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술수업 개발 연구

        이수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공지능과 디지털 AI시대에 대한 화두는 지난 2016년 알파고 대 이세돌의 세기의 대국에서 보여줬던 반응에서 볼 수 있듯 초유의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2023년에는 Chat GPT의 등장과 함께 획기적인 디지털 AI시대가 홍수처럼 밀려왔다. 인공지능은 목사 대신 설교를 할 수 있고 반고흐의 화풍을 닮은 그림을 쉽게 그려낼 수 있다. 딥페이크 기술로 인하여 진짜인지 모를 사진과 영상들도 무수히 쏟아져 무엇이 진짜인지 구분하기도 어려운 시대가 왔다. 미래의 리더를 키워나가는 공교육에서 디지털 역량 강화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핵심과제로서 전환점을 맞았다.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소양은 반드시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으로서 강조되었다. 나날이 발전하는 디지털 도구를 긍정적인 측면으로 잘 활용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효과적인 배움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며 미래 사회 경쟁력도 갖추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디지털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미술과에서 에듀테크 적용 수업을 전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해보고 에듀테크 활용 수업의 효용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미술 과목에서 효과적으로 디지털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5차시의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또한 5차시의 수업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함을 통하여 배움의 과정을 관찰하며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Ⅰ장에서는 디지털 에듀테크 수업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에듀테크 활용 수업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먼저 2025년 전면 시행되는 2022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개정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개정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매체에 대한 성취기준이 강조된 융합 선택 과목 ‘미술과 매체’ 과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을 위한 에듀테크 교육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에듀테크 도구의 종류와 특징과 수업의 유의 사항, 해외의 교육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에듀테크 미술교육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Ⅳ장에서는 2022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매체’과목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5차시의 수업안을 토대로 수업을 전개하며 학생들이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하여 의견을 나누고 작품을 제작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리 단계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수업에 대한 감상을 설문조사를 통해 내용을 수합 하였다. Ⅴ장에서는 에듀테크 활용 수업을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교육적 효과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 수업에 비중을 두었으며, 특히 다가오는 새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과 에듀테크 도구 활용 능력, 수업의 컨텐츠 모두 충족하여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을 목표로 하였다.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에 대하여 고민하는 모든 교육자들에게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디지털 역량 강화 에듀테크 수업은 특정 과목에서 한정된 것이 아니라 모든 과목에서 요구되는 현대 교육의 흐름이기에 미술과 및 다른 교과에서도 이 수업에서 아이디어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핵심 개념과 학습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학습 목적에 맞춘 콘텐츠와 기술 선택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2022개정 교육과정은 더 나은 배움의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수학 에듀테크 플랫폼 분석 연구

        박혜연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디지털 네이티브라 불리는 현시대의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학교 현장은 교사 중심의 전통식 수업 방식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첨단기술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교육이 만나 발전한 에듀테크(EduTech) 산업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혁신적인 교육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가. 해외 에듀테크 현황과 한국의 에듀테크 현황을 살펴본다. 나. 에듀테크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다. 수학교육에서의 에듀테크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라. 우리나라와 영국, 미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학 에듀테크 플랫폼을 비교 분석한다. 마. 수학 에듀테크 플랫폼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본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발전하고 있는 에듀테크 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서의 사용되고 있는 수학 에듀테크 플랫폼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한 에듀테크 플랫폼을 기반으로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위계적 학문인 수학에서의 에듀테크 플랫폼은 학습자 개별 맞춤 학습에 유용하다. 둘째, 맞춤 학습으로 인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 전 활동, 본 차시 학습, 학습 후 활동, 평가 등에서 활용 가능하며, 학습자는 학습경감의 효과, 교사는 업무경감 및 학습관리와 역량 강화 수업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를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중학교 체육수업 건강영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교육 효과 탐색

        오광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domain program using Edutech o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the first program through the selection of domains and chapters and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content, which wa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in classes with 78 second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 based on the EBS online class platform in the first semester. In sequence, we supplement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fter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the learners so that the second experiment could be carried out in the second semester. In an effort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quantitatively, a frequenc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t-test were utilized with SPSS Ver 25.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secondarily adop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the qualitative outcome, thereby drawing the counclusion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the program model of health domain into 7th courses based on ADDIE model usinf Edutech through reference research and expert reviews from four professionals: a professor who majored in sports pedagogy, a doctoral student in sports pedagog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wo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Second, we found that the factors of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EBS online class were‘P.E. theory class’, ‘learning in detail’, ‘comfortable hom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various information’and, so forth whereas the factors of negative effect was related to ‘connection failure on the website’, ‘no availible app’, ‘consistent vidoe buffering(difficulties in motor learning, non-submission of assignment, lose of motor skills, decline in concentration, deficiency of connection to offline classes)’, ‘errors in progress rate’, ‘repetitive server errors’, ‘inconvenience in question and answer’,and ‘taking classes illegally(Macro)’.