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이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오운용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바이러스가 2019년 12월 우리나라에 처음 보고가 된 이래 국내 확진 환자 및 사망자는 꾸준히 늘고 있어 모든 산업의 대응 방식은 예전과 달라졌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 방역지침에 따라 체육시설에 집합 제한 및 입장인원수 제한 등 대한 행정명령으로 체육시설의 이용이 소극화됨에 따라 국민의 체육활동 참여 수준이 2019년 대비 14.9% 크게 감소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신체활동 부족, 포화 지방산 과다 섭취, 비만 등으로 인한 높아진 콜레스테롤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이상 지질혈증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14년 기준 남성 13.9%, 여성 14.9%에서 2019년 각각 21%, 23,1%로 상승하여 꾸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홈트레이닝을 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기술력의 향상으로 온라인 트레이닝이 활성화되며 다양한 콘텐츠가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트레이닝은 비대면 트레이닝에 비해 대상자의 자세, 호흡, 표정 변화 등 세심한 피드백이 어려워 운동강도의 설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 콜레스테롤 대상자에게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건강체력과 혈중 지질의 효과를 규명하여 표준화된 비대면 운동프로그램 기초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12시간 이상 공복 유지 후 혈액검사 시 총콜레스테롤(TC) 200mg/dl 이상인 고콜레스테롤 대상자 20명을 선발하여 운동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구분하여 12주간 복합운동(맨몸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적용하여 건강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TC, LDL-C, HDL-C, TG)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건강체력(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유의하게 변화시켰으며(p<.01, p<.01), 악력과 유연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통제군은 모든 변인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2.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혈중지질(TC, LDL-C, TG)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5, p<.05, p<.05) H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감소가 보였다(p<.05), 통제군은 모든 변인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위와 같은 결론으로 종합해 보면 고콜레스테롤 집단 12주간의 복합운동은 건강체력 중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혈중지질 중 TC, LDL-C, TG를 감소시켰다. 또한 HDL-C의 감소가 보였지만 이는 정상 범위에서의 감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은 건강체력 향상과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어 고콜레스테롤 대상자에게 권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20 high-cholesterol subjects with a total cholesterol (TC) of 200 mg/dl or higher during blood test after fasting for more than 12 hours were divided into 10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and 10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blood lipids (TC, LDL-C, HDL-C, TG), The result is as follows. Real-time non-face-to-face compound exercise for 12 weeks significantly changed the health fitness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the high cholesterol group (p<.01, p<.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grip strength and flexi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grip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variables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as it decreased. And the blood lipids (TC, LDL-C, TG) of the high cholesterol group were significantly changed (p<.05, p<.05, p<.05,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variables in the control group (p>.05). In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in the high cholesterol group improved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healthy physical fitness, and decreased TC, LDL-C, and TG in blood lipids. In addition, although a decrease in HDL-C was observed, it is judged to be a decrease in the normal rang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real-time non-face-to-face complex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and improving blood lipids, so it can be suggested as a program that can be recommended for high cholesterol subjects.

      • 대학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교수실재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주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instructors and learners conduct classes in real time, not in the form of playing recorded videos as a means of e-learning education. The characteristic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s that an online lecture room is formed through media, so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classes are conducted. Non-face-to-face education has emerged as a countermeasure to face-to-face learning as it became impossibl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ince non- 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had to urgently cope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face-to-face education was impossible, there was a lack of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r satisfaction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ether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an be used even when face-to- face education is possible after the resolution of COVID-19. The factors to be dealt with mainly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need to be verified, and based on this, it is crucial to explore the aspects that affect learners' continuous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and empirically verifies whether teaching presence show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task values, stuent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task value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does the task value affect student engagement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Third,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does student engagement affect the intention to learning persistence? Fourth,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does student engagemen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ifth,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does teaching presence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o verify this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had experienced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and 350 sampl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5.0 and AMOS 25.0. The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deriv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c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engagemen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c effec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teaching presence had a strengthening and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organize so that learners feel valuable. Second,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learning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i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a plan that can promote learning immers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Third, learners'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s strengthened when they feel a sense of teaching presence, so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nstructor's active teaching,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the necessity of expanding research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was suggested. 