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마리아의 성령 강림 연구 : 사도행전 8장 12~17절을 중심으로

        김경호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919

        성령 강림은 사도행전의 신학과 역사의 중심이 되는 사건이다. 이는 오순절 사건으로 시작되었고, 복음이 전해지는 곳곳에서 동일한 역사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령의 역사는 교회사적으로 볼 때 오랜 시간 동안 동면 상태에 있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중생과 성령 침례는 동시적 사건이다.’라는 교리적 주장 때문이다. 그러나 성경은 예수를 믿고 거듭나는 중생의 체험과 성령 침례가 분명히 구별되는 사건임을 말해 준다. 특히 사도행전 8장에 나타난 사마리아 성령 강림 사건은 이를 보다 확실히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도행전 8장의 사마리아 성령 강림 사건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통해 성경 본문이 말하고 있는 바를 바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여러 주장과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마리아 성령 강림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추구한다. 사도행전은 “오직 성령이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 하신 약속과 성취를 주제로 함을 그 내용과 구조를 통해 알 수 있다. 사마리아는 유대를 넘어 땅 끝으로 가는 전환점에 위치한 중요한 곳이다. 빌립은 예루살렘에 일어난 핍박을 피해 사마리아에 내려가 복음을 전했고, 사마리아인들은 그 복음을 믿고 침례를 받는다. 그러나 아무에게도 성령 내리신 일이 없고 베드로와 요한이 와서 그들을 위해 안수하며 기도할 때 비로소 성령이 임하게 된다. 이는 ‘중생과 성령 침례는 동시적 사건’이라고 믿어 왔던 이들에게는 매우 당혹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이 본문을 난해 구절로 여기면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먼저는 사마리아인들의 신앙에 대한 논의가 있다. 중생과 성령 침례는 동시적 사건인데 베드로와 요한이 안수할 때 비로소 성령을 받는 것을 보니 원래 그들의 믿음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누가의 표현이나 여러 정황상 사마리아인들의 신앙이 잘못 되었다고 보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또한 사마리아라는 지역적 특수성 때문에 중생과 성령 침례가 구분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초래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사도행전의 많은 지역 가운데 유독 사마리아만이 특수하다고 볼 수 없고, 성경에 기록된 사건을 비정상적이라고 하는 것도 적절히 않다. 이외에도 사마리아의 성령 강림을 특수한 은사의 나타남으로 보거나 사도시대에만 한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그릇된 교리의 잣대로 성경을 왜곡하거나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히 13:8) 하신 말씀처럼, 성령의 임재와 역사도 이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마리아 성령 강림은 중생과 구별되는 ‘제2의 체험’이다. 예수를 믿고 거듭나는 중생의 체험도 성령의 감동하심을 전제하지만, 성령 받음은 성령의 감동하심과 구분되는 성령의 인침 곧 성령의 내주하심이다. 이를 보다 분명히 알고 성령의 역사를 사모함으로 기도할 때 성령의 큰 역사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The advent of the Holy Spirit is the theological and historical center of the book of Acts, which began as a Pentecostal event and worked alike everywhere the gospel was preached. However,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had been latent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One reason being the dogmatic assertion that regeneration and baptism of the Spirit coincide. However, the Bible states that the experience of regeneration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separate incidents. This is clearly shown in Acts chapter 8 through the receiving of the Spirit in Samaria. Hence, this study is an exegesis to gai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main text of the Bible concerning the receiving of the Holy Spirit in Samaria in Acts chapter 8. In addition, various related discussions and debates will be integrated. Through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book of Acts, we can know that its theme is God's promise and its fulfillment, namely,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has come up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es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 of the earth (Ac 1:8)" Samaria is the important turning point from Judea to the end of the earth. Phillip, avoiding persecution in Jerusalem, went down to Samaria and preached. Consequently, the Samaritans believed and were baptized, but they had not received the Holy Spirit yet. It was only when Peter and John visited and laid their hands on them that the Spirit finally came upon them . It must be quite perplexing for those who believe that regeneration and baptism of the Spirit coincide. That is why they suggest multifarious interpretations on this verse, considering this an abstruse one. First of all, there are controversial views on the faith of Samaritans. Some claim that regeneration and baptism of the Holy Spirit coincide leading them to conclude that a problem lay in the Samaritans' faith. They base their grounds on the fact that the Samaritans did not receive the Spirit until Peter and John laid hands on them. However, this argument is weak upon examining Luke's comments and various situations during that time. In addition, others claim that regeneration and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interpreted as individual incidents because of the regional peculiarity in Samaria. However, it is implausible that Samaria was particularly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Furthermore, considering a biblical incident an abnormality is wrong. Including those mentioned above, others claim the Holy Spirit's advent in Samaria was one of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His gifts and limited only to the era of apostles. This is, however, distorting the Bible using an improper standard of dogma and ignoring reality. As it is written, "Jesus Christ is the sa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Heb 13:8), the receiving and ministry of the Holy Spirit are the same today as they were two thousand years ago. In conclusion, the receiving of the Holy Spirit in Samaria is "the second experience" distinguished from regeneration. The first, which allows us to be born again by believing in Jesus, is also led by the Holy Spirit. However, receiving the Holy Spirit is different from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Spirit, rather it is the sealing of the Spirit, namely, the indwelling of the Spirit. When we clearly know this and earnestly pray longing for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we will be able to experience His great ministry.

