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학급경영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설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find out the way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has been in practice and indicated the differences from two groups: one taken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other not taken it.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two factors, the research has purposes to show some proper ways to improve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and provide them with proper materials for the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set up the following four hypothesizes below: First, does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have an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by gender,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the learners? Third, by the educational grades of the learners,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before and after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Forth, by taking classes from private institution including tutoring, what are the differences from before and after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For the research, the subjects are 68 learners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ksan City, Jeonbuk. They are in sixth grade and come from two classes; 34 learners each a class. The 34 students whom the author is responsible for as a homeroom teacher was decid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4 students became the controlled group,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o see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the author used for this research had been used before by Jinryoung Kim(1989) and Sunja Son(1993) and it adjusted in some part to learners from 4th to 6th grade. The survey consist of 6 categories :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class, settings of school, event of school and classroom,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peer group. To analyze the experiment, SPSS/WIN 12.0 was us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affects on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las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peer group and the settings of school in positive way, and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general. Secon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gender shows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and peer group. The most increased part that boys and girls both were satisfied with most is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part. Thir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learners' educational achievement shows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eacher and peer group. And the most increased part is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part. Among the middle class learners, the parts of teacher and settings of school increased but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hows nothing meaningful in the survey. Among the low class learners, the parts of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peer group and settings shows an increase and the most increased part is the satisfaction of the part of the “CLASS”. Forth,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by private institution lecture shows that the students taking lectures in private institu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class and the relationship, and the “TEAHCER” part increased most. The students not taking lectures in private institu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class, the relationship and peer group, and the “CLASS” part increased most. 본 연구는 사이버학급경영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이버학급경영을 실시한 학급과 실시하지 않은 학급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사이버학급경영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이버학급경영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학생의 학원수강 여부에 따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북 익산시에 소재한 C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학급 34명을 실험집단, 다른 학급 34명은 통제집단으로 정한 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학교생활만족도 검사지는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도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학급경영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학교생활만족도 전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후,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후 상위권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중위권 학생들은 교사에 대한 만족도와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학교생활만족도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권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넷째, 사이버학급경영 실시 전․후의 학원수강 여부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원수강을 하는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했다. 학원수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 교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고,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 방법과 교육적 효과

        오수진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사이버 교육은 더 이상 미래의 추상적인 교육방법이 아닌 현재의 또다른 교육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사이버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시-도 뿐 아니라 여러 교육관련 기관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16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이라는 사이트를 개설하여 무료로 운영하는 등 사이버 교육을 현 교육에 적절히 접목시켜 활용하여 있다. 여러 가지 매체 중에서도 요즈음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매체가 인터넷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과 자기주도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사이버 가정학습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하여 사이트의 운영 방법을 알아보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분석하여 운영 및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대전의 초등학생 5학년 60명, 초등교사 100명, 5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둘째, 교육자원의 공유를 통해 사교육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 주도,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통해 아동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기름과 동시에 사고하는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아동-교사-학부모의 연계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가정학습은 아동이 스스로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아동-교사-학부모가 연계되어 함께 학습하는 이상적인 학습의 형태로 거듭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아동-교사-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그러한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교사는 학교급에서의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적극 활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아동과 학부모 역시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습의 장인 동시에 대화의 창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활용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수학영역 일반영재학급과 사이버영재학급 운영에 관한 중학생의 인식 연구

