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과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마창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Since the IMF foreign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long-term persistence of youth unemployment and the slowdown in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rate has been continuing. Upon this situation, the number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ir roles and proportion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s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ir numbers and significance. the majority of entrepreneurial start-ups have been closed within five years. Therefore,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should be able to create self-sustaining and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under the poor management environment. Many research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have been conducted for SM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for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Specifically, it was surveyed to investigate whether entrepreneurship, managerial competence and learning orientation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462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cluding 350 copies of direct surveys and 112 copies of online surveys. A total of 418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cluding 306 direct copies and 112 online copies. Of the 418 copies, 376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42 untrustworthy respons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ree research models were constru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Research model 1 is to examine (influenc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managerial competence, and learning orientation to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model 2 is to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between entrepreneurship, managerial competence, learning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research model 3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earning orient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s of this study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study by means of hypothesis test. The test result of each research model is as follows. In research model 1, the manageri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learning orientation. However, entrepreneurship affects learning orientation but does no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In research model 2, the managerial competence and learning orient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but entrepreneurship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In research model 3, learning orient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entrepreneurship and managerial competence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trepreneurship, managerial competence, and learning orientation.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With the result of the test of mean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s, it was found that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of 50 or above ages, working in manufacturing, 20 or mor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hiring 4 or more employees, with monthly average revenue of 70 million won or more were positive for business performan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e fact that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trepreneurship, managerial competence, and learning orientation affect the independent variable-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This kind of study was unique and the first research for the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in that it attempt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Hopefully, the result suggests research models of this study will help the government in establishing the policies supporting the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Additionally, the basic data which was produced by this study could be used by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related to the small & micro business owners. 1997년 IMF 외환 위기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청년 취업난, 국가 경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소상공인 계층이 점차 확대되면서 역할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소상공인이 경제적·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는 현실에도 소상공인 창업기업 대다수가 5년 내에 문을 닫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소상공인 스스로 자생력을 갖추고 열악한 경영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경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지금까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경영자들이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업가정신과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를 규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직접 조사 350부, 온라인 조사 112부 등 총 462부를 배포하였으며, 배포한 설문지 중 직접 조사 306부, 온라인 조사 112부 등 총 418부가 회수되었다. 회수한 설문지 418부 중 불성실한 응답 42부를 제외한 376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과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모형1, 기업가정신,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모형2, 기업가정신, 경영자역량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학습지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모형3 등 세 가지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연구모형별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1에서 경영자역랑은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와 학습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가정신은 학습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소상공인 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습지향성은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연구모형2에서 경영자역량과 학습지향성은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가정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모형3에서 기업가정신과 경영자역량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학습지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영향요인 간 상관분석에서 종속변수인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와 독립변수인 기업가정신,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은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영향요인 간 평균검정 결과에서 30~50대 연령대, 제조업·외식업·서비스업, 10년~20년 업력, 5인 이상 직원수, 5천만 원 이상 소상공인이 경영성과에 긍정적 성향이 높은 것은 향후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향상에 주요 대상 계층임을 알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 지원성과를 극대화하려면 대상 계층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상공인 경영자를 대상으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업가정신, 경영자역량, 학습지향성 등 세 가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간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와 학습지향성을 매개변수로 한 연구는 처음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소상공인 지원정책 수립에 유효한 연구모델로 제시될 수 있으며, 소상공인 관련 연구기관과 연구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될 수 있다.

