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공간디자인의 비물질화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강은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인간의 사상과 가치를 지배했던 과학적 방법과 지식, 물질적인 진보에 대한 신념이 재평가를 받으며, 최근 수년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1968년 한스 홀라인의 ‘모든 것이 건축이다’ 라는 선언적 주장은 건축에 있 보다 개념적이고 현상적인 영역으로의 물질화로서, 물질적인 구축만이 아니라 비물질적인 구축도 건축공간으로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간은 더 이상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근대의 절대적인 시. 공간의 실체를 구성했던 절대개념과 객관주의를 현대에 이르러 상대성 이론과 양자론의 등장으로 인해 새로운 의미구조로서 보여지게 된다. 이것은 20세기의 과학적 세계관이 절대적 개념에서 상대적 개념으로 전이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절대 시. 공간 개념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의 차별적 구조도 없어지게 되었다. 이는 정신적이고 직관적, 종합적인 패러다임으로서 세계를 통합된 전체인 전일체로 보며 조화를 추구하는 인식이다. 특히 80년대 이후의 현대 실내건축 및 디자인은 여러 가지 이질적이고 다양한 경향이 혼성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재료의 표현이나 공간의 기능, 그 곳에 수용된 프로그램을 재해석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패러다임은 환원적인 물질의 개념이 아닌 비물질성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현대문화를 담는 텍스트로서, 현대 실내건축 공간에서의 비물질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그 다중적인 의미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광범위한 연구와 개념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적이며 항구적인 실체로서의 구축공간이 비물질화 되어가는 경향에 접근하기 위하여 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힘입어 이후 양자역학, 전자이론과 현대철학에 의한 영향, 그리고 현대에 들어 컴퓨터 공학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 등이 현대적 상황에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는 1980년대 이후의 건축 상황에서 쓰여 지는 한국 실내디자인학회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비물질’, ‘비물성’ 의 키워드를 가진 논문들 67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비물질화 공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물질화의 일반적 고찰을 각 분야별로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둘째,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그 방법을 살펴보고, 분류하여 이를 각각의 유형별로 그래프화 하였다. 셋째, 이를 통해 현대공간에서 보여지는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 앞에서의 고찰과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 첫번째는 해체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형태에 대한 실내건축의 오랜 고민은 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여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즉 과거의 양식을 바탕으로 하여 실내건축의 형태와 공간을 결정하던 고전주의의 방식에서 벗어나 형태에 대한 관심을 극단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더 이상 형태를 주체로 하여 연결되는 외부와의 단절을 통하여 실내건축의 비물질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즉, 형태의 완결적이고 구축적인 형태를 해체하여 재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형태의 중첩, 연속성, 모호한 경계, 탈중력성의 공간으로서 표현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모습들은 유리와 금속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공간에 가벼운 이미지를 연출함과 동시에 공간구조의 파편화를 이루어 경량화를 연출하여 중력공간에서의 이탈을 표현하기도 하며, 더 이상 실내건축의 내부와 외부의 공간이 개별적 의미를 갖지 않게 하였다. 즉 구축공간의 비물질적 표현을 위하여 형태를 부인하거나 중성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번째는 재료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재료의 물성추구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재료를 통한 비물질화는 실내건축의 내. 외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외부표면 처리에서 물질감을 제거하려는 방법으로 ‘가벼움’과 ‘투명성’이란 수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즉 현대 실내건축에서 ‘모든 견고한 것이 대기 중에 녹아드는 듯한’ 투명성은 동시성, 상호관입, 중합, 양면성 등과 동의어로 쓰이며, 공간적 경계를 통합하기 위해 유리, 금속, 플라스틱, 합성물질 등 투명하며 반사적 성질을 가진 재료들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내건축을 의미전달의 수단으로 보며,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 투명도의 조작으로 공간의 확장을 통해 절대주의 적이며 획일적인 공간 구조를 벗어난 상대주의적 공간의 모습으로 표면이 갖고 있던 관습적인 파사드의 의미에서 나아가 안과 밖을 구별하는 관계가 다변적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는 구조로부터 표피로의 전환되는 것으로서, ‘기술-구조’ 보다는 ‘상징-구조’를 강조하여 투명성으로 공간의 내. 외부 및 사 공간을 다변적으로 연출 하며, 채우는 충전공간으로서 변화하고 유동하는 정보를 담아내는 스크린으로서의 표피와 이미지의 중첩을 통한 동시성의 표현을 연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미디어적 특성의 비물질화 경향이다.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는 가상성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원본과 차이가 없는 복제 재생산이 가능해진 오늘날, 본질과 비본질의 차이는 소멸되는 경향을 띠며, 실재와 비실재간의 구분조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러한 비물질화 경향은 가변성, 투명성, 다양성의 특성을 갖는 한 컴퓨터와 유리, 스크린, 금속 등을 통해 보여 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실내건축 공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속에서 구축되었던 반면, 오늘날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전통적인 시. 공간 개념을 약화시켜 공간을 비고정적이며 가변적인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가설적인 일시성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가설물과 같은 일시적인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내에서 새로운 의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터렉션을 통해 소통하는 공간을 말한다. 즉 공간을 감싸며, 정보 흐름의 배경이 되는 표층으로서 형태와 이미지가 더 이상 양극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주변환경에 대한 감응체인 동시에 정보의 소통체계로서 나타나는데, 이를 ‘초표피(hypersurface)’라 한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로 실내건축가의 사고와 상상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로 디지털 디자인 건축, 즉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형태생성은 작가의 의도된 형태생성 뿐 아니라 컴퓨터의 알고리즘에 의해 우연한 형태를 만들어 다양한 표현과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새로운 도구로서 보여 지고 있다. 오늘날의 도시공간은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의 발달을 통한 정보와의 물결은 물리적으로 제한된 경계 즉,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인류를 해방시켰으며, 가변적이며 일시 적인 공간의 추구로, 가벼움과 덧없음의 추구로 변화하고 있다. 감성을 자극하여 물질적인 것을 비물질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즉 보이는 것 이상의 것을 표현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무의미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눈이 무엇을 볼지 모르는 상황에서 조작되고 연출 되어진 상황은 하나의 가상공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의 초점이 ‘비물질화’에 맞추어진 까닭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인위적으로 작가의 의도에 의해 연출 되어진 상황일지라도 그것이 보는 관객의 입장으로 하여금 서 로 다른 의미로서 전달되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을 대상으로 현대공간디자인의 비물질화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물질화의 정확한 경향이라고는 말 할 수 없으나, 이를 토대로 비물질화 연구 동향 파악에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하며, 앞으로 비물질화 공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For the last several years, people's belief in scientific methods and knowledge and material progresses, which have ruled people's thoughts and values, has been reevaluated and evolving into new paradigms. "Everything is architecture," Hans Hollein's declarative assertion in 1968, means the dematerialization of architecture into a more conceptual and phenomenological doma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not only of material construction but also of non - material construction as architectural space. That is, a space is not merely a physical space any longer. This historical trend is represented as a new semantic structure with the rise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quantum theory in the contemporary times, replacing the absolute concept and subjectivism that composed