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의 관계

        최병남 울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의 관계 최병남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혜 원)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H 공공형 어린이집과 S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3-6세 원아 146명으로 하였다. 유아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 상황에 맞게 표준화과정 중인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K-WPPSI-Ⅳ)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혜원(2005)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별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K-WPPSI-Ⅳ) 수행을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지능 소검사 원점수, 환산점수 및 기본지표척도의 환산점수를 살펴보았다. 환산점수는 K-WPPSI-Ⅳ의 규준이 아직 표준화과정 중에 있으므로 미국 규준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령집단별 지능 소검사 원점수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만5세 미만보다 만5세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전체지능이 향상하는 발달적 경향임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지능 소검사 원점수는 동형찾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처리속도에 해당하는 동형찾기는 정해진 시간 내에 집중력과 시각적 기억력,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동형찾기의 유의미한 차이는 추후에도 지속적인 연구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연령집단별 지능 소검사 환산점수는 동물짝짓기와 어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집단과 성별의 상호작용 간에도 유의하지 않았다. 기본지표척도와 전체지능의 환산점수는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령집단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지능지수에 해당되는 환산점수를 연령과 성별에 따라 상대적 위치를 살펴본 결과라 사료된다. 그러나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른 K-WPPSI-Ⅳ 소검사와 기본지표척도별 환산점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K-WPPSI-Ⅳ 기본지표척도 환산점수로 한국과 미국 유아의 지능 점수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언어성지능에 속하는 언어이해는 한국의 유아보다 미국의 유아가 높게 나타났고, 동작성지능에 속하는 시공간, 처리속도는 한국의 유아가 미국의 유아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수행을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먼저 연령집단별로는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 규범을 더 잘 이해함을 의미한다. 성별에서는 정서조절, 정서성,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아보다 여아가 정서조절에 능숙하며, 정서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는 남아와 여아의 서로 다른 사회화 과정 때문이라 사료된다. 사회적 규범 이해도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아와 여아 모두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규범 이해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해진 규칙을 지키는 행동들이 습관화된 결과라 볼 수 있다. 또래관계기술은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또래 간 놀이에 참여할 때 경쟁에 몰입하는 행동들이 여아와 남아가 모두 비슷한 수준에서 나타났다는 송명자(199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연령집단과 성별의 상호작용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지능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K-WPPSI-Ⅳ 기본지표척도와 사회적 유능감간의 관계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먼저 언어이해와 또래관계기술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언어적 기술 수준이 높을수록 언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잘 전달하여 또래와 원만한 상호작용을 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시공간과 처리속도는 또래관계기술 및 사회적 규범이해와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시공간에 해당하는 토막짜기와 모양맞추기는 모두 지각적 조직화 능력과 시각 운동 협응력을 요구(한국교육개발원, 1987)고, 처리속도에 해당하는 동형찾기와 선택하기는 집중력, 정확성,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 시각적 협응력 및 정보 처리 능력이 요구된다. 이는 또래관계기술과 사회적 규범을 인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기억은 정서조절 및 정서성과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K-WPPSI-Ⅳ 기본지표척도 중 인지적 요인인 작업기억은 나와 타인(상황)을 동시에 이해하고, 자동적인 정서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활동이다. 이 때문에 작업기억이 높을수록 정서조절 및 정서성은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래관계기술과 사회적 규범이해는 전체지능과 다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다. 이는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인 요소가 큰 하위요인이 지능과의 상관이 유의함을 의미한다. 즉 지능이 높을수록 유아들은 원만하고,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유지하고, 또래문화의 사회적 규준을 더 잘 이해한다. 따라서 지능이 높을수록 또래 및 교육기관의 활동에 적절히 참여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이 더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간의 상관을 바탕으로 사회적 유능감의 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활동과 학습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추후 한국 규준으로 표준화된 K-WPPSI-Ⅳ와 사회적 유능감간의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문경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pac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these on social competence and the degre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310 copies of responses submitted by subjects in A province and B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17, 2012 to December 31, 2013, and explain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capacity of the subjects on soci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a hypothesis was proven in order to propose theore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in terms of the school life of the subjects. In the causal model of the study, the perceived capacity was decid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s mediating variables, and the perceived capacity of the subjects as a subordinate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academic and social proficienc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attitude, as variables of perceived capa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effect of social profic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d the largest effec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academic proficiency, as a variable of perceived capa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dership, agreeableness, and autonomy, as variables of social proficiency. In particular, the effect of academic proficiency on leadership and autonomy was the highest and life attitude as a variable of perceived capa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dership, agreeableness, autonomy, and openness as variables of social proficiency.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dership, extroversion, agreeableness, autonomy, and openness as variables of social proficiency. This study explain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erceived capacity on variables of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social support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proved mediating effects in order to present theore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relating to the school life of the subjects.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erceived capacity on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are presented as follow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social proficiency and agreeableness; physical proficiency and leadership, openness;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leadership, extroversion and openness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erceived capacity, psychological burnout on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material support,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erceived capacity on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material support are presented as follow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cademic, social, and physical proficiency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material support.