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5주기 유치원평가계획 17개 시도교육청 비교연구

        김수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439

        본 연구는 17개 시도교육청 제5주기 유치원평가계획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우수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개 시도교육청 유치원평가의 추진목적 및 기본방침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의 질 제고, 교육공동체의 참여·소통·협력 강화, 현장 적합성 제고, 유치원의 자율성과 책무성 강화, 유아의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여건 조성,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 평가결과 공개를 통한 학부모의 알 권리 보장 및 만족도 제고라는 7가지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평가의 평가 주체 및 평가주기를 분석한 결과, 시도교육청 또는 시도교육감을 평가 주체로 포함한 시도교육청이 가장 많았고, 단위유치원(장), 유치원교육공동체를 평가 주체로 포함한 시도교육청이 그 뒤를 이었다. 평가대상으로는 국·공·사립 유치원 전체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한 시도교육청이 가장 많았고, 평가위원회 구성 시 현장 교직원과 학부모위원의 포함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가장 많은 시도교육청이 평가주기를 1년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유치원평가의 평가영역 및 내용을 분석한 결과, 평가지표의 자율적인 구성, 건강·안전영역의 강화, 민주적 유치원운영 강조라는 세 가지 공통된 경향성이 나타났다. 평가지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부 평가지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축소하려는 경향성이 모든 영역에서 나타났고‘건강·안전영역’이 교육부 평가지표 반영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넷째, 평가유형 및 방법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도교육청이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일부 시도교육청은 건강·안전 영역에 대한 서면평가를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병행하는 곳이 가장 많았고, 정량평가만 시행하는 곳이 그 뒤를 이었다. 평정 방식으로는 Y(충족)·N(미충족)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시도교육청이 가장 많았고, 평가등급을 활용하는 곳과 평정척도 방식을 사용하는 시도교육청이 그 뒤를 이었다. 다섯째, 유치원평가의 평가결과 처리 및 활용을 분석한 결과 매년 자체평가를 시행하고 평가결과보고서를 작성·제출하는 시도교육청이 가장 많았고, 17개 시도교육청 모두‘단위유치원 정보공시시스템(유치원 알리미)’에 평가결과를 공개하도록 했다. 유치원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은 시도교육청이 후속 컨설팅 및 장학을 제시하였고, 우수사례 공유 및 일반화, 평가결과에 따른 행·재정적 조치를 언급한 곳도 있었다. 평가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추진목적 가운데 학부모만족도 제고는‘교육공동체의 만족도 제고’로 더 폭넓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 둘째,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의 우수사례를 토대로 한 지속적인 개선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평가위원 구성 시 좀 더 다양한 교육공동체 구성원이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넷째로는, 유치원평가지표에 시도교육청과 단위유치원의 특색을 좀 더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 다섯째, 평가결과 활용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실질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고, 우수사례 공유 및 학습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평가의 내용 및 방법에서 시도교육청별 자율성이 본격화된 제5주기 유치원평가계획을 대상으로, 외국 평가제도와의 비교가 아닌 국내 17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평가제도를 종합적으로 살핌으로써 향후 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유치원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방법 연구

        한광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423

        시 교육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작품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시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이 작품을 자율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문학적 지식만을 전달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분석과 암기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작품 감상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시를 읽고 이해·감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용이론과 자기 주도적 시 교육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방법”을 찾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현행 시 교육과 시 교육의 목표, 특성 및 방향에 대해 살펴본 후 시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 요소인 텍스트, 교사, 학습자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수용이론과 제7차 교육과정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용이론의 시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이론적 배경인 수용이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용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지도 방법을 통해서 학생과 호흡하는 수업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종합·정리하여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모형은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시 감상을 통해 상상력을 길러주고, 문학적 체험을 내면화시켜 학습자를 ‘소극적인 수용자’에서 ‘적극적인 해석자’로 나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이 모형은 앞으로 꾸준히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절성과 효율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시교육의 특성과 실제 연구

