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趙之鎌의 篆刻藝術 硏究

        이시규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晩淸의 전각 대가 趙之謙의 篆刻을 연구한 것이다. 전각사는 奏漢代와 明淸代를 고봉으로 삼고 있는데, 진한대의 인장은 당시 인장이 발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 하에서 형성된 것이고, 명청대는 전각에 대한 문인들의 애호와 청대 정치와 관련한 학술사조에따른 고고학의 발달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여건 하에서 예술에 대한 천부적 자질을 타고난 조지겸은 짧은 예술 생애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그의 서예와 회화, 전각은 후대에 잘 알려져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의 서예는 청대 중기 금석학, 훈고학의 발달에 따르는 비학발흥에 힘입어 북위해서체와 예서체에 특히 뛰어났고, 이른바 '逆入平出, 萬毫力'의 이상을 실현하였다. 회와는 화훼를 중심으로 인물화와 산수화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大寫意 文人畵의 대가였다. 그는 당시 다른 전각가들 처럼 진한인을 학습한 깊은 뿌리 위에 명청대의 각 유파인장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宋元代의 圓朱文印의 특징을 흡수하여 자신의 전각을 이루었다. 그의 전각은 엄격한 법도를 지키면서도 다양한 字法을 구사하였다. 白文印은 이른바 '빽빽한 곳은 바람이 통하지 않도록 하고, 성긴 곳은 말이 달릴 수 있게 한다.'는 포치의 원리를 십분 표현하여, 광결주경한 선질로 渾厚茂密한 풍격을 이루었고, 朱文印은 瘦勁한 필획으로 流麗한 풍격을 나타내었다. 특히 시대적 조류에 따라서 鄧石如의 印從書出論을 발전시켜 印外求印의 사상을 제창하고, 자신의 전각 창작의 방식으로 삼았다. 이러한 것은 전각의 印文과 邊款에 잘 나타나 있는데, 당시 출토된 奏詔版, 權量, 전와, 碑刻, 帛布, 鏡銘 등 고기유물의 문자를 인장에 入印하였을 뿐만 아니라, 邊款에 南北朝의 造像記이나 漢代의 畵像石 등의 도형을 과감하게 도입하는 등 새로운 국면을 창출해 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심미관과 창작들은 후세 전각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고, 전각 발전사에 신기원을 세웠던 것이다. 전각사에서 '印外求印論'과 함께 커다란 공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변관의 영역 확대'이다. 원래 변관은 해서로 관지를 기록하는 것에 불과했었는데, 조지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변관에 다양한 서체를 쓰거나 그림을 새겨 넣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변관을 하나의 예술 표현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깊이 있게 접근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서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전각예술 절정기의 주역이면서 풍격면에서도 확연하게 다른 吳昌碩과 黃士陵에게 많은 영향을 준 것은 그의 예술이 凡常하지 않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 논문은 '法古創新'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예술의 소재는 멀리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있고, 이미 있던 것에 있고, 평범함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주변의 모든 자연적, 인공적 요소들은 모두 예술창작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나의 것으로 수용하느냐 하는 것이 창작의 성패를 가름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ngravings of Cho Ji-gyem, an engraving master during late Chin China. The origins of engraving may be traced back to Quin/Han China and Ming/Ching China. During the form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various favorable conditions for seals, and during the latt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the auspice of the literary class and in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of archaeology. Cho Ji-gyem who was an inborn artist could produce a great achievement despite his short life as artist. He admitted the advantages of various seals developed during Ming/Ching China based on the deep root of Quin/Han China seals. Moreover, he absorbed the tradition of round red seals developed during Sung/Yuan China to create his unique engraving style. His engraving conformed to some strict rules but featured diverse letter styles. His white engraving reminds us of the principle "tight parts do not allow for any wind, while the loose parts allow horses to run through." The result was a bright, clean, strict and diligent quality as well as a luxurious and tight style. Meanwhile, his red seals looked stern but smooth. In particular, Cho Ji-gyem followed the current of his age. He developed Dung Haeng-yeo's principle "seal should follow letters", and championed the thought of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presenting himself as source of engraving and influencing his followers deeply. Such a thought is apparent in the letter tablets and changes. In the history of engraving, another achievement beside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may be "expansion of letter changes". Originally, letter changes meant recording some square styles on paper. However, Cho Ji-gyem surmounted such a limit to use diverse letter styles or even engrave figures on seals. After all, he established letter changes as an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these two-fold achievements are reviewed in depth. They were related with each other, affecting the later engraving. The great artistic quality of his engraving may well be eloquently proved by the fact that Oh Chang-sik and Hwang Sa-rung both of whom represented the climax of the engraving art but distinguished themselves clearly from him were influenced much by him.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innovation should be based on tradition'. The sources of art are not far away from us but near us. They may be found in existing things and therefore, must be ordinary. Thus,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review and accommodate the things around us and thereby, re-create them.

      • 농촌지역의 공동체연극 : 공동체연극으로서의 세월마을학교축제 '달님과 손뼉치기'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정지은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문 개요 공동체연극은 연극 예술가들이 일반인들과 함께하는 공동 작업으로, 참가한 사람들의 삶이 직접적인 주제가 되고 집단적인 의미를 표시하는 연극을 통칭한다. 한국에서는 공동체연극의 실행과 논의가 부족하지만, 서구에서는 68운동 이후 아방가르드시기에 대안연극으로 그 실행과 가치가 입증된 바 있다. 서구 공동체연극이 가지는 가치는, 우선 현대 사회의 공동체 회복에 이바지한다는 것이다. 공동체연극은 구성원들이 문화예술행위로 자신의 일상을 표현하고 개인의 삶을 서사화하여 삶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자신의 삶의 문제와 공동체의 문제를 참여적 의사소통으로 다른 구성원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일이다. 공동체연극은 문화로부터 소외되었던 일반인들이 연극에 참여하여 문화의 주체가 됨으로써 그들의 견해가 폭넓게 공유되는 현장이 된다. 이것은 문화민주주의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체연극은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민주적 의사소통으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둘째, 서구 공동체연극은, 발달하는 미디어와 소비적 대중문화 때문에 위축되어 가는 연극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그 가치를 보여주었다. 공동체연극은 기존의 전통적인 연극과는 다른, 새로운 참여 방식들을 발전시켰다. 기존의 연극의 형식들을 해체하고, 일상 세계 안에 극적 세계를 병치시켜, 그 이중성을 통해 삶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그리고 공연자와 관객이 통합되어 집단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적 소통의 방식을 지향한다. 셋째, 예술행위에 일반인들을 참여시켜 결과적으로 그들이 속한 공동체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20세기 후반 대안문화의 하나로 출발한 서구 공동체연극은 연극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연극이 비판적 사회 인식을 넓히고 삶을 변화시키는 예술이 되어야 한다는 데 주목한다. 연극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은 관조적 감상자가 아니며, 어려운 예술 미학의 세계가 아닌 일상의 삶을 예술로 만난다. 이렇게 공동체연극은 일상의 삶을 거울로 비추어 보게 하여 사회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연극을 삶의 친숙한 생활 예술로 만나게 한다. 존 듀이의 ‘민주 공동체’ 이론과 서구 공동체연극의 실천과정은, 공동체연극이 참여를 통해 민주적인 의사소통과 민주 공동체를 이루는 일에 기여하고,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새로운 대안연극으로서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다루는 양평 세월마을학교 축제 ‘달님과 손뼉치기’ 공동체연극은, 농촌 지역의 초등학교가 ‘마을’이라는 주제를 통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면서 이야기를 만들고, 그 자료를 모아 지역 주민과 학교가 함께 연극을 만든 것이다. 세월마을학교 ‘달님과 손뼉치기’ 연극사례는 공동체연극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주민의 참여를 통한 갈등과 소통의 기제 2. 마을 공동체의 문화 축제 3. 농촌지역의 주체적 문화민주주의 실현 4. 