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on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material support are presented as follow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utonomy, and openness; psychological burnout and autonomy according to material support. This study tested measurement instruments based on diverse variabl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analysed the causal relationship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hypothesi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academic, social and physical proficienc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attitude, as variables of perceived capacity, had effects on social proficiency as a subordinate variab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s mediating variables. Also perceived capacity had an effect on variables of social proficiency according to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Through the causal relationship, a significant fact on social proficiency was discovered and par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This study explained factors of social proficiency and presented practical suggestions for social proficienc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living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positive test of the social proficiency factors of the subject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political suggestions for the social pro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ubject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sports club activities and friendship ev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were able to tell their stories to others, ask for help, and deal with their own thoughts and tasks given to them. In terms of good attitudes and manners, their social proficiency increased when they had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ubjects, good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needed, which can lead them to hav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urth, through the expansion of students' relationships which are limited in school education,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gain emotional support after school should be created. Fifth, to effectively satisfy the needs involved with child care and education, education should be practical. Continuous education can not be expected after school for many different reasons. In particular, home education can not be satisfactory because of living conditions. To overcome such problems, continuous material support is needed. Visiting education services should be expanded, the educational systems of visiting instructors should be reinforced, investment should be made to support policy and differentiated service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ixth, multi-cultural education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multi-cultural values and attitudes and the democratic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As seen abov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provided suggestions on social welfare by analysing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capac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social proficiency.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지각된 역량지각, 심리적 안녕감, 심리적 소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의 정도를 규명해 보는 것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조사는 2012년 11월 17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45일간 A도와 B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310부를 본 연구의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인과모형에서는 독립변수로 역량지각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로는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을 설정하고, 종속변수로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인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 신체적 특성, 생활태도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인 학업능력이 사회적 유능감인 주도성, 온정성,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학업능력은 주도성과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인 생활태도가 사회적 유능감인 주도성, 온정성, 자율성, 개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사회적 유능감인 주도성, 외향성, 온정성, 자율성, 개방성 등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라 그 차이를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적 소진,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능력은 온정성에서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사회적 능력은 온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주도성과 개방성에서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특성은 외향성과 온정성에서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소진은 주도성, 외향성, 온정성, 개방성에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능력, 신체적 특성, 생활태도는 심리적 안녕감에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 생활태도는 주도성, 외향성, 온정성, 자율성, 개방성에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신체적 특성은 심리적 소진에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자율성에서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은 자율성과 개방성에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은 자율성에 물질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변수들을 토대로 측정도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독립변수인 역량지각인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 신체적 특성, 생활태도는 종속변수인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매개변수인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에 따라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과관계를 통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기존 연구들을 부분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 요인을 규명하고,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 검증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삶의 질 등에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서는 친구들과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또래관계 형성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일반 초등학생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 친교행사 등이 학교에서의 교육활동 프로그램 및 추진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친구관계가 원만한 초등학생은 자신의 이야기나 어려운 일에 도움을 청하는 것, 자신의 생각과 다른 일 등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태도가 온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항상 올바른 행동이나 예절 바른 마음가짐은 어려운 친구, 다른 친구들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루면서 사회적 유능감이 매우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을 심어줌으로써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스스로의 자부심과 만족감 등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학교에서 정규 수업시간에만 한정되어 형성할 수 있는 학생들의 관계형성을 확대하여 방과 후에도 학생들 간의 정서적 지원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다섯째, 다문화가정에서 자녀양육 및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욕구 충족을 위해서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학교에서의 정규 교육을 벗어나면 다양한 이유로 지속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생활환경의 여건의 이유로 가정교육 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이를 극복하는 것은 지속된 물질적 지지가 이루어져야한다. 