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신장을 위한 통합 교재 구성 방안

        홍혜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4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 수학 상황에서 필요한 발표 능력 신장을 위해 언어 기능 통합적 관점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가지게 된 바탕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 방문하는 유학생의 수가 2010년부터 가장 최근인 2019년도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면서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일반 목적 외에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실제 많은 수의 학습자들이 학교 수업을 들으면서 ‘발표하기’에 대한 어려움과 두려움을 토로하고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발표 교육의 방안이 제시되어있지만, 발표 말하기의 경우 여러 언어 기능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기능 통합적인 시각에서의 접근을 한 연구는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수업 상황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속 발표 활동들의 양상을 분석하고 언어 기능 통합적 활동의 양상과 유무에 대해서 살펴본 후에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학문 목적 발표의 개념과 특징,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발표 능력 신장을 위한 통합 교육적 관점을 각 언어 기능들의 개념과 특징을 요약 제시하고 말하기와의 관련성을 정리하면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발표 교수 학습의 관점을 분류함으로써 다음 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대학 기관에서 출판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앞에서 정리한 내용 종합하여 정리한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앞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그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을 어떻게 구성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으며, 5장에서는 전체적으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한 후 시사점과 한계점을 정리하며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속 발표의 활동 구성 양상과 언어 기능 통합적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교재가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발표 능력 신장, 언어 기능 통합,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 기능 통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장석봉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471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Zhang, Xife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teaching i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mooth communication, above all, the writing skills among four basic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must be importantly handled. Also, the writing is hard to master. So, even though Korean native speakers can freely communicate in Korean language, there are many persons who don't know how to write properly. If then, some of learners who aren't fluent in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writing is like getting blood from a stone. For this reason, I guess that their Korean writing ability is not enough.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 will sort out contents which were handled in each chapter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of all, Chapter 1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and analyzed Korean texts also. Then, I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sidered the concept and feature, and also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writing education. After examining concept and feature of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I reviewed skill integra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 also set the direction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Chapter 3 selected intermediate level and high level's Korean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by 6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Also, I extracted writing tasks or activity contents in each textbook. According to 3 kinds of analysis standard, I analyzed integration between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above-mentioned chapter 2 and chapter 3,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chapter 4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First of all, this chapter planned learning model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so as to smoothly draw up this teaching method. Lastly, chapter 5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e study suggested in the university class that it is necessary to handle 4 kinds of writing tasks that must be applied to language classes before university admissions. This study argued that learning writing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 so class should construct in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before and after writing, and out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writing,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ime. Also, each writing process should consist of integration activity of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 Therefore, I thin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of making efficient use of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respect of lessening difficulty of writing and acquiring how to write. However, this study shows limits by the fact that it could not thoroughly identify the strategies in a practical class. According to this study, I hope that follow-up studie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come more diverse for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in future. Above all, I look forward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practical class so as to hold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Key words: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Language, Process-Oriented Approach, Analysis The Text Books, Writing Tasks, Learning Model 국문초록 기능 통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언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언어 기능 가운데 쓰기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기능이다. 또한 쓰기는 네 언어 기능 가운데 가장 통달하기 어려운 기능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더라도 글을 제대로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은 글쓰기가 ‘하늘의 별 따기’와 같다. 이러한 차원에서 한국어 쓰기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필요한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의 서론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과정 중심 접근법,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접근법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고,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접근의 의의를 밝혔다. 그 다음은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 쓰기 교육과 기능 통합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여섯 군데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기관에서 출판한 한국어 중급(4급)과 고급(5급)의 주(主)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 내 쓰기의 특성을 살펴봤다. 또한 각 교재 내 쓰기 과제나 활동 내용을 추출하여 3가지의 분석 기준에 따라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 간의 통합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선 2장과 3장을 토대로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원활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수업 모형을 먼저 설계하였다. 마지막의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대학 학업 수행 중에 반드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 4가지를 대학 입학 전의 수업에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쓰기 학습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은 쓰기 전 단계와 쓰기 후 단계를 다루는 교실 안의 수업과 쓰기 단계를 다루는 교실 밖의 수업으로 구성해야 하며, 쓰기의 각 과정에서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의 통합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활용하여 쓰기의 어려움을 덜어주며 글 쓰는 방법도 습득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하여 통합적 수업 지도안의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아쉬운 점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가 더 다양화되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가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 과정 중심 접근법, 교재분석, 쓰기 과제, 수업 모형