      • 요한복음의 사마리아 선교이해 : 요4:1-42 중심으로

        유예지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요한복음 4:1-42을 중심으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사마리아의 선교 이해에 관한연구이다.

      •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해석

        임영자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919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누가복음에만 나오는 누가의 특수 자료이다. 우리는 위에서 다른 복음서 기자들은 소개하지 않은 본 비유를 누가는 왜 어떤 의도로 소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전까지 본 비유의 의도는 다분히 윤리적인 문제로만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과연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우리에게 주고자 하는 메시지가 오로지 ‘선한 사마리아인 법’ 취지처럼 ‘윤리적 이웃사랑’으로 한정된 것인지 알아보았다. 예수께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처음 말씀하실 때 담고자 했던 메시지, 비유를 받아 전하면서 초대교회가 예수의 메시지에 덧붙인 가르침, 그리고 비유를 마지막으로 편집하면서 누가복음의 저자가 내린 비유의 해석과 가르침을 찾아보고 그것이 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는가를 신중하게 고려하며 찾아 낼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었다. 그래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연구함에 있어 먼저 누가복음의 신학적 사유 속에서의 비유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누가의 문맥에서 분리시킨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어떤 의미로 해석이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단 알레고리란, 비유 그 자체를 역사적 상황에서 분리시켜 해석할 때 발생하는데, 우리는 알레고리적 해석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자칫 적용에 있어 적용자의 ‘마음대로’ 비유를 해석할 여지가 조금이라도 존재할 알레고리적 해석 방법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또한 예수님께서 등장시킨 사마리아 사람이 당대의 유대인 청중들에게 얼마나 충격적이었는가를 알기위해서 예수님 당대 유대인들과 사마리아인들과의 극심한 반목관계를 알아야했다. 소외받은 사마리아인들…. 누가는 이런 소외당한 부류의 사람들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그리고 호의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신약성서의 기자 중에서 사마리아인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단연 누가일 것이다. 누가가 사마리아인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관심은 다른 복음서 기자들과는 달리 누가만이 사마리아인에 관계된 이야기들을 여러 개 전해주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엿보인다. 본 논문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도 그 중 하나다. 서론에서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 법”의 취지를 언급하며 위급상황에 빠진 타인의 생명을 구하려는 인도주의적 행위라고 윤리적 규범의 잣대를 들이 대었다. 그러나 율법교사와 같은 유대인에게 가난한 자를 돕는 정도의 율법의 준수는 이미 익숙한 종교행위였을 테니, 예수의 비유가 단순한 인도주의를 계몽하기 위한 훈계라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 비유 해석사속에 사마리아인이 바로 예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 왔고 이러한 견해는 오늘날의 일부 학계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으며, 강도만난 사람이 바로 예수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오늘날의 통설은 이 비유는 사마리아인이 우리에게 국적이나 인종, 종교적인 장애물을 뛰어넘는 긍휼을 보여주고 있는 예화라는 것이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소개하고 있는 누가복음 10:25-42 이야말로 모든 비유들의 주요주제요, 예수의 가장 중요한 사상인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을 가장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본문일 것이다. 이 비유는 비유를 처음 읽었을 때 생각할 수 있는 것만큼 단순하지 않다. 다수는 “이웃이 누구인가?” 대해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것” 그러나 율법학자는 많은 학식으로 인해 비유의 깊은 의도를 간파했다. 그는 말로 대답하지 않고 비유에서 정체 “상처 입은 남자”, “도움이 필요한 사람”, “사마리아인” 이라는 대답 대신 “자비를 베푼 사람”이라고 대답했다. 물론 예수님은 그에게 어떤 것을 선택해도 좋은, 세 가지 가능성을 주셨다. 그러나 이 질문과 대답은 상호관계 속에서 더욱 강조 되었다. 각각의 사람은 이웃이 되기 위하여 이웃의 필요를 알아야만 한다. 그는 더 이상 사마리아인을 다른 종교적 문화적 사회의 구성원으로 단정 짓지 않았다. 그는 동정심을 보여준 사람이다. 이웃의 의미를 이해하고 또 결정하기 위하여 사람은 먼저 이웃이 되어야 한다. “이웃”을 결정하는 측면에서 사람은 강한 상호관계를 발견하고 사람은 먼저 이웃이 되어야한다. 율법학자는 그의 문화적 종교적 사회에 따라 사마리아인을 이웃의 범주에 넣지 않았었다. 그는 그가 늘 행하던 대로 ‘사마리아인’을 보았다. 그렇지만 그는 예수의 이야기를 통해 깨달았다. 그가 예수의 의도를 깨닫고 사마리아인을 이웃으로 받아들였음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모든 인간은 친구이건 원수이건 가치가 있고 충분히 평가되어야한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성서적 요구에 따라 예수는 그의 요점을 율법학자에게 충분히 네 원수라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강하게 명령하고 있는 것이다. 