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분노가 대인관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우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분노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 효능감에 중점을 두고 분노의 적응적 표현양식인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과 일반인 남녀 432명(남자 139명, 여자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특성분노, 분노조절,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효능감을 측정하였고, 특성분노가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을 거쳐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분노는 분노조절 및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효능감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정서인식명확성은 분노조절 및 대인관계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은 대인관계 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특성분노는 분노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정서인식명확성을 낮추어 대인관계효능감을 감소시킨다. 한편 분노의 대인관계효능감에 대한 직접 효과는 작지만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효능감에 주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분노조절과 대인관계효능감의 관계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보완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nger,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Based on previous findings, this study tested dual mediation role of the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level of trait anger and the level of social self efficacy. 432 participants(male 139 female 293) a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from the STAXI-K(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TMMS(Trait Meta-Mood Scale) and Interpersonal control scales of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t anger negatively correlates with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Emotional clarifica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control and social self-efficacy. Anger-contro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elf-efficacy. Second, trait anger had a negative effect on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which leads to decrease the social self-efficacy. And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anger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nger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ocial self-efficacy, Third, anger-control didn’t ha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and emotional clarification fully mediated between anger-control and social self-efficacy. Finally, the counselling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문정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사회적 요인으로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중·고등학교 3개 학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285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하지 못한 설문지 39부를 제외한 246부가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 자살충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분노조절, 비합리적 신념, 학업스트레스가 중 ·고등학생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생 자살충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이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고 그런 삶에 대한 동기부여와 자신감을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의 필요성과 생애발달 단계별 생명존중 문화 확산 및 분위기 조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매체 개발 및 지속 연계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 상담현장에서는 자살충동에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연구가 요구되며 가정, 학교, 사회 상호 협력적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구체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impul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relationships amoug control of anger, irrational beliefs,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mpulse? Second, do control of anger,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suicidal impulse? For this study, 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surveyed Date from 246 students' survey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nd correlations amoug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mpulse. Second,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the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we see anger control, irrational beliefs, and academic stress effect on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young people to think that life is worth living in order to prevent the suicidal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and counseling sites may require development and research on a variety of programs to prevent suicidal impulse and specific applications may be made by providing a collaborative environment between households, schools and society.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and the increment of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I selected 30 children through three types of testing, who were 20% of 146 children, and finally decided on 20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ents' agreement and their own vol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elected boys and girls in their second and thi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se children were identified as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two times a week, from May 4, 2009 to June 25, 2009. One class hour was about fifty minutes. Each class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an introductory game, main activities, and finishing activities. During the introductory game, the children were reminded of the previous class, and at the finishing stage, they got informed about the next class. They were also given an assignment on the basis of the class. To certify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they took pre and post-tests. These tests were carried out with from 3 to 5 scales of measuring Anger situation, Anger control,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he Anger situation test was composed of a total of 32 questions. The Anger control and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est comprised 10 questions respectively. The three tests were given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Anger situation test, Anger control test,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14.0 program for window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dur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ho joined Anger Control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M=30.95 