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실태 및 식생활 조사 연구

        홍경량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조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아동들의 비만 발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4·5학년 아동 5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식품 및 영양소 섭취를 조사하였고, 식사행동, 활동정도를 조사하였다. 비만실태와 이러한 관련 요인들을 지역별, 성별, BMI별로 살펴봄으로써 비만관리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 평균, 표준편차, 1-test, χ^(2)-test, Pearson's correlation,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체계측 현재 체중 및 출생시 체중, BMI는 도시지역 아동이 높게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아가 여아보다 현재 체중과 BMI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 아동의 BMI 평균은 17.4±2.6이고, BMI 20이상인 과체중 및 비만군에 속하는 아동은 14.6% 였으며, 농촌지역 아동은 10%, 도시지역 아동은 16.9%로 나타났고, 성별로 보았을 때 전체 남·여아 각각 20.8%, 9.2%이고, 농촌지역 남아가 10.7%, 농촌지역 여아 9.3%, 도시지역 남아가 26.3%, 도시지역 여아는 9.1%로 도시지역 남아의 과체중 및 비만 아동 비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 아동의 BMI는 출생시체중, 부모의 체중, 부모의 BMI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2. 식품섭취실태 : 1인 1일 식품의 총섭취량은 1,160.9±347.4g으로 나타났고, 농촌지역 아동들은 감자류와 담색채소류를 도시지역 아동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식품군의 섭취량은 도시지역 아동들이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로 보면 과일류와 총 식물성식품 섭취에서 여자 아동들이 남자 아동들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은 동물성유지류와 녹황색채소를 대조군 아동보다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열량, 영양소 섭취실태 및 권장량의 비교 : 총 열량섭취량은 1747.6±474.8㎉로 권장량의 85.8%를 나타내었고, 총 열량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은 59 : 16 24%로 나타났다. 권장량 이하로 섭취한 영양소는 비타민A, 칼슘, 철분이었다. 지역별로는 칼슘, 철분, 비타민는 도시지역 아동이 많이 섭취하고 있었고, 권장량에서도 비타민B_(2) 칼슘, 철분은 도시지역 아동들이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아 1742.2±479.2㎉, 여아 1752.3±471.8㎉로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권장량에 있어서는 비타민B_(2)는 여아가, 철분은 남아에서 많이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군 및 비만 아동들이 비타민길를 대조군 아동들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4. 식사행동 : 식사는 86.5%가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하는 아동일수록 BMI가 높고, 녹황색채소와 단백질의 설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끼니를 거르게 된다면 대부분 아침을 거르게 되며, 결식이유는 식욕이 없어서 36.1%, 시간이 없어서 30.6%, 습관적으로 173%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속도가 빠른 아동은 BMI가 높고, 육류 및 그제품, 곡류 및 그제품, 열량, 지방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식횟수는 61.2%가 매일 1회이상을 섭취하고 있었다. 간식종류는 방, 과일, 과자, 우유, 아이스크림, 라면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양이 일정할 수록 유류 및 그제품, 동물성식품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식횟수가 많을수록 유류 및 그제품, 동물성식픔, 곡류 및 그제품, 총식품섭취량, 열량, 단백질, 지방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간식을 거의 먹지 않는 아동이 1주일에 3-4회 정도 먹는 아동보다 BMI가 높게 나타났다. 5. 음식기호도 : 좋아하는 음식은 불고기, 과일, 닭튀김, 돈까스, 김밥, 과자, 카레라이스, 쌀밥, 핫도그 순으로 나타났고, 싫어하는 음식은 깻잎, 시금치, 치즈, 잡곡밥, 보리밥, 생선조림 순으로 나타났다.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은 칼로리가 높은 불고기를 좋아하고 있었고, 식방, 깻잎, 과일은 대조군 아동보다 더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생활시간 수면시간과 TV시청시간은 농촌지역 아동들이 높게 나타났고, 공부시간은 여자 아동들이, 놀이시간과 운동시간은 남자 아동들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은 대부분 아동들이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운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자신의 체형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은 대조군 아동 27.2%, 과체중 및 비만 아동 40.5%로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이 체중조절을 많이 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조사 아동의 영양섭취에서 비타민A, 칼슘, 철분이 부족되고 있으며, 또한 과체중 및 비만 아동들은 대조군 아동들에 비해 비타민A의 섭취가 적었다. 이는 조사 아동들의 결식, 식사속도, 간식 등의 식사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중된 식사에서 오는 영양소의 결핍을 줄이기 위하여 채소류의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리방법의 개발과 비만관리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영양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made 508 children at 4th and 5th year of primary school in Cheek the subject of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i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life style, and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Body mass index(BMI) of the subject was 17.4±3.6 and children more than BMI 20 who belong to both obesity and overweight were 14.6%, 10% in rural area, and 16.9% in urban area. To examine the children who belong to both overweight and obesity by sex, the rate was 20.8% in the male children, 9.2% in the female ones, especially 26.3% in urban male ones. It showed that the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rate of male ones in urban area were the highest of them. 2. It showed that the total food intake of subject per day per head was 1160.9±347g. The children in urban area took more nutrition than the ones in rural area. It also showed that both the overweight and obesity group children took less animal fat and green-yellow vegetables than control group ones. 3. It was showed that total caloric intake of subject was 1747.6±74.8Kcal. The intake rate of carbohydrate : protein : fat for the total caloric intake was 59 : 16 24. The caloric intake of the subject was 85.8% of the RDA. Vitamin A, calcium, end iron was insufficient compered with RDA. The children in urban area took much more calcium, iron end vitamin B2 then the ones in rural area.