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완신 단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현대사회는 이미 남녀가 성에 의한 구분 없이 양성이 평등한 삶을 살아가도록 기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남녀에 따라 이분화된 성 역할이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길러져야 할 인간상은 남녀간의 평등한 권리를 인정하고 상호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적 사회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성의 존재를 존중하며 이성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건전한 남녀 평등원칙의 권리관계를 유지하고 성 윤리를 형성해 나가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남성과 여성이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건전한 사회생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성 역할 고정관념이나 인식변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로 잡고 타인을 존중하며, 양성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아의 성별 및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의 K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의 유아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유아로 한정한 이유는 성 역할 고정관념이 만 3세에서 만 7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것이다. 이들은 남아 13명, 여아 13명으로서 이들 중 13명은 맞벌이 가정의 자녀이며, 나머지 13명은 전업주부의 자녀이었다. 이 연구는 먼저 SERLI척도를 사용하여 개별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본 실험으로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한 ‘취학 전 아동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0일 동안 실시하였다. 그로부터 3주 후 사전검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2(성별)×2(집단별)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실시한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하위 영역별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성」,「혼합」영역에서는 중재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아동활동」,「성인활동」영역에서는 중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성 역할 고정관념은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성 역할을 고정적으로 선호하는 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자기 성에 대한 역할을 더 선호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평등주의적인 태도인가, 전통적 고정관념적인 태도인가를 식별하는 「혼합」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에, 양성평등을 목적으로 하는 이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는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은 남녀 모두가 성 역할 고정관념이 완화되었으며, 어느 한 쪽에만 효과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남녀 모두에게 동등한 실험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비교적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결과가 유아의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유아들이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아직 이 시기의 유아들은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은 이 시기에 유아들의 교육이 그만큼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즉, 이 시기에 유아들에게 주어지는 교육에 따라 유아들의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이 양성평등적이냐, 전통적 고정관념적이냐가 결정되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되어지는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들은 더욱 신중을 기해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연령에 맞게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들의 개발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학교 도덕과 양성 평등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탐구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한명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민주사회이다. 다시 말하면, 다양성의 측면에서 다름을 이해하고, 공동체 의식을 갖고 조화되어 살아갈 때 바람직한 민주사회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양성간의 차이와, 같음을 바르게 알고, 남성과 여성이 조화되어 살아갈 수 있는 양성 평등적 사회도 역시 민주 사회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 오랫동안 가부장적 사고를 중요시 여겨왔다. 또한 전쟁과 신탁통치 등에 의해 민주적 가치가 자생적으로 발생, 발전되지 못하다 보니 양성 평등의 가치 또한 기존의 가치와 자연스러운 연계가 없는 상태에서 형성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양성 평등적 가치가 우리가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가치임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의 실현을 위한 노력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가 1980-90년대에 들어 사회 전반에서 이루어진 민주화의 노력에 의해 양성평등 이념은 계속적으로 중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힘입어 여성의 진학률이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이루었고, 학교 교육과정 차원에서도 양성 평등적 가치 교육을 위한 노력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그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은 아직까지 양성 평등 교육의 이념을 온전히 실현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를테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와 남성의 가사 노동 참여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며, 남녀학생의 관심과 생활 세계가 교육과정 속에 고루 반영되어 있지 못하고, 여성 인물에 대한 내용도 극히 부족한 상태이다. 