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도당굿 시나위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배윤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나위는 본래 굿 음악으로, 굿은 우리 전통예술의 뿌리가 되며 가무악을 모두 갖춘 가장 오래된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음악의 모태가 되는 시나위는 예술성이 매우 뛰어나며, 연주자의 뛰어난 음악성과 즉흥성을 바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소 어렵고, 전문가들의 것이라는 편견에 교육현장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았다. 게다가 현대 사회에서 굿은 미신이라는 편견이 자리 잡고 있으며, 연행자의 명맥 또한 거의 끊길 위기에 처해져 있기 때문에 교육적 소재로 쓰이는 것은 더욱 어려워 보인다. 때문에, 시나위를 다루더라도, 본래 시나위가 갖고 있는 가무악 일체의 모든 모습을 포함하기 보다는 굿 음악과 관련 없이 무대화되어 민속기악곡의 한 장르로써 다루고 있으며, 그도 감상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경기도당굿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당굿으로, 문화재조사보고서에 의하면 경기남부의 창우집단에 의하여 시나위가 전승되었으며, 경기남부에서 연행되던 경기도당굿이 시나위의 대표적인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당굿은 마을굿으로, 전통사회에서 마을의 화합을 도모하고, 공동체가 함께 발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는, 구성원 간의 갈등이 점차 심해지며, 개인주의와 이기주의가 팽배해지는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공동체의 구성원 간 연대와 소통, 치유를 교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경기도당굿은 경토리 특유의 맑은 선율과 2박 계열의 특색있는 장단이 많이 쓰였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 경기도당굿을 통합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3가지의 대주제를 선정하고 그 안에 세부적인 주제를 나누어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연계하여 가무악 일체를 가르칠 수 있는 교과를 선정하였다. 특히 3~6학년 수준별로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경기도당굿 시나위에 담긴 정신과 가치관을 교육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두었다. 따라서 굿에 관한 다양한 영상자료와 도서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굿의 의미와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시나위의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되, 가무악 일체의 시나위에 대한 이해를 우선적으로 교육하고, 시나위의 선율과 장단 및 무가, 춤 등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시나위를 통해 학생들의 즉흥적인 창의성이 발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경기도당굿 시나위를 직접 연행해봄으로써, 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까지 목표로 삼아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제별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알맞은 학습자료도 개발하여 각 학습이 학년군별로 위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기도당굿 시나위를 소재로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한 것은 특정하게 경기도당굿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음악적 가치가 있는 다양한 굿 음악을 교육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즉흥성이 강한 음악일 뿐더러 전문가들이 주로 연주하여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 때문에 초등 교육과정에서 다뤄지지 않는 시나위를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학년 및 교과 연계형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여 체계적인 방법으로 어렵지 않게 학생들에게 시나위를 교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해금 즉흥시나위 연구 : 김영재 국악인생 50주년 기념음반을 중심으로

        김수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나위는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무속의식에서는 무가와 춤의 반주음악으로, 공연장에서는 살풀이나 입춤의 반주음악으로 혹은 기악 합주나 독주곡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 발표된 김영재 해금 즉흥시나위를 대상으로 음악적 개성과 갈래적 특징을 밝혀보았다. 김영재 해금 시나위에 사용되는 조성은 계면조와 평조이다. 계면조를 중심에 놓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평조를 활용하기도 한다. 계면조에는 남도 계면조의 핵심이 되는 주요 3음, 이른바 떠는음․평으로 내는 음․꺾는음을 중심으로 하되, 떠는음과 평으로 내는 음 사이에 ‘제2꺾는음’이 추가되어 있다. 이는 지영희와 최경만의 경기 시나위 가락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김영재 시나위가 경기시나위의 전통 속에 있음을 보여준다. 김영재 해금 시나위에서 사용되는 장단은 중모리, ‘시나위’, 엇모리, 자진모리 순이다. 중모리는 2소박 12박, ‘시나위’와 자진모리는 3소박 4박, 엇모리는 혼소박 10박을 기본적인 리듬패턴으로 활용한다. 김영재 시나위에서 각 장단별 내드름의 리듬패턴은 선율진행상의 리듬패턴과 차이가 있다. 내드름의 리듬 패턴은 이상과 같이 전통적인 ‘여늬장단’의 것을 따르지만 선율에서 진행되는 리듬운용방식은 전통적 리듬 패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리듬패턴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김영재의 시나위에서는 전통적 시나위 장단의 리듬 변화를 보여줌과 동시에 보다 다양한 리듬운용방식을 보여준다. 김영재 해금 시나위는 중심음 및 조성의 운용 방식을 통해 단락을 정리해 볼 수 있다. 단락 구성의 방식을 요약하자면, a중심 계면조 단락을 축으로 하여 그 사이사이에 c'중심 평조나 d'중심 계면조 단락을 선택적으로 두고 있다. 이는 전통적 시나위와 비교하면 조성과 단락의 변화가 다채로운 점을 보여준다. 김영재 시나위의 단락을 구성하는 선율 전개 방식은 선율진행과 연주법 등의 변화에 의해 성립된다. 예컨대 대비, ‘달고 가는’ 수법, 변청과 변조, 미분하행형 진행, 다루치기 수법, 지법의 변화, 도섭 등이 활용된다. 이 중 대부분이 전통적 시나위에서도 발견되는 것이지만, 김영재 시나위에서 미분하행형 진행과 다루치기 수법은 그 효과를 더욱 확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변청과 변조, 도섭은 김영재 해금 산조에서도 나타나는 방식이다. 즉 김영재는 산조의 선율전개방식을 시나위에도 폭넓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지 위치 변화에 따라 운지의 변화를 살펴보면, 김영재 해금 시나위는 e=1, a=1, g=1의 총 세 가지 운지법을 사용한다. 이 중 e=1과 a=1의 4도 관계 운지법은 계면조로, 평조는 시김새 표현에 있어서 안정적인 위치인 g=1 으로 운지를 사용함으로써 조와 중심음에 따라 한정된 운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운지는 전통적 경기 해금 시나위에서 사용된 것과 같다. 즉흥으로 연주되는 시나위는 음악적 규범에 정통해 있어야 하며 동시에 음악 창조적 역량도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김영재 해금 즉흥시나위는 갈래적 규범을 수용하면서도 그 안에서 다양한 주변 갈래의 음악적 요소를 수용함으로써 변화를 시도했다. 그 결과 김영재 시나위는 갈래적 정통성과 시나위 창작자의 개성이 조화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Sinawi can be used in many ways. It is used as accompaniment music to shaman’s song and dances in shamanism rituals, and as accompaniment music to exorcism and basic dances in the theater, or it is played as instrumental music ensemble or as a solo. This thesis examined the musical individuality and the diverged characteristics of Kim Yeong-jae hegeum impromptu sinawi released in 2011. The tonality used in Kim Yeong-jae hegeum sinawi is gyemyeonjo and pyeongjo. Gyemyeonjo plays a major role in sinawi but sometimes pyeongjo is utilized as needed. In gyemyeonjo, major 3 tones, the core of namdo gyemyeonjo, that is, trembling tone, flat tone and breaking tone. The ‘second breaking tone’ are added between the trembling tone and the flat tone. This also appears in Ji Yeong-hi’s and Choi Gyeong-man’s Gyeonggi sinawi tunes, showing that Kim Yeong-jae’s sinawi belongs to the tradition of Gyeonggi sinawi. The rhythm used in Kim Yeong-jae hegeum sinawi is jungmori followed by ‘sinawi,’ eotmori, and jajinmori. As the basic rhythm patterns, jungmori utilizes 2 small beats and 12 beats, ‘sinawi’ and jajinmori utilizes 3 small beats and 4 beats, and eotmori utilizes mixed small beats and 10 beats. In Kim Yeong-jae sinawi,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rhythm pattern of nedeureum of each beat and the rhythm pattern of melody proceeding. As mentioned above, the rhythm pattern of nedeureum follows the traditional ‘yeoneuijangdan,’ but the rhythm operating method in melody uses not only traditional rhythm pattern but also diverse rhythm patterns. As a result, Kim Yeong-jae’s sinawi shows the rhythm changes of traditional sinawi rhythm and, at the same time, diverse rhythm operating methods. The paragraph of melody of Kim Yeong-jae haegeum sinawi can be summarized through the operating method of central tone and tonality. To summarize the methods of paragraph composition, with a-center gyemyeonjo paragraph as the axis, c'-center pyeongjo or d'-center gyemyeonjo paragraphs are selectively placed in the interval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inawi, this shows colorful changes of tonality and paragraph.