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상공인 매출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자치구별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장경민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5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factors affecting the sale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es in Seoul and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business strategies and policy support directions. Utilizing panel data from Seoul’s 25 districts spanning 2018 to 2023, the study analyzed major determinants of small business sales. To account for district-specific characteristics and year-specific economic environments, a fixed effects model was employed. Additionally, lagged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mporal impacts of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the log growth rate of annual average sales for small businesses in Seoul.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business opening rate, pedestrian traffic at street level, adjusted rental prices, total number of stores, franchise store ratio, 3-year survival rate of new businesses, and net population inflow,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business and commercial environments. Each variable was log-transformed and converted to growth rates to enhance analytical consistency and interpret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destrian traffic at street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les. A 1% increase in pedestrian traffic was associated with a 0.73 percentage point rise in sales growth,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critical role of consumer demand in sales performance. Adjusted rental prices also positively influenced sales growth, suggesting that the commercial appeal of an area acts as a potential driver for sales improvement. In contrast, the growth rate of total stores negatively impacted sales growth, indicating that intensified competition within a commercial area can adversely affect individual store performanc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at small business sales performance relies heavily on the consumer base and the level of commercial infrastructure within a district, while balanced competition and a well-structured commercial ecosystem are vital for sustaining sales growth. Strategies to enhance economic vitality, such as fostering pedestrian traffic, maintaining reasonable rental prices, and managing store density, are recommended for invigorating commercial area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oth quantitative analysis of small business sales and temporal insights through lagged effects analysis, thereby offering a foundation for short-term responses and mid- to long-term policy design.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data and variable selection, as it does not account for various factors influencing sales performance, such as internal business strategies or managerial capabilities. Furthermore, it relies solely on quantitative district-level data, without consider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ercial area,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internal factors, such as business strategies and managerial competencies, to conduct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analyses. This approach would help identify practical policy alternatives to maximize small business performance.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policymaking for small businesses in Seoul but also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olicies nationwid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promoting the growth of small businesses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commercial areas. 본 연구는 서울시 소상공인의 매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 소상공인 경영 전략 수립 및 정책적 지원 방향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소상공인 매출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별 고유 특성과 연도별 경제적 환경을 통제하기 위해 고정효과(fixed effects)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지연효과(lagged effects) 분석을 통해 변수들의 시차적 영향을 추가적으로 평가하였다. 종속변수는 서울시 소상공인 연평균 매출액의 로그 성장률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개업률, 길단위 유동인구, 환산 임대시세, 전체 점포 수, 프랜차이즈 점포 비율, 신생기업 3년 생존율, 순 전입인구를 포함하여 서울시 소상공인의 경영 환경과 상권 배후 환경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변수는 로그 변환 및 성장률로 재변환하여 분석의 일관성과 해석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길단위 유동인구는 매출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가 1% 증가할 경우, 매출 성장률이 0.73%p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상권의 소비 기반이 매출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입증한다. 환산 임대시세 또한 매출 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상권의 상업적 매력도가 매출 성장의 잠재적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체 점포 수 증가율은 매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권 내 경쟁 심화가 개별 점포의 매출에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소상공인 매출 성과는 상권 내 소비 기반과 상업적 인프라 수준에 의존하며, 경쟁 강도 관리와 상권 구조의 균형이 매출 성장을 지속하는 데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자치구별 유동인구 유입, 임대시세의 적정성, 점포 수 조정 등을 통한 상권의 경제적 활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매출 성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함께, 지연효과를 통한 시계열적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단기적 대응뿐 아니라 중장기적 정책 설계의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데이터와 변수 설정의 한계로 인해 소상공인 매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개별 소상공인의 내부적 요인, 즉, 마케팅 전략이나 경영 역량을 반영하지 못했으며, 이를 보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치구 단위의 정량적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각 상권의 질적 특성까지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며, 이러한 점을 고려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향후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 전략, 사업주 역량 등 내부 요인을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소상공인 경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서울시뿐 아니라 전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수립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 결과는 소상공인 성장과 상권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상공인창업자의 창업성공요인 연구 : 창업교육생을 대상으로