가정방문교육서비스의 확대, 방문지도사의 교육체계 강화,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의 투자 및 서비스 중점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한국어와 한국문화중심에서 벗어나 다문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다문화 가치 및 태도 형성 교육과 차별화를 해석하기 위한 다문화 교육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다문화 교육에 적합한 민주적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위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본 연구는 다문화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사회복지실천에도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정영선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성향을 파악하고 유아의 조화로운 발달과 사회적으로 유능한 유아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우리나라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27명과 그들의 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Sparrow, Balla, Cicchetti가 1986년에 개발한 바인랜드 사회 적응행동 검사(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7)이 한국판으로 번안해 놓은 것을 이정선(1999)이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용 유아 기질 척도(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는 Thomas와 Chess(1977)가 뉴욕종단 연구를 통해 개발한 3세-7세 유아 기질검사를 고태순(1997)이 한국실정에 맞게 간편형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성향은 기분의 전환이 쉽게 잘 이루어지는 반면 낯선 사람이나 낯선 또래에 대해 쉽게 친숙함을 보이는 경향은 낮았다. 둘째, 유아의 기질은 선천적인 것이고 유전적인 것이므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평가에서는 교사의 교육경험과 가계의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의 평가에서는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세분화하면, 유아의 기질 중 대인관계적응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영역 중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수준은 사회적 안정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전환성은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on social competency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explore ways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7 children between age 3 and 5 with their mothers and teachers. To measure childhood temperament, Thomas and Chess's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Ko(1997) were used an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Sparrow, Balla, and Cicchetti's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translated and simplified by Lee(1999) were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1. 3 and 5 year old Korean children changed mood easily but less friendly with strangers. 2. Children's tempera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meaning children's temperament was indeed innate. 3. Among the surveyed demographic variables, household income was found to influence mot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children's age, sex, and birth order were found to influence teacher r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4. Children's temperament did influenc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Interpersonal adjustment" influenced "Social Activity", "Social Security", and "Cooperation". "Activity Level" influenced "Social Security", and "Change of Mood" influenced "Compliance to Social Rules".

      •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이명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과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부모와 교사의 언어통제 유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떠한가? 1-1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1-2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은 아동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3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강원도 C시와 H군에 위치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Bernstein(1971)과 Gumperz(1973)의 연구를 토대로 이상미(2008)가 구성한 26문항의 검사지를 부와 모 각각 사용하였고,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관한 질문지는 도혜숙(1996), 엄용숙(2013)이 재구성한 척도 15문항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유능감의 척도는 박금옥(1998)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척도를 초등학생들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한 한미현(2005)의 50문항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패키지 SPSS 18.0을 사용하여 자료 처리 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Chronbach’ 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 Pearson 검증, 분산분석(ANOVA:Analysis of Variance)의 F 검증, Sheffe 사후검증, t 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및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는 모두 지위 지향형, 인성지향형, 명령형 언어통제 유형의 빈도 순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와 교사와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지위 지향형 언어통제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아동이 성별에 따라 지각하는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보면 남자 아동의 아버지는 명령적 언어통제를 여아의 아버지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어머니와 교사는 남아와 여아에게 언어통제유형의 차이를 두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는 아버지는 아동의 대인적응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는 대인적응성, 주도성, 인기도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유능감 전체를 살펴보면 인성 지향형, 지위지향형, 명령형 언어통제 유형의 순으로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인성 지향형의 언어통제유형을 명령형 언어통제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였을 때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 및 교사가 인성 지향형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함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부모와 교사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language control patterns parents and teachers use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depending on those language control patterns, and purposes to suggest desirable language control types of parents and teachers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among children.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this research sets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language control types of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d by children? 1-1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parents and teachers?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applied to boys and girls in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parents and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efficacy according to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d by children?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father?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mother? 2-3 Is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language control patterns of teachers? Research objects to 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were 300 studen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city and Hwacheon gun, Gangwon province. The questionnaire used to examine language control patterns in this research is 26-question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Im Jeong-suk (2005), Jung Ji-yeong (2005), Oh Yu-ri (2008), and Lee Sang-mi (2008) who revised the 28-question scale for children constructed by Lee Gyeong-hi in 1993 based on researches of Bernstein (1971) and Gumperz (1973).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to examine their language control patterns was revised by me under the guidance of advising professor, using the scale of Do Hae-suk (1996) and Eom Yong-suk (2013) as the basis. The scale for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used i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n Mi-hyeon (2005) by revising the Social Capacity Scale developed by Park Geum-ok (1998) to make it suitabl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and various tests such as reliability coefficients, Chronbach’ α,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alysi), Pearson test, F test of ANOVA (Analysis of Variance, Sheffe test, t-test were performed.