비대면 실시간 교육은 이러닝 교육의 한 방편으로써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는 형식이 아닌 실시간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형태의 교육환경이다.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특성은 매채를 통해 온라인 강의장이 구성되어 수업이 진행될 때 대면 교육의 장점을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비대면 교육은 COVID-19의 확산으로 대면 학습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처 방편으로 대두되었다. 비대면 실시간 교육은 대면 교육이 불가능한 환경에 급히 대처해야 했으므로 교육의 효과성이나 만족도에 대한 검증이 부족했다. 더욱이, COVID-19의 종식 이후, 대면교육이 가능한 시점에서도 비대면 실시간 교육이 활용될 수 있는지 학습자들의 사용의도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중심으로 다뤄져야 할 요인에 대한 검증과,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해당 환경에서 학습하는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교수실재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과제가치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몰입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매개하는가? 다섯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3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SPSS 25.0과 AMOS 25.0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 도출, 단순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가치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강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을 가치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할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학습지속의향의 촉진을 위해 비대면 실시간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몰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들은 교수실재감을 느낄 때 학습지속의향이 강화되므로, 교수자의 적극적인 교수학습전략과 학습환경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환경에서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인 검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와 방법론적 한계점을 바탕으로 비대면 실시간 환경의 학습지속의향 관련 연구의 확장 필요성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 비대면 실시간 기업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유국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이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에 있어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아래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지속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설정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표본수집은 수도권(서울, 경기)지역의 직장인 중 비대면 실시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을 통해 2022년 2월 25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는 216부 회수되었고 그 중 비대면 실시간교육을 참여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존재하는 설문지 6부를 제외한 210부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다음의 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첫째, 표본의 기본적 특성과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 하였고, 연구변인의 수준 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에서 각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의 각 척도들의 신뢰도 확인을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통한 신뢰도 검정을 진행하였다. 셋째,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수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종속변수인 학습지속의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진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매개변수인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수인 학습지속의향에서도 독립변수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에서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종속변수인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을 투입하였을 때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에서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독립 변수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학습몰입에 부분 매개하여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경험한 국내 기업 직장인들의 학습 실재감이 학습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이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도 실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될 수 있는 비대면 교육상황에서의 학습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한 것이 의미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제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ffice workers who have participated in Virtual Live education in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learning flow.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es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flow in virtual live education? Second, how does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virtual live education? Third, how does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rough learning flow in virtual live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ample collection to verify research problems was targeted at adult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virtual live education programs among office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February 25 to March 5, 2022. 216 copies of the onlin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2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excluding 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at did not participate in virtual live education or had unfaithful responses. SPSS 26.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the following analysis metho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bas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research variables. Second, in the research model,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measurement tool, and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Cronbach'ssa coefficient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of the study.