임진경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창업 [創業]의 고전적 의미는 창(創 :다칠 창)자의 풀이에서 나타나듯 임금(君 )이 되기 위해서는 칼(刂)을 가지고 전장에서 무수한 다침이 있고난 후에 “나라나 왕조 따위를 처음으로 세우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예나 지금이나 창업(創業)이라 함은 결코 쉽게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소상공인 창업자들은 창업을 너무 쉽게,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접근하고 있다. 소상공인 창업자의 업종성공률은 평균적으로 64.43%였으나 나의 성공확률은 75.45%나타난 것에서 보듯이 지나친 “비현실적 낙관주의”에서 비롯되는 바도 있다. 국내에서는 1997년 IMF사태이후 소상공인에 대한 관심과 정책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기 시작하고, 2000년 이후부터는 소상공인의 창업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하였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창업자의 배경적 특성, 심리적 특성, 경영관리 요인들과 경영성과 요인에 관하여 연구가 주로 이루어 졌다. 그러다보니 소상공인들이 창업성공을 위해 직접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이 너무 포괄적이고 우회적인 연구로 막연하게 접근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보여 주었다. 이제는 소상공인들의 창업의욕 고취를 통한 소상공인 창업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사전에 소상공인 자신의 기업가정신과 경영마인드 함양, 그리고 창업역량의 구축과 최적의 아이템으로 최적의 입지에서 최적의 자금과 준비기간을 통하여 창업성공에 이르게 하는 일련의 과정도 소홀하게 다룰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렇기에 현재의 소상공인 창업에 있어 보다 단순하고 직접적인 창업성공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개발이 필요해 졌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자의 창업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연구들이 다루었던 창업자의 배경적 특성, 심리적 특성, 경영관리 요인들과 달리 창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분석 가능한 요인들로 “창업자의 역량” “기업가 정신” “아이템선정“ ”입지선정“ ”창업자금“ ”창업준비기간“등 여섯가지를 선정하여 직접적으로 참고 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는 소상공인 창업자들의 성공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함이며, 연구를 통하여 위의 요인들이 소상공인 창업성공요인으로서 얼마나 유의한지를 살펴보고자 함이었다. 그 결과 위의 여섯가지 요인들 모두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성공요인들의 우선순위가 창업자의 역량 29.5%, 아이템 선정 27.9%, 입지선정 18.3%, 창업준비기간 8.8%, 기업가 정신 7.9%, 창업자금 6.0%, 기타 1.6%의 순으로 밝혀졌다. 이는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창업시 우선순위로 중요시하게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창업자의 역량 > 아이템선정 > 입지선정 > 창업준비기간 > 기업가정신 > 창업자금”순 임을 나타낸다. 또한 소상공인 창업자에게 실패를 가져다 주는 실패요인으로는 성공요인들과는 다르게 창업자의 역량 29.2%, 입지선정 20.2%, 아이템 선정 19.7%, 기업가정신 10.7%, 창업자금 8.7%, 창업준비기간 8.2%, 기타 3.3% 순으로 밝혀 졌다. 이는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창업자의 역량 > 입지선정 > 아이템선정 > 기업가정신 > 창업자금 > 창업준비기간”순으로 사업체 운영에 신경을 써야 할 것임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창업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직접 참고할 수 있는 중요요인들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제 소상공인 창업에 대한 정책적 과제는 창업활성화와 성공률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소상공인 창업의 중요성과 성공의 어려움 그리고 창업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비현실적 낙관주의에 대하여 이를 지표화시켜 검증하였으며, 둘째, 여섯가지 중요한 창업성공요인의 유의함을 밝혔고, 셋째, 창업성공요인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었으며, 넷째, 실패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좀 더 유념하여 창업에 임하여 조금이라도 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다면 그 의미가 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에 삶의 근간을 둔 소상공인에 대한 관심은 외환위기 이후 「소기업 및 소상공인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제정에 의해 본격적인 정책대상으로 여겨지면서 시작되었다. 또한 2005년 5·31대책과 소상공인 지원하는 전담기관들의 설립 등을 통해 여러 가지 소상공인들의 지위향상과 권익보호, 경쟁력 강화 및 자생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지원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지원기관을 공급자로, 소상공인을 지원에 대한 수요자로 보고 두 집단 간에 ‘서비스 시장’의 논리를 적용하여 고객지향적인 서비스 측면에서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 만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을 Parasuraman, Zeithaml & Berry가 제시한 5가지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을 중심으로 지원기관에 대한 사전기대와 지각된 성과 비교를 통해 서비스품질 차원별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차원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서비스품질 측정모형인 SERVQUAL과 SERVPERF 측정방법을 통해 지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의 관계와 두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소상공인 지원기관 서비스품질 측정방법에 대한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원기관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서비스 품질 인식에 대한 사전기대 수준과 실제성과 수준을 보면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확실성→응답성·공감성→신뢰성→유형성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감성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품질 차원에서 실제성과가 사전기대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에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서비스품질 측정방법을 통한 지원기관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을 보면 SERVQUAL에 의한 측정에서는 서비스품질 구성차원에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추출되지 못하였지만, SERVPERF에서는 유형성과 공감성에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측정방법의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지각된 성과만을 측정한 SERVPERF 모형이 소상공인 지원기관의 서비스품질을 측정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전담기관들의 짧은 역사로 인해 지원기관에 대한 기대가 낮을 뿐 아니라 지원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기대감을 형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소상공인 지원기관들은 전반적인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통해 고객에게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및 지원기관과 지원서비스에 대한 광고·홍보를 통해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소상공인들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 스스로가 자생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우리나라 국민경제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The interest on the Small and Micro Business(SMB)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started as it was regarded as an object of a policy in earnest by "The Action for Supporting Small Company and Small and Micro