농촌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모델 ‘달님과 손뼉치기’ 공동체연극은, 농촌 지역에서 ‘연극이 학교와 지역사회의 소통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진행자 모두는 지역 소통을 위해 노력하면서 지역에서 일상적 삶의 문화를 바꾸기 위한 대안적 예술행위로 교육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연구자는 이 사례를 통해, 공동체연극이 지역공동체가 소통하고 만나는 공적 담론의 터전을 형성할 수 있고, 연극이 새로운 민주적 소통을 창조하는 대안적 예술 행위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 사례는 공동체연극에 대한 관심과 대중적 확산을 위한 모델로서도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비슷한 시도가 있을 때 본 논문이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캘리그래피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다혜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Calligraphy is the art of beautiful handwriting. Starting with the spread of computers in the 1990s, calligraphy drew attention in that it is a handwriting style write by humans and a art of lettering that can express various emotions of humans at a time when it seeks to escape from digital type and seek the prototype of Korean design. Calligraphy is a handwriting art derived from traditional calligraphy, and it is gradually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elements and developing into an art combined with modern aesthetics. It i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calligraphy in terms of textuality, noticeability, practicality, commerciality, artistry, and expression suitability,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haracter expression art in various visu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by separating calligraphy and traditional calligraphy into several elements, and to recognize that calligraphy is also a one of visual art. In particular, approached as an aspect of artistic psychology to analyze the visual perceptual of calligraphy. Through this theoretical study of calligraphy, the basis was laid for providing the basis for future calligraphy creation and seeking more systematic application methods. Specifically, in order to confirm the visually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calligraphy and traditional calligraphy, it was subdivided into materials, handwriting techniques, formativeness and expression technique, and a arf of work formality and a art of work contents. Calligraphy and traditional calligraphy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but traditional calligraphy is a handwriting art that emphasizes learning and self-discipline, and calligraphy is divided into handwriting art that values popular and emotional expression. Calligraphy is also a visual art, an art that is achieved through visual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refers to the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prominent features of an object through the human eye, and the visual perception specificity of calligraphy is explained by dividing it into lines and strokes, Korean formations, and expression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calligraphy can express various feelings by containing energy in letters with strokes, which are the minimum elements, and using straight lines and curves appropriately. In addition, as a character formative art, it has a non-geometrical abstract form, and has characteristics of non-reproducibility and one-off. When Koreans see Hangeul calligraphy, they recognize characters based on the Hangeul education they have been taught since childhood. Since our eyes recognize characters as dots and form shapes, they can be recognized as the same character even if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calligraphy ar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se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mean that the modeling of calligraphy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types. In addition, the expression technique of calligraphy can be unbounded by materials, methods, and formality. Calligraphy can expression dismantle of consonant and vowels, Expression of musicality and rhythm, Hangeul of figuration.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correspond to the autonomous expression techniques of calligraphy, which has a different character from traditional calligraphy or typography. Through the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alligraphy can be analyzed through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of art psychology.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calligraphy has the potential of infinite stroke and formativeness, expressive techniques.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follow-up studies of an objective approach to the art theory of calligraphy in the future. Through the scalability of calligraphy stroke, the creativity of Hangeul formativeness, and the autonomy of expression techniques, it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alligraphy creation that meets the modern sense of beauty. 캘리그래피(calligraphy)는 손으로 글씨를 아름답게 쓰는 문자의 예술이다. 1990년대 컴퓨터 보급을 시작으로 디지털 활자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와 한국 디자인의 원형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캘리그래피는 인간이 손으로 직접 쓰는 육필 서체라는 점과 다양한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예술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캘리그래피는 전통서예에서 파생된 문자예술로, 전통적 요소에서 점차 탈피하여 현대적인 미감과 결합한 예술로 전개되고 있다. 문자성, 주목성, 실용성, 상업성, 예술성, 표현 적합성 등에서 전통서예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구축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각 매체에서 문자 표현예술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캘리그래피와 전통서예를 여러 요소로 분리하여 캘리그래피만의 시각적 특성을 확보하고, 캘리그래피 또한 하나의 시각 예술임을 인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캘리그래피를 예술 심리학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캘리그래피의 시지각적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캘리그래피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향후 캘리그래피 창작의 근거를 제공하고 보다 체계적인 응용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캘리그래피와 전통서예의 시각적 동이점(同異點)을 확인하고자 재료와 서사기법, 조형과 표현방식, 작품 형식과 내용으로 세분하였다. 캘리그래피와 전통서예는 명확히 구분할 수는 없으나 전통서예는 학문과 자기 수양이 내재된 문자예술이며, 캘리그래피는 대중적이고 실용적인 감성 표현을 중시하는 문자예술로 대별된다. 또한 캘리그래피는 시각 예술로, 시지각(視知覺)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이다. 시지각이란, 인간의 눈을 통해 어떤 대상의 두드러진 특징을 파악하고 인식하는 것을 말하며 캘리그래피의 시지각적 특수성을 선과 획, 한글 조형, 표현기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 캘리그래피는 가장 최소 요소인 획으로 글씨에 기운을 담고, 직선과 곡선을 적절히 활용하여 여러 가지 느낌의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문자 조형예술로 비기하학적 추상형태를 띄며, 비재현성과 일회성의 특징을 가진다. 한국인이 한글 캘리그래피를 볼 때, 아동기 때부터 교육받은 한글 교육을 바탕으로 문자를 인식한다. 우리 눈은 문자를 형을 이루는 점으로 인식하여 캘리그래피의 자모음이 다양하게 변형되어도 같은 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지각적 특성은 캘리그래피의 조형이 다양한 형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캘리그래피의 표현기법은 재료나 방법, 형식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고 자모음의 해체, 음악성과 율동성의 표현, 한글의 형상화로 표현이 가능하다. 다양한 표현기법은 전통서예나 활자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 캘리그래피의 자율적인 표현기법에 해당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캘리그래피가 예술 심리학의 시지각 이론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캘리그래피는 무궁무진한 획과 조형, 표현기법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캘리그래피의 예술 이론에 대한 객관적 접근의 후속 연구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며, 캘리그래피의 획의 확장성, 한글 조형의 창의성, 표현기법의 자율성을 통해 현대적 미감에 부합된 캘리그래피 창작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 唐代 草書의 유형과 특질 연구