      • 언어 기능의 통합 지도가 초등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3학년을 중심으로

        홍숙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471

        본 연구는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언어의 네 기능 통합이란 영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언어의 네 기능 즉, 듣기, 말하기의 음성 언어 기능과 읽기, 쓰기의 문자 언어 기능을 병행하여 지도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한 수업이 음성 언어 위주의 수업에 비해 아동의 인지적 영역(듣기, 말하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둘째, 언어 기능 통합 수업이 음성 언어 위주의 수업에 비해 아동의 정의적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총 16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에서는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통합하여 1, 2, 3 차시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를 지도하고 4차시에서는 쓰기를 포함하여 4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하였다. 통제반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권장하는대로 음성 언어 중심의 수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와 설문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기능 통합 수업이 아동의 듣기,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듣기 p=.021, 말하기 p=.013).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한 수업이 음성 언어 중심의 수업에 비해 아동의 듣기, 말하기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언어 기능 통합 수업이 아동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선호도(p=.011), 흥미도(p=.016), 생활 문자 욕구(p=.024) 항목에서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냈다. 이는 언어 기능 통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뿐 아니라, 영어 학습 의지와 동기를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언어 기능 통합 수업이 학생들의 듣기,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3학년부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어의 4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를 병행하여 지도하도록 하는 방향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4기능을 통합하여 다룰 수 있는 교과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학년의 특성을 살린 문자 언어 지도가 가능하도록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문자 언어 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제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 능력과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언어의 기능들을 통합하여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사실 언어의 기능들을 통합, 혹은 분리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의 개발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은 누가 어떤 자료를 이용해서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따라 효과가 매우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정시 언어 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가 교육과정 내용 및 교재 구성에 적극 반영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integrated language teaching on third graders' English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pared. 1. Are the students in the integrated skills class significantly higher in listening and speaking than the students in a spoken-language-centered class? 2. Are the students in the integrated skills class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han the students in a spoken-language-centered class? To answer these questions, I taught 60 third graders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16 weeks. I taught the experiment guoup by integrating language skills. But I taught the control group focusing on spoken English in a traditional wa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skills teaching, I designed a post test and a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est an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tegrated skills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listening p<.021, speaking p<.013). So it could be said that third graders learn English more easily and efficiently when language skills are integrated. 2. The integrated skills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It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were more active in showing their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to learn English.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integrated skills method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 English. These are some suggestions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of third graders. First, the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need to be taught itegratively from the third grade. For this, newly modified textbooks are required. The new textbooks may include various activities integrating the four language skills. Second, written English should be added to the third grade English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written communication ability, which, in the long run,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whol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ird, more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with four skills of language being closely combined together.

      • ‘총체적 언어 접근법’ 기반의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3470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For this purpose, Chapter 1 presented the purpose, method of study and organization of discussion,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and clarified what this study aimed for. Chapter 2 discussed the necess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Whole Language Approach’, one of language learning theory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3 examined the integrated aspects of language function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6 universities, the main fields of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and tendency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activity of language function’, ‘sequence of language’, and ‘integrity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4 presented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processing from aspect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presented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optimal integration model of language function by actually applying the language activities p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esented by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Lastly,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and concludes with comments on positive aspects of this study by mentioning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tagnated language activity model in korean textbook, and to improve Korean ability of learners as the second language.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언어 기능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홍정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470