      • 일반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 간의 관계

        이은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를 각각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알아보고, 일반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에 속한 일반유아 6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를 사용하였고, 일반유아의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Voeltz(1982)의 수용성 척도와 Berndt와 Perry(1986)의 친구관계지각에 관한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유수옥 · 이현숙(1999)이 유아대상에 맞게 제작한 도구를 이옥순(2004)이 수정 보완한 것을 다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일반유아의 성별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수용태도의 하위요소인 원외활동은 그 차이가 유의하였고 총점을 포함한 나머지 항목들은 남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일반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수용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 수용태도 간의 관계에서도 남아, 여아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유아 시기는 사회적 상황에 반응하는 많은 방법들을 배우고 시도하는 시기이다(Katz & McClellan, 1997). 따라서 사회적 유능감이 높다고 나타난 여아들에게 통합 환경 내에서 발달지체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그 유능감이 잘 발휘되고 발달되어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방법이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증진 뿐 아니라 일반남아의 사회적 유능감에도 관심을 갖고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중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차옥순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아의 성별, 외동·형제아, 그리고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삼척시에 위치한 5개 유치원과 5개 어린이집, 경상북도 울진읍에 위치한 5개 유치원 총 15개 유아교육기관에 만 2-5세 원아 495명(남242명, 여 25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어머니에게는 사회성 지도 검사를 실시하고, 해당 유치원 교사에게는 담당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평정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는 유아의 성별 및 외동·형제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의 차이는 조언/지지(F=2.60, p<.05), 감독(F=3.12,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조언/지지에 있어서는 5세 유아가 2세 유아보다 높고, 감독에서는 2세 유아에 비해 5세 유아와 6세 유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총점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t=-2.75, p<.01), 외동아와 형제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79, ns). 하위요인별로 알아보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정서조절(t=-3.27, p<.01), 또래관계기술(t=-2.14, p<.05), 사회적 규범이해(t=-2.57, p<.01)이었으며, 외동아와 형제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정서조절(t=-2.49, p<.05)과 정서성(t=-2.47, p<.05)이었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는 사회적 유능감 총점(F=3.80, p<.01), 정서조절(F=3.86, p<.01), 또래관계기술(F=4.55, p<.01), 사회적 규범이해(F=5.37,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 총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총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사회성지도의 하위요인별로 알아보면, 어머니의 조언/지지는 유아의 또래관계기술(r=.10, p<.05), 사회적 규범 이해(r=.09, p<.05)와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감독은 유아의 또래관계기술(r=.13, p<.01), 사회적 규범 이해(r=.11, p<.05), 그리고 사회적 유능감 총점(r=.12, p<.01)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age, children with and without siblings. Subject consisted of 495 2 to 6-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sampled from 15 kindergartens in Samcheok city and Uljin county, Korea.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Scale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and children with and without siblings. However, advice/support and monitoring in the sub-factor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young children's age. Seco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young children's gender,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iblings and age.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vice/support sub-factor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 and understanding of social norm(respectively, r=.10, p<.05; r=.09, p<.05). Also,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monitoring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r=.13, p<.05), understanding of social norm(r=.11, p<.05), and the total score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r=.12, p<.01)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its role in the soci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all childre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3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또래관계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4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규범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위치한 E유치원의 만 4세 유아 32명을 대상으로 16명의 실험집단과 16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혜(2009)가 개발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을 수정‧보완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9년 4월 1일부터 2019년 5월 3일까지 총 5주에 걸쳐 매 주 2회씩 총 10회를 진행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측정을 위해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해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유아미술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연친화적 유아미술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연친화적 유아미술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정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연친화적 유아미술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또래관계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자연친화적 유아미술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사회적 규범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을 위해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활동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e - 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we have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2.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y affect the sub-elements of social competence? 2-1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affect children's emotional status? 2-2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y affec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2-3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y affect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2-4 How does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affect children's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6 experimental group and 16 control group of 32 infants aged 4 in 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Gyeonggi -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ature - 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developed by Lee, Mi - hye (2009) o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19 to May 3, 2019 A total of 10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over a total of 5 weeks. In order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we used social competence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Lee, Hye-won(2005) and using Likert type 5-point scale, 5 points very, 4 points Yes, 3 points average, 2 points The score was scored as 1 point, not at all, and the total score was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ccurately,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 - test by covariance and analyzed the covariance (ANCOV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e - 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ure-friendly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nature-friendly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nature-friendly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bility, a sub-ele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the nature-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ch is a sub-ele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the nature-friendly children's art educa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which is a sub-ele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nature - 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hat there is a need to conduct nature - friendly art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정가영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hers as main caregiv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uture educational program and various measures for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studie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What is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mothers’ empathy,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2.