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ADHD증상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자해동기의 매개효과

        김주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성인ADHD증상과 비자살적자해의 관계에서 자해동기 중 정서조절동기와 자극추구동기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성인 251명(여성:198명, 남성:53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성인ADHD 평가 척도, 자해행동빈도 척도, 정서조절동기 척도 그리고 자극추구동기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ADHD증상은 비자살적자해와 유의하였고 자극추구동기, 정서조절동기와도 유의하였다. 또 성인ADHD증상과 비자살적자해의 관계에서 자극추구동기와 정서조절동기는 모두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자극추구동기와 정서조절동기는 성인ADHD증상과 비자살적자해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ADHD증상과 비자살적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동기와 자극추구동기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의의에 대한 내용을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nsation-seeking motiv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nonsuicidal self-injury. Participants were 251 adults (female:198, male:53). The assessment included Korean Adult ADHD Rating Scale, Nonsuicidal Self-injury Frequency Scale, Emotional Regulation Motive Scale, and Sensation-seeking Motive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DH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sensation-seeking mo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motive. In addition, sensation-seeking mo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motive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e limitation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 성인ADHD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 정서인식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

        함승래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emotional clarification and empathy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adult ADH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96 ordinary person who have liv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or Gyeongsangbuk-do. The questionnaire included scales of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Korea(CAARS-K), Trait Meta-Mood Scale (TMM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 program package.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adult ADHD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lso all subtypes of interpersonal problem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ADHD . adult ADHD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fication and empathy. emotional clarificat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mpathy has no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cognitive empathy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ult ADHD .

      • 성인ADHD성향과 정서문제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보미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ADHD is prone to negative external evaluations, which leads to negative self-consciousness. Due to this negative self-consciousness, adult ADHD is more likely to cause secondary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Therefore, defining variables and their pathways that cause secondary emotional problem in ADHD is an important problem in psychotherapy in adult ADHD. The purpose of a thesis is defining the path to hostility inward equivalent to negative self-assessment, which is known to be highly relevant to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in adult ADHD,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ith variables that affect these relationships. Through an online survey, 300 general adults aged between 20 to 39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First, the thesis analyzes a mediation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analyz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hostaility inwar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diation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between adult ADHD tendency and hostility inward was found.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roblem-focused coping style,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style,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were found, bu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 coping sty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it can be helpful to increas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rough psychotherapy of adult ADHD. Furthermore, problem-focused coping,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can be effective in psychotherapy of adult ADHD when the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s not enough.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서 ADHD 증상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성인 ADH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DHD는 학업적, 직업적으로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는 외부의 부정적인 평가로 이어져 부정적인 자의식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러한 부정적 자의식으로 인하여 성인 ADHD는 우울과 불안 등의 이차적인 정서 문제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ADHD의 이차적인 정서 문제를 일으키는 변인들과 이들의 경로를 밝히는 것은 ADHD의 심리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 성향의 우울이나 불안 장애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부정적인 자기 평가에 해당하는 내부 적대감으로 이르는 경로를 밝히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주목하여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 폼을 통해 전국의 20세~39세 사이의 일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성인 ADHD 척도와 차별적 정서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하여 ADHD 성향과 관련이 높은 정서들을 알아보았고, ADHD 성향과 내부 적대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과 내부 적대감간의 관계에서 각각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ADHD 성향은 슬픔, 화, 수치심, 수줍음, 내부적대감 등의 정서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성인 ADHD가 이러한 정서를 느낄 가능성이 크다는 그 동안의 선행 연구에서의 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성인 ADHD 성향과 내부 