Business"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is also providing various supporting services for a rise in their position,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interest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and security of self-survival ability through measures, 5·31 in 2005 and foundation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n this study, the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s regarded as a supplier and the SMB as a user for supporting. This is about satisfac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by applying the concept of "service market"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a customer-oriented service. To this end, the attribute on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s presented as five service quality dimensions (Tangibl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which was developed by Parasuraman, Zeithaml & Berry.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each service quality dimens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pre-expected level and perceived performance level on the support institution. Consumer satisfaction on supporting services with these dimensions will be closely examined through a classical measuring model of service quality, SERVQUAL and SERVPERF. And suitability about The metho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will be also stud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mode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re-expected level about perceiving service quality of customers using the support institu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level were a little different. But mostly, the result was this in order of low perception: assurance, responsiveness and empathy, reliability, tangible. And judging from higher perceived performance level than pre-expected level in all service quality dimensions except for the empathy,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support institution quality of the support was generally high. The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 support institution through the metho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is following. Factors affecting consumer satisfaction were not extracted by SERVQUAL in th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But tangible and empathy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by SERVPERF. As the result by the two measurement methods was compared and analyzed, SERVPERF model measuring just perceived performance was more suitable for measuring the service quality of support institution for SMB It is thought that this result of the study was represented like this because the level of expectation about the support institution is low for little interest on policy related to the SMB and short history of related institution and expectation can't be formed for rare experience about supporting service. Thus the support institution for SMB need to try to improve overall service quality. Specially, the system consumer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must be built through interest and concern on consumer using the service. And opportunity supporting SMB whose ability dealing with information is relatively weak should be promoted through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 about the support institution and service. By doing these things, if the SMB can be induced to improve self-survival ability itself, a ripple effect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is likely to be promoted more.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이 지식경영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엄천섭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SME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 manager's leadership style (transformative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on business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leadership style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businesses in Korea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that knowledge management has between the leadership styles (transformative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SME manage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SM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ituational compensation, exception management) and the mediator was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management perform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Afterwards, a conceptual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The following seven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The first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is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knowledge managemen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knowledge management. Third, the influenc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business performance. Fourth, the influenc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on business performance. Fifth,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knowledge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Sixth, the influence of a mediating role that knowledge managemen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Seventh, the influence of a mediating role that knowledge managemen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domestic MSME workers.