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청소년의 자아실현 인식에 관한 연구

        김문숙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Even though we meet numerous people in the walk of life, the most familiar and, at the same time, the strangest one is ourselves. Normally, we know ourselves more than any others, we are totally stranger to ourselves occasionally. It is the most difficult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know oneself. Because knowing oneself is the first step to self-realization.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self-realization among female adolescents and researching the methodological approach to lead exploration to themselves in the appropriate time. Furthermore, it also seeks the ways of building gender equality at the career through self-realization of female adolescents. In addition, it intends to find a way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in Korea ultimately. Women are still restricted to the job opportunities more than men. There has been a lots of changes an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ast, but it doesn't transgress the structure of inequality partly. For one thing, men hold a dominant position in education. And the gender gap in the period of education is getting larger and larger. This is one of the reasons women stand for much less proportion in career decision making. Women take possession of half of the population in this world, it can be predicted that, when women can show their potentials enough, they can produce adventurous and active future human resources. However, there are some obstacles in self-realization of female adolescents, especially in economic part. Though many female adolesc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being woman and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need of looking for job, it is found that they thought appearance is the most needed factor: once they can attain a certain standard of beauty, they can find a positive self as a woman and be recognized in society. In considering future job, the value of means to make mone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t is also found that if they can make a good living, they do not think that they need to work or study, either. This can be shown as marriage for a better social status is considered among female adolescents. Adolescents are pushing to study hard, and their ultimate goal of studying is not achieving accomplishments in career, but making a good liv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have a specific goal of studying and introspective thought. Here are some measures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economic self among female adolescents. First, it is needed to perceive female adolescents more active subjects and lead them more active way. They are still considered to be passive by the older generation. What is more, even in the school, they are led to be assistant of male students. Training programs to encourage them more active in school are needed. Second, such programs which are introduced above should be utilized at the appropriate time. Volunteer activities and programs where they can learn various social roles are needed to be developed. These programs w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ir future role in society in advance, and this will make them find their real dreams. Third, public places where can deliver the positive messages to female adolescents should be established. What they learn during their adolescence lasts for the rest of their life regardless of gender. Even a sentence in the book lasts forever. It can maximize the positive value of life, therefore, if we make a public space which participates local leaders and share their dreams and visions with adolescents. This will make them get out of Cinderella complex. It will also affect the social atmosphere that judges women by their appearance. This atmosphere are encouraged by not only men but also women. Fourth, the child care policy should be expanded. After decades, these female adolescents will give a birth to their child. Recently, support for the child care system are getting increased, it needs to be expanded in some ways. Considering high fertility is the key solution to the population aging, institutional improvement that makes day care policy take up the important part in social welfare budget is needed. This won't make child care as an obstacle to career and guarantee nondiscrimination to women because of child care. Women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the future economy. Programs which provides chances to seek oneself and participate in society can give them a real model of career woman. And they will be the role model to the next generation.

      • 창의적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여성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장연경 순복음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인간은 누구나 행복하고 보람 있는 삶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행복한 삶은 즐거운 기분을 느끼면서 자신의 일에 몰입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성공이 따라 오게 된다. 건강한 성인으로 행복한 삶을 실현하기 위하여 청소년기부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창출한 자아실현과 주변을 돕는 이타실천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여성청소년의 자아실현을 이루고, 열정적으로 몰입하는 내재적 동기가 강한 사람으로 성장을 지원하고,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진로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여성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특히 이타실천으로 음악치료 전문봉사활동에서 재교육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진로성숙도의 시너지 효과가 증가되고,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A여자고등학교에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2019년 4월 5일∼10월 25일 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12회기에 걸쳐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의 회기별 활동지와 만족도 조사, 표준화된 검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MBTI, 홀랜드흥미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의 자아존중감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질적 분석에서도 여성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와 표현력 향상 및 성공적인 활동경험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원인분석력과 충동통제력, 감정통제력, 생활만족도, 낙관성,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질적 분석에서도 성공적인 음악 활동의 상호교류와 음악치료 전문봉사활동에서 즉흥연주를 통하여 감정을 표출하고 긍정 에너지를 흡수하며 연주할수록 의사소통이 더 잘 되는 등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고 카타르시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진로계획성, 자기지식, 진로행동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질적 분석에서도 진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미래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는 등 자기지식과 진로계획성, 진로행동에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에 실험집단의 여성청소년은 회복탄력성과 진로성숙도에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음악치료를 통하여 즐거움을 느끼고 문제에 부닥쳐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음악치료 과정에서 선생님의 지도는 진로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다섯째,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 참가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여성청소년을 비교분석한 결과 가정의 자아존중감, 원인분석력,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진로성숙도, 자기지식의 사후 점수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의 자아존중감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는데, 이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양한 범위에서 정(+)의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청소년의 행복한 삶의 실현을 위하여 자아실현과 이타실천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입증하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음악치료 전문봉사활동을 통하여 진로 체험활동의 연계가 되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창의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사회문제 해결 및 예방적 차원에서도 학교,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상담센터, 비행 청소년의 교정복지 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무상생리대 사업의 젠더정치 : '생리빈곤'을 통한 여성청소년 문제의 재구성과 선택적 개입