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melody that composes Kim Yeong-jae sinawi is formed by changes in melody proceeding and performance technique, etc. For example, contrast, ‘dalgo ganeun’ method, byeoncheong and modulation, mibunhahaenghyeong proceeding, daruchigi method, changes in fingerings, caprice, etc. are utilized. Most of these are found in the traditional sinawi, but Kim Yeong-jae sinawi expands the effectiveness of mibunhahaenghyeong proceeding and daruchigi technique and uses them. Together with this, byeoncheong and tonality and caprice are the methods that appear also in Kim Yeong-jae haegeum sinawi.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im Yeong-jae also utilizes the melody development methods of sanjo widely in sinawi. In changes of fingerings according to the index finger, Kim Yeong-jae haegeum sinawi uses a total of three types of fingerings: e=1, a=1, g=1. Among these, the 4 degree relation fingering of e=1 and a=1 uses gyemyeonjo, and pyeongjo uses fingerings with g=1 which is a stable position in sigimsae expression, showing that limited fingerings are used according to pitch and central tone. These fingerings are the same as what is used in the traditional Gyeonggi haegeum sinawi. For the impromptu sinawi, one should be well-acquainted with musical norms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balanced with musical creative capabilities. Kim Yeong-jae haegeum impromptu sinawi accepts diverged norms and, at the same time, tried changes by accepting the musical elements of varied surrounding diversity within it.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in Kim Yeong-jae sinawi, diverged legitimacy and the personality of the sinawi originator were able to be harmonized.

      • 백인영 가야금시나위 연구 :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를 중심으로

        송정아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A Gayageum master Baek In Young(1945~2012) is known to be a player who was very excellent at spontaneity. Research on his music is limited to Baek In Young-styled Gayageum Sanjo at school of Yu Dae Bong and Baek In Young-styled Ajaeng Sanjo and there is no research on Sinawi showing his spontaneity most. Raising a problem on above, this paper analyzed musical structure, tonal system, cadence, melody, rhythm and execution for 2 pieces of Sitgimgut Sinawi and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in which Baek In Young played the Gayageum, deriving his impromptu musical language of Gayageum Sinawi.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Before the analysis on Gayageum Sinawi of Baek In Young, in Chapter 2, the study reviewed Jindo Sitgimgut and Namdo Sinawi, and examined his artistic world. For Namdo Sinawi, orchestration of Gayageum was mainly done at a stage performance rather than at a field of Jindo Sitgimgut,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xpansion of a musical basis of Sinawi along with activities of Namdo Sinawi performers as the masters of Sanjo. Such environments of performance and conditions of performer corresponded to Sinawi music activities of Baek In Young. It identified a situation where Baek In Young established Baek In Young-styled Gayageum Sanjo at school of Yu Dae Bong in his musical world and based on Sanjo he came to have a reputation as the master of impromptu music while conducting various Sinawi performances. In Chapter 3, the study analyzed musical structure, tonal system, cadence, melody, rhythm and execution for 2 pieces of Sitgimgut Sinawi and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As for the tonal system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both Sitgimgut and Instrumental Ensemble are composed of Namdo Kyemyeonjo and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melody progression centered on 3 tones of Boncheong(g), shaking Cheong(d), and broken Cheong(b♭󰀫a). As for Sitgimgut Sinawi, Eotcheong(c´) and Deoeumcheong(f´) are frequently used with high weight while both tones are rarely used for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In other words, 2 pieces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consist of typical melodies of Kyemyeonjo with limited range and tones appeared. As for the cadences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both Sitgimgut and Instrumental Ensemble finish with Boncheong(g).Cadence of Boncheong is used at both intermediate cadence differentiating paragraphs and the final cadence completing music and its repetitive use at Sinawi gives a sense of pause and regularity. However, refrain <Cheongeunpuri> of Sitgimgut Sinawi is completed with the broken cheong and it may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for natural connection since the beginning tone of the following verse is Eotcheong(c´). Melodies and rhythms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show different aspects in Sitgimgut and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Gayageum melody of Sitgimgut Sinawi sticks to accompaniment with progression similar to shamanic melody, while that of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shows powerfully spontaneity and individuality of Baek In Young with maximized skills of the performer. Sitgimgut Sinawi shows an aspect where Gayageum is harmonized with shamanic melodies and rhythms and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reveals a richer musical language of Sinawi via a variety of executions within promised rhythms. In Chapter 4, the