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개발 및 효과

        김서영 조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서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택 호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스마트폰 중독아동에게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Ⅰ과 연구Ⅱ로 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연구Ⅰ은 스마트폰 중독 아동을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요인과 만족지연이론 및 관련 변인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개발 절차에 따라 목표를 수립하고, 이에 적합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예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예비연구 내용과 결과를 평가 및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연구Ⅱ에서는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제공하여 만족지연능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집단은 G광역시 지역아동센터에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에 해당하는 고위험과 잠재적 위험 점수에 상응하는 아동으로 실험집단 15명, 대기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주 2회 6주 동안 실험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지연능력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만족지연능력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둘째, 장기적 만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장기적 만족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즉각적 만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있었다. 역 채점된 즉각적 만족점수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실험집단이 대기 집단보다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소 중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내성에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를 요약하면 개발된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제공하였을 때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 목표로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중독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만족지연능력 증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Kim seo young Advisor : Prof. Kim Tack ho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of children who are addicted to smartphone, and also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achieve these goal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Research I and Research II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Research I was focused on developing a group art therapy based on an analysis of factors causing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ory and other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The program established the goals depending on development procedures and was composed of activities suitable for the goals. Its preliminary program was conducted for seven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The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program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amendment with the advices of a professional group which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Research II focused on the program’s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its effectiveness on smartphone addiction by providing the program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The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with 15 children who had a smartphone and who scored high in high risk and potential risk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 community child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total duration of the program was twelve weeks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ajor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in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sc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in long-term gratification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long-term gratification sc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significant result in spontaneous gratification result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spontaneous gratification score, the score reversed graded. La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sult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the sub-element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ifficulties in daily life, virtual world aspiration, withdrawal symptoms and toleranc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From these result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wh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it showed effectivenes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bring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reduc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f it can be consistently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Keywords: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delay of gratification, group art therapy

      • 남녀에 따라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김주헌 광운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조절양식이 남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중학생이 스마트폰 중독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유의미한 응답을 보인 남자 중학생 212부와 여자 중학생 205부를 SPSS 18.0으로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또래애착 척도, 스마트폰 중독 자가 진단 척도, 정서조절양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여자 중학생은 남자 중학생보다 또래애착과 또래애착의 하위변인인 신뢰감, 소외감 그리고 정서조절양식의 하위변인인 지지추구적 양식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중학생과 여자 중학생의 또래애착, 정서조절양식,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은 또래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정서조절양식의 하위변인 중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을 잘 활용한다고 나타났다. 여자 중학생은 또래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정서조절양식의 하위변인 중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을 잘 활용하고 스마트폰 적절하게 사용한다고 하였다. 남녀에 따라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자 중학생의 경우 또래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신뢰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소외감을 느끼지 않을수록 지지추구적 양식을 활용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적절하게 사용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회피-분산적 양식을 활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심리적인 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모형을 남녀의 따른 차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를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집단을 운영하거나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학생의 건전한 또래문화 형성을 위해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과 예방 및 시급한 대책 마련에 대한 주의와 관심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prov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concerning peer attach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yl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confirmed to find ways to reduce smart phone addi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among these target subjects 212 boys and 205 girls showed a significant response, and these respons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Measurement tools include peer attachment scale,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scal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Middle school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in the areas of peer attachment, trust, alienation, support-seeking style, and smart phone addiction compared to middle school boys. When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awears of peer attatch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smart phone addictioin, boys made better use of active style and support-seeking style when peer attachment was stable. Also girls used their phones appropriately when peer attachment was stable, and active style and support-seeking style was well applied. As a result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the peer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middle school showed no significant result while, middle school girls used their smart phone appropriately when peer attachment was stable, trust was high, communicated more smoothly, alienated feeling was reduced, and the avoidance-distraction style was used. If communication was not smooth, avoidance-distraction style was used, and this leads to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mart phone addiction was discovered.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regarding perceived peer attachment, smart 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From these results, a different approach is needed when conducting a research about smart phone addic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pulls our attention toward the appropriate use of smart phone,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construction of a healthy peer culture.

