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dium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2) What is the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we analyzed the contents analysis studies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standard nursery teacher 's guidebook, and then proceeded as follows. The range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sequence analysis criteri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3a), Son MiYI(2017), Lee Young Ae and Yang jiAe(2012) Based on the research, 'musical elements' and 'music activities' were analyzed, 'Conceptual sequence' and 'experience sequence',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amo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analyzed by Kim MinJung(2016), Kim JinSil(2015), Kwak Kyung Hwa, Kim JiWoon and Park SooYoung(2013),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literature of Jang Eunju (2007), Yoon JiYoung(2014), Heo SunHee(1996) and Pica(2010), On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ho had a Ph.D, 20-year field experience one master's course stud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criteria and calculated the agre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nge of content was Deviation of activity by 'musical elements', 'Listening' in 'music activity' showed high frequency in all ages.In particular, musical instrument activity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musical activities (25), and it needs to be presented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level and sequence of the infant. second. Among the series of activities, 'sequence of concepts' was low in 'musical expression' rather than 'musical characteristic' in all activities, Lack of sequencing Within each age, the 'sequence of concepts' and 'sequence of experiences' appeared similar. third. Amo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dia, 'sensory medium' is the order of 'visual', 'auditory', and 'audiovisual' in each age. The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i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as utilized. However, since the frequency is low, a more divers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And 'musical instruments' showed high frequency of 'rhythm instruments' and 'Western musical instruments'. fourth. The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Listening' activities are 'experiential approach', 'Singing' activities are 'singing', 'Instrument' activities include 'playing', 'Movement' activities are 'direct approach', 'Creativity' activities are 'musical fluenc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by each age group. The evaluation of the total should provide a rich experience of music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various media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elements and activities of music education at the time of plann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만0∼2세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음악교육활동의 교육내용 범위와 계열, 그리고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여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활동 개선방향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0∼2세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음악교육활동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 음악교육활동 교육내용의 범위는 어떠한가? (2) 음악교육활동 교육내용의 계열은 어떠한가? 2) 만0∼2세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음악교육활동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 음악교육활동의 교수학습매체는 어떠한가? (2) 음악교육활동의 세부적인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보육과정 교사용지도서에서 음악교육활동의 내용분석 연구들을 살펴본 후 다음과 같은 진행을 실시하였다. 음악교육활동의 범위와 계열분석기준은 보건복지부(2013a), 손미이(2017), 이영애와 양지애(2012)의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적 요소’와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개념의 계열’과 ‘경험의 계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수학습방법 중 교수학습매체 분석기준은 김민정(2016), 김진실(2015), 곽경화, 김지운과 박수영(2013)의 분석연구, 세부교수학습방법 분석기준은 장은주(2007), 윤지영(2014), 허순희(1996), Pica(2010)의 문헌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영·유아 음악교육 관련 논문을 다수 수행한 유아교육전문가 1인, 20년 현장경력의 유아교육 전공 석사과정 생 1인과 연구자가 분석 준거의 타당도를 검토하여 일치 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의 범위는 ‘음악적 요소’에 따라 활동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음악활동’에서 ‘듣기’는 모든 연령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특히 만1세 음악활동(25개) 중 악기활동은 1개로 영아의 발달수준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활동의 계열 중 ‘개념의 계열’은 모든 활동에서 ‘음악적 특성’보다 ‘음악적 표현’이 낮은 빈도로 나타나 계열성이 부족하였고, 각 연령 내에서 ‘개념의 계열’과 ‘경험의 계열’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학습매체 중 ‘감각매체’는 각 연령에서 ‘시각’, ‘청각’, ‘시청각’ 순으로 나타났고, 발달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매체의 활용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 빈도가 낮아 좀 더 다양한 교수학습매체의 개발과 활용 제시방법이 구체화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악기’는 ‘리듬악기’와 ‘서양악기’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세부적인 교수학습방법은 ‘듣기’ 활동은 ‘경험적 접근’, ‘노래 부르기’ 활동은 ‘부르기’, ‘악기’ 활동은 ‘연주하기’, ‘움직임’ 활동은 ‘직접적 접근’, ‘창작’ 활동은 ‘음악적 유창성’이 각 연령별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총결의 평가는 음악교육활동을 계획 수립 시 음악교육의 요소와 활동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와 교수학습방법으로 풍부한 음악교육활동 경험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 영아전담보육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기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11