study derived characteristics of imprompt musical language shown from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from two aspects including melodic organization and execution. Suseong melody refers to performance following shamanic melodies at Sitgimgut Sinawi and melodic organization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has characteristics of filling in a blank, making a blank and emphasizing certain tone. A melodic type segmenting rhythms and filling in a blank is used most frequently when a shaman extends a tone and a blank is made by adding melodies of Gayageum when singing with stories woven together finely. Besides, shamanic melodies are emphasized with repetitive structural tones. Impromptu melody is played spontaneously at Instrumental Ensemble Sinawi and melodic organization of Baek In Young Gayageum Sinawi has characteristics of conjunct motion, rhythm utilization and rhythm connector. As for conjunct motion, there are repetitive conjunct upward․downward motions with structural tones of Kyemyeonjo and as for rhythm utilization there are changes from equal rhythm of Gutgeori to peculiar rhythm, and unequal rhythm of Eotmori to equal rhythm. Moreover, when rhythms are changed, a connector is established to progress to the following rhythm naturally by melodies segmenting rhythms gradually. Characteristics of execu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right and left hand techniques. The right hand techniques are characteristic of successive playing of three strings, sequential upward playing and simultaneous picking. Successive playing of three strings turns the volume up like 'Seureureong' technique of Geomungo and puts stress o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melody, and sequential upward playing emphasizes the following rhythm by maximizing a staccato effect and forms a natural connector. Simultaneous picking including octave or chord picking expresses the melody in a three dimensional manner. Left hand techniques are characteristic of the thumb vibrator and the same tone of other timbre. The thumb vibrator allows various splendid Sigimsae to be commanded easily be reducing movements of the left hand to the most, and the same tone of other timbre provides abundant sounds by expressing the same tone with other timbre. Baek In Young is known to be as the master of impromptu music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his music.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emonstrated the impromptu music and musical language he pursued by analyzing his Gayageum Sinawi and examining aspects shown from each musical element. Sinawi is music where free feeling and individuality are expressed according to performer, instrumental orchestration and performance environment under the promise of both tonal system and rhythm. The research derived characteristics of his Sinawi music from a few pieces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m to musical language of Baek In Young.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Gayageum performers at Sinawi performances and put a small step stone on research of Gayageum Sinawi, almost an unexplored area. 가야금 명인 백인영(1945~2012)은 즉흥성이 매우 뛰어난 연주자로 알려져 있다. 백인영의 음악에 관한 연구는 유대봉제 백인영류 가야금산조와 백인영류 아쟁산조에 국한되어 있는데, 정작 그의 즉흥성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시나위어법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러한 점에 문제를 제기하여 본고에서는 백인영이 가야금 연주자로 참여한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의 2곡을 대상으로 악곡 짜임새, 음조직, 종지형, 선율, 리듬, 연주법 등을 분석하고 백인영의 시나위 즉흥음악어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백인영의 가야금시나위를 분석하기에 앞서 진도씻김굿과 남도시나위를 개관하고 백인영의 예술세계를 살펴보았다. 남도시나위에 가야금 편성은 진도씻김굿의 현장보다 무대공연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남도시나위를 담당했던 연주자들이 산조 명인으로 활동하면서 시나위의 음악적 기반이 확대된 정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남도시나위의 연주환경과 연주자 조건은 백인영의 시나위 음악활동과도 일치하였다. 백인영의 음악세계를 통해 그가 유대봉제 백인영류 가야금산조를 정립하였고 이 산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나위 공연활동을 전개하면서 즉흥 음악의 대가(大家)로 정평이 나게 된 정황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백인영이 연주한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의 2곡을 대상으로 악곡 짜임새, 음조직, 종지형, 선율, 리듬, 연주법 등을 분석하였다. 백인영 가야금시나위의 음조직은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의 2곡 모두 남도계면조로 구성되었으며, 본청(g), 떠는청(d), 꺾는청(b♭󰀫a)의 3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되는 공통점을 보였다. 다만 씻김굿 시나위에서는 엇청(c´)과 더음청(f´)이 자주 사용되면서 음비중이 높았던 반면, 기악합주 시나위에서는 두 음이 거의 쓰이지 않았다. 요컨대 백인영의 가야금시나위 2곡은 전형적인 계면조 선율로 구성되며 음역대나 출현음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였다. 백인영 가야금시나위의 종지형은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의 2곡 모두 본청(g)으로 종지하는 공통점이 나타났다. 본청 종지형은 단락을 구분하는 중간 종지와 악곡이 끝나는 최종 종지에 모두 사용되었으며, 시나위에 반복적으로 쓰이면서 단락감과 규칙성을 부여하였다. 다만 씻김굿 시나위의 <천근풀이> 후렴구는 꺾는청으로 종지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이어지는 절의 시작음이 엇청(c´)이기 때문에 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하였다. 백인영 가야금시나위의 선율 및 리듬은 씻김굿 시나위와 기악합주 시나위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씻김굿 시나위의 가야금 선율은 무가 선율과 유사하게 진행되면서 반주에 충실하였다면, 기악합주 시나위의 가야금 선율은 연주자의 기량이 극대화되면서 백인영의 즉흥성과 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씻김굿 시나위에서는 무가의 선율과 리듬에 가야금이 그대로 상응하여 진행하는 양상을 보였고, 기악합주 시나위에서는 약속된 장단 안에서 연주법과 리듬을 다양하게 구사하며 더욱 풍부한 시나위의 음악어법을 보여주었다. 제4장에서는 백인영 가야금시나위에 나타나는 즉흥음악어법의 특징을 선율 구성과 연주법의 두 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수성 선율은 씻김굿 시나위에서 무가의 선율을 따라 연주하는 것으로 백인영의 가야금시나위에서는 여백 채우기, 여백 만들기, 특정 음 강조 등의 선율 구성이 특징이었다. 무가가 음을 뻗을 때는 리듬을 세분하여 여백을 채우는 선율형태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사설을 촘촘히 엮어 부를 때는 가야금 선율을 덜어 여백을 만들어 주었다. 또한 골격음을 반복하여 무가 선율을 강조하였다. 즉흥 선율은 기악합주 시나위에서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으로 백인영의 가야금시나위에서는 순차 진행, 리듬 활용, 장단 연결구 등의 선율 구성이 특징이었다. 순차 진행은 계면조 구성음으로 순차 상․하행 선율을 반복하였으며, 리듬 활용에서는 굿거리의 균등형 리듬을 혼합박 리듬으로, 엇모리의 불균등형 리듬을 균등형 리듬으로 바꾸어 변화를 주었다. 또한 장단이 바뀔 때는 리듬을 점층적으로 세분하는 선율로 자연스럽게 다음 장단으로 진행하기 위한 연결구를 형성하였다. 연주법 특징으로는 오른손과 왼손 주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오른손 주법으로는 세줄 연달아 뜯기, 순차상행 뜯기, 동시집기가 특징적인 주법이었는데, 세줄 연달아 뜯기는 거문고산조의 ‘스르렁’ 주법과 같이 음량을 확대하여 선율의 시작과 끝을 강조하였고, 순차상행 뜯기는 스타카토 효과를 극대화하여 다음 장단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연결구를 형성하였으며, 옥타브 집기나 화음집기 등의 동시집기는 선율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왼손 주법으로는 엄지농현과 딴줄동음 주법이 특징적인 주법이었다. 