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Fourth,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independent variabl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Sobel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econd, even i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ll had a positive (+)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learning flow, which are paramet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ll partially mediated learning flow to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of domestic corporate workers who experienced virtual live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is relationship.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seen a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 virtual live education situation that can be continue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proposa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윤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7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교수와 학습이라는 현상을 공유하며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경험의 과정으로,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 산물이다. 그 이유는 교수자로서의 교사와 학습자로서의 학생, 이 두 대상의 관계와 상호작용 과정이 교수와 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교육적 목적을 성취해 나가기 때문이다. 수업은 교육이 일어나는 장(場)이고, ‘교육적’이라는 단어는 편의와 효율을 넘어서는 가치가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교육은 고유한 인격체로서의 학습자의 발전과 성장에 목적을 두고 있기에 수업의 맥락에서 심리적 개념과 속성은 다른 의미로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교와 대학의 수업에서 매체의 도입을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이유도 수업의 초점은 시대적 흐름과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교육’에 있기 때문이다. 통제감이란 ‘나’에게 통제권이 있다고 믿는 신념과 이를 기반에 둔 행동과 관계된 것으로(Neill, 2006),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주거나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있다는 확신을 의미한다(Wallston, Wallston, Smith, & Dobbins, 1987). 한편, 통제권의 소재가 ‘개인’에게 있는지 혹은 ‘개인 외부’에 있는지에 따라 자아효능감, 적응, 몰입 등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게 되는데(Csikszentmihalyi, 1990; Kirsch, 1986; Neill, 2006; Rotter, 1966). Rotter(1966)에 따르면 개인이 자신을 둘러싼 상황과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강할수록 높은 적응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회심리학에서는 통제의 소재가 개인에게 있을 때, 개인이 외부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신념과 행동을 가질 때, 심리적으로 더 건강하며 적응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반면, 통제의 위치가 개인의 외부에 있어서 개인이 외부로부터 통제를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그 개인은 부적응적 경향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수업의 목표와 속성을 고려할 때, 통제소재, 통제위치가 어디에 있는 것이 수업에 효과적인가는 또 다른 문제가 될 수 있고, 특히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를 활용하게 될 때는 확연히 다른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이 개념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비대면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개념을 구성하는 세부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마련하였고, 대학에서 온‧오프라인 수업을 경험한 적이 있는 5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후, 그 답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학습자가 통제할 수 있는 수업의 요소를 정리하였고, 기본 문항이 정리되었다. 이후 내용전문가의 검토‧검수 단계, 예비조사 단계 등을 거쳐 본조사를 위한 문항을 제작하였다. 2/4년제 대학의 재학생 306명과 사이버대학 재학생 200명으로 총 506명이 본조사에 참여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분석에는 SPSS 23.0을 사용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서는 Mplus 7.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분석 결과이다.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각각 수업활동과 수업환경이다. 수업활동에 대한 것으로는 수업내용, 수업태도, 수업활동 참여가 포함되며, 수업환경에 대한 것으로는 장소, 시간, 매체가 포함된다. 세부요소를 살펴보면, ‘수업내용’에는 수업 내용, 수업 순서, 수업 난이도, 수업 방식 등이 포함되었고, 이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통제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수업태도’에는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활동, 필기, 복습 등이 포함되었고 대면 수업보다 비대면 수업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수업활동 참여’에는 교수자나 동료 학습자에게 질문하는 것과 교수자나 동료 학습자와 의견 및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수업환경에 대한 것으로 ‘장소’에는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및 위치가 포함되었고, ‘시간’에는 수업 시간, 수업 속도, 휴식 시간 횟수, 휴식 시간 길이 등이 포함되었다. ‘매체’에는 주요 학습기기 선택, 학습기기 기능 조작 등이 포함되었다. 비대면 수업에 초점을 두고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통제할 수 있는 수업요소를 바탕으로 문항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다음은 요인분석 결과이다. 본조사 실시 후 수집된 자료를 교차 타당화 확보를 위하여 무선으로 양분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양분한 두 개의 집단에서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이다.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 측정도구 문항은 비대면 비실시간/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과 실제 통제하는 행동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56개의 문항으로 정리되었다. 각각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 신념 / 비실시간 / 수업 태도 ]는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 태도에 해당하는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필기, 복습을 학습자가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② [ 신념 / 비실시간 / 수업활동 참여 ]는 학습자가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활동 참여에 해당하는 질문(교수자), 질문(학습자), 의견 및 피드백(교수자), 의견 및 피드백(학습자), 학습활동, 조별활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③ [ 신념 / 비실시간 / 수업환경 통제 ]는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수업 장소, 휴식 시간 횟수, 기기 기능 조작, 주요 학습기기 선택, 기기(device) 접근성, 콘텐츠(contents) 접근성 등이 있다. ④ [ 신념 / 실시간 / 수업내용 ]은 신념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강의의 내용에 대한 것으로, 수업 내용, 수업 순서, 수업 분량, 수업 난이도, 수업 방식 등을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말한다. ⑤ [ 신념 / 실시간 / 수업 태도 ]는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 태도에 해당하는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⑥ [ 신념‧행동 / 실시간 / 수업시간 및 기기 통제 ]는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시간 및 기기를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특이하게 신념과 행동이 하나의 요인을 구성한다. ⑦ [ 행동 / 비실시간 / 수업내용 ]은 행동에 관한 것으로 비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강의의 내용에 대한 것으로, 수업 순서, 수업 분량, 수업 난이도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⑧ [ 행동 / 비실시간 / 수업 태도 ]는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⑨ [ 행동 / 비실시간 / 수업활동 참여 ]는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활동 참여에 대한 것으로, 수업 중 학습활동과 조별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포함된다. ⑩ [ 행동 / 비실시간 / 수업환경 통제 ]는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환경을 통제한다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수업 장소, 수업 시간, 수업 속도, 휴식 시간 횟수, 휴식 시간 길이 등이 통제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⑪ [ 행동 / 실시간 / 수업활동 참여 ]는 역시 행동에 대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활동 참여에 해당하는 질문(교수자), 질문(학습자), 의견 및 피드백(교수자), 의견 및 피드백(학습자)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⑫ [ 행동 / 실시간 / 수업장소 및 기기 통제 ]는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장소 및 기기 선택, 구체적으로, 수업 장소, 수업 위치, 주요 학습기기 선택 등을 통제한다는 것을 뜻한다. 