        고자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423

        Poem reflects the insight of human into real mental and physical world. To correctly comprehend a poem, it requires us exert reasoning, imagination and instinct to extreme. Accordingly, poem education is one of the supreme language educations, so to speak. Thus, instructors consider poem as the best theme of teaching, yet students might feel difficult. Based on this, in chapter 2,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oem, signification of poem education and purpose of it. And designed models and classify them into stages for efficient poem teaching. Student-centered teaching program was produced to encourage student to imagine, analyze and solve problems. There were three phases: ’introduction-development-conclusion’. The development phase was subdivided into ‘basic’ and ‘advance’. Then, depending on different education stage, method and model, analyze material poem education method using magnum opus of delegating poets. Conclusion as below: whoever teacher or student, they should learn poem with pleasure and interest. Meanwhile, the process and environment of schooling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teacher and learner to obtain higher efficiency. 시는 인간 심리와 삶과 세계의 진실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준다. 학습자들이 작품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추리력, 상상력, 직관력 및 감수성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에, 시교육은 가장 높은 언어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의 특성 때문에 많은 교사들은 '시'하면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장르로 인식하고, 학생들 또한 '시'에 대한 부담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Ⅱ장에서 시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시의 특성과, 시교육의 의의, 시교육의 목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효율적인 시교육의 학습모형과 교육단계를 고안해 보았다. 또한 학습자가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수업 방안을 만들고,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기 위해, 수업의 실제를 '도입-전개-마무리' 3단계로 구분하고, 전개 부분에서는 '기본과 심화'로 각 단계를 세분화 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앞서 살핀 시교육의 단계와 방법에 맞추어, 시교육의 수업모형과 교육단계를 바탕으로 해서, 실제 대표시인과 대표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교사 학습자 모두가 흥미를 가지고 가장 효과적으로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육과정 변화에 맞추어, 교육환경도 함께 변화되어야만 학습자나 교사 모두가 최대의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현대시의 상징적 이미지 교육 연구 : 윤동주와 셰빙신(謝冰心) 작품을 중심으로

