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유능성과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윤승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또래 유능성과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근거로 다음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또래 유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또래 유능성 하위 영역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또래 수용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소재한 K초등학교 3학년 아동 2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 도구인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Kenneth (1991)의 ꡐ피스메이커ꡑ를 참고로 하여 Corlette(1997)이 초등학교 4-6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제작한 ꡐ영피스메이커ꡑ를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심리적․인지적 특성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여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주 2회 40분씩 총 12회를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로는 또래 유능성 검사지와 또래 수용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 가설 1, 1-1과 2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paired t-검증을 실시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유능성에 있어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M=2.80)과 후(M=2.86)의 평균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546, p<.05). 그리고 또래 유능성 하위 변인 간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paired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교성(t=2.105, p<.05), 친사회성(t=2.743, p<.05), 주도성(t=2.447,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M=40.20)과 후(M=42.60)에 또래 수용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815, p<.01).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아동의 또래 유능성 발달과 수용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또래 사이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갈등 상황 속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발휘하여 또래 아동 간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肢體障碍學生의 사회적기술 訓練 프로그램의 適用 효과

        최재신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 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전.후간의 사회적기술영역의 발달 효과와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재활학교 지체부자유학생 중 2, 중 3 40명중에서 인지 능력이 있고 학습능력이 있는 정상학습학생 20명을 비교대상으로, 인지능력과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지체학생 20명을 훈련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회적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기술프로그램훈련은 1주일에 3회씩 1회에 50분으로 수업 시간과 재활 시간에 실시하고 조회.종례시간에 반복해서 매일 20분씩 실시했으며 프로그램 실시 일주일전에 담임교사가 대상 학생들을 관찰하여 사전 검사를 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대상 학생들은 프로그램 종료후 일주일 동안 다시 관찰하여 사후검사를 통해서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전.사후검사와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정상학습반 학생들과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하위 영역의 사전검사 결과를 보면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평균이 학습 지체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평균 보다 79.90으로 높게 나타내어 t검증 결과 p<.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같은 지체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이 높은 집단의 학생들이 사회적기술발달도 뛰어남을 보 여 주었다. 둘째 : 사회적 기술이 떨어지는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집단에게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훈련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의 결과를 보면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후검사 전체 평균점수가 사전검사 보다 40.25가 증가하여 t검증 결과 p<.OO0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5가지 하위 영역별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이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지체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고 유용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 학습지체 집단에게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적용 훈련을 실시한 사후 검사의 결과와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면 양집단의 평균 차가 79.90에서 40.25가 감소되어 39.55로 나타내어 t검증 결과 p<.0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양집단간에 사회적기술의 차이가 줄어 들었다.

      •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개발 및 사회적 기술 특성 분석

        이경림 부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ocial Skills Rating Scale Teacher For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Korea and also to analyze their social skills rating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m. First of all, to make items and certificate content validity for the rating scale, I reviewed related researches and then examine through experts in this area.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of 795, all of them in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rated 53 items of social skills with 4 Likert's scale. Finally, It was proved to be the reliability through Cronbachα and test-retest, this is show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hen, for proving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 Promax Rotation Method and 3 factors Fixed Factor Analysis are used. Therefore 3 factors, social cognition, interaction, self-control are extracted. Also, the concurrent validity is proved with SSRS. For this study purpose, statistical method is used as follows : The reliability in general is Cronbach α=.99, which had highly level. The result of analyzing a rating scales instrument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 Promax Rotation Method were showed three factors. Also the relation between this rating scales instrument and SSRS was highly related by concurrent evidence(r=.97). According to t-test, ANOVA method, total social skills rating data were analyzed to characteristic variabl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se include sex, grade level, visual function, visual impairment onset, presence of other disabilities. The t-test analysis showed that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social skills rating marks by sex. But there were difference significant meaningfully in visual function(blind/low vision), visual impairments onset (congenital/adventitious). Beside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by presence of other disabilities. Especially, there is difference the lower/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in the post test. Also, in case of examining items score respectively, most of items are in average level. But students with visually impaired showed difference between common reacted items and so it is not. Therefore, the results of MONOVA comparing with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kills rating scales for the visually impaired respectively by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proved 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ocial cognition factor and interaction factor or self-control factor only except sex variable. No more than sex variable was not meaningful. The social skills by grade level wer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ocial cognition factor, and self-control factor respectively. We can establish effectiveness of this instrument, the social skills rating scale teacher for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testing highl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instrument can be applicable to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s a social skills assessment resource for them. Through this result, if more research on social skills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this instrument is performed, these results are utilized as a assessment resources to understand and intervene program improving social skills for them.