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end female. Both the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took less vitamin A then control group ones. 4. It showed that 86.5% of the subject had a meal regularly. The more they had a meal regularly, the more they took green-yellow vegetables end protein. If they skip the meal, then they almost skipped the breakfast. The reason why they didn't have e meal regularly was that they had no appetite (36.1%), no time(30.6%), end just habitual ly(17.3%). The subject who had e meal rapidly showed the high BMX numerical value and the high intake of meets and the product, cereals end the product, and they also showed the high calorie end fat intake. 61.2% of the subject took e snack more then once everyday. The Kinds of snack showed in order of breads, fruits, cookies, milk, ice-cream, end remain. The subject who almost didn't eat the snacks showed the higher BMX numerical value then the subject who ate the snacks three or four times e week. Also the more they frequently eat the snacks, the more they showed the high intake of meats end the product, animal foods, cereals end the product, the total food intake. Besides, they showed the high intake of calorie, protein, end fat. 5. The foods that the subject liked showed in order of e bulgogy, fruit, fried chicken, pork cutlet, Kimball, cookies, curried rice, end boiled rice. But they didn't like wild sesame leaf, spinach, cheese, cooked rice with barley, cooked fish with soy sauce. The control subjects preferred e plain bread, wild sesame leafs, fruits end the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preferred bulgogy. 6. It showed that the rural children had more sleeping time and watching TV time then the urban ones. The male ones had more playing and exercising time end the female ones had more studying ti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fe style by BMI.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anthropometric data of the children were related with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The result of this survey emphasized the necessity for nutrition education to promote more green-yellow vegetables intake for the children.

      • 주식투자자의 회계정보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추봉조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For accounting to be as one of social function, it's productions should be able to be used to the beneficial purpose of society. Even though accounting is very precise and form of accounting report is well organized, if offered information in accounting report which is precise and well organized is useless for people to use that, accounting can not contribute its beneficial function.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how much investors in stock use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decision in korea.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requency in use of between accounting and non-accounting information in between groups and what should be improved so that accounting information is used more beneficial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ample groups are divided and analyzed accounting to the degree of knowledge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tendency holding stocks, and the career of invest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divided three. First, for the actual condition of use of financial statements approximately less than 30% use published financial statements. Second, for the different analysis against the relative actual conditions of uses between accounting and non-accounting reports, the higher invest's knowledge about accounting information, and also in case the longer invest tendency holding stocks and the career of investments are, the frequency in use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increasing. Third, for the investigation of participant's negative attitude on published financial statements the major cause is their lacked of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about financial statements, 17% participant in the sample group answered that financial statements is reliabl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limitation of sampling method, inclusion of subjectivity of operational definition, and limitation of survey method.

