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김유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부터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부모의 분노 수준, 부모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 수준을 감소시키는가? 둘째,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부모 효능감을 향상시키는가? 셋째,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K시에 거주하는 유치원에서부터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들로서, 분노조절 부모교육 집단(실험집단Ⅰ)에 15명,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집단(실험집단Ⅱ)에 15명, 통제집단(무처치 집단)에 15명이 각각 배치되었다. 실험집단Ⅰ에는 총 8회기(주 1회 각 120분씩) 동안 본 연구자가 고안한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Ⅱ에는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을 총 8회기(주 1회 각 120분씩) 동안 실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사전,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두 실험집단의 프로그램과 사전, 사후 검사를 모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노바코 분노검사, 부모 효능감 척도,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한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분노조절 부모교육 집단(실험집단Ⅰ)과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집단(실험집단Ⅱ)의 부모 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리고 두 집단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의 분노 수준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분노조절 부모교육 집단(실험집단Ⅰ)과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집단(실험집단Ⅱ)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분노조절 부모교육 집단(실험집단Ⅰ)의 양육 스트레스와 분노 수준이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집단(실험집단Ⅱ)보다 유의하게 더 낮아졌다. 그러나 부모 효능감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효능감을 향상시켜주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 수준과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데에는 훨씬 더 효과적인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많은 부모들과 대학교 교과과정에 소개되어야 하며, 특별히 부모의 분노 감정과 양육 상의 스트레스를 관리해 주는 자녀의 발달 단계에 맞춘 체계적인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on the parents' level of anger, parent-efficacy and child-rearing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does the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decrease the parents' level of anger? Second, does the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increase the parents' parent-efficacy? Third, does the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decrease the parents' child-rearing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45 mothers in K city who have preschool,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children. Out of 45 mothers, 15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Ⅰ(Anger control parenting group),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Ⅱ(Active Parenting Today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no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Ⅰ received 8 sessions(120 minutes per session) of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experimental group Ⅱ received 8 sessions(120 minutes per session) of Active Parenting Today program.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two groups' parenting program.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study, Novaco Anger Scal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were administered. The pre-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parents' anger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parents' efficacy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 Second, the anger control parenting group's child rearing stress and parents' anger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Active Parenting Today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two parenting programs would be both effective in enhancing parents' efficacy, but the anger control parenting program would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arents' child-rearing stress and anger.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parent education practices.

      •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이윤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자아동 중 또래와 교사에 의해 공격성향이 높은 아동으로 지명된 20명으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실시되기 전 아동의 공격성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고, 실험집단에는 청소년 대화의 광장(1995)에서 개발한 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고 본 연구자가 학령기 아동에게 적합한 방법들을 동원하여 제작한 인지-정서-행동적 통합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7주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가 끝난 후 두 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공격성은 Buss & Durkee(1957)가 제작하고 노안영(1933)이 번안한 것을 참고로 변상수(1996)가 사용한 공격성 검사지를 재구성하여 측정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격성 사전·사후검사 t-test와 paird t-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정서-행동 통합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정서-행동 통합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영역 중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부정성의 3개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an Anger-Control Program had effects on reduction of aggression of the second grade children. The subjects were 20 second grade children who had the highest scores on an aggression questionnaire and were nominated as aggressive by their teachers. Th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n experimental (n=10) or a control group (n=10). Before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enforced,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their aggression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cognition-emotion-behavior integration Anger-Control Program for 7 weeks. The aggression of children was assess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s and paired 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on-emotion-behavior integration Anger-Control Program was effective for reduction of aggression of the aggressive elementary children. Second, the Anger-Control Program had effects especially on reduction in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and uncertainty.