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2-1.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cooperation? 2-2.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others? 2-3.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autonomy? 2-4.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330 3-, 4-, and 5-year-old young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private, public, and employer-sponsor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vis’s (1980)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Bryant’s (1982)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dapted and revised by Park (1997), were used to assess mothers’ empathy. To examine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present study used Cho’s (2007) modified questionnaire, which referred the previous studies claiming emotion regulation is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Moon, 1996; Salovey & Mayer, 1990). Also, Vineland’s (1979) Social Maturity Scale, which was revised by Hong (2012), was used to assess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First, descrip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articipants’ socioeconomic status. Based on the study ques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Lastly,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tatistical investigation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was used,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mothers’ affective and cognitive empathy increased,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 also increased. Furthermore, mothers’ empathy influenced children’s general regulation abilities, including self-regulation and others-regulation abilities. This indicates that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influence each other.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mpathy, mediated by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us, mothers’ empathy can foste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highlighted the role of mothers as important caregivers who foster young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future studies on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촉진시키는 어머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어머니에 대한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촉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이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후속 연구를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1.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유능감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유아정서조절 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1.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협동심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2.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타인이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3.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자율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4.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민간, 국공립, 직장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4,5세 유아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 33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공감능력측정은 Davis(1980)의 IRI검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검사를 박상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Goleman(1995), Saarni(199),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척도의 4개 하위영역중 자기조절과 타인조절 2개 하위척도를 예비조사를 거쳐 사용하였다. 이는 정서조절이 정서지능의 구성요소로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이라는 선행연구(문용린, 1996; Salovey & Mayer, 1990)에 기초한 것을 조인영(2007)이 수정한 것이다.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측정은 Vineland(1979)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홍진영(2012)이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한 후 본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했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 정서조절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후 통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능력과 인지적 공감능력이 증가 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협동심, 타인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은 모두 높아진다. 또한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자기조절, 타인조절을 포함한 정서조절능력 전체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유아의 정서조절은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발달시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적 관계에 있어서 매개변수인 유아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더욱 증진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사회성 증진을 위한 변인으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고 어머니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아의 성별, 어머니 학력,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 정서표현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상관이 있는가? 3.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배경,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 정서표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유치원:3기관, 어린이집:4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09명과 유아의 어머니 209명이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박수현(2004)이 제작한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박주희 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uss와 Plomin (1984)의 기질 척도의 하위영역 중 정서성 영역의 8문항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의 Self- Expre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의 간편형 척도인 Short Form of the SEFQ를 여은진(200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성별,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수입)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 ANOVA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 정서 표현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 정서성, 정서표현의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 어머니 학력, 가정의 경제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요인인 친사회성과 주도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친사회성과 주도성, 그리고 사회적 유능감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 정서표현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성과 어머니의 정서성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어머니의 정서표현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배경,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의 정서성․정서표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사회 인구학적 변인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nfluence of child's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child's social competence. The study's purpose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s there any differences of child's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child's 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economic level? 2.