the substance of absolute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times. This means the transition of the scien˙tific world view in the 20^(th) century from absolute concepts to relative concept, in which the concept of absolute time and space is not applied any more and the distinctiv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disappears. In particular,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and design since the 1980s show various heterogeneous and hybrid trends, and reinterpret and express materials, the functions of spaces, and programs accommodated in the spaces. A series of paradigms like these are understood not as the concept of reductive materials but as the concept of non - materiality. Accordingly, in order to approach the trend that architectural space as a continuous and permanent substance is being dematerializ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67 research papers containing 'non - material' or 'non - materiality' in their keywords, which were selected from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written in the architectural situation since the 1980s, the period affected by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quantum mechanics, electronic theories, contemporary philosophies, and today's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nd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es on dematerialized space, and its major them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review of dematerialization, its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by area. Second, in the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and represented in graph by type. Third, general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observed in contemporary space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examination and analysis as presented above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The first trend is dematerialization characterized by deconstruction. The long exploration of formative interior architecture has reached the current form via the age of modernism. That is, breaking away from the classical pattern that determined the form and space of interior architecture based on traditional styles, the dematerializa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became possible through isolation from outside, which is connected through form, by extreme removal of interest in form. That is, methods are searched for deconstructing conclusive and constructive forms and reconstructing them, and expressions are made through the overlapping of forms, continuity, ambiguous boundaries, and anti - gravity spaces. These shapes of space express breakaway from the space of gravity using light images in space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glass and metals as well as the fragmentation of spatial structure and, as a consequence,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of interior architecture have no separate meaning any longer. That is, for the non - material expression of architectural space, forms are denied or neutralized. The second trend is the dematerialization of materials. Viewing from the aspect of materials pursuing materiality, dematerialization through materials is an attempt to remove material texture from materials compos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interior architecture and surface treatment, and it is expressed through the techniques of 'lightness' and 'transparency.' That is, in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transparency that ‘all solids melt into the air’ is synonymous with simultaneity, interpenetration, polymerization, ambivalence, etc. and the integration of spaces is expressed using transparent and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glass, metals, plastic, and synthetic substances. Such a change views interior architectur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expands space by manipulating transparency so that absolute and uniform spatial structure evolves into relativistic spati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surface as the traditional facade is diversified into relations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is is transition from structure to surface, representing inside, outside and dead spaces multilaterally through transparency, emphasizing 'symbol - structure' rather than 'technology - structure' and expressing simultaneity through the overlapping of surface as a space to be filled and a screen capturing changing flowing information with images. The third and last trend is the dematerialization of media characteristic. The age of digital media like today can be regarded as the age of virtuality. That is, as it becomes possible today to produce replicas exactly same as the original, distinction between essence and non - essence is meaningless. Such a trend of dematerializ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ability, transparency and diversity and is expressed through computer, glass, screen, metals, etc. While traditional interior architectural spaces have been built under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oday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weaken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changed space to be unfixed and changeable. This appears as hypothetical temporariness. This does not mean a temporary space like a makeshift structure but a space in which new meanings are communicated through interaction along with the flow of time. Today's urban spaces are changing. The wave of inform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as liberated people from physically confined boundaries, namely,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trend pursues changeable temporary spaces, and lightness and transience. It may be meaningless to make efforts to change material things into non - material ones by stimulating people's sense, namely, to express something beyond visible things. It is because a scene fabricated and produced in the situation that we do not know what our eyes will see is nothing but a virtual space. However, the reason that 'dematerialization' is highlighted today is that, nevertheless, it stimulates people's sense. Even if a situation is produced artificially by the producer's intention, it will be admit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er's pos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rends in researches on dematerialization of contemporary spatial design using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pinpoint the exact trends of dematerialization, they are considered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dematerialization. In addition, further researches are considered required on dematerialized spaces.