        탁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thesis analyzes how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have reconstructed the "adolescent girls’ probl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se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 2016 "insole girls" scandal — an issue about a girl who could not afford to buy sanitary pads and used shoes' insoles instead. The "insole girls" scandal was an unverified incident, in which it is unclear whether the "insole girl" really existed or whether the incident occurred. The scandal originated from a tweet on Twitter regarding a controversial debate about the announcement of the price-raising plan by Yuhan-Kimberly, the dominant producer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in Korea. The tweet mentioned, "I heard that a friend of mine used shoe insoles instead of sanitary pads." Korean media outlets reported the tweet extensively under the headline "insole girls" scandal. After the news broke,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such as corporations and NGOs, introduced and implemented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as an "emergency plan" to address the issue. In the process,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which require long-term and structural solutions, were subsumed under procedural discussions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period povert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 of reducing the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to "period poverty" and sanitary pads from a gender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thesis conducts literature reviews, critical discourse analyses, and in-depth interviews. Accordingly, it requires the analysi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ws, articles, and images related to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early March to the end of August 2021 with 16 "beneficiarie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nd ten other program participants, including activists from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the local government, and companies. Key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ecame a place where the various contexts and need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al actors converged. This thesis places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in the context in which women's agenda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s "social services," focusing on family policies as low birth rate solutions since the 2000s. During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governments, the women's movement agendas that infiltrated national organiz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as family agendas, such as childcare.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ized women’s or family agenda as "services" with specific targets through the social service voucher system introduced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introduced in 2019, was a sort of extension of the existing women's policies, focusing on supporting "unprivileged women" through social services and not on structur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ssues. Meanwhile, private companies articulat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with language such as "rights," "care," and “empowerment.” They sought to represent themselves as companies contributing to social change, being more "careful" institutions th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llowing the "insole girls" scandal, NGOs expand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o Korea, conduct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phere targeting the "Global South." NGOs have adopted new "crisis" representation strategies suitable for Korean society, mobilizing the "insole girls" scandal as primary advertising material for fundraising. In the field of Korea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partner, the heterogeneous contexts and needs of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converged into one goal: supporting sanitary pad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Second, the discourse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reveals how adolescent girls' agendas are problematized in Korean society and the dynamics in which adolescent girls are positioned as "deserving" subjects to receive public resources. I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appeal for patriarchal protection and relief for "girls at risk," using patriarchal paternalism discourse, or emphasize that the "same starting line" should be provided in adolescence using liberal fair discourse. They also position the programs as investments in "productivity" regarding the family or population relative to adolescent girls' ability to reproduce, using the low birth rate frame, an essential topic of women's policy in Korea since the 2000s. Alternatively, they emphasize the gendered and classified normative sexuality of "girls at risk." As such, although the "insole girls" scandal is referred to as a "poverty" issue among adolescent girls, the process of intervening to address the problem has been dominated by rhetoric emphasizing adolescent girls' reproductive health and the need for protection and the provision of "equal opportunity" in adolescence. Third, the belief that "protecting" adolescent girls through sanitary pad support instead becomes a mechanism that invisiblizes the complex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where age, gender, sexuality, and class intersect. The idea of caring for adolescent girls with segmented services such as sanitary pad voucher programs makes it challenging to possess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needs and competencies of these lives. Meanwhile, like other program participants, "beneficiaries" are also the subject of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insole girls" scandal or the advertisement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beneficiaries" also view and analyze the stigmatized figure of “girls at risk” represented in the program,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support they receive. Thus, adolescent girls who participated in this thesis sometimes ignored the programs, refused to identify themselves in the "beneficiary" category, or were internally conflicted while strategically using the grammar of the dominant discourse necessary to be considered a "deserving beneficiary." This thesis argues that critical feminist inquiry should intervene in the existing trend in which adolescent girls’ menstruation is problematized and “protected”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in a patronizing manner. This ‘selective’ protection ignores the complex challenges and needs of adolescent girls’ lives, thereby making it more challenging to find comprehensive and structural solutions to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This thesis contributes to feminist knowledge on policies and programs regarding Korean adolescent girls. This thesis also aims to further politicize the feminist discourse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situating and analyzing the programs in the larger Korean gender politics. 