다음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이다.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은 위계적 3차 5요인으로,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의 통제신념’,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의 통제신념’,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의 통제행동’,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의 통제행동’,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시간 통제신념‧행동’이다. ① [ 비대면 비실시간 / 통제신념 ]은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의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에 관한 것이다. 이 요인에는 ‘수업태도’에 대한 것으로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필기, 복습, ‘수업활동 참여’에 대한 것으로 질문(교수자), 질문(학습자), 의견 및 피드백(교수자), 의견 및 피드백(학습자), 학습활동, 조별활동, ‘수업환경 통제’에 대한 것으로 수업 장소, 휴식 시간 횟수, 주요 학습기기 선택, 기기 기능 조작, 기기 접근성, 콘텐츠 접근성 등 18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학습자는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이러한 수업의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② [ 비대면 실시간 / 통제신념 ]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에 관한 것이다. 이 요인에는 ‘수업내용 전달’에 대한 것으로 수업 내용, 수업 순서, 수업 분량, 수업 난이도, 수업 방식, ‘수업 태도’에 대한 것으로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등 9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학습자는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이러한 수업의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긴다. ③ [ 비대면 비실시간 / 통제행동 ]은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의 요소를 통제한다는 행동에 관한 것이다. 이 요인에는 ‘수업내용 전달’에 대한 것으로 수업 순서, 수업 분량, 수업 난이도, ‘수업 태도’에 대한 것으로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수업활동 참여’에 대한 것으로 학습활동, 조별활동, ‘수업환경 통제’에 대한 것으로 수업 장소, 수업 시간, 수업 속도, 휴식 시간 횟수, 휴식 시간 길이 등 12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학습자는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 이러한 수업의 요소를 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④ [ 비대면 실시간 / 통제행동 ]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요소를 통제한다는 행동에 관한 것이다. 이 요인에는 ‘수업활동 참여’에 대한 것으로 질문(교수자), 질문(학습자), 의견 및 피드백(교수자), 의견 및 피드백(학습자), ‘수업장소 및 기기 선택’에 대한 것으로 수업 장소, 수업 위치, 주요 학습기기 선택 등 7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학습자는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이러한 수업의 요소를 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⑤ [비대면 실시간 / 수업시간 및 기기 통제신념‧행동 ]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관한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신념과 실제로 통제한다는 행동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수업시간 통제신념’에 대한 것으로 수업 시간, 수업 속도, 휴식 시간 횟수, 휴식 시간 길이, 학습기기 기능 조작이 포함되었고, ‘수업시간 통제행동’에 대한 것으로 수업 시간, 수업 속도, 휴식 시간 횟수, 휴식 시간 길이, 학습기기 기능 조작이 포함되었다.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수업시간 및 기기’는 특이하게 신념과 행동이 하나의 요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를 시사한다. 첫째,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비대면 상황은 시간관리와 수업몰입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조승희, 2021; 최원호, 전영국, 2020)는 것이다. 시간은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과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구분하는 요소이다. 매체를 활용하여 미디어 환경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가 개인의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공간을 통제할 수 없고 학습자에게 기기와 공간에 대한 환경적 통제감이 있다고 볼 수 있다(김용찬 외, 2012). 공간의 분리는 시간에 대한 몰입에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효과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대면 수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결론 짓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 될 수 있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수업이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보다는 학습자의 시간과 기기에 대한 통제감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과 비교할 때, 평균값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비대면 비실시간과 비교할 때, 비대면 실시간 수업이 시간과 기기에 대한 학습자의 통제감을 상대적으로 낮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해석은 기존의 원격수업이 갖는 한계를 보완한다는 의견을 지지한다. 비대면 실시간 수업은 동시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교수자가 최소한 시간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김종두, 2020). 정리하면, 비대면의 상황은 그 자체로 학습자에게 시간적 부분에 대한 통제감도 갖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비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수업보다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학습자의 통제감이 상대적으로 낮다. 한편, 수업내용 전달 요인은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의 통제신념에는 구성되지 않았다.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의 경우, 교수자가 사전에 촬영한 영상을 게시하는 형태로, 학습자가 수업 내용 등에 개입할 여지가 없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에서의 통제행동에는 구성되었는데, 구성항목을 살펴보면 수업 순서, 수업 분량, 수업 난이도 등이다. 수업 내용은 통제할 수 없지만 주차별 커리큘럼은 통제하는 것이다. 교수요목(Syllabus)은 교수자에 의하여 계획되는 것으로, 학습자의 학습목표 달성을 위하여 의도에 따라 설계된 것이다. 연계성(articulation), 계속성(continuity), 계열성(sequence) 등을 고려해 배열한 교육내용의 조직을 개인의 기준으로 임의로 변경한다는 것은 교육의 질을 저해하는 일일 수 있다(이종승, 1991; 홍후조, 2002). 또한,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의 통제신념과 통제행동을 살펴보면, ‘수업태도’, ‘수업내용’, ‘수업환경’ 등 요인을 구성하는 구인과 항목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수업태도 요인이라도 ‘비대면 비실시간 통제신념’에서는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 필기, 복습이 포함되었고, ‘비대면 실시간 통제신념’에서는 이동, 자세,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이 포함되었다. ‘비대면 비실시간 통제행동’에서는 음식 섭취, 수업 외 행동이 포함되었고, ‘비대면 실시간 통제행동’에는 수업태도 요인이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과 실시간 수업이 배타성과 독립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신념과 행동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신념과 행동의 긴밀성과 관련성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시간’이라는 달라진 조건이 통제 가능한 수업요소를 제한하는 결과와 동일한 비대면 상황이기에 나타나는 한계를 모두 보여주는 것이다. 비대면 수업의 한계와 비대면 실시간 수업의 효과를 보다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심층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수업 통제감 개념을 규명하고 비대면 환경에서 고려하여야 할 학습자의 심리적 요소를 탐색·확인하였다는 데 있다. 수업의 의미는 성취도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 교육의 속성을 고려할 때 수업 맥락에서는 학습자 개인의 ‘내적 통제감’도 중요하지만 ‘외적 통제감’ 역시 중요하다. 수업에서 학생에게 요구되는 위치와 역할은 학습자이다. 물론, 학습자는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수업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업의 순서, 속도, 방법을 결정하고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며 이동과 자세가 자유로운 것은 능동적 참여라기 보다는 무질서한 참여에 가깝다. 수업에의 몰입과 집중, 목표의 달성 등을 위해서는 외부의 물리적 존재와 환경적 영향이 필요하다(고은현, 2007; 정한호, 2008). 