        As educare-starting age has been getting lower in recent years, exclusive educare facilities for nurslings extend and spread, which draws attention on the education and bringing up of new born babies, one of the weak spheres of educare with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ime-extensional education. Increasing number of working moms is also a reason of growing concern about it with complex interrelations between factors like lat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ant period and the need for social interaction due to the increase of nuclearfamily that add to the voice calling for the infant educare. On top of it, governmental supports for infant educare facilities are accelerating rapid increase of them. Yet, preceding studies had focused on those facilities for both infants and toddlers, where babies more than three years are the main concern. And, there are no specific standards established, since constructional researches on infant educare schools have been poor. And due to the poor condition and quality of educare environment that doesn'tconsider and reflect the particularityof infants and diversified infant educare programs, construction planning to meet the request of working moms are impossible, This article is the outcome of a field study on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at specialized in infant educare. It aimed at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infant educare progra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se, on the basis of which required spaces are calculated for basic construction design, a system for space composition is presented for proper space constitution for infant educare programs. Now whe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exclusive infant educare facilities is expeted in near fu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desirable construction plan. The followings are the space constitution this study suggests: 1. Domestic infant educare facilities are operated in arelatively small sized compared with combined educare organization for both infants and toddlers. So, the most part of infant activities are done inside an educare room. As for infants for whom daily life learning activities are main programs, spaces have to be divided into static and kinetic ones, in order to consider different activity time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2. Physical, perceptual and social development during infant period conspicuously differs according in each month after being born, thus requiring not only the division between infant and toddler, but also the classificationby age. As the contents of infant educare programs are presen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growth characteristics by age, space composition is required to be conduc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development by age. 3. Operation of educare facilitie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educare programs, thus requiring space composition proper for educare programs. As for domestic infant educare facilities, most spaces are centered oninfant educare, but, space arrangement for other programs must be considered. 4. As for infants whose physical movements are not limited and educare teachers'role is critical. Therefore, consideration for spaces for teachers is required and also spaces for parentsmust be prepared for times of attending to and leaving the facility with parents. 5. Infant educare Infant educare must be approached individually and daily life-centered programs are repeatedly conducted, which puts more stress on protective function than on educational function. Because the physical movement of babies is not free, it is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to create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hus making an atmosphere as familiar and affectionate as parents' education or home. 6. Unit space planning by category of educare program is as follows: (1) Infant Education Infant educa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 two spheres of daily life instruction and education activity. As for nurslings, the space composition should give first consideration to daily life instruction. It desirable to divide static and kinetic spaces, reflecting individual activity time, but, the observation must be convenient. Though educare room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age, the incorporative educare through playing room must be possible, thus making it desirable to set playing room near educare room. Going outdoor space have to be possible through playing room. (2) Nutrition Management This category requires the consideration about cooking room and nursing room. When there is a nutritionist, those rooms must be closely connected to nutrition administration space. As for nursing room, it is desirable to arrange it near educare room, thereby shortening the time taken to shift to nursing. (3) Health Management School infirmary should be divided in two areas: infirmary and administration. And, it also must be arranged so as to be connected with general administration spaces. (4) Safety Management Fire fighting training for the safety of infants is being conducted. As for spaces for such education are emergency exit staircase and infant slide. Those are desirable to be installed near educare room and must have waiting spaces in order to prevent congestion in case of emergency. (5) Parents' Participation As for separate spaces for parents'participation, there are observation room, consulting room and lecturing room, which should be planned to be changeable to be used together with other spaces. It is desirable to arrange observation room near educare room and consulting room near lobby. (6)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Services that need a consideration about space for this category is volunteer activity, therefore separate volunteer room is required. The volunteer room must be set near the entrance of facility. 7. Space constitutionby age is as following. Space composition as listed below is centered oninfant education. So, space constitution of exclusive educare facility for infants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interrelations with other categories (1) Infants aged below 12 months old Nurslings of this age are busy mostly with learning basic life skills and there are big differences by individual and has great attachment with teach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pare separate spaces for creeping, neatness and midday nap according to growth characteristics, and to arrange those spaces near teachers' space. (2) Infants aged from 12 to 25 months old Children in this period are eager to do anything by themselves. So, there must be sufficient activity spaces. And, as it is the period that not only basic life activity learning but also education start, space consideration about education activity is needed. And, in this period infants start to toddle, which requires organic connection with outdoor spaces. Like babies of the age below 12 months, static and kinetic spaces should be separat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3) Infants aged from 25 to 36 months old Toddlers in this period have increased desire to do things by themselves. Not only the acquisition of life practices, they also feel autonomy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So, it is desirable to differentiate spaces according to their activities by space sectioning. The toilets are recommended to be arranged near their main activity spaces because it is the self-standing period. And, increasing outdoor play also should be under consideration