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Google classroom were found to be‘convenient accessibility to online class platform’, ‘availible application’, ‘notification service indicating time for class’, ‘problem solving sections of the video’, ‘a sense of achievement in task completion’, ‘efficient attendence check’, ‘accurate progress rate’, ‘comfortable hom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various information’, ‘physical activity’, ‘realtime conversation with teachers’, and so forth while the factors of negative effect was concerned with ‘inconvenience in completing quizzes of video lessons’, and‘unstable interworking of additional function’. Third, in the effect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smart exercise learning through the P.E. class program with Edutech, the subfactors of perceived smart excercise learning, which are cognitive online learning, affective online learning, behavioral online learning, indicated that Google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than EBS online class. Forth, in the comparative study on smart physical education motivation through the P.E. class program with Edutech, the subfactors of smart physical education motivation, which are learning attitude and direction, performing action of shooting tasks, competency, and expectation effectiveness factors, proved that Google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than EBS online class. Fifth, in the comparative study on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 P.E. class program with Edutech, the subfactors of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which are interest in class, physical activity, connection to class, and class performance, also showed that Google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than EBS online class.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domain program based on Edutech by adopting EBS online class and Google classroom and to develop P.E. class not of online learning, but online exercise learning. Even though teaching and learning with Edutech requires great commitment to study on various educational platforms and contents with creativity, this work can result in much more desirable effect. In conclusion, P.E. class based on Edutech is an accustomed and effective way for students in the smart era. Online P.E. class can now support physical activity, and its diversity is limitless with the use of smart devices. On this basis, this paper suggested that P.E. class with Edutech for teaching and learning needs to be additionally organized in curriculums, thereby practically adopted and invigorated further

      •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실태 및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김승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에 따라 교육기관에서의 에듀테크 활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계에서도 에듀테크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유아교육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유아교육에서의 구체적 에듀테크 활용 아이디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에듀테크 관련 교육연수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와 예비교사의 니즈를 반영한 에듀테크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에듀테크에 대해 유연하게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에듀테크 관련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넷째, 동화, 동시, 동극 등 다양한 작품 감상 활동에서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에듀테크 활용 자체를 주요 활동으로 진행하기보다, 일상속에서 언어, 자연, 물체의 특성, 규칙 등에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용도로 활용해야 한다. 여섯째,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유아 개별화 교수-학습을 촉진해야 한다. 일곱째, 유아의 인지적 발달 수준에서 어려움을 겪는 영역, 특히 물체의 특성과 변화, 규칙 학습에서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에서 다양한 에듀테크를 경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에듀테크 구매 예산을 확대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실태와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유아교육에서의 구체적 에듀테크 활용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초·중·고등 학교급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의 일환이 아닌, 유아교육만을 단독 대상으로 에듀테크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다. 둘째,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에듀테크의 접목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유아교육에서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실태 및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기반으로 에듀테크의 효과성을 실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향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실태 및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은 향후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의 성공적인 정착과, 에듀테크의 교육적 효과성의 실질적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utilization rate of Edu-Tech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s increasing. Through this trend, the academic world is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usage condition of Edu-Tech and teachers perceptions, bu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lack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du-Tech utilization statu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about Edu-Tech. In addi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del, I tried to derive specific ideas for using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Te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Tech related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 must be carried out training necessaril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n Edu-Tech education training progra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n Edu-Tech related community where teachers can flexibly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about Edu-Tech. Fourth, Edu-Tech should be actively used when conducting activities for appreciating various works such as fairy tales, children's poems, and children's plays. Fifth, rather than proceeding with the use of Edu-Tech itself as a major activity, it should be used for purposes that arouse interest and curiosity in language, nature, characteristics of objects, and rules in everyday life. Sixth, it is necessary to promot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of child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venth, Edu-Tech should be actively used in areas that have difficulties at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child, especially in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objects and rules.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udget for Edu-Tech purchases so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and utilize various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 to analyzes the Edutech utilization statu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on Edu-Tech, and derives specific ideas for using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del. First, This study is not part of the research conduct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ut onl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vestigated the usage condition of Edu-Tech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on Edu-Tech.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is respect. Second,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reas where Edu-Tech is highly useful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a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del, and further derived specific ideas for using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 this study established a practical direction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Tech based on the Edu-Tech utilization statu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perceptions of Edu-Tech. The usage condition of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on Edu-Tech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Edu-Te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Edu-Tech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future.