      • 地方議會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조영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zes the condition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and its problems for 8 years of local autonomy since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and aims a t suggesting the activation method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The range of research is defined as the whole polit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council. Therefore it make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a t the unit of city, province and metropolis. The time range of research objects is to June of 1998 since July, 1991 when the local council was established first and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national councils is analyzed. As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e analysis of literatures including all related books, research papers, records, publications related to local administration is used and visiting the related authority is done as the research needs.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system based on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First,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research and Chapter 2 describe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environment with the general examination of local council. Chapter 3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local council management, Chapter 4 suggests the actual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based on the management problems of local council and Chapter 5 is conclusion. It is known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local autonomy depends on how the local council management is activated and how it can play its own roles well.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re is the limitation of central government's roles in root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but it is pointed out by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at local council cannot play its own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epares the method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in diverse ways. First,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local council should be improved and political power of local council be strengthened with the extension of its authority in the side of power and organization structures of local council. Also councilor assistant system should be urgently introduced to enhance the specialization of council management and execute the policy of high quality. Second, regular meetings held twice a year and the number of annual general meetings should be readjusted in the dimension of local council management and improving the session system, and efficiency of monitoring administrative affairs, readjustment of the authority between local council and execution agency and the method to promot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of local council with open management of local council should be sought and pursued. Also the positive union to citizens' movement should be tried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The power of private organizations leading citizens' movement is increasingly extending its influence as it is called the third government and its areas are not limited. Accordingly, the union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potential power and local council is very important in the age of localization. The current local council takes up the defensive position of monitoring council and municipal policies by residents' group or civil groups within the region, but from the positive viewpoint, it can be a stimulus and support system for more practical activity of local council and 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them is needed. If the institutional complement to lead the direct participation methods such as open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use of residents' participation system, resident summons system and resident vote system are achieved as discussed earlier, these will be the accelerator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uncil.

      • 初等敎科書의 漢字實態와 頻度數 硏究 :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金英信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한자문화권에서는 과거 한문문화권에서 이루어진 한문학적 문화 유산을 연구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해서 한자·한문을 배워야 할 필요성이 당연히 제기되지만 한편 한자문화권에서 정확한 표현 및 의사 전달을 위해서도 한자를 배워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72년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가 선정·발표된 이후 이를 기준으로 한문 교과서를 편찬하고 교육하여 왔다. 약 30년이라는 시간이 경과한 지금 과연 기초한자 1800字의 숫자와 선정된 한자가 여전히 유효한지 혹은 기초한자가 선정될 당시에 과연 충분한 조사와 합리적 바탕 위에서 이루어졌는가 하는 문제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최근 이 기초한자 1800字에 대한 많은 논란과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본 논문은 여기서부터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한다. 본 논문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의 적합성과 효용성을 따져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 전체에 나타난 한자어의 실태와 빈도수를 조사한다. 