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광역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영향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사회복지 공적전달체계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의 수준은 곧 사회복지 공적 서비스의 질, 클라이언트의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공적전달체계가 갖는 경직성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자유재량이 민간기관의 그것에 비해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연구는 필요성이 있지만 그동안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생각과 의견을 개방적으로 수렴하고, 정보를 넓게 공유할 수 있는 조직의 의사결정 창구와 통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 동료를 선택하거나 자신 및 직원을 평가하는 데는 자율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임파워먼트는 결국 파워의 개념에서 출발된 개념이며, 기관에서의 파워의 표출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자신의 의사를 행사하고, 기관의 정책이나 자신의 업무를 결정하는 방법이 임파워먼트를 행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민간 사회복지기관에서도 권력의 분산, 유연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의 일환으로 기존의 수직적 권력구조인 부 체계에서 수평적 권력구조인 팀 체계로 조직을 전환하고 있는 경향이다. 둘째, 공정하고 적절한 물리적, 정서적 보상체계의 확충을 들 수 있다. 현재, 경직되어 있는 동사무소의 예산편성 및 재정수준을 고려해 볼 때, 물리적 보상체계가 즉각적으로 확보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보상체계는 비단 물리적 수단뿐만 아니라 정서적 방법인, 지지, 격려, 업무에 대한 공정한 평가, 성과에 대한 칭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적절한 보상체계가 없이 강요당해야 하는 격무가 사회복지 마인드로 포장되었던 시대의 불합리성을 재 언급할 필요가 없이 합리적인 보상체계는 임파워먼트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직무수행변수와 관련하여,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업무지침서 개발, 정확한 업무지침, 상시적이고 지지적인 슈퍼비젼, 공식적인 직원회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현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의 수준은 심각하지 않은 수준이었지만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역할변수가 부정적인 영향을 행사하는 것은 사실이었다. 따라서 임파워먼트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임파워먼트의 상반된 개념인 무력감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무력감을 조성하는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의 상황들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앞서 제시한 조직전략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과중한 업무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직무수행변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역할과다가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자기개발 차단을 저해할 위험이 높으므로 이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개인특성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는,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즉, 장점·단점, 관심영역,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공식적 회의를 만들고 이를 통해 개인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는 업무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자신에 대해, 자신의 업무에 대한 평가 및 재조정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배치의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임파워먼트 실행계획서를 작성하게 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초기 연구이므로 임파워먼트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깊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앞으로는 사회복지 공공전달체계의 담당자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 who work at social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related to social worker's empowerment level. The paper, which demonstrates the positive profi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social worker's empowerment level, introduces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he total empowerment level of the respondents was 3.63(of a total score of 5.00) in average, which was quite high level. In the level of work relationships of empowerment, male reported higher score in the total empowerment score, and managers showed higher score than general social workers. In addition, the duration of employment at a current agency and salary level appeared to positively affect the total empowerment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o improve social workers' empowerment are as follows : In the individual dimension, social workers are required to have a strong self-identity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relentless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continuously. Furthermore, it is the members that cultiv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refore all member of the organization including the managers should have open-mind, the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in advance of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organizational dimension, the leadership of the manager is the most critical. To create th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he/she should give as many as opportunities to the social workers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to exert their ability. Moreover organizations should make great efforts to invent innovated organization models and theories, which combine the factors of effectiveness, professionalism, cooperation, consideration, growth, and self-development of the members together. In the institutional dimension,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leaders and social workers so as to create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with the help of systemic regular education and opportunities of exchanging information. Based o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t duty, the promotion must be guaranteed, an extra compensation should be formed and overwork by doing both their own works and other works together should be formed. And also we should develop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fit in our conditions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social worker's employment.

      • 맞춤형 복지팀의 직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환경 및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한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한 축인 공공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민원문제와 업무부담 가중으로 심각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 팀원은 민원인들의 부당한 요구, 적절치 못한 행동이나 폭언 등으로 인해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심리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 심리적 고통은 심각한 사회적·정신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맞춤형 복지팀원이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복지팀원의 소진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사회의 관심과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 직분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직무환경과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복지팀의 직무환경의 구성요소인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직무과다, 보상체계와 전문성의 구성요소인 실천가로서의 지식·기술, 사회복지가치와 윤리준수, 사회복지집단과의 동일시, 복지행정적 능력, 자율성, 사례관리역량, 소진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탈진, 성취감 감소, 비인격화를 가지고 각 변수간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직분이 직무환경과 전문성을 거쳐 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AMO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충청지역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442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전체와 99명의 통합사례관리사 총 541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다. 이중 342명이 응답하였지만, 본 연구목적과 부적합 응답자 16명을 제외하고 최종분석 대상자는 326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복지팀의 직분에 따라 소진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통합사례관리사보다 정서적 탈진, 성취감 감소, 비인격화 모든 하위요인에서 소진정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직분이 직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은 근무경력을 통제하면 달라진다.