      • COVID-19 상황에서 형성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백승엽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nd obstacles that enabled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o use edutech without external educational suppor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s the support necessary for the continued use of edutech in the field of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is context are suggested. It is undeniable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impacted all areas worldwide. In the realm of education, the shift to online classes became inevitable as face-to-face instruction became unfeasible. Mainstream schools successfully transitioned to remote learning by adopting edutech tools following guidelin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al offices. Howeve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hich often lack official recogni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to adapt to this new environment without the support and resources given to mainstream schools. They only received general guidelines pertaining to pandemic precautions. Even so, the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focus of this study, managed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remote education by utilizing edutech within their limited systems. Surprisingly, even after the pandemic, these teachers continue to incorporate edutech in their classrooms. Consequently, this study analyzes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earch on teachers' perceptions of edtech utilization. Additionall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teachers from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in Gyeonggi-do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facilitated or hindered the using of edutech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determine the ongoing use of edutech. Practical implications resulting from this study are presented. The findings reveal several factors that facilitated the using of edutech. These include the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a flexible curriculum, the presence of teachers (innovation facilitators) who spearheaded the introduction of Google Classroom, the high receptivity of digital natives, and the firmly established educational beliefs held by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Notabl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as a distinct group, display a str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due to their shared educational beliefs and benefit from the flexibility of their curriculum, which enables them to effectively incorporate edutech. Moreover, the autonomy of these teachers and their firm Christian educational principles emerged as factors supporting the using of edutech. On the other hand, obstacles to the using of edutech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heavy workload faced by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lack of digital literacy among students, and limited financial support fo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se challenges primarily stem from the unique physical environment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Despite their relatively small student population, teachers shoulder significant responsibilities due to the breadth of subjects and specialized education they provide. The absence of digital literacy-focused classes and limited resources for acquiring smart devices also contribute to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To ensure the sustained use of edutech,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 for teacher research communities, and the presence of strong leadership.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ly, given the diverse directions pursu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common trend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or by seeking input from various schools with different backgrounds. Secondly, considering the high proportion of male teachers in the research sample, it is important to include the perspectives from a more balanced gender ratio. Lastl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in edutech utilization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efforts should be used to modify edutech tools to suit the specific needs of each level. Keywords: Using edutech,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 Focus Group Interview, COVID-19, Innovation Diffusion Theory, Technology Adoption Model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의 교사들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외부의 교육적 지원 없이 에듀테크 활용이 가능할 수 있었던 요인과 저해 요인, 그리고 기독교 대안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OVID-19 팬데믹은 전 세계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교육계에도 오프라인 개학이 불가해지면서 처음으로 온라인을 통한 개학이 이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일선 학교들은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의 지침을 전달받아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비대면 환경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가 교육부 미인가 학교인 기독교 대안학교는 일반 학원에 해당하는 방역 지침만 전달받았을 뿐 에듀테크와 같은 교육적 지원 없이 자생적으로 극복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인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제한된 상황 속에서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비대면 상황을 극복하였으며, 엔데믹이 선언된 지금도 수업 현장에 지속적으로 에듀테크가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델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경기도 소재의 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COVID-19 상황에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을 가능하게 한 요인과 저해한 요인을 분석하고, 지속적 활용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에듀테크 활용을 가능하게 한 요인은 다섯 가지로 각각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의 높은 조직 몰입', '유연한 교과 과정', '구글 클래스룸 도입을 주도한 교사(혁신 촉진자)의 존재', '디지털 네이티브의 높은 수용성 발견', '기독교적 교육 신념이 확립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의 특징으로 기독교 대안학교라는 집단은 설립 목적에 맞는 교육적 신념을 가진 교사들이 모이기에 조직 몰입 수준이 높다는 점, 교육과정이 매우 유연하여 상황과 교사의 재량에 따라 에듀테크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었다는 점, 교사들이 지닌 높은 자율성에 기반한 혁신 시도, 교사들의 기독교적 교육 신념 등이 에듀테크 활용 요인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에듀테크 활용이 저해된 요인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의 높은 업무량', '학생의 디지털 리터리시 부족',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지원 한계'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기독교 대안학교가 처한 물리적 환경에서 기인하였는데, 대체로 학생 수는 적지만 소화해야 하는 교과 분량과 특성화 교육으로 인해 교사들이 맡아야 하는 업무가 많다는 점,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수업의 부재, 스마트 기기 등의 지원 제한으로 정리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에듀테크 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정기적인 전문 연수 제공, 교사 연구 공동체 형성, 리더십의 강력한 드라이브로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대안학교는 각자 추구하는 방향이 상이하므로 양적 연구를 통한 경향성이나 다양한 학교의 의견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대상에 남성 교사의 비율이 높아 균형 잡힌 성비를 지닌 집단의 의견이 필요하다. 