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채희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 사건 목록 질문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희망 척도,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7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 외상 후 성장, 희망,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에 관계에서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이 각각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에 관계에서 희망과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지각된 사회적지지, 외상 후 성장, 희망,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problem-focused coping in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To investigate it, a self-report survey consisting of trauma event list questionnaires, Korea post-traumatic growth scales, social support scales, Korea dispositional hope scales, and problem-focused coping scale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for adults over 18 years of age. Based on the data of a total of 400 people except for insincere response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found to b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hope, and problem-focused cop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hope and problem-focused coping showed mediated effects, respectivel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the dual-mediated effect of hope and problem-focused coping.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Key word : Perceived social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Hope, Problem-focused coping

      • 사회적지지가 당뇨환자의 식사요법 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슐린비의존형 당뇨환자의 치료방법 중 식사요법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286명의 인슐린비의존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식사요법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1998년 6월, 서울, 경기도,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식사요법 실천정도, 가족, 친척, 동료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을 직접 면접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회적지지와 식사요법 실천정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지지 평균은 41.7(범위 0-76)로서 조사대상자들은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고 있었고, 가족으로부터 받는 지지는 27.0(범위 0-44), 친척·친구·직장동료로부터 받는 지지는 14.7(범위 0-32)로서 가족으로부터 받는 지지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가족은 당뇨환자가 식사를 거를 때, 당뇨에 해로운 음식을 먹을 때 충고해 주는 지지를 가장 많이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척, 친구, 직장동료는 당뇨환자가 식사를 거를 때, 식사를 많이 할 때 충고해 주는 지지를 가장 많이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교육수준(p<0.05)과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별, 연령, 결혼상태, 당뇨병력, 합병증 유무, 입원 경험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사회적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식사요법을 더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당뇨환자의 식사요법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 자신의 식사요법 실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함께 환자의 주위 사람들로부터 사회적지지를 유도할 수 있는 영양교육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iet Therapy is very important for diabetic control, especially f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ompliance to dietary regimen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subjects were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Two hundred eighty six adult patients from Seoul, Kyonggido, Kyongsangbukd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esearchers, dieticians,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interviewed patients with a pre-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June in 1998.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bout demographic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diabetes, support from family, support from relatives, friends, colleagues, and compliance to dietary regimen. Analysis was done by means of the SPS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demographic factor influencing social support was education(F=2.65, p<0.05),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diabetes influencing social support were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t=2.25, p<0.05). 2. The mean scores of support from family was 27.0(0-44), support from relatives, friends, colleagues was 14.7(0-32). 3. The mean scores for compliance with diet therapy was 31.6(0-42). 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ietary compliance(r=0.29, p<0.05). Therefore, to enhance dietary compliance and increase social support from family, inclusion of family members in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is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social support from relatives, friends, and colleagues.

      •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정식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지와,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 두 변수 중 어떤 변수가 노후준비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있어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는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노후준비로 4개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인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이며, 설문에 응답한 580부 중에서 56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 전체 및 4개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전체 및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가 긍정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제적 노후준비가 통합적으로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의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사회적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성공적인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가족지지는 노후준비 전체 및 4개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전체 및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가 긍정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제적 노후준비가 노후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또한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노후준비 전체 및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전체 및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가 긍정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를 동시에 투입한 회귀모형에서 가족지지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는 서로 결합하여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각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보다 두 요인이 결합되었을 때 노후준비를 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동시에 투입되었을 때 사회적지지만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지지가 가족지지보다 더 높았다. 이는 장애 자녀의 부모에게 가족지지는 여전히 필요하며 부모들에게 사회적지지가 현실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적지지가 더욱 필요함을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는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회적지지와 가족지지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의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특히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에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현실적으로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에게 사회적지지 수준이 매우 낮음으로 이에 사회적지지의 지속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가족지지, 노후준비, 발달장애, 사회적지지, 성인 중증발달장애인 부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hich of the two variables affects the preparation for old age more. Through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emphasized, and ultimately, basic data to increase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ntended to be provid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up as four sub-factors, such as preparation for old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18 years of age or older, and 567 of 580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analyzed.