본 논문은 2016년 ‘깔창생리대’ 사건 이후 정부와 민간의 무상생리대 사업이 어떻게 ‘여성청소년 문제’를 재구성하고 선택적인 개입을 제도화, 상품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깔창생리대’ 사건은 사실상 그 당사자의 존재나 사실여부 등의 실체가 불분명한 사건이었다. 이는 국내 주요 생리대 제조업체인 유한킴벌리의 생리대 가격 인상 계획 발표에 대한 논란이 일던 가운데 한 트위터 이용자가 ‘내 친구가 생리대 대신 신발 깔창을 사용했다더라’고 남긴 트위터 게시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국내 언론사는 해당 게시글을 ‘깔창생리대’ 사건이란 명명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하였고, 정부와 민간은 해당 사건에 대한 ‘긴급대책’으로서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을 도입‧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하는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는 ‘생리빈곤’의 심각성에 대한 강조와 생리대 지원 사업에 대한 절차적 논의로 수렴되어갔다. 본 논문은 이처럼 여성청소년의 어려움이 ‘생리빈곤’으로 환원되었던 과정과 효과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헌연구, 비판적 담론 분석, 심층면접 방법론을 활용한다. 연구자는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과 관련된 정부‧지자체 법령, 기사, 이미지 등을 분석하였고, 2021년 3월 초부터 8월 말까지 무상생리대 사업의 ‘수혜자’ 16명 및 지자체, 기업, NGO, 시민사회단체 등 ‘기타 사업참여자’ 10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생리대 사업은 정부와 민간 기관 행위자들의 각기 다른 맥락과 필요가 만나는 장이 되었다. 본 논문은 여성가족부 주관 생리대 바우처 사업을 2000년대 이후 여성의제가 저출산 대책으로서의 가족정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화되어온 맥락 아래 위치시킨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국가기구에 진출한 여성의제는 아이돌봄 등의 가족의제를 중심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때 여성/가족 의제는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행정의 일환으로 도입된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도를 통해 각기 구체적인 표적을 지닌 ‘서비스’로 제도화되었다. 2019년 도입된 생리대 바우처는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구조적 불평등과 차별보다는 사회서비스를 통해 ‘저발전된 여성’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는 기존 여성정책의 흐름을 따랐다. 한편, 민간 기업은 무상생리대 사업을 ‘권리’, ‘돌봄’, ‘역량강화’의 언어와 접합시켰고, 이를 통해 사회변화에 기여하는 기업이자 정부‧지자체보다 ‘세심한’ 돌봄을 제공하는 기관의 위치를 점하고자 했다. NGO는 ‘깔창생리대’ 사건을 기점으로 국제개발에서 글로벌 남반구를 대상으로 진행해오던 생리대 지원 사업을 국내로 확장했다. NGO는 국내 사업 모금광고에 ‘깔창생리대’ 사건을 주요한 광고 소재로 동원하는 가운데, 한국사회 맥락에 걸맞은 새로운 ‘위기’ 재현 전략을 취했다. 민관협치 형태를 띠는 무상생리대 사업의 장에서, 이 같은 정부와 민간의 이질적인 맥락과 필요는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생리대 지원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수렴되었다. 둘째, 무상생리대 사업 담론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 의제가 문제화되는 방식 및 여성청소년이 공적 자원을 배분 받을 ‘자격’이 있는 주체로 위치 지어지는 동학을 드러낸다. 무상생리대 사업은 가부장적 온정주의 담론을 통해 ‘위기 소녀’에 대한 가부장적 보호와 구제를 호소하기도 하고, 자유주의적 공정 담론을 통해 청소년기에 ‘같은 출발선’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여성정책의 주요 화두가 된 저출산 프레임을 경유하여 무상생리대 사업을 여성청소년의 몸이 지닌 (가족/인구 재생산의 측면에서의) ‘생산성’에 대한 투자로 위치시키기도 하고, 성별화되고 계급화된 ‘위기 소녀’의 규범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기도 한다. 이처럼 ‘깔창생리대’ 사건은 소위 여성청소년의 생리‘빈곤’ 문제로 일컬어지지만, 그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빈곤보다는 여성청소년의 재생산 건강, 청소년기 기회의 평등 및 보호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는 수사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생리대 지원을 통해 이들을 ‘보호’한다는 믿음은 도리어 나이,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이 교차하는 복잡다단한 삶의 어려움을 비가시화하는 기제가 된다. 생리대 바우처 같은 분절적 서비스로 여성청소년을 돌본다는 발상은, 이들 삶의 필요와 역량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갖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수혜자’는 여타 사업 참여자들과 마찬가지로 ‘깔창생리대’ 사건이나 무상생리대 사업 광고를 접하고 해석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수혜자’들 역시 무상생리대 사업에서 재현되는 낙인화된 ‘위기 소녀’ 형상을 보고 해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받는 지원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참여한 일부 여성들은 생리대 지원을 외면하거나 ‘수혜자’ 범주와 동일시하기를 거부하기도 했고, ‘자격 있는 수혜자’로 여겨지기 위해 지배 담론의 문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가운데 내면적 갈등을 느끼기도 했다. 본 논문은 정부와 민간에 의해 여성청소년의 월경이 시혜적인 방식으로 문제화되고 ‘보호’되는 작금의 경향에 대한 여성주의 관점의 비판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택적’ 보호가 복잡다단한 여성청소년의 삶의 어려움과 필요를 생리대로 환원한다는 점, 그로써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문제해결 모색을 어렵게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같은 본 논문의 분석 내용은 기존의 가출, 성매매를 비롯한 ‘위기’ 경험 중심 여성청소년 담론이 2010년대 중반 ‘생리빈곤’을 중심으로 전환되었던 과정을 포착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십대 여성에 대한 정책적‧사회적 개입과 그 함의를 다루어온 여성주의 지식에 기여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의 빈곤과 섹슈얼리티가 다루어져온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 무상생리대 사업을 위치 짓고 비판적 질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무상생리대 사업의 연령‧소득기준, 시행절차 등에 집중되었던 기존 여성운동 의제를 확장하는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 여성혐오로 고통받는 여성청소년을 위한 철학상담

        김하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mergence of “Ilbe” in 2012, the “Soranet” incident in 2016, “the murder of a woman at Gangnam Station”, and “the nth room” incident since 2018, as well as the language expressions used these days, such as "Neugeumma," "Mamchung," "Hyeji," "Kolfemi," and "Kimchi Girl," are clear to our society. The fact is that the 'misogyny' phenomenon of this era has reached a serious level. Accordingly, the problem is that a serious hate phenomenon inevitably involves the pain of those who have become objects of hate. Therefore, many women who are subject to misogyny are also exposed to pain defenselessly, and the most notable part is that there are female adolescents among them. Since adolescence is a transitional perio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nd an important period that forms the basis for personality development, the hate damage that occurs during this period is b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during adulthood. However, among the recent studies related to misogyny, there are quite few studies targeting adolescents, and in particular, few studies have analyzed misogyny phenomena by paying attention to female adolescents. Unfortunately, the damage and pain that female adolescents suffer through misogyny are not revealed, and there is no alternative to misogyny.