적대감과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은 총 효과의 약 18.15%를 설명하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내부 적대감간의 관계에서 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소망적 사고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성인 ADHD의 심리치료를 통해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을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이 내부 적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져,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이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을 때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 역시 성인 ADHD의 심리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남녀 대학생의 ADHD, 사회불안, 인터넷 중독증상 간의 관계 :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김남정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o set a specific goal to treat adult ADHD in terms of psychosocial approach. The study examined mechanism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and internet addiction. As all three factor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gend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on every each factor. Also, the study try to clarify how the gender factor affects mediation model including three factors, adult ADHD, internet addiction, and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 ADHD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이라는 정서적 요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을 검증함으로써, 성인 ADHD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의 타당성과 성인 ADHD의 치료에 있어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세 요인의 성차가 혼재 되어있는 상황에서 성별 간 차이를 밝히고 세 요인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때 그 관계성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 연속수행과제와 같은그림찾기과제에서 나타난 ADHD 성인의 억제 결함

        이예지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has inhibitory deficit as well as inattention adult with ADHD. A total of 338 students from a psychology class at D university in Geungsan were initially participated and 35 in ADHD group and 42 in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sures administered for each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Korean Conners Adults ADHD Rating Scale(K-CAARS). Subjects were assigned to ADHD group when they were fit to one of three conditions: more than 65 in both careless/memory subscale and over-behavior/anxiousness subscale of K-CAARS, more than 70 in one of the two subscales or more than 65 in their total scores of DSM-IV. The subjects whose score in BDI were 16 was over excluded from analysis. Subjects in control group were selected when their scores were not fit to the three conditions to be ADHD group and when their BDI scores were below 16. The tasks assigned as dependent measures were CPT, MFFT, and three subscales of K-WAIS: digit span, arithmetic and digit symb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CPT, adults in ADHD group had more omission errors and alarm errors, quicker in response, and lower in sensetivity and response criterion than normal group di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in alarm errors, omission errors, and response time, alarm errors in ADHD group occurred the most when inter stimulus interval(ISI) was 1200ms and errors were reduced as ISI got longer than 1200ms. In normal group, the difference in response by ISI was not significant. Third, omission errors by ISI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Fourth, in results of response time, ADHD group became slower as ISI became longer, whil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slower only in 4000ms. Fifth, in the result of MFFT, the first response time was quicker in ADHD group than that in normal group. And adults in ADHD group had more errors than normal group. Sixth, in the result of three tasks from K-WAIS, three scores in ADH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group. In summary, ADHD adults seemed to have deficit of response inhibition well as inattention.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핵심증상 중 하나인 반응 억제의 결함이 성인에게서도 나타나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경산 D대학교의 심리학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33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부주의/기억척도 또는 과잉행동/초조 모두의 점수가 T점수 65점 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의 T점수가 70점 이상인 경우와 DSM-IV 증상 총합점수가 65점 이상이면 ADHD집단으론 선정하였다. BDI 점수가 16점 이상인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통제집단은 위의 성인 ADHD 평정척도의 3가지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사람과 BDI가 16점을 넘기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조건에 부합되어 선정된 ADHD 집단은 35명이며, 통제집단은 42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ADHD 성인의 반응억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과제는 연속수행과제, 같은그림찾기과제, 성인용 지능검사(K-WAIS)의 소검사인 숫자외우기, 산수, 바꿔쓰기를 사용하였다. 연속수행과제의 결과를 요약하면 ADHD 성인은 정상 성인 보다 누락오류, 오경보오류가 더 많았으며, 반응시간은 더 빠르고, 민감도와 반응기준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경보오류, 누락오류, 반응시간에 대해 자극간 간격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오경보오류는 ADHD집단은 자극간 간격이 짧은 1200㎳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극간 간격이 길어질수록 오류수가 줄어들었다. 정상집단은 자극간 간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락오류는 오류수에서 ADHD집단과 정상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응시간에 대한 분석결과 ADHD집단은 자극간 간격이 길어질수록 반응 시간도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상집단의 경우 4000㎳에서만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그림찾기검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 반응시간은 ADHD집단이 정상집단 보다 것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류수도 ADHD 집단이 정상집단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WAIS의 소검사 세 가지 숫자외우기, 산수, 바꿔쓰기의 과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ADHD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세가지 소검사에서 모두 정답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ADHD 성인은 부주의와 같은 주의력 결함뿐만 아니라 억제 기능의 결함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성인 ADHD 대학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MBSR)의 효과 비교