        김말숙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operation of on-line and off-line math-gifted classes in a gifted education institute under the umbrella of a local office of education, to find out about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the way of managing those classe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ensuring the rational and efficient management of gifted classes. It's ultimately meant to make a contribution to boosting gifted education in our country. The research questions run as follows 1.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of on-line and off-line mathematics classes in a local gifted education institute by gender, academic year and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2.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and off-line mathematics classes in a local gifted education institute by gender, academic year and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3.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improvement of on-line and off-line mathematics classes in a local gifted education institute by gender, academic year and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1 students who included 208 in on-line classes and 383 in off-line class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different kinds of questionnaires that were respectively designed for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Win program.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frequency were obtained by background variables involving gender, academic year and academic field, and x2-test was utilized. The results run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anagerial state of the gifted classes, th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on-line and off-line classes regarded gifted people as ones who had a superb ability in a particular field and as ones who think creatively. Concerning what they received gifted education for, some of them viewed gifted education as a means to enter special high school and college, which showed that the goal of gifted education, which was to boost national competitiveness, was overlooked. Since 2006,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 of P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ots of students to receive cyber-gifted education at a small amount of budget, but that organization should channel more efforts into ensuring the success of on-line gifted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Second, in regard to the managerial effectiveness of the gifted classe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m, all the student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found gifted education to be of use to developing their potentials, and they had the biggest preference for experiential field study as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nstance, they had a liking for visiting different sport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or meeting with scholars. Specifically, cyber-correctional education allowed them to see repeatedly what they learn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and that served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Yet on-line education was just in the rudimentary stage, and the efficiency of on-line education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by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contents and providing students with good computers that aren't outdated. Third, concerning their needs for the management of gifted classes, they asked for immediate Q&A services over the Internet. And unlike face-to-face instruction, it's not quite possible to observe the feedback of students in off-line class. So teachers should make a thorough preparation for that. In particular, the gifted classes were managed in a stiff manner for the sake of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and that made the students feel inconvenience in attending their school. The flexible management of gifted classes should be guaranteed not to give them any inconvenience when they take a test at school or participate in school events.

      • 학부모 참여 중심의 사이버 학급운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문석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302

        학교교육의 기본 단위인 학급운영에서 교사, 학부모, 학생들 사이의 체계적인 의사교환 시스템의 구축은 학급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중요하며,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학급운영은 이를 위한 한 방안이다. 그러나 현행의 사이버 학급 운영시스템들은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의사교환을 위한 공간으로는 잘 활용되고 있지만 학부모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데에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행 사이버 학급운영 시스템들의 경우 학부모들의 참여를 위한 배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부모의 능동적인 참여를 고려한 사이버 학급 운영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사이버 학급운영 시스템에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들 사이의 상호 정보교환과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상담기능을 강화하여 학부모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급 운영 참여를 유도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well-organize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class operation, which is basic unit of school education, is important for educational guidance activity, and the use of cyber space is one way for this. The current cyber class operation systems are well used as a room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of the parents' voluntary participation for lack of a concern for the parents' participation. This thesis proposes components of cyber class operating system that consider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contains design and embodiment of it. The cyber class operating system that is embodied in this thesis lead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arents by reinforcing the counseling service that make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parents, and student.

      • 사이버 학급운영을 활용한 학급경영의 효과

        이은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lassroom management using the cyber classroom operation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activation of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The samples were selected in by the participants of cyber classroom management using ‘Chonbuk e-school’ as the target teachers and collected the materials 159 copies from them. In the students' case, 3 cyber classes managed by homeroom teacher and 3 usual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est the statistical x2 technique to significanc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think that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is helpful for forming a classroom community, improving relations with students' achievement levels, improving students' self-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hey recognize it makes students take pride in their teachers and talk with their teachers much more than before. However, most of teachers doesn't think it has a good effect on life guiding(students' living). The results tell us that directing students' living is still the difficult matter to become easy by cyber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more cyber-class students answered 'yes' about the following items than non-attendants in cyber class management. Love to their class, relationships with class teacher, learning attitudes, relationships with friends, solving personal problems, acquiring informations, teachers' role which students recognize. The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as well. Third, most of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s' role is important for smooth operation of cybe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y think the following factors are important. Good using of multimedia required to manage cyber classroom,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s for learning, rapid access between class teacher and students when students want to, much talk to promote intimacy with students, the ability to cope with rapid times changes, the rapid check about problems that occur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most of teachers answered they continue to participate in cybe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y want to recommend the cyber classroom management to other teacher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cyber class management could cope with the rapid changes of educational conditions. At the same time, it also was expected that if can be one of the alternatives to put up and support the status of public-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make a system for the activation of a cyber classroom management based on results above.