양성 평등 이념을 확산시키고 민주적 사회를 만드는 데에는 학교 교육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서 도덕 교과서의 내용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 관련 내용을 분석해 보고, 교수-학습모형을 구상해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양성평등의 개념정리와 양성평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서 양성평등의식 함양을 위해 민주성의 함양, 성차의 바른 이해, 자립성 함양이라는 세가지 목표를 각각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알아보았다. 이후 현행 7차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 교과에서의 양성평등 교육 실태를 교과 내용중심으로 분석해 보고 양성평등의식 함양을 위한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활용 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탐구공동체 활동 과정을 적용했는데, 이 방법은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남성과 여성이 상호공존을 위해 타인에 대한 존중감, 상호 접촉을 통한 이해, 토론과정에서의 대화와 경청, 공감력 확대, 도덕적 사고력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양성 평등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에도 매우 적합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남성과 여성은 타고난 성차가 엄연히 있지만 그러한 차이로 인하여 삶의 다양성이 제한받아서는 안되며,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상호공존하면서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라는 생각을 키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신은경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파악하고,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며, 마지막으로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6학년 368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 질문지, 양성평등의식 질문지, 진로발달 질문지, 진로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Scheffé),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살펴보면 양성성과 여성성을 가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이 남성성과 미분화 유형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양성성을 가진 아동은 다른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아동에 비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아동일수록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하여 양성평등한 사회문화 풍토를 조성해야 하며, 특히 학교에서는 다양한 양성평등 프로그램을 적용한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 진로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성역할 문화 형성을 통한 양성평등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엄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병설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58명이다. 실험집단은 A반의 만 5세 유아 29명(남: 17명, 여: 12명)이며, 통제집단은 B반의 만 5세 유아 29명(남: 16명, 여: 13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검사하기 위하여 Edelbrock과 Sugawara(1978)가 제작한 성역할 학습 지표(Sex Role Learning Index: SERLI)를 성구진(1995)이 우리 문화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것을 본 연구의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이 평가도구는 ‘성역할 확신’, ‘성역할 식별’, ‘성역할 선호’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처치를 위한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통한 역할놀이는 2011년 4월 18일(월) ~ 6월 17일(금)까지 8주 동안 8회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 문제에 따라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하위 개념 중 ‘성역할 확신’, ‘이성에 대한 성역할 식별’, ‘유아에 대한 성역할 선호’, ‘성인에 대한 성역할 선호’에서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과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고정관념 하위변인 중 사물에 대한 ‘성역할 확신’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는 ‘성역할 확신’, ‘유아에 대한 성역할 선호’, ‘성인에 대한 성역할 선호’에 서 고정관념이 감소되었다. 여아는 ‘성역할 확신’, ‘이성(異性)에 대한 성역할 식별’, ‘유아에 대한 성역할 선호’에서 고정관념이 감소되었다.

      • 양성평등 인식과 행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오예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인식과 양성평등 행동이 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자료의 30세부터 60세 미만의 기혼취업여성 602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t-test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기혼취업여성의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직장 내 성차별, 양성평등 수 준 인식, 여성에 대한 폭력의 심각성, 폭력 목격 시 대응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장 내에서 성차별이 없을수록, 우 리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이 남녀가 평등하다고 인식할수록, 여성에 대한 폭 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폭력을 목격하였을 시 대응에 있어 직접 개입을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취업여 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으로는 첫째, 전통적인 가부장제 성 역할에서 벗어나 성평등을 위한 인식 개선 및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둘 째, 성평등 사회 구현을 위해 직장 또는 가정 내 분위기가 변환되어야 할 것 이다. 셋째,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양성평등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남성 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한 양성평등 교육이 요구된다.