엄지농현은 왼손의 이동을 최대한 줄여서 화려하고 다양한 시김새를 쉽게 구사하도록 해주었고, 딴줄동음 주법은 동일음을 다른 음색으로 표현하여 음향을 풍성하게 하였다. 그동안 백인영은 즉흥음악의 대가로 알려져 있었지만 그 음악에 대한 연구는 부진하였다. 백인영의 가야금시나위를 분석하고 각 음악요소에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추구한 즉흥음악의 세계와 음악어법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시나위는 음조직과 장단의 두 가지 약속 안에서 연주자, 악기 편성, 연주환경 등에 따라 자유로움과 개성이 표출되는 음악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백인영의 시나위 음악은 제한된 곡에서 특징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백인영의 음악어법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음악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이 실제 시나위 공연에서 가야금연주자에게 보탬이 되기를 기대하며 불모지에 가까운 가야금시나위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 경기시나위의 역사적 전개와 음악적 특징 :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김재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Sinawi is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finds its roots in shamanic music. Compared to other genres, the improvisation of the performers is emphasized. Improvised music performed during the shamanic rituals gave birth to a special traditional Korean music genre called Sinawi. Typically, Sinawi is performed as a solo and the arrangement of instruments are consisted of piri, daegeum, haegeum, janggo, and gong. If we were to categorize different styles of Sinawi, the transmission of Sinawi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fferent regions: Gyeonggi-je (Gyeongje), Chungcheong-je, and Jeolla-je (southern province). Chungcheong-je was lost a long time ago, and currently only Gyeonggi-do and Namdosinawi are passed down. Since the 20th century, Sinawi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stylized performance music in the form of instrumental concerto rather than the form of improvisation performed at the site of the shamanistic ritual. Currently, the sinawi that can be seen in stage performances is mostly Namdosinawi of Yukjabaegitori. Since Gyeonggi Sinawi is derived from the martial arts of Gyeonggi-do and played as sinawi, it is reasonable to play it with a unique melody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racteristic sigimsae. The current Gyeonggi Sinawi performance is a mixture of Gyeongtori and Yukjabaegitori. Even though Gyeonggi Sinawi uses the same tone structure as Namdosinawi and is organized in the same tone composition, the poems and expression methods that operate the tones are different. Just as folk songs are developed in various tori depending on the musical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t is natural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inawi also appear differently. However, from the time Sinawi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1970s, Gyeonggi Sinawi had already appeared as a mixture of Gyeongtori and Yukjabaegitori, and the proportion of Yukjabaegitori was quite high. As such, this study started from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roblem of playing most of the melodies in yukjabaegitori while losing some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tori in today's Gyeonggi Sinawi tradition. In addition, compared to the musical artistry and academic value of Sinawi, which the performers create in harmony with their performances based on minimal promises, the related academic research in the music industr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transmission process of Dongnyeongje, Namyangje, Ansanje, and Gwangjuje in Gyeonggi Sinawi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and analyze the sound sources played from the 1930s to the 2000s, It is to contribute to the upright succession of Gyeonggi Sinawi by identifying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Um' and unique Sigimsae and finding the identity of Gyeonggi Sinawi. For this purpose, this paper organizes the genealogy of Gyeonggi Sinawi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cludes the Sinawi of Han Seong-jun in the 1930s, which is known as the first album of Gyeonggi Sinawi, Bangdol-geun of Gyeonggi-do Danggut of Namyangje, Gyeonggi-do, and Sinawi of Jang Young-geun, and Sinawi of Ansanje.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 the appearance and function of the second breaking note, and various shigimsae of Gyeonggi Sinawi were confirmed through music analysis such as Ji Young-hee and Choi Kyung-man, Lee Chung-seon of Gwangju-je, and Yong-eop's flut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yeonggi Sinawi, it was confirmed that Gyeonggi Sinawi was handed down by forming genealogies such as Dongnyeongje, Namyangje, Ansanje, and Gwangjuje. What is noteworthy is Bang Yong-hyeon, a person who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fostering the four major Gyeonggi Sinawi, including Dongnyeongje, and influenced the overall Gyeonggi Sinawi music. He, who founded Dongnyeongje, led Ji Young-hui of Ansanje and Lee Chung-seon of Gwangju-je, and influenced his grandson Bang Dol-geun to form Namyangje Gyeonggi Sinawi. In addition to the currently disconnected Dongnyeongje system, Namyangje-Bangdolgeun, Ansanje-Ji Younghee, and Gwangjuje-Lee Choongseon formed and passed down the system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e main musical characteristics revealed by analyzing the flute melodies of players by Gyeonggi Sinawi genealog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 breaking note had already appeared in sinawi performance from the 1930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 breaking note', which does not appear in Namdosinawi, is used continuously and repeatedly in Gyeonggi Sinawi, and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shows the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 as a clear sense of musical color. Third, Gyeonggi Sinawi uses the same minor scale as that of Namdosinawi, but by using a sole scale other than the minor scale, it expresses the bright and cheerful feeling of Pyeongjo in a variety of ways, unlike Namdosinawi, which has mostly Gyemyeonjo melodic composition. By expressing nongeum or sigimsae differently in poetry or expression method in which yin is operat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stinctiveness of clearly revealing the Tory color of the Gyeonggi region.