셋째, 초·중·고등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여 각 학교급에 맞는 에듀테크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에듀테크 활용,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 초점집단면접, COVID-19, 혁신확산이론, 기술수용모델

      •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 ODA에 대한 수원국 관계자의 요구 분석

        서민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educational ODA projects using Edutech in the ODA recipient country. Recently, EduTech, a new paradigm that combines cutting-edge technology with educatio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various problems that occur in conventional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South Korea's future education technology, which is the recipien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utilize Edutech in Korean educational ODA are as follows. In the questionnaire on awareness surveys on Korean education ODA projects, the most common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what is the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countries is "sharing experience in developing Korean education policy." Most survey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to implement edutech in their own country, and most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tech implementation. As for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the most common answer wa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providing quality lessons through Edutech, but investment for expanding the basic Internet network and new professors to introduce Edutech We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curriculum for the law was a priority. In addition, the budget request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repair was the highest for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Edutech. In order to promote the Edutech utilization education ODA project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recipient confirmed in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resented three promotion strategies. First, we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the recipient based on comparative advantage of "sharing the development experience of Korea's education policy." Second, it will be promoted as a packaged project that allows the budget for the introduction of Edutech,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curriculum,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in the future, rather than a one-time or fragmentary support project.Thirdly, for that purpose, it will be promoted under integrated cooperative governance with the government, education-related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In this stucy, the requirements of the recipient were confirm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rategy for educational ODA utilizing Edutech was derived, but there are limits. In subsequent research, the awareness and needs of Edutech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so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awareness and needs of Edutech from various countries. In addition, further country-specific case studies can be used to develop more efficient promotion strategies. 이 연구는 ODA 수원국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수준을 기반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 ODA 사업의 추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기존의 교육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첨단 기술을 교육과 결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인 에듀데크가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최신 교육기술에 대한 ODA 수원국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교육 ODA 사업 추진 시 에듀테크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의 교육 ODA 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에서, 다른 나라와의 비교우위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한국의 교육 정책 발전 경험의 공유’라고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설문 답변자들은 자국의 에듀테크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에듀테크 도입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도입의 효과로는 에듀테크를 통한 양질의 수업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증대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는데, 에듀테크를 도입하기 위해 기본 인터넷망 확대에 대한 투자 및 신규 교습법을 위한 체계적인 커리큘럼 개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에듀테크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인프라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 요구가 가장 높았다. 설문을 통해 확인된 수원국의 요구를 고려한 에듀테크 활용 교육 ODA 사업 추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를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의 비교우위인 ‘한국의 교육 정책 발전 경험의 공유’를 기반으로 한 수원국의 인적자원 개발을 지원한다. 둘째, 일회성이나 단편적인 지원사업이 아닌 에듀테크의 도입을 위한 예산, 체계적인 커리큘럼 개발, 향후 지속적인 인프라 관리까지 가능한 패키지 형태의 사업으로 추진한다. 셋째, 이를 위해 정부 및 교육관련 국책연구기관,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 등과 통합적인 협력 거버넌스 하에서 추진한다. 동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원국의 요구를 확인함과 동시에,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 ODA의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나, 한계도 있다. 