      •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혜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교사의 학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3-2. 교사의 경력별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 중 50명 이상 보육시설의 전, 현직 영아보육교사 500명을 무작위로 조사하여 이중 307부 회수하여 부적합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96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지역 어린이집 대상으로만 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현직 교육의 현황, 필요성 및 교육형태의 인식정도를 묻는 연구도구는 Ronbinson(1990)이 영아기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제작한 면접틀을 수정하여 유아교육과 교수 3인의 타당도를 거친 후 예비조사의 일부로 6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34번 문항부터 39번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 도구의 하위요인은 건강, 안전, 교사-영아와의 상호작용, 교사-부모와의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을 4문항씩 7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한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의 학력, 경력별, 시설유형에 따른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대부분의 교사들은 영아보육에 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근무경력이 6-10년인 교사들이 가장 연수경험이 많았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보건복지부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영아교육에 관련된 교육도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보다는 그 활용빈도가 낮았다(28.7%).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영아관련 교사 교육에 대해서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그 필요성(63.5%)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영아 보육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움을 느낀다고 상당수가 응답하였다. 특히 영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질문에 67.4% 였으며, 영아프로그램이 마련되어있지 않는 어린이집도 32.6%로나 되었다. 영아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기관을 유형별로 비교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77.6%)이 민간 어린이집(56.1%)보다높게 나타났다.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지적발달(3.64점)이 낮았으며, 신체 운동발달(4.12점), 사회정서발달(4.11점)의 교사인식이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 작성은 교사혼자서 매주 작성한다고 응답한 곳이 많았으며, 필요할 때마다 한다(5.9%)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유형별에 따른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영아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지적발달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신체·운동 발달이 4.13점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사회·정서발달이4.12점, 교사-아동 상호작용이 4.04점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운동 발달, 사회·정서 발달, 교사-아동 상호작용은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있으며, 교사-부모 상호작용(3.39점), 건강(3.72점), 지적발달(3.64점), 안전(3.50점)은 그리 높은 수준이 아니어서, 영아에 대한 교육 역시 활발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자체 내에서 영아교사교육에 대해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집도 36.7%로 비교적 적었다. 셋째, 학력별, 경력별 어린이집 영아 보육프로그램제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또한 영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경력별, 학력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서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사회·정서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력별로는 건강, 안전, 교사-아동 상호작용, 교사-부모 상호작용,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경력별로는 건강, 사회·정서발달,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신체·운동 발달(4.13점), 사회·정서발달(4.12), 교사와 아동과의 상호작용(4.04점)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건강(3.72점), 안전(3.50점), 교사와 부모와의 상호작용(3.39)에 있어서는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인식에 있어서 영아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지영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영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연구 1〕에서는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과정 운영실태와 표준보육과정 적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중 회수된 350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연구 2〕에서는 문헌연구와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를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연구 3〕에서는 개발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보육정보센터에서 10주에 걸쳐 주 1회, 140분씩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절성 검증은 최종회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교사(38명)와 비참여한 영아교사(38명)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작과 종료시점에 보육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사용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결과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들의 특성은 평균 연령이 38.45세로 대체적으로 높은데 비해 보육경력과 학력은 낮은 편이었으며, 대부분 보육교사교육원을 통해 자격을 취득한 경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의 특성은 보육공간 면적이 평균 27.68평이며, 평균 12시간을 운영하고 과반수이상이 평가인증 미참여 시설이었다. 영아보육과정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일일보육계획안 작성 비율이 가장 낮고, 주로 영유아관련잡지 및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보육계획을 하여 아직은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주자료로 활용하지는 않고 있었다. 영아보육 활동에 필요한 시설의 교수자료 구비정도는 부족하다고 인식하였고, 보육내용 중 영아의 기본생활 영역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다. 교사들이 느끼는 영아보육과정 운영상 어려움은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의 수가 풍부한 참고자료가 부족하다는 것과 참고자료에 제시된 활동을 실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소규모시설 운영 특성에 따른 혼합연령 통합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요구조사 결과는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표준보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가정보육시설의 인적, 물적 특성에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워크숍이 실시되기를 희망하였다. 