        본 연구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을 의미 있게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수업을 제안하여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언어 기능 통합성’을 본질적인 특성으로 갖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기능 통합성의 구성 원리를 추출해 한국어 교재 내 언어 기능 통합 양상을 분석한 후 시사점을 적용하여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과 수업안을 구안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최종 목적이 원어민에 준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보았을 때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이 고르게 발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제 언어사용 양상과 일치하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수업 방안을 연구하였다. 1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을 의미 있게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이라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하려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으며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와 의미 있게 연관 지어 분석해 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과 스토리텔링의 두 가지 층위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언어 기능 통합 교육 파트에서는 주요 개념,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 이론인 총체적 학습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것을 통해 언어 기능은 분리될 수 없으며 학습자는 상황, 맥락 속에서 언어를 학습해야 한다는 중요한 원리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내용 중심 교수법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만한 내용을 학습하며 언어를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는 내용 중심 교수법은 스토리텔링의 근간이 되므로 중요한 원리를 분석해 보고, 이어 요즘 교육 현장이나 사회적으로 그 활용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에 대한 방향을 잡기 위한 것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실제 수업을 실현하는 내용과 방법이 자세히 제시되어 있는 교재들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기준을 세워 통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내용 중심, 일관성, 통합성, 실제성, 학습자 중심 이 다섯 가지가 상위 분석 기준이고 각각의 기준 요소를 다시 하위 요소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기준을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이어 준거와 판정 기준표를 만든 후 점수를 부여해 교재별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 기준은 언어의 통합성과 일맥상통하는 스토리텔링의 원리이며 이를 통해 교재의 학습 활동 양상을 면밀히 분석한 후 더 보완할 점을 발견,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얻어 수업안에 적용시키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한국어 기능 통합 수업방안에 대한 것으로 크게 두 가지의 중요한 사항이 있는데, 첫째는 수업 모형의 개발이고 둘째는 실제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업 지도안의 구안이다. 수업 모형은 일반 스토리텔링 모형을 발전시킨 형태에서 응용한 형태로 구성하였고 수업지도안의 내용과 방법은 앞에서 알아본 내용 중심 교수법의 주제 중심 방법을 반영하였다. 이것은 이론들을 바탕으로 기존 교재들을 분석한내용을 토대로 하여 구성하였는데 특히 앞에서 추출한 통합성에 근거한 스토리텔링의 원리, 즉 내용 중심, 일관성, 통합성, 실제성, 학습자 중심이라는 주요 개념을 반영하였다. 5장에서는 4장까지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향후 기대하는 연구 과제를 기술하였다.

      •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석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을 중심으로

        심화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469

        21st century is the information age, which allows us to learn extensively using new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quipmen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utilizing ICT has become essential not only in English class, but also in all other classes. Capability of making it easy to attract learners' interests and developing 4 linguistic skills naturally are advantages of utilizing ICT in class. Thus,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s guides of studying should include divers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o maximize learning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suggested in the 2nd grade middle school through their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based on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find better alternatives to use ICT effectively in learning English. In this study, 6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for 2n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which are used in many middle schools in Daejeon, and examine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by following 3 criteria: First, define how many ICT application activities are contain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Second, define how many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are distribu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ird, define what kinds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in eac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textbook D has the greatest number of ICT application activities with 111 times, followed by the textbook B with 70 times. As for the activity books, the activity book D-1 has the highest frequency (103 times), followed by the activity book C-1 (95 times). Except the textbook A and the activity book A-1, all other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had ICT application activities for more than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there were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nd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Listening-writing tasks took the first place in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second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istening-speaking tasks. Third, in listening-writing tasks of 2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listen and fill in the blanks', 'listen and fill the charts', 'dictation', and 'listen and correct the errors' were preferred. In listening-speaking tasks, 'listen and answer', 'listen and talk with a partner', 'listen and share one's own story', and 'discuss and share the project' were mainly presented. Fourth, Listening-speaking-writing tasks were the representative tasks of 3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They can be divided into 2 types: 'talk with a partner after listening and fill in the blanks' and 'write about discussion and share the ideas'. Fifth,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3.2% of total. Types of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are classified based on types of ICT media, which are the activity using internet and the other one using slides or video.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alternatives as followings: First, since every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contain some contents about other country's culture, they should provide them not only with content, but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through internet. As providing the information searching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h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websites to help them not to waste too much of time. Second,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should not be limited in using one specific equipment, like CD-ROM, but opened up for many other ICT equipments. Teachers should be able to make the best choice from various ICT equipments properly rather than being limited in one specific ICT equipment. Third, there is a need for a great variety in type of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in the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indispensible to include more 4 skills integration activities by providing diverse group works. Group works such as project and role play can make students communicate naturally and have confidence in English.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itable tasks which can do both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Running a website for the class or using the email will be effective for not only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developing ICT application ab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teacher's attention and effort are required to utilize the skill-integration activities using ICT effectively. Teachers should use ICT equipments not imprudently, but appropriately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4 linguistic skills effectively.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사회로, 다양하고 참신한 ICT 매체의 활용을 통하여 광범위한 학습이 가능한 시대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 교과에 있어서도 ICT의 활용은 필수가 되었다. 영어 교과에서 ICT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학습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다양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을 제시함으로서 ICT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이바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제시되고 있는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이에 대한 연구로 먼저 ICT 활용 활동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후에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기능 통합 활동들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6종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듣기 CD-ROM 활용에 치우쳐 있고 ICT 활용 코너를 마련하였더라도 ICT를 활용하는 과업을 제시하기보다 “~에 대해 알아보자”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ICT를 활용하여 기능 통합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구성 방안에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는 문화에 대한 코너를 마련하고 있는데, 문화 내용 학습 시 단순히 그 내용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화와 관련된 동영상을 제시하거나 그 문화와 관련된 것을 직접 검색 또는 경험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둘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한 자료 조사 활동을 제시할 때는 학습자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사이트 주소를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서 정보가 제시가 되고 있지 않는 경우, 교사는 반드시 이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어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어야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에 대체로 CD-ROM 활용을 통한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한 가지 특정 ICT 매체에 의존하기보다 교수-학습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ICT를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활동 분포에서 출현이 적었던 듣기와 읽기 통합 활동, 듣기, 말하기, 읽기의 통합 활동,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 활동의 빈도를 높여 언어의 균형적인 기능 발달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은 읽기 지문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읽기 지문을 듣기, 말하기, 쓰기 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서 학생의 4기능 통합적 발달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ICT를 활용한 4기능 통합 활동의 비중을 늘리고, 다양한 모둠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모둠 활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역할극을 진행함으로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고, 협동심을 발휘하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다각적 사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여섯째, 교사는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ICT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실에서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학습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쓰기 활동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점에서 교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학급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과제를 홈페이지에 개재하거나 이메일로 과제를 제출하게 한다면 쓰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학생의 ICT 소양 능력 기르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이렇듯 6종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을 분석해봄으로서 ICT를 활용한 기능 통합 활동이 학습자 중심에서 흥미롭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가 IC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ICT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업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언어의 4기능을 통합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기능 통합 과제 유형 연구

