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김유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거부민감성, 역기능적 분노표현, 자기자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자기자비와 그 하위요인인 자기친절, 보편적 인간성, 마음챙김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정도를 자기자비가 완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하위요인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자비를 활용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19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rejection sensitivit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self-compass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various types of analysi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sub factors. Second, self-compa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sub fact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i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편집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탈중심화의 간접(매개)효과

        조재희 경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anoid Disposi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adult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Paranoia Scale(P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Decentering Scale.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include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n acceptive goodness of fit indices. Also,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ts,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ternalized Shame and Decentering affected indirectly between Paranoia Disposi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 자기침묵 매개효과

        최한나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침묵이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49세의 성인남녀 272명을 대상으로 거부 민감성 척도,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중 하위요인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 관련한 16문항, 자기침묵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변인들 간 상관분석과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인 분노억제, 분노표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자기침묵 또한 분노억제, 분노표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을 통해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자기침묵이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rejection sensitivity, self-silencing,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of adults.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self-silenc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For this purpose, 272 adults ranged from 20 to 49 years old participated in completing online surveys composed of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16 items related to anger-out and anger-in, which were sub-factors from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and Silencing-the Self Sca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ing and anger-in and anger-out, which were par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and, self-silencing also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anger-ou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indirectly affected anger-in and anger-out through self-silencing; this implied self-silencing fully mediated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self-silencing,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수빈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매개효과를 마음챙김이 조절 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인 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RSQ), 분노반추(K-ARS), 역기능적 분노표현(STAXI-K), 마음챙김(K-FFMQ)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 간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음챙김 및 다른 세 변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분노반추에 영향을 미쳐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분노반추와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노억제는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자동, 관찰, 비판단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비자동, 관찰, 비판단의 수준이 높을 때 분노반추와 분노억제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분노반추를 통해 역기능적 분노표출을 증가 시키며, 마음챙김의 하위요인 중 비자동, 관찰, 비판단은 분노억제를 완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분노표출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판단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비판단을 할수록 분노반추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서

        윤줄리아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09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잉간섭이 인지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과잉간섭과 인지적 유연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검증을 위하여 총 65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pielberger, Kranser 와 Solomon(1988)의 분노표현 척도와 허묘연의 양육태도척도, Dennis와 Vander(2010), 홍숙지(2005)의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637부가 통계처리 되었다.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위해서는 Pearson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 과 Kenny(1986) 방법론에 의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과잉간섭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세째, 지각된 부모과잉간섭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이 분노 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부모의 과잉간섭이 자녀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을 예측하는 중요 변임이며, 그 사이에 인지적 유연성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것은 역기능적인 분노 표현을 막기 위해서 인지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 역기능적 분노 표현, 인지적 유연성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rusivenes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this study, 637 high school students (286 boys, 351 girl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rental Intrusiveness Scale pulled by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Huh, Myo Yeon, Anger expression scale by Spielberger, Kranser & Solomon (1988),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by Hong, Suk Ji(2005), and Cognitive Flexibility by Dennis & Vender Wal(2010).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anger expressi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anger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lower the child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r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and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high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Second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al intrusive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dysfunctional expression.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was a factor that played a role of having an influence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nal expression. Therefore, it illustrates that balanced and appropriate parental behavior is needed to foster cognitive flexibility, and that cognitive factor has an impact in decreasing dysfunctional expression.

      • 강박과 분노의 관계 : 적대적 귀인편향에 의해 조절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주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에서는 강박과 분노의 관계에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이 낮은 지각된 통제감과 분노의 관계에 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36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증상 목록(OCI-R-K),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한국판 Shapiro 통제척도(K-SCI), 가설적 상황도구(Hypothetical situation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박증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강박증상은 낮은 지각된 통제감을 매개하여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지각된 통제감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적대적 귀인편향이 높을수록 낮은 지각된 통제감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합한 강박증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사이를 낮은 지각된 통제감이 매개하는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강박증상이 낮은 지각된 통제감을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가는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이 위험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부모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침묵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이중매개효과