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factor analysis to verif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were performed. The influence wa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 propose that charisma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Hypothesis 1 was supported. Second, I suggest that situational compens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re significant preceding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ird, I submit that charisma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3 was supported. Fourth, I propose that situational compensation for each sub-factor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re important preceding factors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4 was supported. Fifth, I suggest that knowledge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and accordingly in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5 that “knowledge management of MSME manager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as supported. Sixth, I found that knowledge man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SME managers and business performance. Seventh, I found that knowledge man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MSME manager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in the influence of MSME managers’ leadership (transformative and transactional) on business performan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소상공인 기업의 경영성과와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지식경영은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우리나라 소상공인 발전에 기여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과 거래적 리더십(예외에 의한 관리, 상황적 보상)을 독립변수로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을 매개변수로, 경영성과(비재무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개념적인 연구모형을 구성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 및 경영성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첫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 둘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 셋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넷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다섯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여섯째, 지식경영이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일곱째, 지식경영이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소상공인 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으로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경영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지식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지식경영에 있어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상황적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지식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상황적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경영성과에 있어서는 지식경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상공인 경영자의 지식경영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여섯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경영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상공인 경영자의 거래적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경영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경영자의 리더십(변혁적, 거래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경영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소상공인의 성공경영에 관한 분석 : 소상공인의 특성들과 사업성과에 대한 연관성
정준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우리나라의 많은 경제활동 주체들이 있지만 특별히 소상공업은 경제적·사회적으로 중요성이 매우 크다. 소상공업은 고용을 창출하고, 기술혁신에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경제활동 역할에도 불구하고 연구실정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성공경영을 밝혀내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소상공인들이 영위하는 개인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마케팅 사례들과 문헌을 통한 근거에 의하여 가설을 설정했으며 이를 토대로 세 가지의 소상공인 특성이 사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대전지역 소상공인의 성공경영을 유도 하기위한 것이며 기존의 소상공인들과 소기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성공을 이끌어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 및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소상공인의 성공경영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자료 및 문헌연구를 통한 성공요인들을 표본 조사 분석 하였으며 대전광역시 5개 구별 동구, 서구, 중구, 유성구, 대덕구로 구분하여 기존의 소상공인의 실태를 설문지 및 질의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소상공인 특성인 심리적 특성, 관리적 특성, 전략특성이 사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SPSS 12.0 K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상공인 성공경영에 많은 기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re are so many economic action in Korea but especially, small business play a critical role socially and economically. In particular, they create a large portion of jobs and play a considerable role i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pite of these economic activity, the research crucially insufficiency. As an exploratory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success factors in Korean small business. Especially, it research and analyze from small business in personal and regional economy which in various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has been established hypothesis based on the existing marketing case and the basis of literature. And based on these, it made a study that three characters of small business have influence on the business result. It will lead to success management of the small business in Deajeon and focus to success which established or preliminary whom working with small business. Based on these, identify problems of the small business how to resolve them and suggest the plan of success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success effect, it analyze sample survey based on research data and the basis of literature. And also analyzed which 5 district in Deajeon City such as classified Dong Gu, Seo Gu, Jung Gu, Yuseong Gu, and Daedeok Gu through questionnaire and inquiry of established whom working small business Field us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ree characters of small business have been analyze such as psychological character, administrative character, and strategic character have influence on the business result, and also it has been testing hypothesis which using SPSS 12.0 K. Through for this research, it will hope for contributed in success management in small business.