      •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불안과 경험적 회피의 이중매개 효과

        김빛누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dual mediation effect of anxie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279 high school student(137 boys, 142 girls) participated in completing the surveys, which used Scale of Academic Stress(SAS), Beck Anxiety Inventory(BAI),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S-scale)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gender difference of academic stress, anxiety, experiental avoidance, smartphone addic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xiety, experiental avoidance,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 path. In terms of boys,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girls,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limita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불안과 경험적 회피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교 1학년생 279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업스트레스척도(SAS), Beck 불안척도(BAI), 수용행동질문지(AAQ-16), 청소년 자가진단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스트레스, 불안, 경험적회피, 스마트폰중독에서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학생 모형과 여학생 모형에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경험적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학업스트레스, 불안, 경험적 회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남학생 모형에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를 불안과 경험적 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 불안, 경험적 회피에 이르는 간접효과와 함께, 불안, 회피,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경로에서도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임옥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신건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320명을 임의 표집 하여, 2013년 11월 19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으며 배부한 총 32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년)이 개발한 표준화된 성인스마트폰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신건강 측정도구는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 Revised; SCL-90-R)’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Ducan test를 이용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신건강에 관한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상태는 학년이 낮을수록, 경제상태가 높은 경우, 전공만족도에 있어서 불만족인 경우,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스스로의 통제여부에 따라 통제하지 않는 경우가 정신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상태는 고위험사용자가 잠재적 위험사용자와 일반사용자보다 정신건강 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민의 건강을 책임질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정기적인 자가진단 점검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smart phones and the state of mental health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smart phones. Subjects for this study are 320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four nursing college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who were randomly chosen from November 19 to 22, 2013, and all their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used for statistic analysis. As a research scale, a standardized smart phone self-diagnostic scale for adults,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11, was used, and as a mental health measurement scal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PSS/WIN 18.0; actual number, percentage rat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ere used ; Ducan test was used for post-verific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for verification. The current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wer their grad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re and the higher the state of their finances is, the lower their state of mental health is when they fail to control themselves in using smart phones; statistically, high-risk users have more mental health problems than users of potential risks and ordinary users. So it is suggested that a routine self diagnostic check is needed to prevent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responsibility for people's health in the future from being addicted to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 스마트폰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ADHD성향의 매개효과

        문종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ADHD성향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 인천, 대구지역 5개 초등학교의 4-6학년 학생 83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수준, ADHD성향,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18.0과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측정변수별 적합성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각 잠재변수 간 종합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모형의 경로분석을 통해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ADHD성향, 또는 학업성취도와 ADHD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으로 비교분석하여 ADHD성향의 매개효과 범위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ADHD성향이 갖는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중독과 ADHD성향이 학교생활적응 또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분해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중독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중독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ADHD성향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중독은 학생들의 과업인 학업성취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폰중독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ADHD성향을 유발시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ADHD성향을 유발시켜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를 보여줌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교육과 스마트폰중독의 심리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their ADHD tendency had a mediating effects on these influences. A total of 834 students from the 4-6th grade of five elementary schools from Seoul, Incheon, and Daegu educational regions were surveyed about their smartphone addiction, ADHD tendenc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MOS 18.0 and SPSS 17.0 programs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it level of measurement variables. Seco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ynthetic relationships among latent variables. Third, path analysis of research model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and ADHD tendency, an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HD tendency. Fourth,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range of mediating effects of ADHD tendency. Fifth,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of ADHD tendency. Finally, total effects were decompo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DHD tendency on school adjustment or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could give negative impacts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smartphone addiction could negatively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DHD tendency. Third, smartphone addiction could give negative impacts on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student major task. Fourth, the smartphone addiction could negatively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DHD tendency. This study shows how smartphone addiction negative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DHD tendency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of proper smartphone use and counseling programs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배정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is increasing to occupy the proportion of smart-phones in the mobile-phone market now. So, it is also increasing to affect the negative and affirmative use of the smart-phone on the daily life. And our life using smart-phone have brought on many changes. Such changes gave us a lot of convenience. However, it also gave many social problems to