즉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구체적인 보육내용 영역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 인식을 개선시키고, 영아교사로서의 책무를 완수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강화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방법과 기술을 증진하여 영아교사로서의 역량강화와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표준보육과정의 기본관점 및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둘째,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인 보육내용 지식을 습득한다. 셋째, 표준보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교수방법과 기술을 증진한다. 마지막으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가정보육시설에 적합하게 활동을 수정・보완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더불어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영아의 연령별, 수준별 구체적인 보육내용, 보육계획과 편성, 환경구성, 교사의 역할과 상호작용, 평가 및 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을 내용요소로 설정하였다. 워크숍에서는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현장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참여교사들의 능동적인 협력학습 방법으로 가정보육시설에 적합하게 활동을 재구성하여 적용한 후 그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의 보육과정 실행경험 및 인식수준을 고려하여 가정보육시설 현장 경력이 있는 강사진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보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원과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보육정보센터에서 시청각을 이용한 강의와 토의, 사례발표, 자료제작 및 시연을 포함한 워크숍을 In this study, a family daycare teacher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enric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infant and toddler educare in the family daycare center,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has been checked out. Part I, consists of survey analysis on how do the family daycare centers offe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what do the caregivers ask for applying the curriculum effectively. The questionnaire has been distributed to 500 family daycare teachers in 6 districts of the City of Seoul, and 350 questionnaires are returned and analysed. In Part II, caregiver training program that reflects the survey analysis is to be developed. Extensive literature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are followed by the draft of infant/toddler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ffectively offering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final program has come out through experts' careful adjustments. Part III,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devised for the family daycare centers. In the training program, conducted by Nowon District family daycare information center, there are 45 participants who are infant and toddler caregivers from the various family daycare centers at Nowon District, and the program consists of 10 rounds of a 140-minutes-long training course that are to be offered once in a week, so that it becomes 10 weeks program. The program applicability has been checked out by comparing 38 participants who have finished the program with 38 non-participants. Child-care efficacy and caregiver's interaction were measured against the two groups before(pre-test) and after(post-test) the 10-week program, and ANCOVA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statistically justify those differences the two groups made. The levels of program satisfaction have also been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irstly,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verage age of the caregivers were 38.45 years old, while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career are little bit insufficient. Those who have acquired their license from caregiver institutes rather than from colleges or universities form a large majority. Average area and operating hours of the family daycare centers were 27.68 pyeong and 12 hours, respectively. Majority of them turned out to be non-certified facilities. Daily daycare plans were least prepared among the four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daycare plans. Related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were the major sources for preparing the plans whil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was not being utilized frequently. The family daycare centers did not provide sufficient teaching information for family daycare, and more emphasis was put on basic livelihood. One of the difficulties met during the family daycare was insufficient references suitable for family daycare activities, and even though there is a reference, it was very hard to put to practical use. Others included lack of teacher professionalism for mixed-age class in small facilities. As far as caregivers' need analysis, recognition level of national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however, practical use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ctivity information was thought to apply the curriculum in their class. Activity programs development tailored for family daycare characteristics and workshop on the developed programs were also requested. In other words, it was strongly hoped that there should be caregiver training programs which enable them to understan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improve their own qualification, capability, as well as professionalism as a infant and toddler caregiver. Secondly, the purpose of the caregiver training program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analysis is to let the infant and toddler caregivers to recogniz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o understand its details, to be fully equipped with teaching methods and skills, and finally to improve their own capability and professionalism. Action plans for this purpose includes understanding the basic viewpoint and whole contents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cquiring the detailed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learning the teaching methods to apply the curriculum, and putting to practical use of the curriculum customized to family daycare circumstances.