      • 양성평등교육이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은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교육을 적용해서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이와 함께 교육으로 인한 성별,지역간의 비교를 통해 성별과 지역 특성에 맞는 양성평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J시에 소재한 1개 초등학교 5,6학년 64명과 농촌 읍·면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5,6학년 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자료는 2007년 3월 16일부터 4월 23일 사이에 실시하여 수집되었고,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t-test,pairedt-test,One-way ANOVA, two-way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양성평등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성역할 정체감의 남성성영역에서는사전조사보다 평균 3.89점이 더 높게 나왔으며,여성성 영역에서는 평균 3.07점이 높게 나와서 교육전·후의 성역할 정체감의 점수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11.21,p<.001). 2.양성평등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성역할 태도 하위영역의 업무수행능력(t=9.64,p< .001),가사책임(t=12.55,p< .001),자녀양육 및 의사결정(t=8.96,p< .001),자존감(t=7.10,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양성평등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성역할 정체감의 남성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이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F=1.643,p>.053),지역간에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F=6.839,p<.05),여성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높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F=6.111,p<.05)도시가 농촌보다 남성성과 여성성에게 모두 높게 나타났다.(F=19.817,p<.001). 4.양성평등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성역할 태도에서는 하위영역 중 업무수행 능력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F=4.470,p<.05),지역간에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높아,성역할 태도 전체 점수(F=31.346,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양성평등교육이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나,성별,지역간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단기적인 교육보다는 장기적인 교육의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되므로,이를 위해서는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학교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및 교과별 수업지도 방안을 통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의 실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hanges in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attitude toward gender rol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by applying gender equity to their educational-settings, as well as to lay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gender equity in education prop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x and area through comparing differences in sexes and areas caused by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 elementary students in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city, Jeollabuk-do and 48 elementary students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eup and myeon in rural areas, both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and data were collected during March 16~April 23 in 2007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llected data in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by employing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In the masculine domain of gender role identity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settings with gender equity, they showed increased scores by average 3.89 points comparing to the pre-test results and in the feminine domain it increased by average 3.07 points, indicating that differences in gender role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receiving education complying with gender equity resulte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11.21, p< .001). 2) It was revealed that the subjects receiving gender equity-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performance ability (t=9.64, p<.001),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ousehold affairs (t=12.55, p< .001), child-raising and decision making (t=8.96, p<.001) and self-esteem (t=7.10, p<.001) among the sub-domains of attitude toward gender-role. 3) In masculinity of gender role identity of the subjects with gender equity-education, males rather than females showed the higher avera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1.643, p>.053), while between areas, urban areas rather than rural ones showed significant higher scores (F=6.839, p<.05), and in femininity, females rather than males showed higher scores indic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6.111, p<.05), in addition urban areas rather than rural areas showed higher scores both in masculinity and femininity(F=19.817, p<.001). 4) In the attitude toward gender role of the subjects receiving education complying with gender equity, only in job-performance ability among all the attitude toward gender role, males rather than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4.470, p<.05), and between areas, rural areas rather than urban ones showed higher scores in all the domains, indicat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 of attitude toward gender role (F=31.346, p<.001).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gender equity-education has an effect on inducing changes in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attitude toward gender role of elementary student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while in order to narrow gaps between sexes and areas, since it is thought that not a short term educational practices but a long term ones have a greater effect in school settings, for this it is required tha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practice of gender equity-education should be made through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making proper lesson plans by subjects which pursue gender equality.

      • 양성평등교육을 통한 평화교육 : 여중생의 성차 인식을 중심으로