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통합사례관리사보다 근무경력이 길고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둘째, 맞춤형 복지팀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직무환경은 직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적 탈진과 비인격화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 있었으며, 성취감 감소와는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셋째, 맞춤형 복지팀 전문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전문성은 정서적 탈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은 성취감 감소에는 완전매개효과 있었으며, 비인격화에는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복지팀의 직분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통합사례관리사보다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에서 높은 소진을 보였으므로, 인력을 보강하고 사회복지 현장 경험자를 맞춤형 복지팀에 우선배치하며 힐링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분이 직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통합사례관리사보다 역할모호와 역할·직무과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모호와 역할·직무과다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의 영향으로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무분장의 명확화와 업무간소화가 필요하며, 복지급여 신청·접수와 일반복지업무는 기존 행정복지팀에서 담당하도록 업무를 재분배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직분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통합사례관리사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보다 전문성이 높고 전문성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특히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전문성을 점검하고, 신규 통합사례관리 담당자가 팀장이나 선임에게 슈퍼비전을 받으며, 멘토링제를 통해 동료나 선임에게 사례관리 노하우를 전수받고, 고난이도 문제는 외부전문가에게 컨설팅을 의뢰하는 전문사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경력을 높이는 전문직위제를 운영하여 일정기간 업무에 종사하도록 하고, 근무평가에 가점을 주어 읍면동에 근무하는 인사 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맞춤형팀장과 읍면동장에 대한 사회복지직의 임용목표제를 행정안전부 주관 지자체 합동평가지표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Social welfare officers in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is an axis of social welfare in Korea, are experiencing serious exhaustion due to complaints and work burden. In fact, recently, a team member of a customized welfare team in Eup-myeon-dong is often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unjust demands of civil servants, inappropriate actions or ranting, which can cause serious social and mental problems. In order for a customized welfare team member to successfully perform his / her work,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burnout of customized welfare team members, so social interest and policy alternatives are need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dsofJobposition of customized welfare teams in Eup-myeon-dong on burnou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environment and professionalis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analyzing the factors of job environment of customized welfare team such a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and work overload, knowledge and technology as a practitioner, a compensation system and professionalism, social welfare value and ethics compliance, identification with social welfare group, welfare administrative ability, autonomy, case management capacity, emotional exhaustion, reduction of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AMOS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underst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kindsofJobposition on burnout through job environment and professionalism. A total of 541 social welfare officers and 99 integrated case manag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Of these, 342 responded, but 326 were the finalists except for 16 respondents who were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kindsofJobposition of customized welfare team. Social welfare officers were more exhausted than integrated case managers in all sub-fa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reduction of sense of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influence of kindsofJobposition on the job environment is different by controlling the work experience. This is because social welfare officers have longer working experience than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have a higher working experience, they perceive it positive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customized welfare team, the job environ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in the effect of kindsofJobposition burnout, and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duction of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stomized welfare team, the professionalism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However, professionalism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duction of sense of accomplishmen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deperson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 kindsofJobposition of the customized welfare team affects the burnout, and since the social welfare officers showed higher burnout i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han the integrated case manager,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anpower and arrange the social welfare field experiencers first to the customized welfare team and carry out the healing program. Second, since it was found that social welfare staff had higher role mode and role and duties than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company, and the higher role mode and role and job task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exhaus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ork experience, it was necessary to clarify the division of work, and to ensure that welfare benefits application, reception and general welfare services were distributed by the existing administrative team. Third, kindsofJobposition affects the professionalism, and the integrated case manager has higher professionalism than the social welfare officer and the higher professionalism, the lower burnout. Therefore, especially, effort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social welfare officer are needed. Generally, as a way to increase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should be checked, new integrated case management personnel receive supervision from team leader or senior, receive case management know-how from colleagues or seniors through mentoring system, and establish and activate a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system that requests consulting from external expert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fessional position system to increase the work experience to engage in wor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give a point to the work evalua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personnel working in Eup-myeon-dong, and to include the appointment goal of social welfare workers for customized team leaders and Eup-myeon-dong in the joint evaluation index of local governments under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eywords:CustomizedWelfareTeam,KindsofJobposition,JobEnvironment, professionalism,Burnout, SocialWelfareOfficials, IntegratedCaseManager, Mediating Effect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김창희 삼육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사회복지직에 임용된 후 공적 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직업정체성 구성의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실천 경험에서 나타난 직업정체성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14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로 시·군·구청과 읍·면·동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자발적 지원과 추천으로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하였다. 자료는 일대일의 심층면담 위주로 하였으며, 관찰도 병행하여 구성했다. 면담 내용은 Strauss &Corbin(1998)의 근거 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 결과 257개의 개념들을 구성했고, 개념들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모아서 하위 범주화했다. 41개의 하위 범주들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다시 묶어서 13개의 범주들을 도출했다. 개방코딩 과정에서 구성한 13개의 범주들을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재배열하여 드러난 현상은 ‘직업정체성 혼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인과적 조건들은 ‘짓눌림’, ‘복지부동이 능사’이었다. 현상의 맥락적 조건들로는 ‘매너리즘’,타율적 업무관행’으로, 중재적 조건들은 ‘국가 복지 만능주의’, ‘복지의 최 일선 위치’, ‘공무원의 매력’이며 이들의 작용/상호작용 전략들로는 ‘추락 않고 버티기’, ‘동역자 연대’, ‘한계 뛰어넘기’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희망의 파지’, ‘자기만의 영토’로 구성되었다. 