      • 분노조절 통제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부적응 행동수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6학년 중심으로

        최진욱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환경은 인간의 사회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사회환경은 아동들의 건전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러한 변화가 아동들에게도 예외는 아니어서 그들은 가족과 학교로부터의 소외되고, 텔레비전, 컴퓨터, 영화 등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가치관의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아동들은 그들이 가지게 되는 욕구 불만을 적절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여, 공격적인 행동으로 그들의 욕구불만을 표시하게 되어 학교 폭력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동들은 급속하고 비균형적인 신체적 발달에 불안을 가지고, 낙심하거나 상처받기 쉽기 때문에 우울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성인의 지시에 반항을 하거나 비학습적인 행동을 아무런 생각 없이 표출하기도 한다. 아동들의 학교생활이나 가정에서의 부적응행동 요인은 다양하겠으나 가장 큰 요인은 소외감, 욕구좌절, 증오심으로 인한 난폭한 행동이 많고, 부적응행동이 습관화되면서 청소년의 비행이 날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난폭한 행동은 분노의 감정으로부터 시작되는 데 타인에 대한 분노는 난폭한 말씨나 행동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분노가 남발되거나 적절하게 표현되지 못할 때에는 인간관계가 악화된다고 하였다. 반면에 분노로 인해서 아동들의 공격성과 충동성이 상승하게 되면 이러한 아동들은 사회의 질서에 부적응을 일으켜 비행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분노의 아동들을 사회적 적응하기 쉬운 사람으로 변화를 시켜 비행의 가능성으로부터 멀어지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화를 내는 마음을 조절하지 못하는 아동들에게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실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이며 내적인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분노의 공격적인 표현을 줄여 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2002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이것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분노표현의 경향의 정도가 분노표현을 연구전보다 관심이 많고, '참는다', '나는 잘못으로 이해하려 한다.' 등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본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성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려는 태도를 인식하고 수용해 가는 과정에서 형성ㆍ심화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분노조절 방식의 변화에 있어서 연구 전 보다 30.3%향상을 가져왔으며, 본 프로그램의 효율성 20명의 수업참관교사들이 분석결과 수준 상이 88.3%로 분노조절 통제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어 분노를 올바르게 조절하는 대안을 제시하여 아동들의 부적응 행동을 교정하여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분노 통제 척도 검사 결과 평정 점수에서 분노를 합리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아동 19명(47.5%)에서 32명(80.0%)으로 32.5% 증가하였고, 분노통제를 조절하지 못하는 아동 8명(20.0%)에서 1명(2.5%)으로 17.5% 감소하였다. 분노통제 훈련에 참가 한 아동 중에서 정도가 심한 8명의 아동의 평정 점수가 연구 전ㆍ후 차가 최고 35점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분노 조절 통제 훈련과 다양한 심리적 자아암시 표현활동의 결과로 아동들의 분노에 대한 통제력이 향상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아동들의 부적응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실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통하여 다른 사람을 먼저 생각하게 되고, 행동하기 전에 합리적인 사고인지 한 번 더 생각 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어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여 효과 동기가 강화되었다. 둘째,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자아암시, 부적응행동의 이해, 분노조절 기술 연습의 3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아동들로 자신의 부적응행동의 원인을 평가하고 조절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어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화가 난 상황에 대한 자신의 반응, 분노조절 훈련, 생각 변화시키기 등 분노조절 훈련을 통한 비충동적ㆍ비공격적인 자아암시표현활동 친구와의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인성교육 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컸다. 따라서 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부적응행동을 교정시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간의 존엄성 이해와 이기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인성교육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컸다.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기이해와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습관 지도 등 교정에 다양한 활동으로 아동들의 부적응행동의 동기를 교사의 계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아동들의 부적응행동 교정은 학교에서 뿐만이 아니라 가정과 연관하여 지도 할 수 있는 지도 방안ㆍ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셋째, 아동의 분노조절을 통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인차를 따른 개인 지도가 요청된다. People go through a wide-ranging, long-term process of socialization under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 which can have various effects on human socialization. Unfortunately, it hardly seems that today's social environments are playing a positive roll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hood. Nowadays, many children feel neglected from family and school. Moreover, they suffer from continuing confusion of their social values under the influences of mass media such as TV, movies, and the Internet. Under these social circumstances, it is not easy for children to find the proper ways to express their unsatisfied desires which, consequently, can come out as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s. Today, juvenile violence in school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Especially, many upper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nger due to the rapid and imbalanced physical growth that drives them into anxiety and despair. Those children tend to disobey adults, and illustrate undisciplined behavior without thinking. There are various factors for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in school and at home. Feelings