필자가 기초한자 1800字의 적합성과 효용성을 따지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 의해서이다. 첫째, 1800字의 명칭을 무엇으로 호칭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은 의무교육이고 기본교육이다. 대부분의 언어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언어(단어)를 학습하고, 이 언어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를 형성·결정한다고 본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어를 통해 한자사용의 실태와 그 빈도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한자사용의 실태를 통해 현재 기초한자 1800字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가, 사용된 한자 중 1800字의 범위를 벗어나는 글자와 그 숫자가 드러날 것이며, 사용된 글자의 빈도수가 높은 글자부터 1800번까지 순번을 정했을 때 그것이 현재의 기초한자 1800字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하는 문제가 드러날 것이다. 넷째, 이상의 문제의식에 따른 조사와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학습용 기초한자가 어떻게 선정되어야 하고 그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한자의 문제를 떠나서 한자사용 실태를 통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구사해야 하는 단어의 영역까지 제공하는 자료적 가치를 지닐 것이다. 이상의 결과와 성과를 끌어내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서술된다. Ⅱ장에서는 우리의 어문정책 특히 기초한자 1800字의 선정과 관련한 정책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본다. 아울러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各國에서의 기초한자 실태를 타산지석의 방법으로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자료 분석 과정에 따른 여러 문제를 언급하고 교과영역별 및 전체 교과서의 종합적 한자실태와 빈도수를 구체적으로 조사·분석한다. Ⅳ장에서는 조사된 한자의 빈도수와 현행 기초한자 1800字와의 관계를 교과영역별 및 교과서 전체를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와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가지고 앞으로 제정되어야 할 기초한자의 선정기준과 내용에 대해 필자의 소견을 제시한다.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를 통한 한자의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 현행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와 초등교과서 어휘에 사용된 한자와는 큰 괴리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상식적인 말이기는 하나 필자의 생각에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가 가능한 초등교과서 어휘에 거의 사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초등교과서 어휘는 기초한자 1800字의 범위를 벗어나는 한자가 대단히 많이 적용되고 있다. 조사·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교과서 어휘를 통해 사용된 총 한자 數 2,356字 속에 무려 732字가 기초한자 외의 한자이고 1,624字만이 현행 기초한자 1800字에 해당되고 있으며,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기초한자가 176字나 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두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가 문자 그대로 한문교육용일 뿐이지 실제 한자어로 된 우리말을 이해하는 언어 생활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선정이 되었다는 것이다. 역으로 보면 우리의 초등교과서가 한자로 쓰지 않고 순한글로 썼기 때문에 그 어원의 난이도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채 교과서의 지문이 구성되었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과정에서 괴리(乖離)·갈등(葛藤)·염탐(廉探)·장려(奬勵)·유도(誘導)·전선(戰線) 등의 단어는 한자와 관련된 어원의 학습이 되지 않으면 의미의 정확한 이해·전달이나 표현은 어려운 것들이다. 학습자는 이러한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모른 채 사용한다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둘째는 기존의 기초한자 1800字와 필자가 조사한 1,800순위와는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필자가 조사한 순위와 기초한자 1800字의 출입에 있어 900순위의 대부분에 속해 있어야 될 중학교용 900字 중에서는 오히려 587字만이 사용되고, 液(418회,288위)·箱(368회,324위)·曜(347회,340위) 등을 위시한 기초한자 외의 한자가 65字에 달한다. 1,800순위까지 넓혀보면 356字가 기초한자 외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한자 1800字이면서 초등교과서에 한번도 사용되지 못한 한자가 176字나 있는데 이러한 한자들은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 한자들이지만 한문 학습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한자들이기도 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행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字는 어디까지나 한문교육용일 뿐 언어생활과 상보적인 교환 기능을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필자의 주장은 최소한 상용한자나 기초한자라고 하는 것은 한문교육도 가능하고 동시에 언어 생활에도 도움이 되는 두 가지의 기능이 함께 만족될 수 있는 한자로 선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자의 조사 결과에 따른 1,800순위 內의 한자와 기초한자 1800字가 적절히 상호 비교되면서 선정될 필요가 있으며, 허자 중 '而·矣' 등과 같은 한자도 적절히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은 일반적 견해의 대부분이 선정 한자의 숫자를 1800字에서 2000字 정도로 언급하고 있는데 필자는 오히려 이에 연연해하지 말고 이보다 적은 수의 한자라 하더라도 우선 순위의 한자를 위주로 하여 선정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자문화권 各國에서 도용하고 있는 상용자와 차상용자의 정책처럼 우리도 선정 한자 수를 줄여서 필수적인 한자를 상용자로 사용하면서 기초학습을 탄탄하게 하고, 추가로 차상용자 같은 개념을 도입하여 학습의 효과를 倍加할 필요성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하여 필수적인 기초한자나 상용자를 배우고 나면 최소한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어원 이해와 정확한 의미 구사 및 의사 전달은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상용자를 익혀 한문 독해의 능력을 길러 한문학적 문화 유산의 연구와 계승·발전에도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It is natural that the people in the boundary of chinese have need to learn their languages and succeed creatively to cultural chinese heritage which was composed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y also have to learn their language for exact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case of Korea, textbook for chinese composition has been edited and published on the basis of 1800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since 1972. After the lapse of 30 years, now we must reconsider of whether the selected 1800 characters are available now or were rightly chosen under the rational basis and enough research at the time when they are chosen.