학습자의 수업 통제감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본질적 차이를 보여주는 현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살펴보아야 할 점이기도 함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기업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훈련에서 참여자의 상호작용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변은희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6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훈련에서 참여자의 상호작용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명하고 상호작용과 교육성과 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COVID-19로 급변하는 언택트 시대에 기업 성장을 위해 고민하는 교육업계 전반의 관계자들에게 효과적인 비대면 교육 형태를 찾고, 기업 교육에 필요한 비대면 교육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업의 비대면 실시간에서 교육참여자의 상호작용 개념과 기존 교육의 상호작용 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참여자의 상호작용이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확인하였다. 셋째, 기업의 비대면 실시간에서 교육참여자의 상호작용과 교육성과 간 영향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받은 피교육자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22.0와 AMOS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에 비대면 실시간 교육훈련에서 상호작용의 하위변수 학습자 간 상호작용(B=.209, P-value .001),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B=.229, P-value .000),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B=.401, P-value .000) 모두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교육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상호작용의 하위변수 학습자 간 상호작용(B=.164, P-value .033),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B=.261, P-value .001),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B=.562, P-value .000) 모두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 학습자 간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나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분석 결과 B=.488, P-value .000으로 나타나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훈련의 상호작용의 하위변수인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부분매개하여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과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에 완전매개하여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습자-학습자 간,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과 새롭게 등장한 교육참여자와 비대면 실시간 교육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모두 비대면 실시간 기업 교육훈련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볼 때,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교육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교육성과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교육훈련에 있어 교육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훈련 설계 시 통신 문제를 사전에 대비하고 교육훈련 시작 전 시스템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대면 실시간 기업 교육훈련에서 시스템의 중요성이 확대된 만큼, 기존의 교육훈련의 커리큘럼을 그대로 적용하여 진행하는 것은 그 한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비대면 실시간 형태의 기업 교육훈련에 가장 적합한 교육 모델을 개발 및 탐구할 필요성을 제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nt interactions on educational outcomes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training of companies,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between interact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In the untact era that is rapidly changing due to COVID-19, it will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nding an effective non-face-to-face education form for those concerned for corporate growth and develop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required for corporate education. Be judged to be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concept of education participants and the interaction of existing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al-time, non-face-to-face by companies. Second, it was analyzed and confirmed how the intera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al participants affects educational outcome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of educational participants and educational outcomes in real-time, non-face-to-face by compani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06 trainees who received real-time non-face-to-face training, and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statistics program 22.0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B=.209, P-value .001), learner-teacher interactions (B=.229, P-value .000), sub-variables of interaction in real-time education and training that are not face-to-face ,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B=.401, P-value .000)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 performance. As for the magnitude of influence,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had the greatest effect on educational outcomes.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B=.164, P-value .033), learner-teacher interactions (B=.261, P-value .001), education system Both interactions with and (B=.562, P-value .000)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professo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indicating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arning commitment. Third, learning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outcomes as B=.488, P-value of .000.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hich is a sub-variable of the intera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training in companies, affects the educational outcome by partially mediating the learning commit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teacher and the education system. Was verified to have an effect on educational outcomes by completely mediating learning commitment. I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learners, learner-teacher, and interactions between newly emerged education participants and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system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non-face-to-face real-time corporate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the interaction with the education system has the highest impact on education performance, indicating that the education syste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When designing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communication problems in advance and thoroughly check the system before start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system has increased in non-face-to-face real-time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existing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as it is.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exploring an education model that is most suitable for non-face-to-face real-time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uture is enhanced.