of alienation, failure to satisfy ones desire, and hatred are the major factors causing aggressive behavior. The unfitting behaviors easily become habitual actions. Consequently, the problems of juvenile delinquency become more intensified. Violent behaviors mostly come from anger. Feeling anger against other people is often expressed in aggressive language and violent action. Naturally, uncontrolled anger that comes out as uncivilized manner makes it harder for the children to maintain appropriate social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when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children powered by anger increase, these children tend to deviate from the order of society. Thus,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juvenile delinquency. Children with anger should be given proper methods to transform themselves to fit into the society and thus prevent them from becoming juvenile delinquents. The following research is designed to have children, who cannot control anger, exercise anger management training. The purpose of the exercise is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control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inner factors of anger, which in turn reduce aggressive expression. Furthermore, it would help in building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s. As a part of the research, a series of surveys were made to the 6th grade students from December 2002 through December 2003.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surveys are as follows. Throughout the research, the children have grown to be more aware of their anger expression than before. It seems more children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from their saying that "I should be patient" or "I understand it's my fault". This result shows that the children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is matter and become receptive to the benefits of building healthy relationships.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ed that a 30.3% improvement was achieved in changing the forms of anger control. 20 associate teaching members found a high efficiency of 88.3% for this anger control program. It was potentially proven that this program presents an efficient method to control anger and to correct the unfitting behaviors and thus helps children establish healthy relationships. By evaluating from the anger control index, it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ho could overcome the anger rationally was increased by 32.5% from 19 persons (47.5%) to 32 persons (80.0%)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were not able to manage anger was decreased by 17.5% from 8 persons (20.0%) to 1 persons (2.50%). The10 children, who had more difficulty controlling anger than the other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by scoring lower points.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after the research came out to be a maximum of 36 points. These outcomes demonstrate that the anger management training and various self-suggestive expression activities improved the children's anger controlling ability. After practicing the anger management and self-suggestive expression activities that came about through various deep conversations with the children,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by using the anger management the children became considerate of others and learnt to take time to examine their judgments before taking any actions.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build peace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ence reinforced the motivation of anger management.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anger management exercise, which was comprised of three stages (self-suggestion, understanding the unfitting behavior, and practicing the techniques of anger control), the children were given opportunities to establish positive attitudes to evaluate and eliminate the factors of their unfitting behavior for themselves. Third, a variety of exercises for anger management such as studying ones own reactions under anger, practice of anger control and mind control, and non-impulsive and non-offensive self-suggestion, were effective i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exercise of anger management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helped to correct the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so that they can achieve constructive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nd from its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teachers should pay continuous attention to children to keep them away from any possible motives of unfitting behavior. The children should be given a variety of activities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and to acquire a habit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Second, further study and development of methods in correcting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should be made not only at school but also at home. Third, various anger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individual guidance to reflect individual difference.