누가가 소개하는 이 비유는 이웃사랑의 실천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누가의 문맥 속에서 관찰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이웃이 누구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써 “우리의 이웃이 누구인가?”하는 이론적인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이웃임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인가?”하는 행함의 문제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누가는 그의 복음서를 기록하던 당시에 이 비유를 미움의 대상에까지 사랑의 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사랑의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사랑의 실천은 제한도 없고 대상도 없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가복음의 본문 속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부분’을 독립시켜 바라보고자 한 것은 예수의 비유가 단지 모든 유대인들이 다 알고 있는 ‘이웃사랑’의 계명 준수 단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멀고도 가까운 이웃인 사마리아인에 대한 한없는 긍휼함에서 비롯된 인간의 평등과 ‘하나님 나라의 윤리 선포’에 까지 이르는 것이라는 다드(Dodd)의 견해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누가의 문맥에서 예수의 비유만을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 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진위여부는 다루지 않기로 했다. 가능하다는 전제로 ‘예수의 비유 의도’를 이해하고 싶었다. 여기서 우리는 예수의 비유, 그것은 사회적·인종적 및 종교적 우월성을 저주하는 일종의 예수의 고발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수의 비유가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에 일관되게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사랑에 비춰보면 선한 사마리아인은 비유 자체(30-35절)는 ‘이웃사랑’이 아니라, ‘원수사랑’을 실천한 모범이다. 하나님 나라는 사랑을 실천하는 것으로 입증 된다. 하나님 나라는 결코 고정된 사회적, 윤리적, 인종적, 민족주의적, 경제적, 또는 종교적 경계선들이 없다. 그것이 바로 조건 없는 사랑이다. 명백하게 이 비유에서 사마리아인은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는 원수까지 고려한다. “이웃”의 개념은 청중들이 바리새인과 같은 구전 율법을 지킬만한 영웅을 기대한 반면 그들은 동정심을 보여준 원수에 의해 깜짝 놀라게 된다. “이웃”의 의미는 단지 가까운 사람만이 아니라 심지어 원수 까지도 포함되어야만 한다. “또 네 이웃을 사랑하고 네 원수를 미워하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마 5:43-44) 예수는 율법학자가 본질을 깨닫기를 원했다. “이 세 사람 중에 네가 생각하기에 누가 강도를 당한 사람의 이웃이 되어 주었느냐?” 율법학자가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하였을 때 이미 그는 “원수가 내 이웃입니다” 1세기라는 상황을 적절히 고려했을 때 “비록 내 원수이지만 내 이웃입니다”라고 대답한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는 누가복음에 소개되어 있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살펴보았다. 들어가며 말했듯이 ‘선한 사마리아인’이라는 단어는 ‘선한 사마리아인 법’과 같은 곳에도 쓰여서 이젠 모든 사람이 그 뜻을 미루어 짐작할 정도로 자주 입에 오르내리는 단어이다. 그렇다면 “네 이웃이 어려움을 당했을 때 도와야 한다.”는 윤리적이고 소극적인 뜻의 단어였을까? 이제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이 또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그런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하나님 나라의 윤리적 차원은 우리에게 사랑의 앎을 요구하지 않는다. 무조건적인 사랑 극적으로는 ‘원수까지’ 사랑하기를 원한다. 오늘날의 사회는 총구를 겨누지 않아도 자원과 식량도 무기가 되는 치열한 국가 간 부의 전쟁에 돌입하였다. 작게는 개인 이기주의부터 집단 이기주의, 크게는 배타적 민족주의나 국수주의 등 끝도 없을 것 같은 자기중심의 세계 속에서 이웃사랑의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에 그쳐야 하는 것인가! 아니 자기중심적인 가치관은 차치하고라도 이웃사랑의 관심은 우리에게 남아있는 것일까? 예수는 우리에게 이웃사랑의 실천을 요구하신다. 단순한 윤리적 실천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윤리 속에 전적인 사랑, ‘원수까지도 사랑하라’고 말씀하신다. 이제 이천년 전 예수님의 이웃사랑 메시지가 다시 한 번 모든 우리에게 도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복음서 속, 예수의 비유 중 가장 감동적인 이웃사랑의 이야기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댈 것이다. 이제 사랑 없는 세상에서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우화집 속의 미담 정도로 치부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이 패역하고 삭막한 세상에서 예수의 그 가르침의 실천이 다시 한 번 절실하게 요구되는 절묘한 타이밍인 것이다. 21세기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어떻게 순종해야 할 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속의 사마리아와 유대의 갈등 속에서 오랜 세월 남북으로 분단되어 갈등하여 온 우리 민족의 현실과 지금도 요원해 보이는 조국통일과 그 수많은 아픔 속에 고착되어가는 상호관심의 분단을 투영해 본다. 