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업무에 대한 PR실무자와 마케팅실무자간의 역할 인식 차이가 양 부서간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하진홍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PR과 마케팅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현장에서 일하며 느끼고 있는 PR역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인식하게 되는 배경적 요인은 무엇인지를 양적인 서베이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인식차이가 조직간의 갈등 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치를 파악하는 데에 연구의 목표가 있다고 할 수 있다.이번 연구를 위해 국내 기업 중 PR부서와 마케팅부서가 별도의 독립된 부서형태로 존재하는 기업에서 근무하는 PR실무자 및 마케팅실무자 160명의 설문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각 측정항목의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값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PR역할지수에 관한 측정항목들의 알파 값은 ‘조사 업무’를 삭제한 11개 문항의 알파값이 .704로 나와 측정 항목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갈등지수에 관한 8개 측정항목들의 신뢰도 지수는 .901, PR부서의 힘과 마케팅부서의 힘에 관한 각각의 5개 측정항목들의 신뢰도 지수는 모두 .889와 .879를 나타내 신뢰성이 담보된 설문항목으로 확인되었다.PR역할들에 대한 PR실무자와 마케팅실무자가 인식하는 역할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PR 및 마케팅실무자들은 4가지 역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지향적 역할에는 ‘각종 사회 공헌활동과 관련된 업무’, ‘회사의 윤리적, 사회적 책임과 연관된 업무’, ‘회사와 소비자간의 갈등을 중재하는 업무’ 등이 포함되었고, 이미지지향적 역할에는 ‘언론 등 다양한 미디어와의 커뮤니케이션 업무’, ‘회사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 ‘악성 루머 등 부정적인 소문을 막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실용지향적 역할에는, ‘매출 증대와 고객 확보에 도움이 되는 활동’, ‘회사의 이익을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는 업무’ 등 두 가지 역할이 포함되었고, 마지막으로 공중관리지향적 역할에는 ‘회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업무’, ‘회사의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이를 해결하는 업무’,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업무’ 등이 포함되었다.실무에서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PR역할에 대해 PR실무자와 마케팅실무자간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두 집단간 독립성 검증 결과, PR실무자가 가장 중요한 PR역할로 인식하고 있는 업무는 ‘이미지지향적 역할’인 반면, 마케팅실무자들은 ‘실용지향적 역할’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χ²=28.555, p<.001).11가지 PR역할 중, 어떤 역할에 대해 PR과 마케팅 실무자가 인식 차이를 보이는지, 또 그것의 PR역할지수는 서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기 위한 집단간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네 가지 PR역할, 즉 ‘회사의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이를 해결하는 업무’(t=5.257, df=158, p<.001),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업무’(t=-2.008, df=158, p<.05), ‘언론 등 다양한 미디어와의 커뮤니케이션 업무’(t=3.865, df=158, p<.001), ‘악성 루머 등 부정적인 소문을 막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업무’(t=2.752, df=158, p<.01)와 같은 PR역할에 대해서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R업무를 둘러싼 두 실무자 집단간 PR역할지수가 다른 이 네 가지 역할들이 두 부서의 갈등지수를 높이는 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과연 PR역할지수의 차이를 보인 역할 중 어떠한 역할들이 두 부서의 갈등을 유발하는 데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칠지 알아보기 위해, 우선 위 네 가지 역할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8가지 갈등유형의 평균인 전체 갈등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8가지 각각의 갈등유형에 따른 실무자들의 갈등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갈등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PR역할로는 ‘부정적인 입소문 관리 활동’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한편, 갈등 유형별로 각각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PR역할 중 ‘미디어와의 커뮤니케이션 업무’와 ‘부정적 입소문 관리 활동’만이 갈등유형 두 가지(상대부서와 공동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매끄럽게 일이 진행되지 못한다고 인식하는 정도, 상대부서와 아이디어 회의 도중에 의견충돌을 경험한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PR 및 마케팅 실무자간 PR역할지수의 차이가 부서의 구분 이외에 개인적 특성(직무기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전공, 상대 부서 업무 경험)과 회사의 특성과 시스템(업무분장, 조직의 규모, 부서의 최고 책임자 직급)의 배경 요인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기간 요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할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무자들의 전공에 따라 ‘회사의 윤리적, 사회적 책임과 연관된 업무’가 부서의 차이 변수와 함께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고(F=3.288, df1=2, df2=154, p<.05), 사회공헌 활동, 윤리적/사회적 책임 업무, 갈등중재 업무 등 공익지향적 역할들이 과거에 상대 부서의 업무를 경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PR역할지수에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업무분장 여부 요인에 의해 ‘회사와 소비자간의 갈등을 중재하는 업무’가 유의미한 차이 변화를 보였고(F=9.547, df1=1, df2=155, p<.01), 조직의 규모에 의해서도 ‘회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업무’와 ‘회사와 소비자간의 갈등을 중재하는 업무’, ‘악성 루머 등 부정적인 소문을 막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 등이 실무자간 PR역할지수의 변화를 보였다(p<.05). 