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the misogyny phenomenon experienced by female adolescents and the accompanying pain, and suggest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First,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pain of female adolescents, I looked for misogyny phenomena that they face in reality, which turned out to be aspects of gender discrimination, female contempt, and sexual objectification. The following examples could be found. In the case of gender discrimination, 'excessive dress regulation only required for female adolescents', 'discriminatory culture of patriarchal families', and 'expressions that discriminate against women's abilities.' In the case of contempt for women, abusive language that demeans their mothers, and incidents that attempt to treat and suppress women sexually inferiorly. And in the case of sexual objectification, 'School Me Too' and 'Expressions that evaluate appearance.' Then, what kind of pain do female adolescents suffer in these misogyny phenomena? This was examined by approaching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experience of behavioral response', 'change of personal consciousness', and 'damage of trust in society'. Next, I looked for key concepts that could help overcome the pain caused by misogyny within Nussbaum, who analyzed disgust, and Adorno's philosophical thinking that suggested the direction humans should ultimately grow and move on. Through this, Nussbaum's "emotional concept" could help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Adorno's "resistance" could help the "experience of behavioral response", Adorno's "critical introspection" could help the "change of personal consciousness", and Nussbaum's "imagination" could help "damage trust in society". And I reviewed how these concepts can be implemented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especially group programs. Ultimately, considering that the core concepts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group programs aim for Adorno's concept of "Maturit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practicing "Maturity"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could be a way to overcome the pain of misogyny for female adolescents and a process of growth. 2012년 일베의 출현, 2016년 소라넷 사건과 강남역 여성 살해 사건, 그리고 2018년부터 자행된 n번방 사건을 비롯하여 ‘느금마’, ‘맘충’, ‘혜지’, ‘꼴페미’, ‘김치녀’ 등 요즘 통용되는 언어표현이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는 분명하다. 바로 이 시대의 ‘여성혐오’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물론 심각한 혐오 현상에는 필연적으로 혐오의 대상이 된 사람들의 고통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즉, 혐오 현상은 그 대상이 되는 이들에게 지극한 고통을 야기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여성혐오의 대상인 여성들 또한 고통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본 연구는 고통받는 여성들 속에서도 특히 여성청소년을 주목하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전환적 시기이며 성격발달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시기임에 따라, 이때 혐오로 인한 피해를 볼 경우 그 영향력이 일반적으로 성인보다 더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수행된 여성혐오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그중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상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여성청소년에게 주목하여 여성혐오 현상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즉, 안타깝게도 여성혐오에서 기인하는 여성청소년들의 고통은 대부분의 경우 은폐되어 있으며, 고통받는 여성청소년을 위한 실질적 대안 역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청소년들이 겪는 여성혐오 현상과 그에 따른 고통을 명명하게 밝히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 철학상담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여성혐오로부터 기인하는 여성청소년의 고통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현실 속에서 마주하는 여성혐오 현상을 살피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성차별’, ‘여성멸시’, ‘성적대상화’의 양상으로 드러나는 여성혐오 현상을 여성청소년의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성차별 의 경우는 ‘여성청소년에게만 요구되는 지나친 복장규제’, ‘가부장제 가정의 차별적인 문화’, ‘여성의 능력을 차별하는 혜지라는 표현’, 여성멸시의 경우는 ‘니 애미와 같은 어머니를 비하하는 욕설’, ‘년이라는 욕설’, ‘여성을 성적으로 타자화하고 억압하려 한 n번방 사건’ 그리고 성적대상화의 경우는 ‘스쿨미투’, ‘얼평, 몸평과 같은 표현’을 그 사례로 찾을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여성혐오 현상들 안에서 여성청소년은 어떤 고통을 겪게 되는가? 이를 ‘부정적 감정의 경험’, ‘행동적 대응의 경험’, ‘개인적인 의식의 변화’, ‘사회에 대한 신뢰의 손상’의 범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혐오 감정에 대해 분석한 누스바움과 인간이 궁극적으로 성장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아도르노의 철학적 사유들 안에서, 혐오로 인한 고통들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핵심개념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통해 ‘부정적 감정의 경험’에는 누스바움의 ‘감정’이, ‘행동적 대응의 경험’에는 아도르노의 ‘저항’이, 그리고 ‘개인적인 의식의 변화’에는 아도르노의 ‘비판적 자기성찰’이 ‘사회에 대한 신뢰의 손상’에는 누스바움의 ‘상상력’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점을 짚어 보았다. 그리고 이 개념들이 철학상담, 그 중에서도 집단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검토했다. 궁극적으로는 ‘감정’, ‘저항’, ‘비판적 자기성찰’, ‘상상력’의 핵심 개념들과 그에 기반한 철학상담 집단프로그램의 지향점이 아도르노의 ‘성숙’ 개념에 있음을 밝힘으로써, 철학상담을 통해 ‘성숙’을 실천하는 과정이 여성청소년들에게 혐오의 고통을 극복해 나가는 길인 동시에 성장의 과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 연구: 성별차이와 젠더규범을 중심으로

        서상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of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llowing adolescents to receive proper cure, care, and social support when their health is harmed due to risky sexual behavior. Moreover, ethical criticism and stigma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were more controlled and oppressive for femal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risky sexual behavior as a health risk behavior, di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 as a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in adolescents and the role of gender norms in the impact of such behavior on health outcom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the interventions that could provide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treatment were derived as a policy improvement plan.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study used data from the 12th Korea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 (2016).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complex sampling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aged 20 to 24 years and adhered to feminist and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risky sexual behavior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allowance, physical activity, drinking, drug use,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time work exper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friend, family, school, and regional levels, having friends who engage in risky health behavior (smoking), family economy-level, school type, and regional size, respective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after controlling for ecological system factors and performing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ely, all relationships with other health outcom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sex in the effects of risky sexual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fter checking the model fit, a model including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o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was found suitable. Fourth,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erformance of risky sexual behaviors are as follows. Existing gender norms made information such as sexual knowledge of female adolescents vulnerable, prevented them from securing initiative in sex, and made them perform “risky sexual behaviors.” Therefore, gender norms played a negative role. Further, for male adolescents, the sexist gender norm was to engage in risky sexual behaviors, such as unintentionally not using condoms due to inaccurat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Fifth, regarding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i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existing gender norms led to unwanted risky sexual behaviors or unintentionally risky behaviors and prevented adolescents from obtaining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with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 or unwanted pregnancies. Additionally,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as blocked, and access to social welfare services was low. Therefore, female adolescents alone bear the risks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existing gender norms discriminate and stigmatize sexual minorities such as AIDS. Access to information from media such as the Internet, where inaccurate information abounds, hinders accurate information on STIs. Consequently, stigma toward and ignorance of STIs make these difficult to treat. Further, the burden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public perception of promiscuity raised the threshold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even minor vaginitis treatment was tolerated without visiting a hospital. Regarding mental health among the female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guilt and health outcomes resulting from internalized gender norms may be more harmful than the risky sexual behavior itself.