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par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support had appeare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old age preparation overall and its all 4 sub-factors. As social support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economic,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re positively goo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was the greatest. Thes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in an integrated way affects the overall life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at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family support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mily support had appeare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old age preparation overall and its all 4 sub-factor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the better overal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economic,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re positively goo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was the greates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life of old age, and family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parents' preparation for old a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appeare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old age preparation overall and its 3 sub-factors(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crease,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re positively good.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model in which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were simultaneously inpu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were combin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This shows that when the two factors are combined, it can better explai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than the impa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on old age preparation, respectively. Also, when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were input at the same time,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ocial support had a higher impact on preparation for old age than family support. This shows that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ill need family support, and that social support is even more necessary because the social support is realistically lacking for parent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old age preparation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 particular, it was verified that social support had a greater impact on preparation for old age. In realit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very low, so it is expected that a continuous support plan for social support will be prepared t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Key words: family support, preparation for old age, social support, parents of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가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for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79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a total of 259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Ji-won Park(1985) was used. And to measure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teacher job stress measure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y D'Araenzo, Morraco, and Krajeski(1982) was used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ye-young Shin(2004) to fit the childcare teacher. Lastly, to measure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Allen and Meyer(1990) and adapted by Byeong-man So (1998), Jae-hyeon Ahn(2014)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Window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ronbac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each test tool.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re as follows.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home·private daycare center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s than daycar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corporate,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ll sub-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overall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emotional support,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t the workpla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leadership,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the highest influ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nd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rom the principal and colleagues are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relieve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th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during work performance at daycare centers. The early childhood period is the period most affected by the environment, and the long-term service of childcare teachers maintains the childcare process at daycare centers consistently and provides stable attachment to infants and toddlers, helping them to develop and emotionally grow. In addition, there are many factors such as childcare environment, childcare process and childcare program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m is the competent childcare teacher. However, the turnover rate of childcare teachers is quite high.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childcare environment that parents can trust and entrust their child by examining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securing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and seeking ways for childcare teachers to work in the childcare field.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수집하였고, 총 25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D'Araenzo, Morraco와 Krajeski(1982)가 개발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고 소병만(1998)이 번안한 설문지를 기초로 안재현(2014)이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각 검사도구의 신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국공립·법인·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보다 이직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하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변인들이 이직의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전체 하위 요인과 이직의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는 이직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시기는 환경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시기로 보육교사의 장기근속은 어린이집 보육과정을 일관성 있게 유지시키며 영유아에게 안정적 애착을 제공하여 영유아의 발달, 정서 성장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데 보육환경, 보육과정 및 보육프로그램 등의 수많은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유능한 보육교사이다. 하지만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이직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앞에서 제시한 보육교사의 역할의 중요성과 장기근속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되었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장 내 원장 및 동료로부터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를 받고, 어린이집에서 업무수행 및 원장 및 동료교사, 학부모로부터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함께 살펴봄으로써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우수한 보육교사 확보와 더불어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가 장기근속을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금숙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혼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 가구는 전체 노인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지난 15년 사이에 12.