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hough Gyeonggi Sinawi belongs to the same six-japaegitori region as Namdosinawi, it can be seen that it has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 along with the color of Gyeonggi Tori. It is a great regret that studies on daegeum and haegeum, which are played together at Gyeonggi Sinawi, were not conducted. It is hoped that the microscopic content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in this study can be revealed through follow-up studies, an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reveal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 more and contribute to the upright transmission. Key words: Sinawi, Gyeonggi Sinawi, Gyeonggi Danggut, shamanic music, Yukjabaegitori, Gyeongtori, 2nd note, Nongeum, Sigimsae 시나위는 무속음악에 뿌리를 둔 한국전통음악으로 타 장르에 비해 연주자의 즉흥연주가 강조되는 음악이다. 전승 지역별로 시나위를 구분하면 경기제(경제), 충청제, 전라제(남도)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충청제는 이미 오래전에 인멸되었고 현재 경기시나위와 남도시나위만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 관점에서 경기시나위의 남양제, 안산제, 광주제 등 제별 전승과정을 정리하고,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전후에 연주된 음원을 분석하여 음조직과 장단, ‘제2꺽는음’, 독특한 시김새 등 음악적 특징을 규명하고 경기시나위의 정체성을 찾아내어 경기시나위의 올곧은 전승에 일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경기시나위의 제(制)별 전승계보를 정리하고, 경기시나위의 최초 음반으로 알려진 1930년대 한성준의 시나위를 비롯하여 경기시나위 남양제 계보인 경기도당굿의 방돌근과 장영근의 시나위, 안산제의 지영희와 최경만, 광주제의 이충선, 허용업의 피리가락 등 음악분석을 통하여 경기시나위의 음조직과 장단, 제2꺾는음의 출현과 기능, 그리고 경기시나위의 다양한 시김새 등의 음악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경기시나위의 전승 계보별 연주자의 피리선율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30년대부터 이미 경기시나위에서 ‘제 2꺾는 음’이 출현하였다. 1932년 한성준의 피리시나위 음원 분석을 통해 그가 연주하는 시나위선율에 ‘제 2꺽는 음’을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기시나위가 남도시나위와 같은 남도계면조의 미음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경기시나위는 그 외 솔음계의 사용이 추가되며 그 음들을 운영하는 시가나 표현 방식에 있어 남도시나위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전개함으로써 경시나위만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단의 경우, 남도시나위가 주로 3분박 4박 형태의 살풀이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으로 연주되는 반면, 경기시나위는 2분박 6박 형태의 도살풀이장단과 모리, 발뻐드레 등으로 다채롭게 연주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기시나위에서만 출현하는 ‘제2 꺾는 음’이 남양제, 안산제, 광주제 등 모든 제에서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비중있게 사용됨으로써 남도시나위와 전혀 다른 느낌의 음악을 구현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기시나위는 남도시나위와 다른 다양한 시김새로 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경기시나위는 남도시나위에서 떠는 음 ‘미’를 굵게 떨어 진계면으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떨거나 꺾는 음의 세기와 꺾는 정도 및 지속시간, 농음 빠르기의 정도를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서 계면의 느낌을 반감시키는 기법으로 경토리의 느낌을 확장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나듯 경기시나위는 남도시나위와 다른 독특한 선율 진행과 시김새, 장단으로 인한 다른 색채감을 띠고 있다. 주음이나 떠는 음을 짧고 가볍게 표현하며 2분박 계통의 리듬을 사용하여 가뿐가뿐한 도약진행의 선율을 구사하는 것과 경토리에서 볼 수 있는 경드름의 사용 등은 분명 경기시나위에서만의 음악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각 지역적 토리의 특성에서 느낄 수 있는 부분 중의 하나로서 경토리의 밝은 색채감과도 상당히 닮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경기시나위 합주 시 함께 연주되는 대금과 해금에 대한 연구까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점 등 본고에서 해결하지 못한 미진한 내용들은 후속연구를 통해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하며, 미력이나마 본 연구가 경기시나위가 지역성을 살려 올곧게 전승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경기시나위 도살풀이춤의 원형성과 예술성 연구

        정선희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인 도살풀이춤이 무속계 살풀이춤과 교방계 살풀이춤으로 분화되고 전승되는 과정을 고대적 원형성이 쇠퇴하고 근대적 예술성이 확장되는 과정과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현시대에 맞는 도살풀이춤 원형의 복원과 창조적 계승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전통춤이나 살풀이춤이라고 하면 남도시나위의 느리고 애절한 계면조의 반주음악에 여성적 교태미와 한의 슬픈 정서를 표현하는 교방계 살풀이춤이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위엄 있는 기개와 해원상생(解寃相生)의 밝은 멋을 지닌 무속계 살풀이춤(도살풀이춤)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한국 전통춤의 균형적인 계승과 올바른 미학의 정립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춤을 대표하는 살풀이춤의 본질적 원형성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제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제까지 살풀이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춤사위 분석을 위주로 이루어져 옴으로써 현행 살풀이춤의 관계성과 분화 과정에 나타나는 예술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1990년)되어있는 ‘김숙자류 도살풀이춤’을 중심으로 ‘이매방류 살풀이춤’, 그리고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6호(2014년)로 지정되어있는 ‘한영숙류(한성준의) 살풀이춤’을 대상으로 살풀이춤의 역사적 전개와 분화과정을 자세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살풀이춤이 고대의 제의적 무속춤으로부터 통시적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근대이행기의 세속화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현행 살풀이춤들은 여성성과 양식미의 확대라는 예술성을 획득하면서도 고대의 원형적 성격으로부터 점차 멀어진 채 파생되어왔음을 예술철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는 기존의 무용학계에서 ‘살(煞)+풀이’의 합성어로만 해석했던 살풀이춤의 어원과 기원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고, 도살풀이의 어원에 관해 다른 견해의 단초를 제공한 국문학과 국악학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향가 ‘도솔가’의 풍부한 의미(되살림, 다스림, 두레 등)를 담지한 고대의 집단적 종합예술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고는 도살풀이춤 및 일반적인 살풀이춤의 기원에 대하여, ‘살(煞)+풀이’와 ‘도솔+가(풀이)’, 즉 원시 주술과 고대 집단제의의 두 가지 어원을 모두 수용하고자 한다. 살풀이춤은 주술→제의→전통예술→근대예술로 전개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재인청 조직의 세습무부(世襲巫夫)들은 굿판 뿐 아니라 교방의 악사로도 활동하며 살풀이춤을 교방이라는 세속적 공간으로 유입시켰다. 교방계 살풀이춤은 근대이행기를 거치면서 상업적인 권번(券番)을 통해 여성성이 더욱 심화되어 이매방류 교방계 살풀이춤으로 변모되었고, 서구식 극장무대에서 정재의 양식미를 강화하면서 한성준의(한영숙류) 신무용계 살풀이춤으로 변천되었다. 이는 살풀이춤이 탈주술화와 형식적 체계화라는 측면에서 근대적 성격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지만 이는 반대로 살풀이춤이 가지는 본질적 즉흥성과 축제적 공동체성 등 살풀이춤 고유의 원형성이 점차 상실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한편 고대로부터 굿판에 남아있던 무속계 살풀이춤은 근대화 담론 속에서 전근대적 미신으로 간주되어 근대의 시공간으로부터 밀려나면서도 가장 오래도록 굿판의 현장에 남아 무속예술의 원형을 지켜오면서 추어졌다. 본고에서는 도살풀이춤의 원형성이 예술성의 확대와 더불어 쇠퇴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이에 도살풀이춤의 원형성을 회복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언한다. 하나는 시나위춤으로서의 원형의 복원이고, 공동체성이라는 원형성의 계승이다. 즉, 김숙자의 도살풀이춤을 복원하고 전승하는 일은 한국을 대표하는 중앙의 음악으로서 경기시나위 음악과 시나위춤의 원형을 전승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는 무용예술이 단순히 개인의 춤으로 전시적인 볼거리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모순을 주체적으로 해결하고 연대적 집단 치유의 장으로 기능하였던 전통사회의 공동체문화의 원형성을 계승하는 일이 될 것이다.