      • 팬데믹 상황에서 재난관리자 비대면 교육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박진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4

        2019년 12월 중국 우한 지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 코로나19(COVID-19)가 세계로 확산되어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 경제, 교육, 국제 관계 등 전 영역에 걸쳐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이러한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대면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로 인해 교수자는 비대면 교육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운용·진행 등에서 어려움을 겪음으로써 교육의 효과는 떨어지고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는 낮아졌다. 불가피하게 팬데믹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팬데믹 상황은 교육 생태계를 변화시켰고 대부분의 교육기관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비대면 교육은 단순히 대면 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이 아닌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실습과 이론교육을 병행해야하는 재난관리 교육기관(소방교육기관, 재난안전교육원 등) 에서는 비대면 교육으로의 전환은 더욱 힘든 과정 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분야 교육기관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에 관한 실태조사, 만족도, 우선순위 중요도 분석을 통해 비대면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재난관리분야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스템 환경운영요인,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요인, 콘텐츠요인, 적절한 상호작용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을 진행한 재난관리분야 교육기관 교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단계별(교육 전, 교육 중, 교육 이후) 의식조사를 진행하였고 또한 질적연구를 위해 양적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패턴화된 비대면 실시간교육의 콘텐츠와 시스템에 대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진행하는 등 전반적인 진행과 운영 등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재난관리분야 학습자의 실태분석 및 만족도와 재난분야 교수자의 사례분석에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구성요소인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학습자, 교수자, 콘텐츠(교육내용), 시스템과 세부사항인 학습자의 이해도, 학습자의 동기 및 태도, 교수자 이해도, 교수자의 교수법, 교육내용, 교육설계 및 구조, 프로그램 및 장비, 장소 및 시간에 대한 AHP(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여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법을 찾아내어 비대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COVID-19, which would be estimated to have start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has spread around the world, demanding changes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in all areas, including society, economy, educat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particular, due to this pandemic situation, most of the education curriculum system has shifted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As a result, professors have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of a non-face-to-face education system, so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s decreasing and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is going down as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overall operation and progress. Non-face-to-face education must become a necessity, not an option anymore because the pandemic is inevitably prolonged. The pandemic situation forces the educational ecosystem to change, and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undergone trial and error in this situation. Non-face-to-face education has dramatically caused many changes, not just a simple transition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was a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process at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al institutions(Fire Service Academy, Disaster Safety Education Centers, etc.) that require both practice and theory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ion for improving non-face-to-face education is presented through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learners and professo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s conducted. First, a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consciousness survey is conducted for learners i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Based on this survey, it is investigated how educational system environment operation factors, self-efficacy factors for computers, content factors, and appropriate interaction factors that can affect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activenes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is used as control variable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Second, a consciousness survey is conducted on each stage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Pre-education, Mid-education, and Post-education) for professo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that conducted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nd problems that may arise in overall progress and operation a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cases of contents and systems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ommonly patterned in quantitative studies for qualitative research. Thir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and the case analysis of professors in the disaster fiel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conducted on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of students, professors, contents (educational content), systems, and then details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learners' motives and attitudes about studying, professors' understanding, professors'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design and structure, programs and equipment, places, and time, which are components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to investigate what i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in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overall situa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in the future.

      • 비대면 연수에서 학습실재감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정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99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래 교육환경에 대비하기 위하여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비대면 온라인 실시간 연수에서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교육훈련 후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가 인지한 학습실재감의 인식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비대면 온라인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가 인지한 학습몰입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비대면 온라인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가 인지한 현업적용도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비대면 온라인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가 인지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현업적용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다섯째, 비대면 온라인 연수참여자(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학습실재감이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학습몰입 수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경기도교육감 소속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연수 참여자가 지각하는 주요 연구변인인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현업적용도에 대한 인식 수준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현업적용도에 대한 각 집단(성별, 직급별, 근무지별) 간 인식 수준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실재감에 대한 각 집단(성별, 직급별, 근무지별)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급별 인식 수준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에 있어 실무경험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6급 공무원이 7급 공무원보다 교육훈련 학습내용에 대해 학습자 본인이 이해하는 정도를 지각하는 인지적 실재감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연구 변인의 인식 수준의 차이 검증 결과 공통적으로 나온 결과는, 8급이하 공무원들과 지역교육지원청, 도교육청(직속)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다른 비교 집단(초, 중, 고) 대비 낮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7급 이상 고경력 공무원들과 교육현장의 최일선인 초등학교(유, 특수), 중학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폭넓고 다양한 업무를 접하는 근무환경의 특성상 지역교육지원청, 도교육청(직속) 근무 공무원 대비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현업적용도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학습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현업적용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에, 학습몰입은 현업적용도에, 학습실재감은 현업적용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현업적용도에는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음이 검증되어 통계적으로 사회적 실재감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연수 참여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현업적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연수의 개선을 위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에, 학습몰입은 현업적용도에, 학습실재감은 현업적용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현업적용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만이 교육훈련 참여자의 현업적용도를 높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교육훈련 참여자가 보다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 교육훈련 후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 지각에 더 중점을 둔 교육훈련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는 수업 운영 방식을 참여형 소그룹 토론 및 실습, PPT발표수업 확대, 실시간 질문 채팅창 운영 등으로 다각화하고, 수업을 하는 동안 편안함과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학습내용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컨텐츠를 개발·제공하고, 디지털 교수역량을 높이고 체계적인 수업설계로 철저히 수업을 준비하며,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강의 전달력을 높일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연구결과 학습몰입은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이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동료 학습자 간에 원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학습에 더욱 몰입하게 되고, 교육훈련 후 행동변화와 연수 성과를 보이게 된다. 교수자 또는 동료 학습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대면 수업과는 달리, 온라인 연수의 특성상 참여자가 대면 수업에서 경험하는 수준의 상호작용을 구현하는데에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의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연수 설계시 교수자와 학습자, 동료 학습자간의 소통과 학습몰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보다 실질적인 전략이 필요하며, 교육훈련 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다양한 운영방안 및 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현재 공무원 교육훈련은 교육 후 일회성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뿐, 교육 훈련 후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피드백이나 관리 프로세스가 없는 실정이다.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연수에서 교육훈련 참여자가 인식한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현업적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후 직무현장의 적용정도를 평가하는 행동평가 제도를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시스템 운영을 통한 지속적이고 확장된 교육훈련 사후관리 제도를 도입할 필요할 필요가 있다.