        석미숙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당대(唐代, 618-907)의 예술은 대체로 이성주의에 입각한 전형적인 하나의 틀을 갖춘 시기였다. 아울러 감성주의가 교차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진 시기이며, 서예 또한 당 태종(太宗, 599-649)의 왕희지(王羲 303-361) 숭상으로 상법(尙法)의 해서가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경제발전으로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개방적이고 자유로워지면서 당나라의 전반적 예술활동은 다양한 변화와 개혁을 일으키게 된다. 성당(盛唐, 713-756) 시기의 예술활동은 시가(詩歌)와 서예로 대표된다. 이 두 가지의 예술정신은 성당 음악의 바탕 속에서 상호 보완 작용을 하여 ‘성당기상(盛唐氣像)’의 풍모를 공동으로 구현하였으며, 그 교집합에 부합하는 서체는 바로 광초(狂草)이다. 당시(唐詩)와 서예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은 당나라의 음주문화이다. 술은 현실 세계를 잊고 자아의 자유로운 영혼으로 돌아가 인간 본연의 서정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매개이다. 당나라 시성(詩聖) 두보(杜甫, 712-770)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는 당나라의 음주문화를 대표하는 시로서 그 속에 광초 서예가인 장욱(張旭657-750?)이 출현하기도 한다. 장욱의 초서는 당나라 문화예술의 표상인 ‘성당기상’을 대표하는 ‘광초’이다. 당대 초서는 초당(初唐, 618-712) 시기 손과정(孫過庭, 648-703?)의 <서보(書譜)>와 하지장(賀知章, 659-744)의 <효경(孝經)>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초서는 왕희지 서법을 계승하여 당대의 예술적 특징인 자유로움이 담겨 있다. 손과정의 <서보>는 상법 숭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서정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심미 영역을 개척하여 장욱의 광초로 이행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하지장의 <효경>은 손과정의 금초와 장욱의 광초의 가교역할을 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이후 장욱의 광초가 출현했는데 그의 광초는 주흥(酒興)을 통한 구속 없는 자유로움과 호방함의 초서로 정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기존 서법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초서를 구현하였다. 한편, 회소(懷素, 737-799)의 초서는 장욱의 광초를 계승하였으나 장욱의 자유분방함을 마음속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본성에 입각한 새로운 광초를 선보이며 광초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장욱과 회소의 광초는 모두 주흥(酒興)을 통하여 자유분방한 초서를 썼으므로 ‘이광계전(以狂繼顚)’과 ‘전장취소(顚張醉素)’라는 말로 점철되었다. 이후 안진경(顏眞卿, 709-785) 서예의 출현은 중국 서예 역사에 또 다른 변혁이었으며 그의 새로운 심미의식의 창신(創新)은 후대 행초서의 발전과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대 초서의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당시와 일체를 이루어 ‘성당기상(盛唐氣象)’의 풍모을 구현하였다. 다음으로는 예술적 표현방식의 혁신으로, 기존의 이성적 서법을 뛰어넘은 자연 친화적인 인간의 감성을 무의식의 예술세계로 승화시켰다. 마지막으로는 구속됨 없는 자유분방한 감성의 시각예술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초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당대 초서의 유형과 그 특질을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하나는 후천적 학습을 통한 이성적인 감정의 표현으로, 유가의 중화미학(中和美學)을 실천한 유형이다. 다른 하나는 자연천성(自然天性)과 형상 밖으로 초월하는 자유로움으로, 노장사상을 실천한 유형이다. 전자의 경우 윤리와 법고(法古) 정신의 강조로 예술표현의 방법에 한계가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기존의 모든 법을 초월하는 예술표현의 한계성이 없어짐으로써 무한한 발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대의 초서는 이 양자의 특질이 동시에 내재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당대의 가장 큰 혁신은 무엇보다 광초의 성행이라 할 것이다. 이는 서예의 새로운 도전으로 서예가 순수예술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In the Tang Dynasty (唐代, 618-907), the arts had usually a typical frame based on rationalism and prepared the foundation on which emotionalism also developed together with such rationalism. Also in the calligraphic field, Emperor Taizong of Tang (太宗, 599-649) admired Wang Xizhi (王羲 303-361), so that Haeseo (a calligraphic style) of Sangbeop (尙法, a calligraphic rule) enjoyed its climax in that era. Since then, the economic growth had made the society generally open and free resulting in the general art activity of the Tang era had raised a variety of changes and reforms. Especially in the heyday of the Tang dynasty (盛唐, 713-756), the art activity was represented by poetry and calligraphy. Such two art spirits altogether realized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through mutual supplementation. It was Gwangcho (狂草, a calligraphic style) that met both poetry and calligraphy. The drinking culture of the Tang era should not be forgotten for discussion of Tang poetry and calligraphy. Liquor is a medium that helps you not think about the real world and get back to your free spirit so that you can freely express the essential lyricism of human being. Eight Poetries of Being Drunk (飮中八仙歌) written by Dufu (杜甫, 712-770), one of the greatest poets of the Tang era, is a poetry piece that represents the drinking culture of the Tang era. In such work piece also features Zhāng Xù (張旭, 657-750?), a Gwangcho style calligrapher. Zhāng Xù’s Choseo style calligraphy is Gwangcho that represents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which symbolizes the culture and arts of the Tang dynasty. In the early Tang era (初唐, 618-712), the Choseo was represented by Shūpǔ (書譜) written by Sūnguòtíng (孫過庭, 648-703?) and Xiàojīng (孝經) by Hè Zhīzhāng (賀知章, 659-744). Both succeeded Wáng Xīzhī’s calligraphic style, so that their styles showed unconventionality that was the art feature of the Tang era. Shūpǔ (書譜) written by Sūnguòtíng explored a new aesthetic field based on his own unique lyricism even under the social mood admiring Sangbeop, so that it became the foundation from which Zhāng Xù’s Gwangcho was born in. Xiàojīng (孝經) written by Hè Zhīzhāng can be evaluated as a bridge between Sūnguòtíng’s Geumcho style and Zhāng Xù’s Gwangcho style. Zhāng Xù’s Gwangcho that appeared after the early Tang era was a Choseo style of unconventionality and broadness without detention that could be realized through drinking joy, which suggested the direction to freely express emotion and formed a new Choseo style overcoming the barrier of the conventional calligraphic styles. On the other hand, the Choseo used by Huáisù (懷素, 737-799) succeeded Zhāng Xù’s Gwangcho. Huáisù, however, understood Zhāng Xù’s freewheeling style in his mind and introduced a new Gwangcho based on his own nature, which contributed to progress of Gwangcho. Both Zhāng Xù’s Gwangcho and Huáisù’s Gwangcho were a freewheeling Choseo realized through drinking joy, so that they all called Yǐkuángjìdiān (以狂繼顚: rush about wildly) and Diānzhāngzuìsù (顚張醉素: broadly express one’s emotion drunk). Then, the calligraphy of Yán Zhēnqīng (顏眞卿, 709-785) appeared and it was another revolution of Chinese calligraphy. Such his new aesthetic sense largely contributed to the progress and change of Hang-Choseo style later. The analysis on the features of the Tang’s Choseo indicates: First, it was completely harmonized with the Tang poetry and realized the upright mood of the Tang’s heyday; Second, it reformed the artistic expression way and expressed the nature friendly human emotion into the art world of unconsciousness; and Last, it transformed the calligraphy into a visual art of emotion that was freewheeling without detention. Based on such features of Choseo, the Tang;s Choseo can be summarized into two patterns: One practiced the Chinese-centered aesthetics by expression of rational emotion made through acquired learning; and The other practiced the thought of Laotzu through the human nature and unconventionality where it went out of the shape. The former emphasized the moral and the spirit of following the old good models, which revealed its limitation of art expression while the latter got rid of the barrier of art expression transcending the conventional rules of all implying the possibility of everlasting progress. It was clarified that the Tang’s Choseo had such two features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biggest innovation in the calligraphic field of the Tang era must be the appearance of Gwangcho, which was a new challenge of calligraphy setting up an opportunity for calligraphy to go up to a fine art.