        신주영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 대학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을 구성하고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1과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을 실시한 실험집단2, 그리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효과를 비교·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을 구성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예비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인지행동치료의 구성요인은 인지적 개입인 인지적 재구성과 행동적 개입인 실행기능 향상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적 개입으로 사고와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자기감찰과 이를 통한 인지적 재구성을 실시하였고, 행동적 개입으로는 시간관리 기술 훈련과 계획하기, 조직화 기술 훈련 및 프로젝트 수행하기 등의 실행기능을 훈련시켰다.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의 구성요인은 인지적 개입인 인지적 탈융합화와 행동적 개입인 실행기능 향상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적 개입으로 의도적으로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집중하고, 순간순간 체험한 것을 느끼며, 체험한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인지적 탈융합화를 실시하였으며, 행동적 개입으로는 시간관리 기술 훈련과 계획하기, 조직화 기술 훈련 및 프로젝트 수행하기 등의 실행기능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은 서울에 위치한 3개의 대학교와 경기도에 위치한 2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CAARS-K)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668부 설문지들 중 DSM 지표(DSM-부주의와 DSM-과잉행동 척도 합산점수)가 21점(T점수=65) 이상인 73명의 대학생을 1차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된 대학생 73명 중 ADHD 반응 비일관성 지표가 8점 이상인 16명을 제외한 57명의 대학생에게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한 후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는 39명을 대상으로 임상심리사 1명이 DSM-Ⅴ의 부주의, 과잉활동, 충동성 척도를 기준으로 성인 ADHD의 임상 수준을 충족하는 21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은 인지행동치료인 실험집단1 7명,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인 실험집단2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 배정되었으며 인지행동치료인 실험집단1과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인 실험집단2는 각각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DHD 증상 변인(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 인지 변인(부정적 자동적 사고,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정서 변인(우울, 상태·특성 불안), 실행기능 변인(목표설정, 목표실행, 성공을 위한 전략)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1, 실험집단2 및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실험집단1, 실험집단2 및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검정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 Wallis 검정을 실시하였고,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해 사후검정을 하였다. 둘째, 실험집단1, 실험집단2 및 통제집단 내 각 변인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와 실험집단1 및 실험집단2 내 각 변인의 사전-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1 및 실험집단2 내 각 변인의 집단 간 추후검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ey U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증상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와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의 하위영역인 부주의/기억, 과잉활동성/초조함, 충동성/정서적 불안정성, 자기개념 문제 및 ADHD 지수에서는 인지행동치료 모두 변화를 보였다. 반면,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에서는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와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의 하위영역인 부주의/기억에서만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하고자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는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의 하위영역인 부주의/기억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변화를 유지하였으나, 코너스 성인 ADHD 평정 척도에서는 인지행동치료만이 변화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인지적 재구성 변인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하위영역인 무기력과 의욕상실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변화를 보였다. 반면,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하위영역인 부정적인 자기상과 부정적인 기대, 현실에 대한 불만과 변화 욕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만이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하고자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1만이 변화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탈융합화 변인인 켄터키 마음챙김기술에서는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만이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우울과 상태·특성 불안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변화를 보였으나,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는 상태·특성 불안에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효과가 유지되지만, 우울에서는 인지행동치료만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행기능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표설정, 목표실행 및 성공을 위한 전략에서는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변화를 보였고,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 모두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표설정의 하위영역인 목표의식 및 효능감과 목표실행의 하위영역인 수행 스트레스에서는 인지행동치료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에도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을 구성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성인 ADHD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적 접근 방법에 차이를 가진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 개입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사전·사후·추후 연구설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프로그램 효과검증 및 비교를 위해 성인 ADHD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변인을 ADHD 증상, 인지, 정서 및 실행기능으로 나누어 다양하게 측정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넷째, 성인 ADHD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 정서 및 행동의 변화를 위한 개입을 통합적으로 실시하므로 성인 ADHD 대학생의 인지적 변화와 함께 정서 및 행동의 변화를 가져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ADHD, and compare the effect of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ducted on Group 1, MBSR intervention on Group 2, and no intervention on the control group.