      •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남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소상공인 경영성과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 자원특성, 시장 환경특성 및 정부의 지원서비스가 경영전략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심리적특성 중 성취욕구는 차별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위험감수성향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성취욕구와 행동통제위치 및 위험감수성향은 모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상공인의 관리적 역량과 기술기능 역량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 및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영자경험은 차별화전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상공인의 창업 투자자금을 제외한 모든 자원특성 변수는 차별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충원능력과 기술확보능력 및 입지우월성은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의 입지우월성을 제외한 모든 자원특성변수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상공인의 시장성장성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시장경쟁정도는 차별화전략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며, 시장불확실성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장경쟁정도는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시장성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시장불확실성은 경영성과의 주요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소상공인에 대한 교육지원서비스와 컨설팅지원서비스 및 자금지원서비스는 차별화전략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저가격전략에 대해서는 컨설팅지원서비스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 정부지원서비스 중에서 자금지원서비스의 중요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 및 컨설팅지원서비스에 비하여 지금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섯째, 소상공인의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은 모두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상공인이 자원배분과 관리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함으로써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섯째, 소상공인의 차별화전략은 위험감수성향을 제외한 모든 변수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와 함께 위험감수성향, 기술기능역량, 아이템차별성 및 시장성장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저가격전략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위험감수성향과 자금규모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제한적인 수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상공인이 차별화전략을 강화할 경우에는 기존의 성과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또한 차별화전략을 통하여 경영성과의 추가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의 결정요인을 제시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또한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지원의 현실적인 필요성과 함께 소상공인의 역량 및 경쟁력의 강화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방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이 지역경제 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전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조정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Small business owners serve an important function as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additional valu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economy. However, going through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banks that are concerned about insolvency have been reluctant in giving loans to the small business owners, which resulted in causing direct and indirect damage to them due to lack of liquidity. As such,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enacted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ct in 2000, followed by founding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for each of 16 metropolitan council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funding the small business owners to help them overcome economic cri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ole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nd to investigate the ripple effect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on the economy. I hop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polic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objective data,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5. 22 cities and districts of Jeonnam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including East, Southwest, vicinity of Gwangju, and South Central. The time frame includes three years where there has been a rapid change in guarantee supply. Next, the trend of guarantee supply and economic effects are compa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identical amount of guarantee depending on regions and industries. Furthermore, I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 impact and trends based o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redit guarantee support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nd other credit guarantee servic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new guarantee supplies by Jeonnam Credit Guarantee Service are related to relatively greater employment growth as they are focused on food and hospitality indus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w guarantee amount, the Eastern region has the highest increase rate in credit guarantee supply for small business owners among the four regions of Jeonnam. Third, the economic effects are not solely dependent on the increase rate of guarantee supply but they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Fourth, even within Jeonnam, different regions have different economic effects, and within the same region, economic effects differ by area.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credit guarantee supply provided by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has tremendous impact on local economy. However, the economic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ustries. Within the same metropolitan council,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leads to different types of ripple effects. That is, considering that 16 metropolitan councils have different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oles of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should be different as well. Also, as the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s are promoting the local econom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ensure and sustainable and stable fund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each local credit guarantee service to identify the econo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onsible regions as well as the interconnection with other regions. As such, proper credit guarantee plans should be prepared and implemented in a way to positively impact local economy. 우리나라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지역 경제의 근간을 이루며 일자리 제공과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와 2008년의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국내 은행들이 경기침체에 따른 부실화 등의 우려로 대출을 기피하자, 소상공인들은 유동성 부족으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2000년 지역신용보증재단법을 제정하고, 이에따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역신용보증재단을 설립하였으며,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하여 적극적인 소상공인 자금 지원으로 경제 위기를 극복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을 살펴본 후 전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 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됨으로써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남 22개 시·군을 4개 권역인 동부권, 서남권, 광주근교권, 중남부권으로 분류하고, 보증공급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3개년의 시점을 선정하였다. 