and M=49.80 were compared. Second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M=16.95 was compared with M=30.95. Thirdly, when M=18.85 and M=32.20 are compare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had decreased anger and aggression and increased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rough the procedure mentioned earlier is as follows. Firs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aggression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Secondly, the anger-control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ment of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is means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which will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to have a good pee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ve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자주 일어나는 분노라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분노유발상황에 대한 반응과 분노를 조절하는 능력,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아동이 분노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인 오류를 알고 그 오류의 수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연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통제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2.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분노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가? 3.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을 가진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는 분노의 개념과 분노의 유발원인, 공격성의 개념과 공격성의 유발원인, 분노와 공격성의 개념, 또래관계의 개념과 분노와 또래관계의 관계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2, 3학년 남·여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분노유발상황검사, 분노조절능력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하여 검사결과의 상위 20%아동인 30명을 선정하여 아동을 개별적으로 만나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목적과 과정을 설명 한 후, 프로그램의 취지에 동의하고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며 동시에 부모가 동의한 아동 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노조절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 진행시간은 약 50분이다. 각 회기마다 도입활동과 본활동, 마무리 활동의 3단계로 진행이 되었으며 회기의 도입부분에서는 지난 시간을 회상하고 회기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다음 회기의 활동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다. 그리고 각 회기에서 다룬 내용을 토대로 과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첫째, Novaco(1994)가 제작한 Novaco Anger Scale(NAS)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크게 인지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나뉘며 인지영역에는 주의의 초점, 의심, 반추, 적대적 태도가 있고 행동영역에서는 충동반응, 언어적공격, 신체적대결, 간접적표현이 포함된다. 둘째, 분노조절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분노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Morganett(1994)이 제작한 분노조절검사이다. 셋째,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는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과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김영진(2005)이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연령을 고려하여 단어를 교정하고 문항수를 10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분노검사, 분노조절검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검사의 검사결과를 통계적 분석 SPSS 14.0/WIN를 이용하여 paired t-test 통계 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아동은 사전 분노유발상황검사(M=82.00)와 사후 분노유발상황검사(M=50.0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전 분노조절검사(M=17.40)와 사후 분노조절검사(M=42.20)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19.20)와 사후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M=38.65)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공격성향을 가진 초등학교 아동들의 분노유발상황에서의 분노유발경험의 감소, 분노조절능력의 향상,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평승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분노는 학교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가정문제 등 문제의 심리적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충동적이고 공격적 행동, 과도한 언쟁 등의 외현적 행동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분노를 포함한 감정의 통제와 적절한 표현을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로 제안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상대방과 자신의 분노와 감정 이해 및 인지, 실제적인 분노조절 방법 학습 및 반복 훈련, 합리적인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찾기,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전환하는 개별화된 방법 찾아 익히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행동을 유지하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표출 방식과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이 분노를 포함하여 감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문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줄 알며, 실제 삶에서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되어 온 분노조절 접근들을 통합하여 인지·정서·행동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6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20명이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K-CBCL)을 실시하여 문제행동증후군 외현화 척도 점수가 T점수 60(84% tile)이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한 뒤, 본 연구자의 학급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검사 점수가 비슷한 타 학급 10명의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8회기에 걸쳐 일반학급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 아동들에게는 별도의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인 정서지능 측정에는 문용린(1997)의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검사를 연구 대상 아동들이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의 정서지능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의한 양적 결과가 지닌 타당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실험집단원의 소감문과, 마지막 회기 실시 후에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전체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하위 요소별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켰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을 포함하는 일반 학급 내에서 담임교사가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 능력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으로 사회적 통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예방적 중재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적 변인, 가족 구성원과 가정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가정과 연계 진행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와 일반화 할 수 있는 추후 검사가 요구되며,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타당한 정서지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이 아동의 공격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격성 감소와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사이버 상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사이버 상에서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공격성이 의미 있게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 사이버 