        김금주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 개인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성별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사회는 구성원들에 대해 남성과 여성이라는 신체적 구분에 상응하는 사고, 정서,행동들을 보이기를 기대하는데 개인은 사회가 요구하고 기대하는 성역할에 동일시하면서 살아왔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을 끊임없이 개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과 공동체 일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인간이 요구되면서 여성들이 자신의 위치를 성찰하고 여성도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 사회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여중생들의 성차 인식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 인식과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생각들의 변화를 이해하며, 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의 재구조화와 평화교육과의 관계성을 이해 할 목적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중생들은 자신의 성역할과 성차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학생들은 성차 체험을 어떻게 구조화 시키고 있는가?셋째, 양성평등교육은 학생들의 성차 인식의 재구조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중생들의 성차에 대한 경험과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연구자는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 속에서 관찰과 면담을 주요 방법으로 채택하여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1학년 재량활동시간을 통하여 2004년 4월 26일부터 2004년 6월 14일까지 모둠수업을 실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주요 제보자들을 중심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하면서 동시에 그 자료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걸쳐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성차별 의식은 부모, 교과서, 선생님, 사회의 관습과 제도를 통하여 자신도 모르게 내면화 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 가정에서는 부모님이 하는 일을 보면서 남성, 여성의 일을 구분하였고, 말과 행동을 통하여 ‘여성성’,‘남성성’을 습득 하였다. 성차에 따른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주어진 일이 달라졌는데 여성들은 성차를 느끼면서도 그것을 이용해 자신을 보호하고, 안주하려는 경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학교에서는 교과서 내용, 수업시간 교사들의 말과 행동을 통하여 여자가 해서는 안 되는 일 들을 알게 되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정보가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 성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는 여중생들에게 머리, 옷, 외모에 대한 규정은 학생들의 창조성 발휘를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사회화를 통한 성 고착화는 ‘무의식적 수용’과 ‘사회적 성인식의 내면화’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으며, 체험의 연합은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으로 남자 여자에게 주어지는 역할과 행동에 의하여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학생들이 성차를 경험하는 것은 직접 모델을 보고 모방하는 것도 있지만 반복적인 훈련에 의하여 자신도 모르게 내면화 되어 말과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들도 있다. 이러한 말과 행동은 당연히 여성이면 갖게 되는 특성으로 인식되어 가정, 학교, 사회에서 보편화 되어 있다. 양성평등교육은 남녀가 인간으로서 평등하다는 전제하에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충분히 계발하고, 자신의 장점 뿐 아니라 다른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남녀가 서로를 존중하도록 성차 인식을 재구조화 하고자 한다. 이것은 더 나아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나를 찾아 자신의 삶의 방식을 다시 선택하며, 개인의 최대한의 자아실현과 공동선 사이의 조화를 모색하는 평화교육과 연계된다. 평화교육 속에서 개인은 절대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개체가 아니라 이미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개인이 속한 공동체와 생태적·우주적 차원의 관계성 속에서 존재하며, 개인의 자아실현 또한 무제한으로 발휘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역동적인 관계성 속에서 조화와 조율을 추구하는 것이다. 남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은 서로 존중되어져야 할 부분이지 차별화 될 부분이 아니며 진정한 사회 발전을 위해서는 양성이 서로 생물학적인 차이를 존중하고 사회학적인 차원에서 동반자로 남녀가 서로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 국가에서 양성 평등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한 긍정,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평화교육과 연계되어 학생들 스스로 성차별에 대한 창조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가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gender has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 members. Society expects the thought, the emotion and the conduct equivalent to it is members body classification. And people live must be strictly obeyed demands of society. Human beings as the community members will join in the society 21th century. They have to prepare for creative thought. And the society demands qualified members. This study aims to have the women reflect the location of them selves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the society because they feel the necessity. The research analyzes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shows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 recognition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we will know the thoughts regarding an equal awareness. And it is set the following three branch researches which will be help to understood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identity of the students and it is relationship with a characteristic of the peaceful department. This study focuses on three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ing rul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Second, how are they record structure making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Third, what kind of affection does gender equality education get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th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ree branches research problem, I had to know their experiences and recognition about gender gap. So, the I observed subjects and conversed with them from paradigm insid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hem extended it to an instance research.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at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s, from April 26th, 2004 to June 14th, 2004.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at the same time. The record discrimination ceremony of the students reflects custom and system of the parents, the textbook, the teacher and the society. To my surprise, they didn't know that at all. And they accept this spirit, which appears in their conducts. They classify the work according to the sex as they see the works that the parents did in through the languages and acts. Also they follow biological feature and the conduct appear different. For example, the women feel discriminations. However, she has a tendency to protect themselves by using those differences. They get to learn somethings they should not do through the text and the teachers. And information formed like this affects the future job selection of the students. The research shows that school regulations discourage their creativity display. Gender recognition through the socialization is presented by the unconsciousness accommodation. These involves things acquired not only by imitation but also by experiences they themselves even do not know. These languages and conducts are recognized as a feature of the woman. So, they are becoming universal features in the family, the school and the society. Equality education of gender restructures recognition of the gender difference as human being is equal. Gender difference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but be respected for the development of ability. Peace education pursues harmony of the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The different parts must be equally respected by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agree on social development as social partners. Peace education is a questionable matter because it searches for a creative solution for the partiality.