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시각장애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을 평정하기 위한 교사용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를 사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시각장애학생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기술 특성을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정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한 개념 구성과 기존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근거로 문항을 작성한 뒤 전문가 집단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검사를 거쳐 53개의 최종문항을 선정하고 4점 척도로 작성한 본 평정척도를 우리나라 시각장애학교 학생에게 적용하여 795명의 자료를 처리하였다. 내적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α와 재검사 신뢰도를 구하였으며, 타당도는 주성분분석과 프로맥스 회전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3요인 지정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사회인지, 상호작용, 자아통제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토된 사회적 기술 평정도구(SSRS)를 준거로 하여 공인 타당도도 검토하였다. 본 평정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 α값이 .99로 높게 나왔으며, 3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98~.99를 나타냈다. 재검사 신뢰도는 .96의 상관계수를 얻었다. 본 평정척도와 SSRS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본 평정척도의 공인근거는 .97로서 매우 높은 편으로 해석되었다.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적 기술 평정 점수 전체에 대한 배경변인 내 변인간 차이들을 t검증과 ANOVA로 통계처리하였다.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력정도와 시각손상시기, 기타장애유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초등 저학년과 중학부에서, 그리고 초등 저학년과 고등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문항별 점수를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평균 척도 점수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시각장애학생이 자주 나타내는 문항과 약간 나타내는 문항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을 배경변인에 따라 중다변량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별을 제외한 배경변인들은 사회인지 요인과 상호작용 요인, 자아통제 요인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지 성별은 자아통제 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 전체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사회적 기술 정도를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음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가 중재 프로그램 개발등으로 연계되어 사정도구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認知-社會的 役割놀이 活動이 發達遲滯 幼兒의 社會的 技術과 社會的 相互作用에 미치는 效果

        최세민 단국대학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비장애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적 인형극을 사용한 역할놀이 활동과 자유놀이 활동을 실시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비장애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구립 어린이집에서 통합교육을 받고있는 발달지체 유아 20명과 비장애 유아 18명이었으며, 이들을 각각 역할놀이 활동에 20명, 자유놀이 활동에 18명으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발달 지체 유아 20명은 다시 언어 능력이 높은 집단(10)과 낮은 집단(10)으로 구분하여 언어 능력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는 유아용 그림지능검사, 언어능력 검사, 또래 수용도검사, 적응행동검사, 부적응행동검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찰 등이었다. 지능검사는 사전 검사만 실시하였으며 나머지는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적 기술의 유지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 종료 3주 후에 적응행동에 대한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자유놀이 활동에 비해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수용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자유놀이 활동에 비해 발달지체 유아의 적응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데는 부분적인 효과만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먼저, 부적응행동에 대한 피험자의 개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서 0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고 따라서 바닥 효과(floor effect)가 작용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의 구성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의 부적응행동에 포함된 공격 행동이나 반항 행동과 같은 문제 행동을 개선하는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또래에게 접근을 시도하거나 반응할 때 과다한 신체적 접촉을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활동에서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개시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의 개시행동에 대한 긍정반응이 증가하고 부정반응이 감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자유놀이 활동에 비해서 발달지체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하위 영역별로 고찰해 본 결과 상호작용의 개시행동과 긍정적 반응행동 확장된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에서 효과가 나타났으며, 또래의 개시행동에 대한 부정반응행동 또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좀더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개시행동의 하위 영역인 시작행동과 가입행동이 향상되었으며, 반응 행동에서는 수긍반응과 대안반응이 향상되었고, 부정반응이 감소되었다. 그리고 확장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는 하위 영역인 질문하기 행동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지체 유아가 비장애 유아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상대방의 개시행동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자유놀이 활동에 비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간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형태로 변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상호작용 형태를 질적인 측면에서 변화시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 능력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언어 능력이 높은 경우 상호작용 활동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적응행동)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effects of social-cognitive role play activity and free play activity on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nd peers'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nd normal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acquire the social skill concepts through role play and free play activity using the constructive puppet performance and to use these concept through role play and feedback.