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unlike most previous domestic studies, the risky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were treated as risky health behaviors, not deviance or delinquency. Second, risky sexual behaviors, not sub-items of risky health behaviors, were independently identified. Thir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norms and gender norms on the risky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ealth outcome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Fourth, mixed methods were used to better explain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tends to reproduce existing gender norms, must be comprehensive, as recommended by UNESCO. Second, even if changes in school sexuality education take precedence, other alternatives—providing objectiv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adolescents who are not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students—are also needed. Thir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access to violence injury treatment for young women must be explor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s are needed to ensure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adolescents who wish to abort pregnancies. Fifth, condoms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free of charge or at low cost, in an easily accessible location, and in a form wherein they can safely use health care services without worrying about stigma or cost. Sixth, social workers and healthcare providers (e.g., doctors, nurses) whom young people receive services from, including counseling, need relevant education to enable feminist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data limitations, there is a theoretical limit to inconsistency. In future, the theoretical consistency must be increased through analysi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ata availability. Secon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only gender differences were reflected, whereas various genders were not reflected. In future studies, policy intervention points for LGBTI youth must be developed by reflecting various genders. Thir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the quantitative study did not include out-of-school or homeless adolescents. In future studies, an intervention point encompassing these two groups must be developed. Fourth, although the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that both adolescent sexual behavior and risky sexual behavior are not unethical, the negative effect on health outcomes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as observed in this study, may reinforce stigma. Fifth,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to better analyze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however, the absence of organic harmonization between each research method was a limitation. Sixth, gender norms of adolescents in Korean society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ageism.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ageism. In future studies, the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revealed by the combination of gender norms and ageism must be emphasized in more detail. Finally,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the only national survey to determine the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of adolescents in Korea; therefore, some items must be added and improved. Questions about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sexuality, as well as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adolescents, must be added. 이 연구는 청소년이 위험 성행동으로 인해 건강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조차 원활한 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더욱이 청소년 위험 성행동에 대한 윤리적 비난과 낙인은 여성청소년에게 더 통제적이고 억압적이라는 데 문제의식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행동을 문제행동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건강위험행동으로서의 위험 성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요인들,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건강결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규범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젠더 간 차이를 고려해 적절한 사회적 지원, 치료 등과 연계될 수 있는 개입지점을 정책 개선안으로 도출해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진행했다. 양적연구는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6년) 자료를 이용했다.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질적연구는 20세부터 24세까지의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접근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요인이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용돈, 신체활동, 음주, 약물복용경험, 학업성적, 아르바이트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친구수준에서는 건강위험행동(흡연)을 하는 친구 유무가, 가정수준에서는 가정경제수준이, 학교수준에서는 학교유형이, 지역수준에서는 지역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통제하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시행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다른 건강결과와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모형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있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의 성지식 등의 정보를 취약하게 만들었고, 성관계에서 주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만들었으며, 거부를 거절당함으로써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하는 등, 여성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부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청소년에게 역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성불평등한 성교육으로 이어졌고,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정보습득을 하게 만들었다. 이는 의도하지 않게 콘돔 미사용으로 연결되어 위험 성행동을 하게 만들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결과,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이 원하지 않는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만들거나, 성병에 감염되거나 원하지 않은 임신을 했을 때 적절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막는 장벽을 만들고 있었다. 또한,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막을 뿐 아니라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 여성청소년 혼자 오롯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위해를 감당하게 만들었다. 