후속연구로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과 요구는 처한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더 다양한 국가에서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별 사례연구 추가적으로 수행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추진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개발 및 적용 :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김민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edutech platforms suitable for use in elementary English lessons and to develop and apply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asks utilizing these platforms, subsequently analyzing the impact of task types on learning outcomes and changes in the affective domain. The study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can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asks for elementary education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using edutech platforms? Second, what are the patterns of change in English reading and writing skills depending on the types of tasks employed through edutech platforms? Third, what are the patterns of change in learners' affective domains (interest, confidence, self-directedness) before and after engaging in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asks via edutech platforms? For this research, an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with 22 sixth-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The experiment, spanning 11 sessions across two semesters, incorporated two types of tasks: bidirectional information gap tasks and problem-solving tasks, created using edutech platforms ThinkerBell, ChatGPT, and ZEP. To analyze the effects and changes due to task type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administered, with ThinkerBell employed for result collection. Additionally, the study involved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ers' engagement by gathering their chat logs on a Metaverse platform during task execution. Moreover, pre- and post-surveys regarding the affective domain were conducted, complemented by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end-of-semester interviews with students across different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developing and applying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asks via edutech platforms, it's crucial to consider the components of the tasks, classroom environment,and data utilization. Without adequate hardware (e.g.,smart devices,wireless networks) and software (content and platforms accessible to learners and teachers),the full potential of edutech cannot be realized.Second,the impact of task types on learning outcomes varies.This study differentiated between bidirectional information gap tasks and problem-solving tasks. While problem-solving tas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idirectional information gap tasks notably improved writing skills, especially among learners with lower achievement levels.Third,changes in the affective domain (interest, confidence, self-directedness) post-task engage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statistical outcomes, indicating that although initial novelty and engagement are high, repetitive tasks may not sustain positive affective impacts. Based on these outcomes,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or developing and applying edutech-based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asks in elementary education: First, support from educational support offices and district education boards is essential beyond individual teachers' efforts and interests. Given the substantial time, effort, and resources required to develop edutech-based tasks, systematic backing and infrastructural improvements from educational authorities are crucial.Second,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developing dedicated training programs are vital. edutech-based teaching methods differ from traditional ones, necessitating support for teachers in adapting to and applying new technologies and methodologies. This calls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opportunities to enhance edutech proficiency.Third, the necessity for varied and continuously improved learning tasks is highlighted. Repetitive task types can diminish learner engagement and interest. Therefore, developing diverse tasks and their ongoing refinement are paramount to sustaining motivation and curiosit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듀테크 플 랫폼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초등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을 개발 및 적용하여, 과업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와 정의적 영역의 변화 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 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은 어떻게 개발되고 적용될 수 있는가? 둘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의 유형에 따른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수행 전ㆍ후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흥미도, 자신감, 자기주도성)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의 6학년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실험 수업 은 1-2학기에 걸쳐 단원마다 1차시씩, 총 11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수 업에 활용된 과업은 두 가지 유형으로 양방향 정보 차 과업과 문제 해 결 과업이 개발되었다. 두 가지 과업은 에듀테크 플랫폼 띵커벨 (ThinkerBell), 챗지피티(ChatGPT), 젭(ZEP)을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에듀테크 플랫폼 활용 과업의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와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수업을 진행하기 전ㆍ후에 영어 읽기와 쓰기 사전 ㆍ사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띵커벨을 활용하여 평가 결과를 수집하 였다.또한 학습자들의 학습 양상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 과업 수행 과정 중에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기록된 학습자들의 채팅 내용을 수집 하였다.