그리고, ‘매출증대와 고객확보에 도움이 되는 활동’(F=4.895, df1=1, df2=156, p<.05)과 ‘회사의 이익을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는 업무’(F=13.163, df1=1, df2=156, p<.01)가 부서 최고 책임자 직급에 의해 PR역할지수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PR실무자와 마케팅실무자가 각각 바라본 PR부서와 마케팅부서의 힘의 인식과 PR역할지수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사 내 PR부서의 위상과 잠재력을 크게 볼수록 PR업무 중 위기상황 대처 업무, 미디어와의 커뮤니케이션 업무, 이미지 향상 업무, 그리고 부정적인 입소문 관리 업무 등에 높은 PR역할지수를 나타내 이미지지향적 역할과 공중관리지향적 역할에 PR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마케팅부서의 위상과 잠재력을 크게 보는 실무자일수록 윤리적, 사회적 책임 업무, 이미지 향상 업무, 부정적인 입소문 관리 활동 등의 이미지지향적 역할과 공익지향적 역할에 PR업무의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존의 PR역할에 대한 연구들이 PR실무자 대상을 위주로 한 것에 비해 이번 연구는 마케팅실무자를 함께 조사대상에 포함해 이들간의 인식차이를 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R과 마케팅부서 실무자들의 PR역할에 대한 구분 인식 정도를 직접 비교하여 분석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두 부서간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야기하는 갈등의 원인을 찾아냄으로써 업무효율성 및 체계적인 조직 관리와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public relations role which PR practitioner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have in their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answers to following questions;1. What is the perspective difference of public relations role between PR practitioners and marketing practitioners,2. What are the preceding factors to cause the difference, and3. How the perspective difference effects on the division conflicts?The quantitative survey includes 160 employees working in PR and marketing position independently in more 30 companie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reliability was examined through the value of Cronbach’s α. The value of Cronbach’s α for each construct was .704 for PR Role Index, .901 for Conflict Index, .889 for Power Index of PR part, and .879 for Power Index of marketing part. So, the test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Second, the exploratory analysis showed that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 recognized the PR role as 4 role factors; Public-Good Role includes ‘role relate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role related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y’, ‘role related solving the conflict between the public and a company’, Image Role consists of ‘role related communication with mass media’, ‘role related improvement of company’s reputation’, ‘role for preventing negative rumors and restoring damages’, Pragmatic Role comprises ‘role to get greater sales and more consumers’, ‘role to persuade the public for company benefits’, and Public-Management Role includes ‘role to inform public about the company’, ‘role for crisis communication’, ‘role to contact and buil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continually’.Third, the most important role that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 recognize in field is the ‘Image Role’ to PR practitioners, and the ‘Pragmatic Role’ to marketing practitioners(Pearson χ²=28.555, p<.001).Fourt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between PR practitioner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reveals that there are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PR roles; ‘role for crisis communication’(t=5.257, df=158, p<.001), ‘role to contact and build th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continually’(t=-2.008, df=158, p<.05), ‘role related communication with mass media’(t=3.865, df=158, p<.001), and ‘role for preventing negative rumors and restoring damages’(t=2.752, df=158, p<.01).Fifth,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us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PR practitioner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comes from both personal factors, such as majoring communic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each other part, and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role allotment, size, and level of team manager(p<.05). Moreover, the Power Index of PR and marketing parts produced the difference of role perspective to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Finally, among four PR roles showing different aspect between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 only two PR roles, ‘role related communication with mass media’ and ‘role for preventing negative rumors and restoring damages’, have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vision conflicts(p<.05).Therefore, these above results will be good tip for the people who want to man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R part and marketing part effectively by revealing the different role perspective and the cause of conflict in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