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독거노인가구가 151만가구로 예측되고 있다. 독거노인은 일상생활 유지뿐만 아니라 건강 및 의료보장, 주거, 사회적 지위와 역할상실, 여가시설 및 여가프로그램 접근등에 있어서 일반 노인보다도 더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독거노인들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욕구와 문제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당면한 현실에서 노인부양이 점차 사회화되고 있어 건강문제와 질병을 가지고 있는 가족의 부양을 받지 못하는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의 문제는 중요한 노인문제로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보다 강화하여 저소득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장기간의 적절한 신체활동과 규칙적인 활동 등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켜 건강불평등을 극복하는데 기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수준에서 가장 취약계층인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들이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들의 사회적인 지지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 도시의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년 7월 27일부터 8월18일까지 총 23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송미순(1991), 박지원(1985), 서현미와 하양숙(2004)의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설문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술통계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여자로 87.1% 을 차지했으며, 70-79세가 46.1%를 차지하였고 교육수준은 무학이 48.1%를 차지하였으며 75% 이상의 노인들이 종교를 갖고 있었다. 월수입은 40~50만원이 73.4%로 가장 많으며, 조사 대상자의 수입(생활비)의 출처는 기초생활수급자로써 국가에서 지원받고 있는 생계비 등과 기초노령연금을 포함한 액수이며, 자녀들에게 용돈정도의 지원을 받는 경우는 14.9% 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특성을 보면 평균 독거기간은 24.3년 이었으며,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접촉빈도는 거의 만나지 않는다 50.2%로 가장 많았고, 어려운 일이 생기거나 아플 때 가장 먼저 도움을 받는 지지원은 자녀·며느리 37.3%로 가장 많고, 이웃과의 친교정도는 말벗친구 정도로 지낸다가 45.2%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지역사회시설 활용은 주민자치센터의 이용이 99.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단지 내에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으로 대상자의 75.5%가 이용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의 주된 내용은 후원서비스로 주민자치센터가 99.2%, 복지관이 70%를 차지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일상생활수행능력정도를 파악한 결과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가 63.5%로 가장 많았으며, 99.2%가 질환을 갖고 있으며, 평균 3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67.2%가 동네의원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의 이용 빈도는 1개월에 1회 이상 이용이 79.2%나 되었다. 일상생활수행능력정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정도의 평균 평점이 4점 만점에 3.64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층계 오르기의 평균 평점이 3.25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고 그다음이 혼자서 버스(지하철)타기로 평균 평점이 3.31이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정도를 측정한 결과 직접적 사회적지지 정도는 평균평점이 5점 만점에 3.09, 표준편차 .686으로 중간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간접적 사회적지지정도는 평균평점이 5점 만점에 3.94, 표준편차는 .873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정도는 평균평점이 4점 만점에 2.31, 표준편차 .41이었다. 하위영역별로 평균평점이 높은 순서대로 보면 스트레스관리가 2.71이고, 영양이 2.45, 대인관계 2.38, 건강책임 2.11, 신체활동 2.09, 영적성장 2.00 순 이었다. 여섯째, 지지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ADL,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직접적 사회적지지(r=.634, p<.01), 간접적 사회적지지(r=.237, p<.01), 지지원수(r=.237, p<.01), 건강상태(r=.162, p<.05), ADL(r=.213, p<.01)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직접적, 간접적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지지원수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ADL정도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직접적, 간접적 사회적지지, 지지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및 ADL이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를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종교 활동이나 노인대학, 노인복지관에서의 사회적 모임의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 참여시 성취경험을 고취시키면서 노인스스로 건강증진행위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closely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which can be important factor available for elder people to maintain good health condition targeting the elder people living alone as basic livelihood allocatee, who are the most vulnerable brackets in the health level. Thus, the aim was to elicit policy-based implications in order to socially support the elder people living alone as the basic livelihood allocatee,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health-promotion behavior in elder people living alone as the basic livelihood allocatee, to offer basic data to development i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in elder people living alone as the basic livelihood allocatee, and to arrange social-support system for elder people living alone. The research subjects were 241 elder people living alone as the basic livelihood allocatee, who are dwell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 of one city. Data was collected for totally 23 days from July 27, 2009 to August 18. A research tool was used by forming questionnaire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tools in Song Mi-sun(1991), Park Ji-won(1985), Seo Hyeon-mi, and Ha Yang-suk(2004) in line with objective and subject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arithmetic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 14.0. Give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survey subjects were women, thereby having possessed 87.1%. Elder people in 70-79 years old possessed 46.1%. As for educational level, illiteracy accounted for 48.1%. Elder people in over 75% had religion. Monthly income was the largest in 400,000 won~500,000 won with 73.4%. As for the source of income(living expenses) in the survey subjects, it is the money amount of including the basic old-age pension in addition to the livelihood cost of being supported by nation as the basic livelihood allocatee. A case of being supported pocket-money level by children accounted for 14.9%. Second, given seeing the survey subjects' social-support characteristics, the average living-alone period was 24.3 years. The frequency of contact in elder people living alone with children was the largest as saying of not nearly meeting with 50.2%. The support member of being helped first when being happened difficulty or being ill was the largest in children and daughter-in-law with 37.3%. Friendship level with neighbor was the largest in managing enough to be companion to talk with 45.2%. As for survey subjects' utilizing community facilities, the use of Community Center accounted for 99.6%. As the next was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within the unit, 75.5% of subjects were using. As the main content in service is sponsorship service, it was possessed by community center with 99.2% and by welfare center with 70%. Third, as a result of grasping the survey subjects' health condition and daily-living performance ability level,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the largest with 63.5% as saying of being healthy. 99.2% of them had disease. They had averagely over 3 diseases. 