이후 보증공급 추이와 경제유발효과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였을 때 권역별·업종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전남신용보증재단과 타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지원 증감률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의 추이와 특이점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전남신용보증재단의 신규 보증공급은 도매 및 소매업과음식 및 숙박업에 집중되어 있어 비교적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보증금액을 분석한 결과 전남 4개 권역 중 동부권에서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보증공급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증공급 증감률에 따라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경제적 유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지역의 어떤 업종에 자금을 투입하느냐에 따라 각각의 유발효과가 현저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남권 내에서도 권역에 따라 업종별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고, 해당권역에서도 지역 내와 지역 외에서 경제유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상공인에 대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신용보증공급은 지역경제에 많은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역별·업종별로 상이하며, 같은 광역자치단체 내에서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산업별·경제적 특성에 따라 파급효과가 다르다는 것이다. 즉,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산업과 경제적 특성이 차이가 있는 만큼 이를 지원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역할도 상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금융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상호 협력하여 안정적인 재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지역신용보증재단은 관할지역의 경제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고, 타 지역과의 유발효과도 고려하여 해당 지역경제 발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신용보증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전지역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이 소상공인의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은영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이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가정신과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이 소상공인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의 수준이 높을수록 매출액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추가분석에서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종이 다른 업종에 비해 매출액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과 소상공인의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에 사회적 자본이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에서 업종별 재무적 성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서비스업종이 다른 업종에 비해 매출액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의 성공을 위해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기존 소상공인 교육지원 정책은 소상공인에 전문적 지식교육 프로그램에 치중되어 있으며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교육은 미비하다. 향후에는 소상공인진흥원 등에서 소상공인의 성공을 위해서 기업가정신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소상공인의 자기결정성이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 서울시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

        박세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본연의 심리욕구를 다룬 대표적 이론인 자기결정성이론을 토대로, 소상공인의 자기결정성에 대한 재창업의지와의 관계와 학습지향성 및 혁신역량에 따른 매개효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들의 재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인간의 내재적 동기인 자기결정성 이론의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성, 지각된 관계성과 학습지향성과 혁신역량을 통해 재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표본선정을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한 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자율성은 학습지향성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능성은 학습지향성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관계성은 학습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지향성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지향성과 혁신역량은 재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상공인의 자기결정성과 재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본 연구 모델을 통해서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에 대해 좀 더 풍부한 예측 설명을 제시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를 활용하여 창업교육, 컨설팅, 멘토링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창업 성공률과 생존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dealing with human beings’ natural psychological need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self-determination and re-start up inten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y through empirical research.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self-determination, that is,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 and also using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y considered to influenc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re-start up intention.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research model, data was collected, and for selection of samples,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having the experience of visiting Korean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located in Seoul.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perceived autonom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rientation or innovation capability. Second, perceived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rientation or innovation capability. Third, while perceived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rientation,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Fourth, learning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Fifth,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tart up intention, and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self-determination and re-start up intent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a theoretical ground for predicting and explaining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and pre-entrepreneurs’ start up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model.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stitutions provi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sulting, or mentoring service raise a foundation success rate and viability. Key Words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learning orientation, innovation capability, re-start up inten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컨설팅 조절효과 중심으로 