      • 소인수 학급의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이버어린이회의시스템 설계 및 구현

        조성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270

        This study aims to realize educational ways that are helpful to cultivate democratism of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iciency by overcom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solated students in the era of network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harmony and narrowing the differences by bringing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the opportunity of harmony to democrati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is, we implemented a children's cyber conference system that has been properly designed for the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in remote and isolated elementary schools. By introducing children's conference to the elementary schools, we could see how human-oriented democratic education is created among the children in their diversity and harmony. First of all, we made a children's cyber conference system, and applied it to two groups of children, i.e., one experimental group who is using the system and the other controlled group who is not using it. Then we compared them and performed t-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is proved to contribute to cultivation of democratism.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applying the system is a good way to make positive effects on cultivating children's democratic education by sharing their problems and experiences between urban students and rural students and even with foreign students. 본 연구는 다양성과 조화라는 교육적 키워드를 가지고 살아가는 네트워크 세대에 학생의 고립된 교육환경을 극복함으로 서로의 다름을 넘어 다양성의 이해와 조화의 기회를 민주주의 교육과정에 가져옴으로써 학생의 민주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방법을 실현해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으로 소외된 학교에 대한민국 교육과정에 맞게 설계된 사이버화상어린이회의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 절차를 갖춘 어린이회의를 초등현장에 적용 해봄으로써 다양성 속의 조화를 일궈내는 인간존중의 민주주의교육이 학생들 안에서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먼저 사이버화상어린이회의시스템을 만들었다. 그리고 난 후 이 시스템으로 공간적으로 떨어진 학생들과 화상 어린이회의를 해보는 실험집단과 일반학급어린이회의를 하는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민주성 함양의 변화를 살펴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로 떨어진 학생들과 어린이회의를 해보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민주성함양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적 상황을 극복하여 회의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이버어린이회시스템이 민주성함양에 매우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위 검증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주변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외국의 아이들이나 아니면 공간적으로 떨어진 도서 지역의 아이들과 함께 자신들의 문제를 나눠보고 민주적으로 실천해보게 하는 경험이 우리나라 민주주의 교육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 임을 입증하였다.