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 skills acquired by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re used by normal young children together. This study focuses on 20 developmentally delayed preschoolers and 18 normal young children in integrated classroom of nursery school in Seoul. From each the group, young children were chosen tentatively into the cognitive-role play group and free play group. Here again, the role play group were divided into high level and low level according to the personal verbal communication skill. A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a peer acceptance test,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scale, a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and an observation of social interactions as test instruments were used. We conducted pretest for intelligence test but examined both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rest of methods. Moreover a maintenance test of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was performed to examine a maintenance effect of social skills 3 week after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A cognitive-role play in comparison with a free play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peer acceptance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2. A cognitive-social role play in comparison with a free play had an effect o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3. A cognitive-role play in comparison with a free play had a partial effect on reduc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Such results may be derived in some view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for subject individual scores for a maladjustment behavior showed that most of them got a score close to 0 in sub-realms,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as the influence of floor effect. Second, a cognitive-social role play is composed based on contents to rise social skill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have a limit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like aggressive behaviors or rebellious behaviors included into a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Third, in case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when they try to approach and react peers, they excessively contact physically because of their poor verbal communications. 4. A cognitive-social role play in comparison with a free play had an effect on improving social interaction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nd normal young children. Social interaction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were examined by sub-realms. The result showed that they had an effect on the initiation and affirmative responses of interactions and expended social interactions. A negative response for peer initiations was also reduced. A more minute analysis of this results showed that a start behavior and an entry behavior were improved, and an affirmative response and an alternative response were improved. An in expanded social interaction, a question behavior out of sub-realms was improved. These results showed that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more positively started interactions to young children and affirmatively responsed on initiations of peers. In addition, a cognitive social role play in comparison with a free play had an effect on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time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at is why social interaction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got more actively proceed by the improvement of their social skills, and they could more continuously interact with peers one play, This means that social interaction pattern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re continuously changing not one time, and a cognitive-social role play has qualitatively changed an interaction pattern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a cognitive -social role play also had affirmative influence on normal young children's behavior for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at is, an analysis of normal children's behavior for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initiations of normal young children in interactions was increased, and a negative reactions for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was reduced. Besides, social interactions differently indicated according to a verbal ability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is means that a high verbal ability made social interactions more actively performed. And a social skill(adaptive behavior) learned by a cognitive-social role play had an effect of maintenance.

      • 우울과 사회적 기술이 스트레스 생활사건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유발 가설의 전향적 검증

        김영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우울이 스트레스 생활사건을 예측한다는 스트레스 유발 가설을 검증하고, 스트레스 유발 과정의 기제로서 사회적 기술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과적 방향성을 함축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각 참가자를 1개월에 걸쳐 2회 측정하는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학생 224명(여자 165명, 남자 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요 스트레스 생활사건, 일상적 스트레스 생활사건, 우울,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였다. 교차지연 상관패널 분석과 MANOVA, ANCOVA,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1개월 후의 우울을 예측하였고, 우울이 1개월 후의 스트레스를 예측하였다. 둘째, 우울한 사람들과 우울하지 않은 사람들이 1개월 동안 경험한 생활사건에 있어서, 사건의 발생에 자신이 원인을 제공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사건의 독립성과 의존성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독립적 사건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집단이 비우울집단보다 의존적 사건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의 세 가지 하위요인이 스트레스 사건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토한 결과, 수행결함이나 신체증상보다 부정적 태도가 스트레스 사건을 더 많이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스트레스 유발 기제로서 사회적 기술의 중재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표현성과 사회적 표현성, 정서적 조절성, 사회적 조절성이 우울의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가 함축하는 바와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ively test a stress generation theory insisting that depression predicts stressful life events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kills as a mechanism of stress-generation in depress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implying causality, each participant was measured twice over 1 month. 