        천기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 저성장기조의 경제상황이 지속되는 상황과 대기업 프랜차이즈의 골목상권 침투,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 시장의 성장으로 국내 소상공인의 경영 상황은 쉽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소상공인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그 창업과정에서 업종 및 아이템 선정, 창업자금, 창업준비기간 등의 요인에 대하여 컨설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경험이 있는 200여개 전국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컨설팅이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컨설팅이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성과에 컨설팅의 조절효과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상공인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준비수준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를 창업성과로 묶어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컨설팅을 조절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와 문헌적 고찰,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창업경험이 있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지역은 수도권, 충청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응답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상공인 창업성과와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소상공인의 심리적 특성, 업종 및 아이템 선정, 창업자금, 창업준비기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준비기간을 제외한 3개 요인 모두 창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컨설팅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변수로써 창업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업종 및 아이템선정, 창업자금과 창업성과 사이에서 유사조절변수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결과를 선행연구들 관점에서 비교 및 분석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기존의 소상공인의 창업성과를 컨설팅의 유무에 따른 연구모형으로 확충하고 기존 소상공인의 일반적 배경은 제외하고 심리적 특성, 창업준비수준(업종 및 아이템 선정, 창업자금, 창업준비기간)이 컨설팅이라는 조절변수로서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통해 소상공인들에게 필요한 컨설팅에 대한 정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소상공인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 연구 : 대전광역시의 의류업 사례중심으로

        지삼현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많은 경제활동 주체들이 있지만 특별히 소상공인의 경제에 차지하고 있는 범위와 역할은 크게 여겨져 왔다. 따라서 소상공인들이 영위하는 개인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분석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논문은 객관적인 자료연구를 근거로 한 성공사례들과 새로운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 연구를 통하여 대전광역시 의류 소상공인의 성공창업을 유도 하기위한 것이며, 따라서 기 의류 소상공인들과 예비 창업자들에게 성공을 이끌어내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성공적인 창업사례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통한 성공요인들을 표본 조사 분석 하였으며, 아울러 대전광역시 5개 구별 동구, 서구, 중구, 유성구, 대덕구로 구분하여 기존의 의류 소상공인의 실태를 설문지 및 질의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성공창업 사례와 기존의 의류 소상공인들의 표본 조사 분석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 통계에 의한 통계 자료를 만들었고, 이를 토대로 소상공인 창업 성공률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지역 경제 및 개인의 의류 소상공인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모델링이 될 것이다. 아울러 설문지 표본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구별로 분포되어 있는 의류 소상공인 군별로 설문조사를 SPSS 12.0 K를 활용한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연구 자료를 만들었다. 이러한 설문 및 질의에 의한 모델링 수립은 의류 소상공인 창업 및 지역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가 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so many economic action but especially, it regards the sphere of activity and parts in business field whom small business. thus it research and analyze from small business in personal and regional economy which in various method. Thus, This study analyzes based on objective research data through successful case and study for new entrepreneurial model which leads to success the commencement of an apparel small business. The dissertation which it focus will leads to success according to established or preliminary whom working with small business.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success entrepreneurial effect, it analyze sample survey based on objective research data which success entrepreneurial, and also analyzed 5 district in Deajeon City such as classified Dong Gu, Seo Gu, Jung Gu, Yuseong Gu, Daedeok Gu through questionnaire and inquiry of established whom working apparel small business Field used. The dissertation made by based on the samples survey analysis about success entrepreneurial and established whom working apparel small business Field and also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will lead to superb modeling for increase success rate which regional economy and personal success entrepreneurial of apparel small business. This study analyzes by SPSS for windows 12.0 K Version is used for success entrepreneurial data analysis which apparel small business at 5 district in Deajeon City. The dissertation by questionnaire and inquir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modeling entrepreneurial of apparel small business and regional economy.

      • 소상공인의 창업지원이 일자리창출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덕영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start-up support on job cre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used data from 1,375 companies that received start-up funds, start-up education, start-up consulting and post-management from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between 2016 and 2019. Independent variables used gender, age, industry, area, total assets, deposit, rights and rent.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the number of jobs, sales amount, net income amount and return on investment. First of all, the difference between job cre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brought by start-up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 was analyz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start-up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jobs increased 29.58 percent from 1.42 before start-up support to 1.84 after start-up support, indicating that start-up support contributes to job creation. Second, the sales amount increased 2.57 percent from KRW 18,671,000 before start-up support to KRW 19,150,000 after start-up support, indicating that start-up support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sales amount. Third, the net income amount after start-up support was KRW 3,941,000, which is believed to be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net income amount of small business owners. Fourth, the return on investment after start-up support is 93.71%. It was measured that start-up support contributes to the net income amount, including the start-up's owner labor costs, by investing in total assets that are start-up costs. Next,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start-up support on job cre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regressio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le founder, restaurant industry, the higher total assets and rent, the more positive the job cre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male founder, the higher the founder's age, restaurant industry, the larger the total assets, and the higher the rent, the more positive the sales amount effect. Except for the age of the founder, it said that male founder, restaurant industry, the size of total assets and the size of rent are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amount as well as job creation. The higher the age of the founder, the sales amount are the more positive but the less careful the job creation can be seen as evidence of efforts to increase produc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f labor costs. Second, it was found that male founders, locations of business in eastern Seoul, the higher