그리고 에듀테크 플랫폼 활용 과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수업을 진행하기 전과 후에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ㆍ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 양상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 학기말에 영어 성취수준이 우수ㆍ보통ㆍ기초에 해당하는 학습자를 2명씩 선별하여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을 개 발 및 적용할 때에는 과업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교실 환경 측면과 학 습 데이터 활용 측면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 환경과 학습자와 교 사가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플랫폼과 같은 소프트웨어 환경이 구축 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에듀테크가 가지고 있는 효과성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의 유 형에 따라 그 학습 효과와 변화 양상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정보 차 과업과 문제 해결 과업으로 나눠서 읽기와 쓰기 평가 결과를 분석했는데, 문제 해결 과업의 경우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 능 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방향 정보 차 과업의 경우에는 쓰기 평가 결과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성취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영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수행 전ㆍ후의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에 대한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과업의 유형과는 상관없이 흥미도, 자신감, 자기주도성 영역의 전반적 인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는 않았다. 이는 학생 들이 초기에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ㆍ학습 방법과 과업에 대해 흥미를 느끼며 참여하는 신기 효과가 영향을 미치지만, 동일한 형태의 과업이 반복되어 진행되는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이 어려워진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영 어 읽기와 쓰기 학습 과업 개발 및 적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에듀테크 플랫폼 활용과 관련하여 개별 교사의 노력과 관심뿐 만 아니라 교육지원청 및 교육청 단위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에듀테크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 과업을 한 가지 만드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 및 노력과 자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노력과 자원이 필 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 교육 기관의 체계적인 지원과 기반 시 설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 에 듀테크를 활용한 교육 방법은 기존의 교수법과 다르기 때문에 교사들 이 새로운 기술과 방법을 익히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 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에듀테크 활용 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습 과업의 다양성과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 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유형의 과업 반복은 학습자의 흥미와 참 여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지 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과업 개발과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초등 영어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경험과 관련 전문성 형성 과정 탐색

        심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바탕으로 초등 영어교사 9명의 에듀테크 활용 경험을 분석하여 관련 초등 영어교사 전문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초등 영어교육에서 에듀테크 관련 경력과 전문성이 있는 9명의 초등 영어교사를 이론적 표집(theoretical sampling)하여 심층 인터뷰하였고, 그 결과를 1차적으로 개방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에듀테크 활용 초등영어 수업에서 연구 참여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형성을 위한 초등 영어교사의 노력과 학교 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 영어 수업의 긍정적 효과와 한계가 구체적으로 포착되었다. 또한 영어교사 협의체의 필요성 인식, 학습자 개별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는 능력 향상, 하위 학습자의 영어 자신감 및 동기 부여 필요성 인식, 영어 교육과정 문해력 및 재구성 역량 강화와 같은 연구 참여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전문성 요소가 상세히 드러났다. 나아가, 생성형 AI와 같은 최근의 보다 진보된 에듀테크 활용에 있어서도 위와 같은 에듀테크 관련 전문성 요소를 바탕으로 한 연구 참여 교사의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대응 의지가 확인되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 활용 관련 초등 영어교사의 전문성 관련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에듀테크 활용 영어 학습 과업 디자인 역량, 관련 과업의 학생 안내 및 수업 반영 역량,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과감하게 활용하는 위험 감수자(risk-taker) 역량 등과 같았다. 근거이론의 일반적 절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참여 교사의 에듀테크 관련 전문성 요소 형성의 과정을 2차 축 코딩 및 3차 선택 코딩하였다. 이 단계에서 ‘에듀테크 활용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노력함’이라는 중심현상과 맥락적·인지적·중재적 조건, 행동·상호작용 전략,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바탕으로 3차 선택적 코딩 단계에서 ‘에듀테크 도구 활용을 경험하며 자기주도적으로 영어교사 전문성 신장해 나가기’라는 핵심 범주(core category)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연구자는 전체 내용을 종합하여 초등 영어교사들이 에듀테크 활용 수업 전문성 요소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을 형성하고, 이를 시각적 모델로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연구자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 영어교사 에듀테크 활용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에듀테크 활용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는 초등 영어교육 현장에서 실제 초등 영어교사의 에듀테크 활용과 관련된 경험 양상을 질적으로 깊이 있게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활용 관련 초등 영어교사 전문성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에듀테크 활용 전문성 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nin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utilizing educational technology (EduTech)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related to EduTech utilization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earcher employed theoretical sampling to select nin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who possessed relevant EduTech-related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itial open coding. Through this phase, the study captured the efforts of th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o develop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or EduTech integration in English lessons, as well as the specific positive effects and limitations of utilizing EduTech in English lessons within the school context. The study revealed detailed insights into the experiences of the English teachers,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llaboration among English teachers, the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design personalized lesson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English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among slow learners, and the strengthening of English curriculum literacy and redesigning skills. Moreover, the study derived key elements of EduTech professionalism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by synthesizing the above findings. These elements included the capacity to design English learning tasks integrated with EduTech, competence in guiding students through related tasks and incorporating them into lessons, and the willingness to take risks and boldly embrace new technologies, and so forth.