      • 분노가 대인관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우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분노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 효능감에 중점을 두고 분노의 적응적 표현양식인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과 일반인 남녀 432명(남자 139명, 여자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특성분노, 분노조절,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효능감을 측정하였고, 특성분노가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을 거쳐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분노는 분노조절 및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효능감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정서인식명확성은 분노조절 및 대인관계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은 대인관계 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특성분노는 분노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정서인식명확성을 낮추어 대인관계효능감을 감소시킨다. 한편 분노의 대인관계효능감에 대한 직접 효과는 작지만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효능감에 주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분노조절과 대인관계효능감의 관계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보완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nger,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Based on previous findings, this study tested dual mediation role of the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level of trait anger and the level of social self efficacy. 432 participants(male 139 female 293) a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from the STAXI-K(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TMMS(Trait Meta-Mood Scale) and Interpersonal control scales of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t anger negatively correlates with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Emotional clarifica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control and social self-efficacy. Anger-contro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elf-efficacy. Second, trait anger had a negative effect on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which leads to decrease the social self-efficacy. And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anger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nger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ocial self-efficacy, Third, anger-control didn’t ha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and emotional clarification fully mediated between anger-control and social self-efficacy. Finally, the counselling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허은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공격성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 요인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 J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20명이었다. 연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5학년 전체 남자 아동 86명을 대상으로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고 이 중 공격성 점수가 높은 상위 학생 20명을 뽑았다. 이 들 중 상담을 희망하는 학생 10명을 상담집단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청소년대화의 광장(1995)에서 개발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천성문(1999)이 분노조절을 위해 만든 통합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토대로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집단상담은 주 2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당 시간은 60분이었다. 그리고 비교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에만 참여시켰다. 공격성 검사 도구는 Buss와 Durkee(1957)가 제작한 공격성 진단검사와 황정규(1964)의 공격욕구 검사 를 참고로 하여 문재경(1998)이 초등학생에게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6개의 하위영역(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을 측정하는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분석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공격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PC+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화가 나서 싸울 때 주로 폭력을 사용하는 신체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셋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남을 위협하거나 저주하는 나쁜 말을 사용하는 언어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넷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짓궂은 장난을 하는 우회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협동하기를 거절하거나 반항하게 되는 부정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여섯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쉽게 화를 내거나 모욕을 주는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일곱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대인관계에서 타인을 믿지 못하고 경계하게 되는 적의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들로 하여금 사고의 결과로서 분노라는 감정적 문제를 적절히 다루는 기술을 습득하여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서, 다른 아동과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children's aggression? Second, what effect does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the sub-factors of aggression;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sm, excitability and hostility? The t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elected male students who were 5th grade students in Cheju city. They showed a high-level aggression in the pretest. 10 students who agreed to volunteer were the counseled group, the other 10 students were the control group. This anger-control program was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ger-control program produced by the Square of Youth Conversation in 1995 and the integration group therapy program for anger-control devised by Cheon Seong Moon in 1999. The group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0 times for 1 hour each time, twice a week by the researcher.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as only given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s. The measurement tool of aggression used was standard, revised by Moon Jae Kyoung(1998) which was based on the 'diagnostic test of aggression' produced by Buss & Durkee(1957) and the 'test of aggression need' by Hwang Jung Gue. The test consists of 35 items evaluating the 6 sub-factors that are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sm, excitability and hostil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PC program. In the meantime the t-test was conducted so 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holding the program.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rough the procedure mentioned earlier is as follows.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aggression in children. Second,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physical aggression which is violent. The physical aggression can be used when students are angry and fight with others. Third,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verbal aggression which can be used when students threaten and curse others. Four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indirect aggression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ignore others and carry a practical joke. Fif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negativism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defy their teacher or parents and refuse cooperation. Six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excitability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are easily angry and offer an insult. Seventh,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hostility which can be shown when students do not trust others. Consequently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us, this program needs to be used for the children to acquire skills in solving their anger problem in the primary school setting.