      • 吳昌碩의 書藝術 硏究

        신윤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吳昌碩이 태어나기 전후의 中國은 여러 戰亂을 겪은 격동의 시대로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對內外的으로 매우 불안한 시기였다. 이러한 혼란과 대변혁은 文化藝術의 전반에도 일어나게 되었다. 明末부터 19세기 중엽을 전후로 중국 학계에는 考證學이라는 實用主義의 새로운 學風이 발흥하였다. 이와 더불어 學者들의 '文字獄'으로 인해 帖學이 쇠퇴하고 碑學이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시대 분위기에 부응하여 金石學이 성행하게 되였다. 金石學의 발전은 畵藝와 篆刻연구에 획기적인 융성을 가져오게 하였는데, 魏 · 晉시기에 '二王'이라 불리는 王羲之(303-361) · 王獻之(344-386) 父子중심의 法帖보다는 碑刻에 눈을 돌리는 書人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더불어 院元(1796-1850)의 『南北書派論』과『北碑南帖論』의 學說을 이어받은 包世臣(1775-1855)이 『藝舟雙楫』을 저술하여 다시금 북비의 장점을 고취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적 풍조는 옛것의 모방에 얽매이지 않고 고전에 대한 독자적 해석을 통해 전혀 새로운 것을 탄생시켰는데 吳昌碩의 <石鼓文>이 바로 그것이다. 오창석은 <石鼓文> 을 바탕으로 예술적으로 높은 경지에 이르렀는데 그의 詩는 함축적이면서 해학적인 정취가 넘쳐나 독립된 작품으로써도 손색이 없었으며 그의 繪畵는 書藝와 篆刻의 章法을 구도법에 적용하여 생동감이 살아나도록 하는 묘취가 있었다. 그의 繪畵作品에 나타난 用筆法은 <石鼓文>의 임서를 통해 얻어낸 中鋒用筆과 張旭, 懷素 등의 草書에서 체득한 호방한 필치로 그림을 그린 것이다. 그리고 用墨法 또한 書藝의 運筆에 기초한 자유로운 用墨法으로 寫意的 화풍을 보여주었다. 채색에 있어서는 근대적 풍모의 원색계열을 사용하였고, 구도법은 전각의 장법을 많이 이용하여 全面構圖를 써서 虛實相生의 효과를 얻어내고 대각선 구도를 취하여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또 그의 篆刻은 훈고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역대 문자학자들의 저서들을 독파하고 문자의 변이과정과 변화하는 기본법칙을 간파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인장에 오른 글자체의 구성은 『說文』의 규범을 지키면서도 변화무쌍하였다. 특히 그의 書藝는 평생에 걸친 <石鼓文>연구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이 따를 수 없는 그만의 독창적인 풍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기교를 안으로 감추고 강직함과 부드러움을 조화시킨 그의 석고문자의 가장 큰 장점은 한 폭 한 폭의 작품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변화의 묘미를 느끼게 한다는 점이다. 그가 이러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부단한 古法의 연구와 창조의 정신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오창석은 옛것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古典을 꿰뚫어 그 원류를 찾아 명확히 이해하여 독창적인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오랜 書法과 篆刻의 연마에서 나온 필치로 모든 예술을 통합시켜 虛實相生의 조화를 이끌어 냈으며, 대담하고 개성적인 구도와 힘찬 필력 등이 기초가 되어 詩 · 書 · 畵 · 篆刻의 경지를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오창석의 예술적 성취는 많은 文人墨客들로 하여금 그의 예술적 풍모를 추종하게 하였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도 크게 유행하였으며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큰 감동과 영향을 주게 되었다. China at the time before or after the birth of Wu Changshi was a period of disturbance having suffered from many wars. In addition, the society was very unstabl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is chaos and great innovation influenced the entire area of culture and arts. Since the end of Ming dynasty (明) until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had developed a new school of pragmatism so called Evidential Scholarship (考證學) in Chinese academic world. Along with this development, the study of the calligraphies engraved on hardwood board (or hardwood slab, 帖學) was declined due to "Literary Persecution" (文字獄) and, instead, the study of the calligraphies engraved on the stone tablets (碑學) was advanced. Matching with such a contemporary atmosphere of the society in those days, Bronze-Stone-Scholarship (金石學) become prevail. The development of Bronze-Stone-Scholarship brought a significant prosperous of the study on the art of calligraphy as well as the seal script (篆刻), and there were more professional calligraphers who turned their interests into the inscriptions of stone tablets rather than to the exemplary text regarding rules of writing engraved on hardwood board mainly focused on Wang Xizhi (王羲之, 303-361) and his son, Wang Xianzhi (王獻之, 344-386) who were called "Two Calligrapher Sages" in the era of Wei and Jin(魏, 晉). And Po Se Sin (包世臣, 1775-1855), who succeeded to the principles of Juan Yuan (院元, 1796-1850), the author of two books, titled, "Treatise of South and North Calligraphy School," 『南北書派論』 and "Treatise of Northern Stone and Southern Hardwood," 『北碑南帖論』, wrote a book, titled, Yejussangjeup (藝舟雙楫, a commentary on ancient rules of brush writing, etc.) and promoted the merits of Northern stone tablets again. This artistic trend didn't merely rely on imitation of old models, but made a completely new art come into existence through means of interpreting the old texts independently, and it is thus that Stone Drum Script (石鼓文) of Wu Changshi is one of that kind. Wu Changshi attained a higher level of artistic quality based on the Stone Drum Script (石鼓文) and his poem can stand any comparisons as an independent and original art works with full of sentiments and romantic touch carrying implicit and humorous aspects. His paintings emit a mythical flavor that revives dynamic sensation having applied the rule of being natural and of maintaining harmonious posture (章法) which used in calligraphy and seal carving. The way of using brush appeared in his painting works is rooted in the authentic method of using brush that mastered from a long time practice with the Stone Drum Scripts and he applied his virile brush works that learned from Full Cursive Script of Zhang Xu (張旭) and Huaisu (懷素) to his paintings. And his way of using ink is a free style based on the principle of calligraphy works, and in his paintings, he tended to depict the spirits and contents inside of the object rather than its forms or exterior appearance. In coloring, he used a kind of primary colors that give a modern taste, and concerning composition, he obtained an effect of interrelation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by using a technique to combine distinct elements to form a whole, having employed the authentic method being used in seal carving, and also by taking diagonal composition, he expressed a sense of vividness. His seal carvings exhibit the facts that he had studied the text-based semantics (훈고학) systematically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the graphologists and examined carefully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compound characters and principles of its change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compound characters carved on his seal features very complex set of patterns observing the rules of the etymological dictionary (說文). Specifically, through his life long study in Stone Drum Script, Wu Changshi established his own original style of brush writing which others are unable to follow through. The greater merit of his seal script calligraphy, which reveals a harmony between strength and tenderness having hidden the techniques inside, is that each and every one of screens makes the viewer feel a mysterious sensation of changes. The reason he could have reached such a higher level of maturity is because his ceaseless efforts for study in the old versions of brush writings and his spirit of creativity were laid as the foundation. Wu Changshi penetrated into the knowledge of the classics without being indolent on studying old scripts and versions and he sought to capture the origin or etymology of the subject script and tried to understand it clearly, so that he was able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world of arts. Having integrated all arts with his brush works, which are the results of his hard workings with the rules of writing and seal carvings for a long period of time, he elicited a harmony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 and falsehood, and on the basis of carefree, unrestrained and individual composition, and also exuberant and virile brush workings, he could have attained a state of mastery of poem, calligraphy, painting and seal carving. Such an achievement of arts attained by Wu Changshi made many literati-painters follow his style of arts and his techniques were once prevailed in Korea and Japan, etc. and his arts gave numerous artists greater impressions and influences.

      • 徐三庚의 篆刻藝術 硏究

        임경희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중국의 청대 중 · 후반 서단은 그동안 館閣體가 일세를 풍미하고 있었으나, 康熙 · 雍正 시기에는 고증학의 흥기로 첩학으로부터 비학이 전개되고 전환되면서 전각의 남북 양대 종파의 확립 및 후기의 남북합류로써 近 · 現代 篆刻界의 찬란한 성과를 이루어 냈다. 금석고증학의 시작과 번성은 즉시 서법 · 전각에 반영되었는데, 이는 예술가들을 위해 깊고 풍부하면서 광범위한 자원을 제공하여 청대에는 많은 걸출한 서예가와 전각가를 배출하게 되었다. 청대후기 上海經濟 발전은 문화 예술의 흥성에 촉진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 많은 지식인들이 상해에 모이게 되었다 서삼경은 이와 같은 사회문화 배경의 영향아래에서 일종의 생계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상해에서 장기 거주하게 되었으며, 상해의 현인들에게 종종 높은 평가를 받아가면서 그의 서법과 전각예술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37세 이전에는 浙江 동쪽에서 浙派의 영향을 받아 이를 바탕으로 丁敬 · 黃易 특히 陳鴻壽 · 趙之琛 兩大 篆刻家를 흠모하고 직접 摹刻을 하면서 깊은 硏究를 하였다. 이후 그가 鄧石如 印章風에 대해 배우고 硏究한 것은, 남겨진 작품의 연대로 볼 때, 淸 同治 2년 정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고, 徐三庚의 38세 이후 시절이다 . 그는 吳讓之의 인장 著作이 민첩하면서도 솔직 담백한 품격과 유창하고 경쾌한 筆意에 대해 십분 경탄하여, 후에 줄곧 모범으로 삼았다. 徐三庚 후기의 인장 작품 중에 문자구성과 도법 사용이 자유분방한 것은 모두 吳讓之의 영향을 깊숙하게 받은 것이다. 서삼경은 鄧石如의 예술세계를 수용하면서, 전서는 순수하게 鄧派의 篆法을 사용하였다. 비록 강건함이 鄧派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流麗한 美는 떨어지지 않았다. 徐三庚은 인장창작에 있어서 宋 · 元代 인장, 그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 근원을 찾아 마침내 明 · 淸 篆刻流波 인장의 속박에서 벗어난 하나의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게 되었다. 그의 초창기 인장은 浙派의 情鴻壽 · 趙之琛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은 까닭에, 切刀法을 刀法의 기본으로 하였고, 중년 이후에는 鄧石如 · 吳熙載의 방식을 같이 받아들여 刀法의 運用에 큰 변화가 생겨났다. 이로써 서삼경은 浙 · 鄧 양파의 장점을 융합하여 유연하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주어 인장문의 內容 · 筆墨 · 篆法에서 그 印章面의 形式感 · 韻律 ·意趣 등이 긴밀하게 결합되었다. 