      • Printed image와 photo collage기법으로 비물질화된 skin과 공간설계

        신수영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4

        현대 사회는 다양한 영상매체에 의한 미디어의 발달로 영화와 TV를 비롯하여 음악, 텍스트 등 모든 것을 이미지화 하고 있다. 이미지가 넘쳐나는 지금의 사회는 점차 원본과 복사본간의 구별이 어려워지며 실재성이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이미지는 실체가 아닌 인간의 마음속에 형성된 직관과 감성의 세계를 의미하고 논리적인 절차를 생각하게 하기보다는 우리에게 직관적이고 순간적인 감흥으로 다가온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 속에서 고정적인 구축물로만 여겨지던 건축도 형태나 볼륨으로 읽기보다는 감성에 의해 읽고자하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축의 변화는 특히 Skin이라는 건축요소의 표현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대 건축가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근대건축에서 Skin은 근대건축이 추구했던 기하학적 공간구성을 드러내기 위한 중성적인 막으로 작용하였지만 현대건축은 근대건축이 이룩한 건축적 성과 위에 현대 사회가 가진 이미지성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Skin의 물질성을 상실시키거나 다른 물질로 치환시키는 "비물질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렇게 건축에 덧씌워지는 이미지로 작용하여 공간과 외피를 모두 비물질화 시키는 기법으로 Printing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Printing은 건축이 가지는 구축성과 현대사회의 특징인 이미지성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유리나 콘크리트 같은 재료 위에 Printing 된 이미지가 덧씌워져 재료를 비물질화시키고 이미지를 마치 물질처럼 건축에 도입한다. 이렇게 비물질화된 재료를 실재와 섞어서 공간적 Collage를 구성하고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적 Collage는 Matta Clark의 Photo Collage, A Whole House에서 나타난 공간감을 3차원화 시키는 방식을 Study하였다. Matta Clark의 Photo Collage에서 보이는 비현실적 공간감이 3차원화 되는 구축적 방법은 외피가 가지는 틈과 꺾임, 그리고 외피들의 Overlap이 만들어 내는 공간적 Collage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사이트를 선정할 때 중요시 한 것은 Printed Imaged가 실재와 섞이어 Collage 될 물리적, 재료적 Context가 존재하는 장소였다. 돈화문로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종묘와 창덕궁의 담장은 이런 맥락에서 돌이라는 재료가 가지는 실제적인 물질성이 잘 드러나는 곳이라 보았다. Site내에서 비물질화된 공간을 구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Printed Image를 가진 외피는 시선의 축과 절점에 따라 배치되고, 이러한 외피의 변화는 사용자의 시선과 움직임을 고려한 절점에서 반응하며 공간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3차원 Collage로 구축된 외피는 담장이라는 실제적인 물질과 함께 작용하여 하나의 비물질화된 공간을 구축한다. The today society put all of things comprising a motion picture, the television, music and the text and the like into the image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media by the various image medium. The society of now being image overflooded gradually makes it hard to distinct the original from the copy, and shows the tendency where the existence characteristic is weakened. The like this image means the world of the intuition and the inspiration which is formed on mind of the human being, in which world the image is not substantial, and such an image is not to think a logical process, more it approaches with an intuition and instantaneous inspiration in us. From the inside which the like this society flows, a tendency is raised its head in which the construction does not come to think it reads at form or volume, it sees by a sensitivity to read. This change of the construction is being attempted specially by the present-day various architects who are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 construction element which is a Skin. In modem time construction, although the Skin functioned as the neutral screen to show up the geometric space composition which pursues from modem time construction, the present-day construction is taking a 'dematerialization' strategy, which los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Skin or replaces it with other materials with the method which constructs the image characteristic which the today society has above the construction result which the modern time construction accomplishes. The Printing is paid attention to us, which technique operates as an image being overlaid on the construction and changes all the space and the outer cover. In this research, the Printing is a method which does to meet the image characteristic of a contemporary society with constructibility, and it dematerializes the material by overlaying the printed image on the material, such as glasses and concretes and intrduces this image to the construction as an substance. The dematerialized material is mixed with an existence, composes spatial Collage and forms a space. We studied a manner in which the spatial Collage makes a three-dimension out of a sense of space shown from Photo Collage of Math Clark, A Whole House. A constructive method in which an unrealistic sense of space known from Photo Collage of Matta Clark changes into a three-dirension is a spatial Collage produced by opening and fracture of the outer cover, and a overlap of the outer cover. In selecting an actual site, a place was important where a physical and material Context to be a Collage by mixing a said Context with a Printed Image exists. In this context, the Chong-myo and the Chang-duck-kung between which the road of Don-Haw-Mun exists will be considered as a place which expresses an actual material property to be owned by a material, such as a stone. The outer cover having a Printed Image which functions as an important element building a dematerialized space within the Site is arranged according to a axis of gaze and a nodal point, a change of the outer cover is reacted on the nodal point considering the user's gaze and movement, and forms s space. the outer cover formulated by the three dimensional Collage operates with an actual substance such as a wall, and constructs a dematerialized space.