        오미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423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several masterpeices of Yoon. Dong-ju and Xie bingxin, both of whon are modern-day representative poets of Korea and China each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Japan has occupied both countries. Yoon Dong-ju and Xie bingxin have focused on creating various works containing the specific emotions of the early 20th during the resistance against Japan. Both poet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developing the modern literary history in Korea and China each Looking into these works of both poets, there is endless power and hope between the plain and simple sentences. Just as the works depicts common natural phenomena as they appear, the true images of the inner world are naturally described, conveying delicate feelings to the readers. By analyzing the symbolic images in the works of the two poets, I have tried to develope appropriate ways of teaching how to understand fresh images of modern poetry. Through the modern poetry by Yoon Dong-ju and Xie bingxin, how each symbolic images and themes were reflected in their works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the images most frequently adopted in their works like 'Night', 'Star', 'Wind', and 'Spring', have been confirmed to reveal not only the surfacial but also the interal images. Through the one representative image, the sensibility, self-awareness, and the worldview of both poets are examined and the way the symbolic images had been described can be learned. The way how each natural symbols would play a role in shaping the internal contradictions and external inconsistencies of Yun Dong-ju has been considered and also, the simplicity and positive aspects of the Shebing shin has examined in his each symbols. Based on the conclusion of analyzing the symbolic images of Yoon Dong-ju and Xie bingxin, a teaching plan for the modern poetry simbolism has organized and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eaching plan, largely divided into the imagination and empathy stage, is suggesting appropriate educational model explaining the need and purpose of lesson. The symbolic imagery is the key content that reveals the main emotion, reflecting the poet's personality and the totality of the times.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poetry education. First of all, the simplest approach helps to grasp the overall image and the atmosphere of poetry. It is emphasized that reciting a poem helps to understand and speculate the changes of the poet's emotions, and then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ofound meaning at the next step. After that, it moves on to the process for speaking the feelings and the appreciation related to the title and paragraphs of a poet, prompting the readers to learn voluntarily. The step of turning a verse into prose is needed to identify the inner feelings of poets, induce the imagination of learners, and achieve more effective learning on poetry by making readers enter the step that can cause empathy. Subsequently, in the step of image reconstru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 should play a role for supporting the students to take a correct direction for the poet's emotion flow. Finally, this paper explains the appreciating the images of poetry is most important, because it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overall composition, content flow, and emotion changes of a poem to make a reader seek the emotions of the poet. Also, this paper introduces how to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of archetypal or emotional images, coincidently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both analyzing the archetypal or emotional images and integrating them into one composite image. Using the teaching plan with the imagination and empathy stage, a teaching strategy for analyzing symbolic images of 'star' and 'night' in the poems, 'The night of counting stars' and 'The pray at night', is produced and introduced in this paper and then also, a training model is suggested for the real lesson in class according to the every stage like the introduction, the deployment and the finishing. The main symbolic images of the two poets, "Night" and "Star," are analyzed and furthermo. 본고는 20세기 초반 일제 강점기에 태어난 한국 현대 대표 시인인 윤동주와 중국의 현대 대표 시인인 셰빙신(謝冰心)의 작품을 살펴볼 예정이다. 윤동주와 셰빙신(謝冰心)은 일제의 저항 투쟁 시기인 20 세기 초반의 특정한 정서를 담아 집중적으로 여러 작품을 창작해 냈다. 두 시인 모두 한국과 중국의 현대 문학 사의 발전에 있어 큰 기여를 한 시인들이다. 이 둘의 작품을 들여다보면 담백하고 간략한 글 안에 무궁한 힘과 희망이 담겨져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작품에서는 보이는 그대로의 흔한 자연 현상을 묘사하듯이 내면 세계의 진실된 모습도 자연스럽게 그려져 있어 독자들에게 섬세한 감정이 전해졌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징적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현대시 싱징적 이미지를 교육하는데 적절한 교육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윤동주와 셰빙신(謝冰心)의 현대시 작품을 통해 각 상징적 이미지는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주제 의식이 반영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 및 검토해 보았고 특히 두 시인의 작품 속에 제일 많이 등장하는 이미지인 ‘밤’, ‘별’, ‘바람’, ‘봄’은 원형적인 이미지 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이미지도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나인 대표적인 이미지를 통해 두 시인의 감수성과 자아 인식, 그리고 세계관까지 살펴보고 상징적 이미지가 나타난 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정리할 예정이다. 각 자연 상징물이 윤동주의 내적인 모순과 외적인 불일치를 형성화시키는 데에 어떠한 역할이 될 것인지를 고찰하고 셰빙신(謝冰心)의 단순하고 긍정적인 모습을 각 상징물을 통해 엿보았다. 다음은 윤동주와 셰빙신(謝冰心)의 상징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론을 바탕으로 현대시의 상징적 이미지의 교육 방안을 구성하고 제시하였다. 크게 상상력 유발 단계에서의 교육 방안과 공감 능력 단계에서의 교육 방안으로 나누어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여 적절한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일 단순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작품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파악하고 분위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낭독을 함으로써 시인의 감정 변화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추측할 수 있어 다음 단계인 심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제목과 단락에 관련된 느낌과 감상을 말하는 과정으로 넘어가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하게끔 자극시켰다. 공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단계로 들어가 시인의 내적 감정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상상력을 유발하고 더 효율적인 시 교육을 이루기 위해 시를 산문화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어서 상상력 재구성 단계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시인의 올바른 감정 흐름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보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의 이미지를 감상하는 과정은 시인의 감정을 모색하기 위해 시의 전체적인 구성 방식, 내용 흐름, 그리고 감정 변화 등을 파악하고 주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과정인 것을 밝히면서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원형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복합적인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시키는 중요성을 밝히면서 원형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의 특징에 따른 모색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에서 배운 방법으로 <별 헤는 밤>과 <밤에 기도>에서 나타난 ‘밤’과 ‘별’의 상징적 이미지를 분석하는 교육 방안을 구성해 보았고, 도입 단계, 전개 단계 그리고 마무리 단계로 나누어 실제수업의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두 시인의 상징적 이미지인 ‘밤’과 ‘별’을 위주로 분석하고 두 가지 이미지가 띠고 있는 양상 그리고 공통점 및 차이점을 비교하는 연습을 해 보았다.