또한 필요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다양한 기법을 융통적으로 조절하여, 어느 계파나, 어느 대가에게도 구애받지 않는 자신만의 家法을 이루었다. 그의 만년에는 이러한 새로운 풍조와 발전으로 중국내는 물론이고 일본에서도 관심을 일으켜 유학의 열풍과 함께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 서삼경이 비록 어려운 환경 안에서 생활하였으나 스스로 강한 집념으로 적응하면서 오직 전각예술에 대한 깊은 연구는 예술인의 관점으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Circles of art in calligraphy in China faced a conversion from a study on copybooks to a study on steles under a rising influence of a bibliographical study at the latter half of Qing dynasty, the Ka ̄ngXi ̄·Yo ̄ngZhe ̄ng era, while GuaˇnGeˇ style had been dominant until then. This, finally, caused a precious result in circles of art in seal engravings, so called, the establishment of north and south schools and union of the them at the end. Fetal movement and a flourish in epigraphic bibliography were directly reflected in art in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s. This meant that epigraphic bibliography offered artists wide-ranged and abundant resources. Within such environments, a number of calligraphers and engravers of distinguished talent had been produced in Qi ̄ng dynasty. At the late period of Qi ̄ng dynasty, the economic development in Sha`ngHaˇi led to a flourish in art and culture. Thus, the intelligentsia rushed to Sha`ngHaˇi as well. Within thos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Xu´Sa ̄nGe ̄ng, as a professional artist, could stay for a long while in Sha`ngHaˇi. His works became not only renowned widely but also highly reputed by the intelligentsia. Until around the age of 37, he came to know some great engravers such as Di ̄ngji`ng, Hua´ngYi` especially, Che´nHo´ngSho`u, Zha`oZhi ̄Che ̄n and adored them. He studied their works by copying their engravings under the influence of the Zhe` School from the east of Zhe`jia ̄ng. It was the second year of Qi ̄ng dynasty, the time when he was over 38 that he studied De`ngShi´Ri´'s art in seal engravings. His art in seal engravings heightened its sonorousness by bringing seal characters emphasizing dramatic and energetic spirits and humble techniques into seals. Wu´Ra`ngZhi ̄, whose engraving had agile and frank dignity, and, at the same time, flowing and springy touches, also was adored by Xu´Sa ̄nGe ̄ng. It was definite that some of Xu´Sa ̄nGe ̄ng's works, in his later time which was unrestrained in composition and technique, was deeply influenced by Wu´Ra`ngZhi ̄. Xu´Sa ̄nGe ̄ng produced works using styles merely borrowed from seal engraving styles of the De`ng School after he received De`ngShi´Ri´'s artistic idea. Although his works was not as sturdy as De`ng's, the flowing beauty of his works was splendid at least. He studied seal engraving not only So`ng and Yua´n dynasties' but also of its origin, so that he created his own artistic world beyond the typical style of Mi´ng·Qi ̄ng era. His early works of seal engraving adopted a knife-breaking technique as a primary because he wa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he´nHo´ngSho`u and Zha`oZhi ̄Che ̄n from the Zhe` School. However, he brought remarkable changes in his techniques by receiving De`ngShi´Ru´ and Wu´Xi ̄Za`i's after his mid age. He made flexible and large variations by harmonizing each merit of both Zhe` and De`ng Schools. Therefore, a sense of formality, rhythm and manner of character-engraved faces could be reflected deeply into the import, penmanship and techniques of engraved characters. At the same time, he achieved his own style by flexibly adopting various techniques regardless any schools or celebrities. The fact that his art in seal engravings bridged between history of seal engraving and of its after ages deserves earning high reputation.

      • 墨卿 伊秉綬의 書藝硏究

        김창섭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淸代에 있어서 훌륭한 서예가로 손꼽히는 墨卿 伊秉緩(1754-1815) 서예를 중심으로 그의 예술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伊秉綬는 대대로 詩禮之家에서 태어나, 훌륭한 가문과 좋은 환경 속에 성장하였고, 부친의 엄격한 가정교육과 당대 주변의 유명한 학자들과 일찍부터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그의 부친 伊朝棟(1728-1807)은 程朱學에 깊은 연구가 있었다. 따라서 伊秉綬 또한 부친으로부터 家學으로 程·朱의 영향을 받았으며 문학과 예술에도 일관하였다. 특히 시문·서화는 물론 전각에 이르기까지 두루 뛰어났다. 이것을 바탕으로 관리가 되어서도 학문과 예술에 관심을 두고 백성을 다스렸으니 후대에 청백리로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그는 정치·경제·문화·예술 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淸代의 지성을 대표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는 서예에 있어서 모든 서체를 잘 썼으며, 특히 예서는 대담하고 고박한 풍격을 지니고 있어 그 기개의 당당함이 당대 최고였다. 그의 예서는 漢代의 예서 뿐만 아니라 殷·周의 金文과 秦의 小篆까지 두루 섭렵한 다음 그 틀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예서를 창출했다. 그리하여 그의 글씨는 크면 클 수록 더욱 웅장한 기세를 느끼게 한다. 그리고 그의 行草書는 晉의 二王과 唐의 顔眞卿(709-785)을 바탕으로 하여 양쪽 모두 받아들이고, 나아가 宋·元·明의 많은 서예가들의 글씨를 臨書하였으며, 그의 행초서에는 그만의 독특한 의취가 엿보인다. 18세기 후반부터 朝鮮의 신진 학자들이 淸나라에 가는 使臣을 수행하여, 당시 淸나라의 저명한 학자들과 交遊하였는데, 伊秉綬도 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그의 서예가 우리 나라 서예가들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특히 朴齊家(1750-1805)는 淸나라를 세 번씩이나 왕래하면서, 당시의 새로운 학문과 예술을 접하고 돌아와 朝鮮 후기의 학자는 물론 예술가에게 영향을 주었다. 秋史 金正喜(1786-1856)는 일찍이 北學의 대가인 朴齊家로부터 학문적인 薰陶를 받았으며, 그를 통해 당시 淸代의 서예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秋史는 24살에 부친 酉堂 金魯敬(1766-1840)의 淸나라 사행에 子弟軍官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淸代의 서예에 관심을 두었을 것이고, 귀국 후 당시 淸代 碑學 풍의 서예와 학문에 깊은 연구를 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翁方綱을 비롯하여 劉石庵, 鄧石如, 阮元 등 당대 뛰어난 서예가들 글씨의 영향을 받았고, 특히 伊秉綬의 독특한 예서는 훗날 秋史體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임을 알 수 있다. 伊秉綬는 당시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창조하였으나, 25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에 대한 인식이나 연구는 같은 시기에 활동한 다른 서예가에 비해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그가 어느 파벌에 치우치지 않은 관리로서의 역할에 힘쓴 반면, 순수 예술가로 많은 제자를 양성하지 못한 것을 원인으로 들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학문적인 업적과 예술적인 역량은 더 심층적으로 연구되고,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was that studied for artistic world of Yi, Bing-Shou(1754-1815) who was fine calligrapher leading in the Ching Dynasty centered with his calligraphy. Yi, Bing-Shou was born by poetic home for generations and had the opportunity to access with famous scholars in that times as well as puritanical home education by his father and the surroundings as growing from fine family and favorable environment. Yi, Bing-Shou was also influenced by Jeong & Chu as his home studies from his father since his father Yi, Zhao-Dong had deeply studied of Jeong & Chu-tzu sciences. And, he was consistently excellent to literature and art and especially for poetics as well as calligraphy and to seal engraving. Based on that he had concerned about learning & arts even after he had become a government official and governed the people and was adored by the world as cleanhanded government official at later times. From this poin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e was a man of character represents the intellect of Ching times in the broad span of politics, economics, culture, arts and etc. He was evenly well done all writing styles in calligraphy and especially, for ornamental characters his writing was with bold and excellent ancient elegance and its spirit was dauntless and was the top for that times. His ornamental characters were throughly ranged over golden letters of Eun & Chu and up to seal characters of Jin as well as the ornamental characters of Han times (medieval times of China) and created the original ornamental characters get rid of the frame. Thereby, his characters was grand much more as bigger as much. And, his semi-cursive style of writing & cursive style of brushmanship accepted the both by originated from Erwang of Jin and Yan, Zhen-Qing of Tang and further imitated letters of famous calligraphers of Song, Won & Ming times and wrote semi-cursive style and the square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which is new and his peculiar taste was appeared only. And, his calligraphy was known as gave more impact to our country calligraphers. Since the latter half part of 18th century new scholars of Korea were accompanied by minister went to Ching and exchanged with reputable scholars of Ching at that time and Yi, Bing-Shou was one of them. Especially, Park, Jae-Ka went three times to Ching and accessed to new learning or art at that time and gave influence to our scholars or art upon return. Chusa Kim, Jeong-Hee was trained under Park, Jae-Ka who was authority of the northern science earlier and heard about calligraphy of Ching times at that time through him and after all he went to Ching accompanied to his father Yudang Kim, No-Kyoung with diplomatic mission as a military officer at his age of 24. At that time he probably had concerned about calligraphy of Yi, Bing-Shou of Ching and after returned home he was deeply studied the calligraphy of Ching times at that time and become an authority and his influence cannot be denied. The calligraphy of Yi, Bing-Shou was created original artistic world at that tim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study or recognition of him now as 250 years or more was passed is insufficient. Further more studies of calligraphy of Yi, Bing-Shou must be made and his artistic aspect has to be revaluated from now on.