      • 임선문 이달선 해금경기시나위 비교 분석 연구 : 도살풀이, 도살풀이 모리, 발뻐드래 장단을 중심으로

        김희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선문[林善文, 1912~1980]은 경기도 화성군 태안면 황계리에서 출생했다. 대대로 이어진 국악 집안 출신으로, 무속음악의 명인인 부모의 슬하에서 자란 그 역시 해금 풍류와 삼현, 시나위를 십여 년간을 익힌 해금의 명인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임선문은 조선창극단, 태창극단, 반달국악단에서 악사생활을 했으며 이후 악단생활을 정리하고 경기굿판과 무용반주에 방점을 두고 활동하였다. 이달선[李達善, 1906~197?]은 서울특별시 동대문에서 출생했다. 이달선의 집안은 세습무(世襲巫) 집안으로 경기 무악(巫樂)의 명인인 이덕재(李德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민속음악을 쉽게 접하였다. 해금과 장구를 주 전공으로 했으며 형제들과 함께 송파, 몽촌, 삼척 등을 누비며 전국적으로 많은 음악활동을 하였다. 두 연주자 모두 비슷한 시기에 무속음악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이로부터 음악적 영감을 온전히 산실로 이어받아 활발한 예술활동을 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경기 지역 해금의 명맥을 잇는 두 연주자가 비슷한 시기에 남긴 두 명반은, 해금경기시나위 만의 고유한 특성을 한껏 뽐낸다는 점에서 현대 해금 연주자들의 시나위 비교연구의 참고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고는 임선문의「경기무악」, 이달선의 「경기시나위와 남도시나위」음원을 토대로 도살풀이·도살풀이 모리·발뻐드래 장단을 연구범위로 하였으며, 두 연주자의 해금경기시나위의 구성음 및 음역, 선율 및 단락구성, 시김새 유형을 중점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임선문의 선율구성은‘C본청 계면길’, 이달선의 선율구성은 ‘D본청 계면길’이다. 단락의 구분은 종지음과 종지선율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임선문은 단락의 마무리를 종지음인 c(라)로 하여 종지형을 통일하여 확실한 종지선율을 보여준다. 반면 이달선의 선율구성은 단락별로 종지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임선문의 도살풀이는 총 5단락으로 1·2·4·5 단락에서 1지 G에서 C로 운지를 이동하며 연주되었다. 임선문의 도살풀이 모리는 총 3단락으로 구성되어 1·2·3 단락에서 G-C-G로 운지를 이동하여 연주되었다. 발뻐드래는 총 2단락으로 1단락에서 G, 2단락에서 C로 운지를 이동하여 연주되었다. 이달선의 도살풀이는 총 9단락, 도살풀이모리 총 4단락, 발뻐드래 총 3단락으로 단락이 나뉘며 모두 1지 D로 연주했다. 이를 통해 임선문은 다양한 운지를 사용하지만 이달선은 한 가지의 운지만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연주자가 자주 연주하는 선율을 보면, 임선문의 경우 해금경기시나위 중 도살풀이·도살풀이 모리에서 cʹ-g-cʹ(라-미-라)를, 이달선의 경우 해금경기시나위 중 도살풀이에서 dʹ-a-dʹ(라-미-라)와 a-dʹ-gʹ-dʹ-a(미-라-레-라-미) 와 도살풀이 모리에서 a-dʹ(미-라) 선율을 꼽을 수 있다. 또한 두 연주자의 선율에 나타나는 시김새 중 두 종류의 꺾는음 시김새 유형 솔-파와 도-시 꺾는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임선문이 이달선에 비해 솔-파 꺾는음을 자주 사용하고 이달선이 임선문에 비해 도-시 꺾는음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임선문과 이달선이 같은 장단을 사용하면서도 전혀 다른 선율을 구사하는 방식을 통해, 연주자만의 독창적인 해석이 담긴 해금경기시나위 구조를 구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임선문과 이달선의 연주는 남도시나위로 획일화 되어가고 있는 시나위 연구에서 경기시나위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후대 연주자들의 경기선율 기초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Im Sun-moon [林善文, 1912~1980] was born in Hwanggye-ri, Taean-myeon, Hwaseong-gun, Gyeonggi-do. Born from a famil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he grew up under the auspices of his parents, a master of shamanic music. In addition, Im Sun-moon lived a musical life at the Chosun Changgeuk, Taechang Theater, and Bandal Gugak, and later organized the life of the orchestra and focused on Gyeonggi Goodpan and Dance Accompaniment. Lee Dal-sun [李達善, 1906~197?] was born in Dongdaemun, Seoul. The family of Lee Dal-sun was born as the third son of Lee Duk-jae, a master of Muak in Gyeonggi, as a family member of the Seonmu-mu family. He majored in Haegeum and Janggu, and worked with his brothers in Songpa, Mongchon, and Samcheok to perform many musical activities nationwide. Both performers were born in a house of shamanic music at about the same time, and from this, they took after the talents that passed-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hich after inspired them to engage in artistic activities. The two albums left by the musicians, succeeded in the name of Haegeum in Gyeonggi Province, are highly valued as a reference for comparative studies by modern Haegeum researchers by the fact that they boas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aegeum Gyeonggi Sinawi.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he rhythms of Dosal-puri, Dosal-puri Mori, and Bal-puddre appeared in "Gyeonggi Muak" of Im Sun-moon and "Gyeonggi Sinawi and Namdo Sinawi" of Lee Dal-sun as a research content. Here this paper tried to put a light on the composition, register, melody, paragraph, and types of Sinawi of the Hageum Gyeonggi Sinawi. The melody composition of Im Sun-moon is 'C Boncheong Gyemeongil', and Lee Dal-sun's melody composition is 'D Boncheong Gyemeongil'. Here the paragraphs were divided based on the ending note and the ending melody, While Im Sun-moon showed the clear ending melody by unifying the ending notes as C at every ends of paragraphs. On the other hand, the melody composition of Lee Dal-sun had different end-types for each paragraph. ‘Dosal-puri’ of Im Sun-moon was played in 5 paragraphs, moving the fingering from 1 G to C in 1, 2, 4, and 5 paragraphs. The ‘Dosal-puri Mori’ of Lim Sun-moon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paragraphs, play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agraphs by moving the fingering to G-C-G. The ‘Bal-puddre’ was played by moving the fingering from G to C, as the melody flows from the first paragraph to the second paragraph in a total of 2 paragraphs. While the ‘Dosal-puri’, ‘Dosal-puri Mori’, and ‘Bal-puddre’ of Lee Dal-sun was divided into 9, 4, and 3 paragraphs, respectively. Given this, it seemed that Im Sun Moon used various fingerings, but Lee Dal Sun used only one fingering. From the point of the most abundant melodies in the music, Im Sun-moon preferred c’-g-c’ in the Dosal-puri and Dosal-puri Mori whereas Lee Dal-sun preferred d’-a-d’ and a-d’-g’-d’-a in the Dosal-puri and a-d’in the Dosal-puri Mori. Also the two common types of the down-turning Sinawi, G-F and C-B, were found both in the melodies, played by the two artists. In general point of view, Im Sun-moon preferred the G-F down-turning note and Lee Dal-sun preferred the other. From the research, even the two artists, Im Sun-moon and Lee Dal-sun, adopted the same constitution of rhythms, ‘Dosal-puri’, ‘Dosal-puri Mori’, and ‘Bal-puddre’, they built the distinctive structure of Haegum Gyeonggi Sinawi by utlizing completely different melodies. Their renditions proved their own significance of consolidating the status of Gyeonggi Sinawi in the study of Sinawi, while the majority of it slanted in favour of Namdo Sinawi, and presented an academical foundation to the later generation of Haegeum performers.