us. Specially, smart-phone addiction is induced by the imprudent use of smart-phone. This addiction has become serious problems on adolescents. Adolescents are an immature state of cognitive or emotional, and they are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internal psychologic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smart-phone addiction has negative affects on adolescents' emotion. But we don't have perfect institutional policies to protect the adolescents against the negative a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tudy on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adolescents is also not thorough going enough. Therefore, I examined that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ffected the self-esteem. As a result, I want to remind the seriousness of the negative a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adolescents. And, I try to contribute provision of institutional policies. As shown from the result of the this study, high level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ies that can eliminate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hese policies may be useful in the formation of a proper self-esteem that effects significantly 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adolescents. Therefore, national policies of smart-phone addiction must be provided as soon as possible. And we have to preserve in our efforts in order to provide universal and effective policies that do not use formality but can use substantially at home. key word : smart-phone, smart-phone addiction, self-esteem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부작용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악영향의 심각성을 살펴보고자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낮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두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의 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은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은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4개 중학교의 학생 430명을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연구 분석에는 39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배경변인별 차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도시지역의 경우 농촌지역보다 금단의 수준이 높았고, 성별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으며, 학년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고학년이 금단의 수준이 높았으며, 성적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이 가장 높고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가장 낮았으며, 가족구성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결손가족의 학생들이 높은 금단 수준을 보였으며, 경제수준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경제수준이 어려운 가정의 학생들이 높은 내성과 금단 수준을 보였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도시지역의 청소년, 여학생, 고학년의 청소년, 하위권 성적의 청소년, 결손가족의 청소년, 경제수준이 어려운 가정의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더 심각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거주지역, 성별, 가족구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과 성적,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고학년이 되면 낮아졌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성적이 낮아질수록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였으며, 가정의 경제수준이 어려울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역시 낮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의 각 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과 자아존중감의 요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를 갖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 중 금단과 내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생활장애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보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 자아존중감은 부의상관관계를 가지며,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박영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으로 판명된 초등학생 4학년들을 대상으로 자기통제 훈련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감소와 자기통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소와 자기 통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경상남도 G시의 S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으로 판명된 학생 9명을 실험집단으로, 실험과정은 사전검사와 각 회기당 1시간씩 6주 동안 총11회기로 구성된 자기통제 훈련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와 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황재인, 신재한의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에서 자기점검의 단계를 재구성하고, 이몽숙의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 초등학생을 위한 자기통제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서의 내용과 활동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으며, 김현정의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동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여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 영역 중 금단 요인을 제외하고 일상생활장애 수준 영역, 내성, 가상세계 지향성 영역에서 자기통제 훈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에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자기통제 훈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에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스마트폰으로 인한 일상생활장애와 내성, 그리고 가상세계 지향성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력 영역 중 장기적인 만족추구 수준 영역과 단기적인 만족추구 영역 모두에서 자기통제훈련 전에 비해 실시 후에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자기통제력 수준 역시 자기통제 훈련 전에 비해 실시 후에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장기적인 만족추구 수준은 높이는 반면 즉각적인 만족추구 수준은 감소시킴으로써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자기통제 훈련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고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소와 자기통제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은 2015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is research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self-control training on decrease in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control improvement through self-control training, by targeting the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were confirmed as smart-phone addiction high-risk users group and latent-risk users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control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decrease and self-control improvement, the researcher conducted post-inspection and delay examination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inspection and self-control training promotion program composed of total 11 sessions during 6 weeks, one hour per session, as the research process, targeting 9 stude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confirmed as smart-phone addiction high-risk users group and latent-risk users group, among the 4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in G-si, Gyeongsangnam-d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raining, the researcher utilized a tool by reconstituting the stage of self checking in Hwang, jae-in and Shin, jae-han's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education program, utilized by reconstituting the content and activity in Lee, mong-sook's self-control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atent danger elementary students and utilized Kim, hyun-jeong's content and activity of internet addiction program by reconstituting it, also, in order to verify the established problems, the researcher analyzed b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program, and analyzed by conducting the matching sample t verification, as the analysis techniqu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by verifying the effect of self-control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decrease, daily life difficulty level area, tolerance, and virtual world directivity area among smart-phone addiction area, except withdrawal factor, showed decrease after conducting self-control training than before, also, this chang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level decreased after conducting self-control training than before, which change appeared to be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control training is effe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변인의 영향 : 주의사용자군·위험사용자군을 중심으로