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sense of these problems and doub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availability and adoptability of 1800 characters. I researched all elementary books now used in Korea to carry out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sense of the following problems, I analysed the problems. First, the problem is how to address 1800 chinese characters. Second, elementary education is obligatory and basic education of nation. And, most of the language learning is made through curriculum course of this period. We obtain most of the words through the elementary text books and use them in our dail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research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use and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Third, I could demonstrate how often 1800 characters had been used and that what characters and how many characters had not been used. From the top-used characters to the lowest, when I set up the sequences, I could found what relationships chosen 1800 characters and now-using characters have. Fourth, according to the above the research and analysis, I could offer the sources where we should put the standard and how we should choose the elementary characters. Also, the sources will be worth limiting how many characters should be used in the elementary text books. This thesis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s in order to extract from the above achievement and the results. Chapter II consists of what were the problems of language policy related to the selection of 1800 characters. And, I researched the actual conditions of each nation in the boundary of China's culture. Chapter III consists of What were the problems along with the course of source-analysis and drastic analysis of the scope of each text book and comprehensive conditions of all elementary books. Chapter IV consist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used characters and 1800 characters in respect of the scope of each and every textbook. My conclusion is composed of some remarks of mine and comprehensive results of this research such as followings. I could find the great distance between the common used characters and the selected characters in respect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my common sense, I think 1800 characters should be almost used in elementary textbooks. but, through this research only 1624 characters were among basic 1800 characters and 732 characters were exclu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 could find two problems First, the educational basic characters were only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but that elements were not useful for language life to understand our Korean language. In inverse story, because our elementary textbooks are written in entirely pure Korean, their passages are stated regardless of the difficulty-degree of etymology. Second, there were considerable order-differences between the selected 1800 character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middle school text books, only 587 were among 900 characters inclusive of 65 characters which should be excluded out of basic characters. within the order of 1800 basic characters, 356 characters were composed of extra characters. And, 176 characters in the 1800 selected characters were not us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which were the things that were rarely used in our daily life, are imperative in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s. My conclusion was that it was unreasonable that 1800 basic characters for education and our language life did not help each other. I insist that at least commonly used or basic characters should contribute to our language life and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s at the same time. For attainment of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select properly educational 1800 basic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within the sequence of 1800 characters under the help of counterparts, including the expletives. One thing we should consider, just as most of the general opinions, is that 1800 to 2000 characters for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but I insist that characters which have their priority in the sequence of educational characters should be selected, even though the total numbers are shorter than those under discussion. In the cultural boundary of chinese character, each country has characters by stealth, which was established as their commonly-used characters and borrowed characters. In this respect, we can introduce the concept of these commonly-used characters and borrowed characters, and then increase the effect of learning. After learning of these basic commonly-used characters, we should develop the command of language and etymology and its exact meaning. Also, we should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and the development of and succee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of chinese literature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capacity of reading comprehension.