상에서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의 아동에 비하여 교우관계 능력이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상담 실태와 상담 요구에 대한 선행 연구(조영숙, 1999; 김인숙, 2004; 권기남, 2005; 이팔헌, 2006; 염애숙, 2007; 문현진, 2009),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강신덕, 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이윤경, 2003; 류안나, 2006; 조영희, 2006; 황혜선, 2007),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김순옥, 2001; 김미라, 2008)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을 사이버 상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H초등학교 5학년 6개 반에 속한 243명을 대상으로 공격성 검사와 교우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 16명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는 Buss와 Durkee(1957)가 개발한 ‘적의성 검사’의 일부로 된 ‘공격성 진단 검사’와 Murray의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황정규의 ‘욕구진단검사’ 중 ‘공격 욕구 검사’를 참고로 하여 추출,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교우관계 검사는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제의 지속과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김영진(2005)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의 평균점수 간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공격성에 대한 사후 검사 결과 사전 검사와의 차이 검증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t=4.091, p<.001). 특히 공격성의 하위 요인 중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사후 검사 시 교우관계 향상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상의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시행과정 연구 : 비행아동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최효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IMF 이후 계속되는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대두되는 사회문제 중 현대의 가족구조 변화와 기능 상실은 가정폭력과 아동학대를 비롯해 아동을 가출, 도벽 등의 비행에 가담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대 중 방임의 경험으로 비행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과 이미 비행의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비행예방의 일환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과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인지-정서-행동적 접근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으로 김향미(2001)의 놀이중심 프로그램과 1995년 청소년 대화의 광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김은숙(1998)이 아동에 맞게 재구성 한 것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대상에 맞게 방법적 접근과 내용을 조정하여 개발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가출, 도벽, 방임 등으로 서울특별시립D아동상담소 P반에 입소중인 7∼11세의 아동 13명이다. 분노조절 프로그램 기간은 2003년 8월 21일부터 9월 25일까지 5주 동안 상담소 내에서 60분씩 총 10회 동안 실시되었다. 이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3달 동안 총 7회에 걸쳐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형성을 하였고, 프로그램 이후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1달 동안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총 6개월 동안 관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집단전후비교 사례연구로 검사기준으로써 공격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uss와 Durkee(1975)가 제작한 '공격성 진단검사'와 황정규(1964)의 '공격욕구 검사'에서 구성된 목록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중심으로 공격성의 정도를 평가한 후 프로그램 전-후의 공격성은 물론, 프로그램 도중에도 행동 변화추세를 관찰한 후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반 전체 아동들 사이에 분노가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까지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P반 생활 교사가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공격성 및 기타 행동상의 특징을 관찰하였고, 보조 진행자도 프로그램 개입 1주 전부터 개입 1달 후까지 아동을 관찰하여 그 내용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 보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자에게 실시한 후 개입 전과 비교해봤을 때 공격성 정도가 '상, 중, 하'그룹 모두 공격성 완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그룹일수록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도와 효과성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는 연령은 11세, 성별은 여자, 가족형태는 부모결, 생활수준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권자(이하 수급권자), 입소 개월은 8개월 이상, 의뢰 경위는 파출소, 주요 문제는 방임, 공격성 정도는 '중'인 그룹이 높은 참여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볼 때 환경적으로 외적변수를 가지고 있고 적은 표본인 만큼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엔 한계를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통제되어진 개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과는 달리 선정되어진 반 전원을 6개월 동안의 참여관찰을 통한 관찰 자료를 연구한 것으로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였다. 아동의 개입 전-도중-후등 3단계를 거쳐 행동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분석한 효과성은 기존의 수치화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방법과는 달리 더욱 치밀하고 사실적인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프로그램 개입 후 일상생활에서 자신들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행동이 관찰되고, 전반적으로 높은 참여를 보인 것을 미루어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비행과 방임을 비롯한 복합적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뿐 아니라 일반 학교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change of modern family structure and loss of its function among many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continued economic recession after IMF bailout, causes not only family violence and child abuse but also child delinquencies such as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anger control program as one of delinquency prevention measurements to those who are exposed to the family violence and to those who conducted misdeeds already,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application and the improved measurements of this program. This study adopted the anger control program(hereafter the Program) of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approach, which was adjusted and re-developed for this study that was developed initially for juvenile in 1995 by KIM Hyang-Mi (2001) and reorganized by KIM Eun-Sook (1998) for Children. For this stud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program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target children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are staying at Seoul Metropolitan D Children Center and from 7 to 11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in runaway from home and theft etc. The anger control program conducted 10 times (1 hour each) for 5 weeks from 21 August 2003 to 25 September 2003 at the Cent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efore applying the Program, the group program was conducted 7 times for 3 months for building up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Then, in order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kept observing those target children for a month and 6 months in total. This study used the list from ‘Diagnosis of Aggressiveness’ which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by Buss and Durkee (1975) and ‘Aggressiveness Desire’ by HWANG Jung-kyu (1964). Through this Program, first, assessed the status of aggressiveness of the target children; second, observ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target childrens aggressivenes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third, with these information, evaluated how much the Program was effective considering how the anger among all children would affect among themselves. Additionally, the observation records of the target children by teachers and assistant conductors at the Center were also included in this evalu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Program, it shows the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the anger from the target children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especially,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the group who used to have highest aggressiveness. Also, it was not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were closely correlated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of the program was those who were 11 years-old girls from mal-functional and poor family; stayed for over 8-month at the Center; led to the Center by the Police station; and had a medium degree of aggressive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ould be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considering some external variables and very limited number of target children. However, this study is more comprehensive and more systematic research by participation of whole selected group members for 6 month period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ology, whereas the existing researches targeted only very limited number of single person. Also this study applied very realistic methodology, which analyzed the behavior variable trend by three steps covering before-on-going process-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was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nger-control program reduced the aggressiveness and helped to express their anger properly, the Program w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the child delinquencies but also to the public school education program.
분노조절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민혜숙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n improving anger manag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 Do teachers perceive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nger manag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Research Question 2 : Do parents perceive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nger manag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Research Question 3 : What kind of changes did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experience during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For this, twelve 7th and 8th graders attending "A" middle school located in Eunpyung district in Seoul, Korea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motional-behavioral development test and teacher observations, these students were not well adjusted to their school and were struggling with anger management. Prior to conducting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e-tests assessing students' anger management levels through parent and teacher evaluations. Then,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with 6 students each. Fourteen 45-minute sessions of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were run for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two months. After this, post-tests were conducted through teacher and parent evaluations. The accumula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First, a reliability analysis was run for the scale used. Then, Mann-Whitney tests were done to check that the anger level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ior to group counseling were the same. Finally, Wilcoxon signed rank tests on the pre- and post-experiment anger level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In order to explore the changes experienced by study participants during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the House-Tree-Person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addition, teachers and parent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chool life of the participants. The major finding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anger manag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ccording to teacher evaluations. Second, similar observations of improvement in the anger management of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were reported in parent evaluations as well. In particular,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in the subdomain areas of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Third,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were able to express their subjective anger and disclose their unconscious inner selves. Also, they felt catharsi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tegrative group counseling activities, and became determined to control and regulate their negative anger emotion themselves. Thus, this study found that the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indee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nger manage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us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argeting anger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조절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교사 평가에 의하면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분노 조절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 부모평가에 따르면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분노 조절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 분노조절 집단상담 과정에서 학교부적응청소년들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이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은평구 소재 A중학교 1, 2학년 학생들 중 정서행동발달검사와 교사의 관찰에 의해 분노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이는 학교부적응 학생 중 본인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2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노조절 집단상담 실시 전 부모와 교사의 평가를 통해 연구 대상 학생들의 분노조절 수준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치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집단상담을 2달 