      • 해체적 경향의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상대적 시공간개념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은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3

        한글초록: 근대 건축공간에서 주체적 인간은 무한히 확장되는 개방적 공간과 과거의 형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척도가 존재하지 않는 추상적 특성을 통해 운동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 근대적 자아, 즉 실존적 주체가 상대적인 타자로 확장된 해체적 경향의 공간에서는 근대적 완전성에 대한 모순을 드러냄으로서 근대 건축이 이루지 못한 상대적 시공간개념을 구축하고 있다. 상대적 시공간개념은 공간에 시간의 차원을 결합시킨 것으로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인간의 운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공간 속에서 주체적 인간의 신체적 움직임에 의한 다시점의 형성과 시각적인 운동을 유발시키는 동적 시각 등이 형성된다. 특히 해체적 경향의 공간에서는 인간의 절대적 주체만의 운동이 아니라 상대적인 타자들의 운동을 고려하였다. 인간의 운동을 고려한 공간적 개념에 의해 개방성과 불확정성을 나타내는 무한히 확장되고 열린 공간에서 하나가 아닌 다수의 사건이 형성되었으며, 이 사건에 의해 다양한 공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운동과 지각을 고려하는 시공간개념을 새롭게 제시하는 해체적 경향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상대적 시공간개념 표현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체적 경향의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상대적 시공간개념의 표현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그 표현특성은 불확정성에 의한 동적 구성과 비물질화에 의한 시각적 효과로 크게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표현특성 중 하나인 불확정성에 의한 동적 구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변화, 소멸하는 시간성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시간성의 특징을 수반하는 상대적 시공간개념은 역사적 맥락에서 과거와 현재를 혼합, 예측 불가능한 변이로 변경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는 형태 디자인이나 기본 단위도형의 기억문화에 의한 우연성의 다양한 변형과 조합에 의해 생동감과 변화를 주고 있다. 그 상세한 특성은 대칭성의 파괴, 중첩, 비정형적인 형태, 스케일의 변형으로 나타난다. 1) 비대칭성은 수직, 수평적 구성을 거부하고 기존의 균형체계를 파괴함으로 인해 나타난다. 이렇게 축성에서 벗어난 이질적인 형태의 사용으로 인해 대칭성이 파괴되면서 새로운 운동시각을 형성하는 상대적인 시공간개념을 표현한다. 2) 중첩은 기본 기하학적인 형태의 중첩으로 기하학 형태가 파괴되어 공간이 유동적으로 변화하거나 수직과 수평의 기하학적 배열을 벗어난 유기적인 형태의 중첩으로 공간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내부질서와는 상반되는 부정형의 임의적인 형태들로 다시점을 만들어내는 이질적인 형태의 그리드나 축성을 가지는 공간을 삽입, 중첩시킨 새로운 공간으로 상대적 시공간개념을 표현한다. 3) 비정형성은 비틀리고 절단된 것 같은 매스들을 평면, 단면, 입면 등의 내 ․ 외부 요소들로 연속적으로 상호 관입시킨 형태적 왜곡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어지는 비정형적인 공간은 논리적 합리구조와 규율적인 질서를 거부하는 예술가의 직감에 의한 즉흥적 조형성과 다양성을 추구하여 상대적 시공간개념을 표현한다. 4) 스케일의 변형은 스케일을 의도적으로 감소 및 증대시키고 위치에 변화를 부여하여 원초적인 변형을 이루는 것이다. 우연히 병치되어지는 확대 ․ 축소와는 다르며, 보존되어야할 사물의 선택이나 위치, 어떤 단계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요구되며 오브제와 주변과의 이질성을 강조하여 상대적 시공간개념을 표현한다. 둘째, 상대적 시공간개념의 표현특성 중의 다른 하나인 비물질화에 의한 시각적 효과는 과거의 구축법적인 방법에서 탈피한 역동적이고 경량화되는 경향이다. 이것은 운동성이 표현된 시각적 효과로 공간에 시간성을 표현하였다. 그 상세한 특성은 반중력성, 투명성, 다시점으로 나타난다. 1) 반중력성은 중력에 반하여 유기적으로 성장하거나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고 확장되어 가는 반중력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사선적인 요소의 사용에 의한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 유동하는 공간에 시각적 긴장감의 유발시켜 역동성을 담거나, 통일되지 않은 주요 구조부의 탈구조에 의한 부유하는 듯한 공간의 표현으로 상대적 시공간개념을 표현한다. 2) 투명성은 서로 다른 차원의 공간을 동시에 인식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각적 연속성이라 할 수 있다. 투명재료나 경량재료, 금속재료의 겹쳐짐에 의한 착시와 굴절현상으로 건축물 입면의 전후 깊이를 모호하게 만들어 공간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3) 다시점은 중층적․ 다면적 공간으로 표현하여 볼륨의 분해와 중첩뿐만 아니라 비정형의 면과 선적 요소들, 인간 행위의 중첩에 의한 공간의 중첩으로 형성된다. 전통적인 건축 원리를 거부함에 따라 하나의 주체가 아니라 다수의 시점을 제공하고, 파편화된 건축요소들이 재구성될 때 다수의 시점에 의해 중첩된다 영문초록:1) Asymmetric alness appears by ref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sition and destroying the existing balanced system. Asymmetricalness is destroyed by the heterogeneous form deviating from axiality and expresses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forming the new motor sight. 2) Overlapping is basically of the geometrical form. It is the overlapping of organic form that the space fluidly changes with the destruction of geometrical forms and swerves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eometrical arrangement, and so it expands space and expresses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3) Atypicality forms the masses likely to be twisted and cut out of the formal distortions continually interpenetrated by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such as planes, sections and facets and expresses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4) The transformation of the scale means primary transformation by intentionally decreasing and increasing the scale and giving a change to the location. The choice of the object to be preserved or an accurate judgement of the location is required, and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is expressed by emphasizing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object and its perimeter. Second, the visual effect caused by dematerialization, the other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is the tendency to become dynamic and lightweight which sloughs off the past constructive method. This expressed temporality in the space with the visual effect with which locomotion was expressed. Its detailed characteristics include antigravity, transparency and multi-view. 1) Antigravity was expressed in a antigravity form of organically growing contrary to gravity, having no given form and expanding. The relative space-time concept was expressed by triggering the visual tension by means of the flowing space with diverse directionalities due to the use of oblique elements and containing dynamism. 2) Transparency means perceiving the spaces of different dimensions simultaneously and can be said to be the visual continuity. The depth of the space is made to be felt by making the front and rear depth of the elevation of the building ambiguous by means of the optical illusion and refraction phenomena by the overlapping of transparent material, lightweight material and metallic material. 3) Multi-view is formed by atypical planar and linear elements and the overlapping of spaces by the overlapping of human actions as well as the disintegration and overlapping of the volume through expression as the overlapping and many-sided space. It provides multiple views, not one subject, as it denie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principle and when fragmented architectural elements are recomposed, they overlap with each other by multiple views