      • 국제안전규정에 의한 어린이 놀이터 안전 실태조사와 개선방안 : 부산광역시 도시공원 어린이놀이터를 중심으로

        윤강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놀이시설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제거하기위하여 어린이 놀이터 국제 안전기준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심층 분석되지 않은 어린이 놀이터 위험실태를 파악하기위해 미국 IPEMA협회와 NPPS가 활용하는 북미 지역 놀이터안전 진단 리포터(American Safety Report)를 기준으로 부산지역 공원놀이터에 대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관련 어린이놀이터 국제안전규정으로는 공인검사 기관에서 사용하는 북미지역(IPEMA)국제표준규정 CSA-Z614-07/ ASTM 1487F와 유럽(TUV) 국제표준규정 EN1176 1-7이 있다. 놀이터 안전 위해 요소를 비교분석하기위해 북미지역에서 가장 널리 활용하고 있는 APS(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를 적용하였고, 부산시에 분포되어져 있는 어린이놀이터 229개에 대하여 위험요소별로 나누어 자료를 검토하였다. 또한 부산시와 지리적으로 비슷한 환경에 있는 북미지역 샌프란시스코의 데이터 자료와도 비교분석하여 관련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북미지역 국제 어린이놀이터 안전규정(CAN/CSA-Z614-07/ ASTM1487)을 분석하고, 국제공인 CCPI자격증 소유자가 직접 안전검사 기구를 사용하여 안전점검을 진행하였다. 조사의 분류 형태는 첫째, 감독(supervision)으로 보호자의 입장에서 어린이들을 보호 관찰 할 수 있는 구조를 조사하였다. 둘째, 연령대그룹의 디자인 (age-appropriate design)으로 놀이터의 연령대별 분류와 놀이의 구조가 안전하게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셋째, 낙하높이(fall surfacing)에 대한 안정성에 관하여 어린이 놀이터에 적용된 표면재질과 높이 안전공간 확보 등 기초의 마감부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다. 넷째, 놀이터유지관리(equipment maintenance)로서 가장 중요시 되어지는 분야이며 설치 후 시간이지나면서 발생하는 안정성 문제와 볼트의 풀림, 표면의 유실, 파손, 머리걸림 등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의 통계자료 표본은 북미지역에서 연구조사를 위해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조사항목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부산시 공원놀이터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어린이놀이터에도 국제안전규정에 위배되는 많은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가 있는 부위는 각 스코어 분류를 함으로서 A(안전우수), B(안전유의), C(잠재적 위험노출), D(위험), F(철거) 등급으로 나누어 위험을 현재 부산광역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공원 어린이놀이터 시설에 같은 검정방법으로 스코어를 적용하여 전수조사를 한 결과 위험상태 D+등급에 속함으로서 놀이터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산시 전체놀이터 시설의 86%가 아직 안전진단을 받지 않는 제품으로 되어있고 안전인증을 받은 것은 14%에 불과 하다. 안전인증을 받은 놀이터 제품들도 유지관리를 하지 않음으로서 지속적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관리법은 어린이의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두고 종합적인 안전관리체계 하에 운영하되 동시에 어린이놀이시설의 창의성과 모험성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올바른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정책과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실태조사를 통하여 놀이시설물의 기술향상과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여건을 성숙시킬 수 있도록 관련법규를 재정비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to Playgrounds for Safety Analyses and Improvements: Focusing on Playgrounds located in Busan City Parks Gang-Ho, Yoon (Director : Kwang-Bong, L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eliminate hazards which can occur at children’s playground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international safety regulations regarding playgrounds and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hazards at playgrounds located in big cities by investigating playgrounds in the Busan area on the basis of the "Playground Safety Report Card" which is utilized by America’s National Program for Playground Safety (NPPS). Using well-known Public Playground Safety Standards CSA-Z614-07 & ASTM 1487F from North America and EN11761-7 from the European Union which are used by buyer sand professionals within those marke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afety or hazard of playground elements. In order to have a rational approach to research data, we analyzed the data while segmenting by hazard element at 229 playgrounds widely distributed in Busan, applying the PSRC(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card). Also, we compared these data with PSRC data of San Francisco of North America, where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is similar to Busan. In order to guarantee objectivity of there search method, we analyzed according to North America standards (CAN/ CSA -Z614-07 & ASTM-F1487) and this safety- inspection was performed by an inspector who holds CCPI license (Certified Canadian Playground Inspector) and he used international standard safety inspection tools for this inspection.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is: 1. Supervision: Investigated whether the structure is suitable or not for guardian/caregiver to have a clear line of sight to observe children. 2. Age-appropriate design: Investigated classification of playgrounds as to the intended user age and designed structure of playgrounds for proper play safety. 