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proactive reactions from the English teachers towards advanced EduTech utilization, including generative AI, based on the elements of EduTech-related professionalism. Following the procedures of Grounded Theory, the study conducted second-level axial coding and third-level selective coding to refine the process of forming elements of EduTech professionalism among the English teachers. In the phases, the central phenomenon of ‘Efforts for enhancing EduTech professionalism through autonomous engagement’ was identified, along with contextual, cognitive, and mediational conditions, behavioral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general results. Based on this analysis process, the core category of ‘Autonomous enhancement of English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duTech utilization’ was derived during the third selective coding phase. Taken together, the study integrated the overall results to develop a theory and presented it as a visual model, describing the process by which elementary English teachers form elements of EduTech professionalism in their practices.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strategies to enhance EduTech professionalism amo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a profou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relation to EduTech utilization, which is being tri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EduTech professionalism amo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detai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s the elements of EduTech professionalism and offers educational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 체육수업 전문가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과 활용

        이건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에듀테크는 학교교육에서 교육과정 운영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및 평가 전반에 효율성을 제고한다. 전통적인 교육에서의 시·공간적 한계를 넘어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학습자 특성에 맞는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학교체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에듀테크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체육에서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과 활용 양상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체육에서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초등교사 및 중등학교 체육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설문 및 면담조사를 통해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양상,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 체육교과에서 에듀테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첫째, 에듀테크를 체육수업 운영에 효과적인 보조도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존 수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에듀테크를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에듀테크를 신체활동의 누적기록 및 지속적 피드백의 제공, 효율적인 개별화 학습의 구현,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신체활동의 기회가 축소되는 문제점과 여러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았을 때 에듀테크가 무용지물이 되는 어려움을 강조하였다. 넷째, 체육교과에서 효율적으로 에듀테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사전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체육 교사는 에듀테크가 목적이 아닌 도구라는 인식을 해야 한다. 여섯째, 보편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에듀테크와 더욱 고도화하여 보급해야 하는 에듀테크를 구분하여 적용해야 한다.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및 중등학교 체육교사에게 필요한 에듀테크는 무엇인지, 에듀테크 활용에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 및 중등학교 체육교사는 에듀테크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고 신체활동의 증진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해야 한다. EduTech improves efficiency not only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but also in the overall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Beyond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education, it provid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school sports, various programs using edutech are being developed and applied in line with this trend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edutech in school sports. To this end, 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ctively use EduTech in school spor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hey examined perceptions, utilization patter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duTech in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EduTech as an effective auxiliary tool for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used EduTe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lasses and provide various experiences. Second, EduTech was us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ccumulated records of physical activities and continuous feedback, implementing efficient individualized learning, and implementing learn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ird, in the process of utilizing EduTech, it emphasized the problem of reducing students'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y and the difficulty of EduTech becoming useless when various infrastructure is not established. Fourth, in order to efficiently apply edutech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tudents' digital literacy education must be sufficiently advanced. Fif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edutech is a tool, not a purpose. Sixth, edutech that should be used universally and edutech that should be further advanced and distributed should be applied separatel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what edutech is need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what support is needed for the use of edutech. Seco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underst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dutech and use edutech in a positive direction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의 중학교 중국어 교육 지도 방안 연구