total assets, and the higher 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net income amount. also, It was also found that male founders, locations of business in eastern Seoul, and the higher the r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turn on investment, which is business performance. Variables that positively affect net income amount and return on investment are male founders, locations of businesses in eastern Seoul, and the size of rents. The size of the total assets contributes to increased profits, but it cannot be judged that large assets in small business own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urn on investment as their turnover rate slows relatively. Overall, it was found that gender, total assets, and rent, the factors of small business owner's start-up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jobs, sales amount, net income amount and return on investment, respectively. In orde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re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first, the policy of intensive business support services should be expand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female entrepreneurs. Second, comprehensive support such as funding and consulting should be expanded so that small business owners' businesses can continue to grow. Third, the scope and target of small business owners who intend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such as commercial rights analysis services, preparation of business plans, and analysis of business feasibility, should be expanded in depth to promote education on enhancing the capacity of start-ups and provide sufficient consulting to ensure that they are ready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before starting their own busine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의 창업지원이 일자리창출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 사이 서울신용보증재단의 창업자금, 창업교육, 창업컨설팅, 사후관리의 창업지원을 받은 사업자 1,375개 업체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업종, 지역, 총자산, 보증금, 권리금, 임차료이며, 종속변수는 일자리 수, 매출액, 순이익, 투자수익률이다. 먼저, 소상공인의 창업지원이 가져오는 일자리창출과 경영성과에 대해 창업지원 전과 창업지원 후에 차별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차이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수는 창업지원 전 1.42명에서 창업지원 후 1.84명으로 29.58% 증가하여 창업지원이 일자리창출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매출액은 창업지원 전 18,671천원에서 창업지원 후 19,150천원으로 2.57% 증가하여 창업지원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하고 있음을 계수로 밝혔다. 셋째, 창업지원 후의 순이익은 3,941천원으로 나타나 창업지원이 소상공인 창업자의 순이익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창업지원 후 투자수익률은 93.71%이다. 창업지원이 소상공인의 창업소요자금인 총자산을 투자하여 창업자 자신의 인건비를 포함한 순이익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소상공인의 창업지원이 일자리창출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창업자, 음식점 업종, 총자산이 클수록, 임차료가 높을수록 일자리창출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남성 창업자, 창업자의 높은 연령, 음식점 업종, 총자산이 클수록, 임차료가 높을수록 매출액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창업자의 연령을 제외하고 남성 창업자, 음식점 업종, 총자산의 규모, 임차료의 규모는 일자리창출 뿐만 아니라 매출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밝혔다. 창업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매출액에는 긍정적이나 일자리창출에 유의하지 않음은 인건비 부담을 고려하여 생산성 증대에 노력한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남성 창업자, 서울동부 지역인 사업장 소재지, 총자산이 높을수록, 임차료가 높을수록 순이익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남성 창업자, 서울동부 지역인 사업장 소재지, 임차료가 높을수록 경영성과인 투자수익률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순이익과 투자수익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변수는 남성 창업자, 서울동부 지역인 사업장 소재지, 임차료 규모이다. 총자산의 규모는 이익 증대에 기여하나 소상공인이 영위하는 업종에서 자산규모가 크면 상대적으로 자금회전률이 둔화되므로 투자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없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소상공인의 창업지원 요인인 성별, 총자산, 임차료가 각각 일자리 수, 매출액, 순이익, 투자수익률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자리창출과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첫째, 여성창업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집중적 경영지원 서비스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소상공인의 비즈니스가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자금과 컨설팅 등 종합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상권분석 서비스,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타당성 분석 등 예비창업자 컨설팅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창업하려는 소상공인의 범위와 대상을 확대해 창업 전에 준비된 창업이 이루어지도록 창업역량 증진 교육을 심도 있게 추진하고 충분한 컨설팅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이 지식경영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엄천섭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SME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 manager's leadership style (transformative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on business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leadership style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businesses in Korea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that knowledge management has between the leadership styles (transformative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SME manage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SM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ituational compensation, exception management) and the mediator was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management perform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Afterwards, a conceptual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The following seven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The first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is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knowledge managemen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knowledge management. Third, the influenc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business performance. Fourth, the influenc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business performance. Fifth,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Sixth, the influence of a mediating role that knowledge managemen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Seventh, the influence of a mediating role that knowledge managemen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domestic MSME workers.