        정운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468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위한 실제성 높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실제성 높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학습자들이 직면하게 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 사용의 특성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네 언어 기능은 교육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므로 대학의 학업 수행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 기능을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수행하게 되는 ‘강의듣기’, ‘보고서 작성하기’, ‘발표하기’ 등과 같은 학업과제는 두 가지 이상의 언어 기능이 동시에 혹은 연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언어는 근본적으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언어 기능은 통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학문적 의사소통 상황의 언어 기능 통합 과제는 고도의 사고력과 인지적·초인지적 전략의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학생들에게 큰 인지적 부담이 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기능의 통합적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적 과제를 구안하고 교육내용을 마련할 때 학습자들의 과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전제로, 대학의 학업과제 분석을 통해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내용 선정과 교육적 과제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대상과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어서 이 연구의 핵심이 되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언어 기능 통합의 방법과 유형을 언어 교육 분야의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선행 단계로, 대학에서 학생들이 수행하는 학업과제를 문헌 고찰과 면접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학업과제를 크게 ‘강의듣기’, ‘토론 참여하기’, ‘실험·실습·현장학습 참여하기’, ‘보고서 작성하기’, ‘발표하기’, ‘시험보기’의 여섯 가지로 나누고, 각 학업과제에 대한 세부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세부 과제에서 사용되는 언어 기능을 추출한 뒤, 학문적 의사소통 상황에 나타나는 언어 기능 통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통합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동시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와 ‘연속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 그리고 ‘장기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그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언어 기능 통합에 대한 논의가 ‘읽기·쓰기’에만 치우쳐 다양한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에서 벗어나, 대학의 실제 의사소통 상황의 언어 사용을 분석하여 다양한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과제를 살펴보았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언어 기능 통합 과제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전략이나 세부 기술을 면밀히 밝히지 못했다는 것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언어 기능의 통합적 교육을 통한 문자 언어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서진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423