      • 미불의 書藝 硏究

        이남례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미불의 예술관과 그의 서예작품이 지닌 서예사적 위상에 대해서는 많은 선학들에 의해 주목을 받으며 오늘날까지 꾸준히 연구가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미불의 예술성을 높이 평가하는 사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의 예술세계를 엄밀히 분석 검토하는 작업은 오히려 소홀히 되어왔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미불의 서예작품이 지닌 예술사적 위상을 정확히 할 수 있는 객관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北宋의 시대·사회적인 배경을 연관시켜 미불의 창작과정을 고찰함으로 서예작품 중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것은 당시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가계·성장과정·교우관계 등이 서예작품 전반에 투영되어 예술관으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미불은 안진경의 글씨를 시작으로 여러 사람의 글씨를 배웠으며 특별히 二壬 등 晋代의 글씨를 좋아하여 자신의 서재를 寶晋齋라 하였으며, 徵宗때에 書畵學博士가 되었다. 그리고 蘇軾·黃庭堅등과 일생동안 교제했으며, 宋 三大家라 불렸다. 미불은 唐代와는 다른 참신한 예술의 길을 개척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尙意' 서풍을 발전시켰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묘사하기 위하여 '米點法'을 창시하였다. 그는 많은 서예작품을 수집하고 臨摹와 鑑識에도 뛰어나 이름을 떨쳤고 좋지 못한 작품과 바르지 못한 論書에 대해서는, 새로운 서예 창작 방법론과 비평론으로 비판을 함으로써 서예 이론을 계승 발전시켰다. 이와 같이 미불은 임모를 하되 모방에 그치지 않고, 그 작품들의 장점만을 취하여 '刷字'라고 일컫는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형성하였다. 옛 사람의 것을 배우되 결코 그들의 법에 얽매이지 않으려고 한 사상은 매우 고귀하고 가치 있는 일로, 이러한 그의 예술관은 오늘날 서예작품을 접하는 사람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대를 뛰어넘는 작가란 전통을 답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창의성과 개성을 더하여 후대의 작가들이 계승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품격을 만들어 가야 한다. 미불은 바로 이러한 점을 고루 갖춘 진정한 예술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가 한 시대를 뛰어넘는 작가로 오늘까지 인정받는 이유는 천부적인 재주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평생 동안 매우 근면하였으며, 일가를 이룬 후에도 끊임없는 노력으로 자신이 세운 목표를 향해 전진하였던 순수한 예술가이기 때문이다. 미불의 이러한 점은 오늘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현대의 작가들이 본받아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본보기로 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필연적으로 작가들이 부딪치게 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타인의 작풍에 대한 연구와 성찰 法古創新의 노력을 통해 서예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창작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MiFu's artistic view and his paintings and calligraphy had been noticed by senior scholars and his works have been studied up till now. Though we have admired his brilliant character of art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his world of art has been carelessly analyzed and examin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e his historical stand through a new method of research. Thus, this study analyzes MiFu's features in his works and considers the process of his creation by considering the society and daily life during his time. Generally, it is fact that one's growing and learning process, friendships, and social backgrounds are deeply projected on his thought, philosophy, and artistic view in his works. MiFu started to learn Jin-kyeong Ahn's writing at the age of 7, and became a doctor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He was so fascinated with the writing style of Hee-jee Wang and Heon-jee Wang that he named his library Boshinjae. He developed 'Szngui' style in calligraphy, playing a decisive role in cultivating the new artistic way different from the style of Dang dynasty. He created his own style in landscape painting by using 'Mijeombup', a unique kind of drawing method which is used to draw landscapes by dotting on paper. He liked to collect a variety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He was good at appreciating as well as imitating masterpieces. MiFu introduced a new creative method during his time by criticising severly the bad works and books. Thus h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ie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MiFu took merits from tradition, but didn't imitate them. He created his own unique artistic world. He tried to learn the thoughts and the world of his seniors. However, he didn't want to be a follower like a servant. He wanted to create and think of new ideas. His artistic view moves and captures those of us who are interested in his paintings and calligraphy. This study shows that MiFu was a genuine artist and master in the fie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To become a master, one should create 'originality' based on the merits and traditions of one's seniors, and then create a unique style in one's life or one's era. MiFu had all these qualities. He diligently and steadily tried to attain his goal throughout his life. In other words, he is a person that we can use as a model to obtain our goals. In conclusion, we should take MiFu's example and use it to help us overcome and solve the drawbacks we face in our works. In addition, we should have sense in criticising our works. We should continuously strive to further the artistic value of our paintings and calligraphy.