      •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황혜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 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 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분노의 개념과 유발원인, 공격성의 기념과 발달 이론,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대해 고찰하였고 이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공격성 총 득점이 유의미하게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의 하위 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적의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김제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6학년 68명 아동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지원자 3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 아동들을 실험집단에 10명, 통제집단1(동일학급)에 10명, 통제집단2 (타학급)에 10명을 배치하였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양정숙(2002)과 허은순(2003), 송현옥(2005)이 초등학교 아동의 분노조절을 위해 만든 상담 프로그램을 토대로 연구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직접 2006년 3월 30일부터 4월 27일까지 매주 2회씩 5주 동안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마다 50분이 소요되었다. 실험집단에만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지연 검사에만 참여시켰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격성 검사도구는 사전검사와 지연검사의 경우 Buss와 Durkee(1957)가 개발한 ‘적의성검사’(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of History)의 일부로 된 ‘공격성 진단검사’와 Murray의 욕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황정규(1964)의 ‘욕구진단검사’중 ‘공격욕구검사’를 참고로 하여 문재경(1998)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후 검사는 반복 검사로 인해 검사지에 대한 아동들의 학습가능성을 우려하여 Buss와 Durkee(1957)가 개발한 ‘적의성검사’(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of History)의 일부로 된 ‘공격성 진단검사’를 노안녕(1983)이 번안하여 4명의 심리학자로부터 문항 수정을 받아 완성한 것을 김백영(1997)이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문항을 재구성하여 사용한 것을 초등학생의 어휘수준에 맞게 더 수정하여 4단계 평정척도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SPSS/PC+(Version 12.0) 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이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지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질성 검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공격성에 대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집단과 동일학급내 비참여집단, 타학급 비참여집단의 공격성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 Ⅰ과 연구가설 Ⅱ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노조절프로그램의 처치여부를 변인으로 하는 공격성 검사 점수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정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사전검사 공격성과 사후검사 공격성, 지연검사 공격성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김백영(1997), 김순옥(2001), 허은순(2003)등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다른 측정도구인 사건표집 관찰지를 이용한 통계에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의 결과가 .000(p>.0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도 공격성 하위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실험집단 자체 내에서는 사전검사와 지연검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그 효과를 지지할 수 없었다. 단, 언어적 공격성과 흥분성에 있어서 실험집단만 분석했을 경우 사전검사와 지연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e out the effects of anger - 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hat effect dose the anger -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children's aggression? Second, what effect dose the anger-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the sub-factors of aggression ;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sm, irritability and hostility? The t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30 students who were in 6th grade students in Kim-je city. 10 students who agreed to volunteer were the counseled group, the other 20 students were the control group. This anger-control programs was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ger-control programs reduced by anger-control programs devised Jeong-suk Yang(2002), Eun-soon He(2003), Hyen-ok Song(2005). The group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0 times for 50 minutes each time, twice a week by the researcher. The measurement tool of aggression used was standard, revised by Moon Jae Kyong(1998) which was based on the 'Diagnostic test of aggression' produced by Buss & Durkee(1957) and the 'Test of aggression need' by Hwang Jung Gue. Also, this study used the 'Anger control program' revised by Kim Bag Young(1997) which was based on the 'Diagnostic test of aggression' produced by Buss & Durkee(1957).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rough the procedure mentioned earlier is as follows.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partly effective for reducing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Second,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ing verbal aggression, irritability. Consequently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found to be partly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This means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us, this program needs to be used for the children to acquire skills in solving their anger problem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평승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분노는 학교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가정문제 등 문제의 심리적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충동적이고 공격적 행동, 과도한 언쟁 등의 외현적 행동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분노를 포함한 감정의 통제와 적절한 표현을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로 제안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상대방과 자신의 분노와 감정 이해 및 인지, 실제적인 분노조절 방법 학습 및 반복 훈련, 합리적인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찾기,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전환하는 개별화된 방법 찾아 익히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행동을 유지하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표출 방식과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이 분노를 포함하여 감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문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줄 알며, 실제 삶에서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되어 온 분노조절 접근들을 통합하여 인지·정서·행동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6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20명이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K-CBCL)을 실시하여 문제행동증후군 외현화 척도 점수가 T점수 60(84% tile)이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한 뒤, 본 연구자의 학급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검사 점수가 비슷한 타 학급 10명의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8회기에 걸쳐 일반학급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 아동들에게는 별도의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인 정서지능 측정에는 문용린(1997)의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검사를 연구 대상 아동들이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의 정서지능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의한 양적 결과가 지닌 타당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실험집단원의 소감문과, 마지막 회기 실시 후에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전체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하위 요소별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켰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을 