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theoretical part and practical part. Former covers whole informat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customized daycare contents differentiated by ages and levels, daycare plans and composition, circumstance organization, caregiver's role an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Latter part contains reorganization of the activities information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djusted for small sized family daycare centers, and active coordin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caregivers. It also considers experiences and backgrounds of the participants, so that lectures who have family daycare career preside the program and motivat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hirdly,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workshop was held in the daycare information center capable of networking each other easily as well as giving assistance to adopt and modify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workshop comprised of audio-visual lectures, discussions, case study presentations, and material demonstrations. Results of the applicability analysis showed that child-care efficacy and caregiver's positive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non-participants while caregiver's negative interaction did not. Degree of program satisfaction is evaluated as excellent (mean=4.29, SD.=.39).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need to develop diverse caregiver training programs in every aspects for expediting the dissemination

      •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과 영아반 프로그램 질에 관한 연구

        이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를 파악하여 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은 어떤 상관을 나타내는지 파악하며, 지역에 따라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학력, 영아반 경험 유무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학력, 영아반 경험유부별 전문성 인식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지역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과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5>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전남, 충북지역에 소재한 보육시설 53곳에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141명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작된 영아 보육 프로그램 평가측정도구와 전문성 인식도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113부의 설문지중 자료로 부적합한 13부를 제외한 100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얻기 위해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별량분석, 상관분석으로 검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어냈다. (1)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학력, 영아반 경험 유무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경력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유의미한 차이(F=.33, p=.86)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8, p=.95). 그러나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 하위 변인 중 건강과 안전 변인(F=2.87, p=.03), 학습판경변인(F=2.25, p=.05)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경력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66, p=.63), 영아반 경험 유무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M=154.92<166.76, p>.05). (2)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학력, 영아반 경험유부별 전문성 인식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경력별 전문성 인식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F=.66, p=.63), 연령별 전문성 인식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53, p=.0400).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도 하위변인 중에서 전문적 자질(F=4.30, p=.0030), 자율성 인식(F=4.05, p=.0045),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F=2.08, p=.0200)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학력별 전문성 인식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24 p=.30), 영아반 경험 유무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50.53<51.48,P>.05) (3) 지역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과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역(지방, 서울)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은 서울 지역이 지방에 비하여 평균이 다소 높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M=15.022<165.97),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 하위변인 4개중 영양변인 (M=15.78<18.20)과 학습환경 변인(M=20.00<22.4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방에 비해 서울이 질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별(지방, 서울)별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4) <가설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상, 하)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 180.47> 155.48, p>.05) 그러나 하위현인 중 직업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인식(상, 하)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1)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인식(상, 하)별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171.71>164.89, 9>.05) (5)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 보육 프로그램의 질애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 프로그램 질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하위변인 중 전문적 자질에 대한 인식변인과 개별화변인 (r=.3640), 전문적 자질 인식 변인과 영양 변인(r=.2874),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변인과 교사-영아간 상호작용변인(r=.3000), 자율성 인식 변인과 영양변인 (r=.2508), 자율성 인식 변인과 교사-영아간 상호작용변인(r=.2463),전문성 인식도와 교사-영아간 상호작용(r=.3430)에서는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영아에 대한 개별화가 더 잘 이루어지며, 보육교사의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교사와 영아간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6)사례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아반의 하루 일과는 등원및 자유놀이, 아침간식, 이야기나누기와 소집단 활동, 낮잠, 오후간식, TV시청 및 귀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물리적 환경은 대체적으로 영아보육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었으나, 어린 영아를 위한 공간 즉, 기어다닐 수 있는 깨끗한 바닦 공간, 침대와 기저귀 갈기영역등이 부족하였다. 작업에 있어서는 영아가 쉽게할 수 있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였으나,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는 유아에게 교수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어 영아에게 적합하지 못하였다. 개별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사가 영아의 개인적 욕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려고 노력하였다. 영아의 이름을 많이 불러주고 칭찬을 많이 해주고 안아주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아를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나 놀잇감, 교수법에 대한 정보가 유아반에 비해 훨씬 부족하다. 아울러 교사는 영아에게 무엇인 체계화된 틀에서 가르치려고 하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