      •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역할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대상자는 서울 및 인접지역에 소재하는 1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 183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수간호사역할 측정도구로는 행정관리자 역할 18문항, 임상간호사 역할 14문항,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 12문항, 지도자 역할 12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역할수행시의 장애요인에 관한 문항은 문헌고찰을 기초로, 수간호사에게 사전조사를 시행하여 연구자가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4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분산분석, 교차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간호사의 역할인식 총합의 평균은 196.46점(224점 만점 기준)이며, 평균은 3.50점(4점 만점기준)으로 중간이상의 높은 인식정도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은 임상간호사 역할의 인식도가 3.57로 가장 높았으며, 지도자 역할(3.56), 행정관리자 역할(3.52),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3.39) 순이었다. 2. 역할수행정도의 총합의 평균은 174.55점이며, 평균은 3.10점으로 중간이상의 수행정도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은 행정관리자 역할의 수행정도가 3.2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임상간호사 역할(3.15), 지도자 역할(3.10),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2.90) 순이었다. 3. 수간호사역할 인식과 역할수행정도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계수=0.50, P=0.00),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간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18.033, P=0.000). 4. 수간호사역할 수행시의 장애요인은, 과중한 업무가 가장 많았으며(20.6%) 물적 인적자원의 부족(16.0%), 지식 및 경험부족(12.3%), 적절한 지지체계 부족(9.8%), 규칙 및 절차의 비효율성(9.2%) 등의 순이었다. 수간호사의 역할수행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 항목은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기회 제공’으로서 응답자의 45.9%가 선택하여 1순위였으며, 적성 및 능력과 전문성을 고려한 부서 배치 및 이동, 인적 물적 자원의 적절한 지원의 순이었다. 5. 수간호사 역할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의 결과, 임상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과 급여체계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정도는 증가하고, 호봉제보다는 연봉제의 경우 수행정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수간호사의 각 영역별 역할수행정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역할인식이었으며, 전반적인 수간호사의 역할수행에 있어 임상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또 연봉제의 급여체계 적용 시 호봉제에 비해 역할수행정도가 높음이 밝혀졌다. 이는 전문직으로서, 임상간호사로서의 본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전체 수간호사 역할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하며, 실제 업무수행의 성과에 따른 적절한 보상 및 인정이 수행정도를 높이는 동기가 됨을 설명해준다. 반면 다양한 역할에 따른 업무의 과중함과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이 역할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영역별 수간호사의 역할인식은 비교적 고르게 높았으므로 각 영역에 대해 균형적으로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의 지지요인과 장애요인을 고려한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head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The device on role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d nurses has 56 questions in which 18 for the role as the administration manager, 14 for the role as clinical nurses, 12 for the role as educator and researcher, and 12 for the role as the leader.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 2004 to may, 2004.Th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Head nurse had a good cognition of their role with the average score of 3.50 in a 4-point scale. clinical nurse role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leader, administration manager, and educator and researcher.2) The average score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 was 3.10 in a 4-point scale,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role cognition(3.50). administration manager role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clinical nurse, leader, and educator and researcher.3) Role 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was mostly correlated with r=.50 (P=0.000), meaning those head nurse with high role cognition were likely to do better role performance.4) In the barriers to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overwork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ack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5)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affecting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role cognition as a clinical nurses and pay system.