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시나위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성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주자들의 즉흥적인 가락이나 화려한 기교가 돋보이는 시나위 합주는 각 악기가 제각기 연주하는 듯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음악이다. 오랜 수련을 거친 악사들이 그 지역에 오랜 세월 동안 뿌리내려 온 가락을 자유로이 연주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소리와 남의 소리가 완벽하게 어울리도록 기울여온 노력, 그것이 시나위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시나위는 음악 현장에서 ‘따로 또 같이’ 식의 연주기법으로 서로 교감하면서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을 생명력과 생동감을 구사한다. 이러한 시나위를 감상함으로써 학생들은 배려와 소통을 배우고 ‘나 혼자’가 아닌 ‘우리’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터득할 수 있다. 또한, 매 순간 새롭게 태어나는 시나위 가락을 통하여 창조적 능력과 창의성을 키워나갈 수 있다. 따라서 시나위를 감상하는 것은 학생들의 음악성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음악과 함께 했던 우리 조상들의 슬기로움과 멋을 배우게 하고 나아가 우리 음악의 정체성을 깨닫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즉흥 음악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시나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시나위에 대한 자료도 한계가 있었으며 학습 내용 역시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과서에 수록된 시나위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17종에 나타난 시나위 관련 내용을 역사・사회・문화적 배경, 음악적 특징, 악보 및 기타 자료, 학습활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학습 내용에서 시나위의 어원, 유래, 변화・발전 양상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시나위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내용은 연주 규모 및 연주 목적 등에 따라 즉흥적으로 구성되는 시나위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특정 시나위의 특징을 일반화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장단, 악기 편성, 연주 형태(방식) 등의 내용이 교과서마다 각기 다르게 제시되어 있어 혼란을 초래하였다. 셋째, 시나위의 학습 내용과 거리가 멀거나 오류가 있는 악보를 제시하였다. 또한 음원의 출처가 없고 장단이 기재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다가 한두 장단만을 수록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넷째, 시나위의 학습활동은 악기 음색을 살피거나 한배의 형식을 학습하는 활동이 대부분으로, 내용과 구성에서 다양하지 못했다. 또한, 구체적인 활동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위에서 살펴 본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내용을 첨가하여 시나위 감상 활동을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시나위의 어원, 유래, 변화・발전 양상 등을 살펴봄으로써 역사,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시나위의 음악적 요소 및 개념 학습을 위해 시나위 한 곡을 선정하여 형식 및 장단, 연주 형태(방식), 악기 편성, 구성음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시나위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는 즉흥성을 비중 있게 다루었으며 단락별 종지가락 분석을 통해 즉흥가락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악곡을 만들어가는 원리를 살펴보았다. 셋째, 시나위 감상을 위해 수록된 악보는 먼저 음원의 출처를 밝히고 악곡의 짜임새를 통해 전체적인 구성을 살핀 후 감상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부분을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합주 악보의 경우에는 악기 편성을 알아볼 수 있도록 모든 악기들을 나타내는 총보의 형태로 구성하였고 거문고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음자리표를 사용하여 가락선을 쉽게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시나위의 학습활동으로 이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한배에 따른 형식을 이해하고 한배의 변화를 느끼며 감상하기’와 ‘악기별 음색을 구분하며 감상하기’는 적극적인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화하였으며 악곡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 활동으로 ‘악곡의 짜임새 만들기’를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과서에 나타난 시나위 관련 내용의 문제점과 이를 위한 개선 방안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위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시나위 한곡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나 앞으로 시나위 감상학습과 관련한 논문에서는 다양한 시나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을 토대로 학생들이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시나위 감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감상 지도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철가야금 즉흥시나위〉 연구 : 김영재의 연주를 중심으로

        임재인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Sinawi is instrumental music consisting of impromptu melodies in Yukjabaegi-tori. Iron-Gayageum is a kind of modernized Gayageum, whose string is made of metal material. This instrument has abundant volume and long continuous sound, which is utilized variously like Sinawi pieces. Kim Young Jae is a renowned artist for performance, singing, and dancing overall. He composed diverse pieces such as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Given his musical background and numerous performances, His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is worthy of analysis to find Korean traditional music ess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usical distinct and technique of Kim Young Jae, by analyzing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The subject of study is a recorded piece in Jipdaeseongeum(集大聲音)(The 50th-anniversary album of Kim Young Jae, Track number 4.). The method of study is by analyzing mode and ending notes, melodic progress and technique, beat and rhyth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 piece utilized a rhythmic structure of Sanjo. The whole piece shows the form of Hanbae(accelerando style), as the formation of Jinyangjo – Joongmori – Joongjoongmori – Eotmori - Jajinmori. This composition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Kim Young Jae Haegeum Sanjo. In other words,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showed his folk music regulations. Secondly, the melody of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expresses the characteristic of Iron-Gayageum by application of Yeoeum(duration). The contrast happened when the emphasized tone was utilizing Yeoeum while the other tone was restrained. The technique of c.s.(Using duration) and s.s.