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ed and carried out a preliminary CBT and MBSR intervention,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hortcomings of each program. CBT focused on the cognitive restructure which involved cognitive intervention,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executive function which involved behavioral intervention. To be more specific about the cognitive intervention, self-inspection of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were promoted to undergo cognitive restructuring. For behavioral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on executive functions which included time management training and planning, systematization training and project performance. MBSR focused on the cognitive defusion of cognitive intervention as well as the executive function enhance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In terms of cognitive intervention, cognitive defusion guided the participants to concentrate on the present moment, feel the moment-to-moment experience and receive the experience as it is. In terms of behavioral intervention, the study trained executive functions such as time management training and planning, systematization training and project performance. For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CAARS-K(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for Korean) on 70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based in Seoul and two universities based in Gyeonggi-do. Among the retrieved 668 copies of survey, the study primarily selected 73 samples with DSM index over 21(t score=65). Of 73, 16 samples with 8 or above for ADHD reaction inconsistences index were excluded. For 39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 extra diagnostic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DSM-V's inattention, hyperaction and impulsiveness index. The study finally selected 21 students who satisfied the adult ADHD's clinical level. The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BT group(Group 1), the MBSR group(Group 2),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s received ten 60-minute sessions of therapy, for 10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study used the ADHD symptom variable(Connerss Adult ADHD Rating Scale), cognitive variable(negative automatic thinking, Kentucky mindfulness technique), emotional variable(depression, condition, characteristic anxiety), and executive function variable(purpose setting, purpose execution, strategy for succ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rough following methods. First, to examine the homogeneity of Group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i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among the groups, the non-parametric Kruskal Wallis test was used. Additionally, the Bonferroni correction was carried out for a post-test. Second,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each variable among Group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the pre-test and follow-up scores for each variable between Group 1 and Group 2. Thir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follow-up scores of each variable between Group 1 and Group 2, the non-parametric Mann-Whitey U test was us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BT made a difference in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and its sub-scales including inattention/memory, hyper action/anxiety, impulsiveness/emotional instability, self-concept problem and ADHD index. In terms of the effect of MBSR intervention, difference was made on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and its subscale inattention/memory. The three-month follow-up test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Conners’ subscale inattention/memory were maintained for both CBT and MBSR, while the changes in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were maintained only for CBT. Second, regarding the cognitive restructure variables, both CBT and MBSR were found to influence lethargy and lack of enthusiasm, the subscales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self-image, negative expectation, unsatisfaction toward reality and desire to change were influenced by CBT alone. According to the three-month follow-up test, only Group 1 maintained its effectiveness. regarding the Kentucky mindfulness technique for verifying the cognitive defusion variables, only MBSR intervention showed changes, and its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at the three-month follow-up. Third, in depression and emotional condition/characteristics anxiety for emotional variables, both CBT and MBSR showed changes. According to the three-month follow-up test, the effect of CBT and MBSR was maintained for condition·characteristics anxiety, but the change in depression was maintained for CBT alone. Fourth, regarding the executive function variables, goal setting and strategy for goal fulfillment and success were influenced by both CBT and MBSR,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at the three-month follow-up. However, sense of purpose and efficacy, a subscale of goal setting, and fulfillment stress, a subscale of goal fulfillment, were affected by CBT alone, and its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at the three-month follow-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designed CBT and MBSR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Second, the study implemented the CBT and MBSR intervention which entail different cognitive approaches,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each therapy on adult students with ADHD.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design. Third, to verify the effect and compare the results between the programs, the assessment was made from various approaches by dividing the variables into ADHD symptom, cognitive restructure, cognitive defusion, emotion and executive function. Fourth, by implementing an integrative approach, the study attempted to bring changes to the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s of adult students with ADHD.