67.2% of survey subjects were using village clinic. The frequency of using medical institution accounted for 79.2% for the use in over once a month. Regarding daily-living performance ability level, the average evaluation mark in daily-living performance ability level was indicated to be 3.64 in 4-point perfection, thereby having been relatively high level. Fourth, as a result of measuring survey subjects' social-support level, the directly social-support level was 3.09 in 5-point perfection as the averagely evaluation mark. The standard deviation was .686. Thus, it was indicated to be score in mid level. As for the indirectly social-support level, the averagely evaluation mark was 3.94 in 5-point perfection. The standard deviation was .873. Thus, it was indicated to be relatively high level. Fifth, as for survey subjects' performance level in health-promotion behavior, the averagely evaluation mark was 2.31 in 4-point perfection. The standard deviation was .41. Given seeing according to the order whose average evaluation mark is high by sub-sphere, it was in order of 2.71 for stress control, 2.45 for nutrition, 2.38 for interpersonal relations, 2.11 for responsibility for health, 2.09 for physical activity, and 2.00 for spiritual growth. Sixthly,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hip among support member numb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DL,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artial correlation with direct social support(r=.634, p<.01), indirect social support(r=.237, p<.01), support member number(r=.237, p<.01), health condition(r=.162, p<.05), and ADL(r=.213, p<.01).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performance level of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is higher in the higher direct and indirect social support, in the more support-member number, in the better health condition, and in the better ADL level. Through these results, directindirect social support, support member numb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ADL could be known to be important variables of increasing performance level in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Accordingl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n be seen to be imminent that the religious activity, elderly university, and elderly welfare center allow the elderly themselves to be able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while increasing social-support program in social meeting, and encouraging achievement experience given participating in program.

      •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influence problem solving 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317 undergraduate students(female 162, male 155) completed a social support, ago-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were divided into two sub groups according to its lever(high/ low 50%). And 2×2 ANOVA was conducted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independent,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was view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scored high social support weren't more high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low in this field. but students who scored high social support were more than low social support in problem orientation. Second, students who scored high ego-resilience were more high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low in this field. Thir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has not interaction effect on the solving problem ability. that is ego-resilience has relatively more influences on the solving problem ability tha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since ego-resilience have influence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roblem solving ability are needed to study. Lastly,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meaning of this research and limitations.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남지역 소재 대학생 317명(여 162명, 남 15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총점을 근거로 하여 고, 저 50%씩을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사회적 지지 지각(고, 저)과 자아탄력성(고, 저)을 독립변인으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문제해결능력은 높지 않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 지향에서는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높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문제해결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즉, 사회적 지지 지각의 수준에 상관없이 자아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자아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오귀민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항공업계는 여러 외국 항공사의 국내 노선 취항과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노선 확대, 여러 국가 사이의 항공 규제완화, 세계 항공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쟁의 심화, 불확실성, 글로벌화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놓여있다. 특히,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항공사의 경우 핵심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 인적자원의 확보 및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인재를 선발하고 육성하기 위한 인적자원을 관리해주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며 다른 학과와 비교해 취업훈련이 강도 높게 이루어지고 있는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개인의 강점과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개발을 통해 취업준비 관련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헤쳐 나가는 방법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간의 영향관계,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해 선행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실행하였다. 선행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이의 영향을 밝힌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적인 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정하였으며, 국내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대학의 취업을 앞둔 경기도 소재의 전문대학 1,2학년 재학생 110명과 충청권 소재의 4년제 대학 3,4학년 재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수집되어진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버젼 22.0과 AMOS 버젼 18.0 통계 패키지를 같이 사용하였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하여 인구의 전반적인 사회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둘째,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항 별 일관적인 상관관계를 파악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구성의 타당성을 평가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하고 평균분산추출값(AVE)과 구성개념신뢰도(CCR)를 산출하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바탕으로 잠재변수와 관측변수로 분리하여 결과 값을 입력한 후 가설 검증을 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에서 정한 가설의 실증분석 결과이다. 첫째,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객실서비스 관련학과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짧은 시간에 증진하기 어려운 환경적인 변인인 사회적 지지보다는 개인의 심리적인 변인인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대한 실행이 필요할 것이라는 판단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self-elasticity, the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lastic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majoring aviation service related fields. Also,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ose students whose major is aviation service related in universities, to overcome their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job prepara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self-elasticity of the aviation service related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elastic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majoring aviation servi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majoring aviation servic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gram to improve the self-elasticity, which i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 needs to be undertaken rather than social support, which is difficult to promote in a shor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