(restraint tone) made them happen. Also, The long duration tone transited more than 6 notes by the left-hand technique. The same note was maintained through half or one phrase. Thirdly, the mode was frequently changed. From the interview with Kim Young Jae, the alteration of mode was a greatly significant element in his composition. Through the mode transition, the impromptu melody was enriched. His impromptu indicates several melodies he learned. Gayageum Sanjo of Seong Geum-Yun, 〈Saegarakbyeolgok〉, and Haegeum Sanjo of Ji Younghui are which. The way Kim made impromptu melodies was based on his study of various traditional music. Fourthly, the rhythm of the piece was simple rather than ornamental in whole progress. Whereas, triple rhythm appeared uniquely in two rhythms of Joongmori. In Jajinmori, the eighth note was mixed with four rhythms and three rhythms. Which was also part of his unique rhythm conjugation. By analyzing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the technique using duration tone of Iron-Gayageum, alteration of mode, and impromptu melody by the utilization of various folk music were verified. Those musical features also showed the unique technique of Kim Young Jae. Through this study, I hope 〈Iron-Gayageum Impromptu Sinawi〉 and the genre of Sinawi are more understood and frequently performed. As more artists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folk music,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traditional music would appear. ‘시나위’는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 즉 즉흥적인 가락을 엮어 가는 기악곡이다. ‘철가야금’은 1950년대 산조가야금의 현을 금속성 재료로 만든 개량가야금으로, 풍부한 음량과 여음이 오래 지속된다는 장점이 있어 오늘날에도 시나위를 비롯한 다양한 악곡에 활용되고 있다. 김영재(金泳宰)는 악·가·무를 두루 섭렵한 인물로 철가야금 시나위를 비롯한 다양한 악곡을 창작하였다. 그의 음악적 배경과 수많은 연주경험을 고려하여 볼 때, 김영재가 연주한 〈철가야금 즉흥시나위〉는 즉흥 선율에 내재된 김영재만의 음악어법이 담겨 있어 전통음악 양식 연구에 있어 높은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영재의 철가야금 시나위를 분석함으로써 김영재의 즉흥음악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과 기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김영재 국악 인생 50주년 기념음반 집대성음(集大聲音)의 네 번째 수록곡인 〈철가야금 즉흥시나위〉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악곡의 선법과 종지음, 선율 진행 및 주법, 장단과 리듬 등의 음악 요소를 분석하여 선율의 전개 방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장은 산조의 장단 구조를 사용하였다. 전체 악곡은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자진모리의 한배에 따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김영재류 해금산조의 악장 구성과 유사하며, 김영재 자신의 민속음악 어법이 두드러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선율 전개에 있어서 〈철가야금 즉흥시나위〉는 긴 여음을 활용하여 철가야금이 가진 특징을 표현하였다. 즉, 전체 선율에서 강조하고 싶은 음에 여음을 열고 아닌 음에 여음을 절제해 대비를 주었다. 이러한 대비는 c.s(여음을 막고 연주)와 s.s(원래대로 연주) 기법을 통해 만들어졌다. 또, 긴 여음을 활용해 한 번 음을 뜯고 6개 이상의 음을 왼손으로 만들어내거나, 한 음을 한 장단 혹은 반 장단 이상 유지하는 선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선법은 조(調)의 변화가 활발히 일어났다. 김영재와의 대담을 통해 확인한 바에 의하면 ‘조의 변화’는 김영재가 음악을 작곡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여기는 음악 요소였다. 조의 변화를 통해 즉흥가락은 더욱 풍부해졌다. 또, 그가 구성하는 선율은 성금연의 가야금산조, 〈새가락별곡〉, 지영희류 해금산조 선율 등 그가 사사한 음악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김영재가 즉흥음악 선율을 만드는 양식은 자신이 그동안 다양하게 학습한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리듬 운용방식에 있어 전 장단이 화려한 리듬보다는 단조로운 기본형 리듬을 위주로 선율을 강조하였다. 다만, 중모리 부분에서는 1박을 2분박으로 하는 기본박 외에 셋잇단으로 나누어지는 3분박 리듬의 출현으로 김영재만의 독특한 리듬 형태를 발견하였다. 자진모리장단에서는 제38-39장단에서 마디 진행에 무관하게 8분음표가 4개의 리듬과 3개의 리듬이 혼용된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또한 김영재만의 리듬 운용방식임을 알 수 있다. 〈철가야금 즉흥시나위〉의 분석을 통해 철가야금의 여음을 이용한 주법, 조의 변화, 즉흥성을 갖는 다양한 민속악 선율 활용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김영재의 민속음악 어법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본고의 연구결과를 통해 〈철가야금 즉흥시나위〉에 대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하고, ‘시나위’라는 즉흥 음악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춰지기를 기대한다. 더 많은 연주자의 시나위에 대한 이해도가 넓어지면 민속악의 융성과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 아쟁 시나위 가락의 비교 연구 : 박종선, 이태백의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김영길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에서는 시나위 합주 중 박종선이 연주한 아쟁선율과 그의 제자인 이태백이 연주한 아쟁선율을 분석하여 두 가락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종선의 아쟁 시나위 가락은 선율의 도입, 진행, 종지 부분이 대체적으로 일정하고 순탄하게 연주되었다. 또한 저음보다는 중음과 고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되었다. 단락구성에 있어서는 4장단 - 15장단씩 골고루 장단수를 이루어 1단락씩 기-승-정-결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로보아 시나위 합주에 있어서 아쟁의 선율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태백의 아쟁시나위 가락은 첫 합주부분(제1장단 - 제23장단)에 있어서 박종선의 시나위 가락과 유사하여 박종선의 가락을 토대로 하면서 박자와 리듬에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합주부분(합주II-IV)은 다른 악기와의 조화를 고려해 저음, 중음, 고음의 선율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또한 C본청을 거치는 도입형을 통하여 어느 음(E♭, F, G, B♭, C)으로든지 진행을 편하게 하였다. 셋째, 박종선과 이태백의 아쟁시나위가락을 비교하면 합주I부분에 있어서는 가락의 골격은 같지만 세세한 표현(박자, 꾸밈음, 리듬변화)에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합주II,III,IV부분에서는 도입, 진행, 종지형에서 독특한 형식과 가락변화를 통해 각자 독창적인 시나위 가락을 창출해 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 시나위는 즉흥음악의 합주이지만 스승의 가락에 영향을 받으며 그 가락을 바탕으로 하면서 자신의 표현 영역을 넓혀감을 알 수 있다. I analytically research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of Ajaeng Sinawi played by Park Jong-seon and Lee Tae-baek who learned from Park Jong-se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Ajaeng Sinawi of Park Jong-seol proceeds in a smooth way throughout the introduction and ending of the melody. It is played more in the middle and high range than in the low range. 4-15 jangdan makes a section with each section having one of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which shows that the Ajaeng plays a leading role in the ensemble of Sinawi. 2. Ajaeng Sinawi of Lee Tae-baek is similar to that of Park Jong-seon in the first ensemble part (from the 1st through the 23st Jangdan). He made a rhythmic variation of the melody of Park Jong-seol. The later ensemble part (from II through IV) uses the melody of low, middle, and high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harmony with other instruments. Also, by introducing the central tone, the melody could move to any pitch (E♭, F, G, B♭, C). 3. The melodies of Ajaeng Sinawi played by Park Jong-seon and Lee Tae-baek are the same in the skeleton of melody but different in the detailed expression of beat, ornament, rhythmic change from each other. In the ensemble part, II, III, IV, an original melody is created by a unique form and melodic change in the introduction, procession, and cadence. From these, I would say that though Sinawi is an improvisational music, the player is influenced by the melody of a teacher and a creative melody i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melodies by other instruments based on the existing mel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