소상공인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 연구 : 대전광역시의 의류업 사례중심으로
지삼현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많은 경제활동 주체들이 있지만 특별히 소상공인의 경제에 차지하고 있는 범위와 역할은 크게 여겨져 왔다. 따라서 소상공인들이 영위하는 개인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분석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논문은 객관적인 자료연구를 근거로 한 성공사례들과 새로운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 연구를 통하여 대전광역시 의류 소상공인의 성공창업을 유도 하기위한 것이며, 따라서 기 의류 소상공인들과 예비 창업자들에게 성공을 이끌어내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성공적인 창업사례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통한 성공요인들을 표본 조사 분석 하였으며, 아울러 대전광역시 5개 구별 동구, 서구, 중구, 유성구, 대덕구로 구분하여 기존의 의류 소상공인의 실태를 설문지 및 질의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성공창업 사례와 기존의 의류 소상공인들의 표본 조사 분석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 통계에 의한 통계 자료를 만들었고, 이를 토대로 소상공인 창업 성공률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지역 경제 및 개인의 의류 소상공인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모델링이 될 것이다. 아울러 설문지 표본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구별로 분포되어 있는 의류 소상공인 군별로 설문조사를 SPSS 12.0 K를 활용한 성공창업 모델링 수립연구 자료를 만들었다. 이러한 설문 및 질의에 의한 모델링 수립은 의류 소상공인 창업 및 지역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가 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so many economic action but especially, it regards the sphere of activity and parts in business field whom small business. thus it research and analyze from small business in personal and regional economy which in various method. Thus, This study analyzes based on objective research data through successful case and study for new entrepreneurial model which leads to success the commencement of an apparel small business. The dissertation which it focus will leads to success according to established or preliminary whom working with small business.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success entrepreneurial effect, it analyze sample survey based on objective research data which success entrepreneurial, and also analyzed 5 district in Deajeon City such as classified Dong Gu, Seo Gu, Jung Gu, Yuseong Gu, Daedeok Gu through questionnaire and inquiry of established whom working apparel small business Field used. The dissertation made by based on the samples survey analysis about success entrepreneurial and established whom working apparel small business Field and also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will lead to superb modeling for increase success rate which regional economy and personal success entrepreneurial of apparel small business. This study analyzes by SPSS for windows 12.0 K Version is used for success entrepreneurial data analysis which apparel small business at 5 district in Deajeon City. The dissertation by questionnaire and inquir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modeling entrepreneurial of apparel small business and regional economy.
이상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 점포특성, 환경특성이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사업운영에 적용하는 경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러한 경영전략이 궁극적으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이 경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영자특성 중 관리역량은 차별화전략과 가격전략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식역량은 차별화전략과 가격전략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포특성 중 상권/입지특성은 차별화전략과 가격전략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이템/업종특성은 차별화전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가격전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상공인의 환경특성은 소상공인이 속해 있는 시장의 경쟁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규정하여 경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경쟁정도는 차별화전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가격전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상공인의 경영전략은 차별화전략과 가격전략으로 구분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차별화전략과 가격전략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화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가격전략은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차별화전략은 소상공인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가격전략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와 다른 분석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창업성공요인이나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의 실효성과 개선방안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기존의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현실적인 요인들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성공을 위하여 정부지원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도 현실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일률적이고 형식적인 소상공인컨설팅에서 탈피하여,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소상공인컨설팅이 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경영성과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 자원특성, 시장 환경특성 및 정부의 지원서비스가 경영전략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심리적특성 중 성취욕구는 차별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위험감수성향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성취욕구와 행동통제위치 및 위험감수성향은 모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상공인의 관리적 역량과 기술기능 역량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 및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영자경험은 차별화전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상공인의 창업 투자자금을 제외한 모든 자원특성 변수는 차별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충원능력과 기술확보능력 및 입지우월성은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의 