동안 주 2회 45분씩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집단상담 진행 후 교사와 학부모 평가를 통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보기 위해 부모와 교사에 의한 학생의 분노조절 수준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상담 실시 전 분노수준의 차이검증을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하였고, 분노조절 집단상담의 효과를 보기위해 실험 전후의 분노조절 수준 차이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진행 과정에 나타난 연구대상자의 변화를 보기 위해 H-T-P 그림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와 학부모 상담을 통해 파악한 연구대상자의 학교생활 변화를 함께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평가에 의하면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평가에서도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노조절의 하위 영역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분노조절 집단상담을 통하여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주관적인 분노감정을 표현하고 무의식적 내면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통합적 집단상담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예술적 승화작용인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부정적인 분노감정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려는 의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분노조절에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예방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분노조절 집단상담과 통합적 활동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내면의 감정과 대화할 수 있는 좋은 매개체가 되어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의 분노조절에 효과를 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분노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신과병동 입원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기반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
분노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임지만 통제되지 않는 강도와 빈도의 분노 표현은 개인의 정서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을 유발한다. 청소년기는 예민한 감수성과 강렬한 정서적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정서조절을 내면화하는 시기로 자신의 정서를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신과병동에 입원한 정서 및 행동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경우 분노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병동 내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성을 가진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없었다.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인지행동치료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된 분노 및 분노상황에 대한 자각, 분노와 관련된 사고의 변화, 분노 감정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 훈련, 분노유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훈련 등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병동환경에 맞게 구성되었다. 인지행동치료기반의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대학병원 청소년정신과 병동에 입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4명으로 총 31명이었다. 대조군은 병동 내 기존의 심리사회적 중재만 받았고 실험군은 추가로 4주 동안 집단프로그램과 개인프로그램이 짝을 이루는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는 연구 대상자의 연령, 학력수준 등 일반적 특성과 함께 분노, 공격성, 분노조절을 프로그램 전후에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분노의 세부영역인 정서영역을 제외하고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 분노점수의 변화량, 공격성 점수의 변화량, 분노조절 점수의 변화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한 첫 연구로써, 중재를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과 자료는 실무 면에서 간호사가 체계적이고 일관된 중재를 적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입원병동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중재를 적용하는 추후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Anger is a universal emotion of humans. However, the uncontrolled intensity and frequency of anger cause difficulties not only in personal emotions but also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ose in their teens are most impressionable and may be difficult to control anger with intense emotional responses.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acquire the ability to control oneself at this time, since adolescence is the time to internalize emotional regulation. Especially,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dmitted to psychiatric wards may experience difficulty in controlling anger, but there is no structured and persistent anger management program within the war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anger management program based on cognitive behavior for adolescents admitted to pediatric psychiatric wards. According to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e program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configured to the psychiatric ward environment with core concepts of anger, awareness of anger, anger situation, change of thinking related to anger, and technical training to cope with anger feelings. In the following study, a quasi-experimen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as selected. All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cognitive behavioral anger management program.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n=17) received a total of 8 sessions of intervention with a combined group sessions and individual sessions over 4weeks. The control group (n=14) received treatment as usual without additional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anger management progra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cluding anger,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alo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subjec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 WIN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xcept for the emotional area, which was the detailed area of anger scor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change of anger score, change of aggression score and change of anger control scor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the first study to apply anger control program to adolescents admitted to psychiatric ward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a series of procedures and data applying interventions can help nurses apply systematic and consistent interventions in practice. In addition, it has meaning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future study applying psycho-social intervention to adolescents in a special environment of hospitalized wards.