      • 비물질화 경향의 실내공간에서의 이미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정은봉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423

        한글초록:근대에서 후기 산업사회로 이행하면서 사회구조는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는 시대로부터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비의 증가는 다양한 가치관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정신적 풍요의 추구에 따른 다양한 가치관의 형성은 산업사회가 추구했던 표준화, 대량화, 대중화에 대한 환상을 점점 퇴조하게 만들고 있다. 과거의 건축 공간계획은 건축가의 이상에 의한 기능주의적인 경향의 디자인으로 보여 지고 있으며, 오늘날의 디자인은 촉각을 다투며 변화하는 사회의 현상과 흐름 속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통합적인 사고와 방법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20세기의 과학적 세계관은 과거의 절대적 개념에서 상대적인 개념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절대적인 시공간의 개념은 퇴조하고 있으며, 공간과 시간의 차별적 구조도 없어지게 되었다. 오늘날 기술의 발달은 인간을 시간과 공간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였으며, 이는 시대가 지향하는 가치를 고정된 물질성과 구축성으로부터 정보와 환경에 대한 유기체적 감응, 이미지적인 변형의 새로운 소통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게 만들었다. 또한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인한 가상실재의 가치관은 고정적인 것에서 비고정적인 것으로, 육중한 것에서 가벼운 것으로, 명확한 것에서 모호한 것으로 공간을 비물질화 시키며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이처럼 과거의 아날로그적인 패러다임에서 디지털적인 패러다임으로 전환함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롭고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기존의 물리적이고 실제적인 것들은 점차 비 물리적이고 비 실재적인 것들로 급격히 전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간과 공간의 상호 비 물리적인 작용은 공간의 환영 이외에 감각의 세계를 초월한 사이버 공간영역의 환영, 즉 사이버 문명을 창조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비물질화 경향의 이미지 표현은 소비문화의 변화와 함께 사회적 철학적인 기반을 전제로 미학적, 환경적 장르에까지 확산되어져 복합적이고 탈 장르적인 이미지 중심의 표현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이며 소비행동의 가치기준과 평가기준마저 이성에서 감성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따라서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의 변화는 과거 근대에서 추구하던 기능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재해석을 통하여 이용자의 주체적 인식과 정서가 연관되는 감성 위주의 현대적인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본 연구는 이러한 실내공간의 비물질화 경향에서 나타나는 이미지가 인간의 시 지각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건축의 기능적이고 이성적인 공간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내 공간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특성을 비물질성에 의한 표현과 매체연출에 의한 표현, 상호작용으로서의 표현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첫째, 비물질성에 의한 표현은 재료의 물성, 질감 또는 표면의 의미에 의한 물체 사이의 긴장과 이를 통한 표면과 내외부에 대한 상호 관계성을 중요시하는 표현이다. 재료의 이미지에 대한 비물질성은 인지의 조작을 통해 물질을 제어하게 되며, 항구적인 느낌의 물질성이 아닌 순간적이며 변화하기 쉬운 이미지를 통하여 공간에 표현된다. 이러한 재료의 이미지 표현특성은 은유성, 투명성, 환영성이라는 관점에 의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은유성은 재료의 물성을 다른 재료 및 형태를 연상하게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재료의 물성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재료를 혼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투명성은 반사, 투명,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여 굴절, 유입, 반사등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영상이미지 또는 빛과 색에 의해 성질을 변화시키고 투명도 조작과 반사기법에 의해 다변적인 공간을 연출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환영성은 빛과 그림자의 대비와 변화에 따른 현상학적 시각체험을 유발함으로써 환영적인 이미지를 지각하도록 표현하거나 거울 또는 유리등의 반사작용을 통해 환상작용을 유도함으로써 변화하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물질성에 의한 이미지 표현은 재료마다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고유한 형태를 거부하고, 재료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생산성과 조형성 사이의 상쇄적 관계라는 현대건축의 부정적 상황을 거부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있다.둘째, 매체 연출에 의한 표현은 컴퓨터를 통한 전자영상 기술에 의한 비디오 전광판, 레이저, 빛, 홀로그램 등은 비물질화 된 표현으로 컴퓨터 조작과 연결되어 새로운 예술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공간에서의 이미지 표현은 공간을 문화와 현대성을 내포하는 스크린으로 인식한다 영문초록:The formation of various senses of values caused by seeking for such mental richness gradually makes the dream for standardization, mas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that were sought for by industrial society. Past construction space plan seemed to have the design with functional tendency caused by the ideal of architectures but today's design is asked for various, complex, and integrated thoughts and methods in the social phenomena and flows that are promptly changed.The scientific view of the world of 20th Century is changed from the past absolute concept