      •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이 젊은 여성들의 체격, 신체 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예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67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고 있는 전염병 코로나 19로 인하여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를 권장하고 지킬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외부 활동을 제한함에 따라 각종 체육시설에 사용제한으로 생활체육의 참여율이 감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신체 활동 중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고 장소나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편안하고 간단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홈트레이닝을 운동지도자와 함께 12주 동안 실시간으로 시행하였을 때 체격, 신체 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S 시에 거주하는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소 운동습관이 없는 자로 운동군(n=9), 통제군(n=8)으로 분류하여 12주 동안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참여에 따른 체격, 신체 조성 및 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1) 12주간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전·후 체격, 신체 조성 분석결과, 허리둘레, Weight, BMI, Fat mass, % Body fat에서 시기×그룹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WHR에서는 시기, 시기×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12주간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전·후 체력 분석결과, 제자리 멀리뛰기는 시기×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악력, 좌전굴, 윗몸일으키기에서는 시기와 시기×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20meter PACER는 시기, 그룹, 시기×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실시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을 실시한 경우, 젊은 여성의 체격, 신체 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포스트 코로나 19시대 타인과 접촉 하지 않고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이 젊은 여성의 신체 조성 관리와 체력상승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VID-19 pandemic is currently outbreaking worldwide, and It has been encouraged strong social distancing and recommended to keep it. As most of them are non-face-to-face and external activities are restricted, the use of various sports facilities has been restric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living spor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physically active using “own facilitie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eck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among the various physical activities that have recently appeared and minimize contact with others, when conducts home training, which can be done comfortably and simply at hom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or time, with an exercise instructor giving exercise posture feedback and encouragement in real time. For this study, we recruited young women who live in S and do not have usual exercise habits as the exercise group(n=10) and the control group(n=10). However, in the end, the exercise group (n=9) and the control group (n=8)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composition,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depending on whether the Non-Face-to-Face Real-Time home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1)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body composition of the exercise group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exercise program, the weight, bmi, and fat mas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lean mass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results of body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que of the exercise group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exercise program, the waist and WHR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hip de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results of physique. 2)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exercise group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exercise program, all the results of Grip strength, buckling, long run, sit-ups, 20M shuttle run was a significant increase (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20M shuttle run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face-to-face real-time exercise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of young women. It is believed that non-face-to-face real-time home training, which keeps social distancing in the age of COVID-19 and does not contact other peopl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or time, can help young women manage their body composition and increase their physical strength.

      • 대면, 실시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이 남자 대학생의 신체 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준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66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대면, 실시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이 남자 대학생의 신체 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8주간 주2회, 1회 30분 16명의 남자 대학생을 대면 그룹 8명, 실시간 비대면 운동 그룹 8명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신체 조성(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골격근량, 허벅지둘레, 다리근육량)과 체력(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을 홈트레이닝 실시 전과 후 총 2번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운동 방법의 차이와 측정 시기에 따른 신체 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Bonferoni를 실시하였다. 그룹 간 변화량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사후 차이의 변화량을 산출한 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 신체 조성의 변인 중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은 감소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골격근량(p=0.018), 왼쪽 다리 근육량(p=0.001), 오른쪽 다리 근육량(p=0.000)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체력 변인은 유연성과 순발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골격근량, 다리 근육량,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은 두 그룹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홈트레이닝은 대면 운동과 실시간 비대면 운동방법에 상관없이 남자 대학생의 골격근을 증가시키고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증가시켰다. 또한 대면, 실시간 비대면 운동 방법간의 운동효과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간 비대면은 대면 운동과 마찬가지로 남자 대학생들의 골격근과 체력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동이 불편한 환자들이나 노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시간 비대면 운동 프로그램이 검증된다면 대면 운동을 실시하기 어려운 대상에게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 hom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male university students. sixteen 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ace-to-face and live streaming exercise groups for 30 minutes,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exercised. As dependent variables,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skeletal muscle mass, thigh circumference, leg muscle mass) and physical strength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power) were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home training. For data processing, 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xercise method and the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eriod, and Bonferoni was conducted as a post-hoc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after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post difference.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p<.05.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keletal muscle mass (p=0.018), left leg muscle mass (P=0.001), and right leg muscle mass (P=0.000) increased significantly. Physical fitness vari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except for flexibility and ag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keletal muscle mass, leg muscle ma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conclusion, 8 weeks of home training increased skeletal muscl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face-to-face exercise or live streaming exercise method.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rcise effect between face-to-face and live streaming exercise methods. Therefore, it suggests that live streaming exercise, like face-to-face exercise,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method to improve the skeletal muscles and physical strength of male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f live streaming exercise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patients with reduced mobility or the elderly is verifi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performing face-to-face exercise.

