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전문가로서 사서 역할에 필요한 계속교육 수요 조사 : 경기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정은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독서전문가로서 사서 역할에 필요한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110명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에게 있어서 전문성 발전을 위한 계속 교육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독서전문가로서 사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독서전문사서로서 전문성 향상을 위한 독서 관련 계속교육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독서전문가로서 사서에게 요구되는 독서 관련 계속교육 내용과 방식에 대한 수요는 어떠한가? 이를 토대로 경기도내 공공도서관 사서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여 116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61.7%), 내용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110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속교육의 참여율은 높지 않으나 그것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기회가 되면 교육을 받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독서전문사서는 공공도서관 활성화 부분에서는 문화·독서프로그램에, 독서문화 진흥 부분에서는 독서자료 및 독서프로그램에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여기고 있다. 셋째, 공공도서관 근무 사서들은 독서전문가의 전문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독서전문사서로서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계속교육 참여는 높지 않다. 넷째, 사서들은 독서관련 과정 중 실질적이고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실리적 교과내용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서관 활성화 및 독서문화 진흥을 위하여 독서전문사서를 양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독서전문사서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운영하되 교육 대상자의 요구에 맞춰 실무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실리적 내용으로 구성해야한다. This is a survey study over recognition on and demand for continuous education required for librarian’s role as a reading specialist. 110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are the subject of the survey. Research topic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Real ac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public libraries and their recognition on continuous education to develop professionalism 2. Recogni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public libraries on the role of librarian as a reading specialist 3. Real action of librarians working at publick libraries and their recognition on continuous education concerning reading in order to become a librarian specialized in reading. 4. Demand for contents and methods of continuous education concerning reading required as a reading specialist. 116 answer sheets were received out of questionnaires based on aforementioned topics to 380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i.e. receiving ratio of 61.7%). With the analysis on 110 answer sheets (6 answer sheets were excluded due to lack of suffici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ntinuous education though their participation ratio is not high. Their demand to be educated if possible is very high 2. Librarian as a reading specialist affects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ies and encouragement of reading culture. Cultural reading program makes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ies, and providing reading documents and reading program do to the encouragement of cultural reading. 3. Librarians working in public libraries recognize the professionalism and want to be equipped with capability as a librarian specialized in reading, while their participation in continuous education is not high at the moment 4. Among reading programs, librarians prefer contents which are practical, useful, and applicable in the field. Therefore, librarians specialized in reading should be produced for revitalization of libraries and encouragement of reading culture. For such production, programs to produce librarians specialized in reading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and provided. Moreover, the program should consist of contents practical and applicable in the field, which meet the needs of educatees.

      • 학교도서관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중학교 중심으로

        오경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6년부터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한 학습 환경과 문화공간을 제공하는 학교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사람들이 청소년 시기부터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이해하고, 나아갈 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자유학기제가 중학생들의 미래 진로 설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은 자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지역 중학교 4곳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학교도서관이 자유학기제 중심 활동인 진로 탐색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면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에 학교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을 제고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운영 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경기도 지역 두 곳의 학교를 선정하고 네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16일, 20일에 예비연구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4개 학교,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종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 관련 독서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 효과로 볼 수 있는 학생들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고,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은 진로 호기심과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서 협력 수업과 진로 관련 도서 제공 보다는 진로 관련 독서프로그램 및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둘째, 사서 역할 인식은 학교도서관 인식인 이용성, 필요성, 여가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탐색 수업 효과의 하나인 진로지식과도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이 학교도서관 인식 및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에 대한 인식은 학교도서관 인식 중 필요성, 여가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진로 탐색 수업 효과 중에서 진로지식, 진로 호기심, 사회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개인 특성의 영향으로, 남학생은 진로 호기심, 학교도서관 장소적 기능, 학교도서관 필요성인식에서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수준의 영향으로는 진로 탐색 수업 효과인 사회성과 학교도서관 인식인 여가성에서 경제수준 ‘상’인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및 사서의 역할 인식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 효과 및 학교도서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밝힘으로써, 학교도서관과 사서역할이 진로 탐색 수업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As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since 2016,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chool library, which provides a fair learning environment and cultural space to students, is attracting atten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search, because people usually begin to understand their talents and aptitudes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their future directions in their adolesc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on the class activities for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the heart of the system, by a questionnaire survey in 4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urthermore, We propose an enhanced role of school libraries and librarians for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chool libraries for their revitalization. Before the main study, we conducted a pilot study with four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ilot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91 students in four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s the main stud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programs in school library for supporting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eading program for career 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sociality, and the students’ club activities for career 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career-related curiosity and their awareness on school library as a place. Therefore, the reading program and the club activities influenced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ather than the school library cooperative instruction and collection development for career search. Second,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ian affected usability, necessity and leisure identity which were types of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Furthermore, it also affected career-related knowledge which was a type of impact of career search activities. Third, the perception on the school library as a place affected not only necessity and leisure identity which were types of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but also career-related knowledge, career-related curiosity and sociality which were types of impact of career search activities. Fourth,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career-related curiosity, perception on the school library as a place and necessity of school library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economic level, higher economic leve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sociality and leisure identity than other groups. As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librarians on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by a series of statistical tests, it has significance.