기독교인 신혼부부의 관계증진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권호만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인 신혼부부들의 관계증진을 위하여 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과 분노를 조절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혼부부의 발달과업과 관계증진 및 분노조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성경과 일반 프로그램 등이 제시하는 분노조절이론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신혼부부의 관계증진에 필요한 분노조절의 3가지 요소 즉 분노의 이해와 분노의 감정 그리고 분노의 행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개발한 기독교인 신혼부부의 관계증진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먼저 도입단계에서 방향제시와 자기소개를 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분노의 이해와 분노의 경험 그리고 분노의 표현과 분노의 행동조절이라는 큰 단계를 중심으로 각 단계마다 2-3회기씩 진행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노의 예방과 실천을 위한 결단으로 마무리하도록 설정했다. 각 단계는 주당 1회 2시간에 걸쳐 도입, 전개, 심화, 정리의 진행단계를 갖게 된다. 본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결합하여 많은 갈등을 겪고 있는 신혼부부들에게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분노조절을 통하여 신혼부부의 관계증진과 건강한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현대의 가정과 사회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controlling conflict and anger that may occur at home for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of Christian newlyweds. To achieve such objective, objective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and the program was compos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on the basis of anger control principle that is suggested by the bible and the general program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task,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anger control for Christian newlyweds. The content of program consists of 3 factors that is, understanding of anger, feeling of anger and behavior of anger for anger control necessary to enhance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newlyweds. Suggestion of a direction and self-introduction are included at the first stage in the developed anger control program for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of Christian newlyweds. The understanding, experience, expression, and behavioral control of anger are included at the second stage, where each of them was conducted 2-3 sessions. The resolution for prevention and practice of anger is included at the last stage. Each of all the processes goes through introduction, development, advancement and arrangement through 2 hours per week.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might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Christian newlyweds who much suffer from conflicts as they lived in each different environment and might be a great help to modern family and society for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of Christian newlyweds and the sound family culture through anger control.
분노조절 통제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부적응 행동수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6학년 중심으로
최진욱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환경은 인간의 사회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사회환경은 아동들의 건전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러한 변화가 아동들에게도 예외는 아니어서 그들은 가족과 학교로부터의 소외되고, 텔레비전, 컴퓨터, 영화 등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가치관의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아동들은 그들이 가지게 되는 욕구 불만을 적절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여, 공격적인 행동으로 그들의 욕구불만을 표시하게 되어 학교 폭력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동들은 급속하고 비균형적인 신체적 발달에 불안을 가지고, 낙심하거나 상처받기 쉽기 때문에 우울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성인의 지시에 반항을 하거나 비학습적인 행동을 아무런 생각 없이 표출하기도 한다. 아동들의 학교생활이나 가정에서의 부적응행동 요인은 다양하겠으나 가장 큰 요인은 소외감, 욕구좌절, 증오심으로 인한 난폭한 행동이 많고, 부적응행동이 습관화되면서 청소년의 비행이 날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난폭한 행동은 분노의 감정으로부터 시작되는 데 타인에 대한 분노는 난폭한 말씨나 행동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분노가 남발되거나 적절하게 표현되지 못할 때에는 인간관계가 악화된다고 하였다. 반면에 분노로 인해서 아동들의 공격성과 충동성이 상승하게 되면 이러한 아동들은 사회의 질서에 부적응을 일으켜 비행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분노의 아동들을 사회적 적응하기 쉬운 사람으로 변화를 시켜 비행의 가능성으로부터 멀어지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화를 내는 마음을 조절하지 못하는 아동들에게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실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이며 내적인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분노의 공격적인 표현을 줄여 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2002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이것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분노표현의 경향의 정도가 분노표현을 연구전보다 관심이 많고, '참는다', '나는 잘못으로 이해하려 한다.' 등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본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성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려는 태도를 인식하고 수용해 가는 과정에서 형성ㆍ심화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분노조절 방식의 변화에 있어서 연구 전 보다 30.3%향상을 가져왔으며, 본 프로그램의 효율성 20명의 수업참관교사들이 분석결과 수준 상이 88.3%로 분노조절 통제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어 분노를 올바르게 조절하는 대안을 제시하여 아동들의 부적응 행동을 교정하여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분노 통제 척도 검사 결과 평정 점수에서 분노를 합리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아동 19명(47.5%)에서 32명(80.0%)으로 32.5% 증가하였고, 분노통제를 조절하지 못하는 아동 8명(20.0%)에서 1명(2.5%)으로 17.5% 감소하였다. 분노통제 훈련에 참가 한 아동 중에서 정도가 심한 8명의 아동의 평정 점수가 연구 전ㆍ후 차가 최고 35점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분노 조절 통제 훈련과 다양한 심리적 자아암시 표현활동의 결과로 아동들의 분노에 대한 통제력이 향상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아동들의 부적응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실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통하여 다른 사람을 먼저 생각하게 되고, 행동하기 전에 합리적인 사고인지 한 번 더 생각 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어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여 효과 동기가 강화되었다. 둘째, 분노조절 통제 훈련을 자아암시, 부적응행동의 이해, 분노조절 기술 연습의 3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아동들로 자신의 부적응행동의 원인을 평가하고 조절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어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화가 난 상황에 대한 자신의 반응, 분노조절 훈련, 생각 변화시키기 등 분노조절 훈련을 통한 비충동적ㆍ비공격적인 자아암시표현활동 친구와의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인성교육 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컸다. 따라서 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부적응행동을 교정시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간의 존엄성 이해와 이기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며 인성교육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컸다.