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factor analysis to verif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were performed. The influence wa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 propose that charisma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Hypothesis 1 was supported. Second, I suggest that situational compens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re significant preceding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ird, I submit that charisma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3 was supported. Fourth, I propose that situational compens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4 was supported. Fifth, I suggest that knowledge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and accordingly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5 that “knowledge management of MSME manager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as supported. Sixth, I found that knowledge man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and business performance. Seventh, I found that knowledge man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MSME manager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in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leadership (transformative and transactional) on business performan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소상공인 기업의 경영성과와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지식경영은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우리나라 소상공인 발전에 기여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과 거래적 리더십(예외에 의한 관리, 상황적 보상)을 독립변수로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을 매개변수로, 경영성과(비재무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개념적인 연구모형을 구성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 및 경영성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첫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 둘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 셋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넷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다섯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여섯째, 지식경영이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일곱째, 지식경영이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소상공인 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으로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경영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지식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지식경영에 있어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상황적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지식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상황적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지식경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여섯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경영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경영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변혁적, 거래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경영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소상공인의 온라인마케팅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금지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허유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the social media is emerging as a source that users can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effectively. That is, the companies and individual business operator are often using online marketing as a way of advertisement to improvement the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s and sales increase. And, the research on this online marketing is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search on the online marketing for small busines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small busines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by utilizing online marketing channel.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s the survey targeting 300 small businesses located in Jeollanam-do for 4 months from September 1, 2021 to December 31,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blog marketing, instagram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and Youtube marketing which are sub-factors of online marketing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study are organized as follows. The results that verify the influence of sub-factor of online marketing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are as follows. First, instagram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and Youtube marketing which are sub-factors of online marketing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while the blog marketing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all the factors excluding blog marketing among sub-factors of online marketing are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non-financial performance. Next, the results that verify the control effect between sub-factors of online marketing and fund support are as follows. First, Instagram marketing, sub-factor of online marketing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through fund support, and other factors a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blog marketing and instagram marketing, sub-factors of online marketing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through fund support, and other factors a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Finally, the results of verify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group specific differenc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depending on the sex, it is found the men perceive the fund support more importantly than women. Next, the results of one-way ANOVA are as follows. The small business of which business history is 7 years or more perceive the homepage marketing more importantly than the small business of which business history is under 1 year and 1~3 years. Second, Instagram marketing and business performance show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usiness type, and it is found the manufacturing related service business,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business perceives instagram more importantly than other business types while other business types perceives business performance more importantly than general manufacturing business, manufacturing related service business,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business. Third, Instagram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Youtube marketing, fund support, business performance show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ales, and it is found the small business of which sales is 50 million Won ~ 100 million Won perceives more importantly than the small business of which sales is under 50 million Won. Fourth, blog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Youtube marketing, business performance show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cale, and it is found the business of which employment scale is 2 or more perceives more importantly than the business of which employment scale is 1. Fifth, blog marketing, Instagram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Youtube marketing, fund support, business performance show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nline use period, and it is found the small business that uses online marketing for 1 year or more perceives blog marketing, Instagram marketing, Youtube marketing, fund support more importantly than the small business that doesn’t use online market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hard for small business to proceed with the marketing through traditional channels due to restriction in cost and time.