      •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실천이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태교실천이 부모의 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이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실천, 부모역할인식의 일반적 경향성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태교인식과 실천, 부모역할인식 차이는어떠한가? 3.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실천 및 부모역할 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실천 수준이 부모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인터넷 네이버 카페 어머니들의 커뮤니티인 “맘스 앤베이비”에서 20세~40세 출산을 경험한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이기영(1993)개발, 신용분(1999)수정, 문희수(2002)가 다시 수정·보완한 태교인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태교실천 도구는 최연순, 김현옥(1995)개발, 김은숙(2000)수정, 문희수(2002)가 다시 수정·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도구는 한국어로 번안한 Macphee, Benson &Bullock(1986)의 Self–percept ions of the Parental Role(SPPR)을 사용한 이송은(2012)의 도구를 다시 수정 보완한 조원주(2020)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산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 검증으로 Scheffé검증, Pearson 상관계수 산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태교인식 평균은 3.86, 태교실천은 3.76으로 태교인식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태교실천은 교감발달실천이 가장 높았고, 부모역할 인식은 부모역할에 대한 투자인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연령별, 학력별, 자녀수,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40대 이상, 대학원 졸업, 자녀 1명,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태교인식, 태교실천, 부모역할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태교 인식이 높을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도 높고,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태교실천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태교인식과 태교실천 요인들은 부모역할 인식을 14.4% 정도 설명하였으며,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태교인식은 부모역할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교실천 요인 중에서는 교감발달, 인성발달, 요인이 부모역할 인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교인식 보다는 태교실천이 부모역할 인식에 더 중요한 요소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에 태교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태교 프로그램 개발 및 적극적 홍보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actice on parental role awareness in mot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mothers'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actice and parental role awareness? 2. How do mothers'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actice and parental role awareness differ by their general background? 3. How are mothers' prenatal training awareness, prenatal training practice, and parental role awareness correlated with one another? 4. How does the level of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actice affect parental role awareness in mot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70 women aged between 20 and 40, who had given birth, from Moms and Babies, which is a mothers' community of Internet Naver Cafe. The prenatal training awareness inventory, which had been developed by Lee (1993), adapted by Shin (1999), and readapted by Moon (2002), was used to measure prenatal training awareness. The prenatal training practice inventory, which had been developed by Choi and Kim (1995), adapted by Kim (2000), and readapted by Moon, was used to measure prenatal training practice.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Perceptions of the Parental Role (SPPR), which had been developed by Macphee, Benson and Bullock (1986), applied by Lee (2012), and adapted by Cho (2020), was used to measure parental role awareness. An SPSS 26.0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through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thers scored slightly higher for prenatal training awareness than for prenatal training practice on average: 3.86 and 3.76, respectively. They scored highest for rapport development practice among the sub-areas of prenatal training practice and for perception of investment in the parental roles among the sub-areas of parental role awareness. Second, significant variation was found by the mothers'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and occupation status.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or older, who were graduate school graduates, who had one child, and who had a job showed higher levels of prenatal training awareness, prenatal training practice, and parental role awareness. Third, the more aware of prenatal training the mothers were, the more aware of the parental roles they were; the higher level of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enatal training practice the mothers showed, the more aware of the parental roles they were. Fourth, the factors for prenatal training awareness and practice in mothers accounted for about 14.4% of parental role awareness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Mothers' perception of prenatal train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al roles; such factors for prenatal training practice as rapport development and character developmen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arental role awarenes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renatal training practice is more important element for parental role awareness than prenatal training awareness. The efforts to develop various prenatal training programs and give information on prenatal training to married couples on a regular basis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enatal training practice in activating prenatal training practice.

      •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인식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행수준

        이용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교사역할인식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유아교사가 통합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자신의 역할 인식과 스스로의 수행정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기대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힘들게 자신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교사역할인식에 대한 기 대 수준과 실행 수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가 수행하는 교사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행 수준의 정도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통합반 유아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Kim(2000)이 개발한 ‘유아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사 자질에 대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General and Speci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acher Competencies for Working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을 번안, 수정한 정계숙 외(2000)의 연구도구를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 F 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역할인식의 기대수준이 실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별로 교사의 연령이 높고, 장애통합수업의 경험이 많을수록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역할인식의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아교사의 학력에 대해서는 ‘대졸 이상’의 경우 기대수준은 높은 반면 실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졸’의 경우에는 기대수준에 비해 실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역할인식이 