      • 孫過庭의「書譜」硏究

        손동준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唐 전반기 孫過庭 「書譜」의 이론 및 예술성에 관한 총체적인 조명을 목표로 연구되었다. 나아가 中國書藝史에서 창작과 이론의 '雙絶'로 칭송 받고 있는「書譜」의 가치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시작에서 제기하였던 문제점들에 대한 견해를 종합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孫過庭의 書藝觀이 형성된 배경과 「書譜」의 저작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서 이루어졌는지 밝혀보았다. 「書譜」의 배경으로는 唐 전반기 六朝의 예술정신이 계승되고 있던 상황아래 학문교양의 다면화·종합화가 이 시기의 커다란 특징이었다는 것과 唐 太宗이 「王羲之傳論」을 저술 한 후 唐 전반기에 '尊王'의 서풍이 성립되었다는 것에서 왕희지의 서예를 고전의 전형으로 하여 그 가치를 찾는 것이 孫過庭에게는 우선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그의 인적사항은 자세히 전하는 기록이 없어 단정 지울 수는 없었지만 「書譜」의 寫記와 史籍을 근거로 하여 이름은 過庭, 字는 虔禮, 본관은 吳郡, 관직은 率府錄事參軍에 이르렀고 40대 후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여 그의 생평에 관한 의문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보았다. 「書譜」는 二王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書藝觀에 입각하여 서예 이론의 모든 영역에 기초와 체계를 확립하였다고 평가된다. 이런 점에 염두하여 「書譜」의 서예관을 書體論·創作論·風格論·抒情論·批評論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書譜」의 著作(687) 동기가 唐 전반기 書藝에 관한 論著가 체계와 독창성이 미흡한 점을 비판하며 행해진 것임을 알았다. 여기서 주목하는 바는 그의 논술이 단순히 제작상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예 창작의 방법론에 대한 수준 높은 견해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그 조건으로는 각종 서체를 兼修 할 것을 요구하며 예술활동의 다각성을 주장하였다. 「書譜」에 있어서 文과 質·傳과 博·獨과 兼의 논의가 그것이다. 아울러 내면적 深化를 매우 강조하면서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고, 哀樂·好樂 등 마음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정신의 예술임을 밝히고 있다. 孫過庭의 예술사상은 「書譜」에서 일관되게 心을 중시한 서예를 전개하고 있다. 손과정이 강조한 心의 표현이란 천지의 心, 즉 造化의 根源과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그는 창작을 실현할 수 있는 기법을 습득한 뒤에, 내적 범주로서의 정신적 範型을 목표로 삼아, 그것을 서예에 적용시킨다. 그 조건으로 心手雙暢을 제시하며 인력의 作爲를 부정하는 道家 철학을 이어받아 無爲의 體得 즉 초월적 경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견해에서 桑弘羊의 神算과 ?丁解牛의 고사를 통해 창조적 자유란 개념과 접촉하여 道를 얻음과 같은 진정한 자유 경지를 서예에 적용시켰다. 여기서 손과정은 기법의 완숙을 통해 道를 깨달아야 붓이 마음먹은 대로 응하는 入神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 경지에 이른 것을 精熟의 서예라고 정의하였다. 손과정이 唐 전반기 서예가로 볼 때 당시 제왕이면서 왕희지의 절대적 신봉자였던 唐 太宗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아래 손과정은 당시 서예의 나아갈 바에 대한 정확한 진단 속에 본인의 이상적 書藝觀을 부각시켜 王書의 형식을 재창조 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왕희지의 절대적 신봉자였던 당 태종의 <屛風書>와 손과정의 「書譜」, 그리고 王羲之의 <初月帖> 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당 태종의 경우 왕희지의 법을 수용 하는데 있어 形似에 치중하는 경향이 많음을 알 수 있었고 대조적으로 「書譜」는 왕희지의 서풍과 비슷하면서도 비슷하지 않는 면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여기에서 손과정의 초서가 한편으로 왕희지를 중심으로 출발했지만 形似보다는 神似를 추구하여 당 전반기 草法과는 다른 성향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 전반기 초서 풍격인 玄秘함에 흐르지 않고 초서의 예술에 있어 반드시 具象 외에, 象을, 韻 외에 韻을 찾는 예술 풍격을 강구하여 새로운 風格을 창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孫過庭의 「書譜」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는 王羲之의 법을 근본으로 하여 이룬 독자적인 성취가 후대에 모범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과 「書譜」가 지니고 있는 한계와 성과를 살필 수 있었다. 그 요지를 보면, 예술적인 측면에서 「書譜」는 왕희지의 고법을 재창조하여 四賢을 잇는 명서가들의 경지에 비견되는 등 높은 극찬을 받으며 서예가의 모범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書譜」가 작가의 깊은 체험에서 이루어진 그의 이론이 무한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후세 사람들에게 인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손과정의 서예와 이론이 고법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키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손과정의 「書譜」가 서예사에서 중요한 저작물이 되는 까닭이 文과 墨의 兼修를 중시했던 중화미의 사상과 나누어 생각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書譜」는 이론과 창작의 雙絶로 칭송될 수 있었으며 또한 서예사에서도 그 가치를 높게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This report studied 「SeoBo(書譜)」 of Son Kwa-Jeong(孫過庭), a representative writing in the early stage of Tang(唐) Dynasty, focused on its theories and arts comprehensibly. Furthermore, this study arranged the values shown in 「SeoBo(書譜)」, which have been praised as 'Ssang Jeol(雙絶; two nodes)' in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Finally, the opinions about those questions pointed out at the beginning of this report were comprehensibly summed up as follows; Above all,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which Son Kwa-Jeong(孫過庭) formed his conception or view of calligraphy and the circumstantial relations on which 「SeoBo(書譜)」was written were examined. 「SeoBo(書譜)」 was produced under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arts spirit of Yukjo(六朝; six dynasties) was being succeeded by that of the early stage of Tang Dynasty; the major character during this period was diversity & synthesis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fact that the style of calligraphy, Jonang(尊王; reverence to kings)' was built at the early stage of Tang(唐) after Taejong(太宗), king of Tang wrote 「Wang hee-ji jeonron(王義之傳論; Wang hee-ji's statements)」 tells that Son Kwa-Jeong(孫過庭) regarded Wangheeji's calligraphy style as a classical model, and accepted its values. His personal information have not been handed down, so that any specific details cannot be ensured except for his name, Kwa-Jeong(過庭), the name as a calligrapher or pen name, Geon-rye(虔禮), and his family origin, Okun(吳郡), and he might raised to the government post, Solburoksachambyeon(率府錄事參軍), and he is predicted to have died in his late 40s. These approximate information in the above was based on the chronological records and the record of writer's family registration of 「SeoBo(書譜)」. It is though that 「SeoBo(書譜)」 of Son Kwa-Jeong(孫過庭) follows the traditional calligraphy conception focusing on Leewang(二王)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and systematic structure of calligraphy theories' all areas. Based on the above facts, this study examined the calligraphy conceptions shown by 「SeoBo(書譜)」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s suchas calligraphic style(書體論), originality(創作論), convention & standard(風格論), delineation of feeling(抒情論), and critique(批評論). After this research, it was known that the motive that produced 「SeoBo(書譜)」(687) was a criticism against lack of originality and inadequate structure in calligraphy-related writings at the early stage of Tang Dynasty. One important point, here, is the fact that his statements not only suggested proper standards of calligraphy work but also clarified high-leveled values and opinions about calligraphy creation methodology. And he demanded to practice and train various calligraphic styles and do artistic activities from various viewpoints, which statement indicates the logic of Mun(form; 文) & Jil(質; contents), Jeon(傳; message) & Bak(博; communication), and Dok(獨; independence) & Kyeom(兼; attainment of Nirvana or spiritual awakening) as shown in 「SeoBo(書譜)」. Furthermore, he stressed deepened internalization, and asserted sublimating calligraphy as a spiritual art that seizes human nature and expresses human mind such as sorrow(哀), pleasure(樂), affection(好), and hatred(惡). Son Kwa-Jeong(孫過庭) developed his artistic ideology of calligraphy focusing on the mind(心) with consistency in 「SeoBo(書譜)」. The idea of expressing the mind(心) that Son Kwa-Jeong(孫過庭) meant an agreement with the mind(心) of the nature, namely, the root of universal harmony. He acquired the art of realizing creation, then, adopted a spiritually universal model for the inner category as a target, and applied it to his calligraphy. He insisted on Simsussangchang(心手雙暢; unconstrained communication of two hearts) for its necessary condition. Son Kwa-Jeong(孫過庭), here, succeeded to Taoistic philosophy that denied human actions, adopted it as a standard of value, and stressed a transcendental state of inactivity. Form this viewpoint, he applied the concept of real creative freedom or Nirvana attainment to his calligraphy art through folklore of Po Jeong haewoo(包丁解牛). The most sublime stage of calligraphy can be attained only by the awareness of Do(道; Confucian truth or faith) that enables artists to perfect a spiritual maturity(精熟). Son Kwa-Jeong(孫過庭) was a calligrapher at the former period of Tang Dynasty, so that Taejong(太宗) who was the king of Tang and a believer in Wangheeji surely had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upon him. Under these circumstances, Son Kwa-Jeong(孫過庭) suggested an exact direction that calligraphy of those days should follow, and re-created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applying his own concepts of calligraphy art. In order to know the direct reasons, this study compared <Byeongpongseo(屛風書); calligraphy written on folding screens)> of Tang Taejong who was a believer in Wangheeji,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and Wangheeji's <Chowalcheop(初月帖; the first moon record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e fact that Tang(唐) Taejong(太宗) put value on Hyeongsa(形似; imitating shapes) in his accepting Wang hee-ji's art, on the contrary, 「SeoBo(書譜)」 had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simultaneously to Wang hee-ji's calligraphy style. One noticeable point is, here, that