또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에이즈와 같은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낙인찍는 내용의 학교 성교육과, 부정확하고 불균질한 정보가 난무하는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한 정보 접근은,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차단하는 역할을 했다. 성매개감염병(성병)에 대한 낙인과 무지는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또한 몸에 대한 성적대상화와 문란하다는 주변 시선에 대한 부담감은 산부인과에 대한 문턱마저 높여, 사소한 질염 치료도 병원을 찾지 않고 참는 경우마저 있었다.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위험 성행동 그 자체보다, 연구에 참여한 여성청소년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으로 인한 죄책감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가 더 해로울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기존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와 달리 일탈이나 비행이 아니라 건강위험행동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둘째, 건강위험행동의 하위항목이 아닌, 위험 성행동을 독립적으로 확인했다. 셋째, 개인 수준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규범, 젠더규범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 와의 관계까지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이 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성차별적 젠더규범을 재생산하고 있는 학교 성교육이, 유네스코에서 권고한 포괄적 교육방식으로, 성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성교육의 변화가 선행되더라도 사회제도적으로 학생이 아닌 청소년에게도 객관적이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추가로 필요하다. 셋째, 여성청소년에게 폭력손상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임신중지를 원하는 청소년에게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에게 콘돔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서, 제공해야 하며, 사람들의 시선 걱정이나 비용 걱정 없이 안전하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상담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의료인 등이 여성주의 상담이 가능하도록, 그들에게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한계로, 가용한 변수들로 통합적 생태학적 모형을 재현하다 보니, 이론적으로 정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추후, 자료의 가용성의 한계를 극복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 정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성별 차이만 반영이 되고, 다양한 젠더를 반영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젠더를 반영해 성소수자 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개입 지점의 도출이 필요하다. 셋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양적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포함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아우르는 개입지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의 성행동 뿐 아니라 위험 성행동 역시 윤리적으로 비난받을 일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이지만,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가, 자칫 낙인을 강화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다섯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으나, 각 연구 방법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여섯째, 한국 사회 청소년의 젠더규범은 나이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드러난다. 반면, 이 연구에서는 나이주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젠더규범과 나이주의가 결합하여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강조해서 드러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국가 단위의 청소년 성행태와 건강결과를 알 수 있는 조사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유일하다. 따라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몇 가지 문항이 추가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 성평등인식과 성체성을 묻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 女性 勤勞靑少年의 福祉對策에 관한 硏究 : 淸州地域 勤勞靑少年을 中心으로

        이순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71

        Th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nging needs and conditions of the lives of young workwomen and find out the problems of current welfare work to provide more promoted welfare policy for them. The study makes use of literature and social survey by questionnair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is the young workwomen who live in the municipal apartment buildings leased and operated by Cheong-ju City in Chungbuk Province. Thd study analysis 372 available copies of questionnaires among 400 copies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the way of thinking of the young workwomen are that, 1. Their first working age and standard of education have been higher. 2. Their motives of working have been changed from for supporting all or the part of present housekeeping to for their own marriage or higher education in future. The percentage of those who expense for their future is the highest: 48%. 3. The 75.4% of the subjects has no experience in job training. 4. Their payment is highly improved. 5. They tend to have good realtion with co-workers that they have social gatherings in company. 6. The 35% of the subjects stated that their welfare facilities is po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 in the welfare facilities. 7. Their problems in work are stated that they don't understand what their jobs are and that they have a rebellious mind caused by persecution or inferiority complex. 8. Many workers repli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ir life is the human relation. 9. The 22.0% of the subjects states that the necessary leisure facility is one for sports. 10. The 61.7% of the subjects states that they have a talk with their friends about their own problems. Therefore, the active use of counselors is needed. Second, more than half of them states that the young workwomen's hall is necessary, but the 60.4% of them states that they could not be present at the meeting if it were founded because they had no time. Third, the 21.0% of he subjects states that the sports facility is most needed in their apartment buildings and the young working women's hall. The library in which they can study is also required by 9.1%. The study suggests the welfare policy for the working youths as follows. 1. Their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2. The programs for them should be developed and supported by their company. 3. The opportunities of the professional and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hrough supporting their group activities. 4. The welfare service for the working youths should be offered by expanding diverse leisure facilities and developing the sound programs for their leisure, religious, cultural, physical, and group activities. 5. The exsisting social welfare halls and the groups relating the youths are required to be used. 6. The education of the working youth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way of thinking is required. 7. The school should be expanded to solve many problems resulting from the loss of one or both of parents and dual living environment between their work and school, support them to atapt themselves to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accomolish its educational objects. 8. The counseling should be expanded As they have a more negative view on their socie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ies of counselors and to specialize the technique of counseling. 9.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o protect the working youths should be equipped and reinforced. 10. The moral and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to develope the campaign for the working youths. The welfare policy o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young workwomen, the current negligence of the working youths should be corrected. The working youths require more attention from society and the payment proper for their labor instead of current lukewarm or makeshift welfare policies.