      • 兩性平等 具現을 爲한 女性公務員 人事政策의 發展方案

        김순옥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C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통신의 발달로 여성의 사회참여 진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여성들이 갖는 감수성과 유연함, 섬세함이 특히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여성의 시대라고도 한다. 따라서 행정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여성의 고급인력이 진출함에 따라 여성공무원 인사정책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여성정책의 목표에 발맞추어 양성평등의 사회 구현과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해 여성부 신설 등 정부의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공직사회에서도 양성평등실현을 위한 공직문화 풍토조성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여성채용목표제의 실시, 군 가산점 폐지 등 제도에 힘입어 여성의 공직진출이 매우 활발해지고 있으나, 고위직 여성공무원은 여전히 낮은 비율이며 대부분 하위직에 집중배치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 표명과 함께 제도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실제 여성 공무원은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제 여성정책의 문제는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여 여성공무원의 고급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공직부분의 경쟁력을 높여야할 때이다. 여성문제에 관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계몽적, 인지적인 상태로 이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변화하는 정책환경에 지속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관리능력을 갖추기가 어렵다고 보아진다. 남녀평등에 기초한 변화된 동반자 관계(Partnership)는 인간 중심적이고 지속 가능한 국가개발(Human-Center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여성문제를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여성주의의 기본이론에 비추어 이상주의적 여성주의를 주장하면서 여성공무원의 직종별·계급별 재직현황을 살펴보고 인사정책의 주요 분야인 채용, 보직관리, 교육훈련 및 승진정책의 실태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양성평등한 공직사회를 지향하고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성공무원의 우수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4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채용정책으로 고위직 여성공무원에 채용목표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하위직에서는 여성공무원의 합격률이 높아 목표율을 상회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유명무실 해지고 있다. 둘째 보직관리에 있어서 중요부서에 여성공무원의 일정 비율을 고위직 여성공무원에 할당하여야 한다. 임용후 첫 보직배치나 전보시 중요부서(기획·인사·예산·감사 등)에 배치하여 업무 역량을 배양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직배치에도 여성공무원의 일정비율을 할당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훈련 정책으로는 남·녀 공무원의 공동참여로 양성평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양성평등 의식교육 강화와 함께 직무교육을 통하여 끊임없는 자기개발로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승진정책으로는 여성공무원이 일정 비율에 달할 때까지 승진할당 등 잠정적인 우대조치를 실시하여야 한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의 표명과 함께 우수 인력을 발굴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한데 어우러지고 여성공무원 스스로 경쟁력이 확보될 때 진정한 양성평등의 사회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여성에 대한 편견과 의식의 개혁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 가정과 사회교육을 통한 개혁과, 단기적으로는 여러 제도를 개선함으로써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에게도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남녀가 함께 가꾸는 조화롭고 양성평등한 공직사회 창출을 위하여 양성평등의식교육 독립과정 설치, 공직문화 모형개발 등 여성공무원의 지위향상 및 남성의 인식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여성의 권익과 지위만 생각하다 보면 균형감각을 잃고 남성의 권익과 지위를 침범하는 우를 범할 수도 있으므로 양성평등 인사정책에 균형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합리적인 정책과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여성공무원 인사 정책의 발전과 남녀 공무원 모두 조직의 일원으로서 공직사화에 양성평등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더욱 더 발전적인 후속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 및 이미지 분석

        김세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Everyone in modern society has the right to be free and equal and lives together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Changing from a former patriarch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our society has undergone a change in social gender roles in the midst of great change. Modern society requires more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ability than physical labor. But the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s limits one's potential by making it impossible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various human aspects that can appear in an individual. Therefore, efforts to transform society into a more equal and non-discriminatory society are required in each sector of society. But the gender stereotype in Korean society is deeply rooted in modern society, reproducing gender inequality and even affecting education. The problem of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 will have to be improved because education of fixed gender role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men and women. Therefore, in this study,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gender equality education can be exercised, I will analyze fiv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a gender-equal perspective and discuss problems by finding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To that end, the content of five 2015 revised art textbooks will b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studies related to gender ratios and gender equality of figures shown in the textbooks will be analyze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ratio of gender appearance, the overall ratio of males in the works in the art textbook was high besides of females. When analyzing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artworks