이미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앞으로도 남과 북의 분단이 계속 고착화 되어간다면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만 갈 것이고 어쩌면 우리의 후대들은 서로를 이방인 보듯 낯설어 하지는 않을까? 또한 누가가 그랬던 것처럼 꾸준한 관계회복을 추구하고 특히 이 비유가 지니고 있는 이방선교적인 관점으로 다가가서 북한 선교를 염두에 둘 때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반드시 되새겨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성서해석의 역사 속에서 많은 하나님의 사람들을 통해서 말씀하고 계시는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이 성경 해석자 안에 있어야 할 것이며, 성서 앞에서 해석자의 위치, 목회자로서 성서 해석에 임하는 자세와 준비된 성서해석자가 되어야 함이 중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 사마리아 오경 민수기와 신명기의 정경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황재혁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Until now, the Samaritan Pentateuch (SP)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due to lack of data and interest in Korea. However, after the discovery of the Dead Sea scroll(DSS), the West continu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SS and SP. As a result, researchers of SP in the West named the text of DSS 'pre-Samaritan texts' before adding sectarian alterations to SP.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pre-Samaritan texts is that it attempts to alter for harmonization so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the texts covering the same event. SP reflects this characteristic of pre-Samaritan texts, the most prominent books in SP that 'change to harmonization' are Numbers and Deuteronomy. Especially, in SP, there were usually altered to match up with the narrative of the desert (10-36 chapters) in Numbers and the sermon of Deuteronomy (1-3). This paper was studied the cannonical interrelation between Numbers and Deuteronomy in the Samaritan Pentateuch in contrast to the Masoretic Text(MT) and the Septuagint(LXX). First, Chapter I established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and Chapter II studied Samariatan's relationship with SP and its overall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I, the main text of Numbers in SP was studied, and in Chapter IV, the main text of Deuteronomy in SP was studied. In Chapter V, we looked at theological emphasis of SP. In conclus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SP as the cannon of the Samaritan provided a key basis for forming the religious community. 사마리아 오경은 그동안 국내에서 자료와 관심의 부족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서구에서는 사해사본의 발견 이후 사해사본과 사마리아 오경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로인해 서구의 사마리아 오경 연구자들은 사마리아 오경에서 종파적 특성을 가미하기 이전의 본문을 ‘원시 사마리아 오경’이라고 이름 붙였다. '원시 사마리아 오경'에서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원시 사마리아 오경’이 동일한 사건을 다루고 있는 본문끼리 모순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치화를 위한 변경'을 시도한다는 점이다. 사마리아 오경은 이러한 ‘원시 사마리아 오경’의 특징을 고스란히 반영하는데, 사마리아 오경 내에서 ‘일치화를 위한 변경’이 가장 두드러지는 책이 바로 민수기와 신명기다. 특히 사마리아 오경에서는 민수기의 ‘광야 이야기’(10-36장)와 신명기의 ‘고별설교’(1-3장)까지 ‘일치화를 위한 변경’이 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사마리아 오경에서 민수기와 신명기의 정경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를 사마리아 오경과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본문을 대조하며 각각 진행했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정하고, Ⅱ장에서는 사마리아 오경과 사마리아인의 관계를 연구하며 사마리아 오경의 개괄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사마리아 오경 민수기 본문을 연구하고, Ⅳ장에서는 사마리아 오경 신명기 본문을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본문을 대조하며 연구했다. Ⅴ장에서는 본문 대조 결과를 바탕으로 사마리아 오경의 신학적 강조점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사마리아 오경이 사마리아인의 정경으로서 사마리아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핵심 근거를 마련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사마리아 여인의 구원 이해(요 4:1-42)