to relative concept, thus, the concept of absolute space-time is declining and differentiated structures of space and time also became disappeared.Today's technological development made the human free from the restraint by the time and the space and the value sought for by the era laid a stress on the construction of organic response, from fixed materiality and tectonics, to information and environment and a new communication system of image modification.In addition, the sense of value on cyber reality that is caused by the development in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expresses the images with dematerialization of space from fixed ones to non-fixed ones, from heavy ones to light ones, and from clear ones to ambiguous ones.As shown, with the conversion from analogue paradigms to digital paradigm, new and various challenges are found in overall society and current physical ones are rapidly converted into non-physical and non-realistic ones. Such non-physical ac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space has become to create the cyber culture that exceeds the world of sense in addition to phantom of cyber, i.e. the phantom of cyber space.Expression of image with dematerializing tendency appeared in current society as shown above is extended up to esthetic and environmental genre with the soci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as well as change in consumption culture and is appeared as the image-focused expression that is complex and anti-genre. Current era is the era of image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even the standard of value and the standard of assessment in consumption behavior is also converted from rationality to sensibility

      •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의 비물질화 경향에 대한 연구

        이상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90

        구조와 기술의 발달로 자유로운 형태의 추구가 가능한 현대에서, 최근의 일부 건축가들은 단일한 볼륨 내에서 그 외피를 통한 다양한 실험이 전개되고 있다. 형태적으로만 보면, 일견 모더니즘의 박스와 같이 보이지만 이러한 작업의 건축가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모더니스트들과는 같지 않을 것이다. 특히 외피라는 개념에 있어서 근대 건축운동에서는 외피를 구조와 분리하여 독립된 요소로서 다루면서도, 그 표현성은 엄격히 제한하여 장식을 제거한 백색의 벽을 기능적, 합리적인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표현성을 위한 외피는 건축물에 대한 인상과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소이자, 주변 환경과 관련 맺는 매개체로 인식하여 오늘날 더욱 몰두하고 있는 주제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기술적인 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변화의 양상이 외피의 디자인에 함축되어 새로운 의미 형성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건축외피 개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현대건축의 외피에서 나타나는 특성이 사회의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외피의 여러 양상 중에서도 비물질적 표현성에 주목하여 그 방법과 효과를 통해 현대건축의 외피에 내재된 새로운 건축적 가치를 찾고자 한다. After modern architecture, ornaments and the expression of the exterior-envelope, even though regarded which were removed by the economical and functional demand, still have remained to exist in the form of white external skin. It is because that the modern architecture was in the transitional phase of expressions, when society or technology could not accept radically changing foundations of material aesthetically. The experiments of exterior-envelope which is rational and expressive are found in the architecture of Herzog & de Meuron, Jean Nouvel, Dominique Perrault, Jun Aoki, and SANNA exploring the detailed differences of expressional effects within the monolithic volume. They tending to Minimalism maintain the functional volume of Modern architecture. But in opposition to the expressional effect of it, they try a new interpretation overall on the expression concept. To show the cause of these extensive experiments on exterior-envelope not sharing special-ism or regional context, I've re-interpretation the existing discourses about structure and surface, analysing the shift of material bas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exterior-envelop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materializing tendency of surf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im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expression and the solution for crisis of communication.