of the artists and artworks of the students, the ratio of artworks of the artists looked more big rate differences than that of the students. Also, there are not many female artists in art textbooks Second, the analysis of gender-leading ratios in textbooks showed that male were also more likely to be the main characters than female were. The artist works and illustrations showed a greater gender gap between men and women than the student works, which showed little gender difference. Third, when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gender occupations and roles in textbooks, it was found that female's roles showed high levels of household and parenting, and male's roles showed high numbers in soldiers, so that job and role images in textbooks were fixed. In addition, female were more likely to appear as lower class people, and male were more likely to appear as upper class, which allowed them to see discrimination in their occupations and status. Fourth, the image of female and male in art textbooks was analyzed in case studies, although many images of female and male playing traditional gender roles were seen in the past, female were seen changing gender role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several images in art textbook, but it was difficult for male to find the gender roles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Externally, male's figures showed much more variety, and female's figures often remained in the standard-looking female form. Fifth, the contents of learning related to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textbooks were not treated in depth as a whole, and the amount was found to be very small. Studies showed that more male appeared in current art textbooks than female, showing an unequal number of sexes, and reflecting inequality in their gender roles and gender status. Female showed some signs of chang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but it was hard for male to find a chang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dicating that male are fixed in appearance. Therefore, more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extbooks are needed, and a balanced composition of art textbooks is required. 현대 사회의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평등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협동적인 인간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이전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현대사회로 변화하며 우리 사회는 큰 변화의 과정 속에서 사회적 성역할에 변화를 겪어왔다. 현대사회는 육체적인 노동력보다는 지적, 감성적, 창의적인 능력이 보다 요구되는 사회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성 역할 구별은 한 개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간상에 대한 가능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더욱더 평등하고 차별 없는 사회로의 변화를 위한 노력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성 고정관념은 현대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하며 성불평등을 재생산 하고 그것이 교육에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정된 성 역할의 교육은 남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에서의 성불평등 문제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성평등교육이 발휘될 수 있는 교육환경으로의 개선을 목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만들어진 중학교 미술 교과서 5종을 양성 평등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성 차별적인 요소를 찾아 문제점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개정 미술 교과서 5종의 내용을 살펴 분석하고 교과서에서 보여 지는 인물들의 성별비율과 양성평등과 관련된 학습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성별 등장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도판에서 남성의 등장비율이 여성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과 학생작품 도판의 남녀 등장인물의 비율에서 학생작품에 비해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이 더 큰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술 교과서에서 여성 작가의 모습들은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 둘째, 교과서속 성별 주연 비율의 분석결과, 역시 남성이 주연인 경우가 여성이 주연인 경우보다 많게 나타났다. 작가작품 및 삽화의 도판이 학생작품 도판보다 남녀의 성비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학생작품은 남녀성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셋째, 교과서에 나타난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가사와 육아가 높게 나타나고 남성은 군인․무인에 높은 수치를 보여 교과서에 나타나는 직업 및 역할 모습이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분적으로 여성은 하층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높았고 남성은 상류층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높아 직업과 신분에서 차별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미술교과서의 여성의 이미지와 남성의 이미지를 사례분석 하였는데 여성과 남성 모두 역사적으로 전통적 성역할을 하는 이미지들이 많이 보였다. 여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역할이 변화되는 모습이 몇 개의 도판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는데 남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역할이 변화하는 모습을 찾기 어려웠다. 외형적 표현에서는 남성의 모습이 훨씬 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여성의 모습은 표준적인 외형의 여성 모습에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교과서 내의 양성평등 교육과 관련한 학습내용은 전체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고 그 양도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행 미술교과서의 내용 속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등장하여 성별 등장수가 불균등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성역할과 남녀지위에 관한 모습에서 불평등함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달라진 모습이 어느 정도 보였지만, 남성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은 찾기 어려워 남성의 모습이 더 고정적으로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강화된 양성평등 교육과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미술교과서의 균형적인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15개정 미술교과서를 양성평등의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에 내재된 성불균형을 바로잡아 미술교과서에서 효과적인 양성평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연계방향을 찾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양성평등 그림책 특성 연구