      • 성인 ADHD 경향성 척도의 개발 : 구인타당도 검증을 중심으로

        김현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만 19세~65세의 성인에서 나타나는 ADHD의 인지적·행동적 특성을 반영한 성인 ADHD 경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의 성인 ADHD 경향성은 세 가지의 주요 특성(주의집중 곤란, 과잉행동, 충동성)과 이차적 특성(부정적 정서 경험, 집행기능 곤란)으로 구성되었다. 예비 연구는 성인 ADHD 경향성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토하고 예비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 및 경험적 접근에 기초하여 성인 ADHD 경향성과 관련된 구성개념을 정의한 후, 이에 기반하여 5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및 안면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48개의 예비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조사는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문항 분석과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40개 문항과 5개 요인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분석,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의 과정을 거쳐 척도의 최종 문항 및 요인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38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2개 문항과 4개 요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성인 ADHD 경향성 척도는 좌절인내력 부족(7문항), 주의집중 곤란 및 지연행동(10문항), 충동성(8문항), 과잉행동 및 계획능력 부족(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성된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64, 요인별 신뢰도는 .883~.920으로 나타나 전체 척도 및 요인별 신뢰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 결과, 성인 ADHD 경향성 척도는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 척도(CAARS-K)와 높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 척도(SCS)와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ventory of Adult ADHD Tendency(IAAT). Adult ADHD tendency is defined a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DHD that appear i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19 to 65. Based on previous studies, adult ADHD tendency is composed of 3 main characteristics(difficulty of attention, excessive behavior, impulsiveness) and 2 secondary characteristics(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A preliminary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onstruct the adult ADHD tendency and develop preliminary items. For this purpose, the constructs of adult ADHD tendency are defined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and 58 items are developed. After 2 content validation and 1 face validation, 48 items a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survey. After a preliminary survey of 100 samples, 5 factors with 40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processes that include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main study, the factors of inventory were finally identified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ventory consisted of 32 items and 4 factors – Lack of frustration tolerance (7 items), Difficulty of attention and procrastination (10 items), Impulsiveness(8 items), and Hyperactivity and lack of planning ability(7 items). As a result of validating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criteria-related validity, the final Inventory of Adult ADHD Tendency seemed to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CAARS-K)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lf-Control scale(SCS).

      •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정서경험과 표현

        신경미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에서 정서문제가 가지는 임상적 함의를 찾고, 정서문제와 ADHD 및 성격장애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성인 ADHD의 병리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서문제 변인 중 성인 ADHD를 예측하는 정서변인에 대해 탐색하였고, 성인 ADHD의 일상생활 부적응에 ADHD 증상과 정서문제의 순수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인 ADHD와 정서문제의 관계가 동반되는 장애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아니면 ADHD와 정서문제만의 관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크게 연구 1과 연구 2로 구성하였고, 연구 1에서는 ADHD 수준과 정서문제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결과를 성인 ADHD 임상군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1은 서울, 부산, 충북, 전북,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및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총 640명에게 성인 ADHD 평정 척도, 성격장애 진단검사 및 양극성장애 선별 척도, 정서경험 및 정서표현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 척도 등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40개의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59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2는 서울, 경기, 충북, 충남, 대전의 지역에 소재한 치료기관에 ADHD 문제로 내방한 성인에게 연구 1과 동일한 설문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2는 임상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기에 생명윤리 준수 및 대상자 보호를 위해 연구 안내문을 통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의사를 밝힌 33명 중 연구 대상으로 적합한 2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2에서 임상군과 함께 사용될 대조군은 연구 1의 대상자들 중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점수를 기준으로 ADHD 수준이 높은 비임상군 20명, ADHD 수준이 낮은 비임상군 20명을 각각 선발하였다. 이로써 연구 2에서는 임상군 20명을 포함하여 총 6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연구 1에서 실시하였고, 군집 분석,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 다차원 척도법의 분석 방법을 연구 2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분석 패키지 SPSS 및 AMOS 21.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문제는 ADHD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변인은 정서적과민성, 정서인식, 정서표현갈등, 정서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의 부적응에 대해 ADHD 주 증상이 미치는 효과보다 정서문제가 미치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성인 ADHD에 대한 정서문제의 예측력은 경계선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극성 장애 보다 크게 나타났고, 예측변인은 성인 ADHD와 경계선 성격장애에서 가장 유사한 형태의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인 ADHD와 다른 성격장애를 구별하는 유일한 예측변인은 정서표현갈등의 정서 변인이었다. 둘째, 정서문제가 ADHD를 예측하는데 있어, 동반이환 되는 장애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정서문제와 ADHD 수준 간의 관계는 다른 장애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문제가 성격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모형과 성격장애를 통제한 후 정서문제가 성인 ADHD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χ² 값과 자유도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후자의 모형이 전자의 모형보다 χ² 값과 자유도 값이 좀 더 작게 나타났고, 두 모형 간 χ² 값과 자유도 차이 값은 χ² 분포표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위와 같은 정서문제는 성인 ADHD 임상군에서도 확인되었다. 