      •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한국어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이승희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35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structors teaching Korean writing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based upon the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lass structure and teaching techniques are inevitabl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ocus on what and how to prepare for writing classe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I ident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examined previous projects related to the study, and described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ast and current research status of the research topic, and to derive justification, background, and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roject. Chapter II deals with theories related to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were examined. This process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non-face-to-face education an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writing and writing ability, theories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II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rough a survey by 60 instructors subject to this study. Instructors were adapting to online classes through YouTube, other colleagues or by training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many instructo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After analyzing the instructors’ current statuses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Sev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40 minute in-depth interview.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deriv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Chapter IV presents the problems and plans of writing guidance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first difficulty is 'difficulty in feedback'. Feedback is an essential teaching technique in writing education. However, feedback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s a difficult task needing multiple steps.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presented centered on form-based feedback and process-based feedback. The second problem dealt with is 'difficulty in managing learners'. Providing ‘learning motivation’ was the suggestion for confronting this difficulty in learner management, which could be accompl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of the equipment used for non-contact education. The third is difficulty was in managing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stage of writing education'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changed. The instructional stages of th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transformed and presented as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riting instructional model. In addition, the appendix presents various teaching methods collected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YouTube,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non-face-to-face classes in other fields, and existing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non-face-to-face educational situations. Although instructors have taught Korean writing classes for a long time, it has inevitably become difficult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a sudden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Managing learners without face-to-face contact makes it more difficult, so various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s are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existing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ransformed them to suit the non-face-to-face education field, and studied writing education methods in different non-face-to-face situations by collecting various experiences of instructors conducting the non-contact classes.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변화된 교육 환경의 인식과 특징, 수업의 구조 및 교재, 교수 기법 등의 변화가 필연적임을 전제로 비대면 환경에서 한국어 쓰기 수업을 하는 교수자들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제로 쓰기 수업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교수자는 어떤 태도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쓰기 지도 방안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주제의 과거와 현재의 연구 현황을 살필 수 있었으며, 연구 목적의 당위성과 배경, 연구문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II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관련된 이론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비대면 교육 환경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비대면 교육과 대면 교육의 교육 환경에 대한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쓰기와 쓰기 능력의 정의, 쓰기 교육 관련 이론들과 교수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교수자 60명의 설문을 통해 비대면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수자들은 유튜브나 다른 동료들 또는 교육기관의 재교육 등을 통해 수업에 적응해나가고 있었으나 많은 교수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설문으로 교수자의 현황과 쓰기교수방법을 분석한 후 다음으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7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4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IV장에서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쓰기 지도의 문제점과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은 세 가지로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 다룬 어려움은 ‘피드백의 어려움’이다. 피드백은 쓰기 교육에서 필수적인 교수기법이다. 하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은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하는 힘겨운 작업이다. 형태중심피드백과 과정중심피드백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다룬 문제점은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이다.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은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것과 비대면 교육의 철저한 장비 준비로 극복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세번째로는 수업운영의 어려움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쓰기 교육의 단계’가 변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수자들의 수업 단계를 수집, 변형하여 비대면 환경 쓰기 수업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에는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다양한 교수 방법들과 유튜브, 다른 분야의 다양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 방법들, 그리고 기존의 교수방법들을 비대면 교육 상황에 적용 가능한 것을 함께 제시하였다. 비록 교수자들은 오랜 기간 한국어 쓰기 수업을 지도했을지라도 갑자기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그 역량을 발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으며 또한 비대면으로 학습자를 관리하면서 수업을 하는 것은 더욱 그 어려움을 과중시키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다양한 비대면 교육의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쓰기 교수방법을 파악하여 비대면 교육현장에 맞게 변형시키기도 하고,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들의 교육 현장의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여 달라진 비대면 상황에서의 쓰기 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