        김방환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alanced list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and help effective teaching of reading,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included in the list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This will be a criterion for presenting a list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be utilized in selecting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and be a material necessary in utilizing the teaching of reading the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for each area.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86 picture books selected in the “Project to spread Gender Equality Children Book and Culture” in the Project of “Nadaum Children Book”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list of “Nadaum Children Books” is the first list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in Korea drawn up by authoritative organizations, centering arou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picture book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independent characters who respect themselves and grow up, breaking from gender role stereotypes. Second, various forms of family are respected, and the members play equal roles in housework and parenting in the family. Third, in the job and social activities, women and men are equally treated, and the value of women’s labor is recognized. Fourth,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re understood, and social and cultural discrimination is avoided. As for the criteria and method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by the country of publication, content, and genre, and for a content analysis, various criteria for analysis were prepared, dividing the contents by the frequency of the characters’ sexes, job characteristics of grown-up characters,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s’ activities, and the types of activities by sex.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of the publication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there are about three times more translated foreign picture books than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s,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balanced list in terms of the proportion. Translated foreign picture books evenly showed four areas of gender equality, while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s have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learn the content of understanding the roles and gender difference in the family. Seco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by content into four areas, first, by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by sex, more women appeared than men did, and more grown-ups than children. That is helpful for recognizing women positively, but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learning men’s right role,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sex ratio. Second, by the job characteristics of grown-up characters, most men were managers, professionals, and related employees, while more women still were simple laborers than men, except for female character picture books. Third, in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s’ activities, women and girls appeared outside the house rather than in the house. In contrast, men appeared in the house more often, which means that their gender role changed into a homely man’s image. Fourth, by the type of characters’ activities by sex, women appeared often in the area of job activities, influenced by character picture books; however, other women mainly appeared in domestic activities, so it is judged that gender role stereotype still remains. Meanwhile, men’s family activities were over two times their outside ones, which shows men’s changed gender roles. Third, by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by genre, most were realist picture books, since it would be possible to look for unequal problems and find methods for improvement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 or the things experienced in family and society, centering around children’s living. The second genre was character picture books, which were women’s stories, so they have a merit that it is possible to take role models through women’s job activities, but male characters’ stories are also needed. Next, there were fantasy picture books, the only genre with many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s.