기대수준에 비해 실행수준이 낮으며, 이러한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은 교사의 장애통합수업 경험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ㆍ고등학교 배구팀의 역할인식과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고민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배구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으로 주장의 리더십 유형과 팀 구성원들의 역할인식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배구팀을 운영 중인 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조사대상을 설정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242(97%)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사회조사분석 프로그램인 SPSS WIN 11.5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ㆍ고등학교 배구팀의 역할인식과 주장의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인식과 리더십 유형,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ㆍ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의 경우 남학생들이 주장의 리더십 유형에서 인식이 높고, 역할인식에서는 남학생이 개인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에서는 자기결정력 요인에서만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입상경력에 따라서는 ‘입상경력이 있는 집단’이 주장의 리더십 유형 중 상황적 보상 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역할인식 요인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임파워먼트 요인에서는 의미성, 영향력, 역량 요인에서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임파워먼트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 일수록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더욱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에서의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선수는 리더십 유형의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영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선수 경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할인식 요인은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이 임파워먼트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리더십 유형에서는 상황보상 요인이 임파워먼트의 의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현재 중ㆍ고등학교 배구팀에서 팀의 성과를 위해 집단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주장의 리더십과 팀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스스로 인식하고, 동료선수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 때 가능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mpowerment on which the leadership and the role-recognition of a middle&high school's volleyball team member have an effect, as an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The subject of this study mainly includes middle&high schools that have a volleyball team and analyzed the 242(97%) results of questionnaires to 250 persons(except of ones without serious attitude) for an actual proving. We calculated Cronbach's α to verify the data, performed an factor analysis to find the propriety of constitution. We ran SPSS WIN 11.5-for T-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empowerment on which the types of leadership and the role-recognition of a middle&high school's volleyball team member impact. First, the result that we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role-recognition of team member, the types of leadership and the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properties, indicated that male members have the high recognition in the types of leadership factor and the individual role factor, and in the empowerment factor high only in the self-determination power. Second, according to prize-winning records, the group with a prize-winning record has the high situational reward factor among the types of leadership, and in the role-recognition factor,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factors, and in the empowerment factor, the meaningfulness, the impact power, the competency was hig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ade, all grades of member has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factors of empowerment, and the higher degree are they in, the higher recognition of the empowerment have they. Third, members who are in the important position in a team showed meaningful distinctions in the charisma and the intellectual stimulus in the types of leadership factor, and was high in the meaningfulness and the impact power in the empowerment factors. In addition, the more career members have, the higher empowerment factor they showed. Forth, in the role-recognition factor, the task-role and the group-maintenance role impacted significantly on the empowerment factor. In the types of leadership, the situational reward factor impacted on the meaningfulness of the empowerment factor. After considering the results, to make the current mild & high school's volleyball team obtained a good result in the game. team leaders should have strong leadership and each member of the team have to recognize their role, and the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should be functioned efficiently.

      • 패션 샵마스터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최경아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샵마스터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규명하고 점포 및 의류상품의 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역할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더욱 활성화된 샵마스터 전문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고객관리에 관한 문항, 매장관리에 관한 문항, 정보관리에 관한 문항, 직무환경의 특성에 관한 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서울과 경기지역 백화점 및 로드샵에 근무하는 샵마스터를 대상으로 2003년 4월 25일에서 5월 1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Package Program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t-test, 그리고 ANOVA 분석 및 Duncan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샵마스터가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유형화하면, 고객관리에서는 구매 후 고객관리, 단골고객관리, 구매전 고객관리로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중 구매후 고객관리는 19.23%를 설명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매장관리에서는 단골고객 서비스관리, 매장과 판매사원관리, 매장 VMD 관리로 명명되는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중 단골고객 서비스관리 21.38%를 설명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관리에서는 5개 요인인 본사와의 정보교환, 단골고객의 개인정보관리, 단골고객과 제품정보교환, 제품정보관리, 단골고객과 브랜드 정보교환으로 명명되었고, 이 중 본사와의 정보교환이 18.38%를 설명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포 및 의류상품의 특성에서는 직영점/디자이너부틱이 3가지 역할 모두를 높게 평가 하였고, 복종별로는 고객관리와 매장관리에서 여성복과 아동복이 다른 복종보다 샵마스터의 역할 인식이 높았다. 브랜드유형별로는 디자이너 브랜드가 3가지 역할 모두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가격대별로는 고가/최고가에서 샵마스터의 3가지 역할 모두를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샵마스터의 개인적 특성에서는 3가지 역할 모두를 40대 연령의 샵마스터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학력별로는 샵마스터 역할에 있어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고, 월수입에서는 고 소득의 샵마스터가 단골고객 관련요인에서 역할을 높게 인식 하였다. 경력별로는 평균 10년 이상의 판매 노하우를 가진 풍부한 경력의 샵마스터들이 고객관리, 매장관리, 정보관리의 모든 역할을 높게 인식 하였다. 이 밖에도 샵마스터의 역할수행정도에서는 '잘하고 있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직무만족에 있어서도 대부분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specialization of more activated shop master by identifying the role of which shop masters are conscious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role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ore and clothing products and personal traits.