포함하는 일반 학급 내에서 담임교사가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 능력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으로 사회적 통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예방적 중재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적 변인, 가족 구성원과 가정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가정과 연계 진행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와 일반화 할 수 있는 추후 검사가 요구되며,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타당한 정서지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반지정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and the increment of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I selected 30 children through three types of testing, who were 20% of 146 children, and finally decided on 20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ents' agreement and their own vol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elected boys and girls in their second and thi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se children were identified as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two times a week, from May 4, 2009 to June 25, 2009. One class hour was about fifty minutes. Each class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an introductory game, main activities, and finishing activities. During the introductory game, the children were reminded of the previous class, and at the finishing stage, they got informed about the next class. They were also given an assignment on the basis of the class. To certify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they took pre and post-tests. These tests were carried out with from 3 to 5 scales of measuring Anger situation, Anger control,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he Anger situation test was composed of a total of 32 questions. The Anger control and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est comprised 10 questions respectively. The three tests were given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Anger situation test, Anger control test,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14.0 program for window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dur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ho joined Anger Control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M=30.95 and M=49.80 were compared. Second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M=16.95 was compared with M=30.95. Thirdly, when M=18.85 and M=32.20 are compare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had decreased anger and aggression and increased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rough the procedure mentioned earlier is as follows.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aggression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Secondly,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ment of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is means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which will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good pee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ve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자주 일어나는 분노라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분노유발상황에 대한 반응과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아동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인 오류를 알고 그 오류의 수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연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통제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2.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가? 3.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는 분노의 개념과 분노의 유발원인, 공격성의 개념과 공격성의 유발원인, 분노와 공격성의 개념, 또래관계의 개념과 분노와 또래관계의 관계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2, 3학년 남·여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분노유발상황검사, 분노조절능력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검사결과의 상위 20%아동인 30명을 선정하여 아동을 개별적으로 만나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목적과 과정을 설명 한 후, 프로그램의 취지에 동의하고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며 동시에 부모가 동의한 아동 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노조절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 진행시간은 약 50분이다. 각 회기마다 도입활동과 본활동, 마무리 활동의 3단계로 진행이 되었으며 회기의 도입부분에서는 지난 시간을 회상하고 회기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다음 회기의 활동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다. 그리고 각 회기에서 다룬 내용을 토대로 과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첫째, Novaco(1994)가 제작한 Novaco Anger Scale(NAS)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크게 인지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나뉘며 인지영역에는 주의의 초점, 의심, 반추, 적대적 태도가 있고 행동영역에서는 충동반응, 언어적공격, 신체적대결, 간접적표현이 포함된다. 둘째, 분노조절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분노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Morganett(1994)이 제작한 분노조절검사이다. 셋째,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는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과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김영진(2005)이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연령을 고려하여 단어를 교정하고 문항수를 10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분노검사, 분노조절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의 검사결과를 통계적 분석 SPSS 14.0/WIN를 이용하여 paired t-test 통계 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아동은 사전 분노유발상황검사(M=82.00)와 사후 분노유발상황검사(M=50.0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전 분노조절검사(M=17.40)와 사후 분노조절검사(M=42.2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19.20)와 사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38.65)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향을 가진 초등학교 아동들의 분노유발상황에서의 분노유발경험의 감소, 분노조절능력의 향상,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청소년 대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최근 연구동향 및 뇌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도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의 비행이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사회각계각층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이런노력의 일환으로서 충동성과 공격성을 가진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분노정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심리학 및 교육학 관점에서 청소년기 분노조절과 관련된 방법 및 프로그램들이 제시되어있다.여기에 청소년기 행동의 근원적 원인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뇌교육’관점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성화 된다면 많은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서조절에 효과가 입증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함께 내용요소들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최근 국내외 분노조절 관련 연구 중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국내외 최근 연구들의 구성 내용요소 및 대상집단, 실험기간 및 결과, 참고프로그램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요소를 분노인식과 인식변화에 따른 인지적 요소, 자신 및 타인의 정서이해를 다룬 정서적 요소, 그리고 행동적인 분노조절훈련을 위한 행동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 요소가 차지하는 차수를 함께 프로그램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유발 흥미요소와 각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 및 주목할 만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하는 차별적 특성 등의 분석결과를 통해 분석항목별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시행과정 연구 : 비행아동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최효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IMF 이후 계속되는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대두되는 사회문제 중 현대의 가족구조 변화와 기능 상실은 가정폭력과 아동학대를 비롯해 아동을 가출, 도벽 등의 비행에 가담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대 중 방임의 경험으로 비행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과 이미 비행의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비행예방의 일환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과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인지-정서-행동적 접근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으로 김향미(2001)의 놀이중심 프로그램과 1995년 청소년 대화의 광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김은숙(1998)이 아동에 맞게 재구성 한 것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대상에 맞게 방법적 접근과 내용을 조정하여 개발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가출, 도벽, 방임 등으로 서울특별시립D아동상담소 P반에 입소중인 7∼11세의 아동 13명이다. 