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equal problems in the reality are resolved in imagination, it is judged that the perfect gender equality is not realized. Fourth, the subjects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are divided into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prejudice, which concretely deliver the subjects hard to explain at the level of children’s eyes through pictures. Lastly, for old story picture books, there were only two volumes of the parody picture book of Little Red Riding Hood with sexual violence as a subject,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original work if they are utiliz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books in consideration of the readers’ pleasure given by the old stories by presenting old stories together instead of parodies only.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genre, there was only one volume of the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 of the information, character and old story picture books,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equality of the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s in this gen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out. First, in creative domestic picture books, it is necessary to select picture books on gender equality in various genres. Second, since more female characters appear than male characters do, it is unlikely that the readers can learn men’s right gender roles. Since more grown-ups appear than children do,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desirable role of the grown-ups. Third, it is necessary to show the image of women active in various areas so that there would be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view of their job in the future. However, each picture book may be acce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ader’s age or dispos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of the selection of books for each age group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genre. 본 연구는 양성평등 그림책 목록에 포함된 그림책의 특성을 분석하여, 균형 있는 양성평등 그림책 목록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독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양성평등 그림책 목록을 제시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되어 독서 교육 현장에서 양성평등 그림책 선정에 활용되고 각 영역에 맞춰 양성평등 그림책 독서 지도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분석대상은 여성가족부의 「성평등 아동도서 및 문화 확산 사업」인 ‘나다움어린이책’ 사업에서 선정된 그림책 8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다움어린이책’ 목록은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권위 있는 단체가 작성한 국내 최초의 양성평등 그림책 목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양성평등 그림책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기를 존중하고, 성장하는 독립적인 인물이 나타난다. 둘째,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존중되며 가사노동과 육아 등 가정 내에서 가족 구성원이 동등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직업과 사회 활동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대우 받고, 여성의 노동 가치를 인정한다. 넷째, 남녀 생물학적 차이를 이해하고 사회·문화적 차별을 지양한다. 분석기준 및 방법으로 양성평등 그림책을 출판 국가별, 내용별, 장르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내용 분석은 등장인물의 성별 출현 빈도, 성인 등장인물의 직업 특성, 등장인물의 활동 배경 및 성별에 따른 활동 유형으로 나누어 다각도로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 그림책의 출판 국가별 특성에서 해외 번역 그림책이 국내 창작 그림책 보다 세 배 가량 많이 나타나 비율 면에서 균형 있는 목록이 제시되어야 한다. 해외 번역 그림책은 양성평등의 네 가지 영역이 골고루 나타났으나 국내 창작 그림책은 가정 내 역할과 성별 차이 이해에 대한 내용을 배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양성평등 그림책의 내용별 특성을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첫 번째로 등장인물의 성별 출현 빈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성인이 아동보다 더 많이 등장하였다. 여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올바른 남성의 역할을 배우기에 한계가 있다고 보이므로 성비에 균형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성인 등장인물 직업 특성에서 남성은 관리자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많고, 여성은 여성 인물 그림책을 제외하면 여전히 단순 노무직의 비율이 남자보다 많이 나타났다. 세 번째로 등장인물의 활동 배경에서 성인 여성과 여자 아동은 집안보다 집밖에서 더 많이 등장했다. 반면 남성은 집안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가정적인 남성의 모습으로 성역할이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로 등장인물의 성별 활동 유형은 여성의 경우 인물 그림책의 영향으로 직업 활동 영역에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나 그 밖에 여성은 가정 활동에서 주로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본다. 반면 남성은 가정 활동이 바깥 활동 보다 두 배 이상 많이 나타나 변화된 남성의 성역할을 제시한다. 셋째, 양성평등 그림책의 장르별 특성에서 사실주의 그림책이 가장 많았는데 아동의 생활을 중심으로 인간관계나 가정, 사회에서 경험한 일을 바탕으로 불평등한 문제점을 찾아보고 개선 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인물 그림책으로 주인공이 모두 여성 인물의 이야기로 여성의 직업 활동을 통해 역할 모델로 삼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남성 인물 이야기에 대한 필요성도 요구된다. 다음으로 판타지 그림책이 많았는데, 유일하게 국내 창작 그림책이 많은 장르로, 현실의 불평등한 문제를 상상 속에서 해결하는 문제가 있어 완벽한 양성평등이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네 번째로 정보 그림책은 남녀 생물학적 차이, 성폭력 예방, 편견에 관한 주제로 나뉘며 설명하기 어려운 주제를 아동의 눈높이에 맞춰 그림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옛이야기 그림책은 성폭력을 주제로 <빨간 모자> 패러디 그림책 두 권만 제시되고 있어 양성평등교육에 활용할 경우 원작에 대한 이해 과정이 필요하다. 패러디가 아닌 옛이야기도 함께 제시하여 옛이야기가 주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장르별 특성 분석 결과 정보, 인물, 옛이야기 그림책에서 국내 창작 그림책은 1권만 나타나 이 장르에서 국내 창작 그림책의 양성평등의 특성을 발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창작 그림책에도 다양한 장르에서 양성평등 그림책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남성 인물보다 여성 인물이 더 많이 등장하므로 올바른 남성의 성역할을 배우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아동보다 성인이 이 더 많이 등장하므로 바람직한 성인의 역할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에게 미래의 직업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하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각 그림책은 독자의 연령이나 성향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주제나 장르에 따른 연령대 별 도서 선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