3. Fall surfacing: Reviewing fall height safety, with attention to chosen surface material, depth or thickness of material, and allowed safety use zone. 4. Maintance: This is the most important field. When time passes since installation of equipment, there can occur safety problems such as unfastening bolts, migration, wearing or compaction of surface material, or other forms of structural damage. This can lead to hazards such as choking entanglement, entrapments of head & neck, protrusions or pinch points, sharp edges, or a lack of impact attenuation to protect from injury during falls to the surface. We analyzed these in detail. The statistical data sample of proven analysis results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format of the America Playgrounds Safety Report Card which is officially used by many municipalities and playground equipment buyers in North America for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ir currently installed public playgrounds. After we researched and investigated current conditions of playgrounds in Busan city, we determined that there are many hazard elements which do not comply with international safety regulations at public playgrounds in Korea. We calculated each score of the hazardous parts and graded each playground with an overall score classified by one of 5 degrees: A (safety-excellent), B (safety-attention), C (exposed to potential hazard), D (hazard), F (removal). Applying this method, we investigated conditions of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Busan and found them on average to be graded D+ hazard. In conclusion, 86% of total playgrounds in Busan are equipped with products which were diagnosed as having hazards. Just 14% were diagnosed as safe, or hazard-free. Even though those playgrounds were originally diagnosed safe, they are exposed to potential hazards because they have not been maintained properly. The safety control law for children’s playground equipment should make children’s safety the top priority, and then create a total safety control system that prevents hazards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children’s creativity and adventurousness. ------------------------------------------------------------- Keyword : Playground Equipment, Playground Safety Standard(APS), Proposal of Improvement of Children playground safety.

      •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C시 운영자의 관점에서

        최복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C시를 중심으로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운영에 대하여 운영자관점에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C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지역사회 노인교육 운영에 관한 운영자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 차원으로써 좋은 노인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C시의 노인교육 전담기관 7개 기관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C시에서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전담 운영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C시의 노인교육 전담기관의 운영자들은 노인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시의 지역적 특징으로 인한 학습자간의 이질성 현상이다. 비교적 도시화가 많이 이루어진 도심지역에 거주하면서, 학력수준이 높은 노인들과 C시 외곽 농촌지역에 주로 거주하면서 학력수준이 비교적 낮은 노인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기관 운영에 직면하게 되는 딜레마가 있었다. 둘째, 노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운영자의 업무 과중으로 연결되어지는 현상이다. C시의 노인학습자들은 학습의 측면과 더불어 관계 형성의 측면에서 노인교육 전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그들은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학습을 목적으로만 기관을 이용하지 않는다. 기관을 이용하면서 학습자들과 운영자와의 정서적 관계형성을 통해 상호 동질감을 느끼고 기성세대와의 소통하며 자신의 고충을 해결하려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노인 참여자의 외로움 및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운영자에게는 새로운 업무의 형태로 인식됨에 따라 스스로 업무의 과중을 자각하게 만든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의 과도기적 현상이다. C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과 신체활동 교육 프로그램이 전체의 2/3에 해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령화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국가·사회적인 분위기의 확산 및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에 다각화 현상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미비한 현실이다. 운영자 또한 이러한 현실을 적극 공감하고 있지만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우수사례, 정형화된 틀 및 제도적 조건들이 뒷받침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각 기관 간 프로그램 중복 및 비 차별성으로 인한 노인교육 질적 저하 측면이다. 각 기관 유형별로 프로그램을 다섯 개의 범주에 의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중복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각 기관별로 대부분 비슷한 교육 형태와 운영 방식을 가짐으로써 차별성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노인교육의 양적인 팽창을 가져왔을 뿐 질적인 깊이를 더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C시의 노인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크게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던 부분인 자료 및 통계의 보전 및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각 기관별로 다소 많은 부분에서 이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노인교육의 흐름 및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지표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운영자가 노인학습자들의 이질성과 다양성, 급변하는 그들의 인식을 공감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현실적인 한계를 느끼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제도적 틀의 변화가 선행되고 운영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덧붙여져 지금까지의 노인교육에서 탈피하여 그들의 다양한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교육을 계획하고 구성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예비 노인을 위한 퇴직 전 노후 준비교육의 실시를 통하여 퇴직을 앞 둔 고령자들이 미리 퇴직 후에 겪게 될 역할 상실과 그 밖의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극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C시의 노인교육이 지역사회 노인들을 위한 구심점이 되기를 바래본다. 또한 지방 중소도시뿐 아니라 대도시 또는 농어촌 지역의 노인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운영 형태와 운영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노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 및 개선이 필요하다.