분노조절 프로그램 기간은 2003년 8월 21일부터 9월 25일까지 5주 동안 상담소 내에서 60분씩 총 10회 동안 실시되었다. 이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3달 동안 총 7회에 걸쳐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형성을 하였고, 프로그램 이후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1달 동안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총 6개월 동안 관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집단전후비교 사례연구로 검사기준으로써 공격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uss와 Durkee(1975)가 제작한 '공격성 진단검사'와 황정규(1964)의 '공격욕구 검사'에서 구성된 목록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중심으로 공격성의 정도를 평가한 후 프로그램 전-후의 공격성은 물론, 프로그램 도중에도 행동 변화추세를 관찰한 후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반 전체 아동들 사이에 분노가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까지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P반 생활 교사가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공격성 및 기타 행동상의 특징을 관찰하였고, 보조 진행자도 프로그램 개입 1주 전부터 개입 1달 후까지 아동을 관찰하여 그 내용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 보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자에게 실시한 후 개입 전과 비교해봤을 때 공격성 정도가 '상, 중, 하'그룹 모두 공격성 완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그룹일수록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도와 효과성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는 연령은 11세, 성별은 여자, 가족형태는 부모결, 생활수준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권자(이하 수급권자), 입소 개월은 8개월 이상, 의뢰 경위는 파출소, 주요 문제는 방임, 공격성 정도는 '중'인 그룹이 높은 참여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볼 때 환경적으로 외적변수를 가지고 있고 적은 표본인 만큼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엔 한계를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통제되어진 개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과는 달리 선정되어진 반 전원을 6개월 동안의 참여관찰을 통한 관찰 자료를 연구한 것으로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였다. 아동의 개입 전-도중-후등 3단계를 거쳐 행동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분석한 효과성은 기존의 수치화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방법과는 달리 더욱 치밀하고 사실적인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프로그램 개입 후 일상생활에서 자신들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행동이 관찰되고, 전반적으로 높은 참여를 보인 것을 미루어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비행과 방임을 비롯한 복합적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뿐 아니라 일반 학교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change of modern family structure and loss of its function among many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continued economic recession after IMF bailout, causes not only family violence and child abuse but also child delinquencies such as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anger control program as one of delinquency prevention measurements to those who are exposed to the family violence and to those who conducted misdeeds already,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application and the improved measurements of this program. This study adopted the anger control program(hereafter the Program) of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approach, which was adjusted and re-developed for this study that was developed initially for juvenile in 1995 by KIM Hyang-Mi (2001) and reorganized by KIM Eun-Sook (1998) for Children. For this stud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program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target children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are staying at Seoul Metropolitan D Children Center and from 7 to 11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in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e anger control program conducted 10 times (1 hour each) for 5 weeks from 21 August 2003 to 25 September 2003 at the Cent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efore applying the Program, the group program was conducted 7 times for 3 months for building up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Then, in order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kept observing those target children for a month and 6 months in total. This study used the list from ‘Diagnosis of Aggressiveness’ which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by Buss and Durkee (1975) and ‘Aggressiveness Desire’ by HWANG Jung-kyu (1964). Through this Program, first, assessed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of the target children; second, observ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target childrens aggressivenes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third, with these information, evaluated how much the Program was effective considering how the anger among all children would affect among themselves. Additionally, the observation records of the target children by teachers and assistant conductors at the Center were also included in this evalu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Program, it shows the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the anger from the target children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especially,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the group who used to have highest aggressiveness. Also, it was not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were closely correlated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of the program was those who were 11 years-old girls from mal-functional and poor family; stayed for over 8-month at the Center; led to the Center by the Police station; and had a medium degree of aggressive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ould be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considering some external variables and very limited number of target children. However, this study is more comprehensive and more systematic research by participation of whole selected group members for 6 month period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ology, whereas the existing researches targeted only very limited number of single person. Also this study applied very realistic methodology, which analyzed the behavior variable trend by three steps covering before-on-going process-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was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nger-control program reduced the aggressiveness and helped to express their anger properly, the Program w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the child delinquencies but also to the public school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