      •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FLUXUS GALLERY 계획

        최정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355

        비물질적인 경향은 투명성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근대건축에 있어서의 투명성은 유리를 건축적 적용으로 인해 공간간의 경계를 없애고 시각적인 연속성을 이루어 냈으며, 구조와 분리되는 피막의 개념으로서 공간을 한정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물질적인 중력감으로부터 벗어났다. 현대에 이르러 건축기술과 자재의 발달로 인해 공간간의 물리적인 경계를 없애고 연속성과 동시성을 지각하게 하고 있으며 이것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시대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정신은 우리가 살고 있는 디지털 사회의 단정적인 어휘보다는 보다 은유적이고 함축적인 표현하는 은유적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즉 은유적 표현은 현대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건축에 이르게 까지 사회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건축물이 갖고 있는 기능성, 구조의 안전성, 공간계획상의 합리성만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 시대는 지났으며, 함축적인 다른 의미를 갖고 있는 기능도 수반해야 한다. 이러한 은유화의 고정은 현대건축에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 기본목표는 내-외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한 내-외부의 공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물질적 표현을 적용한 아트 갤러리를 계획하여 시지각적인 공간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의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비물질적 표현특성을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건축 공간에서의 그 의미와 표현특성을 통한 논리적 바탕을 마련한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갤러리 공간구성의 시각적인 비물질적 경향을 적용하여 계획하였다. 4장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이론적 분석과 디자인 전개를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Dematerialized tendency can do that start from lucency. Lucency in modem age construction had rid the border between spaces by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glass, and accomplishes optical consecutiveness, and could limit space as structure and concept of detached membrane, and escaped from material gravity thereby. Inpresent age, physical susceptibility between spaces is ridding by development of building-construction techniques and property, and percept consecutiveness and simultaneity, and it displays new Geist, which take advantage of digitech. These Geist is expressed by metaphorical way to express that is more metaphorical and significant than conclusive expression of digital generation that we live. That is, metaphorical expression is influencing in all social fields such as construction as well as modem design. The age that the building is recognized by ability, safety of structure, the value by rationality on space plan must passed, and it should be implicated the function that have other meaning. Fixing of these metaphor is realized to important concept in modem architecture. The target makes possibility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experience by making the border of interior and exterior dubiously.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to plan art gallery which applies expression of dematerialize, and interior and exterior space experience. Progress method of specific research is as follow In chapter 1, background and purpose, provinc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In chapter 2, research theoretical background of dematerialized character, and logical fact is presented through meaning and character of architectural space In chapter 3, tendency of visual dematerialization of gallery space composition is applied and planed with contents that is discussed in chapter 2. In chapter 4, synthesize theoretical analysis and design development that explained above and presented conclusion.

      • Development of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for describing emerging properties in product design