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hild's adjustability,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3. How much may be child's social competence influenced by demographic background, child's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s samples are five-year-old children i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3 kindergarten, 4 nursery)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09 children, and their mothers, 209 people. The emotional intelligence standard devised by Su-Hyun, Park(2004) was used for measuring child's emotion regulation, and the same age's competence standard developed by Ju-Hee, Park and Eun-Hae, Lee(2001) was used for measuring child's social competence. 8 questions of emotionality as sub-components of character standard devised by Buss and Plomin(1984) were used for measuring mother's emotionality. In order to measur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I used Short Form of the SEFQ, the simple standard of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devised by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Fox(1995) in U.S. and translated by Eun-Jin, Yeo(2009) in korea. The corr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8.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looking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bject,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obje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economic level), I carried out t-test and ANOV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I carried ou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child’s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child’s social competence, I carried 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child’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child’s 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economic level may be as follows. Female child are higher than Male child in reference to pro-social nature and initiative among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But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does not make meaningful differences. The higher household economic level, the higher figures of pro-social nature, initiative, and an overall social competence. Sociability among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has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household economic level, and pro-social nature and initiative also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household economic level.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may be as follows. There a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But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socail nature among sub-variable of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emotionality, and are no correlation betwee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influence of demographic background, child’s emotion regulation,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child’s social competence may be as follows. Demographic variables have a meaningful power of explanation about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hild’s adjustability explains meaningfully all sub-variables of child’s social competence, such as sociability, pro-social nature, and initiative. In addition, mother’s emotionality have a meaningful power of explanation about child’s social competence. But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does not have a meaningful power of explanation about child’s social competence.

      •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에서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상호작용의 비교

        고옥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에서 집단구성유형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이 사회적 유능감에 있어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1-1.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이 사회적 유능감에 있어 집단별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1-2.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이 사회적 유능감에 있어 성별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2.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서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2-1. 또래상호작용에 있어 집단별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2-2. 또래상호작용에서 미술협동작업 형태별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본 연구는 인천의 N, Y 두 유치원의 동일연령집단 20명, 혼합연령집단 17명등 총 37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영자·이종숙·양옥승 (1987)이 번안한 사회적 유능감 검사와 Holloway, Reichhart-Erickson(1988)의 또래상호작용 관찰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매주 1∼2회씩 7주간 총 12회의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때 사회적 유능감은 교사평정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또래상호작용은 시간표집법으로 한 유아당 9분씩 관찰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증과 χ₂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사회적 유능감 점수는 집단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혼합연령집단이 동일연령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결과를 보였다. 사회적 유능감검사의 하위영역에서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등에서 혼합연령집단이 동일연령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협조성과 순응성 등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집단별로 또래상호작용 행동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동일연령집단은 개별행동과 부정적인 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며 혼합연령집단은 긍정적 행동과 의존적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넷째, 미술협동작업 형태별로 유아들간의 또래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모든 미술협동 작업이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을 촉진하도록 구조화된 활동으로서 단기간의 활동만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래상호작용의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미술협동작업 A형태에서는 개별행동이 많았고 모든 형태에 걸쳐 혼합연령집단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보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통합적 미술협동작업은 유아들의 사회성과 또래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활동이며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때 미술협동작업이나 집단구성유형 모두 유아들의 사회성발달에 도움을 주며 효과적인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구성을 고려하고 이에 맞는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 등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same-age group and mixed-age group on cooperative art works. For this purpose, thre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group types on the integrated and cooperative art works? 2. Are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sex and group types? 3. Are there any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p types and types of art works? Thirty-nine children attending N and Y kindergarten in In-cheon were assigned as follows: 20 children in same-age group, 19 children in mixedage group. All the children took part in integrated and cooperative artworks, which took place one or two times in a week. They were examined for 12 times in 7 weeks. Social Competence(translated by Lee & Yang) was estimated through a test teacher rating test. Social Interaction was measured by using observation papers of Holloway and Reichhant-Erickson. Each child was observed for 9 minutes, based on a time sampling test.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t test and Χ₂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social competence. Children of mixed-age group show a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those of same-age group. Two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ocial stability, cooper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adaptability to social norms. Girls proved to be more cooperative and adaptable than boy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among groups. More individual and negative behavior appeared in the sameage group. Whereas children of the mixed-age group show more positive and dependent behavio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types of art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