과정 분석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사회복지직 임용 후 공적 사회복지현장이라는 시간과 공간의 흐름의 구조 속에서 분석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상들이 발현된 후 ‘숙고 단계’, ‘현실 타협 단계’, ‘반성과 성찰 단계’, ‘역할 재구성 단계’의 네 단계의 경험을 했다. 숙고 단계에서 자기 직업에 대한 회의와 함께 이직을 심각하게 고려하기도 했다. 숙고 단계에서의 특징은 ‘정체성 혼란’과 ‘자긍심저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부정적 정서에서 회피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위 전략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숙고 단계에서 자신을 보호할 전략을 세운 다음 ‘현실 타협 단계’로 들어갔다. 현실 타협 단계에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공적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하나의 부품으로 살아가는 것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있어 클라이언트들은 아무리 정을 쏟아도 배반하는 존재였으며 변화의 가능성이 없는 구제불능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실천의 회의 지대에서 벗어나 역할을 재구성하는 단계로 진입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역할 재구성 단계’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하고자 했다. 그들이 생각하는강한 공무원은 권력을 지닌 공무원이 아니라 민원인에게 친절하면서도 그들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는 외유내강의 공무원이었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은 모든 민원을 다 해결해 줄 수 없지만 민원인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동시에 그들의 입장에서 그들과 삶의 방향과 기적을 함께 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러한 역할 재구성의 단계를 거쳐 희망을 파지(把持)하고 사회복지직 공무원으로서의 ‘자기만의실천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민원인의 작은 변화와 작은 성취에서 희망을 발견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이러한 변화는 미미한 것이었고 개입의실패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작은 변화에 희망을 걸게 되었다. 이 희망은 민원인에 대한 작은 변화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의미 구성으로 이어졌는데이러한 것들로 인해 애초에 가졌던 열정이 현실 속에서 도전을 받았지만 그것을극복하고 이긴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복지사로서 공적 조직 속에서 행정직 공무원과는 다른 자기만의 실천 정향을 구성하였다. 이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승진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내려놓기도 하였다. 물론 승진은 공무원으로서 바라는 바이지만 그것보다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소외되고 힘든 사람들의 삶을 개선시키고 돕는 일에 최 일선에 있다는 것에 대한 자각과 사명감이 다시 부활했다. 이러한 자기만의 영토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 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정체성 구성의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 핵심 범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한국 공적 사회복지의 구조적 모순을 온몸으로 버텨내며 인간에 대한 신뢰를 다시 회복하는 과정’으로나타났다. 위에서 언급한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공적 사회복지현장에서 나타난 직업정체성 구성의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따른 유형들을 분석한 결과 ‘현실절충형’, ‘전문성강화형’, ‘민원인지향형’, ‘일관균형형’ 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 속의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조건들이 상호작용하여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상황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과 가족 차원에서는 직업적 안정성 때문에 공무원을 선택했고 동시에 자기가 이 사회에 무엇인가 기여할 수 있다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길을 가는 것이라는 신념이 동요했고 이 흔들림의 주된 원인은 민원인들에 대한 신뢰의 상실 때문이었다. 하지만 일부 선배들이나 동료, 가족의 지지로 위로 받고 흔들리는 좌표를 일정기간 붙잡아 두기도 했다.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온갖 허드렛일로 봉사라기보다는 별 볼일 없는 공무원으로 받아들여졌고 권한도 없는 상태에서 민원인들의 뒤치다꺼리를 하는 직종으로 인식되기도 하였지만 의식 있는 지역사회 기관, 유지들과 연대하여 자원 개발과 문제 해결의 경험이 부정적 자기상을 완화시키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특히 지역사회 민간 기관 협력과 사회복지지사들의 자기개발노력, 전문성, 유연성 등을 배워야 된다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국가 사회 차원에서는 왜곡된 권리의식과 복지의식으로 국가가 모든 것을 다해주어야 한다는 국가 복지 만능주의가 공조직에 커다란 압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특별한 제도적, 정책적 고려 없이 속수무책으로 복지부동으로 나타나기도했다. 최선을 다하기보다는 중간만 하기로 하는 부정적 경험을 하였으나 개인차원에서 다시 재구성한 정체성은 흔들리는 이러한 실천 여정을 붙잡아 주었고 결국 작은 변화에 희망과 보람, 의미를 찾으며 다시 민원인에게서 미래를 발견하고 희망의 파지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 자기만의 특별한 영향을 찾는 자기만의 영토로 편입하여 들어간 경험을 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비록 국가나 조직이 자신들에게 신분적 안정감을 주었을지라도 국가 복지 만능주의에 대한 부정적 폐해들을 조직이나 국가가 막아주지 못하고 공적 복지의 최 일선에서 방패막이를 할 수밖에 없는 복지부동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또한, 재량권과 권한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과도한 업무와 획일화된 행정체계 속에서 복지의 방패막이 역할을 홀몸으로 막아내는 상황에서 좌절과 인간에 대한 신뢰감을 상실하는 위기를 겪었지만 자신들만의 개인적 차원에서 다시 재정립해가고 자신들만의 영토와 희망의 파지를 형성하고 회귀하여 정체성을 재구성했다. 비록 공적 복지현장에서공무원으로서는 부정적 경험을 하였으나 여기에서 머무르지 않고 자신들이 사회복지사라는 또 하나의 정체성을 붙잡고 자신들의 가치와 신념을 사람들에게서 발견하고 찾으려 노력했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험세계에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체험을 지향하면서 이러한 다양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흔들리는 직업정체성 구성의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임용 후 공적 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 직업정체성 구성의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을 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정체성, 부정수급자 적발과 같이 악역을 담당할 수밖에 없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자괴감에 대한 논의와 아울러 공적 사회복지제도에서의 낮은 지위, 전문성, 서류 만능주의, 민간 사회복지사들과의 협력, 작은 성취와 보람 경험, 공적 사회복지제도의 최 일선에서 방탄의 일을 수행한 경험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국가·사회적 차원의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되며, 직무소진에 따른 지지체계의 필요와 자살예방시스템, 승진이나 지위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폭력, 폭언 민원인에 대한 법적 대처 방안, 보수교육이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해 제안했다. 주제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공적 사회복지, 직업정체성, 직업경험, 정체성 혼란, 근거이론, 질적연구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김한덕 중부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 도입 30년을 맞아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등 일선 사회복지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65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를 알아보았다. 조사된 설문지를 토대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의 신뢰도는 Cronbach‘s 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각 변수들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충청남도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이직의도가 중간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나 안정된 근무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이직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연령, 결혼상태, 직급, 근무처, 근무경력에 따른 이직의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문화, 직무부담정도, 의사소통 순으로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의 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상의 적절성, 대인관계요인과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직무만족도는 이직의도와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었고, 자아탄력성 요인 중에서는 호기심만이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의 보상의 적절성, 의사소통, 대인관계요인, 직무부담정도, 직장문화 순으로 부의 상관이 높았으나, 직무의 불안정성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장문화에 대한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며, 직무부담정도,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다음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분담 및 역할과 깊이 관련된 사회복지전달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달체계 개편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진입단계인 사회복지직렬 공무원 채용시험에 사회복지학개론과목의 필수화는 물론 재직 중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육 및 훈련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다른 직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늦은 승진 등 불공정 인사의 불만 등을 제거하고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행정직 중심의 직장 문화개선이 필요하고. 