        초등학교 5․6학년 학습자들은 듣기와 말하기인 음성 언어보다 읽기와 쓰기의 문자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더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자언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 보다 쉽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통합적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인 문자언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언어기능의 통합에 관한 연구는 주로 3․4학년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쓰기 학습에 대한 효과와 언어의 4기능의 학습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찾을 수가 있다. 대표적인 언어기능 통합 교수 방법에는 총체적 교수법과 참여식 교수법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읽기와 쓰기 활동을 분석한 다음 언어기능 통합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을 단원 내용에 맞게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모형 및 절차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소재 S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 6학년 2개 학급으로 16주 동안 2단원부터 7단원까지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의 정의적 영역의 사전․사후 변화와 쓰기 및 읽기 능력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고, 매 단원 실험수업마다 학습자 자기 평가, 읽기 성취 수준 평가, 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한 쓰기 학습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언어 기능 통합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자유응답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흥미도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 또한 유의하게 향상되고 있으나 5학년 A반은 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에 있어 평균값만 향상되었다. 쓰기 능력 및 읽기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5학년과 6학년 모두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학습자의 단원별 자기 평가 결과 흥미도 영역에서는 매 단원별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에서도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학습해야 할 분량이 많은 단원에서는 그 증가폭이 적거나 감소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매 단원별 읽기 성취 수준 평가 결과 의미 이해와 읽기 평가에서 단원마다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5학년은 낱말 쓰기 능력이 4단원에서 조금 감소하다 증가하고 있으며, 6학년은 낱말과 문장 쓰기 능력, 대소문자와 구두점 쓰기에 있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통합한 수업에 대하여 아동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을 하고 있다. 언어기능의 통합을 통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6학년 학습자의 문자 언어 학습에 흥미도를 비롯한 정의적 영역과 읽기 및 쓰기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가 단원의 특성에 따라 언어 기능을 통합한 활동을 재구성하여 제시를 잘 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문자 언어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하겠다.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feel written language of reading and writing difficulty compared with spoken language of listening and speaking.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written language through language skills integration that is to make written language learning more easy and fu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the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and designed some activities for language skills integration, a instructional model and procedure.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three 5th grade classes and two 6th grade classes located in Jeju City and the experimental classes have been conducted for 16 weeks from unit 2 to unit 7.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student's affective factor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and self evaluati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est and writing portfolio for each experimental unit. Individual free records on language skills integration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 factor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and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factors except group A of 5th grade were also improved but group A of 5th grade had mean value increase without meaningful difference for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of writing. Second, writing ability test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of 5th grade and group D of 6th grade but group E of 6th grade had mean value increase and reading ability test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Third, for self evaluation of each unit, every groups showed constant increase for interest and 4 groups except group A of 5th grade generally showed constant increase but decrease in the unit which has more contents to learn. Fourth, reading ability test of each unit were steady improvement for understand meaning and reading aloud a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writing portfolio evert groups of 5th grade showed steady improvement for word writing ability except unit 4. Every groups of 6th grade showed steady improvement for word and sentence writing abil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anguage skills integration instruct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gives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positive influence in affective factors and reading and writing learning. It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designing activities for language skills integration according ti unit and applied to written language learning for more effective English class.

      • 읽기 중심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영어 읽기 지도 효과

        노아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421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활용한 읽기 지도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이 지도 모형이 4학년 학습자에게 인지적․정의적으로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수원시 H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4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16주 동안 4학년 1학기에 해당하는 5개 단원에 대해 현장 연구 수업을 실시하였다. 1차시는 준비 단계로 교과서의 찬트 활동을 읽기 중심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낱말의 형태와 의미를 지도하였고, 2차시 확인 단계는 노래 활동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낱말의 형태와 의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차시에는 받아쓰기와 게임 활동을 읽기 중심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으로 구안하여 철자와 소리의 관계를 지도하고, 읽기 범위를 어구로 확대하는 등 유의미한 읽기 연습을 유도하였다. 4차시 적용 단계는 낱말이나 어구를 활용하여 문장을 소리 내어 읽거나 의미를 추측하는 단계로 역할놀이 활동을 활용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 검사지, 읽기 활동 만족도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활용한 읽기 지도 모형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활용한 읽기 지도 모형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읽기 활동 유형에 따른 세 수준별 집단 간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역할 놀이 대본 읽기와 같이 낱말이나 어구를 활용하여 문장을 읽는 활동에,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찬트나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철자의 소리를 받아쓰고 낱말 읽기 등과 같이 낱말이나 어구를 반복하여 읽으며 형태와 의미를 확인하는 활동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넷째,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활용한 읽기 지도 모형은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를 위해 읽기 중심의 언어 기능 통합 활동을 구안하고, 단원의 전 차시에 거쳐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읽기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