      •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원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99295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교육에 있어서도 기존의 전통적 면대면 수업과는 다른 방식의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는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기존의 소양 교육 위주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다양한 ICT 활용 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일종인 학급 홈페이지를 자발적으로 구축하여 학생, 학부모와의 대화 채널로 활용하거나 학습지도나 생활지도를 사이버 공간으로까지 확장하여 실시하는 교사들이 늘어가고 있다. 학급 홈페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이버 공간의 부정적 측면을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습의 장으로, 교사와 동료 학생, 부모님과의 의사교환의 장으로, 학습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업적 온라인 커뮤니티에 비해 몰입 요소가 부족하여 쉽게 식상해 하곤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충분히 도달하기 위해서는 몰입 요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몰입요소로 아바타를 활용하게 되었다. 한편, 초등학생들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과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부재로 인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자아의 확장을 통한 긍정적 사이버 자아를 형성하지 못하고 각종 사이버 범죄나 사이버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바타의 등장으로 기금까지의 사이버 자아 형성과는 다른 양상을 띄게 되었는데, 아바타는 현실 공간의 신체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익명과 실명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므로 건전한 사이버 자아를 형성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의도로 시작된 본 연구는 학급 홈페이지에 아바타를 접목하여 활용함으로써 학급 홈페이지에의 몰입 요소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와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급 홈페이지에 아바타를 활용하는 실험 집단과 아바타를 활용하지 않는 비교 집단을 구성하여 7주간 학교와 가정에서 학급 홈페이지를 사용하도록 한 후 몰입도와 사이버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실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몰입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홈페이지의 교육적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한 몰입 요소로써 아바타가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몰입도의 하위 차원인 집중, 자연스러운 수행, 내재적 동기에 대하여 아바타가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면, 집중과 내재적 동기에 대하여서는 아바타 활용 유무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자연스러운 수행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연스러운 수행 차원에서는 아바타를 활용한다고 해서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각종 활동들을 더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아바타의 유무보다는 웹페이지의 인터페이스나 도움말의 유무, 사용자의 ICT 활용 능력에 좌우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은 몰입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는데, 이것은 초등학생들이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학급 홈페이지에의 몰입도가 남녀 학생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초등학생들은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로 아직 성인들만큼 아바타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는 걸로 생각되며 남녀 학생들이 아바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홈페이지에서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이버 자아개념의 하위 차원인 자아정체감, 자기의식, 자존감에 대하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자기의식과 자존감에 대하여서는 아바타 활용 유무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자아정체감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은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써 학급 홈페이지와 사이버 공간 속의 자신에 대해 상황적 요인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자신을 지각하게 되고 자기 자신을 좋아하게 되는 경향이 생긴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바타를 활용한다고 해서 일관되고 동질적이거나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특한 사이버 자아를 구축하지는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성별은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는 남녀 학생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성별에 따른 몰입도에서와 마찬가지 결과로써, 초등학생들이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에 속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독특한 사이버 자아를 구축하는 데에는 다른 많은 변수들이 작용하고 있으며 더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몰입 요소로써 아바타가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는 것과 아바타의 활용이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사이버 자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t is demanding to grope studying method of way that knowledge information social arrival is different from class if is existent traditional face-to-face confrontation is in education. The importance about ICT practical use education rose in spot hereupon and various ICT practical use education is tried by self-examination about existent computer grounding education. Teachers who construct class homepage that is kind of on line community voluntarily and utilize this to conversation channel with a student, students' parents or extend studying guidance or educational guidance to cyber space and enforce are being on the increase. Class homepage can solved negative of cyber space in some degree naturally with on-line community, to place of practice about on line community to students, teacher and a colleague student, can be utilized to place of opinion exchange with parents and to place of studying. However, immersion constituent used to be surfeited easily because is lacking than commercial on-line community. In terms of is such, construction purpose of class homepage to reach enough immersion element need and used avatar on these immersion constituent. In the meantime, elementary students are revealed. shieldlessly various cyber crimes or cyber violence without forming affirmative cyber self through self's extension from cyber space by anonymousness of cyber space and absenc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moral principle education. However, had aspect that is different from cyber self formation until now by avatar's entrance on the stage, avatar was thought to help to act role such as body of actuality space and form wholesome cyber self because have middle nature of anonymity and autonym. This research that is begun by these intention wished to recognize about whether can do function as immersion element to class homepage and whether cause some effec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using avatar on class homepage. For this, after do to use class homepage school and home for 7 weeks composing testing group which use avatar on class homepage and comparison group which do not use. avatar, execute immersion degree and cyber self concept examination and analyzed result.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and experiment result, conclusion that get is as following. First, It was expose that it is in immersion degree by that use avatar and that do not in class homepage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avatar can do function enough as immersion element to achieve enough educational purpose of class homepage. If avatar analyzes effect that reach about concentration,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internal motivation that is low position of immersion degree, express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at use and that do not avatar about concentration. and internal motiv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about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Even though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uses avatar, can not achieve various activitys in class homepage more naturally. This is thought that is tended to influence in web page's interface or utilization of help, user's ICT practical use ability than avatar's utilization. Distinction of sex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 in immersion degree, this shows that immersion degree to class homepage which get as that elementary students use avatar is no difference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Difference is thought that is not to ideas which elementary students are thought that do not receive avatar seriously as adults vet as childhood of juvenescence and man and woman students have about avatar. Second, It was expose that it is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that use avatar in class homepage and that do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could confirm that can cause affirmative effect in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formation by using avatar in class homepage. If analyze result about Ego Identity, Self-Consciousness, Self-Esteem that is low position of cyber self concept, express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at use avatar and do not about Self-Consciousness and Self-Esteem but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about Ego Identity. Elementary students show that tendency that feel own continuously independently of situation about own of class homepage and cyber space substance and like myself using avatar occurs. However. it is been consistent even though. use avatar and copper qualitative be or confirm that. do not construct peculiar cyber self who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person can. However, confirmed that do not construct peculiar and consistent cyber self who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person even though use avatar. Also, distinction of sex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This shows that it is no difference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that use avatar in class homepage and that do not. Elementary students of this are thought as same result with immersion degree by distinction of sex that more times and experience need other much variables are acting to construct only own peculiar cyber self because belong in childhood of juvenescence. This is as same result with immersion degree by distinction of sex, Elementary students are thought that more times and experience need other much variables are acting to construct only own peculiar cyber self because belong in childhood of juvenescence. Through these conclusion, I could know that avatar acts enough as immersion element to achieve construction purpose of class homepage and that use avatar helps in affirmative cyber self formation of elementary students.