      •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정보봉사와 사서의 역할론

        송언경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0

        Today's information environment involves a variety of media ranging from means of simple communication to highly advanced computer telecommunication. Since it is an institution that should be sensitiv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environments, library needs to accept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dapt itself to related changes. Library is now required to change its functions and roles, becoming to be a critical institution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ibrarian's role changes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digital library establishment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1. To investigate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digital library theoretically 2. To examine new concepts and styles of library's information service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3. To propose the roles of librarians keeping pace with changing trends in information service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from local and foreign nations.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1. Librarians of digital library have the responsibility of helping library users who use contents of the institution. 2. Librarians must be expert in education who helps library users to find and utilize appropriate information. 3. Librarians should be a counselor and instructor who provides advice about strategies and procedures of search and evaluates the validity of information collected. 4. Librarians must be expert in electronic search, which should be done accurately in a shortest time. 5. Librarians should be an information mediator who guides library users to search systems and further provides advice about the application of searched information. 6. Librarians should be reinforc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main subjects of information. 7. Librarians need to be a cultural planner who seeks to determine what kinds and styles of cultural programs could be provided under the capability of their library. 8. Librarians should play a critical roles in managing property rights within the Internet environment, observing permits for library link sites and controlling sites linked to their library.

      • 교과교사의 이벤트와 협력수업에 대한 긍정적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9

        A school library is a where educational programs are operated and support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events and collaborative classes. To utilize the school library for its original purpose of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must recognize the roles and expertise of a teacher libraria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ositive experiences with events and collaborative classes and examine whether the factors coul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role and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Through the research, this study expects that the findings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eachers’ awareness of the teacher librarian when implementing the events or collaborative classes in a school library.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wo teachers in Seoul from June 2 to June 9, 2023.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pilot study resul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78 teachers from nine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ents influenced their perception of school libraries'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roles. Meanwhile, Event communication affected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role of school libraries. Second,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ve classes was high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roles, and collaborative class communication could have more effects on the informational roles. Third, as the perception of the events increased, they acknowledged the teacher librarians’ library and management expertise. The event communication affected the management expertise of the teacher librarians more than events perceptions.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class could significantly affect both the library and management expertise of the teacher librarians.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classes could ne more effective than the collaborative class communication to affect the library expertise of the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o improvi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the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as follows. First, since communication during the event process can make teachers recognize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role of the school library, it is necessary for teacher librarians to have activ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during the events. Second, in collaborative classes, utilizing communication factors could make teachers recognize the informational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promotion could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roles. Third,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events, the educational factors that teachers expect should be considered, and promotion could help reinforce the perception of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In addition, by utilizing communication factors in the ev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eachers’ perception that teacher librarians are experts in managing a school library.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management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can be reinforced if teachers recogn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lasse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aware of the educational impacts of collaborative classes by implementing and promoting the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factors of events and collaborative classes that teachers consider essential and derived specific measures to enhance the teachers’ perception by categorizing elements by identifying effect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학교도서관은 이벤트와 협력수업과 같은 다양한 교육활동의 전개를 통해 학교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지원해나가는 공간이다.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는 본래의 목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와 협력수업의 긍정적 경험 요인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이벤트나 협력수업의 진행 시에 교과교사의 인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앞서, 서울지역 두 명의 교과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6월 2일부터 9일까지 예비 연구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예비 연구의 면담 내용을 토대로 설문조사 문항을 개발하고, 서울·경기도 소재의 9개 고등학교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벤트의 인식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이벤트 소통은 문화적 역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협력수업의 인식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 역할, 교육적 역할과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수업 소통이 정보적 역할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이벤트 인식이 높을수록 도서관 전문성과 관리 전문성 전체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 중 이벤트 소통이 이벤트 인식보다 관리 전문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수업 인식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서관 전문성과 관리 전문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교과교사에게 사서교사의 도서관 전문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는 요인은 협력수업의 소통보다는 협력수업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대한 교과교사 인식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벤트 진행 과정에서의 소통은 교과교사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과 문화적 역할을 인식하게 하므로 학교도서관에서 이벤트 진행 시에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간 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협력수업 과정에서 소통의 요소를 활용하여 교과교사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 역할을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홍보를 통하여 교육적 역할 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이벤트 계획 및 진행 시에 교과교사가 기대하는 이벤트의 교육적인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홍보를 통해 사서교사의 도서관 전문성 인식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과정에서 소통의 요소를 활용하면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을 관리하는 전문인력이라는 인식을 증진할 수 있다. 넷째, 교과교사가 협력수업의 교육적인 효과를 인식하면 사서교사의 도서관 전문성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므로 협력수업의 실행과 홍보를 통해 협력수업의 교육적인 효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교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벤트와 협력수업의 요인을 밝히고, 이러한 요인이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교과교사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요인별로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역할인식이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구윤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School libraries are to contribute to educational purpose of schools. School libraries support school curriculum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collecting, organizing and preserving library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role of school libraries,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 libraries and teacher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The perceptions are also important as an outcome that indicates school libraries’ contributions to the schools’ educational purposes. These perceptions are based on that school libraries make unique contributions in fulfilling schools’ educational purposes. This can be shown as the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tied to why they use school libraries and what they gain from the use. However, research on how the perceptions are formed i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s roles on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Then, the study propose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based on the findings. A pilot study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ubject teachers from four middle schools in Incheon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7th and November 22nd in 2018 in order to determine feasibility of a full study and examine areas of considera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ilot study findings, and administered to 226 teachers in nine middle schools in Inche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library’s informational rol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followed by the educational role. Second, the effect of school library’s cultural role was present, but considerably smaller compared to the other two,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role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First,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can be improved by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al support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especially through individual support for students.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for individual students is a challenge for subject teachers in regular curricula; teacher librarians‘ claiming this role in library settings improves the perceptions on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based on the unique role. Second, teacher librarians need to improve school library‘s information services for teachers, utilizing training sessions for teachers on library resources in order to promote various channels of communication with teachers on education. School libraries should provide appropriate materials and adequate space for various forms of class activities that utilize library resour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the ways to improve perception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activities to advance school libraries by statistically testing the effects of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s role on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librarians’ specialties. 학교도서관이 존재하는 이유는 학교의 교육목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에 필요한 도서관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 보존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의 교수와 학습을 위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을 담당하는 일반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이러한 일반교과교사들의 인식은 학교도서관이 학교의 교육목적을 위해 쓰이며, 동시에 학교도서관이 교육목적에 맞게 기여했다는 성과로써도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학교도서관이 학교의 교육목적에 다른 교과에서 기여하지 못하는 고유의 기여가 존재한다는 것에 기반한다. 이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난다. 즉,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은 학교도서관 활용의 원인과 결과라는 측면으로 연결되기에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일반교과교사의 인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역할에 대한 인식이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역할을 교육적·정보적·문화적 부분으로 나누어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학교도서관 현장에 실제적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예비연구로 인천지역 네 개 학교의 다섯 명의 교과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7일부터 11월 22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가능성과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설계하여 인천지역에 소재한 9개 중학교의 교과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정보적 역할이 다른 역할보다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교육적 역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문화적 역할이 사서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다른 역할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과교사의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사서교사는 학교의 교육적 활동에 정보적 지원을 하고, 그러한 지원이 학생 개개인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어야 교과교사에게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별 학생에 대한 학교도서관의 교육지원은 일반교사가 교과를 통한 직접 교육활동에서는 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이를 담당함으로써 고유 역할에 따른 전문성 인식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서교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도서관 활용연수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사대상 정보서비스를 강화하여 교과교사와 교육을 주 내용으로 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형태의 활용 수업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자료와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위하여 일반교과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사서교사의 교육적 활동을 위한 전문성 획득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과 역할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설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03