다섯째,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경직된 조직문화의 개선과 함께 멘토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다양한 위험에 놓여 있음을 감안 그들이 겪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치유지원센터’ 설치운영 및 ‘감정노동 공무원 권리보호 등에 관한 조례’ 제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담당 업무가 대부분 국가 위임사무임을 고려할 때 국가직화 및 적절한 휴식 및 재충전의 시간인 안식년 제도의 도입과 직무만족도 제고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국내외 다양한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주어야 한다. With the 30th anniversary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 syst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ego resiliency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propose a policy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3 months from August 2018 to October 2018 on 365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sites such as community centers or administration welfare centers in the towns of Chungcheongnam-do. Based on the completed surveys,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and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by Cronbach’s coefficien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was verified through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Next,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on turnover intention. Lastly,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urnover intention of Chungcheongnam-do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was higher than average due to their job stress despite stable work environment. There were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ge, gender, marital status, job rank, workplace, and work experience. Turnover intention was highly affected by organizational culture, degree of job burden, and communication in order and higher job instability led to higher turnover intentio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wage adequ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anwhile,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nd only curios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factors of ego reliancy. Job satisfaction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wage adequacy,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burden, and organizational culture,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instability.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n workplace culture and completely mediated their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n job burde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turnover inten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roles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while improving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hat is deeply related. Second, a policy is needed to alleviate job burden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Studies” a mandatory subject on the public official recruitment test, which is an entrance to become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and actively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to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to establish their identify and develop professional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place culture of administrative jobs for the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to have confidence as professionals and lessen their complaints over late promotions compared to other jobs and unfair personnel appointments. Fifth, the stiff and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must be improv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should be encouraged to act as managers to be mentors. Sixth, considering that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are exposed to various risks, this study propose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Healing Support Center for Social Workers’ and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on the Protection of Emotional Labor Public Servants’ Rights. Lastly, it is necessary to make social workers’ job as a national position as most of their duties are assigned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adopt the sabbatical year system for an appropriate amount of vacation period,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ty.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특성과 임파워먼트가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천슬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thus promote their smooth performance as an integrated case manager.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istributed 204 questionnaires to Administration & Welfare Centers in 205 Eups, Myeons, and Dongs around the Chungcheongnam do where the Health and Welfare Team visiting was established except for the one where the investigator was currently working on August 1~12, 2022. A total of 176 were used in an analysis.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7.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female(64.8%), married(64.2%),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89.2%), and in their thirties(43.8%). As for their work characteristics, many stated that they were in Grade 7(50.6%), worked for ten years or longer(36.4%), and had a career of less than three years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68.6%). Of the respondents, 59.2% had ten clients or more on their integrated case management list. In the Visiting Health and Welfare Team, many team leaders worked in social welfare(56.3%), and many Dong officer leaders in administration(86.4%). Second, the study examined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found that they scored mean 3.48 out of 5 in it. Their scores in indirect service were higher at 3.51 than in direct service at 3.4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rank, and service career. Third,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scored 2.70 out of 4 i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service career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the work area of team leaders in the Visiting Health and Welfare Team at the Administration & Welfare Center. The analysis results of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empowerment show that they scored mean 3.39 out of 5 in overall empowerment, under which their scores were highest in the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t 3.48, which was followed by self-empowerment at 3.38 and the empowerment of changing relations with a client at 3.32 in the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mpowerm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rank, and service career. Fourth,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main factors and found that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gender, marital status, rank, service care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elf-empowerment,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empowerment of changing relations with a client. Finally, the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ir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examine their 40.8% explanatory power and found that influential variables wer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β=.172),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β=.304), and empowerment of changing relations with a client(β=. 290).