입지우월성을 제외한 모든 자원특성변수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상공인의 시장성장성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시장경쟁정도는 차별화전략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며, 시장불확실성은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장경쟁정도는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시장성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시장불확실성은 경영성과의 주요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소상공인에 대한 교육지원서비스와 컨설팅지원서비스 및 자금지원서비스는 차별화전략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저가격전략에 대해서는 컨설팅지원서비스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 정부지원서비스 중에서 자금지원서비스의 중요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 및 컨설팅지원서비스에 비하여 지금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섯째, 소상공인의 차별화전략과 저가격전략은 모두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상공인이 자원배분과 관리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함으로써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섯째, 소상공인의 차별화전략은 위험감수성향을 제외한 모든 변수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와 함께 위험감수성향, 기술기능역량, 아이템차별성 및 시장성장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저가격전략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위험감수성향과 자금규모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제한적인 수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상공인이 차별화전략을 강화할 경우에는 기존의 성과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또한 차별화전략을 통하여 경영성과의 추가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의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의 결정요인을 제시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또한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지원의 현실적인 필요성과 함께 소상공인의 역량 및 경쟁력의 강화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방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선주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국 문 요 약 소상공인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논문 제출자 김 선 주 지 도 교 수 이 준 우 본 연구는 대전지역 소상공인만을 한정하여 직무만족에 대한 객관적·주 관적 요인들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의 조절변인으로써 개인적차원(자기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일-가정갈등), 조직적차원(경영성과, 사회적 평판), 정부차원의 요인들이 소상공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소상공인들이 직무를 수행하며 느끼는 직무만족요인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를 고찰하여 실무적인 자료 제공을 하고자 한다. 직무만족도 초기 연구는 개인들이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보유하는 욕구 들이 직무만족의 중요한 변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직무 역시 사람들의 욕구에 연관되는 확인 가능한 일련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직무만족도는 사람들의 그러한 욕구와 직무의 특성 간의 일치와 불일치 여부와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후에 직무만족을 객관적 상황과 주관적 가치체계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간주하는 입장이 제기되었는데 물질적·비물질적 보상과 그러한 보상들에 개인들이 부여하는 가치라는 두 요인에 의해 직무 만족이 형성되어진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상공인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대전지역 소상공인 144명의 설문지 응답을 표본 으로 검증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 특성들에 대한 연구모형을 도출, 연구모형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적차원의 영향요인(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일-가족갈등)은 소상공인의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일-가족갈등은 연구 가설과는 다르게 채택되지 않았다. 둘째, 조직적차원의 영향요인(경영성과, 외부평판)은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각 요인들의 크기, 범위 등의 강도가 소상공인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차원의 영향요인(정부지원정책)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정부지원정책은 경영성과와 구조적으로 무관하며 정부의 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종합해보면 소상공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정도의 차 이가 있지만, 각 요인들이 서로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으며 소상공인의 직무만족을 넘어 자기효능감의 극대화와 가족 관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경영성과, 기업의 외부평판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상공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개인적차원을 비롯해 조직적차원, 정부차원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고 소상공인에게 구체적으로 교육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전지역 소상공인만을 한정하였고, 업종 간·업종별 세분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연구임으로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 체계화하는 심층적인 연구 분석이 후속되기를 기대한다.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지원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성덕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소상공인 지원제도의 경영성과에 대한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의 영세성과 경영악화는 지속되고 있다. 소상공인 간 과다경쟁과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 소상공인의 고령화와 자금력정보력의 부족 등으로 경영악화가 가중되고 있어 소상공인의 폐업, 철수, 파산이 증가하고 있다. 소상공인 경영자특성이 창업성공요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구조적환경적인 문제로 소상공인 스스로의 힘으로는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성장단계별로 차별화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기존의 대다수의 연구들이 창업특성들에 대하여 횡단적 측면만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러한 창업특성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소상공인 지원제도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연구를 통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경영자특성 중에서 역량특성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상공인 지원제도인 교육지원, 자금지원, 컨설팅지원의 조절효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상공인의 창업성공요인이 다양하게 있으며, 경영자특성이 중요한 성공요인이지만,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영성과에 중요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연구결과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