임상군과 비임상군의 자료를 이용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문제와 전혀 관련이 없는 군집과 정서문제와 관련이 있는 군집 두 개, 총 3개의 군집으로 나뉘었다. 정서문제와 관련이 없는 군집은 주로 ADHD 수준이 낮은 비임상군의 사례들이 포함되었고, 정서문제와 관련이 있는 군집에는 주로 임상군과 ADHD 수준이 높은 비임상군의 사례들이 혼합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임상군과 ADHD 수준이 높은 비임상군의 정서문제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를 다시 검증하기 위해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시각화한 결과, 임상군과 ADHD 수준이 높은 비임상군은 정서문제라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사례들이 가까이 배치되었고, ADHD수준이 낮은 비임상군은 이들과 멀리 배치되어 나타났다. This current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emotional issues in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ADHD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ssues, ADHD and personality disor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emotional variables that predict adult ADHD among emotional problems, and examined the pure effects of ADHD symptoms and emotional problems on adult ADHD's maladjustment to daily life. Furthermore, this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adult ADHD and emotional problems are influenced by another accompanying disorder, or by only the interactions between ADHD and emoti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largely composed of Study 1 and Study 2, and Study 1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level and emotional problems. In study 2, the results derived from study 1 were focused on verifying whether they can be applied to adult ADHD clinical group. Study 1 was conducted to 640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adults living in Seoul, Busan, Chungcheongbuk-do, Jeollabuk-do and Gangwon-do, and finally 591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that answered insincerely. Study 2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f adult ADHD out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 center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Study 2 was used for analysis of 20 data suitable for the study among 33 pati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the research guide for compliance with bioethics and protection of subjects because they were conducted for clinical patients. In study 2, the control group used with the clinical group was selected from the subjects of study 1 by 20 nonclinical groups with high ADHD level and 20 nonclinical groups with low ADHD level based on the score of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Accordingly, In study 2, adopted data from 60 subjects, including 20 subjects conforming the clinical group, for analysis. As survey materials, this current study employed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Personality Disorder Test, Mood Disorder Questionnair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SI-Emotional Reactivity Scal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in Study 1, Cluster Analysis, ANOVA and Post-hoc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ere conducted in Study 2.This study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1.0 version of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is current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emotional problems were shown to predict ADHD, and predictors were emotional irritability,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and emotional regulation in order. With regard to maladjustment to adult ADHD, the emotional problems were shown to have larger effect than the major symptoms of ADHD. The predictive power of emotional problems for adult ADHD was greater than tha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and the predictive variable was the most similar form in adult ADHD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only predictor variable that distinguishes adult ADHD from other personality disorder was emotional conflict. Second, for the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comorbidity of another disorder in predicting ADHD with emotional problems, this current study concludes that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ADHD is not effected by other disorders. This conclusion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freedom of χ² each derived from, the model asserting the effect of emotional problem on personality disorders, and the model asserting the effect of emotional problem on ADHD with controlled personality disorders. The χ² value of the latter model shows a smaller degree of freedom than that of the former model, and this current study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χ² value from both model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distribution table of χ². Third, the aforesaid emotional issues were also observed in the adult ADHD clinical group. The cluster analysis conducted on the clinical group, and both nonclinical groups of high and low ADHD rating, selected from in study 1, suggests one cluster with no relation with emotional problems, and two clusters with relation with emotional problems. Cluster 1 was the group that was not related to emotional problems, including cases of nonclinical groups with low ADHD level, and Cluster 2 and Cluster 3 were the group that were related to emotional problems, and the cases of nonclinical groups with high ADHD level were mixed. Furthermore between Cluster 1 and 2, and Cluster 1 and 3, the two groups show difference in emotional issues between the two Cluster, while Cluster 2 and 3 did not show any notable differ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spective of emotional problems between the clinic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high ADHD rating. To verify this result, the result was visualized with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here the clinical group and nonclinical group with high ADHD ratings show cases in a close proximity based on the similarity of emotional problems while the nonclinical group with low ADHD ratings were plotted relevantly distant from the other groups.