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f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had effects on their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That is,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performed their roles better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better conditions of the organization managing case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e higher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changing relations with a clien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f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had effects on their role performance in integrated case management. Based on such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se management-friendly organizational impact of Eup, Myeon, and 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Second, organizational members of Health and Welfare Team visiting should be assigned as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personnel. Third, measures to protect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from client violence must be prepared. Last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ecognizes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respects the autonomy of their work. Keywords: Public Officials Exclusiv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al impact, empowerment, performance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role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특성과 임파워먼트가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통합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의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이 설치된 205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중 연구자가 재직 중인 행정복지센터를 제외한 각 행정복지센터에 204부의 설문지를 2022년 8월 1일~12일까지 배부하여 총 176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으로 여자(64.8%), 기혼(64.2%), 대졸 이상(89.2%), 30대(43.8%) 등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많았다. 근무 특성으로는 7급(50.6%), 업무경력 10년 이상(36.4%), 통합사례관리 업무경력이 3년 미만(68.7%) 등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많았다.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수는 10명 이상(59.2%), 찾아가는 보건복지팀 팀장 직렬은 사회복지직(56.2%), 동장 직렬은 행정직(86.4%) 등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많았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을 파악한 결과,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3.48점이며 간접서비스 역할 3.51점으로 직접서비스 역할 3.44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혼인 여부, 직급, 업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특성을 분석한 결과 4점 만점에 2.70점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통합사례관리 업무경력, 행정복지센터 찾아가는 보건복지팀 팀장 직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3.39점이며,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 3.48점, 자기임파워먼트 3.38점,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변화 임파워먼트 3.32점 순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학력, 직급, 업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주요 요인별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은 성별, 혼인 여부, 직급, 업무경력, 조직특성, 자기임파워먼트, 조직구성원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변화 임파워먼트 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40.8%이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은 조직특성(β=.172), 조직구성원임파워먼트(β=.304),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변화 임파워먼트(β=.290)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조합하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특성과 임파워먼트는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조직 여건이 좋고,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와 클라이언트 관계 변화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의 사례관리 친화적인 조직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의 조직구성원을 전문사례관리 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셋째, 클라이언트의 폭력으로부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보호해야 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업무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조직특성, 임파워먼트, 통합사례관리 역할수행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기 서울市立大學校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우리사회는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져 있고 그에 따른 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자들의 욕구와 기대도 날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도 비례하여 증대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수요와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가 된 것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시행과 시대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 및 복지서비스 기능 확대는 서비스 공급자와의 합의와 기대와 관계없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과도한 직무 부담으로 이어지는 사태에 이르러 결과적으론 전담공무원 소진의 정도가 심각함에 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복지서비스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로 강화되어 시민권으로 변화되고 확장되는데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현실을 뛰어 넘는 서비스 수요와 이해를 예측 못하고, 정책적 배려 없이 전담공무원 개인의 선택에 대한 사명감만을 강요하고, 의무와 희생을 바라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회복지사로서의 공공복리의 실천에 목적을 지닌 전담공무원은 의무감 및 사명감을 잃어버리는 것이고, 결과적으로는 복지수요자에 대한 무관심으로 될 수 있으며, 국가적으론 공공복리의 질을 떨어트리고, 복지의 질적 서비스 생산성이 감소되어 소기의 목적달성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적분야의 인적자원으로서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제도의 배경과 현황 그리고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양과 직무특성과 시스템이 주는 소진의 정도를 실태조사를 통하여 감소방안을 모색해보고 이를 통하여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기간은 2010 년 4월 19일부터 5월 10일까지였다. 일선 구청 및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총2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이중 150부가 설문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7개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Beta값을 기준으로 영향관계를 판단하였고, 연구가설 채택을 위한 통계적 유의도 t값을 기준으로 하여 p<0.05수준에서 최종적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무의 특성 및 업무량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각 각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소진을 종속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전제 7개의 연구가설중 3가지의 연구가설로 채택된 네 번째의 경우는 “직무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낮아질 것이다”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의 자율성 Beta값 .126임을 통해 소진에 대한 영향관계가 예상대로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통계치를 볼 때 T값 1.553에 대한 유의도 값이 유의확률 P〈0.05 이내로 포함됨으로 연구가설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적으로 자율성이 높으면 소진이 낮아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 번째의 경우는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 “직무의 피드백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낮아질 것이다” 직무피드백의 Beta값 .228임을 통해 소진에 대한 영향관계가(+)임을 알 수 있고, 본 연구의 통계치를 기준으로 볼 때 T값 2.911에 대한 유의도 값이 유의확률 P〈0.05 이내에 포함되므로 연구가설로 채택할 수 있다. 여섯 번째의 경우는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 직무의 업무량의 Beta값 -0.394임을 통해 소진에 대한 영향관계가 (-)임을 알 수 있고, 본 연구의 통계치를 기준으로 볼 때 T값 5.147에 대한 유의도 값이 유의확률 P〈0.05 이내에 있으므로 연구가설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량이란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업무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소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직무의 자율성과 직무의 피드백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낮아지고 업무량이 많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소진 현상은 이들의 과도한 직무의 양과 직무특성 변수로서의 직무정체성에 대한 인식정도, 직무의 피드백, 자율성 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적어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관해서도 매스컴이나 선행연구의 자료를 통해서 기 확인된 사항이며 소진과 관련된 대응방안을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한다면 그 첫 번째로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비례하는 만큼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물리적으로 늘어나는 직무의 양 만큼이나 사회복지공무원의 수가 고려되어야 내실 있는 복지행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기회 및 적절한 슈퍼비전을 통해 변화되는 시대흐름과 제도 속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 습득 및 지원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주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소진의 경감 및 해소를 위해서는 사기진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별정직공무원으로 출발하여 일반직으로 전직된 후에도 다른 일반직에 비하여 승진의 기회가 늦어 동일한 직급에서 장기간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 또한 소진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네 번째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영역을 공적부조의 조사, 관리의 선별적인 복지업무에서 보편적 복지 업무로 확대 지향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 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의 접목을 통하여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의 질을 강화시키고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에 다변화로 인하여 소진을 최소화 하고 예방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여러 차례 제안된 사항이기는 하지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본래의 목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사회복지전담기구의 설치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요청되며, 그 기대효과는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효율적 운용, 복지행정체계의 단순화, 시·군·구 복지조직의 전문성강화, 수요자중심 복지서비스 제공, 지역중심 복지실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social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their burnout kim, Seoung k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Concern for the welfare of our society and understanding of rising welfare services, and accordingly needs and expectations of consumers are also increasing, and this role of public social workers forced to boost the proportion is not well known. To meet these needs and the needs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high quality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public social worker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it's time to pay attention to.