        변명선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 시 과다 사용자군으로 판정된 1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중독 실태를 알아보고 개인․가족․학교 변인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찾기 위해 실시되었다. 개인변인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가족변인으로는 가족 건강성을, 학교변인으로는 학교생활적응을 하위 변인으로 하였고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t검증과 F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스마트폰 주의사용자군․위험사용자군 아동들의 스마트폰 처음 사용 시기는 초등학교 4학년이 가장 많았고 사용 시간은 2시간 이상, 사용 이유로는 최근 유행이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분야는 게임이었다. 둘째, 학교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았다. 스마트폰을 학교생활 도움과 각종 정보 검색을 위해서 사용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스마트폰을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자기통제력이 높았다. 여학생과 경제상태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학교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이 높았다. 정상가정 학생과 학교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짧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높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인은 개인 변인의 하위 요인인 자기 통제력이었고, 그 다음이 가족 변인인 가족 건강성의 하위 요인인 문제 해결력, 학교 변인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 수업과 규칙 준수의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은 개인 변인의 하위변인인 자기통제력이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폰 중독 아동들을 지도함에 있어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 문제해결력을 향상 시키는 프로그램, 학교 수업이나 규칙 준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면 좋을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양혜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요인(충동성, 자기통제력, 우울, 자아존중감, 학업스트레스)과 환경적 요인(부모애착, 또래애착), 그리고 매체 특성적 요인(스마트폰 이용 동기)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매체 특성적 요인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매체 특성적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 중에서 충동성, 자기통제력, 우울, 학업스트레스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즉, 충동성, 우울,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에 중독될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환경적 요인 중에서 부모애착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애착이 잘 형성될수록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이 낮았다. 그러나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 동기 중에서 오락 및 여가와 과시 및 유행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관계 유지와 즉시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학업스트레스가 19.7%의 설명력을 보이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오락 및 여가 동기가 10.5%, 자기통제력은 6.1%, 부모애착은 3.5%, 유행 및 과시 동기는 1%, 충동성은 0.8%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여섯 가지 변인은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을 41.6%만큼 설명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예방하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충동성을 조절하고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울한 정서상태와 학업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이러한 부정적 정서를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해소하려는 회피적인 방법을 적응적인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 개인뿐만 아니라 부모와 연계한 교육을 통해 부모와 자녀의 애착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여가 시간에 오락 수단으로써 스마트폰을 선택하기보다 좀 더 유익한 놀이나 취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체 방안을 제시하여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스마트폰 중독자와 인터넷 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 방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문의용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coping with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Smartphone addict and Internet addict. Mun Eui-yong Advisor : Prof. Kim Tack-ho, Ph. D.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is study, it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and how to deal with stress of smartphone addict of Internet addict. Were set as follows: the issue of research for the purposes of these studies. First,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smartphone addiction group is measur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wishful thinking and social support the pursuit of than Internet addiction group in how to deal with stress. Second,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smartphone addiction group is measured higher scores amo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among 'sociable-friendliness relations', 'exhibitive-narcissistic’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in Gwang-ju, Jeollanamdo. Were analyzed final 495 portion excluding the portion 33 that any response or does not describe the criteria more than one survey 528 portion to conduct a survey of the total of 600 parts, was recovered. It is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coping with stress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the score of wishful thinking is measu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Internet addiction group, smartphone addiction group is possible to use more and more ways reluctant desired overcome the problem by considering the ideal situation or positive conditions and stress disappeared at a distance from stressful situations as compared to Internet addiction group. Second, a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smartphone addiction compared to Internet addiction group - 'sociable-friendliness relations', 'exhibitive-narcissistic’, 'sympathic-acceptable relations' - show of receptive factors score is measured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martphone addiction group is sympathetic and receptive more tha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a friendly sociable, also exhibitive and narcissistic a conspicuous it is seen to have a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sposition. Finally, we discuss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초 록 스마트폰 중독자와 인터넷 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 방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문의용 지도교수 : 김택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자와 스마트폰 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 방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가설1-1. 스마트폰 중독군은 인터넷 중독군보다 사회적지지추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가설1-2. 스마트폰 중독군은 인터넷 중독군보다 소망적 사고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연구문제 2.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대인관계성향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가설2-1. 스마트폰 중독군은 인터넷 중독군보다 사교-우호적 대인관계 성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2-2. 스마트폰 중독군은 인터넷 중독군보다 과시-자기도취적 대인관계 성향이 강할 것이다. (첫째,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보다 사회적지지 추구와 소망적 사고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측정될 것이다. 둘째,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대인관계성향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보다 대인관계성향 중 사교-우호, 과시-자기도취 영역에서 점수가 높게 측정될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528부 중에서 하나의 척도 이상을 기재하지 않거나, 무작위 응답을 한 33부를 제외한 495부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간의 스트레스대처 방식 차이 비교에서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보다 소망적사고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에 비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거리를 두고 스트레스가 사라진 상황이나 긍정적 혹은 이상적인 상황을 생각함으로 문제를 이겨내려는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인터넷 중독군과 스마트폰 중독군간 대인관계 성향 차이 비교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에 비해 사교-우호적, 과시-자기도취적, 동정-수용적 요인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군이 인터넷 중독군에 비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동정적이고 수용적이며, 사교적이고 우호적, 그리고 과시적이며 자기도취적 대인관계성향이 강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