        이황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47341

        In the information era, physical characteristics in product design have disappeared gradually due to the heightened the importance of software and digital contents design. The physical objects have been digitalized and dematerialized with the data and information components (Hornecker, 2011; Schmid, R?melin, & Richter, 2013). Virtual and digital forms become dominant in product design. However, as opposed to being a digitized product,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replace digital elements with physical properties and it continues to grow in a number of attempts. If so, how this phenomenon should be interpreted? Are those efforts made to overcome the cold sensitivity of digital life, digilog, or trendy retro phenomenon to return to the past? Through development of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current trends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product design perspective. Thu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RPM for describing new emerging properties in many new experimental product designs. There are six identified types of RPM that could describe the symtoms of dematerialization and rematerialization of various emerging product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the product designers, engineers and educators for collaborating or teaching. While briefly mentioned earlier, seeing this phenomenon as to borrowing old style do not truly interpret the purpose of product designer that can be superficial and could be misleading. These dematerialized and rematerialized phenomenon is deeply analyzed and construed in a perspective of the product designer by investigating the direction of product design to reconsider the role of the product designer in this study.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defines the elements of the inner and the outer shape or components of the product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dematerialization and rematerialization. In order to build the Remaetrialized Product Model (RPM), the research method is constructed mainly in three parts. Review the product history and product model and identify what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models. Therefore, relevant paper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product model collected in a total of 58. Most of the cases are consists of literature and article tha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the Internet databases. Examples and studies of tangible interaction, products, and models a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review. Then, analyze the collected products and models to form a categorization criteria. Terms and principles that are used in models are identified. Examples are classified and rearranged in a roadmap to find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Lastly, develop a model that could suit and fulfill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refore, six types of Rematerialized Product Models are constructed. Firstly, a screen & button combined interacted devices type is explained with a model. Second type of model describes touchscreen-dominant products. Models through third to fifth describes the tangible interaction products in three identified categories. Lastly, a cloud based products or connected products are explained through a model.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is designed to be used in the versatile design process, especially for product designers and designers in general. Also,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can visualize and describe new products or a new category of products. Throughout the research of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a variety of products are found and reviewed that uses and utilizes physical properties. As a result, the transition of products is clearly declared through 6 types of the product model. The Rematerialized Product Model (RPM) contributes to designers when planning for the complex product that uses both virtu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roduct or mixed media. 정보화, 디지털화에 따라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물리적 형태를 만드는 제품디자이너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 외관 디자인보다는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컨텐츠 디자인의 중요성이 재차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사용자 경험 극대화와 학습성의 관점에서 물리적 형태의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 즉 재물질화(Rematerialzation) 관련 시도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물리적인 속성이 학습성과 경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의 새롭게 나타나는 다양한 제품들의 제품 속성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고 모형으로써 설명하고자 한다. 1990년대부터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TUI) 분야에서는 현재 까지도 디지털 정보를 물리적 요소로 물질화 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재물질화 제품 모형(RPM)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도들 또는 다양한 크라우드펀딩 기반의 소량 제작 제품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험적 제품 디자인의 진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RPM을 개발여 총 6가지의 종류로 도출하였다. 6가지의 모형은 비물질화 또는 재물질화와 같은 물리적 속성의 변화 현상들을 설명하고 있다. RPM은 협력 또는 교육을 위해 제품 디자이너, 엔지니어, 교육자에게 기여할 수 있다. RPM은 사용자, 제품, 제품의 내부 요소와 외부 형상, 사용정보, 기능 등으로 제품의 구성 요소를 정의한다. RPM 구축하기 위해, 연구 방법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그 세 단계로는 사례 고찰 및 문헌 고찰, 모형을 위한 기준 도출, 모형 개발과 같다. 제품의 역사와 제품 모델을 검토하고 기존 모델의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따라서, 관련 논문 및 사례 연구는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주로 수집하였고 문헌과 기사로 구성되어 총 문헌사례는 58개이며 그 외의 다양한 시제품 사례위주의 수집이 이루어 졌다. 실감형 인터랙션의 예시들과 시제품의 예시들이 제품의 연구 와 모델 분석 및 검토를 위해 수집 되었다. 그 후, 분류 기준을 형성하기 위해 수집 된 모델을 분석하였다. 모델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원칙을 분석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문헌을 로드맵으로 분류하고 재 배열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RPM은 6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스크린 및 버튼 결합 인터랙션 디바이스들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이다. 모델의 두 번째 유형은 터치 스크린 지배적 제품에 대한 모형이며 이 제품의 경우 터치스크린 또는 가상 인터페이스가 전체적인 제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제품들을 말한다. 세 번째 모형부터 다섯 번째 유형의 경우 실감형 인터렉션 및 새로운 제품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들이다. 마지막 모델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제품들을 설명한다. RPM은 다양한 제품 설계자 및 디자이너의 기획 및 개발 프로세스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RPM을 통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제품의 새로운 카테고리를 시각화하고 설명 할 수 있다. RPM의 연구를 통해, 제품들의 진화 과정과 다양한 제품의 물리적 특성을 알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 개념미술 속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미술수업 연구

        문지연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40

        본 논문은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개념미술의 이해와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실천과 개념적 사고를 탐구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념미술은 작품의 결과보다 창작을 사고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어 물질적 측면 보다 관념성의 비물질적 측면으로 표현하는 미술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사용 한다. 텍스트는 사고과정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도구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미지와 결합하여 풍부한 시각적인 경험과 감정을 제공하는 데 이들은 청소년기 아이들의 사고 확장을 도울 수 있도록 연구에 활용할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개념미술 속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자신을 알아가고 나아가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현대미술을 바라보는 태도와 문화론적 시각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개념미술을 통해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능력과 미술에 대한 인식 변화가 확장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이다. 둘째, 개념미술 속 시각화한 텍스트와 이미지를 적용한 활동이 자신을 알아가고 범위를 넓혀 타인과의 시각적 소통 능력을 기르며 조형적인 미적 안목까지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자기 주도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개념미술을 다루는 과정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 비중을 늘려 교육 현장에서 이를 활용한 수업의 질적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확장된 사고와 전인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미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개념미술 속 텍스트와 이미지를 활용하여 현대미술을 비평하고 감상할 수 있는 소양과 전인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개념미술, 텍스트, 이미지, 비물질화, 미술교육, 상호작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