        주선경 한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meaning of salvation in the discourse of the Samaritan woman. First, I examined what scholars have to say about the identity of the Samaritan woman. Most scholars forgive the sin of a woman who committed this discourse, and interpreted the sinful woman as the object of salvation. The reason was that the Jewish rabbis did not allow to marry more than three times and married up to five times under the Mosaic Law. But those with faith did not acknowledge this marriage. So, the fact that I married five times was a socially unconventional act. And, at six o'clock, it was interpreted that the act of bringing up the water alone by avoiding the eyes of others meant the Samaritan woman's sense of sin.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claim that the Samaritan woman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Samaritan history. The five husbands refer to five ethnic groups who married Samaritans and served Gentile gods. The limit of this symbolic interpretation is that the author did not allegorize the Gospels. Another interpretation is that it is a wordplay. In the Old Testament, marriage was used as a tool to explain God and Israel.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cholars who interpret Jesus as revealing his supernatural knowledge, focusing on the reason for calling him husband. The reason is that Jesus knows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amaritan woman as a divine being. However, it is not understood that Jesus invited her husband to point out the immoral life of the Samaritan woman. Because it does not fit the social situation of the first century B. C. in Palestine. Marriage was permitted up to five times in the Mosaic Law. Therefore, the law of Moses, which the ancestors of the women followed, influenced them. In this light, I hav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salvation of the Samaritan woman, the victim of the Mosaic Law. 본 연구는 사마리아 여인의 담화(요 4:1-42)에 나타난 구원의 의미를 밝 히려고 시도하고 있다. 먼저 필자는 사마리아 여인의 정체성에 대해 학자 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담화를 간음한 여인의 죄를 용서해주시며 죄 지은 여인도 구원의 대상이라고 해석하였다. 그 근거는 유대 랍비들은 세 번 이 상 결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모세 율법에서는 다섯 번까지 결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신앙이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혼인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섯 번 결혼했다는 사실은 사회적으로 전통에 어긋난 행동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여섯 시에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서 홀로 물을 길러오는 행동은 사마리아 여인의 죄 의식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였다. 다른 한편 사 마리아 여인을 사마리아 역사의 대표자적 모델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다섯 남편은 사마리아인들과 혼인하여 이방 신들을 섬기게 만든 다 섯 이방 민족을 가리킨다. 이러한 상징적인 해석의 한계는 저자는 복음서 를 알레고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해석은 언어유희라고 주장하기 도 한다. 구약성서에서 결혼 관계를 하나님과 이스라엘을 설명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달리 예수가 남편을 불러오라고 한 이유에 초점을 맞춰 서 그의 초자연적인 지식을 계시한다고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 근거 는 예수가 신적인 존재로서 사마리아 여인의 과거와 현재를 알고 계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마리아 여인의 부도덕한 삶을 지적하고자 예수가 남편을 불러 온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기원전 1세기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인 상황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모세 율법에 다섯 번까지 결혼이 허용되었 다. 그러므로 여인의 조상들이 따랐던 모세 율법이 자신에게까지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모세 율법의 피해자인 사마리아 여 인의 구원이 가진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종교다원주의 시대를 위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이해 : 相生과 正體와 召命의 言語로서의 比喩 理解