224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bout major stressful life events, daily hassles, depression and social skil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ss-lagged correlation panel analysis, MANOVA, ANC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ressful events predicted subsequent depression, and depression predicted subsequent stressful events. (2) Depressed people had more dependent events and more interpersonal events after 1 month than non-depressed people while depressed people did not have more independent events than non-depressed people. (3) Among three factors of BDI, negative attitude predicted subsequent stressful life events more than other two factors, performance impairment and somatic symptoms. (4)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kills in the stress generation process were not demonstrated, but sub-factors of social skills such as emotional expressivity, social expressivity,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bsequent stressful ev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and to apply it to the 5-year-old children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fluence on the social skills and self - esteem of th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resolv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process and composition of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1-1. How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1-2.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2-1. How does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affect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2-2. How does the emotional coaching play affect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emotional coaching and play program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the program was categorize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veloped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on young children 's social skills and self - esteem,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children aged 5 years in day care centers in Gyeonggi - do.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July 12 to October 5, 2018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subjects. In order to measure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The scale of 'Infant Behavior Scale' was used that Lee Jin-suk (2001) reconstructed, and the self-esteem scale was used that Min jun Sun (2014) corrected and reconstr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s conducted pre- and post-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e children's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showed that 5-year-olds are effective in promoting social skills.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was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hildren's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5-year -old children.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conclusion, emotional coaching play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제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및 구성은 어떠한가? 1-1.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1-2.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2-2.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정코칭 및 놀이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실험처치는 2018년 7월 12일부터 10월 5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총 12회의 활동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진숙(2001)이 ‘유아행동척도’를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 척도는 민진선(2014)이 ‘자아존중감 척도’를 수정,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만 5세 유아들의 사회적 기술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에 참여 실험 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적 기술이 향상 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유아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만 5세 유아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정코칭 놀이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놀이 중심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위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 변화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황주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위축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 중심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고 위축 행동을 감소시키려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S초등학교의 6학년 담임 교사가 의뢰한 아동 중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K-CBCL)의 위축 영역이 70T(상위 98% 이상)까지 상승된 아동 중에서 교사용 사회적 기술 검사에서 득점이 하위 25%에 해당하는 아동으로 훈련집단 3명, 통제집단 3명이다. 프로그램은 사회적 기술 훈련과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에서 동기유발, 재경험에 중점을 두고 1회기 70-80분, 주 2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은 학급의 2교시 쉬는 시간에 아동들의 행동을 녹화하여 놀이 행동 관찰 기록지에 따라 행동을 관찰하여 기초선ㆍ중재ㆍ사후 관찰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동의 위축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의 위축 척도를 교사가 처치 전ㆍ처치 후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하였다. 이 자료는 위축 행동의 빈도 변화를 알아보는 데에도 사용되었는데 위축 행동 관찰 기록지로 행동을 관찰하여 기초선ㆍ중재ㆍ사후 관찰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 중심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위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향상시켰고, 위축 행동은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놀이 중심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위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고, 위축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peer interaction and reduce the withdrawn behavior of senior elementary schoolers by means of play 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t objectified six children who appealed for difficulty from relation with peers. They scored over 70T in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ithdrawal sub-item that is clinically significant level, and under 25% i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for teachers. This program was focused on social skills training and therapeutic factor of play, such as motivation and re-experience. It operated on two times a week, 70-80 minutes for each session and in total 12 sessions. The goal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follows: 1. Does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reduce on withdrawn children's withdrawn behavior? 2. Does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nfluence on withdrawn children's peer interaction? 2-1. Does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reduce withdrawn children's play-alone behavior? 2-2. Does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mprove withdrawn children's play with peers? The peer interaction was recorded during sessions, and the result of observation was compared in baseline period, treatment period, post-observation period. To examine the change of withdrawn behavior, this research use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ithdrawal sub-item, and compared pre and post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reduced on withdrawn children's withdrawn behavior. Second,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changed on withdrawn children's peer interaction. Hence, the play-based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f this research has an effect that improving withdraw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reducing withdrawn behavior.