        정우진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로나19는 인류를 새로운 시대로 몰아넣었다.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기술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만남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 기술의 만남은 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라는 개념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교육과 정보통신기술(가상현실, 미디어, 빅데이터, AI 등)을 결합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사고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습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에듀테크 매체를 활용한 중학교 중국어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에듀테크 기반의 학습 도구를 탐색하였다. 그중 에듀테크 주요 기술인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교수·학습 매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어 교육의 듣기·말하기, 쓰기, 문화, 평가의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 매체의 교육적 요소 및 효과와 구체적인 활용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중국어 수업에서 에듀테크 매체를 영역별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수업을 설계해봄으로써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주제는 ‘중국 문화를 통한 인공지능과의 역할놀이’이며, 총 5차시로 구성하였다. 수업의 주요 목적은 학습자가 에듀테크 기반의 새로운 학습 매체를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어민을 만났을 때 두려워하지 않고 중국어로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중화권의 문화를 정확하게 알고 원어민과 대화할 때 막힘없이 소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안은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중국어과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하며, 핵심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그리고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있다. 5차시의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는 우선, 동료 및 인공지능과의 대화 연습을 통해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로, 학습자는 모둠원과의 협력 활동과 중국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에듀테크 매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의 중학교 중국어 교육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 학교 교육에서 4차 산업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중국어 수업을 시도할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또한, 향후 에듀테크 기반의 중학교 중국어 수업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제언을 하였다. COVID-19 has introduced a new era to the human race. We are fac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technical innovation such as big data, AI, and IoT. According to the change, a new encounter also has arose in the education sector. The encounter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is expanding as a concept of ‘EdTech’ in the education field, and it can be regarded as a method to combine education with IT then apply it in education. Therefore, we need to find out a learning method applying ‘EdTech’, which can enhance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to prepare the future suitabl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of Chinese in middle school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y applying ‘EdTech’ media.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arched for learning tools applying ‘EdTech’ able to help to enhance of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based on the theoretic consideration about the skills and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media based on VR, AR, and AI, the main technology of ‘EdTech’. Additionally I explored educational elements, effectiveness, and concrete measures of each medium to apply it effectively in the fields of listening, speaking, writing, culture, and assessment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rough it, I suggested concrete measures by designing the class with considering how the ‘EdTech’ media will be applied by the area in Chinese class actually. The subject of the class is ‘A role-playing with AI through Chinese culture’ and the class is composed of the 5 steps totally. Through the process, students can experience the new learning media based on ‘EdTech’ and encourage them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o talk with Chinese people smoothly, without a fear of failure to communicate. The process also encourage them to use the elements in Chinese culture when they communicate with Chinese people by understanding the culture exactly. The pla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improve the key abilities of Chinese language course –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ty ability, and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 effectively, which is emphasiz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class that seek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5th step of the class, they cooperate with group members, communicate with AI, and improve their community ability through understanding Chinese culture. Moreover, they can improve their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including ‘EdTech’ media. Ultimately, students can improve the abilities in Chinese course to have the global citizenship, information searching and using ability as well a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class based on ‘EdTech’.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 of Chinese language in middle school based on ‘EdTech’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lso, it offered a useful guideline to try a new Chinese class suitable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over, I also suggested it with an expectation of vitalizing of Chinese language class in middle school based on ‘EdTech’ in the future. 2020年的新冠肺炎开启了人类的新时代,面临第4次产业革命的到来,大数据、人工智能(AI)、物联网(IoT)等一系列新的技术革新也渐渐地步入到人类社会中,因此,教育领域也毋庸置疑地在面临着新的挑战。教育与新技术的相遇的时代下,线下现场教学以“EdTech"的概念迅速扩散。将教育和信息通信技术(虚拟现实(VR)、媒体、大数据、人工智能等)结合后,可以称之为一种教育方法。所以,为了让教育能更好地适应第4次产业革命的创新,需要灵活运用“EdTech”去寻找能提高学生们的思考力,创意力与沟通能力的效率教育方法。本研究以中学生为对象。为了更有效地提升韩国中学生的中文沟通能力,利用“EdTech”学习工具来开发一项新的中文教育学习方案为本研究的目的。 为此,本研究以提高韩国中学生的中文沟通能力为目的,收集了中韩等国外各种关与“EdTech”学习工具的学术文献。这些文献主要分析了“EdTech”学习工具的主要特性。例如,VR、AR、AI等。另外,为了能够更有效地提高学生们的汉语听力、会话、写作以及中华文化理解力,和更有效地进行成绩评价等,本研究探索了各种学习工具的教育要素及效果。因此,在中文听力,会话,写作等各种中文学习领域上,本研究提出在线下实际教学过程中,如何才能更有效地使用EdTech学习工具的方案。比如,当课程主题围绕着中华文化开展进行时,学生与人工智能进行“角色互换游戏"。课程进度分为五个部分。通过活用“EdTech”的教学方法,可以让学生们体验到新的学习经历。也可以让学生们在见到以中文为母语的对象时,更加自信自然地进行沟通交流。并且,可以更准确地理解中华文化,并在交流沟通时更准确地运用中华文化要素。   2015年新修订的韩国教育政策中,关于中文学科教学的核心主要强调了一下三个部分,沟通交流领域,团体意识,知识情报探索处理能力。因此,本研究结果将围绕着这三个核心部分,来更有效地提高学生们的中文沟通能力。 例如“人工智能角色互换”课程,共分为5部分。学生和组员们互帮互助,并与人工智能进行中文沟通,并且在学生们理解中华文化的过程中,也可以提升团体意识。在利用“EdTech”学习工具的过程中可以提高学生们的知识情报探索及处理能力。在此学习过程中,不仅能提高学生们的在所属团体意识性也可以提高学生们以世界人类为团体的意识性。 因此,本研究以运用“EdTech”学习工具来更有效地提高韩国中学生的中文沟通能力为目的,为学校教育在第4次科技革命的带动下提供出更加有效的中文教育方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