      •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자녀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 탐색 :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반폭력(Anti-bullying)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구영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34015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팬데믹 사태(Covid-19)가 장기화되면서 학교폭력의 비율은 감소하였지만, 사이버폭력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도덕적 이탈과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학생이 지각한 반폭력 학급규준(Anti-bullying)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탐색해보고,, 이러한 조절된 매개 모형에서의 성별 및 학교급의 차이도 추가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7곳의 5∼6학년 학생 229명, 중학교 6곳의 1∼3학년 학생 251명, 총 480명(여학생 46.9%)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보고 방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성별 및 학교급에 의한 변인들의 평균의 집단차이를 확인하고,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자녀의 도덕적 이탈, 사이버폭력 가해경험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에서의 성별 및 학교급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차의 경우 사이버폭력 가해경험,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도덕적 이탈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의 차이의 경우 사이버폭력 가해경험과 도덕적 이탈은 중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이 지각한 반폭력 학급규준의 경우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이탈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자녀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며, 이때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도덕적 이탈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덕적 이탈과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각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이 높은 수준일 수록, 자녀의 도덕적 이탈의 수준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자녀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을 높여주는 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효과는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수준이 낮을수록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에서의 학교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학교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남학생의 경우, 반폭력 학급규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반폭력 학급규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 집단일 때,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이 도덕적 이탈을 거쳐 자녀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정적인 간접효과가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여학생의 경우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이 높을수록 정적인 간접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도덕적 이탈을 통해 자녀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는 학생이 지각한 반폭력 학급규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이 도덕적 이탈을 거쳐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지각된 반폭력 학급규준과 관련하여 성차를 반영한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체계적이고 유용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Covid-19) prolongs, the part of the biggest change in interaction among adolescents was the change in communication from an offline space to an online space. In particular, due to the corona virus, non-face-to-face classes have increased and social distancing has been implemented, so the proportion of school violence as a traditional bullying method has decreased, but cyberbullying is steadily increasing. Compared to school violence that occurs in the existing school, bullying in cyberspace without restrictions of place and time can have a very dangerous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e parenting style of guardians at home has a lot of influence in various areas of adolescent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cyberbullying was more related to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of parents at home than other external factors.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parenting style leads to moral disengagement of adolescents. However, in Korea,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at home,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has been examined, and the anti-bullying classroom norm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lationships has a moderating mediating effect. There are limited studies examining the status quo, and studies exploring whether these moderating mediating effects are regulated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 We also want to check the gender gap and schoo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480 (46.9% girls) research on 229 students in grades 5∼6 from 7 elementary schools and 251 students in grades 1 to 3 of 6 middle schools. did First, the group difference of the mean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was verifi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methods,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 was confirmed, and the gender difference and school-level mediating effect in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explor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gender differences, boys'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moral disengagement, and negative parenting methods were higher than girls, and in the case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s, girls were higher than boys. Also, in the case of school-level differences, the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and moral disengagement were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the case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moral dis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at home and their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the experience.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nor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parenting style at home affected their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directly and through moral dis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this moral disengagement was regulated by the students'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 and this mediated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hrough this study, systematic and useful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epar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to prevent future cyberbullying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