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기이해와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습관 지도 등 교정에 다양한 활동으로 아동들의 부적응행동의 동기를 교사의 계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아동들의 부적응행동 교정은 학교에서 뿐만이 아니라 가정과 연관하여 지도 할 수 있는 지도 방안ㆍ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셋째, 아동의 분노조절을 통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인차를 따른 개인 지도가 요청된다. People go through a wide-ranging, long-term process of socialization under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 which can have various effects on human socialization. Unfortunately, it hardly seems that today's social environments are playing a positive roll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hood. Nowadays, many children feel neglected from family and school. Moreover, they suffer from continuing confusion of their social values under the influences of mass media such as TV, movies, and the Internet. Under these social circumstances, it is not easy for children to find the proper ways to express their unsatisfied desires which, consequently, can come out as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s. Today, juvenile violence in school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Especially, many upper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nger due to the rapid and imbalanced physical growth that drives them into anxiety and despair. Those children tend to disobey adults, and illustrate undisciplined behavior without thinking. There are various factors for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in school and at home. Feelings of alienation, failure to satisfy ones desire, and hatred are the major factors causing aggressive behavior. The unfitting behaviors easily become habitual actions. Consequently, the problems of juvenile delinquency become more intensified. Violent behaviors mostly come from anger. Feeling anger against other people is often expressed in aggressive language and violent action. Naturally, uncontrolled anger that comes out as uncivilized manner makes it harder for the children to maintain appropriate social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when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children powered by anger increase, these children tend to deviate from the order of society. Thus,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juvenile delinquency. Children with anger should be given proper methods to transform themselves to fit into the society and thus prevent them from becoming juvenile delinquents. The following research is designed to have children, who cannot control anger, exercise anger management training. The purpose of the exercise is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control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inner factors of anger, which in turn reduce aggressive expression. Furthermore, it would help in building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s. As a part of the research, a series of surveys were made to the 6th grade students from December 2002 through December 2003.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surveys are as follows. Throughout the research, the children have grown to be more aware of their anger expression than before. It seems more children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from their saying that "I should be patient" or "I understand it's my fault". This result shows that the children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is matter and become receptive to the benefits of building healthy relationships.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ed that a 30.3% improvement was achieved in changing the forms of anger control. 20 associate teaching members found a high efficiency of 88.3% for this anger control program. It was potentially proven that this program presents an efficient method to control anger and to correct the unfitting behaviors and thus helps children establish healthy relationships. By evaluating from the anger control index, it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ho could overcome the anger rationally was increased by 32.5% from 19 persons (47.5%) to 32 persons (80.0%)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were not able to manage anger was decreased by 17.5% from 8 persons (20.0%) to 1 persons (2.50%). The10 children, who had more difficulty controlling anger than the other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by scoring lower points.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after the research came out to be a maximum of 36 points. These outcomes demonstrate that the anger management training and various self-suggestive expression activities improved the children's anger controlling ability. After practicing the anger management and self-suggestive expression activities that came about through various deep conversations with the children,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by using the anger management the children became considerate of others and learnt to take time to examine their judgments before taking any actions.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build peace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ence reinforced the motivation of anger management.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anger management exercise, which was comprised of three stages (self-suggestion, understanding the unfitting behavior, and practicing the techniques of anger control), the children were given opportunities to establish positive attitudes to evaluate and eliminate the factors of their unfitting behavior for themselves. Third, a variety of exercises for anger management such as studying ones own reactions under anger, practice of anger control and mind control, and non-impulsive and non-offensive self-suggestion, were effective i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exercise of anger management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helped to correct the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so that they can achieve constructive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nd from its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teachers should pay continuous attention to children to keep them away from any possible motives of unfitting behavior. The children should be given a variety of activities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and to acquire a habit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Second, further study and development of methods in correcting childrens unfitting behavior should be made not only at school but also at home. Third, various anger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individual guidance to reflect individual difference.