      •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요구되는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기술

        유지영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관련된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일반교사가 저학년과 고학년 특수아동에게 통합교육 실시할 때 요구하는 사회적 기술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았다. 둘째 실제로 특수학급 저학년과 고학년아동이 갖추고 있는 사회적 기술을 알아보고 비교해 봤으며 셋째, 일반교사가 요구하는 사회적 기술과 특수아동이 갖추고 있는 사회적 기술을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청주시내에 근무하는 232명의 일반교사와 특수학급 아동 172명을 대상으로 하여 김향지(1996)가 번안한 Gresham과 Elliott(1990)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도구로 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위하여 일반교사들이 중요시하는 저학년과 고학년 특수아동의 사회적 기술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교사들은 저학년보다 고학년에게 더 많은 사회적 기술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통합교육시 저학년 특수아동보다 고학년 특수아동에게 사회적 기술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가르쳐야 할 것이다. 특히 고학년 아동에게 친구와 의견 충돌 시 잘 참는 항목과 친구가 놀릴 때 적절하게 대응하는 기술, 여러 사람과 잘 어울리는 기술, 친구와 쉽게 사귀는 기술, 진행중인 활동이나 집단에 스스로 참여하는 기술, 활동이 바뀌어도 쉽게 적응하는 기술은 중요한 기술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술은 주로 자아통제와 자기주장에 관련되는 기술로 대인관계를 맺고 거기에서 생기는 갈등을 통제하는 기술로서 고학년 특수아동 통합교육시 특수학급 교사나 일반 교사 모두 이러한 사회적 기술지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또한 교사의 말에 주목하는 기술은 저학년 특수아동과 고학년 특수아동 모두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이 기술은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할 사회적 기술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들이 실제로 갖추고 있는 사회적 기술은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으며 저학년 특수아동의 사회적 기술 평균 보다 고학년 특수아동이 갖추고 있는 사회적 기술 평균이 높음으로 보아 지속적인 사회적 기술 교육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회적 기술이 낮은 수치로 나와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교사들이 요구하는 특수학급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기대치와 특수학급 아동들이 갖추고 있는 사회적 기술에는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특수학급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이 일반 교사의 기대치에 비해 낮으므로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은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 구안시 목표설정과 실질적인 교수방법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aper describes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pecial class students concerning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education: First, the researcher tested and compared the social skills, which general teachers need at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students at the lower and higher grades. Second, the researcher compared the social skills, which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both grades had. Third, the researcher classified and compared both social skills at the lower grades and the higher grades: the social skills demanded by general teachers a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The subjects were 232 general teachers at Chongju City as well as 172 special class students: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s of Gresham and Elliott (1990) which Kim, Hyang-ji adapted,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class students' social skills, which general teachers considered as important for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educ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eneral teachers asked for mor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higher grades than at the lower grades. Therefore, at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higher grades need more social skills than the students at the lower grades did. In particular,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higher grades were asked to have some skills: for instance, being patient at the conflict of opinions with their friends, taking proper action when their friends make fun of them, keeping company with their friends well, making friends easily, joining in the activities in progress and group activities by themselves, and easy adaptation even under changed activities, etc. The skills have relations with assertion and self-control to establish human relations and control troubles, and are needed by both the special class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to teach social skills at the integrated education at the higher grades students. In addition,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lower and higher grades considered the skill as important, which they paid attention to the special class teacher, so that it was surveyed to be taught essentially. Second, the social skills, which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lower and higher grades actually go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averag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the lower gra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at the higher grades, so that a continuous social skill education was surveyed to be important. However, most of the social skills recorded low values to be insufficient for the special class students. Third, not only the expected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at both grades, which general teachers demand for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education but also th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special class students had lower social skills than expected, so that social skills teaching was demanded to conduct integrated education effectively. The social skills of the researcher, which are demanded at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education, were to be help to supply basic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s as well as actual teaching methods when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