        박근호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8

        본 논문은 이 시대에 유용하고 생동감 있는 종교로서의 기독교의 전망을 예시해 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논문의 전체 구조를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의 학문적 연결이라는 2중 구조로 직조해 보았다. 그 출발점은 다원화 시대의 다종교 현상 속에서 기독교가 어떻게 성숙한 종교로서 타종교와 바람직한 관계를 가지며 세상을 향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 나갈 것인가라는 선교적 고민에서 시작한다. 종교다원주의 시대는 ‘종교간의 대립과 마찰’이 우려되고, ‘기독교 정체성의 혼란’이 야기되고, ‘선교의 신학적 기반의 흔들림’이 예견되는 시대이다. 이에 ‘타종교와의 상생’과 ‘자기정체성의 확인’ 그리고 ‘세상을 향한 소명’을 정립하는 것이 시급한 현실적 과제라고 생각하고 이것을 하나님 나라의 언어인 비유를 통해 세워봄이 논문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텍스트로 삼아 여러 가지 역사비평학적 얼개를 이용해 본문을 연구함으로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를 찾았으며, 한편으로는 그 결론을 적용해야할 오늘의 기독교의 당면현실로서의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으로서 현실적 갈등의 원인을 조명해 보았다. 이런 Context와 Text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의 메시지가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있어 ‘타종교와의 상생 관계’와 ‘기독교의 자기정체성 확립’과 ‘시대적 사명 구현’이라는 메시지를 골고루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이웃 사랑’(정체)과 ‘함께 살기’(상생)와 ‘소유 포기(자기 비움)’(소명)의 메시지를 가짐으로서 신학적 틀을 제시해 주고 종교가 마지막 비상구가 되어가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다원화 시대에서 의연하고 관용적이고 진실한 모습이어야 할 당위성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는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의 대화를 통한 공존으로 상생의 관계를 이루어가고, 하나님의 사랑의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에 뿌리박은 굳건함 속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아니하고, 시대를 향한 소명인 하나님의 선교를 쉬임없이 감당해 나아가게 하는 성서적 - 신학적 패러다임이 되기에 적합한 하나님 나라의 언어이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prospective of Christianity as a useful religion to render resourceful spiritual vitality for the contemporary age through understand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the language of our identity, saving and Calling. At the same time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was generated from the missionary trouble that we should undertake the characteristic mission for the contemporary world. In order to fulfill this object I will develop the thesis through double structures which is interconnected with th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oday many people are worrying about the advent of the religious pluralism; it may cause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s, lead to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and shake up the foundation of theology for mission. Therefore we should not only realize the urgent reality and undertake the task to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but also confirm our identity, and ultimately we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missionary task for the world. Considering these serious realities, I will try to reveal some settlements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as the language of God. For the purpose of the process, I selec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a text to present message for the settlements. Firstly I will seek to find 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God in analyzing the parable with the frame of the historical criticism, and secondly I will try to define the cause of religious troubles in this age in surveying the religious pluralism. To solve these problems seem to be one of responsibilities of the contemporary Christianity and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favorable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quiring into this context and text, I can find in the parable the relevant message for the co-existence with other religions, confi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n the age of religious pluralism. In other word the language of the parable presents the favorable theological framework for the religious pluralism with the messages of 'neighbor-loving as our identity,' 'co-existence as a saving,' and 'renouncement of possession(or self-vacancy) as the Calling.' These are expected to show the nature of the contemporary Christianity which it should offer with state, generosity, and truth when we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quest of the age requiring the religion the ultimate breakthrough to the solution. In conclusion, I presen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a relevant language of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a proper Biblical and theological paradigm for the Missio Dei of the contemporary age when we should not only try to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through dialogue but also we should not lose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rooted in Jesus Christ as the revelation of God's love.