even though Son Kwa-Jeong(孫過庭)'s Choseo(草書; cursi e style or grass hand) began at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his art preferred pursuing Sinsa(神似; pursuing or imitating the mysterious spirit) to emphasizing Hyeongsa(形似; imitating shapes), which indicated a different grass style from that of the early period of Tang Dynasty. On the other hand, Son Kwa-Jeong(孫過庭)'s art didn't believe in Hyeonbi(玄秘; abstruse mystery orsecret), instead, his cursive style(草書) considered a different artistic style that seeks for a formative appearance(韻) existing outside concreteness(具象) and rhyme(韻) existing outside rhyme(韻), which was a new calligraphy style. The assessment of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in both those days and these days told that its individual achievement based on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is recognized as a model style by his after ages' people, and made it possible to examine limits and outcomes that 「SeoBo(書譜)」 has. Summing up these studies, 「SeoBo(書譜)」 recreated Wangheeji's old art(草法; grass style) in the artistic side, so that he is highly praised that he succeeded to the Four Main Calligraphers(四賢), nevertheless, his calligraphy is criticized that the calligraphic style is restrictive and artistic diversity is insufficient. It is certain that these assessments of Son Kwa-Jeong(孫過庭)'s calligraphy works and calligraphy theories became an important chance to make people understand as well as concern about old calligraphic styles. Also, taking a look of the theoretical side, the theory suggested by 「SeoBo(書譜)」 and formed through writer's practical experiences helped people of after age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s. This study proved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is closely related with Sinocentrism that lays stress on united combination(兼修) of Mun(文; form or text) and Muk(墨; Chinese ink). Conclusively, 「SeoBo(書譜)」 should not only be praised as 'SsangJeol(雙絶; two nodes)' of theory and creation but also be evaluated highly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 紫霞 申緯의 藝術世界

        강미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紫霞 申緯(1769-1847)는 朝鮮 後期에 활동한 詩書畵 三絶의 예술가로 『警修堂全藁』를 남긴 詩人이면서 畵家이기도 하였고, 傳統의 書法을 계승한 書藝家이기도 하였다 . 그는 시에 뛰어 났으며, 그림에서는 특히 墨竹을 잘 그렸고, 書는 미불과 董其昌을 힘써 배운 후 나름대로 一家를 이루어 실로 조선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 그의 詩書畵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척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신위의 예술 세계를 詩書畵 一致라는 관점에서 분석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그 문제의 고찰을 『警修堂全藁』 에 수록된 시를 통해서 그의 서화사상과 文人書論을 추출해 내어 그의 書畵作品에 어떻게 표현되었나를 밝혀내고, 이러한 藝術觀이 어떻게 詩書畵 一致라는 모습으로 그의 예술세계가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았다. 신위는 名門世家로 이름난 平山 申氏 家門에서 태어나 높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국내적으로는 朋黨을 초월하고 국외적으로는 국경을 초월한 交遊를 하였는데, 국내의 人士로는 書畵에 영향을 미친 스승 姜世晃, 그리고 신위 보다 연하지만 朝鮮末期의 藝壇을 이끌고 간 金正喜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국외 人士로는 翁方綱 父子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812년 그가 書狀官의 자격으로 중국을 다녀온 사실은 그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된다. 그가 燕行하여 당시 대학자 翁方綱과 師弟관계를 맺게 된 것은 신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기록될 만한 일로 보아지며, 翁方綱을 비롯 翁樹昆, 吳嵩梁, 汪汝澣등과 같은 당시 중국 예술계의 거두들과 지적인 交遊관계를 맺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위의 회화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회화 형성과정, 회화사상, 그리고 墨竹書와 山水畵에 대한 고찰 등 회화 전반에 걸친 문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는 畵譜와 중국의 여러 회화 작품을 臨摹하면서 자신의 화풍을 이루어 나갔으며 특히 강세황의 회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신위의 전형적인 墨竹畵風의 특징은 묵의 농담의 변화, 여유로운 필치, 그리고 다양한 구도의 시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고고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한편 이 시기의 산수화는 이전의 여러 倣作의 과정을 지나서 간일하고 禪적인 경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위의 화풍은 이후 그의 아들들(申命準, 申命衍, 申明), 그리고 許鍊, 趙熙龍, 田琦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신위의 書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書風의 形成過程과 諸書藝家들의 영향, 서예사상과 작품을 살펴보았다. 신위는 王義之體를 이상으로 여기며 『淳化閣帖』 『蘭亭帖』 등의 서첩을 臨書하면서 그의 書風을 형성하였다. 그는 왕희지 외에도 미불, 董其昌, 翁方綱의 서예의 영향을 받았다. 고리고 外形的인 美보다 人品과 內在美를 중시하였다. 申緯의 전형적인 書風은 行書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획은 모두 回鋒을 취하였고 하나의 字體안에서도 획의 肥瘦의 차이가 있으며, 파임은 부드러워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文氣가 있다. 이러한 그의 서풍은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그의 서예사상의 요점은 文字香과 문인정신에 바탕을 둔 脫俗美의 重視觀, 법에 구속되지 아니하는 본심의 書法觀, 內在美의 추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繪畵思想은 詩畵一律思想, 不求形似觀, 文氣重視觀을 말할 수 있으며, 신위의 題畵詩를 통하여 蘇戟의 畵論을 이용하여 나타낸 文人畵論을 살펴보면, 詩書書 一致思想과 不求形似의 繪畵觀과 정신세계를 중시하는 神似의 繪畵觀을 말할 수 있다. 신위는 실로 詩書畵에 능한 조선의 文人書家였으며 일관된 詩書畵觀을 실제의 書畵작품에 잘 투영시켰고 회화와 서예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하여 깊이 숙고한 예술가였다. 결국 신위의 詩書畵 예술세계는 一致 一貫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조선 후기 詩書畵 三絶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신위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함으로서 후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Ja Ha Shin Wi(1769-1847)was a poet left <Kyung Soo Dang Jun KO>, who had led a life as a painter and calligrapher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calligraph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r period, Jin Kyung landscape painting, a genre picture and a unique style of calligraphy appeared and in the last period, the effect of Chu Sa Kim Jung Hee prevailed. Though Shin Wi had lived through both the ages and he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synthetic study in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s not showed progress yet. This essay has been aimed to examine the Shin Wi's life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vestigating this issue, I have looked into the whole situation of the world of art as well as his life of art including his artistic thought, his works and many artistic figures based on <Kyung So0 Dang Jun KO>. The 2nd chapter has looked into his life, studied background of his times and looked into the whole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life at the same time. This was indispensable because it was the basic work to know the background how his artistic thought had been formed. I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his artistic thought in reaction with many artistic figures at home and abroad who had affected his thought and life. In 1812,his trip to China(Yun) as a chief clerk is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event of his life. I think his formation of teacher and disciple relation with the great scholar of Ong Bang Kang during his visit shall be most remarkable event of his life. So, after his visit to Yun , his general artistic though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changed much. In this chaper, I studied the artistic contact with Kang Se Hwang, Kim Jung Hee and their effect as well. In the 3rd chapter, first, I tried out the general analysis of his painting the progress of the formation of Shin Wi's painting, the thought of painting,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and a landscape painting. He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painting through some pictorial magazines and Chinese painting works. Especially, he was affected by Kang Se Hwang's pictures. Shin Wi's traditional style of the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has some distinctive features, the is the change of the shading of Chinese ink, the latitude of the style of brushmanship and the attempt of diverse composition in painting. Also, this gives an impression of proud loneliness and elegance. In this chapter, second, I have arranged about Shin Wi's calligraphic thought and his works. The Art of Shin Wi was mainly based by the traditional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of Wang Hee Ji in which he had pursed the beauty of spiritual world more than the external beauty. His main point of writing thought is excluding fast writing when we wrote letters, puting importance to high quality personality of the writer. and the writing of the real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nature and pursues the inside beauty. And his main pictorial thought(painting thought) is the uniformed thought of poetry and painting and bamboo image deep in the heart preceding the act of painting. Also, it is the view of the thought of longing for the internal image not the external one which expresses internal world of spirit of the picture and the view of putting importance to the writing soul. Thus, I concluded the study of the world of the Art of Shin Wi who had ruled a certain age of the past with the three absolute greatnes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later days of Cho 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