      •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을 위한 변증법적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주의집중 곤란과 정서조절 곤란을 중심으로

        조안남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의집중 곤란과 정서조절 곤란을 개선하기 위한 변증법적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의 특성과 진단기준 충족의 어려움, 그리고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헌 연구 분석과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의 어려움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변증법적행동치료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의 주의집중과 정서조절 곤란을 개선하기 위한 10회기(회기 당 2시간 30분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후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모두 수집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생활습관 모듈과 주의집중 모듈, 정서조절 모듈이라는 3가지 모듈로 구성하여 매 회기 3가지 모듈을 집중 훈련하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변증법적행동치료에서 강조하는 수용과 변화를 중심으로 마음챙김 기술과 정서조절 기술, 고통감내 기술을 활용하여 성인 ADHD 성향 대학생들의 주의집중과 정서조절을 위한 세부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목적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대인관계 기술은 본 연구에서 활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인 ADHD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으로 동질성이 확보된 12명을 최종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변증법적행동치료 프로그램을 10회기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진행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과 10회기 프로그램 종료 후, 그리고 종료 후 5주 이후 척도를 활용하여 양적인 변화의 정도 및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양적 연구의 변화 과정을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종료 5주 후 실시한 추후 모임에서 개별 면담을 진행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통해 질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성인 ADHD 성향 대학생의 주의집중과 정서조절 모두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서도 주의집중과 관련된 생활의 변화들이 발견되었고, 정서조절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주의집중과 정서조절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 행동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성향군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성인 ADHD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과 장기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성인 ADHD 성향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program to improve atten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ADHD, and to analyze its effects after the program’s implement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need survey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ADHD, the difficulty of meeting diagnostic criteria, and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with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Based on this,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program model was developed, and a 10-session (2 hours and 3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was also developed to improve attention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in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and the program effect was analyzed. This program consists of the three modules of lifestyle module, attention module, and emotional regulation module, and consists of each session with intensive training time for the three modules. Moreover, focusing on acceptance and change emphasized in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the program contents for atten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were constructed using mindfulness techniques, emotional regulation techniques, and pain tolerance techniques. However, in order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personal skills were not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and 12 people with homogeneity were finally selected and 6 people were randomly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10 sessions of the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 treatment was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compare the degree of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egree of quantitative change and the continuation of the program effect was measured by using the measurements before the start of the program, after the end of the 10th session, and 5 week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explain the process of change in quant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in detai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 follow-up meeting held five week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Data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atten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adult ADHD propen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also found changes in life related to attention concentration and positive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not only in atten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but also in other problematic behaviors. While this study targeted the propensity group,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various approaches to adult ADHD treatment and took a preventive approach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adult ADHD propensit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성인 ADHD성향, 대인관계문제와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의 관계

        김태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 대인관계문제와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9명(남: 205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 한국판(CAARS-K),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 인터넷 중독 척도(KS-A),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검사(AUDI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통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은 하위변인에서 부분적으로 남녀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보고된 학업수준에서 학업수준을 낮음으로 보고한 집단에서 성인 ADHD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석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결석 경험이 전혀 없는 집단보다 높은 성인 ADHD 성향을 보였다. 넷째, 성인 ADHD 성향은 대인관계문제,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중독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 ADHD 성향과 대인관계문제,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 ADHD 성향은 일상생활에서 대인관계문제의 심화와 함께 다양한 중독의 문제에 노출 될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