      • 농촌정보화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민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농촌지역은 이러한 경제발전에 소외되어 작은 국토 내에서 도농격차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농격차는 완화될 가능성이 없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그 문제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인 정보화의 추세에 맞춘 농촌정보화가 도농격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은 도시지역보다 정보화를 확산하기에 불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농촌지역 내 정보화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와 농촌 간에는 도농격차에 이은 정보격차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로 농촌정보화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 등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정보화관련 통계자료분석과 방문조사, 설문 및 인터뷰, 사례조사 등의 실태분석을 실시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강원도 농촌지역의 정보화수준 분석을 위하여 교차분석과 프로빗모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선진농업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화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강원대학교의 농업정보119의 방문교육결과를 분석하여 농촌지역의 정보화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마을에서의 정보화 참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C-D-T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관광마을홈페이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이라는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촌지역에서 정보접근기회의 확대 방안으로 PC보급 확대 및 안정적인 인터넷 공급, 농촌실정에 맞는 정보기기 및 S/W개발을 제시하였고 정보이용능력의 제고 방안으로는 지역 내 정보선도자 육성과 타겟그룹을 세분화한 정보화교육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활용의 촉진 방안으로는 개인의 정보화에 대한 참여의지를 확산하고 다양한 농촌정보컨텐츠의 활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농촌정보화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던 이유만으로도 농촌지역에서의 정보화는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계기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도농격차완화라는 농촌정보화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각 분야별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urban areas have accomplished a speedy growth. However, unlike urban areas, rural areas were marginalized from the process of the economic growth and this fact has resulted in the increasing rural-urban divide in many aspects, bringing about many se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Recently, following the tendency of worldwide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expected to lessen the rural-urban divide problem and thus draw much attention. In another aspect, since rural areas, unlike urban areas, have had downsides of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slowed down. As the subsequence of the rural-urban divide in various fields,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two areas has been generated,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a notable issue.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in Gangwon-do through the proof study, but also to suggest the plan to improve the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r in another word,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From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actual situation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statistics in the study relate to rural information system, visit surveys, questionnaires, survey researches, case studies, and on-site inspections, certain problems are presented. For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zation in rural areas in Gangwon-do, the rates of people’s possession of computers and their use of information correlated to agricultures are focused by using the Probit Model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at rural leaders, their perception of information is analyzed. In addition, the course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rough the results of visit teaching activities of the Agriculture Information 119 which was held by the Kangwon University. In order to evaluate the rate of people’s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activities, the situation of people’s practical use of the Rural-Tourism-Village homepage is evaluated by the 3C-D-T model. The consequence that was produced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suggests an activation plan for rural information system in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information. For the plan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in accessing to information for rural people,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computers, security in internets as well as development of software and tools of providing inform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using the information for rural residents, fostering leaders i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reating more information education opportunities by the subdivision of target groups are suggested. Lastly, for the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 developing measurements such as encouraging an individual’s motivation in participating in information activities and building networks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contents on rural areas are proposed. By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plans for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Conten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pursuing the ideal plans for effective rural information system. Since there have been various debates about rural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llective approach of each field towards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lessening of rural-urban divide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