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 and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the items relating to customer management, the item relating to store management, the item relating to information management, the item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environment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shop masters working department stores and road shops in Seoul and Kyonggi district over the period between Apr 25 and May 10. 2003. A total of 242 questionnaires were used as data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when the role the shop master understood was typified. three factors were elicited such as post-purchase customer management, repeat customer management and pre-purchase customer management in customer management. Of them, post-purchase customer manage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by explaining 19.23%. In store management, three factors were drawn that were named repeat customer service management, store and salesperson management, store VMD management in store management. Of them, repeat customer service manage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by explaining 21.38%. Finally, in information management, five factors were named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head office, individualrepeat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product information exchange with repeat customers,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br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repeat customer, of which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head offic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by explaining 18.38%. Secon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re and clothing products, the directly managed store/designer's boutique evaluated all of three roles, and in terms of customer management and store management by clothing type, women's clothing and children's clothing were higher in the shop master's role consciousness than any other clothing type. By brand type, designer brand understood all of three roles highly. By price range, all of shop master's three roles were highly understood in high price and the highest price. Third, in terms of the shop master's personal traits, shop masters in their 40s perceived all of three roles.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the role of the shop master. The shop master with high monthly income had the high perception of their role in the factor related to repeat customers. In terms of experience, shop masters having abundant experiences of more than 10 years with the sales knowhow highly perceived all roles of customer management, store management andinformation management. In addition, in the degree of carrying out the shop master's role,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the high response of 'Do good job', and most of them felt satisfied with current job satisfaction.

      •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과의 관계 연구

        홍경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교육의 3대 요소 중 가장 핵심인 교사는 교육활동 주도 및 아동의 학업성취와 자아실현을 극대화하는 핵심적 위치에 있으며, 특히 기초교육으로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유발과 태도 및 학업의 기본적 성취를 결정하는 결정적 시기의 초등교육에 종사하는 초등교사의 가르침과 태도에 의해 아동의 전체적 학습경향이 결정되므로 아동의 교육을 맡은 초등교사의 역할 및 행동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천가로서 초등교사는 초등교육학적 이론을 배경으로 고유하고 특별한 전문적 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행동수행을 통해 교육활동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실제적 행동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역할인식 및 행동수행수준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과 교사행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versio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검증 및 F검증(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한 후 1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2차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기초배경에 따른 교사의 전문적 역할 인식 및 행동수행에서 학교규모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있었으나 성별, 직위별, 교육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가 없었다. 둘째, 교사의 역할인식 및 행동수행 차이분석에서 교사의 인식한 전문적 역할인식은 높았으나, 실제 현장에서의 행동수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초등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인식과 행동사이에 유의미한 관계성이 있으나 그 관련정도가 미미하였다. 넷째, 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과 교사행동수행의 하위영역과 관련하여 인식에서는 생활지도, 학습지도, 학급관리 순으로, 행동수행에서는 생활지도, 학급관리, 학습지도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제 인식정도도 그 결과가 같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교사의 전문적 역할인식은 높았으나 실제 현장에서 교사행동수행정도는 낮으므로 교사 스스로 전문적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풍토 및 환경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지도, 평가, 교육과정 및 교재연구와 관련된 규범적 역할인식 및 수행강화를 위한 실질적 현직연수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인식과 행동수행의 관계분석에서 인식과 행동은 서로 관련성은 있으나 그 관련정도가 미미하여 교사의 인식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행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 자신의 교육철학과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이 가장 중요한 교육환경이라는 인식하에 현장 및 학급 내에서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하고 반영할 수 있는 행동력을 스스로 키워가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 임상간호사의 역할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

        배분희 경산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hange, people's desire and hope for health has been increased, and social expectation for the nursing profession has been changed. Consequently, the role for nurse has also been widened and strengthened. First of all, nurses must have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eir job efficiently, to achieve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and to achieve the goal of nursing organiz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role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86 staff nurses working at fou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geu city and Kyungbook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0th, 2001 to April 17th, 2001. The tool of measurement used in the study were Kang sung-hee's scale of Role Perception(1988) and the revised Paula's scale of Job Satisfaction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howed average point of 4.30 for the degree of role perception (maximum 5). The average point for the qualification is the highest(4.41), followed by treating role(4.37), observational and regulating role(4.30), socio-psychological role(4.21), physical safety role(4.07). 2) The subjects showed averge point of 2.85 fo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maximum 5). The average point for interaction is the highest(3.47), position(3.20), followed by autonomy(3.05), doctor-nurse relationship(2.85), payment(2.47), administration (2.45), and job requirements(2.41).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role percep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ducational level, religion , motive of taking nursing job(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marriage status, working department, and total career of service. 