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 so that the small business can select the tools suitable to the reality along with online marketing education through fund support for their direct operation of online marketing. Second, Small business shows the lowest observational variable value that posts product-related information through Instagram marketing and Youtube marke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sent product-related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in the future. Third, it is found blog marketing and Instagram marke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es through fund suppor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ustomers' trust in small business and satisfy customers' purchase of produc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blog marketing and Instagram marketing to raise customer awareness. Fourth, it is found that small businesses that used online marketing for one year or more perceives online marketing, government fund support, and business performance more importantly than small businesses that doesn't use online marke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ersonal support system with expertise so that the New start-up 1 to 3 years, small business in the early stage of business can activate online marketing. Fifth, because there might be ethical risk that can abuse this system even if the fund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online marketing is prepared, to minimize the unnecessary support, the systematized system should be created and implemented. Finally, the restriction and the future task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triction of targeting small business in Jeollanam-do only has brought the restriction in applying the result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all national small business uniformly. To this end, if the future study conducts the research targeting the small businesses nationwide, it is judged to supplement the restriction on non-standardization. Second, there are many methods for online marketing, but this study restricts the sub-factor of online marketing to blog marketing, Instagram marketing, homepage marketing, Youtube marketing, and it has restrictions in deducting and generalizing the significant results. It is judged the future study will compensate the limit of generalization if it researches with various marketing method. Thir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various support systems are being implemented, but this study selects the find support system only for study.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how the small business support system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research on more diverse support systems such as education support and tax support. 최근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원천으로 소셜미디어가 부상하고 있다. 즉 기업과 개인사업자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 향상과 매출 증대를 위한 광고 방법으로 온라인 마케팅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소상공인을 위한 온라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이 온라인 마케팅 채널을 활용하여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21년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4개월 동안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300개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마케팅 하위요인인 블로그 마케팅, 인스타그램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인 인스타그램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은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블로그 마케팅은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 중 블로그 마케팅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과 자금지원 조절 효과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인 인스타그램 마케팅은 자금지원을 통해 소상공인의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인 블로그 마케팅과 인스타그램 마케팅은 자금지원을 통해 소상공인의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고자 독립표본 t-검증(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t-test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자금지원에 대해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력이 7년 이상인 소상공인이 업력이 1년 미만과 1년 이상 3년 미만인 소상공인보다 홈페이지 마케팅에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스타그램 마케팅과 경영성과에서 업종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제조관련서비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이 기타 업종보다 인스타그램을, 그리고 일반제조업·제조관련서비스업·숙박 및 음식점업에 비하여 기타업종이 경영성과를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스타그램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 자금지원, 경영성과에서 매출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공통적으로 매출액이 5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인 소상공인이 매출액 5천만 원 미만인 소상공인보다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로그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 경영성과에서 고용규모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고용규모 2명 이상의 소상공인이 고용규모 1명인 소상공인보다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로그 마케팅, 인스타그램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 자금지원, 경영성과에서 온라인 이용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온라인 마케팅을 이용하지 않는 소상공인에 비해 1년 이상 사용한 소상공인이 블로그 마케팅, 인스타그램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 자금지원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은 비용과 시간의 한계로 인해 전통적인 채널을 통해서는 마케팅을 진행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소상공인이 온라인 마케팅을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정부나 지자체는 자금지원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교육과 더불어 현실적 상황에 적합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소상공인은 인스타그램 마케팅과 유튜브 마케팅을 통해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게시하는 관측 변수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서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블로그 마케팅과 인스타그램 마케팅은 자금지원을 통해 소상공인의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상공인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도 향상과 고객들의 상품구매 만족을 위하여 블로그 마케팅과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여 소상공인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온라인 마케팅을 이용하지 않은 소상공인에 비해 1년 이상 온라인 마케팅을 이용한 소상공인이 온라인 마케팅과 정부 자금지원, 경영성과를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규 창업 1년 ~ 3년, 창업초기의 소상공인들이 온라인 마케팅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갖춘 인력지원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온라인 마케팅의 활성화를 위해 자금을 지원하더라도 이러한 제도를 오히려 남용할 수 있는 도덕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제도를 만들어 시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한계점 및 추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을 전라남도에 소재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국내 모든 소상공인에 대해 일률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비표준화에 대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온라인 마케팅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마케팅의 하위요인을 블로그 마케팅, 인스타그램 마케팅, 홈페이지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으로 제한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대상으로 조사한다면 일반화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금지원제도만을 주요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추후 교육지원, 조세지원 등 보다 다양한 지원제도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