        학교도서관은 학교의 교육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학생들의 학습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독서 및 리터러시 역량은 모든 교과 학습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교사들은 다양한 형태의 독서교육을 수행해 왔다. 독서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학교 구성원들의 독서교육 분위기 조성이며, 독서교육은 특정 교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범교과적인 성격을 지니므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의 또 다른 주체인 교과교사가 인식하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사서)의 역할 인식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사서교사가 진행하는 독서 수업을 중심으로 한 협력 독서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교과교사가 학교도서관과의 협력 독서교육을 시도하는 데 고려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협력 독서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학교도서관의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을 검토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사서)가 해야 할 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실행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역할 인식과 학교도서관 연수 참여 경험은 협력 독서교육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과 협력 독서교육 기대 효과 사이에서 사서교사(사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학교도서관의 이용 경험, 역할 인식과 협력 독서교육의 필요성 관계에서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협력 독서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사서교사(사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 활동에 정보적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 간담회 등의 도서관 활용 연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소통을 통해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를 제공하고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알려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학생들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담임교사와의 소통이 중요하다. 소통을 통해 담임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이 필요한 시기와 방법, 필요한 자료에 대해 협의하고, 정보를 제공한다면 사서교사(사서) 전문성과 학교도서관과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의 필요성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역할 인식과 이용 경험, 사서교사(사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사서)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장해숙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71

        전문 인력인 사서교사/사서와 보조 인력의 역할에 대한 자기역할인식과 상호역할인식을 교차 비교하여 상호 인식이 다른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학교도서관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 간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업무영역별로 적임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업무영역에서 대체적으로 사서교사/사서를 최적임자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의 담당업무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학교도서관의 관리영역 업무, 기능영역 업무, 교육봉사영역 업무의 인식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인식이 불일치하는 부분은 전문 인력과 보조 인력 사이에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한 부분을 의미한다. 학교업무를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일반교과 교사와 동등한 위치에서 교수학습의 능동적인 협력자가 되려면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가 필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