4)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al level, working department, total career of service, and position(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religion, or motive of taking nursing job. 5)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0.286, P<0.0001); In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factors of role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 showed the highest point and the qualification factor showed the lowes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role perception correlates with job satisfaction, but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is low. On this study, I would make a suggestion as follows: 1)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role perception, the scientific study of reanalysis of the job is needed. 2)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the standardization for the redistribution of human power and job is needed. 3) In-depth study considering th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should be performed.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국민의 건강에 대한 욕구나 기대가 양적 질적으로 증대되었고 간호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기대도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 역시 다양하게 확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고 효율적인 역할수행과 간호의 질적 향상 간호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간호사들 스스로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명확한 역할인식과 직무만족수준이 높아야 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역할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명확한 간호의 역할인식으로 직무에 만족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간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에 위치한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86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4월 10일부터 4월 17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역할인식측정도구는 강성희(1988)가 이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 측정도구는 Paula(1978) 등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전산통계처리로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방법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역할인식정도는 평균 4.30(최대점수 5점)이며 각 영역별로는 자질 영역(4.41), 치료적 간호역할 영역(4.37), 관찰 및 조절 간호역할 영역(4.30), 사회심리 간호역할 영역(4.21), 신체적 안위 간호역할영역(4.07)의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2.85(최대점수 5점)이며 각 영역별로는 상호작용(3.47), 전문적 지위(3.20), 자율성(3.05), 의사-간호사관계(2.85), 봉급(2.47), 행정(2.45), 업무요구(2.41)의 순이었다. 3) 역할인식정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학력, 종교, 간호직을 선택한 동기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연령, 결혼상태, 근무부서, 총 근무경력, 직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직무만족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근무부서, 총 근무경력, 직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종교, 간호직을 선택한 동기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역할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286, P<0.001)가 있었으며, 영역별 역할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계수는 사회심리 간호 역할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자질 영역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보면 간호사들의 역할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상관계수는 낮았다. 즉, 역할인식은 높은 반면 직무만족도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1) 역할인식정도대로 간호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간호업무수행의 변화를 위한 과학적인 재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2) 병원현실과 연결된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인력 및 업무의 재분배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대상자를 확대하고, 병원규모와 특성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통해 결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인식 및 양육행동의 관계

        윤선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al role recognition,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fant mothers an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In addition, among the parenting stress and four sub-factors of parental role recognition,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parenting behavior were investigat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mothers of infants aged 0 to 36 months, who responded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role recognition, and parenting behavior, with a total of 148 participants.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among the mot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child's birth rank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parenting stress, and there were no variables showing differences in parental rol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gender of the child differed in parenting behavior. Second, parenting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vestment in parental roles, balance between parental roles and other roles, and satisfaction with parental roles,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miting parenting behavior. Third, parental role recognition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eleme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behavior and sub-element sensitivity and teaching/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behavior. Fourth, teaching/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behavior and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estment in parental roles and competence in parental roles, and limiting parenting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itivity, teaching/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behavior, as well as parenting stress. Lastly,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role recognit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arenting behavior was investment in parental role. 본 연구에서는 영아 어머니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인식, 양육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역할인식의 네 가지 하위 요소 중 양육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참가자는 0~36개월 영아의 어머니로,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인식, 양육행동의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참가자는 모두 148명이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의 개별적 특성 중 자녀의 출생순위가 양육스트레스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역할인식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 없었다. 또한 자녀의 성별은 양육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역할에 대한 투자, 부모역할과 다른 역할간의 균형감, 부모역할 만족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제한설정 양육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역할인식은 각 하위요소 간에도 정적상관을 보였고, 양육행동과 하위요소인 민감성,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행동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행동과 민감성은 부모역할에 대한 투자, 부모역할에 대한 유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제한설정 양육행동은 민감성,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행동 뿐 아니라 양육스트레스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인식의 네 가지 하위 요소 중 양육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역할에 대한 투자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