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nd the implementation period to meet the demands of social welfare reform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capabilities and expanding an agreement with a service provider, public social workers, regardless of expectations and duties of the excessive burden and ultimately lead to the situation and came to The degree of burnout as a serious, dedicated public servants are reached, it is true. Now, in the center of the welfare service providers to consumer-oriented service has been enhanced and extended citizenship plugged despite substantial changes in the real world beyond the forecast demand for services and not understand, without political consideration for the selection of individual commitment to a dedicated public servants only force and the hope is that duty and sacrifice. This is the practice of public welfare as a social worker with the objective of duty and commitment to the dedicated public servants will lose, and eventually can become indifferent to the welfare of consumers and the quality of public welfare state ultimately dropped,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decreased productivity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s. In this study, public sector human resource as the most critical roles are responsible for public social workers of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and status, and they are in charge of work quantity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he system is a burnout level of survey through looking for ways to reduce it by reporting it to provide high quality welfare services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2010 survey period 19 April to 10 May, respectively. Center front office, and such residents of public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deploye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150 additional questionnaires dual analysis was used to. In this study, 7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value of Beta determine the relation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hypothesi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value of t p <0.05 level in the final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nature of duties and workload, and system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each angle, and exhaus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verified by the premise of the snow 7, adopted three kinds of hypotheses in the fourth "The higher the job autonomy will lower the degree of burn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utonomy of the job burnout with Beta value is 0.126 as expected,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 can be proved. Also, when you view the statistics of this study the value 1.553 T value is also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probability P <0.05 are listed as included within the research hypotheses are to be adopted. Therefore, a high burnout job autonomy 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reduced and could indicate. For the fifth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s feedback will be lower the higher the degree of exhaustion," Job burnout through feedback, the Beta value is 0.228 impact on the relationship (+) can be proved, in this study When you view the statistics are based on the value 2.911 T value is also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probability P <0.05 are included within the research hypothesis can be adopted into. For the sixth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workload of job burnout on the Beta value is -0.394 effect relationship (-) can be proved, based on statistics of this study is to see the significance of T value 5.147 significant probability value of P <0.05 within the hypothesis testing, so can take up to. Therefore, the greatest impact on the workload, burnout is a lot of workloa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increased with the more can be exhausting. Ultimately, job autonomy and job feedback, the higher the degree of exhaustion with higher workload, the lower the degree of exhaustion was deepened. In summary, results so far, public social workers exhausted their symptoms of these variables, job characteristics, as an excessive amount of duties for the perception of job identity, job feedback, autonomy is concerned that such shows. Public social workers, at least with regard to exhaustion of the media and previous studies details of the data is verified through the stage of exhaustion and related countermeasures, if some policy recommendations as the first is proportional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welfare services as being of high quality In order to provide the political, physical, social as far as the amount of duties to be considered substantial number of civil servants to implement the welfare administration would be. Second, public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increases the opportunities for proper training and adequate super-vision of the era through the changes in flow and the system of public social workers to exercis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o manage and support he should be continued. Thirdly, reduction and elimination of exhaustion that is needed for morale. This happened after three further opportunities for promotion than the other three further delay long-term shift in the same position and situation, so this is also a major factor in causing burnout. The fourth business area, public social workers and public assistance for research and management in the universal screening of welfare services and welfare services will need to be oriented to the expansion. General administrative and social welfare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bined quality of service that people want to strengthen the work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due to diversification in the prevention of burnout can be minimized and the need to look into the room will be studied. Bottom line, although many times the proposed details of the original purpose of public social workers to return to the independent Social Welfare Task Force strongly request the need for the installation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efficient operation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s and welfare, city, county, district welfare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the organization, provides consumer oriented welfare services, local community and welfare will be able to realize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중심으로