      • 경찰관의 아동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 서울지역 여성청소년과 경찰관을 중심으로 -

        조용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8

        본 연구는 현장에서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서울지역 내 여성청소년과 소속 경찰관의 아동학대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학대 인식 수준 향상방안을 모색해 궁극적으로 아동학대 근절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찰은 아동학대 사건에서 예방과 사후 조치까지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 10월 발생한 故정인양 사망사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경찰관의 학대 인식정도는 학대사건에 대한 소극적 태도에 영향을 미쳐 천차만별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관의 학대 인식에 관한 국내 연구는 2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 현장에서 아동학대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의 학대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 원인변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경찰청 여성청소년과와 서울경찰청 소속 31개 경찰서의 여성청소년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96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신체적 학대 인식, 정서적 학대 인식, 성 학대 인식, 방임 인식 등 4가지이며, 독립변수로 개인적 요인인 정서적 공감능력과 체벌에 대한 태도와 직무적 요인인 아동학대 관련 법지식 정도를 설정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통제변수로 삼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청소년과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의 평균 아동학대 인식 수준은 5점 만점에 4.5495로 나타났으며, 4가지 학대유형 중 성 학대가 4.8535, 신체적 학대가 4.5804, 정서적 학대가 4.5122, 방임이 4.251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 혼인여부, 재직기간, 관련부서 근무기간은 신체적 학대에, 성별, 혼인여부는 정서적 학대에, 성별은 성 학대에, 혼인여부, 재직기간은 방임인식 점수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울러, 개인적 특성 중 정서적 공감능력은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체벌에 대한 태도는 모든 종속변수인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 학대, 방임 인식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적 요인 중 아동학대 관련 법지식 정도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학대, 방임 인식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아동학대 인식 증진 방안에 관한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경찰관 개개인의 정서적 감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해야한다. 아동복지법에서 국가기관에 아동학대 예방교육의무를 부여했지만 연1회에 불과하고, 대부분 집체교육이나 사이버교육으로 대체되어 실효성이 낮을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적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교육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소규모 단위로 감수성 향상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찰 내부 조직원을 상대로 체벌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 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그간 경찰청이나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해온 체벌 인식 개선 캠페인은 일반 국민에만 초점을 두고 이뤄진 측면이 있다. 전문기관 협력을 통한 합동 워크숍 개최, 자체 인식도 조사, 역할극이나 홍보영상 경진대회 개최 등과 같은 다양항 방안을 통해 태도 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학대부서 인재 선발시 학대인식 수준, 체벌에 대한 태도, 관련직무경험 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자격요건, 선발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껏 보건복지부 등에서 실시해온 아동학대 실태조사에서 경찰관은 조사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이 연구를 계기로 경찰관들의 아동학대 인식도 조사가 주기적으로 이뤄져, 학대 인식수준이 한층 향상되고, 이를 통해 아동학대가 근절되길 간절히 바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with women and juvenile departments of police stations in Seoul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ir level of awareness towards child abuse as a serious crime, and eventually to eradicate child abuse. The police take significant role in child abuse cases from preventing the crime to conducting follow up measures. The death of Jeong-in, a 16-month-old toddler who died from months of child abuse in Oct. 2020, however, revealed that passive reactions and attitude by police officers toward child abuse cases, could bring a tragic ending, which could have been prevented otherwise. Nonetheless, there are only two studies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child abuse and maltreatment within the country. This study, therefore, was devised to examine how much police officers take child abuses seriously and explore causal variables affecting their perceptions towards child maltreatment. A total of 196 police officers currently working at women and juvenile departments at 31 police stations under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or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participated in a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survey had four dependent variables that gauge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on physical, emotional, sexual abuses and child neglect. As for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included instruments examining personal factors such as empathic ability and attitude towards punishment and the level of legal knowledge as an occupational factor. The study also set demographic peculiarity as a control variabl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police officer’s level of awareness towards child abuse was 4.5495 out of five points on average, and by abuse cases,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s sexual abuse was 4.8535, physical abuse 4.5804, emotional abuse 4.5122 and child neglect 4.2515.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 physical abuses showed differences from variables such as the gender of officers, the age, their marital status, the period of time they worked with the police,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ir engagement in juvenile departments, while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s emotional abus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gender of officers and marital status.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s sexual abuse also appeared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gender of the officer while the level of awareness on child neglect appeared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marital status and the period of the officers’ service, each exhibiting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lso, personal ability to recognize emotions and share their feelings had positive impact on officers’ perception in physical, emotional abuse and child neglect while attitude towards punishment had positive impact on all four dependent variables. The level of officers’ legal knowledge on child abuse appeared to hav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four types of abus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ollowings are policy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towards child abuse. First, the police should develop education designed to improve officers’ personal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emotions. Under the child welfare law in Korea, state agencies are obliged to carry out education session on child abuse prevention. Such sessions, however, have low educational effect as they have been replaced with either online or group courses and are held for only once a year. Therefore, there’s a need to design professional curriculums and hold sessions for small number of people to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on child abuse prevention. Second, an in-house campaign is needed to promote officers’ awareness on punishment. Such campaigns carried out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or the Ministry of Welfare and Health seem to have focused on changing the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Thus, the police need to hold workshop sessions exclusively designed to improve officers’ awareness in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institutions, self investigation into the degree of recognition, stage role plays and launch a video contest. Third, the police should set some new criteria that assess qualified police officers to handle abuse cases when hiring new ones to juvenile departments.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the polic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welfare ministry-led research on child abuse cases. A study should be carried out on officers’ perception toward child abuse on a regular basis to improve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which could greatly contribute in eradicating child abuses in Korea.