        최소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2

        본 연구는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소재의 만 18세 이상 만 35세 미만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부모화, 자기침묵,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는 대체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화는 자기침묵,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부모화 돌봄을 제외한 부모화 불공평만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침묵은 분노억제,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분노표출과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은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중 하나인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화 불공평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억제의 개별 매개효과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부모화 돌봄과 우울, 부모화 불공평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개별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fication. To investiga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36 adults aged 18 to 35 in Korea, using the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FRS-A), Silencing The Self Scale (STSS), State-Trate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fic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d depression. parentification-unfair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i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depression, not anger-ou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the individual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e and anger-i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unfairness and depression. Third, parentification-care had a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unfairness and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임문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2014년 4월 16일,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 사건이 있었다. 온 국민이 깊은 슬픔에 빠졌으며, 동시에 이 사건을 유발시킨 사람들에 대한 분노감에 휩싸였다. 사건이 발생한지 수일이 지난 지금도 분노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분노가 지나칠 경우 자살, 묻지마 범죄, 학생들 간의 폭력 사건, 직장 내에서의 살인사건과 같은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분노로 유발된 이런 사건들의 대부분은 대인관계 불만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이처럼 청소년들에서 성인까지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때 분노라는 감정을 느끼게 된다. 최근 들어 분노의 인지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분노반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분노반추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에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매개효과를 갖는가? 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2개 대학, 대구광역시 1개 대학, 강원도 1개 대학 총 4개 대학의 대학생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과 Sobel 검증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영역 중 냉담에서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 = 2.159, p < .05). 둘째,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500, p < .01). 특히 분노반추가 분노표출(r = .295, p < .01)보다는 분노억제(r = .503, p < .01)와 더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와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425, p < .01). 분노기억반추와 보복반추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영역인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원인반추도 통제지배와 자기중심성을 제외한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역기능적 분노표현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506, p < .01).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분노표출은 비주장성과 자기희생을 제외한 사회적 억제, 과관여,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분노억제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영역인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섯째,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184, p < .01). 분노반추는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 중 자기중심성, 비주장성, 과관여, 사회적 억제, 과순응성, 자기희생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여섯째, 역기능적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분노억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449, p < .001). 하지만 분노표출은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 중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비주장성에서는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반면, 분노억제는 통제지배를 제외한 냉담, 자기중심성, 비주장성, 과관여, 사회적 억제, 과순응성, 자기희생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일곱째,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18.1%이었으나,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을 함께 투입 되었을 때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19.6%로 증가하였다. 또한 분노반추와 분노억제가 함께 투입 되었을 때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33.9%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분노로 인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분노반추에 대한 탐색과 통제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자신의 분노를 적절히 통제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기능적 분노표현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분노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들을 상담할 때, 정서(분노)-인지(분노반추)-행동(분노표현)으로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상담해야 한다. April 16, 2014, there was the accident of sunken ferry Sewol’s. The whole country has fallen into grief, and the nations are furious with them who caused the accident. Days passed the disaster, many people still feels furious. But, if the anger is extremely severed, it will lead to devastating consequences such as suicide, do-not-ask crime, the violence in schools, and a murder at workplace. Anger causes many incidents, and it results from interpersonal dissatisfaction. In this way, most people from youth to adult are fac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y feel the emotion of“anger”. Recently, interest of the cognitive factors for anger is increasing, and especially“Anger ru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or not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out, anger-in) affect to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see the mediation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out, anger-i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anger rumination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how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mediation effect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ree hundred twenty four men/woma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come from Seoul, Daegu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participate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he questionnaires of Anger Rumination Scale(K-A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Korean version(STAXI-K) and 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Scales(KIIP-SC). SPSS and Sobel test were used for date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aliabilit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conducted to prov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ale students have more difficulties than female students in cold of interpersonal problems (t = 2.159, p < .05). Secondly,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r = .500, p < .01). Especially, anger rumination has a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r = .503, p < .01) than anger-out(r = .295, p < .01). Thirdly, the study found that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r = .425, p < .01). Memories rumination and rumination of reveng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interpersonal problems. Also, Rumination of cause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xcept domineering and vindictive. Fourthl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r = .506, p < .01).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xcept nonassertive and overly nurturan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from all parts. Fifthly, anger rumination yield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β = .184, p < .01). Anger rumination yield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indictive, nonassertive, intrusive, socially avoidant, exploitable and overly nurturant of interpersonal problems. Sixthl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do not affect significantly on interpersonal problems, bu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do affect (β = .449, p < .001). However, anger-out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omineering, vindictive and intrusive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negative effect on nonassertive. On the other hand, Anger-in yield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nassertive, overly nurturant, cold, vindictive, intrusive, socially avoidant, exploitable and domineering of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study says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explanation point of relation anger rumination to interpersonal problems is 18.1%. And after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put together, the correlation increase by 1.5% to 19.6%. When anger rumination and anger-in put together, it is greatly increasing to 33.9%. As a result of this conclusion can be drawn as follows : First, when you take counsel with client who has a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caused anger, you need to explor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intervention for control. Secondly, functional anger expression program must be implemented to help control and express their own anger properly. Lastly, when you take counsel with client who has a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caused anger, you need to hav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emotion(anger) - cognition(anger rumination) - behavior (anger expression)"

      •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부지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XI-K),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한국판 특질상위기분척도(TMMS)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SPSS통계프로그램과 Sobel 검증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분노표현,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문제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 중 분노표출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기능적 분노표현,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하위변인과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각 변인이 대인관계문제의 하위변인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결과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부분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역기능적 분노표현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내담자가 분노로 인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학습과 훈련 등으로 이루어진 정서인식명확성 증진을 도와주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상담 개입을 통하여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in the effect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patterns on interpersonal problems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52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s for the research tools,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STAXI-K),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problem test circular scale (KIIP-SC),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aracteristic crisis scale (TMMS) were used. For the data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ob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of advers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clarity of emotion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foun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anger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among the lower factors of revers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cond,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lower spokesperson on interpersonal issues in relation to advers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clarity of emotion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each spokesperson could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lower spokesperson. Third, the effect of invers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was identified, and it was found that inverse functional anger ex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ly explains interpersonal problems by partial intermediation. As such,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patterns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ffecting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hen a college student client consults a client with interpersonal difficulties due to anger, it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counseling intervention applying a program to help improv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such as learning and training to clearly recognize emotions of oneself and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