        강점화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우리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문제는 보다 적극 적이고 강력한 힘인 국가의 차원에서 극복하려는 의지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사회복지정책이 성공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하여 이를 수혜자에게 전달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업무만족도에 관한 본 연구는 단순한 한개의 직종에 대한 업무 만족도를 조사하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복지수혜대상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이며 질 높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정확하게 조사하고 만족을 저해하는 요인과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6명의 사회복직전담공무원의 응답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값이 3.7449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직으로서 사회로부터 인정받고 있는 정도는 평균값이 2.5765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보람과 긍지는 평균값이 3.0153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희망의사는 평균값이 3.3418로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는 상사와 동료의 지지와 협조가 클수록 낮은 직무스트레스와 높은 보람과 긍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실제로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 그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환경과 업무환경 그리고 전문성발취정도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업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만족도는 성별과 학력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경력과 직급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을 실천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고 그것에 대한 계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인원을 확충하여야만 한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승진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Serious social problems have been occurring in our society these days due tn the rapid change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These social problems have required the will that our government, more positive and strong power, has tried to solved them. And the roles of public officials, who change the social welfare polices to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erve beneficiaries, are very important to perform these various social welfare policies success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that deal exclusively in social welfare is not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about an occupational category but to provide more efficient good quality services for welfare beneficiaries exposed to serious social problems by investigating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surveyed 302 Incheon metropolitan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and analyzed the data of 196 public officials of them by using SPSS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exactly and to propose the obstructiv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tress that public officials feel about their affairs was very serious as the average value of 3.7449 and the amount of recognition from our society was low as the average value of 2.5765. And the worth and pride as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was showed as the average value of 3.153 and the desired intention transferring to other occupations was the average value 3.3418. Second, i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the more the supports and associations of their superiors and coworkers, the lower the stress and the higher the worth and pride. And their working conditions showed as very poor. The degree of speciality as social workers in their practical process of affairs was showed as the average value 3.3980. This indicated that they didn't give full play to the speciality as social workers in their practical process of affairs. Third, it showed that these working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speciality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Fourth,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scholarship but ha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position. This researcher could know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d the obstructive factors that have to precede by the positive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will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m. First,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should be increased. Second, it should be possible that public of officials for social welfare give full play to their speciality. Third, the opportunity of promotion should be provided. Fourth, the opportunity of wid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강상석 예명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논문요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급속히 변하는 사회복지 업무 환경 속에서 전문직 사회복지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형성해 가면서 동시에 공직자로서의 긍지를 찾고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좀 더 나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가는지를 그 형성 맥락과 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와 사회복지 정책 및 제도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화해 내고 있는지를 이해하여, 보다 나은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겪는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시 지역에 근무하는 5급 이하 사회복지직 공무원으로서 10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8명으로, ○○시 및 ○○군·구에 본 연구의 주제에 적합한 연구참여자의 소개를 의뢰하여 추천받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 방법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 중에 나타나는 표정이나 행동 등의 관찰도 병행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및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자료를 분석한 절차와 결과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연구자는 원 자료(Raw Data)를 바탕으로 의미 단위 분석을 한 결과 251개의 개념들을 구성했다. 이 개념들 중 연구자는 상호 중복되거나 범주 밖에 존재하는 것들을 제거하고, 이를 요약하여 169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개념들을 하나로 묶어 37개를 하위범주로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37개의 하위범주 중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향성을 지닌 것들을 공통성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묶어 13개로 상위 범주화하였다. 이렇게 상위 범주화한 결과는 ‘공직에 대한 막연한 선호’, ‘공직 생활의 현실 인식’, ‘고립된 섬으로 존재하는 사회복지직’, ‘악성 고질 민원 견디기’, ‘질풍과 같은 최일선의 복지 현장에서 버티기’, ‘전문성의 장애물’, ‘타성에 젖어가는 사회복지직에 대한 갈증’, ‘공직을 지속하게 하는 동력’, ‘찾아가는 복지 제도의 허와 실’, ‘찾아가는 주민복지의 빛과 그림자’, ‘바람직한 사례관리 및 복지허브화 방향에 대한 의견’, ‘깊고 넓어진 업무 수행의 지평’, ‘시간이 약’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을 공직 초기, 중기, 현재 경력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면서 형성되어 가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공직 경험을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이유는, 이 분석 과정을 통해 직업정체성의 변화를 좀 더 깊이 있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탐색해 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 분석은 참여자들의 경험을 전담공무원으로 임용되면서부터 현재까지 시·공간적 흐름 속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6단계로 도출하였는데,「진입 단계」,「한계 인식 단계」,「업무 매몰 단계」,「대응 노력 단계」,「다차원성의 통찰 단계」,「역할 통합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의 얻은 연구 결과들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공적 사회복지를 수행함에 있어 공무원임과 동시에 사회복지사로서의 복합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이해와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직업정체성, 실천 경험, 역할 수행, 사례연구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주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경상북도 본청과 23개 시‧군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어느 정도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아울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반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정도는 어떠한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정도는 어떠한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는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에서는 20대가 40대보다, 20대가 50세 이상보다, 30대가 40대보다, 30대가 50세 이상보다 소진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 특성에 따른 소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직급에서는 9급이 6급보다, 8급이 7급보다, 8급이 6급보다, 7급이 6급보다 소진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기간에서는 4년 이하인 경우가 5년 이상보다 소진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도 12년 이하의 경우가 13년 이상인 경우보다 소진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과 관련된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근무기간, 경력, 정서적 