      • 누가복음서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연구

        정대섭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918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기독교 역사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에 있어서 아주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자주 설교되었던 비유이다. 그러나 기독교 역사를 통해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이레니우스로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알레고리적인 해석에 의해서 오용되어 왔다. 그리고 지금은 “신해석학”에 의해서 도전받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각각의 부분들은 본래 연결되어 있지 않던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나는 대화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비유부분이다. 그리고 그들은 비유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인 상황은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누가의 창작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상황과는 무관하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신중한 연구는 우리에게 본래 비유가 대화부분과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비유는 역사적 예수의 사역에 근거한 것이지 누가의 창작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누가 10:25-37은 본래 하나로 된 단락인 것이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소위 “여행설화”(눅 9:51-18:14) 속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비유는 누가자료의 일부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비유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특징들이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여행단락이 복음서의 중심단락이며 대부분 “L"자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행설화는 누가의 신학을 잘 드러내준다. 따라서 선한 사미리아인의 비유가 다른 비유들에 비해서 누가의 신학과 누가 교회의 상황을 더 잘 드러내준다는 것이 본인의 주장이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누가교회의 상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추론해 볼 수 있다: 1. 누가교회에는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 사이의 심각한 갈등이 있었다. 2. 누가의 교회는 정체성의 문제에 직면했었다. 3. 누가의 교회에는 사마리아 기독교인들이 있었으며 누가는 사마리아 기독교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반영되어 있는 누가의 신학을 볼 수 있다: 1. 누가는 소유의 포기와 소유의 올바른 사용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2. 누가는 인종 등과 같은 차별의 폐지에 대해서 강조한다. 3. 누가는 원수 사랑을 명령한다.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was and is a very famous and frequently sermoned parable by many christians through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But through the Church History,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has been misused from Ireneus to 19C by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now it is challenged by "new hermeneutics".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s divided into two part which each part was originally not related. The one is conversation part, and the other is parable part. And they argue that the Historical setting around the Parable is not original but Lucan cre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ir assertio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must interpreted seperately from the setting. But the carefull reaserch o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revealed us that the Parable was originally united with the conversation part. And the Parable rooted into the ministry of the historical Jesus and not the Lucan creation. Luke 10:25-37 is originally united paragraph.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s placed in the so-called "travel section"(Lk 9:51-18:14) and it is a part of Lucan Document. These elements are very important character for the interpretation on the Parable. Because the travel section in the Gospel of Luke is make of center section of the gospel and mostly consist of "L", it is very well reavled Lucan theology. Therefore, my assertion is tha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presented Lucan Theology and Lucan church's setting very well than the other parables. Through the study o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we can conjecture the Situation of the Lucan church as follow : 1. There was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Lucan church. 2. Lucan church was faced with the crisis of Identity. 3. There was Samaritan christian in Lucan church and Luke was under the influence of Samaritian christians. And from the study o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we can see the Lucan theology reflected i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follow : 1. Luke emphasis the abandon of one's possesions and stress on the right use of one's possesions. 2. Luke emphasis on the abolition of distinction of rank, race etc. 3. Luke command of Enemy Love.

      • 신약성경의 사마리아 연구 : 성경과 제2성전기 유대교 문헌의 사마리아 본문연구

        나평안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18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약성경에 나타난 사마리아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과 함께 제2성전기 유대교문헌을 연구함으로써 진행되었다. 신약성경의 배경문헌이 되는 구약성경에서 사마리아는 하나님 앞에서 범죄하고, 심판을 받게 됨에도 불구하고 회복과 긍휼의 대상으로 예고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2성전기 유대교문헌의 왜곡된 시선 속에서 사마리아는 배척과 무시의 대상이 된다. 신약성경에서 완결적으로 확인된 사마리아는 예수님의 인정을 받는 곳이고, 사도들의 복음 증거가 이루어지는 곳이 되며, 예수님의 예고대로 이방(열방)의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주체가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 사마리아에 대해 일관되게 연결해서 보고 있는 관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신약성경에서 확인되는 사마리아의 성격과 특징에 대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것은 멸시와 배척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이 하나님의 주권적 구원계획 안에서 회복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Research on 'Samaria' in the New Testament: Research on 'Samaria' Text in The Bible and Jewish Literature in the Second-Temple Period) is to understand Samaria in the New Testament. This has been done by examining Samaria in the Bible and Jewish literatures in the Second-Temple Period. Upon examination of the Old Testament that is a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the restoration of Samaria was noticed despite the sins of Samaria and the judgement on Samaria. Through Jewish literatures in the Second-Temple Period, however, Samaria was ignored and excluded by Jews in distortions. By contrast to the Jewish literatures in the Second-Temple Period, Samaria achieved recognition from Jesus in the New Testament. It also became the place where apostles evangelized. Furthermore, it carried out the mission that became the light among the nations. Through this research, a coherent view on Samaria is identified between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 Samaria in the New Testament is also unambiguously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the valuable grounds that the object which could be despised can be restored in the sovereign salvation plan by God.