      • 중등미술교육에 대한 의식조사연구 : 중학교 3학년 200명을 중심으로

        임종욱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91

        중등미술교육에 대한 의식조사연구 - 중학교 3학년 200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rvey of Consciousness for Fine Art Education of Middle School - Focused on 200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 미술교육전공 임 종 욱 지 도 교 수 김 정 임 21세기 우리사회는 산업사회가 아닌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는 창의성과 개개인의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해 주어 고등 사고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적합한 교육이 바로 미술교육이다. 미술교육은 특성상 주입식교육이나 암기식 교육보다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창의성향상과 정서 함양에 크게 도움을 주고 새로운 경험을 미술을 통하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을 통하여 미술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을 조사연구 한 것으로 남학생 100명, 여학생100명 총 200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인의 미술점수가 100∼80점의 (54.0%) 높은 점수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미술점수에 대하여 불만족 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40%의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본 연구 결과 확인할 수 있었고, 미술교과를 통하여 학생들은 47.0%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또한 미술교과가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학생 수는 전체의 43%를 차지할 만큼 미술교과는 단순한 지식을 주입하는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정서함양과 창의성 증진을 높이는데 굉장히 중요한 과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은 과도한 평가 위주의 교육과 시수부족 그리고 학교 시설문제나 미술용품 지원의 미비의 열악성 등의 행·재정적인 문제로 인하여 단순하고 형식적인 미술교육이 되풀이 되고 있다. 획일화되고 수동적인 교육만으로는 미술교육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 방안으로 미술과 평가를 개선하고, 미술과 특성상 다양하며 체험적인 활동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아낌없는 지원과, 여타 과목에 비하여 부족한 수업시수를 늘림으로써 보다 더 창의적이고 새로운 미술교육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교사들이 미술교육의 특수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지속이고 부단한 노력을 한다면, 그러한 노력들은 학생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흥미와 재미로 이어져 학습효과도 극대화 될 것이다. 앞으로도 미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현황 조사 및 개선방안을 통하여 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주요어: 미술교육, 의식조사연구, 창의성, 특수성, 수업시수.

      • ICT를 활용한 중학교 시조 교수·학습방안 연구

        이명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11

        Sijo is the unique genre inherited to modern times, which reflected Korean poetic soul and sense of beauty. Learning Sijo belps the students have instructive emotionalism and understand how their ancestors lived through appreciation of works ,of Sijo. Sijo gives wisdom and lessons in life. So we estimate Sijo class highly tbanks to its educational value. But researches show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instructing Siio in the class because the class is proceeded on the teacher-centered lecture and the explanation of words and phrases, which can not gather up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in the middle school Sijo class. This essay focuses on what the problems are in the Sijo class in Middle School and how we try to find the solu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Sijo through making efficient use of lCT. lCT instruction finds. its theoretical background in investigating The 7th Korean Education course. This' essay makes clear that Sijo class should be th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s a literature instruction which can lead fro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ijo' to creative writing of Sijo. Also the paper observed literature phase theory, formation theory, receptive esthetics theory and mutual subjectivism theory. To check up the context of Sijo class, I analyzed The Lessons of Sijo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To examine the realities of Sijo class, I posed questions to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para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promote the interest in Sijo class is urgent task. The advanced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ICT to Sijo class shows that the teachers can apply ICT to their class more or less though they don't have enough knowhow about ICT. If we consider the highest priority among what he students want is the interesting teaching method, it is' judged to apply ICT to Sijo class is very significant. In particular, I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the Sijo unite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for the effective Sijo lessons which is oriented to the learners, utilizing infinite possibility of the ICT as an educational medium. The ICT-u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was recognized as an interesting teaching method enabled the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Sijo lessons. The students themselves participated in the Sijo class actively and positively. Also various audio-visual experiences made it possible to present affirmative responses in the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fields of the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and the expansion of computer-using ability. But the ICT-using lesson model shows its limits in solving anxiety for creating Sijo works and supporting its creative ability. To solve these limits,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develop a new lesson model on the web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put in the emotions freely in the form of Sijo works and to be interested in writing Sijo. The ICT-using lessons are very significant for the integrated lesson model oriented to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ability and for the improvOment of learning ability inducing the interest in Sijo class. And to perform the ICT-using class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hat the teacher in the class should have the will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pare the class completely and be equipped with the basic knowledge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