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는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갈등, 업무량, 역할모호성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할갈등, 업무량, 역할모호성, 평가적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업무량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역할 모호성, 평가적 지지, 역할 갈등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 예방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역할갈등, 업무량, 역할 모호성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업무분담과 일반행정직 공무원들과의 업무중복이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 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관한 전문적인 지도와 감독이 이루 어져야 하며 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욕구조사, 사례관리 등의 업무관련 교육을 통하여 전문성을 강화하고 더불어 스트레스 관리 및 자기 효능 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들이 다른 외부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회복지전단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민간복지서비스 전달체계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the understanding of how much the social-welfare government officers in Gyeongsangbuk-do provincial and other 23 cities experience burnouts and also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in burnouts affect them. To put it concretely, I went deep into how characteristics of social-welfare offic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stress from their duties are like. Also I studied how encouraging their superiors, burnouts and duty stress regarding working for superiors and other co-workers affect social-welfare officers in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at analyzed the degree of burnout in metropolitan area, those in thirties undergo more than those in forties or fifties. The analysis of work condition shows officers with lower ranks undergo more burnouts, officers who worked less than 4 years undergo more than who worked over 5 years, and the ones who have less than 12 years of work experience under go more than those with over 13 years of experience. I analyzed interrelation of social-welfare officers' burnouts and other factors including age, time of employment, experiences, and how encouragements in emotional, physical, evaluative, informative ways are related dynamically to burnouts while confliction in different roles, amount of works and role ambiguities are related statically. Factors that affect social-welfare officers are role conflicts, amount of works, role ambiguities and evaluative encouragements. Among the rest, mostly amount of works influence on burnouts followed by role ambiguities, evaluative encouragements, role conflicts in that order. Thus, to prevent burnouts of social-welfare officers, their work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and certain system is needed which can reduce conflicts or repetitious works between them and administrative officers. For more, specialized instructions and supervision toward social-welfare officers should be implemented and retrained as well. Specialties will be reinforced through the education of desire inquiries and case managements. Furthermore, educating programs to enhance self-efficacy and abilities to control stress are needed to be provided. Certain working environment for social-welfare officer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any other factors. And also close cooperations with delivery system of private welfare services are shown to be needed.

      •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조주복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lient violence experience on exhaustion of public social workers in Wonju and Gangneung, and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by seeking ways to weaken the exhaustion of social welfare officers. For this purpose,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115 public social workers in Wonju city and 95 public social workers in Gangneung city using questionnaire roll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179 copies of the 183 copies collected from October 30 to November 15, 2016, were analyzed using SPS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ptimism, overwork,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The optimism of social welfare officers weakens the emotional exhaustion, but the overworking exacerbates the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hree sub-exhaustion factors. The number of clients exacerbates emotional depletion, conflict with clients decreased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emotional depletion, and dehumaniz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from clients on the exhaustion of social welfare officer, verbal violence weakened the burnout of the sense of accomplishment (B = 1.062, p <.001) by interacting with role conflicts and weakening the sense of accomplishment (B = -.354, p <.001) by interacting with optimism. Therefore, violence of the client is not a management factor to weaken the exhaustion of the social welfare officers who should mainly perform the face-to-face service with the welfare recipients at the front line, but it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must be managed. The role ambiguity or role conflict should be managed. In addition, a healing program for welfare officers who have been subjected to violence must be provided. 본 연구는 강원도의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을 대표하는 원주시와 강릉시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복지공무원들의 (직무)소진에 대한 클라이언트로부터 폭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소진을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작성한 설문지롤 이용하여 원주시 115명, 강릉시 95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10월 3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실시된 조사에서 회수된 183부 중 179부를 통계분석프로그램인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느끼고 있는 소진상태와 폭력실태를 볼 때,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그리고 성취감 감소의 평균값은 각각 3.34, 2.46, 2.61로 나타나고 있어 과거의 조사결과보다 소진정도가 약해지고 있다. 또한 폭력실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죽이겠다는 협박과 욕설이나 고소/고발 협박 등의 언어적 폭력이 167명으로 93.3%, 물건을 파손하거나 던지는 등의 비언어적 폭력이 90명으로 50.3%, 그리고 멱살 잡기, 뺨때리기, 주먹이나 발로차기 등의 신체적 폭력을 경험이 42명으로 23.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낙관성은 정서적 고갈을 약화시키지만 업무과다는 정서적 고갈을 악화시키고, 클라이언트의 수는 정서적 고갈을, 클라이언트와 갈등은 성취감 감소,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의 소진을 모두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대한 클라이언트로부터 폭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언어적 폭력이 역할갈등과 상호작용하여 성취감 감소(B= 1.062, p<.001)의 소진을 심화시키고, 낙관성과 상호작용하여 성취감 감소(B= -.354, p<.001)를 약화시키고 있어 복지공무원들의 소진에 대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언어적 폭력은 조절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체적 폭력은 낙관성과 상호작용하여 비인간화 소진(B= -.342, p<.001)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적 폭력도 조절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첫째, 본 연구결과는 민간사회복지사, 간호사, 119구급대원의 소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업무과다,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클라이언트와의 갈등 등의 변수들이 복지공무원들의 소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 입증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기여하였다. 둘째, 간호사, 구급대원, 사회복지사나 사회복지공무원의 소진에 대한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던 개인적 요인의 하나인 낙관성이 복지공무원들의 소진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앞으로 중요한 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폭력이 복지공무원들의 낙관성, 역할갈등과 상호작용하여 복지공무원들의 성취감 감소나 비인간화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폭력은 행정 최 일선에서 복지수급대상자들과 면대면 서비스를 주로 수행해야 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소진을 약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관리요소가 아니라 반드시 관리되어야 할 필수 요소라는 것이며 여기에 부가적으로 역할모호성이나 역할갈등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더 하여 폭력의 피해를 당한 복지공무원들의 낙관성 제고를 위한 힐링프로그램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