      •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연구 : 내러티브 장면 분석 방법으로

        오영출 개신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1918

        A Study o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Using a Narrative Scene Analysis Method Oh, YoungChool Ph.D. in NT Theology The Reformed Graduate University Until Jülicher published the first volume of "Die Gleichnisreden Jesu" in 1888,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without finding meaning in the text, became mainstream. However, after Jülicher declared that Jesus' parable was not an allegory but a parable, many scholars approached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morally, ignoring the intention of Jesus Christ as a speaker and 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Gospel of Luke.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representative metaphors of the bridegroom and bride, the shepherd and the sheep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Jehovah God and Israel's peopl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e tha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s an image of the realization of the prophecy of the coming of Jehovah's God as the shepherd, prophesied in Ezekiel 34:15.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word "katevdhsen"(bound up), which describes the process of a good Samaritan healing a man who fell into the hands of robbers. For, in Ezekiel 34:16, the expression "bind up" uses "ha-bash"(vb'j;), which is translated as "katadevw"(katadeό) in the Septuagint. To prove this, this paper proposed a scene analysis method, and by applying the scene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od Samaritan metaphor reveals the image of the shepherd.  In addition to the scene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od Samaritan metaphor represents the image of the shepherd through the literary device prepared by Luke. The literary device used by Luke serves to prevent moral access to Luke's special material, the Good Samaritan parable. In appearance, the eternal life narrative of a ruler and the eternal life narrative of a lawyer appears to be the same question. However, the eternal life narrative of a ruler deals with the ontological question of "what kind of man is saved?"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arrative of the eternal life of a ruler, the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must be a Christological approach, not a moral approach. Since the parable is a story completed itself, it is easy to become out of context when interpreted as the parable itself without connecting with the Old Testament. This paper Christianly approaches the good Samaritan metaphor in terms of that of the shepherds and sheep in the Old Testament. Keywords: Metaphor of the Good Samaritan, Scene Analysis, Shepherd and Sheep, katadewv , ha-bash, שבח. 복음서에서 예수님의 비유는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한다. 누가복음에서 가장 대표적인 비유는 탕자의 비유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이다. 율리허가 1888년 "예수의 비유 말씀"이라는 책을 발표하기 전까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해석함에 있어서 본문으로부터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본문 안으로 의미를 부여해 넣는 알레고리적 해석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율리허가 예수님의 비유는 알레고리가 아니라 비유라고 선언한 후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이 화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의도와 누가복음의 문학적 구조를 무시하고 도덕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여호와 하나님이 친히 목자로 오셔서 양들을 돌보며 먹이시겠다는 예언(겔 34:16)의 말씀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실현되었음을 드러내는 이미지임을 입증하는 것에 있다. 구약성경에 여호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 신랑과 신부, 목자와 양이라는 대표적 은유가 있다. 본 논문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목자와 양으로 표현된 은유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음에 초점을 맞추었다. 화자이신 예수께서 율법사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본 논문에서는 선한 사마리아인이 강도 만난 자를 치료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싸매고"(katevdhsen)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왜냐하면, 화자이신 예수께서 사용한 "카타데오"(katadevw)라는 단어는 목자의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는 에스겔 34:16의 "싸매 주며"(שבחא)라고 표현된 히브리어 "하바쉬"(שבח)의 칠십 인 역의 역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내러티브 장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목자의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누가가 준비한 문학 장치를 통하여 화자이신 예수께서 도입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행위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을 표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누가는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나인 성 과부의 죽은 아들을 살린 이야기와 예수께서 베다니에서 왕으로 즉위한 이야기와 문학 장치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누가가 사용한 문학 장치는 누가의 특수 자료인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도덕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가는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습니까"라는 율법사의 질문과 똑같은 질문을 한 어떤 관원의 영생 내러티브를 다루고 있다. 외형상 율법사의 영생 내러티브와 어떤 관원의 내러티브는 동일한 질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떤 관원의 영생 내러티브는 "누가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라는 제자들의 질문을 통하여 존재론적인 질문으로 전환된다. 이 존재론적인 질문은 어떤 관원의 영생 내러티브가 기독론적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해석도 도덕적 접근이 아니라 기독론적 접근이 되어야 함을 밝혔다. 비유는 그 자체로 완성된 이야기이므로 구약성경과 연결하지 않고 비유 그 자체로 해석할 때 탈 문맥화가 되기 쉽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에스겔 34:16에 근거하여 목자와 양이라는 이미지를 잘 드러내고 있는 본문임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