      • 여성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의 HPV 백신 예방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혜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만 12-14세 여성청소년의 학부모가 갖는 자녀 HPV(Human Papilllomavirus; HPV) 백신 접종 의도에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G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의 6학년생, 그리고 중학교 1개교의 중학교 1-2학년생 전체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7년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13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모델에 기초하여 HPV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행동 의도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이외에 인구학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들과 함께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Pearson’s Correlation 분석하였으며, 접종 의도 및 접종 유무를 각각 종속변수로 한 위계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 중 자녀가 접종을 받은 비율은 59.4%이었으며, 질병 지식과 질병 경험은 낮은 수준을 보인 반면 질병 공포심은 높게 나타났다. TPB와 관련된 특성들 중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이었고,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 통제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접종 의도는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2. 첫 번째 위계선형모형의 종속 변수인 자녀 HPV 백신 접종 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그리고 질병 심각성 인식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번째 위계선형모형의 종속 변수인 자녀의 HPV 백신 접종 유무는 지각된 행위 통제가 예측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만 12-14세 여 자녀수와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자녀 HPV 접종 의도를 종속 변수로 한 위계선형모형에서는 54%의 설명력이 존재했고,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지각된 행위 통제(β=0.441), 접종 태도(β=0.237), 주관적 규범(β=0.207) 순으로 관찰됐다. 4. 자녀의 HPV 접종 유무의 예측 요인으로는 지각된 행위 통제(β=0.443)로 나타나며 자기 효능감이 실제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Ajzen의 주장과 일치했다. 추가적으로 인구학적 변수로는 만12-14세 여 자녀수(β=0.166)이 있었다. 5. 영향요인과는 별도로 살펴본 정부의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대다수의 응답자가 정책에 대해 알고 있었고, 정책의 만족도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WHO의 권고 접종 나이에 미치지 못했으며 접종 대상에 남학생도 포함해야 한다는 응답자도 다수 있었다. 이에 따라 HPV 백신 무료접종 정책의 더욱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자궁경부암, HPV, 그리고 HPV 백신에 대해 더욱 정확하고 올바른 지식 전달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여성청소년과의 조직변화가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경찰서를 중심으로

        김진선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nges of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on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e officers in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that is likely to change within the organization. As the organization expanding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rimes, women, youth, and workers who are deal with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are in trouble. The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once a small unit, is now changing into a professional division in charge of sexual abuse,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child abuse, etc. However, due to this rapid change, the workers have been suffered from a heavy workload and identity confusion so that some of them even move to another division. For women, youth, and the workers can perform well even in the rapid change, there shall be a countermeasure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ere are many advanced studies about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are lack of studies about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women and youth decision that is mostly expanding these days, and therefore this study sets a concept of factors of chang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resistance factors and draws a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based on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of schola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police officers in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under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survey consisted of 41 questions about ① Change resistance factors ② Changes of Job characteristics ③ Job satisfaction ④ Demographic factors and Likert 5 scale was used for assessment. The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otal 157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ones. For quantitative statical analysis, STATA 13.0 was used to calculate Cronbach’s alpha for factor analysis and to verify validity of sub variables of each scale, and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to prove the mean difference of each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job satisfac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ang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assistant to organizational change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me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women in accordance with sub-groups. Other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every independent variable except for age and marriage statu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that affecte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only two variables below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First,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the higher job satisfaction. Even when one's job position was shifted due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higher professionalism people thought they ha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had. As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is in charge of the socially weak, women, youth, children and the elderly, the division requires professional investigational approach and as it is subdivided by crime, the higher professionalism seems to be led to higher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Second, the higher the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lower job satisfaction became.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not psychologically adapted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have concerns about their future showed low job satisfaction. Other variables, unlike the advanced studies,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It indicates that the workers shall accept organizational change as the police agency is hierarchical, but their individual psychological resi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verall organizational chang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adds political advice. First, as men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ere shall be research about whether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the policy agency has been mainly focused on men, the majority of the worke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workload, treatment, welfare, etc. in men and women and appropriate improvement shall be made. Second, to perform tasks that are subdivided due to expansion of the organization, the workers need to have higher professionalism and This actually has a big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refore there shall be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such as establishing ‘professional detective policy’ to be equipped with expert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systematic training and education to improve the workers in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Moreover, there shall be policies including continuous introduction of specific task manual to increase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and qualified lecturers. Third,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worker’s individual psychological resistance to the organization change by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change and specifying the right,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first empirical research about influence of chang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depending on organizational change among the police officer in women & juvenile affairs division that are undergoing turmoil due to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police. This study wishes it could be used as data to deduce an improvement measure for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division of women and youth in the Korean pol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